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95B1 -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 Google Patents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95B1
KR102590995B1 KR1020187037602A KR20187037602A KR102590995B1 KR 102590995 B1 KR102590995 B1 KR 102590995B1 KR 1020187037602 A KR1020187037602 A KR 1020187037602A KR 20187037602 A KR20187037602 A KR 20187037602A KR 102590995 B1 KR102590995 B1 KR 10259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otruding portion
side wall
corrective
corr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030A (ko
Inventor
퀸타나 아레잔드로 에이. 고에벨
Original Assignee
퀸타나 아레잔드로 에이. 고에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퀸타나 아레잔드로 에이. 고에벨 filed Critical 퀸타나 아레잔드로 에이. 고에벨
Publication of KR2019004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Lens Barrel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렌즈 쉴드와 결합된 조합된 교정 렌즈 및 이에 대한 방법이 제공된다. 렌즈 쉴드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돌출 부분과 후속하여 결합되는 제1 렌즈 부분으로 형성된다. 돌출 부분의 하나의 표면은 처방 렌즈에 대한 그라인딩을 위해 구성된다. 조합된 렌즈는 구성요소들이 미리 형성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돌출부에만 또는 돌출부와 제1 렌즈 부분 모두에 광 여과 매질 또는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고 2016년 6월 2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344787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 보안경 및 고글과 같은 안경류에 사용되는 교정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광학 재료로 형성된 제1 렌즈 부분 또는 쉴드를 가지며 교정 렌즈 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사전구성되는 상부에 영구 배열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성형된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시력 문제가 있는 사람은 수백년 동안 교정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력 문제는 시력 교정 렌즈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눈의 신체적 특성의 결과이다. 그 기간 동안 이러한 교정 렌즈는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다. 더 명확한 시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눈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를 눈의 수용 후면에 리포커싱하는 그라인딩 렌즈의 기본 특성이 근시 또는 근시 이외의 문제에 대한 교정을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유입되는 빛을 리포커싱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 앞에 렌즈를 배치하는 기본 전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일부 경우에는 교정 렌즈의 구조의 속성이 적절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심각한 원시를 앓고 있는 교정 렌즈 사용자는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매우 두꺼운 렌즈가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통상적으로 형성된 렌즈의 주연부 두께로 인해 이러한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엄격히 제한한다. 이러한 두꺼운 주연부는 두꺼운 측벽으로 인해 안경을 "병" 형상으로 만든다
또한, 근시 또는 원시 또는 다른 시력 예민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은 위험한 환경에서의 안전 고글의 착용뿐만 아니라 스키 또는 오토바이타기와 같은 액티비티용 스포츠 고글의 착용을 시도하는데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사용자는 눈을 가리고 있는 고글 또는 안전 고글의 캐비티 내에 안경을 착용하고 이러한 시도를 해야 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사용자는 고글 렌즈와 고글 렌즈와 그 얼굴 사이에 위치한 자체 렌즈를 통하여 자신의 주변을 관찰해야 한다. 이로 인해 흐림으로 인한 저하된 시력, 이격된 굴절 표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눈부심, 이격된 렌즈로 인한 그림자 이미지 및 고글 렌즈 또는 렌즈로부터 이격된 안경 렌즈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이 개선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814349호(Quintana(퀸타나))는 교정 렌즈 및 파노라마 또는 쉴드 렌즈의 단일 구조를 제공하는 개념에서 단일 구조물의 교시 구조의 개선을 이용할 수 있다. 퀸타나는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파노라마 렌즈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승하는 2개의 돌출 부분을 사용하는 신규한 개념을 교시할지라도, 전방 파노라마 렌즈와의 교차부에서 돌출 부분의 주연부를 따라 크랙이 발생할 위험성을 허용할 수 없다.
또한, 돌출 부분의 측벽을 통한 전방 파노라마 렌즈와의 교차점에서 및 이 근처에서 광의 굴절은 사용자를 산만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진 색화된 빛과 같은 굴절 품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종래 기술의 교시된 구성은 형성 중 단일 렌즈 구성요소의 주입 또는 다른 성형이며, 따라서 돌출 부분은 처방 렌즈로서 사전 구성될 수 없거나 또는 광 여과 및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렌즈는 제1 렌즈에 앞서서 이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승된 부분의 주연부 에지를 더 두꺼운 주변 파노라마 렌즈의 제1 표면에 결합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교정 렌즈로서 하나 이상의 상승된 부분에 대해 제공된다.
동시에, 안구용 렌즈를 형성하는 돌출된 상승된 부분의 주연부의 교차부는 시간 경과에 따른 균열 및 응력 파괴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돌출 부분의 정합 표면 사이의 극히 작은 간격으로 인해 2개의 구성 요소의 단일 구조를 생성하지 않을지라도, 그 내부의 습기 및 미세 먼지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간격을 통한 수차 관찰은 레이저 또는 음파 용접 동안 형성된 은폐 밀봉 또는 이들 사이의 접착제 층에 의해 방지된다.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을 형성된 제1 렌즈 부분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안경의 단일 렌즈뿐만 아니라 보호 안경 쉴드 및 스포츠 및 보호 고글 장치의 이중 렌즈 구성 및 수평 및 수직 양 방향으로 누진 렌즈(progressive lenses)의 형성을 허용하는 형상으로 이용가능하다.
관련된 종래 기술 및 이에 관련된 제한의 예시들은 예시적이고 배타적이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발명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의미하지 않는다. 관련 종래 기술의 다양한 제한은 이하의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전절단될 수 있는 상부에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 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영구 결합되는 제1 만곡되거나 또는 파노라마 렌즈를 갖는 고글 또는 안경 결합가능 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돌출 부분이 연장되는 제1 렌즈 또는 파노라마 렌즈가 연장되는 제1 렌즈 또는 파노라마 렌즈가 광학 재료의 더 얇은 단면에서 돌출 부분을 둘러싸는 고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돌출 부분이 제1 렌즈 부분에 돌출 부분을 결합하기 전에 사전-그라인딩될 수 있는 주변의 더 큰 만곡된 파노라마 렌즈의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 부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1 렌즈 부분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방향 둘 모두로 누진 렌즈에 대해 허용되는 사전절단될 수 있는 형태의 돌출 부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렌즈 발명 및 시스템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뿐만 아니라,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기존의 종래 기술에 대한 이점은 본 명세서 및 이후에 기술된 개선점에 의해 달성되고, 본 발명을 완전하게 개시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만 제한을 가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은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영구적인 주연부 또는 접착 연결로부터 상승되고, 주연부 에지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 부분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오목한 파노라마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렌즈 부분을 갖는 결합된 구조물 내로 형성된 렌즈에 관한 것이다. 더 작은 영역의 돌출 부분을 둘러싸는 제1 렌즈 부분의 단면 두께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측면으로부터 상승되는 돌출 부분의 주연부의 경계 내에서 영역의 단면 두께보다 더 얇다.
이 제1 렌즈 부분은 광학적 교정(optically correct) 렌즈 재료로 형성되고, 양면의 접합 기저 곡선부 내에서 전체 표면에 걸쳐 광학적 교정 렌즈를 생성한다. 돌출 부분이 제1 렌즈 부분과 주변부에서 결합되면, 제1 렌즈 부분의 더 얇은 주변 영역은 광학적으로 교정되고 단면이 상당히 얇아서 작거나 가벼운 안경 프레임 또는 고글 내에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지만 여전히 쉴드를 형성하기 위해 템플 부분에 대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모든 모드에서, 돌출 부분의 형상을 형성하고 렌즈 그라인딩에 적합한 제1 측면 표면으로부터 하강하는 측벽의 주연부 에지의 교차부는 평면 표면의 교차부가 아니고 수직이 아닌 것이 바람직한 교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측벽과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의 교차부에서 반경 또는 만곡된 표면이 형성된다. 만곡된 표면의 반경은 최종 조립된 렌즈의 시각 굴절 및 다른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0.1mm 내지 0.4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3m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중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렌즈 부분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돌출 부분의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장치의 모든 모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이러한 돌출 부분은 몰딩, 기계가공 또는 처방 렌즈 및 사용자 목적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으로 돌출 부분을 사전형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에 의해 사전형성된다. 이는 타원형, 정사각형, 곡선형, 구불구불한 형태 또는 원하는 돌출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임의의 주연부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장치의 모든 모드에서, 돌출 부분 또는 부분들의 정합 표면은 결합될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동일한 기저 곡선부를 갖는다. 이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결합되지 않고 일체형인 동안 그 사이의 미세 간격에 의해 분리되는 정합 표면의 위치를 제공한다. 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에 의한 연속적인 주연부 용접, 또는 간격 내의 접착제의 배치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돌출 부분의 정합 표면 사이의 간격 또는 매우 작은 공간을 밀폐 밀봉한다.
리세스는 배치를 돕기 위해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의 주연부 형상의 이러한 리세스는 파노라마 렌즈의 제1 표면에 형성되어 파노라마 렌즈의 영구 결합 이전에 돌출 부분의 위치를 파노라마 렌즈 상의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의 간격이 사전측정될 수 있고, 적절한 돌출 부분의 형상이 선택된 렌즈에 대해 그라인딩될 수 있다. 그 후, 돌출 부분의 제1 측면은 그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처방을 형성하기 위해 그라인딩될 것이다. 그 후,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 내로 사전형성될 수 있는 리세스는 그 사용자에 대한 돌출 부분의 적절한 배치를 등록 가이드를 제공할 것이다. 배치되면,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 및 돌출 부분의 측벽의 교차부에서 주연부 에지는 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광학적 교정 접착제가 정합 표면과 오목한 제1 표면 사이의 작은 간격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돌출부를 사전형성하고 이들을 사전형성되고 경화된 제1 렌즈 부분에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밀폐 밀봉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2개의 구성요소로 몰딩되거나 형성되는 단일 형성 고유 구조물보다 중요한 유용성을 생성한다. 몰드 내의 유닛으로서 형성된 단일 구조물은 여전히 매우 큰 파노라마 제1 렌즈 부분에 적합한 특수 기계에서 돌출 부분을 그라인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 눈 이격 거리 및 안면 구조에 맞게 맞춤구성된 제1 렌즈 부분 상의 돌출 부분의 형상 및 배치의 용이한 맞춤구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최적 형상의 돌출 부분을 선택하고,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을 사용자에게 올바른 처방으로 사전 그라인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은 사용자의 눈 앞에 돌출 부분의 형성된 렌즈의 최적의 분리 및 배치를 사전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에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교정 렌즈를 형성하는 예비형성된 돌출부 및 그라인딩된 돌출 부분은 사용자 측정에 의해 결정된 정합된 위치에서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에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구성요소로부터 장치의 조립을 신속하고 허용하며, 간단한 용접 또는 접착제가 제1 렌즈 부분의 대향 표면과 제1 표면 사이의 미세 간격을 밀폐 밀봉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형성된 장치 및 방법은 돌출 부분의 형상, 크기 및 배치가 맞춤구성될 수 없고 렌즈가 사전그라운딩되지 않고 그 뒤 부착되는 다른 사전형성된 단일 구조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형성된 렌즈 장치의 맞춤구성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가져온다.
실험은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의 교차부에서 돌출부의 측벽의 하측 단부가 접착되거나 이에 음파 용접될 때 형성되는 곡선부 또는 아크가 온도 변화로 인해 단일 렌즈가 겪거나 또는 하중 하에서 균열 및 파단을 견디는 제1 렌즈와 돌출 부분 사이의 주연부 측벽 교차부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광학적 굴절 및 광 플래시 등은 직선 교차부에 대한 이 구성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곡선부 또는 아크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돌출 부분의 주연부 에지 주위의 측벽의 교차부에 반경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반경은 용접 후의 음파 용접 부분 또는 파노라마 주변 제1 렌즈 부분의 표면에 대한 돌출 부분의 접착 후에 접합된 2개의 표면 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렌즈 부분에 이를 부착하기 전에 돌출 부분의 주연부 에지 내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것으로 도시되는 제1 렌즈 표면과 주연부 에지의 교차부의 다른 형상은 뒤집어진 곡선부, 측벽과 제1 렌즈 부분의 교차부에서의 경사 부분뿐만 아니라 반경 또는 만곡된 리세스이지만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 돌출 부분의 형상을 형성하는 측벽의 환형 교차부에 형성된 반경 또는 곡선부가 특히 선호된다. 일부 경우에는, 음향 용접에 의해 형성된 영역은 곡선부 또는 다른 반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균열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에 대한 돌출 부분 결합은 제1 단계에서 돌출 부분 또는 부분들을 형성하고 그 뒤에 접착제 또는 주연부 에지 용접에 의해 서로 인접하여 영구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의도된 사용자에 대해 처방된 렌즈는 이러한 결합 이전에 사전그라운딩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단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영구 결합을 위한 바람직한 모드는 제1 렌즈 부분과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리지 또는 돌출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서 음파 용접에 의한 것이다. 이는 온도 변형과 관련된 문제점을 방지하고 결합된 구성요소를 통한 시야에서의 왜곡이 최소화되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렌즈 부분과 돌출 부분의 2개의 표면의 우수한 결합을 야기한다.
또한, 처방에 대해 우선적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고 사전형성되는 돌출 부분을 부착시킴으로써 안경 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단일 렌즈로서 또는 복수의 돌출 부분을 갖는 만곡된 쉴드로 형성되든지 여과 매체 또는 재료가 대향의 파노라마 제1 렌즈 부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돌출 부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여과 매체는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돌출 부분을 형성하는 착색된 광학 재료 또는 다른 여과 매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여과 매체의 하나 또는 조합은 조립된 장치 내에서 다수의 광 여과 매체의 효과를 조합하기 위하여 선택된 돌출 부분과 맞춤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제1 렌즈 부분 내에 개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개별 조립된 구성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 결손 또는 직업 또는 환경에 맞게 고도로 맞춤구성된 광 여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부분의 형상, 즉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교차하는 측벽에 의해 형상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형상 또는 사용자에 대해 본원에서의 누진 렌즈의 절단을 허용하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형상은 템플로 및 노즈 아래로 연장되는 동시에 노즈의 브리지에 더 근접하게 연장되도록 돌출 부분의 일부에 대해 허용된다. 노즈 측면에서 하부 에지까지 연장된 곡선부를 갖는 이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은 누진 렌즈가 위에서 아래로 수평으로, 그리고 노즈로부터 템플까지 가로로 배열될 수 있는 사용자에게 고도로 맞춤구성된 누진 렌즈의 형성을 허용한다. 제1 렌즈 부분의 주위 섹션이 제1 렌즈 부분 및 돌출 부분의 단일 부분보다 상당히 더 얇기 때문에, 형성된 렌즈 또는 쉴드가 사용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구성요소에 부착된 그라인딩되지 않은 돌출 부분을 갖는 조립된 렌즈 장치의 렌즈 그라인딩을 위해, 제거가능 공구 결합 부재가 단일 렌즈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위치에 및 단일 렌즈의 축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파열 또는 제거가능 결합 시에 이 공구 결합 부재의 형성에 의해, 제거가능한 돌출 부재를 사용하여 렌즈 기계가공 장치에 단일 구조물을 결합함으로써 교정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 부분의 상승된 표면의 기계가공이 허용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만곡된 파노라마 제1 렌즈 부분에 부착된 돌출 부재와의 공구 결합은 문제가 되고, 제공된 부재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큰 만곡된 파노라마 제1 렌즈 부분은 종래의 방식으로 렌즈 그라인딩 장치에 대한 결합을 차단한다. 돌출 부분의 제1 표면이 교정 렌즈에 적절히 기계가공되면, 돌출 부재는 부서지기 쉬운 부분을 절단하거나 측면 에지를 절단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조립된 렌즈는 스포츠 고글 등뿐만 아니라 보호 안경의 형성에 특히 잘 적용된다. 보호 안경에서 제1 렌즈 부분에 대한 각각의 주연부에서 돌출 부분 또는 부분들의 주목되는 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또는 접착 및 형성된 교차부에 따라 교차부가 주지된 바와 같이 본래 선형인 것과 관련하여 충격 또는 압력 하에서 단일 렌즈 크랙발생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복수의 상승된 부분은 상승된 부분을 둘러싸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렌즈 부분이 크고 파노라마식이며 얇은 에지를 갖기 때문에, 조립된 구조물은 포깅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고글을 제공한다.
모든 모드에서, 결합 돌출 부분을 둘러싸는 제1 렌즈 부분과 돌출 부분 또는 부분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아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와 같은 중합체, 트라이벡스 및 모노머 플라스틱 또는 "하이 인덱스"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사출 몰딩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은 형성된 구조물의 굴절 품질에 대한 최소 또는 상당하지 않은 충격을 사용자의 눈에 가하여 주변 제1 렌즈 부분과 돌출 부분 또는 부분들의 주연부의 형성된 리지 또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경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그 적용에 있어서 구성의 세부 사항 및 다음의 설명 또는 도면에 도시된다. 본원에 기술된 단일의 렌즈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개시 내용을 읽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당업자는 본 개시가 기초로 한 개념이 본 개시된 시스템 및 안경 장치를 설계하고 수행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동일한 구성 및 방법론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사용자의 눈 및 안면에 따라 적절한 정합을 위해 마킹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 형성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영구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주연부 측벽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상승된 부분을 가지며, 조립된 장치의 제1 렌즈 구성요소의 제1 표면의 도면.
도 2는 제1 렌즈 구성요소의 제1 표면과 접한 돌출 부분의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제공된 제2 표면의 그림자가 없는 외관 및 제2 표면을 도시하는 도 1로부터의 제1 렌즈 구성요소의 마주보는 측면의 도면.
도 3은 제1 렌즈 구성요소의 제1 표면과 교차부로 연장되는 주연부 측벽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 또는 접착제 등과 영구 결합된 돌출 부분을 갖는 파노라마 제1 렌즈 부분의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 렌즈 부분의 정면도.
도 5는 제1 렌즈 부분을 둘러싸고 돌출 부분의 형성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음파 용접 또는 접착을 위해 제1 렌즈 부분의 만곡된 표면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돌출 부분의 측면도.
도 6은 제1 렌즈 부분에 대한 접착 또는 음파 용접 또는 다른 영구 부착 이전에 제 위치에 돌출 부분의 정합을 돕기 위해 돌출 부분의 주연부 형상과 일치되는 제1 렌즈 부분의 만곡된 표면 내로 리세스가 형성되는 도 5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으로부터 미세 간격으로 분리된 용접되거나 부착된 돌출 부분을 통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와 같이 내부에 리세스를 갖는 주변 제1 렌즈 부분에 대한 응파 용접 또는 부착된 돌출 부분을 통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제1 렌즈 부분의 주연부 에지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안경 프레임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렌즈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돌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정합 표면의 주연부 주위에서 형성된 돌출되거나 또는 삼각형 돌출부를 도시하고 제1 렌즈 구성요소의 제1 표면의 곡선부와 동일한 만곡된 정합 표면을 갖는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돌출 부분의 주연부 에지를 형성하는 레지를 도시하는 도 11의 돌출 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제1 렌즈 구성요소의 제1 표면의 기저 곡선과 일치하는 돌출 부분의 정합 표면의 기저 곡선의 도면.
도 14는 밀폐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융합되고 제1 렌즈 부재를 형성하는 재료 내로 삼각형 커넥터를 구동하는 음파 용접기를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과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을 결합하는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1 렌즈 부분에 도 14의 돌출 부재의 밀봉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여과 매체가 돌출 부분 상에 또는 이 내에 포함되는 제1 렌즈 부분에 돌출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 음파 용접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1 렌즈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 내로 융합된 삼각형 레지에 의해 결합된 도 16의 돌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반경 또는 곡선부로 형성되는 주연부 에지 주위에서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제1 렌즈 부분과 돌출 부분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 및 도 21은 3M 컴퍼니에 의해 판매되는 바와 같은 광학적 교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에 인접한 돌출 부분의 정합 표면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위의 첨부된 도면들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보다 용이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 중 어느 것도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동일 구조가 동일 도면부호로 기재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또는 복수의 상승 또는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 근처에서 영구 연결을 위해 구성된 파노라마 주변 제1 렌즈 구성요소(14)의 제1 표면(12)이 도시된다.
돌출 부분(16)의 형상은 의도된 광학적 목적을 제공할 임의의 주연부 형상으로 변할 수 있고, 처방 렌즈용 그라인딩에 적합한 제1 측면(23) 사이에서 정합 표면(15)으로 연장되는 주연부 측벽(17)에 의해 형성된다.
장치(10)의 모든 모드에서, 돌출 부분(16)은 제1 렌즈 구성요소(14)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의 곡선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저 곡선부를 갖는 정합 표면(15)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가 2개의 표면들 간의 미세 캐비티를 형성할지라도 부착 또는 영구 접착되면 조립된 구조물 내에서 굴절 및 비구면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19)(도 6)는 부분(16)의 주연부 형상을 반영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물리적 및 시력 특성에 기초하여 제1 렌즈 구성요소(14)의 제1 표면(12) 상에 정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이저 또는 음파 용접 또는 그에 부착을 사용하여 부착하기 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부분(14)의 일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도면에는 제거가능한 공구 부재(21)가 도시되어 있다. 실험에서, 공구 부재(21)는 사용자에 대한 처방 또는 교정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 부분(16)의 개별 제1 측면(23)을 그라인딩하도록 사용되는 그라인딩 머신과 결합될 수 있다. 돌출 부분(16)이 제1 렌즈 부분(14)에 결합되기 전에 사전그라이딩되지 않을 때, 이 공구 부재(21)는 렌즈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제1 표면(12)과 제1 렌즈 부분(14)의 대향 측면 또는 제2 표면(21)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돌출 부분(16)를 갖는 렌즈 부분(14)은 제2 표면(21)에서 볼 때 그림자가 없는 외관(shadowless appearance)을 갖는 제1 렌즈 부분(14) 및 돌출 부분(16)이 형성된 구조물을 산출한다.
도 3은 제1 표면(12)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돌출 부분(16)을 갖는 파노라마(panoramic)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을 도시한다. 돌출 부분(16)의 측벽(17)과 제1 표면(12)의 교차부(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되거나 또는 반경을 갖는다. 돌출 부분(16)은 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접착제 또는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인접하게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을 보유하는 당업자에게 야기되는 바와 같은 다른 연결을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측벽(17)에 의해 형성되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16)의 곡선부 형상(curvilineal shape)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두 돌출 부분(16)의 주연부 에지를 둘러싸는 도 3의 파노라마 크기의 제1 렌즈 부분(14)의 제2 표면(2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렌즈 부분(14)의 만곡된 제1 표면(12)에 인접하게 정합되도록 제1 표면(12)을 미러링(mirroring)하는 기저 곡선부를 갖는 정합 표면(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사전형성되는 2개의 돌출 부분(1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돌출 부분(16) 둘 모두는 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접착제 또는 제1 렌즈 부분(14) 및 돌출 부분(16)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야기되는 바와 같은 다른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이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도 6에는 도 5와 유사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리세스(19)는 제1 렌즈 부분(14)의 만곡된 제1 표면(12)에 의존된다. 리세스(19)의 주연부는 돌출 부분(16)의 측벽(17)에 의해 형성된 주연부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리세스(19)의 수천 분의 1인치 정도의 깊이만이 접착 또는 음향 용접(26) 또는 제1 렌즈 부분(14)에 대한 다른 영구적인 부착 이전에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부분(16)을 정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7은 도 5에서와 같이 주변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인접하게 부착된 돌출 부분(16)을 통한 단면도의 예이다. 묘사하기엔 너무 작지만, 미세 캐비티 또는 간격(19)이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과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외부 공기 및 미립자로부터의 밀봉하기 위해 밀폐 밀봉부가 결합을 위하여 사용된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측벽(17)과 제1 표면(12)의 교차부(25)에서 곡선부 또는 반경(R2)이 도시된다. 유사한 곡선부 또는 반경(R1)이 측벽(17)의 전이부에서 돌출 부분(16)의 제1 측면(23)으로 형성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결합 이전에 돌출 부분(16)의 측벽(17)의 주연부 에지 내로 형성되거나 또는 레이저 또는 음파 용접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유사한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돌출 부분(16)의 주연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리세스(19)가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의존한다.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음향 용접(25)이 제1 렌즈 부분(14)과 함께 돌출 부분(16)의 형성된 구조물 및 영구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은 돌출 부분(16)의 주연부 에지에서 결합된 제1 렌즈 부분(14) 및 돌출 부분(16)의 형성된 구조물보다 상당히 얇은 제1 렌즈 부분(14)의 주연부 에지를 사용하여 종래의 안경 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주변 제1 렌즈 부분(14)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 부분(16)을 도시한다.
도 11에는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의 곡선부와 동일한 기저 곡선부를 갖는 만곡된 정합 표면(15)을 갖는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16)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정합 표면(15)의 주연부 주위에서 연장되고, 음파 용접에 의해 제1 렌즈 부분(14) 내로 결합될 때 미세 캐비티(29) 주위에서 밀폐 밀봉부를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리지(31)가 도시된다. 이 삼각형 형상의 리지(31)를 형성함으로써 음향 용접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제1 렌즈 부분(14)의 재료를 관통하여 용접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세 캐비티(29) 주위에 영구 융합 결합 및 밀폐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 12는 도 11의 돌출 부분(1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의 주연부 에지 주위에서 돌출된 삼각형 리지(3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의 기저 곡선부는 제1 렌즈 구성요소(14)의 제1 표면(12)의 기저 곡선부와 일치한다. 도 14에는 삼각형 리지(31)를 제1 렌즈 부재(14)를 형성하는 광학 재료와 융합 결합하고 형성된 미세 캐비티(29) 주위에서 밀폐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를 융합하는 음파 용접기(41)를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대해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16)을 결합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부분(14) 내로의 융합 결합 상태로 도 14에 도시된 돌출 리지(31)의 결과적으로 밀폐된 밀봉 결합이 도시된다.
도 16은 돌출 부분(16)을 제1 렌즈 부분(14)에 대해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음파 용접기(4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Photo Chromatic) 층 또는 필름, 착색된 광학장치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의 하나 또는 조합과 같은 광 여과 매체(16)가 형성된 돌출 부분(16) 내로 포함된다. 사전형성된 돌출 부분(16)은 그 뒤에 구성요소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제1 렌즈 부분(1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7은 음파 용접기(41)의 작용에 의해 제1 렌즈 부분(14)을 형성하는 재료 내로 융합되는 융합된 삼각형 리지(31)에 의해 제1 렌즈 부분(14)에 결합된 도 16의 돌출 부분(16)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분(16)만이 광 여과 매체(43)를 갖지만, 2개의 구성요소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결합되고 때문에, 제1 렌즈 부분(14)은 이 내에 포함된 그룹으로부터의 광 매체의 하나 또는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반경(R2) 또는 곡선부로 형성되는 돌출 부분(16)의 주연부 에지 주위에서 레이저 용접(45)에 의해 제1 렌즈 부분(14)과 돌출 부분(16)의 결합을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1은 3M 컴퍼니(company)에 의해 판매되는 바와 같이 광학적 교정 접착제(46)를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인접한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의 결합을 도시한다. 이는 습기 및 미세 입자로 인한 광학 품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2개의 표면들 사이에 형성된 미세 캐비티(29)를 밀폐 밀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렌즈의 형성 방법에서, 제1 렌즈 부분(14)은 안경 프레임과의 결합되도록 구성된 주연부와 함께 형성된다. 돌출 부분(16)은 원하는 반경(R1, R2)으로 형성되고, 요구된 처방 렌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측벽(17)에 의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돌출 부분(16)의 정합 표면(15)은 음파 용접, 레이저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제1 렌즈 부분(14)의 제1 표면(12)에 결합될 것이다. 임의의 단계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 매체(43)를 형성된 돌출 부분(16)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제1 렌즈 부분(14)에 결합하기 전에 상승된 부분(16)의 제1 측면(23)을 그라인딩하는 단계, 및 결합되는 돌출 부분(16)에 대해 등록 지점을 제공하는 제1 렌즈 부분의 제1 표면(12) 내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가능 직원 관리 및 매칭 시스템의 모든 기본적인 특성 및 특징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수정의 범위, 다양한 변경 및 대체가 상기 개시에서 의도되며, 어떤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일부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의 상응하는 사용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치환,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 및 대체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8)

  1. 교정 렌즈로서, 상기 교정 렌즈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파노라마 곡선(panoramic curve)으로 연장되며, 제2 곡선부를 갖는 제2 표면과 마주보는 제1 곡선부를 갖는 제1 표면을 갖는 제1 렌즈 부분;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측면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을 갖는 곡선진 제1 돌출 부분 -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면은 제1 돌출 부분을 제1 교정 렌즈로 구성하게 형성됨 -; 및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측면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제2 측벽을 갖는 곡선진 제2 돌출 부분 -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측면은 제2 돌출 부분을 제2 교정 렌즈로 구성하게 형성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부분은 사용자의 제1 눈에 정렬된 제1 돌출 부분 및 사용자의 제2 눈에 정렬된 제2 돌출 부분이 파노라마 곡선으로 형성되게 배치가능한 안경테 또는 고글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게 구성되며, 만곡된 제1 렌즈 부분은 사용자의 양쪽 눈 앞에 만곡된 쉴드로서 배치되는, 교정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제2 표면에서 볼 때 그림자가 없는 외관을 갖는 교정 렌즈를 포함하는, 교정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양측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측벽의 제2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1 돌출 부분;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양측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2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벽의 제2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 부분;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벽의 제2 측면과의 사이의 파노라마 누진 시력 교정(panoramic progressive vision correction), 및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상부와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마주하는 하부와의 사이의 수직 누진 시력 교정(vertical progressive vision correction),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갖는, 상기 제1 교정 렌즈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벽의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벽의 제2 측면과의 사이의 파노라마 누진 시력 교정, 및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측벽의 상부와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측벽의 마주하는 하부와의 사이의 수직 누진 시력 교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갖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측면; 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양측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측벽의 제2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1 돌출 부분;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양측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2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벽의 제2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 부분;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벽의 제2 측면과의 사이의 파노라마 누진 시력 교정, 및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상부와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벽의 마주하는 하부와의 사이의 수직 누진 시력 교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갖는, 상기 제1 교정 렌즈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벽의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벽의 제2 측면과의 사이의 파노라마 누진 시력 교정, 및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측벽의 상부와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2 측벽의 마주하는 하부와의 사이의 수직 누진 시력 교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갖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측면; 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제1 리세스를 가진 제1 돌출 부분 - 상기 제1 리세스는 제1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측벽의 하부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제2 리세스를 가진 제2 돌출 부분 - 상기 제2 리세스는 제2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벽의 하부까지 연장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제2 리세스에서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중앙 영역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위치하는, 교정 렌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제1 리세스를 가진 제1 돌출 부분 - 상기 제1 리세스는 제1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측벽의 하부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제2 리세스를 가진 제2 돌출 부분 - 상기 제2 리세스는 제2 측벽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벽의 하부까지 연장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제2 리세스에서 상기 제1 렌즈 부분의 중앙 영역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위치하는, 교정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포함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light filtering medium)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1 렌즈 부분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포함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1 렌즈 부분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구비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1 돌출 부분, 및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구비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구비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1 돌출 부분, 및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또는 층, 아크 플래시 정지 층, 포토 크로마틱 층 또는 필름, 및 착색된 광학 재료를 구비하는 광 매체의 군으로부터의 광 여과 매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갖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렌즈는:
    수평 누진 시력 교정 및 수직 누진 시력 교정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갖는 상기 제1 교정 렌즈에 대해 제1 돌출 부분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1 돌출 부분의 제1 측면; 및
    수평 누진 시력 교정(horizontal progressive vision correction) 및 수직 누진 시력 교정(vertical progressive vision correction)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갖는 상기 제2 교정 렌즈에 대해 제2 돌출 부분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2 돌출 부분의 제1 측면을 포함하는, 교정 렌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7037602A 2016-06-02 2017-06-02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KR102590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4787P 2016-06-02 2016-06-02
US62/344,787 2016-06-02
PCT/US2017/035847 WO2017210653A1 (en) 2016-06-02 2017-06-02 Combined corrective lens and lens shi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030A KR20190044030A (ko) 2019-04-29
KR102590995B1 true KR102590995B1 (ko) 2023-10-19

Family

ID=60479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602A KR102590995B1 (ko) 2016-06-02 2017-06-02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KR1020187037601A KR102585805B1 (ko) 2016-06-02 2017-06-02 단일 구조체의 교정 렌즈 및 쉴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601A KR102585805B1 (ko) 2016-06-02 2017-06-02 단일 구조체의 교정 렌즈 및 쉴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90151152A1 (ko)
EP (2) EP3488288A4 (ko)
JP (2) JP2019518240A (ko)
KR (2) KR102590995B1 (ko)
CN (2) CN109643027B (ko)
AU (2) AU2017274563A1 (ko)
BR (2) BR112018074780B1 (ko)
CA (2) CA3062879A1 (ko)
MX (2) MX2018014861A (ko)
WO (2) WO2017210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51985A1 (en) * 2021-03-05 2024-05-09 Essilor International Rx shell ready to rx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144A1 (en) * 2003-02-26 2004-08-26 Masato Nishikata Spectacles with len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206841A1 (en) 2004-03-22 2005-09-22 Davin Saderholm Goggle lens
US20080062378A1 (en) 2006-09-07 2008-03-13 Mccracken Brian Glasses with removable lens layers
US20130010251A1 (en) 2007-05-08 2013-01-10 Gunnar Optiks, Llc Eyewear for reducing symptoms of computer vision syndrome
US20140232978A1 (en) 2013-02-20 2014-08-21 Transitions Optical, Inc. Experiential opt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145A (en) * 1964-06-10 1965-07-13 William Smith Dr Spectacle lens system having protective major lens and detachable posterior corrective lens
SU951219A1 (ru) * 1979-11-29 1982-08-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149 Контактна линза
US5219497A (en) * 1987-10-30 1993-06-15 Inno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es using thin coatings
IL89732A0 (en) * 1989-03-24 1989-09-28 Rosh Kash Ltd Emergency eye glasses
US5152788A (en) * 1989-12-27 1992-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fo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478824A (en) * 1994-02-17 1995-12-26 Gargoyles, Inc. Adherent corrective lens
US5764333A (en) * 1997-02-27 1998-06-09 Somsel; John R. Sunshields for eyeglasses
US6196678B1 (en) * 1999-08-09 2001-03-06 Chapin, Iii E. Barton Protective glasses with built-in corrective lenses
JP2012531621A (ja) * 2009-06-26 2012-12-10 クインタナ,アレハンドロ アルトゥロ ゲーベル 余剰内部光学材料を有するワンピースレンズ
US8638501B2 (en) * 2010-07-27 2014-01-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iquid meniscus lens with convex torus-segment meniscus wall
US9500884B2 (en) * 2010-10-11 2016-11-22 Adiens Beacon Inc. Fluid filled adjustable contact lenses
SG2013091095A (en) * 2013-01-09 2014-08-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Method of forming a multi-piece insert device with seal for ophthalmic devices
SG2013091087A (en) * 2013-01-09 2014-08-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Multi-piece insert device with glue seal for ophthalmic devices
AU2016312686A1 (en) * 2015-08-26 2018-04-19 Alejandro A. Goebel Quintana Corrective lens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144A1 (en) * 2003-02-26 2004-08-26 Masato Nishikata Spectacles with len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206841A1 (en) 2004-03-22 2005-09-22 Davin Saderholm Goggle lens
US20080062378A1 (en) 2006-09-07 2008-03-13 Mccracken Brian Glasses with removable lens layers
US20130010251A1 (en) 2007-05-08 2013-01-10 Gunnar Optiks, Llc Eyewear for reducing symptoms of computer vision syndrome
US20140232978A1 (en) 2013-02-20 2014-08-21 Transitions Optical, Inc. Experiential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2879A1 (en) 2017-12-07
KR20190044590A (ko) 2019-04-30
BR112018074780B1 (pt) 2023-10-31
US11259965B2 (en) 2022-03-01
CN109643027B (zh) 2020-09-29
WO2017210653A1 (en) 2017-12-07
KR20190044030A (ko) 2019-04-29
CA3062859A1 (en) 2017-12-07
BR112018074780A2 (pt) 2019-03-06
MX2018014862A (es) 2019-09-06
EP3488288A1 (en) 2019-05-29
EP3488288A4 (en) 2020-06-10
CN109643027A (zh) 2019-04-16
WO2017210623A1 (en) 2017-12-07
EP3494436A4 (en) 2020-06-17
AU2017274563A1 (en) 2019-01-17
AU2017272360A1 (en) 2019-01-24
JP2019518240A (ja) 2019-06-27
CN109643028A (zh) 2019-04-16
JP2019518993A (ja) 2019-07-04
BR112018074779A2 (pt) 2019-03-06
KR102585805B1 (ko) 2023-10-06
US20210041722A1 (en) 2021-02-11
MX2018014861A (es) 2019-09-06
EP3494436A1 (en) 2019-06-12
US20190151152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734B1 (en) Lens with lightguide insert for head wearable display
US5526068A (en) Optical plastic and glass lens assembly for use in an eyewear frame
US11714297B2 (en) Corrective lens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36222A1 (en) Spectacle Lens including a Base Lens and a Thin Structure
KR102590995B1 (ko) 조합된 교정 렌즈 및 렌즈 쉴드
KR101545611B1 (ko) 광학 굴절을 방지하는 무도수 렌즈 제조방법
EP1472565B1 (en) Progressive lens with reduced distortion
CN117434718A (zh) 具有面向后的传感器的电子设备
CN117850065A (zh) 眼镜镜片内的薄膜封装
CS268122B1 (cs) Způsob výroby bifokální brýlové čočky s přímým rozhraní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