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61B1 -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61B1
KR102590361B1 KR1020230078284A KR20230078284A KR102590361B1 KR 102590361 B1 KR102590361 B1 KR 102590361B1 KR 1020230078284 A KR1020230078284 A KR 1020230078284A KR 20230078284 A KR20230078284 A KR 20230078284A KR 102590361 B1 KR102590361 B1 KR 10259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ointer
golf ball
golfer
recognition devic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진
Original Assignee
김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진 filed Critical 김무진
Priority to KR102023007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퍼가 퍼팅그린 위에서 홀(holl)컵을 향하여 골프볼을 퍼팅할 때 골프볼과 홀을 육안으로 보면서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을 머리속에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가상의 제1 라인을 따라 골퍼의 눈높이와 같은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제1 레이저 포인터(20)의 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하고, 이와 동시에 골퍼의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제2 레이저 포인터(30)의 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2 라인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골퍼의 시선과 어깨 및 발끝의 평행 정렬을 가능하게 하고 골프볼의 구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골프볼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Apparatus for recognizing putting direction of golf ball and metho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퍼가 퍼팅그린 위에서 홀(holl)컵을 향하여 골프볼을 퍼팅할 때 골프볼과 홀을 육안으로 보면서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을 머리속에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가상의 제1 라인을 따라 골퍼의 눈높이와 같은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레이저 포인터의 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하고, 이와 동시에 골퍼의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골퍼의 눈높이와 같은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다른 레이저 포인터의 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2 라인을 따라 조사함으로써, 골퍼의 시선과 어깨 및 발끝의 평행 정렬을 가능하게 하고 골프볼의 구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골프볼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린 위에서 홀(holl)컵을 향하여 골프볼을 퍼팅할 때는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 그린의 경사도와 지형 및 잔디상태 등 여러 가지 요건들이 고려하여야 하지만, 무엇보다 더 중요한 점은 볼의 타구방향을 홀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는데 있다.
골프볼의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 골퍼들이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골프볼과 홀을 연결하는 라인을 머릿속으로 그린 후 그 라인을 따라 볼을 퍼팅하여 구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가상의 퍼팅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은 골프를 시작하는 초보자는 물론 숙달된 골퍼에게도 결코 쉽다고 할 수 없다.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골퍼의 어깨와 시선 그리고 발끝이 가상의 퍼팅라인을 따라 평행을 이룬상태에서 퍼팅을 하여야 하는데, 실제로는 퍼팅시에 순간적으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퍼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업계에서는 골퍼들의 퍼팅능력 향상을 위해 지원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보조장비들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3325호(등록일자 : 2000년 06월 09일)에는 퍼팅시 골퍼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퍼터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퍼터장치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와, 사용자가 그립하는 손잡이 및 상기 헤드와 손잡이부를 상호 연결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레이저빔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설치하여 바닥에 일직선으로 레이저빔을 비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퍼터장치는 골퍼가 정지된 상태에서 올바를 타격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연습동작에는 교육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실제로 퍼팅동작을 할 경우에는 볼과 샤프트 헤드부의 타격면을 수직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퍼터를 스윙하는 과정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는 이른바 헤드업(head up)이 발생 됨으로써 타구의 방향성이 원하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실전에서 활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퍼팅동작시 타구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0585호(등록일자 : 2002년 10월 29일)에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개발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골퍼가 휴대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를 모자나 헤어 밴드, 또는 선그라스나 안경 등에 집게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한 상태로 사용하여, 퍼팅시에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레이저빔을 지면에 조사함으로써, 골퍼가 빔이 조사된 표적을 응시한채 퍼터를 스윙하여 볼을 타격하게 되어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0585호에 개시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장치를 개선하여 퍼팅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새롭게 발명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0585호에 개시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장치의 이용발명임을 밝혀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3325호(등록일자 : 2000년 06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0585호(등록일자 : 2002년 10월 29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팅동작시 타구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팅동작시 헤드업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중거리 이상의 퍼팅에 따른 정확도를 높일수 있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팅동작시 타겟을 바라보는 골퍼의 시선과 몸이 따로 놀지않고 정확한 퍼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관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퍼팅동작의 정확도를 높일수 있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양태를 따르면, 본 발명은,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로서,
골퍼가 착용할 수 있는 인식장치 지지체;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레이저 지시기; 및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 2 레이저 지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는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는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의 안경테 일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을 지나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의 본체 내에 삽입되는 제1 체결볼트에 의해서 상기 안경테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는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의 안경테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에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가 장착된 위치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관통공을 지나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의 본체 내에 삽입되는 제2 체결볼트에 의해서 상기 안경테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으로서,
골퍼가 퍼팅그린에서 홀컵을 향해 골프볼이 굴러가도록 퍼팅을 하기 전에 골퍼 자신이 골프볼과 홀컵을 육안으로 보면서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제1 레이저 지시기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1 라인을 따라 조사(助射)하고, 이와 동시에 골퍼의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의 휴대위치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제2 레이저 지시기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2 라인을 따라 조사(助射)한 상태에서 골프볼을 퍼팅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경기에서 골퍼가 퍼팅동작을 하기 위해 볼과 홀을 응시하게 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레이저빔이 퍼터와 홀컵 사이를 정확하게 표시해줌으로써 퍼팅 방향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게 되고 헤드업을 방지하여 퍼팅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팅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포인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골퍼의 시야를 표적과 이에 일직선상에 위치한 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퍼팅을 하게 됨으로써 퍼터의 스윙동작시 팔의 흔들림으로 인한 미스샷을 방지하면서 중장거리 퍼팅시에도 성공률을 높여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방향 인식장치는 안경이나 선글라스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착용하고 연습할 수 있으며, 하루 10분~20분 연습으로 3개월~4개월 꾸준히 연습하면 실제 필드에서는 엄청난 실력향상을 몸소 체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의 제1 레이저 지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레이저 지시기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의 제2 레이저 지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레이저 지시기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를 사용하여 퍼팅하는 방식의 설명도.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는 제1 레이저 지시기(20)와 제 2 레이저 지시기(30), 및 이들이 장착될 수 있는 인식장치 지지체(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는 골퍼가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는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출원의 발명자가 앞서 개발한 바 있는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058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모자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레이저 지시기(20)와 제 2 레이저 지시기(30)의 구성과는 달리 모자에 이들을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착수단이 필요함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부착수단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쉽게 설계변경하여 채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는 안경으로 이루어진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안경테(42)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42)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44)을 지나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의 본체(21) 내에 삽입되는 제1 체결볼트(51)에 의해서 안경테(42)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는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상기 안경테(42)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 내에는 배터리(22)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충전회로(23), 제1 전원 S/W회로(24) 및 제1 불루투스 송수신회로(2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의 일측에는 레이저포인터 홀더(27)가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레이저포인터 홀더(27)는 유니버설 조인트부(29)에 의해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 홀더(27)의 말단부에는 제1 레이저포인터(26a)와 제2 레이저포인터(26b)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 일측에는 제1 전원 S/W 버튼(28)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는 골퍼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에서 퍼팅그린 위에서 홀(holl)컵을 향하여 골프볼을 퍼팅하기 전에 골프볼과 홀컵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L1)(도 6 참조)을 머릿속에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제1 라인(L1)(도 6 참조)을 따라서 골퍼의 시선에 인접되게 배치된 제1 레이저포인터(26a)와 제2 레이저포인터(26b)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하여 골프볼의 타격방향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는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와 마찬가지로 안경으로 이루어진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안경테(42)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42)에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가 장착된 위치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42)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관통공(46)을 지나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본체(31) 내에 삽입되는 제2 체결볼트(52)에 의해서 안경테(42)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쥘 수 있도록 그립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원형 드럼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 내에는 리튬전지(32)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제2 전원 S/W회로(34) 및 제2 불루투스 송수신회로(3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 내에서 상기 리튬전지(32)는 상기 리튬전지(32)를 에워싸도록 배치된 리튬전지 가드(37)에 의해서 보호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의 방사상 일측에는 제3 레이저 포인터(36)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3 레이저 포인터(36)는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가 안경테(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39)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에(도 1 화살표 "A" 참고) 그에 따라서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상하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에서 상기 안경테(42)에 대향(對向)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면에는 제2 전원 S/W 버튼(38)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는, 골퍼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의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를 이용하여 퍼팅그린 위에서 홀(holl)컵을 향하여 골프볼을 정확하게 퍼팅할 수 있도록 제1 레이저포인터(26a)와 제2 레이저포인터(26b)의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할 때, 골퍼가 자신의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L2)(도 6 참조)을 따라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제3 레이저포인터(36)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지면에 조사함으로써, 골퍼의 시선과 어깨 및 발끝의 자세를 정확하게 평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퍼팅을 하게 함으로써, 상기 표적으로 볼의 타격방향을 유도하여 방향성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를 사용하여 퍼팅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골퍼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를 이용하여 그린위에서 퍼팅을 할 때 골프볼의 퍼팅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골퍼는 안경으로 이루어진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좌우측에 장착된 상기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퍼팅을 하게 되는데, 먼저 도 6에서 안경의 좌측에 장착된 제1 레이저 지시기(20)를 최적의 준비상태로 하기 위하여 골퍼의 시선이 미치는 대로 빔의 조사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타격방향을 향하는 어느 한쪽의 눈초리와 동일 내지 근접된 선상에 위치하게 제1 레이저지시기 본체(21)에 대하여 제1 레이저포인터 홀더(27)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레이저 포인터(26a,26b)로부터 지면으로 발광되는 빔의 조사각도를 골퍼의 시선과 일치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안경의 우측에 장착된 제2 레이저 지시기(30)를 최적의 준비상태로 하기 위하여 골퍼의 시선이 미치는 대로 빔의 조사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타격방향을 향하는 어느 한쪽의 눈초리와 동일 내지 근접된 선상에 위치하게 제2 레이저지시기 본체(31)의 그립부(39)를 쥐고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제3 레이저 포인터(36)로부터 지면으로 발광되는 빔의 조사각도를 골퍼의 시선과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레이저 지시기(20)와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빔 조사방향을 골퍼의 시선과 부합하도록 조정한 후에는, 제1 레이저 지시기(20)의 제1 전원 S/W 버튼(28)을 조작하여 제1 레이저 지시기(20)를 켜고 이와 함께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제2 전원 S/W 버튼(38)을 조작하여 제2 레이저 지시기(30)를 켠다.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와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는 각각의 레이저지시기 본체(21,31)내에 내장된 제1 및 제2 블루투스 송수신회로(25,35)의 연동작동에 의해 골퍼의 시선과 이들의 빔 조사방향이 일치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점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골퍼는 골퍼의 바로앞 지면상에 위치한 골프볼을 홀에 넣기 위한 퍼팅 준비자세를 취하고, 이어서 골퍼의 육안으로 골프볼과 홀컵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L1)을 머릿속에 그려 놓은 후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포인터(26a,26b)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상기 가상의 제1 라인(L1)을 따라서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골퍼가 자신의 어깨넓이만큼 벌린다음 다리의 신발 발끝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L2)을 머릿속에 그려 놓은 후 상기 제3 레이저 포인터(36)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상기 가상의 제2 라인(L2)을 따라서 일직선의 형태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골퍼의 시선과 어깨 및 발끝이 정렬된 상태에서 골퍼는 퍼터를 스윙하여 볼을 타격하게 됨으로써, 타격된 볼이 정확하게 홀을 향해 굴러가게 되어 퍼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볼의 타격방향을 유도하는 표적은 그린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타구의 구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20,30 : 레이저 지시기
21,31 : 레이저지시기 본체 22 : 배터리
24,34 : 전원 S/W 회로 25,35 : 불루투스 송수신회로
26a,26b,36 : 레이저 포인터 27 : 레이저포인터 홀더
28,38 : 전원 S/W 버튼 29 : 유니버설 조인트부
32 : 리튬전지 37 : 리튬전지 가드
39 : 그립부 40 : 인식장치 지지체(=안경)
42 : 안경테

Claims (7)

  1.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10)로서,
    골퍼가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이루어진 인식장치 지지체(40);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레이저 지시기(20) -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의 본체(21) 내에는 배터리(22)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고, 충전회로(23), 제1 전원 S/W회로(24) 및 제1 불루투스 송수신회로(25)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의 일측에는 레이저포인터 홀더(27)가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됨 -; 및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 2 레이저 지시기(30) -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의 본체(31)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원형 드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그립부(39)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 내에는 리튬전지(32)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고, 제2 전원 S/W회로(34) 및 제2 불루투스 송수신회로(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의 방사상 일측에는 제3 레이저 포인터(36)가 배치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는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안경테(42) 일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42)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44)을 지나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 내에 삽입되는 제1 체결볼트(51)에 의해서 상기 안경테(42)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포인터 홀더(27)는 유니버설 조인트부(29)에 의해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 홀더(27)의 말단부에는 제1 레이저포인터(26a)와 제2 레이저포인터(26b)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 본체(21) 일측에는 제1 전원 S/W 버튼(28)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는 상기 인식장치 지지체(40)의 안경테(42)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경테(42)에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가 장착된 위치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경테(42)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관통공(46)을 지나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 내에 삽입되는 제2 체결볼트(52)에 의해서 상기 안경테(42)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이저 포인터(36)는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가 상기 안경테(4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골퍼가 상기 그립부(39)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에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상하로 선회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 본체(31)에서 상기 안경테(42)에 대향(對向)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면에는 제2 전원 S/W 버튼(38)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으로서,
    골퍼가 퍼팅그린에서 홀컵을 향해 골프볼이 굴러가도록 퍼팅을 하기 전에 골퍼 자신이 골프볼과 홀컵을 육안으로 보면서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 라인(L1)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1 라인(L1)을 따라 조사(助射)하고, 이와 동시에 골퍼의 다리를 어깨넓이로 벌린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된 발끝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라인(L2)을 머릿속에 설정한 후, 상기 제1 레이저 지시기(20)의 휴대위치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골퍼의 눈높이와 일직선을 이루는 눈초리에 인접하도록 휴대한 상기 제2 레이저 지시기(30)로부터 나오는 레이저빔을 일직선의 형태로 상기 가상의 제2 라인(L2)을 따라 조사(助射)한 상태에서 골프볼을 퍼팅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KR1020230078284A 2023-06-19 2023-06-19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KR10259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284A KR102590361B1 (ko) 2023-06-19 2023-06-19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284A KR102590361B1 (ko) 2023-06-19 2023-06-19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61B1 true KR102590361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284A KR102590361B1 (ko) 2023-06-19 2023-06-19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25Y1 (ko) 2000-03-13 2000-08-16 주식회사레이콤 퍼터장치
KR100360585B1 (ko) 2001-02-14 2002-11-13 주식회사 유진지엔이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
KR100473619B1 (ko) * 2004-05-17 2005-03-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착용이 편리한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장치
KR20050096470A (ko) * 2004-03-30 2005-10-06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25Y1 (ko) 2000-03-13 2000-08-16 주식회사레이콤 퍼터장치
KR100360585B1 (ko) 2001-02-14 2002-11-13 주식회사 유진지엔이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96470A (ko) * 2004-03-30 2005-10-06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473619B1 (ko) * 2004-05-17 2005-03-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착용이 편리한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230A (en) Methods for training golf putting skills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US6224494B1 (en) Golf club with multiple sweet spot markings and methods and tools for locating same
KR100360585B1 (ko)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
US20090118028A1 (en) Golf planing putting stroke training device
KR102590361B1 (ko)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KR100674029B1 (ko) 탈착 가능한 골프 스윙 및 퍼팅 라인 지시장치
US20150265890A1 (en) Golf Club Grip with Angled Channel
KR200410164Y1 (ko) 탈착 가능한 골프 스윙 및 퍼팅 라인 지시장치
US6872150B2 (en) Putting practice kit and method
US20190001208A1 (en) Golf training aid
KR20050096470A (ko)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6145B1 (ko) 퍼팅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퍼터
Shim et al. Use of ball line as an alignment aid in putting
KR101525043B1 (ko) 표시기능을 가지는 골프클럽
KR100473619B1 (ko) 착용이 편리한 골프스윙 및 퍼팅라인 조준장치
KR101224691B1 (ko) 퍼팅 교정용 퍼터
KR20230122766A (ko) 골프공 라인 정렬기
KR102483948B1 (ko) 퍼팅 연습 장치
CA2344298C (en) Putter
KR20230122765A (ko) 퍼팅라인 정렬기
KR20110121060A (ko) 퍼팅 연습장치
AU2021200180A1 (en) Golf club alignment devices
US20190269991A1 (en)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golf putting
KR101645871B1 (ko) 어프로치 샷 스윙반경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