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603B1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03B1
KR102591603B1 KR1020210163183A KR20210163183A KR102591603B1 KR 102591603 B1 KR102591603 B1 KR 102591603B1 KR 1020210163183 A KR1020210163183 A KR 1020210163183A KR 20210163183 A KR20210163183 A KR 20210163183A KR 102591603 B1 KR102591603 B1 KR 10259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rame
body part
pressure
rehabilitation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76351A (en
Inventor
송원경
신준호
권순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6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03B1/en
Publication of KR2023007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3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Abstract

재활 훈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disclosed.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and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You can.

Description

재활 훈련 장치{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은 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 훈련 중 훈련자의 신체 일부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ing a part of the trainee's body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일반적으로, 인체의 관절 부위는 관절 부위와 인접한 부위들이 관절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노인이나 근력이 약한 재활 환자들은 이러한 관절 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질적인 운동이 필요함에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운동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Generally, the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joint portion and adjacent portions can rotate based on the joint portion. Meanwhile, elderly people and rehabilitation patients with weak muscles have difficulty exercising these joints, and although they need practical exercise,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exercise using general methods.

특히, 손목 및 어깨와 같은 관절 부위를 수술한 환자의 경우에는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하므로, 근육이 약화되고 원활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근육 및 관절 부위가 뻣뻣해지며 굳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관절 및 근육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활동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재활 운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patients who have had surgery on joints such as the wrist and shoulder are unable to exercise on their own, so there is a risk that the muscles and joints may become stiff and hardened due to weakened muscles and lack of proper nutrition. Therefore, long-term rehabilitation exercises must be performed to prevent deformation of joints and muscles and to return to normal activities.

재활 훈련 장치는 상술한 재활 환자들의 재활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재활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체결되는 체결부, 재활 훈련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서 발생된 보조력을 체결부로 전달하는 보조력 전달부로 이루어진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a device for assist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s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s described above. Generally, a fastening part where a part of the rehabilitation trainee's body is fastened, a driving part that generates an auxiliary force to assist the rehabilitation trainee's exercise, and a devi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part It consists of an auxiliary force transmission part that transmits auxiliary force to the fastening part.

종래의 재활 훈련 장치의 체결부 및 보조력 전달부는 구동부에서 발생된 보조력을 훈련자의 신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왔고, 훈련자의 신체는 이러한 프레임에 직접 체결되어 왔다.The fastening unit and the assisting force transmission unit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e been composed of a frame with appropriate rigidity in order to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to the trainee's body, and the trainee's body has been directly fastened to this frame.

이때, 종래의 재활 훈련 장치의 체결부는 형태가 고정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사이즈 등 다양한 조건을 가질 수 있는 훈련자들의 신체에 적합하게 체결되기 어려워 훈련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made of a frame with a fixed shape, so it is difficult to fasten it appropriately to the bodies of trainees who may have various conditions such as size,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not stably supporting the body of the trainee.

또한, 종래의 재활 훈련 장치는 재활 훈련 중 보조력 전달부 및 구동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보조력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강한 강성을 갖는 프레임이 부드러운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여 훈련자에게 불편함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 the process of applying assistive force to the user's body by the assistive force transmission unit and driving unit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frame with strong rigidity presses the soft user's body, causing discomfort or pain to the trainer. There are problems that can arise.

이에 따라, 재활 훈련 중 재활 훈련 장치에 체결되는 훈련자의 신체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보조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 the trainee's body while being fasten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ransmit assistive for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 훈련 중 재활 훈련 장치에 체결되는 훈련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훈련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body of a trainee fasten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provide a comfortable fit to the trainee.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 훈련 중 훈련자의 신체에 보조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transmit assistive force to the trainee's body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the assistive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활 훈련 중 훈련자에게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훈련자의 신체의 운동을 유도하거나 가이드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induce or guide the exercise of the trainee's body without causing discomfort or pain to the traine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and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provid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to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formed to increase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이때, 상기 제어부는,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It may be form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dy par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압력이 낮아지게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decreases as it mov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일부를 제 2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n order to induce the body part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You can.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2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이때,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으로 유체를 주입하는 복수의 유체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 포켓의 압력이 이상 압력 범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유체 주입관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fluid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nd injecting fluid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to an ideal pressure range. It may be formed to block the fluid injection pipe when entering.

이때,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일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체 일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액츄에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력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달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ame includes: a fixed frame suppo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a rotat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it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actuator and transmits the assisting force to the fixed frame.

이때,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신체 일부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may b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body part.

이때,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보다 상기 신체 일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와 분리막에 의하여 격리되는 제 2 유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제 2 유체 수용부는 개별적으로 팽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ncludes: a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located adjacent to the frame; and a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located closer to the body part than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and isolated from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by a separation membrane, wherein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are individually It can be formed to expan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제 1 압력을 상기 신체 일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secure and support the body part by applying a first pressure to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dy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s higher than the first pressur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s higher than the first pressure. You can control 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You can control i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and low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less than 90 degrees. .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greater than 90 degrees.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제 1 고정 부재에 의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재활 훈련 장치에 적절히 배치 및 체결한 후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는 유체 포켓을 구비한 제 2 고정 부재에 의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재활 훈련 중 재활 훈련 장치에 체결되는 훈련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훈련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uid pocket that expands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after appropriately placing and fastening the trainee's body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by the first fixing member. By fixing and supporting the trainee's body by the second fixing member, the trainee's body fasten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stably supported and a comfortable fit can be provided to the traine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제어부가 훈련자의 신체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재활 훈련 중 훈련자의 신체에 보조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an actuator that applies assisting force to the trainee's body, an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djusts the internal pressure of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surrounding the trainee's body. By controll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nsmit assistive force to the trainee's body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fit without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assistive fo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제어부가 목적하는 운동 방향에 맞추어 훈련자의 신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재활 훈련 중 훈련자에게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훈련자의 신체의 운동을 유도하거나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discomfort or pain to the traine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by controlling the internal pressure of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surrounding the trainee's body according to the desired movement direction by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induce or guide the exercise of the trainee's body without doing so.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에 훈련자의 상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완 프레임 및 하완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때, 제 1 압력 측정 센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압력 측정 센서, 제어부 및 유체 펌프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서 압력 측정 센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 조절에 의하여 훈련자의 상지의 운동이 일 방향으로 유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er's upper limb is fastened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rm frame and the lower arm fram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2.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s not show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tor, pressure measurement sensor, control unit, and fluid pump in block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s not shown in FIGS. 7 to 9 .
Figure 10 (a)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This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trainee's upper limbs is guided in one dir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in the drawings,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echnical idea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is includes not only those placed at the “bottom”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is plac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에 훈련자의 상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완 프레임 및 전완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때, 제 1 압력 측정 센서는 도시되지 않았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er's upper limb is fastened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rm frame and the forearm fram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Ⅰ-Ⅰ' in Figure 2.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s not shown.

이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 방향은 도면상에서 재활 훈련 장치에 의해 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의 관점에서 규정하여 셜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볼 때 훈련자의 전완(2b)이 위치되는 우측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훈련자의 상완(2a)이 위치되는 좌측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한다. 훈련자의 엄지손가락이 위치되는 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규정하고, 훈련자의 새끼손까락이 위치되는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 규정한다. 훈련자의 팔꿈치가 굽혀지며 전완(2b)이 이동되는 방향을 상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훈련자의 팔꿈치가 펴지며 전완(2b)이 이동되는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 규정한다.In describing the drawings below, each direction is defined and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iner perform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 the drawings. More specifically, when looking at FIG. 1, the right direction where the trainer's forearm 2b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left direction where the trainer's upper arm 2a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re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ee's thumb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lef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ee's little finger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right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ee's elbow is bent and the forearm (2b) moves is defined as the upper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ee's elbow is straightened and the forearm (2b) moves is defined as the downward direction.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프레임(10,20), 구동부(30) 및 고정 부재(50,60)를 포함할 수 있다.1, 2, and 3,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10, 20, a driving unit 30, and a fixing member 50, 60. there is.

프레임(10,20)은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프레임(10,20)은 수용 공간에 고정되는 훈련자의 신체 일부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s 10 and 20 may refer to members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The frames 10 and 20 may be form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art of the trainee's body that is fixed in the receiving space.

이때, 훈련자의 신체 일부는 훈련자의 상지(2)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20)은 훈련자의 상완(2a)이 고정되는 상완 프레임(10) 및 훈련자의 전완(2b)이 고정되는 전완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rt of the trainee's body may mean the trainer's upper extremities (2). In addition, the frames 10 and 2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arm frame 10 on which the trainer's upper arm 2a is fixed and a forearm frame 20 on which the trainer's forearm 2b is fixed.

프레임(10,20)의 일측에는 훈련자가 프레임(10,20)에 고정되는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인가되는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구동부(30)는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의 사이에서 훈련자의 상지(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을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힘(이하, ‘보조력’이라 한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frames 10 and 20, a driving unit 30 may be located that generates an assistive force appli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a body part fixed to the frames 10 and 20. For example, based on FIG. 1, the drive unit 3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rainer's upper limb 2 between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The driving unit 30 may generate a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xiliary force’) to rotate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C1.

보조력은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에 의해 훈련자의 상완(2a) 및 전완(2b)에 전달되어, 훈련자가 상완(2a) 및 전완(2b)을 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sis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rainer's upper arm (2a) and forearm (2b) by the upper arm frame (10) and forearm frame (20), helping the trainee exercise the upper arm (2a) and forearm (2b). can be perform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의 내측에는 훈련자의 신체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50,60)가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3, fixing members 50 and 60 capable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trainee's body may be located inside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이때, 고정 부재(50,60)는 제 1 고정부재(50) 및 제 2 고정 부재(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50) 및 제 2 고정 부재(60)는 각각 훈련자의 신체 상완(2a) 및 전완(2b)을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훈련자의 상지(2)는 프레임(10,20)에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되고 보조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s 50 and 60 may be composed of a first fixing member 50 and a second fixing member 60. The first fixing member 5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60 may fix the upper arm 2a and forearm 2b of the trainee's body to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trainee's upper limbs 2 can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ames 10 and 20 and receive assistive forc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Below, each componen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완 프레임(10)은 훈련자의 상지(2)의 상완(2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전완 프레임(20)은 훈련자의 상지(2)의 전완(2b)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upper arm frame 1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arm 2a of the upper limb 2 of the trainer, and the forearm frame 20 may be mounted on the forearm 2b of the upper limb 2 of the trainer. Can be installed.

이때,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수용공간이 외측과 연통되도록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may have a receiving space inside, and may have a hollow shape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pen so that the receiv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상완 프레임(10)은 제 1 고정 프레임(12), 제 1 회전 프레임(14), 제 1 회전축부재(13) 및 제 1 연결 프레임(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arm frame 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fixed frame 12, a first rotating frame 14, a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3, and a first connecting frame 16.

제 1 고정 프레임(12)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측이 개방된 반원의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 프레임(12)은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원호 형상 단면의 내측에는 훈련자의 상완(2a)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frame 12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micircular arc-shaped cross-section with an open upper side.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frame 12 may be form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One side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may be seated and fixed inside the arc-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fixing frame 12.

제 1 회전 프레임(14)의 단면은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반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되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회전 프레임(14)의 원호 형상 단면의 내측에는 훈련자의 상완(2a)의 타측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rotating frame 14 may have a shape that corresponds to the semicircular arc shap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The other side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may be seated and fixed inside the arc-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rotation frame 14.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좌측에는 제 1 고정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회전축부재(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부재(13)는 제 1 회전 프레임(14)과 제 1 고정 프레임(12)을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회전축부재(13)는 제 2 회전축(C2)을 형성한다.A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ed frame 12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3 may hinge-couple the first rotating frame 14 and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3 forms the second rotation shaft C2.

이에 의해, 제 1 고정 프레임(12)에 대하여 제 1 회전 프레임(14)은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 프레임(14)은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rotation frame 14 can rotate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C2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frame 12.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frame 14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C2 and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이하에서, 제 1 회전 프레임(14)이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상측을 완전히 커버한 상태를 ‘닫힌 상태’라 규정하고, 제 1 회전 프레임(14)이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상측을 커버하지 않아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내측으로 훈련자의 상완(2a)이 출입할 수 있는 상태를 ‘열린 상태’라 규정한다.Hereinafter,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frame 14 completely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is defined as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rotating frame 14 is defined as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state in which the trainer's upper arm 2a can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because the upper side is not covered is defined as an 'open state'.

이때, 제 1 회전 프레임(14)과 제 1 고정 프레임(12)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 회전 프레임(14)과 제 1 고정 프레임(12)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인접한 부분에는 버클 또는 단추 등의 결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so that the first rotating frame 14 and the first fixed frame 12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 buckle or A coup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button may be provided.

제 1 회전 프레임(14)이 제 1 고정 프레임(12)에 닫힌 상태에서, 제 1 회전 프레임(14)과 제 1 고정 프레임(12)의 결합체는 훈련자의 상완(2a)이 고정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tating frame 14 is closed to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rotating frame 14 and the first fixed frame 12 creates an accommodation space where the upper arm 2a of the trainer is fixed. can be formed.

즉,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내측에 훈련자의 상완(2a)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 1 회전 프레임(14)이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위치되면, 훈련자의 상완(2a)의 타측은 제 1 회전 프레임(14)의 내측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rotating frame 14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with the trainee's upper arm 2a se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trainer's upper arm (2a)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The other side of 2a) may be seated and fixed inside the first rotating frame 14.

한편, 수용 공간의 단면은 훈련자의 신체 일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훈련자의 신체 일부는 프레임(10,20)의 수용 공간에 적절한 피팅감을 가지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a part of the trainee's body. Thereby,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stably fixed with an appropriate fi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s 10 and 20.

제 1 고정 프레임(12)의 하측에는 제 1 고정 프레임(12)의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는 상완(2a)의 길이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 A plane may b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제 1 연결 프레임(16)은 구동부(30)와 제 1 고정 프레임(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 프레임(16)은 구동부(30)에서 발생한 동력을 사용자의 상완(2a)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may couple the driving unit 30 and the first fixed frame 12.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30 to the user's upper arm 2a.

제 1 연결 프레임(16)의 일측은 구동부(30)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 1 고정 프레임(12)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 프레임(16)은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좌측에서 구동부(30)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의 단부는 구동부(30)의 기어 박스(34)에 결합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3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12.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includes a plate parallel to the plane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ate bent and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plate toward the driving unit 30. It may be made of a connecting member.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gear box 34 of the driving unit 30.

이때, 제 1 연결 프레임(16)의 플레이트는 구동부(30) 측으로 제 1 고정 프레임(12)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연결 프레임(16)은 제 1 고정 프레임(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완 프레임(10)이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fixed frame 12 toward the driving unit 30.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stably supports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provides a space for the upper arm frame 10 to rotate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C1. .

한편, 전완 프레임(20)은 제 2 고정 프레임(22), 제 2 회전 프레임(24), 제 2 회전축부재(23) 및 제 2 연결 프레임(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 프레임(22), 제 2 회전 프레임(24), 제 2 회전축부재(23) 및 제 2 연결 프레임(26)은 각각 제 1 고정 프레임(12), 제 1 회전 프레임(14), 제 1 회전축부재(13) 및 제 1 연결 프레임(16)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forearm frame 20 may be composed of a second fixed frame 22, a second rotating frame 24, a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23, and a second connecting frame 26. At this time, the second fixed frame 22, the second rotating frame 24,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23, and the second connecting frame 26 are respectively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the first rotating frame 14. ,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3 and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의 사이에는 구동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액츄에이터(32) 및 기어 박스(34)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drive unit 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The driving unit 30 may be composed of an actuator 32 and a gear box 34.

액츄에이터(32)는 프레임(10,20)에 고정되는 훈련자의 신체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서 액츄에이터(32)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The actuator 32 may generate an assistive force that can assist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trainee fixed to the frames 10 and 20. As a non-limiting example, actuator 32 may be a rotation motor.

액츄에이터(32)의 회전축에는 기어가 결합되어 기어 박스(34)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 박스(34)는 액츄에이터(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 박스(34)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A gear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ctuator 32 and coupled to the gear box 34. Gear box 34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actuator 32. A plurality of gears may be disposed inside the gear box 34.

제 1 연결 프레임(16) 및 제 2 연결 프레임(26)의 구동부(30)측 단부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기어 박스(34)의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32)의 회전축 기어도 기어 박스(34)의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Gear teeth are formed on the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and the second connection frame 26 on the drive unit 30 side and can be coupled to the gear of the gear box 34. Additionally, the rotation shaft gear of the actuator 32 may also be coupled to the gear of the gear box 34.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32)의 회전력은 기어 박스(34) 내부의 복수의 기어에 의하여 적절한 회전수 및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32)는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을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훈련자의 상완(2a)과 전완(2b)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력을 훈련자의 상지(2)에 인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ctuator 32 can be converted to an appropriate rotation speed and direction by a plurality of gears inside the gear box 34. Therefore, the actuator 32 rotates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C1, thereby providing an assistive force that can assist the exercise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and forearm 2b. can be applied to the trainer's upper extremities (2).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50,60)는 제 1 고정부재(50) 및 제 2 고정 부재(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50) 및 제 2 고정 부재(60)는 훈련자의 신체 일부를 프레임(10,20)에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xing members 50 and 60 may be composed of a first fixing member 50 and a second fixing member 60. The first fixing member 5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6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fixing and supporting parts of the trainee's body to the frames 10 and 20.

제 1 고정부재(50)는 제 1 고정 프레임(12) 및 제 2 고정 프레임(22)의 내측에 설치되되, 제 1 고정 프레임(12) 및 제 2 고정 프레임(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5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fixing frame 12 and the second fixing frame 22,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 and the second fixing frame 22. It can be.

제 1 고정부재(50)는 훈련자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벨트 타입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 1 고정부재(50)는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밸크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스트랩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50 may be made of a belt-type member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arm or leg of a trainee. Of course, the first fixing member 50 may be formed as a strap made of a material such as Velcro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훈련자는 회전 프레임(14,24)이 열린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12,22)에 신체 일부를 안착시킨 후, 제 1 고정부재(50)를 조작하여 고정 프레임(12,22)과 상완(2a) 및 전완(2b)의 상대적인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후, 훈련자는 제 1 고정부재(50)를 상완(2a) 및 전완(2b)에 체결시킬 수 있다. The trainee places a part of the body on the fixing frame (12, 22) with the rotating frame (14, 24) open, and then manipulates the first fixing member (50) to fix the fixing frame (12, 22) and the upper arm (2a). and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orearm 2b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fterwards, the trainer can fasten the first fixing member 50 to the upper arm 2a and forearm 2b.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상지(2)와 고정 프레임이 적절하게 조정된 상대적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지(2)를 고정 프레임(12,22)에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attaches the upper limb 2 to the fixing frames 12 and 22 so that the upper limb 2 and the fixing frame do not deviate from their appropriately adjusted relative positions. It can be fixed with .

이때, 제 1 고정부재(50)를 조작한다는 것은 제 1 고정부재(50)의 길이나 위치를 조정하여 상지(2)를 고정 프레임(12,22)에 고정 및 지지시키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manipulating the first fixing member 50 means a series of actions to fix and support the upper limb 2 to the fixing frames 12 and 22 by adjusting the length or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50. You can.

물론, 제 1 고정부재(5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 1 고정 프레임(12) 및 제 2 고정 프레임(22) 각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고정부재(50)는 훈련자의 신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Of course, the first fixing member 50 may be formed in plural piec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frame 12 and the second fixing frame 22. As a result, the first fixing member 50 can more stably fix and support the trainee's body.

제 2 고정 부재(60)는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내주면 및 제 1 회전 프레임(14)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완 유체 포켓(62) 및 제 2 고정 프레임(22)의 내주면 및 제 2 회전 프레임(24)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완 유체 포켓(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완 유체 포켓(62) 및 전완 유체 포켓(64)은 각각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member 60 may have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re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frame 14,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xed frame 22, and It may include a forearm fluid pocket 64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frame 24.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the forearm fluid pocket 64 may be formed to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respectively.

이때,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에 구비된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라싸도록 고정 프레임(12,22)과 회전 프레임(14,2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r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s 12 and 22 and the rotating frames 14 and 24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It can be placed inside. Meanwhile,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각각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에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0,20)의 형태 및 프레임(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훈련자의 신체의 특성에 따라 유체 포켓(62,64)의 개수 및 형태가 조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four numbers in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respectively. Of cours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rames 10 and 2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s body accommodated within the frames 10 and 20.

복수의 유체 포켓(62,64) 각각에는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관(미도시) 및 복수의 유체 포켓(62,64)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includes a fluid injection pipe (not shown) for injecting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nd a fluid inside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to the outside. A fluid discharge pipe (not shown) may be connected.

유체 주입관 및 유체 배출관은 복수의 유체 포켓(62,64)과 유체 펌프(66,68)(도 6에 도시됨)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 프레임(16)의 하면에는 상완 유체 포켓(62)에 유체 주입관 및 유체 배출관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 1 유체 펌프(6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 프레임(26)의 하면에는 전완 유체 포켓(64)에 유체 주입관 및 유체 배출관을 통하여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제 2 유체 펌프(68)가 설치될 수 있다.The fluid injection pipe and fluid discharge pipe may connect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nd fluid pumps 66 and 68 (shown in FIG. 6). More specifically, a first fluid pump 66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16 to inject or discharge fluid into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rough a fluid injection pipe and a fluid discharge pipe. Additionally, a second fluid pump 68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frame 26 to inject or discharge fluid into the forearm fluid pocket 64 through a fluid injection pipe and a fluid discharge pipe.

물론, 복수의 유체 포켓(62,64) 각각에는 유체 주입관과 유체 배출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일한 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 및 물 등의 액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Of course, a single pipe tha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fluid injection pipe and a fluid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t this time, the flui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as such as air and a liquid such as water.

한편, 복수의 유체 포켓(62,64)에 주입되는 유체는 공기가 아닌 다른 유체일 수 있다. 이때, 유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유체 저장 장치(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uid injected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may be a fluid other than air. At this time, a fluid storage device (not shown) that stores and supplies fluid may be separately provided.

또한, 유체 펌프(66,68), 유체 공급관 및 유체 배출관은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완 프레임(10) 및 전완 프레임(2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pumps 66 and 68,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are disposed inside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and are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You can.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유체 유입관을 통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며 고정 프레임(12,22)과 회전 프레임(14,24)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64) expand as fluid flows into them through the fluid inlet pipe and form curved surfaces that protrude convexly toward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s (12, 22) and the rotating frames (14, 24). You can.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의 곡면은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이 팽창함에 따라 훈련자의 신체 일측과 접하며 훈련자의 신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므로, 훈련자의 신체는 복수의 유체 포켓(62,64)과 접하는 전 방향으로 동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may contact one side of the trainee's body as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expand and may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trainee's body.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receiving space, so that the trainee's body can receive the same pressure in all direction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각각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다른 정도로 개별적으로 팽창함으로써, 훈련자의 신체를 2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dividually expanded to different degrees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ainee, thereby secondaryly fixing the trainee's body. and can be suppor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유체의 유동성과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하여 고정력 및 지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훈련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tly presses the user's body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to generate fixation and support force, allowing the trainee to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이때,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의 개별적인 팽창 및 내부 압력의 조절은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individual expansion and adjustment of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described later.

물론, 복수의 유체 포켓(62,64)은 프레임(1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유체 포켓(62,64) 각각은 프레임(1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동하는 훈련자의 신체 굴곡 등 조건에 맞추어 서로 다른 정도로 팽창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훈련자의 신체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고, 훈련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10 and 20.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 and 64 expands to different degree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curvature of the trainee's body that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10 and 20, thereby more stably fixing and supporting the trainee's body. It can be done, and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to the trainer.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고정 프레임(12) 및 제 2 회전 프레임(24)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완 유체 포켓(62)은 제 1 유체 수용부(621), 제 2 유체 수용부(622) 및 분리막(6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disposed inside the first fixed frame 12 and the second rotating frame 24 includes a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1 and a second fluid receiving portion 622. and a separator 623.

제 1 유체 수용부(621)와 제 2 유체 수용부(622)는 유체가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유체 포켓(6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및 이를 둘러싸는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유체 수용부(621)와 제 2 유체 수용부(622)는 유체 포켓(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1 and the second fluid receiving portion 622 may be composed of a space formed inside the fluid pocket 62 and a membrane surrounding the fluid pocket 62 to allow fluid to flow in and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1 and the second fluid receiving portion 622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pocket 62.

제 1 유체 수용부(621)는 제 1 고정 프레임(12) 또는 제 1 회전 프레임(14)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유체 수용부(622)는 제 1 유체 수용부(621)보다 훈련자의 신체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luid receiving part 62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fixed frame 12 or the first rotating frame 14, and the second fluid receiving part 622 is located further than the first fluid receiving part 621. It can be located closer to the trainee's body.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유체 수용부(621)는 제 1 고정 프레임(12)의 내주면 또는 제 1 회전 프레임(14)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며 제 1 고정 프레임(12)의 길이 방향 또는 제 1 회전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2 유체 수용부(622)는 제 1 유체 수용부(621)의 반대측 면을 커버하되 양측부가 제 1 고정 프레임(12) 또는 제 1 회전 프레임(14)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1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o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frame 14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first rotation of the first fixed frame 12.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4.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622 cover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621, and both sides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ed frame 12 or the first rotating frame 14.

이때, 제 1 유체 수용부(621)의 내부 공간과 제 2 유체 수용부(622)의 내부 공간은 제 1 유체 수용부(621)와 제 2 유체 수용부(622)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623)에 의하여 격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621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622 are separated by a separation membrane 623 located between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621 and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622. ) can be isolated.

또한, 제 1 유체 수용부(621)와 제 2 유체 수용부(622) 각각 별개의 유체 주입관 및 유체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체 수용부(621)와 제 2 유체 수용부(622)는 개별적으로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Additionally, separate fluid injection pipes and fluid discharge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1 and the second fluid receiving portion 62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621 and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622 may individually expand or contract.

이에 따라, 제 1 유체 수용부(621) 및 제 2 유체 수용부(622) 중 어느 하나는 대략적으로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팽창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2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하나는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보다 정밀하게 팽창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3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of the first fluid receiving part 621 and the second fluid receiving part 622 can expand to approximately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secondarily fix and support the trainee's body. Afterwards, the other one expands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trainee's body in a third way.

물론, 상완 유체 포켓(62)의 팽창 및 내부 압력의 조절은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프레임(22) 및 제 2 회전 프레임(24)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완 유체 포켓(64)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복수의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adjustment of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orearm fluid pocket 64 disposed inside the second fixed frame 22 and the second rotating frame 24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upper arm fluid pockets 62 described above. It can b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압력 측정 센서, 제어부 및 유체 펌프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서 압력 측정 센서는 도시되지 않았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tor, pressure measurement sensor, control unit, and fluid pump in block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s not shown in FIGS. 7 to 9 .

도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제어부(40) 및 압력 측정 센서(67,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기어 박스(34)의 일측에 배치되어 액츄에이터(32), 유체 포켓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체 펌프(66,68) 및 유체 포켓(62,64)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센서(67,6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6,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 and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67 and 69.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ear box 34 and includes an actuator 32, a fluid pump 66, 68 that provides power to inject or discharge fluid into the interior of the fluid pocket, and a fluid pocket 62. 64)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67 and 69 that measure internal pressure.

이때, 압력 측정 센서(67,69)는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측정 센서(67) 및 전완 유체 포켓(64)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완 유체 포켓(6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압력 측정 센서(69)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67 and 69 are the firs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67 and the forearm fluid pocket 64 disposed inside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t may include a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69 disposed inside the forearm fluid pocket 64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2) 및 압력 측정 센서(67,69)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후, 일련의 판단 또는 연산을 수행한 뒤, 유체 포켓(62,64)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 펌프(66,6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receives signals from the actuator 32 and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s 67 and 69, performs a series of judgments or calculations, and then controls the fluid pockets 62 and 64.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s 66 and 68.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구동부(30)는 훈련자의 상지(2)가 내측으로 굽어지는 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 1 방향으로 힘(F1)을 가하여 상완 프레임(1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제 2 방향으로 힘(F2)을 가하여 전완 프레임(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상완(2a) 및 전완(2b)은 상완 프레임(10)과 전완 프레임(20)에 의하여 각각 F1 및 F2에 해당하는 보조력을 인가받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driving unit 3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trainee's upper limb 2 in the first direction in order to assist the inward bending exercise. The upper arm frame 10 can be rotated by applying force F1, and the forearm frame 20 can be rotated by applying force F2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the user's upper arm 2a and forearm 2b receive assisting forces corresponding to F1 and F2, respectively, by the upper arm frame 10 and the forearm frame 20.

이때, 제어부(40)의 수신부(42)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F1 및 F2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서, F1 및 F2에 대한 정보는 액츄에이터(32)의 회전축의 회전 방향 및 회전 부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방향 및 회전 부하에 대한 정보는 F1의 방향 및 크기와 F2의 방향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내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42 of 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F1 and F2 from the actuator 32.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F1 and F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actuator 32 and the rotation load.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loa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and size of F1 and the direction and size of F2.

제어부(40)의 판단부(44)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수신한 F1 및 F2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유체 포켓(62,64)의 압력 또는 유체 포켓(62,64)의 팽창 정도를 판단 및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송신부(46)는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유체 펌프(66,68)로 송신하여 유체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 펌프(66,68)는 송신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유체 포켓(62,64)의 압력을 판단부(4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44 of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and determine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or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F1 and F2 received from the actuator 32. You can. The transmission unit 46 of the control unit 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uid pump by conver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fluid pumps 66 and 68. The fluid pumps 66 and 68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s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44.

이하에서, 제어부(40)의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제어 방식에 대한 비제한적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F1의 방향(이하, ‘제 1 방향’이라 한다)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Below, a non-limiting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the control unit 40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irection’) and size of F1 from the actuator 32.

그 후,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c,62b)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높이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fluid pockets 62c and 62b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A judgment or decision may be made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낮추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first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Alternatively, it may be judged or decided to reduce the degree of expansion.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제 1 방향측으로 갈수록(즉, 도 6을 기준으로, 62c 및 62b에서 62f 및 62g으로 갈수록)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가 줄어들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s it mov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that is, from 62c and 62b to 62f and 62g, based on FIG. 6)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Alternatively, the degree of expansion may be judged or determined to be reduced.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해석한 후, 그에 따라 작동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에 유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상완 유체 포켓(62)을 팽창시킬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the first fluid pump 66 can interpret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terpre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and then operate accordingly to inject or discharge fluid into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at is,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r exp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또한, 판단부(44)는 F1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각각의 내부 압력의 기준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44)는 기준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범위를 이상 압력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42)는 상완 유체 포켓(62)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압력 측정 센서(67)로부터 상완 유체 포켓(62) 내부의 압력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44 may determine a reference pressur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each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F1.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44 may set the range of pressure exceeding the standard pressure as the ideal pressure range. At this time, the receiver 42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value inside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from the firs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67 installed inside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판단부(44)는 수신부(42)가 수신한 상완 유체 포켓(62) 내부의 압력값이 이상 압력 범위에 진입한 경우, 제 1 유체 펌프(66)의 작동을 중단하거나 이상 압력 범위에 진입한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키는 유체 주입관을 차단하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value inside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received by the receiver 42 enters the abnormal pressure range, the determination unit 44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uid pump 66 or determines whether the pressure value inside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enters the abnormal pressure range. It may be determined or determined to block the fluid injection pipe that injects flui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46)로부터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 1 유체 펌프(66)는 작동을 멈추거나 목적한 유체 주입관을 차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46 may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which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transmitter 46, may stop operating or block the target fluid injection pi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훈련자의 상완(2a) 중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부분에 인접한 상완 유체 포켓(62b,62c)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증대시키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b and 62c adjacent to the portion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to which the assisting force F1 is applied. The internal pressure or degree of expansion may be increased, and the internal pressure or degree of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may be reduced.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보조력 F1을 훈련자의 상완(2a)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유체의 유동성과 상완 유체 포켓(62)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하고, 이를 통하여 보조력을 전달함으로써,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ansmit the assistive force F1 to the upper arm 2a of the train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tly press the user's body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transmit assistive force through this. ,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any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assistive fo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제 1 유체 펌프(66), 제 1 압력 센서(67) 및 유체 주입관은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보다 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완 유체 포켓(62) 및 제 1 유체 펌프(66)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제 1 유체 펌프(66), 제 1 압력 센서(67) 및 유체 주입관은 과도하게 높은 압력이 훈련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훈련자가 과도한 압력에 의하여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pressure sensor 67, and the fluid injection pip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from becoming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 damage to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the first fluid pump 66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pressure sensor 67, and the fluid injection pip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excessively high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inee's body, allowing the trainee to It can prevent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excessive press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앞서 제 1 유체 펌프(66) 및 상완 유체 포켓(62)에 관하여 살핀 바와 동일하게 F2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토대로 제 2 유체 펌프(68)의 작동과 전완 유체 포켓(64)의 압력 및 팽창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F2 in the same way as previously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luid pump 66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en,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uid pump 68 and the pressure and expansion degree of the forearm fluid pocket 64 can be controlled.

이하에서,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이 제어되는 다른 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이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액츄에이터에 의한 보조력의 방향과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의 관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ther examples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ro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At this time, the process by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force by the actuator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et us explain the relationship in more detail.

도 5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F1의 방향(이하, ‘제 1 방향’이라 한다)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7,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rection and size of F1 from the actuator 32. You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그 후,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c,62b)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c,62b)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높이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c,62b)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낮추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fluid pockets 62c and 62b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44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c and 62b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which are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You can judge or decide. Of cours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or determines to lower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c and 62b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You can decide.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b,62c)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b,62c)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높이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낮추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inside of the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first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The degree of pressure or expansion may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b and 62c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opposite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first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 It may be determined or determined to increase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b and 62c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f 2a). Of cours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or determines to lower the degree of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first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You can decide.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a,62d,62e,62h)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a,62d,62e,62h)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낮추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62a,62d,62e,62h)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높이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a fluid pocket 62a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The degree of pressure or expansion (62d, 62e, 62h)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a, 62d, 62e, and 62h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Alternatively, it may be judged or decided to reduce the degree of expansion. Of cours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fluid pockets 62a, 62d, 62e, and 62h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judged or decided to increase the level of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해석한 후, 그에 따라 작동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에 유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상완 유체 포켓(62)을 팽창시킬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the first fluid pump 66 can interpret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terpre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and then operate accordingly to inject or discharge fluid into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at is,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r exp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훈련자의 상완(2a) 중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부분에 인접한 상완 유체 포켓(62b,62c) 및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상완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증대시키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a,62d,62e,62h)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rm fluid pockets 62b and 62c adjacent to the portion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to which assisting force F1 is applied, and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r degree of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62g) in the area opposite to the area to which the auxiliary force F1 is applied,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a, 62d, 62e, 62h) located between them. Alternatively, the degree of swelling may be reduced.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 포켓(62b,62c,62f,62g)의 압력 및 강성을 높여 고정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 포켓(62a,62d,62e,62g)의 압력 및 강성을 낮추어 상완(2a)에 가해지는 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the pressure and rigidity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b, 62c, 62f, and 62g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force F1 is applied. The fixing force and support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pressure and rigidity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62a, 62d, 62e, 62g)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force F1 is applied is lowered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arm (2a). can allevi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보조력 F1을 훈련자의 상완(2a)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유체의 유동성과 상완 유체 포켓(62)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하고, 이를 통하여 보조력을 전달함으로써,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ansmit assistive force F1 to the trainer's upper arm 2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tly press the user's body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nd transmit assistive force through this. ,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any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assistive for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앞서 제 1 유체 펌프(66) 및 상완 유체 포켓(62)에 관하여 살핀 바와 동일하게 F2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토대로 제 2 유체 펌프(68)의 작동과 전완 유체 포켓(64)의 압력 및 팽창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F2 in the same way as previously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luid pump 66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en,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uid pump 68 and the pressure and expansion degree of the forearm fluid pocket 64 can be controlled.

한편,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F1의 방향(이하, ‘제 1 방향’이라 한다)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중력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중력 방향 센서(미도시)로부터 중력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ures 5 and 8,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rection F1 from the actuator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and siz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gravity from a separate gravity direction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direction of gravity.

이때, 중력 방향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이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물체가 회전 운동할 때 생기는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물체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yro sensor may be used as the gravity direction sensor. A gyro sensor may refer to a sensor that can measure how tilted an object is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by converting the Coriolis Force generated when an object rotates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어부(40)의 판단부(44)는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44 of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or determine to low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less than 90 degrees.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해석한 후, 그에 따라 작동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에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상완 유체 포켓(62)을 수축시킬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the first fluid pump 66 can interpret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terpre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and then operate accordingly to discharge fluid from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at is, the first fluid pump 66 may reduce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r contract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40)의 판단부(44)는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큰 경우에는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판단 또는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9, the determination unit 44 of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greater than 90 degrees. You can decide.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해석한 후, 그에 따라 작동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에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다. 즉,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상완 유체 포켓(62)을 팽창시킬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the first fluid pump 66 can interpret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terpre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and then operate accordingly to inject fluid into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at is, the first fluid pump 66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r exp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앞서 제 1 유체 펌프(66) 및 상완 유체 포켓(62)에 관하여 살핀 바와 동일하게 F2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토대로 제 2 유체 펌프(68)의 작동과 전완 유체 포켓(64)의 압력 및 팽창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F2 in the same way as previously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luid pump 66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Then,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uid pump 68 and the pressure and expansion degree of the forearm fluid pocket 64 can be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는 보조력의 방향과 중력의 방향에 대응하여 유체 포켓(62,64)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보조력을 훈련자의 상지(2)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the assisting force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thereby applying the assisting force to the trainer's upper extremity (2). can be delivere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40) 및 유체 포켓(62,64)은 유체의 유동성과 유체 포켓(62,64)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하고, 이를 통하여 보조력을 전달함으로써,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and the fluid pockets 62 and 64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tly press the user's body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fluid pockets 62 and 64, thereby providing assistive force. By delivering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assistive force.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유체 포켓들의 내부 압력 조절에 의하여 훈련자의 상지의 운동이 일 방향으로 유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a)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s is adjusted. This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trainee's upper limbs is guided in one direction.

도 5 및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판단부(44)는 훈련자의 상완(2a)을 제 3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완 유체 포켓(62) 중 훈련자의 상완(2a)의 제 3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f,62g)의 압력을 높이는 판단 또는 결정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10 (a), the determination unit 44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trainer's upper arm (2a) in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n order to induce the trainee's upper arm (2a) to move in the third direction. A judgment or decision may be made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또한,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훈련자의 상완(2a)의 제 3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c,62b)의 압력을 낮추는 판단 또는 결정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may determine or determine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c and 62b located closest to the third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there is.

또한, 판단부(44)는 제 3 방향측으로 갈수록(즉, 도 10을 기준으로, 62f 및 62g에서 62c 및 62b으로 갈수록)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이 줄어들도록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rmination unit 44 may determine that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decreases as it moves toward the third direction (that is, from 62f and 62g to 62c and 62b, based on FIG. 10 ).

이때, 전술한 판단부(44)의 판단 또는 결정은 재활 훈련에 관한 데이터를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활 훈련에 관한 데이터는 제어부(40)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기록된 데이터, 외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 받은 데이터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 등에 의하여 수신 받은 데이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judgment or decision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may be made based on data regard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regarding rehabilitation training may be data record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in the control unit 40, data receiv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database, or data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interface.

송신부(46)는 판단부(44)의 판단 또는 결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judgment or decis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operat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based on the transmitted signal.

이에 의해, 훈련자의 상완(2a)은 제 3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f,62g)으로부터 높은 압력에 의한 힘을 받고, 제 3 방향측 부분에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c,62b)로부터 비교적 낮은 압력에 의한 힘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훈련자의 상완(2a)은 제 3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F3)(즉,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에 의해 훈련자의 상완(2a)에 가해지는 힘들의 합력)을 받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trainer's upper arm 2a receives a force due to high pressure from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c located on th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62b), it is possible to receive force from relatively low pressure. As a result, the trainer's upper arm 2a may receive a force F3 applied in the third direction (i.e., the resultant force of forces applied to the trainer's upper arm 2a by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

제 3 방향으로 상완(2a)에 가해지는 힘(F3)을 인지한 훈련자는 제 3 방향으로 상완(2a)을 운동시킴으로써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A trainee who recognizes the force F3 applied to the upper arm 2a in the third direction can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by exercising the upper arm 2a in the third direction.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 및 제 1 유체 펌프(66)는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훈련자의 상완(2a)의 운동을 유도하거나 가이드 할 수 있다. As previously observed, the control unit 40 and the first fluid pump 6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 or guide the exercise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by controll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 및 제 1 유체 펌프(66)는 유체의 유동성과 유체 포켓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함으로써 훈련자의 상완(2a) 운동을 유도하거나 가이드 하므로, 재활 훈련 중 훈련자에게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and the first fluid pump 6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 exercise of the trainee's upper arm 2a by gently pressing the user's body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fluid pocket. Because it provides training or guidance, it may not cause discomfort or pain to the traine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1)의 제어부(40)는 앞서 제어부(40), 제 1 유체 펌프(66) 및 상완 유체 포켓(62)에 관하여 살핀 바와 동일하게 제 2 유체 펌프(68)의 작동과 전완 유체 포켓(64)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훈련자의 전완(2b)의 운동을 제 4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가이드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econd control unit 40, the first fluid pump 66,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s previously discuss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uid pump 68 and the pressure of the forearm fluid pocket 64, the movement of the trainee's forearm 2b can be induced or guided in the fourth direc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Below,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이 훈련자의 상완(2a)에 제 1 압력을 인가하도록 결정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력은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훈련자의 상완(2a)을 고정 및 지지하기에 적합 상완 유체 포켓(62)의 내부 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6, the determination unit 44 of the modified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or determine that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pplies the first pressure to the upper arm 2a of the trainer.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may refer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sui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trainer's upper arm 2a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32)로부터 F1의 방향(제 1 방향)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first direction) and size of F1 from the actuator 32.

그 후,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c,62b)의 내부 압력이 제 1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c and 62b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is higher than the first pressure.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이 제 1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insid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closest to the first direction side por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The pressure may be determined to be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또한, 판단부(44)는 수신한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제 1 방향측으로 갈수록(즉, 도 6을 기준으로, 62c 및 62b에서 62f 및 62g으로 갈수록)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가 줄어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44)는 상완 유체 포켓(62) 중 상완(2a)의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d,62e,62h,62a)의 압력은 제 1 압력을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as it mov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that is, from 62c and 62b to 62f and 62g, based on FIG. 6)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Alternatively, a decision may be made to reduce the degree of expansion.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44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d, 62e, 62h, and 62a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arm 2a among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 is the first. 1 You can decide to maintain the pressure.

송신부(46)는 상술한 판단부(44)의 판단 결과를 제 1 유체 펌프(66)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유체 펌프(66)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체 펌프(66)는 송신부(46)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완 유체 포켓(62)의 압력 또는 팽창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46 may conve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unit 44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the first fluid pump 66 can interpret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fluid pump 66. The first fluid pump 66 may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46 to control the degree of pressure or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어부(40)는 훈련자의 상완(2a) 중 보조력 F1이 인가되는 부분에 인접한 상완 유체 포켓(62b,62c)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증대시키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완 유체 포켓(62f,62g)의 내부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internal pressure or expansion level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b and 62c adjacent to the portion of the trainer's upper arm 2a to which the assisting force F1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r degree of expansion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s 62f and 62g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보조력 F1을 훈련자의 상완(2a)에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제어부(40) 및 상완 유체 포켓(62)은 유체의 유동성과 상완 유체 포켓(62)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압박하며 보조력을 전달함으로써,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the modified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F1 to the upper arm 2a of the train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and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of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tly press the user's body and transmit assistive force using the fluidity of the fluid and the elasticity of the upper arm fluid pocket 62,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any discomfort or pain caused by assistive force.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는 훈련자의 신체를 제 1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한 후 제 2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재활 훈련 중 재활 훈련 장치에 체결되는 훈련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As previously observe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fixes and supports the trainee's body using a first fixing member, and then secondarily fixes and supports it using a second fixing member. ,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and support the trainee's body that is fasten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 2 고정 부재는 훈련자의 신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유체 포켓의 탄성력과 유체 포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훈련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가압하여 고정력 및 지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재활 훈련 중 훈련자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member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lastic force of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surrounding the trainee's body and the fluidity of the fluid accommodated inside the fluid pockets to soften the trainee's body. By applying pressure to generate fixation and suppo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stable fit to the trainee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장치의 제어부는 보조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유체 포켓의 압력 또는 팽창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재활 훈련 중 훈련자의 신체에 보조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보조력에 의한 불편함이나 통증이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훈련자에게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훈련자의 신체의 운동을 유도하거나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ressure or expansion degree of the fluid pocke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assistive force,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assistive force to the trainee's body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without discomfort or pain, and can induce or guide the exercise of the trainee's body without causing discomfort or pain to the traine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deletion, addition, etc.,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재활 훈련 장치 2: 훈련자의 상지
10: 상완 프레임 12: 제 1 고정 프레임
13: 제 1 회전축부재 14: 제 1 회전 프레임
16: 제 1 연결 프레임 20: 전완 프레임
22: 제 2 고정 프레임 23: 제 2 회전축부재
24: 제 2 회전 프레임 26: 제 2 연결 프레임
30: 구동부 32: 액츄에이터
34: 기어 박스 40: 제어 유닛
42: 수신부 44: 판단부
46: 송신부 50: 제 1 고정부재
60: 제 2 고정부재 62: 상완 유체 포켓
64: 전완 유체 포켓 66: 제 1 유체 펌프
67: 제 1 압력 측정 센서 68: 제 2 유체 펌프
69: 제 2 압력 측정 센서 621: 제 1 유체 수용부
622: 제 2 유체 수용부 623: 분리막
1: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2: Trainer's upper extremity
10: Upper arm frame 12: First fixed frame
13: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4: first rotation frame
16: first connection frame 20: forearm frame
22: second fixed frame 23: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24: second rotation frame 26: second connection frame
30: driving unit 32: actuator
34: gear box 40: control unit
42: receiving unit 44: judging unit
46: Transmitting unit 50: First fixing member
60: second fixing member 62: upper arm fluid pocket
64: forearm fluid pocket 66: first fluid pump
67: first pressure measurement sensor 68: second fluid pump
69: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621: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622: second fluid receiving portion 623: separator

Claims (16)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보조력을 신체 일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In order to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of the actuator to a body part, a fluid pocke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and is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increase internal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regu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dy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압력이 낮아지게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decreas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일부를 제 2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increase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n order to induce the body part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2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으로 유체를 주입하는 복수의 유체 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 포켓의 압력이 이상 압력 범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유체 주입관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second fixing member is,
A plurality of fluid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to inject fluid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block the fluid injection pip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enters an ideal pressure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일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체 일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액츄에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력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달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frame is,
a fixed frame suppo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a rotat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frame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actuator and transmitting the assisting force to the fixed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신체 일부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including a curved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body par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보다 상기 신체 일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와 분리막에 의하여 격리되는 제 2 유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제 2 유체 수용부는 개별적으로 팽창하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 first fluid receiving portion located adjacent to the frame; and
A second fluid accommodating portion located closer to the body part than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ortion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ortion by a separation membran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herein the first fluid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fluid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to be individually expanded.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제 1 압력을 상기 신체 일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보조력을 신체 일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secure and support the body part by applying a first pressure to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In order to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of the actuator to a body part, a fluid pocke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actuator and is located closest to a portion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higher than the first pressur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 중 상기 신체 일부의 상기 제 1 방향측 부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유체 포켓의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ontrol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pocket located closest to the portion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압력이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측 부분에서 상기 제 1 방향 측 부분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trol un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so that the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decreases gradually from th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to the portion on th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훈련자의 신체 일부가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훈련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팽창하여 상기 신체 일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복수의 유체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고정 부재;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훈련자가 상기 신체 일부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보조력을 신체 일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장치.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where a part of the trainee's body can be fixed;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ame and fastened to the body part;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pockets that exp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rainee to fix and support the body part;
an actuat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apply an assisting force to the fram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rainee can exercise the body part; and
In order to transmit the auxiliary force of the actuator to a part of the bod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is received from the actuator, and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less than 90 degre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lower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유체 포켓의 내부 압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재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control uni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lurality of fluid pockets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is greater than 90 degrees.
KR1020210163183A 2021-11-24 2021-11-24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KR102591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183A KR102591603B1 (en) 2021-11-24 2021-11-24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183A KR102591603B1 (en) 2021-11-24 2021-11-24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51A KR20230076351A (en) 2023-05-31
KR102591603B1 true KR102591603B1 (en) 2023-10-19

Family

ID=8654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183A KR102591603B1 (en) 2021-11-24 2021-11-24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305A (en) * 2002-03-29 2003-10-14 Fuji Iryoki:Kk Massage instrument
JP2009213538A (en) * 2008-03-07 2009-09-24 Toyota Motor Corp Assisting bra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656410B1 (en) * 2015-03-04 2016-09-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apparatus including airbag to tie up upper limbs or arms
KR102043436B1 (en) * 2019-04-03 2019-12-06 주식회사 엠엔앤 Leg massag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305A (en) * 2002-03-29 2003-10-14 Fuji Iryoki:Kk Massage instrument
JP2009213538A (en) * 2008-03-07 2009-09-24 Toyota Motor Corp Assisting bra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656410B1 (en) * 2015-03-04 2016-09-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apparatus including airbag to tie up upper limbs or arms
KR102043436B1 (en) * 2019-04-03 2019-12-06 주식회사 엠엔앤 Leg mass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51A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394B2 (en) Motion assis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habilitation method
JP4112430B2 (en) Walking assist device
RU2414207C2 (en) Device facilitating walking
US8409117B2 (en) Wearable device to assist with the movement of limbs
Krut et al. Moonwalker, a lower limb exoskeleton able to sustain bodyweight using a passive force balancer
JP4093912B2 (en) Walking assist device
EP272345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injured limb
US6846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or resisting postures or movements related to the joints of humans or devices
KR102250260B1 (en) A connect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CN109623782B (en) Wearable power-assisted exoskeleton robot
JP2002301124A (en) Walking assisting device
US20110251533A1 (en) Wearable robotic system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upper limbs
US200902155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n Automatic Treadmill Therapy
TW201639533A (en) Interactive exoskeleton robotic knee system
CN111070187B (en) Active-passive combined transient center flexible rope driven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and control method
CN110652425B (en) Variable-rigidity lower limb exoskeleton power-assisted robot
WO2004103247A1 (en) Walking aid device
KR102645075B1 (en) A motion assis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04103246A1 (en) Walking aid device
KR102591603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CN105769511B (en) A kind of joint motions auxiliary device in independent auxiliary joint
CN113727680B (en) Wearable auxiliary device
Roberts A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WO2020113439A1 (en) Wearable power-assisted exoskeleton robot
Wang et al. A portable AFO solution for pneumatic actuator with cable tendon mechanism to assist ankle dorsiflex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