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34B1 -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 Google Patents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34B1
KR102589834B1 KR1020210190309A KR20210190309A KR102589834B1 KR 102589834 B1 KR102589834 B1 KR 102589834B1 KR 1020210190309 A KR1020210190309 A KR 1020210190309A KR 20210190309 A KR20210190309 A KR 20210190309A KR 102589834 B1 KR102589834 B1 KR 10258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ragrance
scent
uni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439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이 가능한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 칩을 포함하고 있으며, 향을 분사하여 사용자 후각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치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향 분사장치에 있어서,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과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향분사모듈; 원형 드럼통 모양의 복수의 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향카트리지부재와, 향 분사를 위해 상기 향카트리지부재 하측에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가압하는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향카트리지모듈; Edge AI(Articial intelligence)기반의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을 제어하는 향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Diffuser for early screening for dementia}
본 발명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이 가능한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 칩을 포함하고 있으며, 향을 분사하여 사용자 후각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치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최근 10년간 약 4배로 늘어났고, 65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2019년 치매로 진료받은 진료받는 사람(환자) 수는 79만9천 명으로 2009년(18만8천 명)과 비교해 4배 이상으로 증가(연평균 증가율 16%)했고, 진료비는 2조430억 원, 원외 처방 약 제비는 3천199억 원에 달했다. 환자의 성별을 보면 여성이 56만5천40명으로 남성(23만4천226명)의 2.4배 수준이었다. 나이별로 보면 85세 이상이 22만780명, 80∼84세 20만6천488명, 75∼79세 17만6천324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특히 60세 미만에서도 치매 환자가 꾸준히 증가해 예방과 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2019년 40세 미만 치매 환자는 1천151명으로 연평균 4% 증가했고, 40∼59세는 3만5천608명으로 연평균 15% 늘었다. 또 치매 전 단계의 고위험군 상태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27만6천 명으로 2009년(1만5천 명)의 18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한편, 국외에서는 향기를 후각 장애 및 치매 선별에 적용하고 있으며, 향기가 치매 선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리면 후각 신경부터 이상이 발생하고, 기억과 학습 등에 영향을 미치는 해마, 감정에 영향을 주는 편도체, 대뇌까지 손상이 되면서 병세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매로 손상되는 기관은 우리가 향을 인지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기관과 비슷해 우리가 향을 맡으면 후각을 통해 뇌 변연계까지 전기적 신호로 전달되는 만큼 '향을 통해 후각을 활성화하면 치매를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동물실험 및 연구개발, 치매 진단에 후각 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향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되는 디퓨저(향 분사 장치)의 경우, UPSIT(1984년 3M에 의해 개발, 가장 널리 쓰임 40개의 향 포함), CC-SIT, B-SIT 등과 같은 페이퍼 타입과 KVSS(16개의 향 포함), SS-OIT 등의 펜 타입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해당 디퓨저를 사용하는 치매 환자의 경우, 해당 디퓨저를 사용하기 위해 진행 보조자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며, 진행 보조자가 환자의 치매 진단 및 치매의 중증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디퓨저의 냄새 선택 및 농도 조절(역치 검사 외 발향 농도 조절 불가), 검사방식 변경, 결과 확인 및 점수 산출 등의 수동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진행 보조자의 필요성에 따른 디퓨저를 통한 치매 환자의 진단에 있어 비용이 증대된다는 한점에 존재한다.
한국공개번호 (KR)제2021-0138435호(2021.11.19.) 한국등록번호 (KR)제10-2305828호(2021.09.17.) 한국등록번호 (KR)제10-2041848호(2019.11.01.) 한국등록번호 (KR)제10-2237539호(2021.04.0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임베디드 환경에서 AI(Artificial Intelligence)음성 인식 기능한 디퓨저로서, 후각 식별과 역치 검사 및 인지 검사를 위한 향을 분사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향 분사장치에 있어서,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과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향분사모듈; 원형 드럼통 모양의 복수의 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향카트리지부재와, 향 분사를 위해 상기 향카트리지부재 하측에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향카트리지모듈; Edge AI(Articial intelligence)기반의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을 제어하는 향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향분사모듈은, 상기 향 분사장치의 상단에 위치하며,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타원형 모양의 플레이트부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는, 상기 향 분사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사용자촬영부;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 기반의 사용자 위치를 설명하는 후각검사 시나리오 설명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분사된 향과 관련하여 언급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촬영부는, 촬영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데이터와 현실세계의 축적 비율을 기반으로, 실시간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는 위치거리측정부;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부로 송신하는 사용자위치정보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은, 원기둥 모양의 N개의 상기 향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N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형 드럼통 상기 향카트리지부재와, 원형 드럼통 상측 둘레의 끝점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향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향카트리지가압부재는, 상기 향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향 카트리지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의 향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카트리지선택부와; 상기 카트리지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향 카트리지를 진동으로 압력을 가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판세기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향제어모듈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기반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추론이 가능한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포함하며, 상기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분석부;와 상기 입력정보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사될 향 카트리지 개수와 향의 농도를 연산하는 분사카트리지부; 상기 분사카트리지부에서 도출된 정보데이터를 상기 향카트리지모듈로 송신하는 향정보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 AI(Artificial Intelligence)음성 인식 기반의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며, 향에 따라 실시간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표정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향 인지 상태를 교차 검증하는 사용자향인식검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상기 향과 유관한 데이터를 매칭하는 향음성매칭부; 상기 향음성매칭부에서 도출된 매칭 결과값에 따른 향인지 능력율을 연산하는 향인지판단부;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 사용자 치매 여부를 판단하는 치매판단부; 및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서 사용자 치매 중증도를 식별하는 치매단계식별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 음성 인식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식별하며, 사용자의 치매 여부 및 중증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향 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향을 단계별로 사용자에게 분사하여 사용자의 치매 중증도를 식별할 수 있다.
셋째, 향 분사에 따른 사용자 후각 인지 및 표정 변화를 분석하여 향 인지에 대한 교차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및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분사모듈(100)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촬영부(123)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카트리지모듈(200)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카트리지가압부재(240)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제어모듈(300)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제어모듈(300)과 카트리지선택부(240a)의 관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분석부(320)의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및 모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향 분사장치는 향분사모듈(100), 향카트리지모듈(200) 및 향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향분사모듈(100)은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과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향카트리지모듈(200)은 원형 드럼통 모양의 복수의 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향카트리지부재와, 향 분사를 위해 상기 향카트리지부재 하측에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하며, 향제어모듈(300)은 Edge AI(Articial intelligence)기반의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분사모듈(100)의 모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향분사모듈(100)은, 상기 향 분사장치의 상단에 위치하며,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타원형 모양의 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120)는 사용자촬영부(120a), 스피커부(120b) 및 마이크부(120c)를 포함한다.
사용자촬영부(120a)는 상기 향 분사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스피커부(120b)는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 기반의 사용자 위치를 설명하는 후각검사 시나리오 설명을 출력하며 또한,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마이크부(120c)의 경우, 분사된 향과 관련하여 언급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촬영부(123)의 모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촬영부(123)는 위치거리측정부(123a)와 사용자위치정보송신부(123b)로 구성된다. 위치거리측정부(123a)의 경우, 촬영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데이터와 현실세계의 축적 비율을 기반으로, 실시간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며, 사용자위치정보송신부(123b)는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26)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카트리지모듈(200)의 모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향카트리지모듈(200)은 향카트리지부재(220)와 향카트리지가압부재(240)를 포함한다. 향카트리지부재(220)는 원기둥 모양의 N개의 상기 향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N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형 드럼통이다. 또한, 향카트리지가압부재(240)는 원형 드럼통 상측 둘레의 끝점 하단부에 위치하며, 향제어모듈(300)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향카트리지부재(220)를 가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카트리지가압부재(240)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향카트리지가압부재(240)는 카트리지선택부(240a)와 진동판세기조절부(240b) 및 진동판(240c)를 포함한다. 카트리지선택부(240a)는 향제어모듈(300)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향 카트리지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의 향 카트리지를 선택하며, 진동판(240c)의 경우, 카트리지선택부(240a)에서 선택된 상기 향 카트리지를 진동으로 압력을 가하며, 진동판세기조절부(240b)의 경우 진동판(240c)의 세기를 조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제어모듈(300)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제어모듈(300)과 카트리지선택부(240a)의 관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향제어모듈(300)은 입력정보분석부(320), 분사카트리지부(340) 및 향정보데이터송신부(360)을 포함한다. 향제어모듈(300)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기반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추론이 가능한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력정보분석부(320)는 상기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며, 분사카트리지부(340)는 입력정보분석부(320)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사될 향 카트리지 개수와 향의 농도를 연산하며, 향정보데이터송신부(360)는 분사카트리지부(340)에서 도출된 정보데이터를 향카트리지모듈(200)로 송신한다.
즉, 도 9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배합농도송신부(340a)는, 상기 향인지 능력율이 40% 이상 50% 미만인 경우, 1개 이상 4개 미만의 향 카트리지의 향 배합농도 정보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향인지 능력율이 20% 이상 40% 미만인 경우, 4개 이상 10개 미만의 향 카트리지의 향 배합농도 정보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향인지 능력율이 20% 미만인 경우, 10개 이상 N개 미만의 향 카트리지의 향 배합농도 정보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카트리지선택부(240a)로 송신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선택부(240a)는 향정보데이터송신부(360)에서 송신한 신호 데이터에 맞춰 설정된 향의 농도를 맞출 수 있도록, 상기 N개의 향 카트리지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의 향 카트리지를 선택한다. 진동판세기조절부(240b)는 카트리지선택부(240a)에서 선택된 상기 향 카트리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설정된 향의 농도로 향이 분사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분석부(320)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입력정보분석부(320)는 사용자정보입력부(320a), 사용자향인식검증부(320b), 향음성매칭부(320c), 향인지판단부(320d), 치매판단부(320e) 및 치매단계식별부(320f)로 구성된다. 사용자정보입력부(320a)는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120)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며, 사용자향인식검증부(320b)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음성 인식 기반의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며, 향에 따라 실시간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표정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향 인지 상태를 교차 검증한다. 또한, 향음성매칭부(320c)의 경우,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상기 향과 유관한 데이터를 매칭하며, 향인지판단부(320d)는 향음성매칭부(320c)에서 도출된 매칭 결과값에 따른 향인지 능력율을 연산하고, 치매판단부(320e)에서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 사용자 치매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치매단계식별부(320f)에서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서 사용자 치매 중증도를 식별한다.
본 발명은 임베디드 환경에서 AI(Artificial Intelligence)음성 인식 기능한 디퓨저로서, 후각 식별과 역치 검사 및 인지 검사를 위한 향을 분사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 음성 인식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식별하며, 사용자의 치매 여부 및 중증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향 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향을 단계별로 사용자에게 분사하여 사용자의 치매 중증도를 식별할 수 있다. 셋째, 향 분사에 따른 사용자 후각 인지 및 표정 변화를 분석하여 향 인지에 대한 교차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향분사모듈 120: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
123: 사용자촬영부 123a: 위치거리측정부
123b: 사용자위치정보송신부 126: 스피커부
129: 마이크부 140: 토출구멍
200: 향카트리지모듈 220: 향카트리지부재
240: 향카트리지가압부재 240a: 카트리지선택부
240b: 진동판세기조절부 240c: 진동판
300: 향제어모듈 320: 입력정보분석부
320a: 사용자정보입력부 320b: 사용자향인식검증부
320c: 향음성매칭부 320d: 향인지판단부
320e: 치매판단부 320f: 치매단계식별부
340: 분사카트리지부 360: 향정보데이터송신부

Claims (10)

  1. 향 분사장치에 있어서,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과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향분사모듈;
    원형 드럼통 모양의 복수의 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향카트리지부재와, 향 분사를 위해 상기 향카트리지부재 하측에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향카트리지모듈;
    Edge AI(Articial intelligence)기반의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의 분석 및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을 제어하는 향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향제어모듈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기반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추론이 가능한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포함하며,
    상기 Edg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정보분석부;와
    상기 입력정보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사될 향 카트리지 개수와 향의 농도를 연산하는 분사카트리지부;
    상기 분사카트리지부에서 도출된 정보데이터를 상기 향카트리지모듈로 송신하는 향정보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분사모듈은,
    상기 향 분사장치의 상단에 위치하며,
    향이 분사되는 복수의 토출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타원형 모양의 플레이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는,
    상기 향 분사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사용자촬영부;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 기반의 사용자 위치를 설명하는 후각검사 시나리오 설명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분사된 향과 관련하여 언급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촬영부는,
    촬영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데이터와 현실세계의 축적 비율을 기반으로,
    실시간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센싱하는 위치거리측정부;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부로 송신하는 사용자위치정보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향 분사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연산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할 지점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카트리지모듈은,
    원기둥 모양의 N개의 상기 향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N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형 드럼통 상기 향카트리지부재와,
    원형 드럼통 상측 둘레의 끝점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향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향카트리지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향카트리지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향카트리지가압부재는,
    상기 향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향 카트리지 중에 어느 하나의 이상의 향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카트리지선택부와;
    상기 카트리지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향 카트리지를 진동으로 압력을 가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판세기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입력데이터 입출력부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
    AI(Artificial Intelligence)음성 인식 기반의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며, 향에 따라 실시간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표정 이미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향 인지 상태를 교차 검증하는 사용자향인식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향 인식 음성데이터와 상기 향과 유관한 데이터를 매칭하는 향음성매칭부;
    상기 향음성매칭부에서 도출된 매칭 결과값에 따른 향인지 능력율을 연산하는 향인지판단부;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 사용자 치매 여부를 판단하는 치매판단부; 및
    상기 향인지 능력율에 따라서 사용자 치매 중증도를 식별하는 치매단계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장치.
KR1020210190309A 2021-12-28 2021-12-28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KR10258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309A KR102589834B1 (ko) 2021-12-28 2021-12-28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309A KR102589834B1 (ko) 2021-12-28 2021-12-28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439A KR20230100439A (ko) 2023-07-05
KR102589834B1 true KR102589834B1 (ko) 2023-10-16

Family

ID=8715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309A KR102589834B1 (ko) 2021-12-28 2021-12-28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8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9238A1 (en) * 2013-04-25 2014-10-30 Chien Chang Su Perfume sprayer
JP2016129577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嗅覚検査装置
KR102160390B1 (ko) * 2019-12-31 2020-09-29 (주)제이엘케이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2021535503A (ja) * 2018-08-28 2021-12-1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 Ltd. 顔認識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543B1 (ko) * 2016-03-24 2023-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1656A (ko)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발향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041848B1 (ko) 2017-12-29 2019-11-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분석을 통한 우울증, 불안증, 조기치매, 또는 자살 징후 조기판별 시스템
KR102305828B1 (ko) 2019-09-27 2021-09-30 주식회사 엔서 치매 진단장치 및 시스템
KR102459360B1 (ko) 2020-05-12 2022-10-28 광주과학기술원 후각을 이용한 치매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을 이용한 치매 진단 방법
KR20210150700A (ko) * 2020-06-04 2021-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향 선택 분사 및 농도 제어가 가능한 발향 장치 및 방법
KR102237539B1 (ko) 2020-07-31 2021-04-07 이승연 음성 대화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치매 및 인지 능력 판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9238A1 (en) * 2013-04-25 2014-10-30 Chien Chang Su Perfume sprayer
JP2016129577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嗅覚検査装置
JP2021535503A (ja) * 2018-08-28 2021-12-1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 Ltd. 顔認識方法および装置
KR102160390B1 (ko) * 2019-12-31 2020-09-29 (주)제이엘케이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439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399B2 (en) Cognition and motor timing diagnosis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Robinson et al. Adult auditory learning and training
US8048002B2 (en) Method for improving cognition and motor timing
EP24166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of perceptual skills using neurofeedback
US20040210159A1 (en) Determin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 subject
WO2006059325A1 (en) Method and system of indicating a condition of an individual
US202300487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health assessment
KR101689021B1 (ko) 센싱장비를 이용한 심리상태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7116849A1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and image output program
US20130096397A1 (en) Sensitivity evaluation system,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40029332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10186370A1 (en) Automated and objective symptom severity score
JP7390268B2 (ja) 認知機能予測装置、認知機能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Phillips et al. Transcutaneous auricular vagus nerve stimulation strengthens semantic representations of foreign language tone words during initial stages of learning
Lentz Psychoacoustics: perception of normal and impaired hearing with audiology applications
KR102589834B1 (ko) 치매 스크리닝 디퓨저 장치
US20190130077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health assessment
US20020111540A1 (en) Method, medical system and portable device for determining psychomotor capabilities
KR102575225B1 (ko) 치매 조기 스크리닝용 디퓨저 시스템 및 방법
Bellis Audiologic behavioral assessment of APD
Uhrig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speech quality assessment
Mantri et al. Cumulative video analysis based smart framework for detection of depression disorders
EP3962361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al analysis
Smith The roles of auditory and somatosensory feedback in vocal motor control
WO202313009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human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with a condition utilizing dynamic adaptive biomet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