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837B1 -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2837B1 KR102592837B1 KR1020230031709A KR20230031709A KR102592837B1 KR 102592837 B1 KR102592837 B1 KR 102592837B1 KR 1020230031709 A KR1020230031709 A KR 1020230031709A KR 20230031709 A KR20230031709 A KR 20230031709A KR 102592837 B1 KR102592837 B1 KR 102592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pga
- specific
- sensors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 G01V1/008—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2—Sensors
- B81B2201/0228—Inertial sensors
- B81B2201/0235—Acceler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에 대응되는 특징 데이터에 대해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로 PGA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진도 지도를 나타낸다.
110 : 메모리
120 : 통신 모듈
130 : 디스플레이
140 : 입력 모듈
150 : 프로세서
Claims (14)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가속도 센서 기반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진이 발생한 위치 및 지진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진도 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 PGA(peak ground acceleration)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 PGA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PGA 값에 기초하여, 임계 진도를 초과하는 구역을 나타내는 진도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별 PGA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센서에 대응하는 축 별 PGA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축별 PGA 값에 기초하여 센서 별 PGA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가 제2 임계값 초과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센서를 통해 획득된 PGA 값의 평균을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으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별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가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획득한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해 K-평균(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그룹핑(group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복수의 센서 중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센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로 지진의 S파가 도달하는 특정 시간 및 상기 특정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의 3 축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가 제2 임계값 이하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인접한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가 획득한 PGA 값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가 획득한 PGA 값 및 상기 특정 센서를 통해 획득된 PGA 값의 평균을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으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 및 상기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의 개수의 합이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은 산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가속도 센서 기반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지진이 발생한 위치 및 지진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모듈;
상기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진도 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센서 선택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 PGA(peak ground acceleration)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 별 PGA 획득 모듈;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 PGA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구역 별 PGA 산출 모듈; 및
상기 산출된 PGA 값에 기초하여, 임계 진도를 초과하는 구역을 나타내는 진도 지도를 생성하는 진도 지도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별 PGA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 별 PGA 획득 모듈은,
특정 센서에 대응하는 축 별 PGA 값을 획득하고,
상기 축별 PGA 값에 기초하여 센서 별 PGA 값을 획득하고,
상기 구역 별 PGA 값을 산출하는 구역 별 PGA 산출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가 제2 임계값 초과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센서를 통해 획득된 PGA 값의 평균을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으로서 산출하는,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별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가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획득한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해 K-평균(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그룹핑(grouping)하는,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은,
상기 그룹핑된 복수의 센서 중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센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선택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별로 지진의 S파가 도달하는 특정 시간 및 상기 특정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의 3 축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별 PGA 산출 모듈은,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가 제2 임계값 이하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인접한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가 획득한 PGA 값을 식별하고; 및
상기 식별된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가 획득한 PGA 값 및 상기 특정 센서를 통해 획득된 PGA 값의 평균을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으로서 산출하는,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별 PGA 산출 모듈은,
상기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센서의 개수 및 상기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센서의 개수의 합이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PGA 값을 산출하지 않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1709A KR102592837B1 (ko) | 2023-03-10 | 2023-03-10 |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1709A KR102592837B1 (ko) | 2023-03-10 | 2023-03-10 |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2837B1 true KR102592837B1 (ko) | 2023-10-24 |
Family
ID=8851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1709A Active KR102592837B1 (ko) | 2023-03-10 | 2023-03-10 |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83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6855B1 (ko) * | 2018-09-07 | 2019-02-15 | 대한민국 | 지진동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지진 대응 시스템 |
KR20200059673A (ko) * | 2018-11-21 | 2020-05-29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Mems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지진동 감시 및 분포 지도 작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346352B1 (ko) * | 2021-05-14 | 2022-01-03 | 대한민국(기상청장) | Mems 기반 보조 지진 관측망에서 지진을 감지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
-
2023
- 2023-03-10 KR KR1020230031709A patent/KR1025928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6855B1 (ko) * | 2018-09-07 | 2019-02-15 | 대한민국 | 지진동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지진 대응 시스템 |
KR20200059673A (ko) * | 2018-11-21 | 2020-05-29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Mems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지진동 감시 및 분포 지도 작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346352B1 (ko) * | 2021-05-14 | 2022-01-03 | 대한민국(기상청장) | Mems 기반 보조 지진 관측망에서 지진을 감지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elmstetter et al. | Comparison of short-term and time-independent earthquake forecast models for southern California | |
JP6290859B2 (ja) | リスク予測およ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Wu | Progress on development of a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using low-cost sensors | |
Bachmann et al. |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duced Basel 2006 earthquake sequence: introducing a probability-based monitoring approach for Enhanced Geothermal Systems | |
Liu et al. | The effect of LiDAR data density on DEM accuracy | |
Pace et al. | Layered seismogenic source model and probabilistic seismic-hazard analyses in central Italy | |
CN108711264A (zh) | 基于大数据的地质灾害监测方法及监测系统 | |
JP5502084B2 (ja) | 地震損害予測及び回避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 |
Makela et al. | Periodic spacing between consecutive equatorial plasma bubbles | |
JP2018179978A (ja) | ユーザ機器、地震警報サーバ、及び地震警報サーバの地震警報方法 | |
Strader et al. | A Monte Carlo model for estimating tornado impacts | |
US2008018339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forecasting earthquakes | |
CN105897361A (zh) | 地震警报广播设备及相关方法 | |
Kundu et al. | Seismogenic anomalies in atmospheric gravity waves as observed from SABER/TIMED satellite during large earthquakes | |
Parolai et al. | On‐site early warning and rapid damage forecasting using single stations: Outcomes from the REAKT project | |
EP3271839A1 (en) | Sensor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ong et al. | Toward global earthquake early warning with the myshake smartphone seismic network, part 1: Simulation platform and detection algorithm | |
KR102592837B1 (ko) | Mems 가속도 센서 기반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표면 진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 |
Hsu et al. | Two novel approaches to reduce false alarm due to non‐earthquake events for on‐site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 |
Krenz et al. | Numerical simulations of seismoacoustic nuisance patterns from an induced M 1.8 earthquake in the Helsinki, Southern Finland, Metropolitan Area | |
Park et al. | Assessment of infrasound signals recorded on seismic stations and infrasound array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using ground truth sources | |
Kuyuk et al. | Automatic earthquake confirmation for early warning system | |
CN115311574A (zh) | 一种建筑物监测方法、设备及介质 | |
Colombelli et al. | Rapid and reliable seismic source characterization i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current methodologies, results, and new perspectives | |
Oku et al. | Representation of extreme weather during a typhoon landfall in regional meteorological simulations: A model intercomparison study for Typhoon Songda (2004)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