KR102592995B1 -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995B1
KR102592995B1 KR1020210162361A KR20210162361A KR102592995B1 KR 102592995 B1 KR102592995 B1 KR 102592995B1 KR 1020210162361 A KR1020210162361 A KR 1020210162361A KR 20210162361 A KR20210162361 A KR 20210162361A KR 102592995 B1 KR102592995 B1 KR 10259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malfunction
domain
out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406A (ko
Inventor
박대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6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2Software debugging
    • G06F11/3628Software debugging of optimised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2Software debugging
    • G06F11/3636Software debugging by trac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4Environments for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은 정상동작을 추종하는 보상패치코드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보상패치코드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타겟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세부적인 미세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System of generating patch information for software malfunction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원인을 파악하고 자동으로 패치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로봇, 무인기기 등에 스마트 전자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복잡한 소프트웨어가 세부 블록간 순차적 계측적 연동에 의해 동작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전자시스템에서 특정 부분의 소프트웨어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에 원인 분석이 매우 어려워, 해당 블록의 코드오류에도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연결된 다른 모듈간의 상호 작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원인 분석이 상당히 어려우며 패치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오동작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조건별로 테스팅을 실시한 후에 오동작을 재현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보코드를 삽입하며 소프트웨어 오류 패치를 적용하지만, 다양한 동작 제어 요소를 고려하여 패치 코드를 수작업으로 작업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개발자가 설계한 소프트웨어는 예상치 못한 입력 또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인적오류(human error)로 인한 오동작 가능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고, 프로그램을 설계한 개발자가 부재중인 경우 또는 오랜 시간이 지나 정상 동작하는 코드의 구조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버그 수정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가 코드 형태가 아닌 바이너리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높은 수준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버그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 10-208816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원인을 파악하고 자동으로 패치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원인을 파악하고 자동으로 패치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검출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에 관한 정보 및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실행시의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가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A) 입력부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가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을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Y2(S))이 상기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 하는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는 S-도메인에서의 상기 보상패치코드(HP(S))를 t-도메인의 보상패치코드(hP(t))로 이동시키기 위해 라플라스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상패치코드(hP(t))를 적용하여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G)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하는 것으로 판단된 보상패치코드(hP(t))를 상기 소프트웨어의 원본 코드(original code)에 결합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수신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을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과 비교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서 상기 (F)단계는 t-도메인에서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상기 보상패치코드(hP(t))를 컨벌루션(convolution)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은 정상동작을 추종하는 보상패치코드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보상패치코드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타겟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세부적인 미세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소프트웨어를 구현한 프로그래머 당사자가 아닌 경우에도 오동작에 대응하는 패치 코드를 빠르게 생성하여 적용하므로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오동작출력과 정상출력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보상패치코드의 연산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라플라스 역변환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정상동작의 추종을 판단하는 소스코드의 예시.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100)은 자율주행 자동차,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장치, 생체신호 분석장치 등과 같이 스마트 전자시스템이 적용되는 장치에 적용되어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을 검출하고 보상패치정보를 생성하여 정상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입력부(120), 메모리부(130), 출력부(140) 및 센싱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소프트웨어의 동작시 센싱부(150)를 통해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를 생성하여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를 판단한다.
입력부(120)는 예컨대, 키보드, 터치스크린, 키패드 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검출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10)에 연결되고, 다수의 소프트웨어, 보상패치코드정보 및 해당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출력부(14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제어부(110)에 의해 판단한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판단결과, 정상동작의 추종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소리로 출력한다.
센싱부(15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다수의 센서를 통해 소프트웨어 실행시의 출력결과를 포함한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100)은 제어부(110)가 소프트웨어의 동작과정에서 센싱부(150)를 통해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를 생성하며, 해당 보상패치코드를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100)은 정상동작을 추종하는 보상패치코드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오동작출력과 정상출력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보상패치코드의 연산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라플라스 역변환을 나타낸 소스코드의 예시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정상동작의 추종을 판단하는 소스코드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부(120)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S210).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이 입력부(120)를 통해 개발자의 정상 입력(x1(t))이 이루어져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코드(h1(t))를 실행하는 경우,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상동작의 출력(y1(t))이 도출되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이러한 [수학식 1]을 S-도메인의 전달함수로 변환하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1(S)는 S-도메인에서의 정상 입력이고, H1(S)는 S-도메인에서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코드이며, Y1(S)는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새로운 사용자 명령, 즉 새로운 사용자 입력(x2(t))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10)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해당 소프트웨어가 실행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해당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220).
제어부(110)가 해당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센싱부(150)를 통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그래프 형태의 출력(y2(t))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오동작 출력과 정상 출력을 나타낸 소스코드를 실행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에 대해, 제어부(110)는 수신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과 비교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단계의 결과로 해당 소프트웨어에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10)는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해당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을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한다(S230).
여기서,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은 도 5에 도시된 소스코드를 실행하여 획득될 수 있고,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해당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을 전달함수 형태로 변환하여 정상동작을 위한 보상패치코드(HP(S))를 용이하게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은 상술한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x2(t))이 정상 입력(x1(t))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H1(S)는 S-도메인에서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코드이고, He(S)는 S-도메인에서 오동작의 원인인 알수없는 버그코드이며, X1(S)는 S-도메인에서의 입력이며, Y2(S)는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이다.
이에 따라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Y2(S))은 도 3b에 도시된 형태로 변환되고, 해당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t))은 도 3c에 도시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Y2(S))이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 하는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한다(S240).
즉,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S-도메인에서 출력(Y2(S))과 보상패치코드(HP(S))의 곱이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한다.
Figure 112021135060710-pat00004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5]에 만족하여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하는 보상패치코드(HP(S))를 탐색하여 도출한다.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한 후, 제어부(110)는 S-도메인에서의 보상패치코드(HP(S))를 t-도메인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라플라스 역변환을 수행한다(S250).
이러한 라플라스 역변환은 도 6에 도시된 소스코드를 실행하여, S-도메인에서의 보상패치코드(HP(S))를 t-도메인에서의 보상패치코드(hP(t))로 변환한다.
이렇게 라플라스 역변환을 수행한 후, 제어부(110)는 보상패치코드(hP(t))를 적용하여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소스코드를 실행하여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t-도메인에서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보상패치코드(hP(t))를 컨벌루션(convolution) 연산한다.
이러한 컨벌루션 연산을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보상패치코드(hP(t))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가 보상패치코드(hP(t))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하는 단계(S230)부터 다시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반복 수행은 보상패치코드(hP(t))를 계속 보완하여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할 때까지 지속된다.
반면에, 제어부(110)가 보상패치코드(hP(t))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보상패치코드(hP(t))를 해당 소프트웨어의 원본 코드(original code)에 결합하여 적용한다(S270).
이에 따라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동작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보상패치코드(hP(t))를 용이하게 자동 추출하여 타겟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세부적인 미세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은 소프트웨어를 구현한 프로그래머 당사자가 아닌 경우에도 오동작에 대응하는 패치 코드를 빠르게 생성하여 적용하므로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메모리부
140: 출력부 150: 센싱부

Claims (6)

  1.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검출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에 관한 정보 및 오동작에 대한 보상패치코드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실행시의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센싱부에 연결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을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하고,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Y2(S))이 상기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 하는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하며, S-도메인에서의 상기 보상패치코드(HP(S))를 t-도메인의 보상패치코드(hP(t))로 이동시키기 위해 라플라스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보상패치코드(hP(t))를 적용하여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2. 삭제
  3. (A) 입력부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가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을 S-도메인으로 라플라스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 출력(Y2(S))이 상기 소프트웨어의 S-도메인에서의 정상동작 출력(Y1(S))에 추종하도록 하는 보상패치코드(HP(S))를 도출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는 S-도메인에서의 상기 보상패치코드(HP(S))를 t-도메인의 보상패치코드(hP(t))로 이동시키기 위해 라플라스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상패치코드(hP(t))를 적용하여 정상동작을 추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G)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상동작출력을 추종하는 것으로 판단된 보상패치코드(hP(t))를 상기 소프트웨어의 원본 코드(original code)에 결합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수신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출력(y2(t))을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정상동작 출력(y1(t))과 비교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t-도메인에서 상기 오동작이 발생한 해당 소프트웨어의 출력(y2(t))과 상기 보상패치코드(hP(t))를 컨벌루션(convolution)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KR1020210162361A 2021-10-27 2021-11-23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KR102592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384 2021-10-27
KR20210144384 2021-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406A KR20230060406A (ko) 2023-05-04
KR102592995B1 true KR102592995B1 (ko) 2023-10-24

Family

ID=8637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361A KR102592995B1 (ko) 2021-10-27 2021-11-23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268A1 (ja) * 2008-02-21 2009-08-27 富士通株式会社 パッチ候補選択装置、パッチ候補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パッチ候補選択方法
US10572332B1 (en) * 2017-10-30 2020-02-25 Wells Fargo Bank, N.A. Failure prediction system
JP2020119236A (ja) * 2019-01-23 2020-08-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配布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配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164B1 (ko) 2019-08-27 2020-03-12 루나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신구 데이터간의 차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268A1 (ja) * 2008-02-21 2009-08-27 富士通株式会社 パッチ候補選択装置、パッチ候補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パッチ候補選択方法
US10572332B1 (en) * 2017-10-30 2020-02-25 Wells Fargo Bank, N.A. Failure prediction system
JP2020119236A (ja) * 2019-01-23 2020-08-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配布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配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406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4910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エラー訂正方法および装置
JP2004513435A (ja) 静的解析を使用する動的制約条件付きテスト生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20074B2 (ja) テストダブルの生成
US10162737B2 (en) Emulating a user performing spatial gestures
CN110928553A (zh) 深度学习模型的部署方法、装置和系统
JP2010079894A (ja) トレース操作の修正によるトレースのオーバーヘッドの削減
CN112529206A (zh) 一种模型运行方法和系统
KR101886203B1 (ko) 프로그램 분석 장치 및 방법
JP6556410B2 (ja) 等価性検証装置
KR102592995B1 (ko)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동작 패치정보 생성방법
CN109783837A (zh) 仿真设备、仿真系统、仿真方法和仿真程序
CN108241543B (zh) 业务操作断点执行的方法、业务服务器及系统
US20210406161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esting a technical system
Sivagurunathan et al. Slicing, I/O and the implicit state
US20220092271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esting a technical system based on a model
US20220215030A1 (e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451640B1 (ko) 특징 표현 단순화와 다중 작업 학습을 통한 얼굴 영상 연령 변환 방법 및 장치
EP3076299A1 (en) Method to improve and extend the logics of a test rig for a vehicle component, in particular a battery or an alternator
CN113821204B (zh) 一种组件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989352A (zh) 用于基于模型的分析的方法和设备
KR102500395B1 (ko) 프로그램 소스코드의 버그를 정정하는 장치 및 방법
RU2818270C1 (ru) Способ экспресс-идентификации аппаратной архитектуры исполня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основе анализа бинарных данных
KR102435497B1 (ko) 멀티미디어 신호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7573089A (zh) 通讯协议栈代码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098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determine whether any one of a plurality of pixels in an obtained partial image has an invalid value to select an appropriate acquis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