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956B1 -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956B1
KR102588956B1 KR1020220161322A KR20220161322A KR102588956B1 KR 102588956 B1 KR102588956 B1 KR 102588956B1 KR 1020220161322 A KR1020220161322 A KR 1020220161322A KR 20220161322 A KR20220161322 A KR 20220161322A KR 102588956 B1 KR102588956 B1 KR 10258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device
fixed
press
screw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기
안성은
Original Assignee
김진기
안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기, 안성은 filed Critical 김진기
Priority to KR102022016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압입용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수평걸림홈 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잭파일 머신 장치의 엘샤프트들을 끼우고 상기 엘샤프트의 걸림돌기를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굴착공 엘샤프트 체결단계와, 상기 엘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굴착공에 지지관을 체결하는 굴착공 지지관체결단계와, 상기 엘샤프트들의 상단부에 연결하며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에 압입할 압입강관을 체결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압입강관 체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과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강관의 이어붙임 없이 긴 강관(2m ~ 3m)을 압입할 수 있게 되며, 유압압착기가 강관을 압입할 수 있게 되고, 빠른 시공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Twin hydraulic jack pile machine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과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강관의 이어붙임 없이 긴 강관(2m ~ 3m)을 압입할 수 있으며, 유압압착기로 강관을 압입하고, 빠른 시공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파일(Micro-pile)은 구조물의 지지력 증가 또는 지반 침하 억제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 구조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키 높은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 강봉을 토막내어 이어 박는 마이크로 파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 마이크로 파일은 지반을 직경 150㎜ 내외로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에 두께가 얇은 강관을 삽입한 후, 강관내부에 직경 50~75㎜의 고강도 강봉을 이어 넣은 다음, 강관과 강봉 사이의 공간을 그라우팅 작업하고 재하시험을 하는 번거로운 공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말뚝머리를 유압잭으로 눌러 강관을 관입하는 무소음·무진동의 강관압입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강관압입장치는 시공할 수 있는 강관의 길이가 1-1.2m 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압입하기 위해서는 엔드플레이트와 유압잭 사이 도막의 강관을 여러 본 넣어 수동으로 일일이 장비를 작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도막의 강관을 넣는 도중 시공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막의 강관을 넣는 도중 유압잭의 작동을 담당하는 작업자의 오판으로 인한 도막을 넣는 작업자의 손끼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강관압입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압입하는 강관을 수시로 이어 붙여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07921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과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강관의 이어붙임 없이 긴 강관(2m ~ 3m)을 압입할 수 있게 되며, 유압압착기가 강관을 압입할 수 있게 되고, 빠른 시공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압입용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수평걸림홈 형성단계와, 상기 굴착공에 잭파일 머신 장치의 엘샤프트들을 끼우고 상기 엘샤프트의 걸림돌기를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굴착공 엘샤프트 체결단계와, 상기 엘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굴착공에 지지관을 체결하는 굴착공 지지관체결단계와, 상기 엘샤프트들의 상단부에 연결하며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에 압입할 압입강관을 체결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압입강관 체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압착기를 이용하여 지면에 압입강관을 압입하도록 된 잭파일 머신 장치로서, 지면에 형성된 굴착공에 체결되는 엘샤프트들과, 상기 엘샤프트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하부관통공이 형성된 하부고정패널과, 상기 엘샤프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축샤프트와, 상기 축샤프트들을 연결하며 끼움되어 승강되며,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통관이 끼움된 승강패널과, 상기 축샤프트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패널에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을 승강시키는 유압압착기와, 상기 축샤프트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상부관통공이 형성된 상부고정패널로 이루지며, 상기 승강패널의 연통관에는 압입강관이 관통되게 끼움된 후 고정되어, 상기 유압압착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이 이동하면서 상기 압입강관을 지중에 압입하도록 되고, 상기 굴착공에는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굴착공에 끼움되는 상기 엘샤프트에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굴착공에는 지지관이 더 끼움되고, 상기 지지관의 외면과 상기 굴착공의 내면 사이에 상기 엘샤프트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은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과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강관의 이어붙임 없이 긴 강관(2m ~ 3m)을 압입할 수 있게 되며, 유압압착기가 강관을 압입할 수 있게 되고, 빠른 시공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탄성형지지가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탄성형지지가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잭파일 머신 장치라 명명함)는 유압압착기(60)를 이용하여 지면에 압입강관(300)을 압입하도록 된 잭파일 머신 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잭파일 머신 장치(10)는 엘샤프트(20)와 하부고정패널(30)과 축샤프트(40)와 승강패널(50)과 유압압착기(60)와 상부고정패널(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엘샤프트(20)는 지면에 형성된 굴착공(10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엘샤프트(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너트부재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엘샤프트(20)는 상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부가 상기 굴착공(100)에 끼움된다.
이때, 상기 굴착공(100)에는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굴착공(100)에 끼움되는 상기 엘샤프트(20)에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1)는 상기 수평걸림홈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엘샤프트(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4개를 배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굴착공(100)에는 지지관(80)이 더 끼움되고, 상기 지지관(80)의 외면과 상기 굴착공(100)의 내면 사이에 상기 엘샤프트(20)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샤프트(20)들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관(80)을 금속재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80)의 외면에 상기 엘샤프트(20)를 나사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고정패널(30)은 상기 엘샤프트(20)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하부관통공(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패널(3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고정패널(3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엘샤프트(20)의 상단부가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패널(30)은 상기 엘샤프트(2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고정패널(30)에는 하부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공(31)에는 상기 압입강관(300)이 관통되게 끼움된다.
상기 축샤프트(40)는 지면에 형성된 굴착공(100)에 체결되는 엘샤프트(20)들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축샤프트(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엘샤프트(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너트부재에 나사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승강패널(50)은 상기 축샤프트(40)들을 연결하며 끼움되어 승강되며,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통관(51)이 끼움된다.
상기 승강패널(50)은 금속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패널(5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축샤프트(40)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안내홀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관(51)은 상기 연통홀에 끼움된 후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통관(51)에는 압입할 관구조의 압입강관(300)을 관통되게 끼운 후 나사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연통관(51)에는 외면에 나사공을 더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압입강관(300)을 가압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승강패널(50)의 연통관(51)에는 압입강관(300)이 관통되게 끼움된 후 고정되어, 상기 유압압착기(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50)이 이동하면서 상기 압입강관(300)을 지중에 압입하도록 된다.
상기 유압압착기(60)는 상기 축샤프트(40)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패널(50)에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50)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압착기(60)는 상기 축샤프트(40)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패널(50)의 상면에 용접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50)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승강패널(50)에 고정된 상기 압입강관(300)을 지중에 압입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압착기(60)는 축샤프트(40)들에 모두 체결되어, 총 4개를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압착기(60)는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상기 승강패널(50)을 가압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를 하부로 전진시키는 전진 유압부와, 상기 피스톤부를 상부로 후진시키는 후진 유압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진 유압부 작동시 상기 축샤프트(40)를 가압 고정하고, 상기 후진 유압부 작동 후 상기 축샤프트(40)의 가압 고정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부 후단에 구비되는 웨지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압압착기(60)는 관구조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압잭이다.
상기 상부고정패널(70)은 상기 축샤프트(40)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상부관통공(7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패널(7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패널(7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축샤프트(40)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안내홀이 형성된다.
상기 축샤프트(40)에는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상부고정패널(70)의 상면과 저면을 조이도록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고정패널(7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패널(70)에는 상부관통공(7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통공(71)에는 상기 압입강관(300)이 관통되게 끼움된다.
상기 지지관(80)에는 상기 엘샤프트(20)를 지지함과 아울러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탄성형지지가압수단(81)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지지가압수단(81)은, 상기 지지관(8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엘샤프트(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811)와, 상기 지지관(80)의 외면에 형성되는 작동홈(812)과, 상기 작동홈(812)에 일단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가압탄성코일스프링(813)과, 상기 가압탄성코일스프링(813)의 타단에 배면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814)과, 상기 가압패널(814)의 전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탄성코일스프링(81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엘샤프트(2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패널(8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탄성패널(815)의 전면부에는 상기 엘샤프트(20)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인입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엘샤프트(2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엘샤프트(20)가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관(80)에는 외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지지관(80)을 통해 상기 굴착공(100)의 내측 저면에 전달되어, 상기 압입강관(300)이 압입되는 과정에서 마찰되거나 걸림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압압착기(60)를 이용한 압입용 잭파일 머신 장치(10)의 설치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공(100)을 형성시키는 굴착공(100) 형성단계(S1)와, 상기 굴착공(100)의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을 형성시키는 굴착공(100) 수평걸림홈 형성단계(S2)와, 상기 굴착공(100)에 잭파일 머신 장치(10)의 엘샤프트(20)들을 끼우고 상기 엘샤프트(20)의 걸림돌기(21)를 상기 굴착공(10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굴착공(100) 엘샤프트(20) 체결단계(S3)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엘샤프트(20)를 지지하도록 상기 굴착공(100)에 지지관(80)을 체결하는 굴착공(100) 지지관(80)체결단계(S4)와, 상기 엘샤프트(20)들의 상단부에 연결하며 잭파일 머신 장치(10)의 설치를 완료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S5)와,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10)에 압입할 압입강관(300)을 체결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10) 압입강관(300) 체결단계를 거치면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S5)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S5-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90)은, 지면에 배치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잭파일 머신 장치 20 : 엘샤프트
21 : 걸림돌기 30 : 하부고정패널
31 : 하부관통공 40 : 축샤프트
50 : 승강패널 51 : 연통관
60 : 유압압착기 70 : 상부고정패널
71 : 상부관통공 80 : 지지관
81 : 탄성형지지가압수단 811 : 지지플랜지
812 : 작동홈 813 : 가압탄성코일스프링
814 : 가압패널 815 : 가압탄성패널
90 :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굴착공
200 : 수평홈 300 : 압입강관

Claims (2)

  1.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압입용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방법으로서,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형성단계;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을 형성시키는 굴착공 수평걸림홈 형성단계;
    상기 굴착공에 잭파일 머신 장치의 엘샤프트들을 끼우고 상기 엘샤프트의 걸림돌기를 상기 굴착공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굴착공 엘샤프트 체결단계;
    상기 엘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굴착공에 지지관을 체결하는 굴착공 지지관체결단계;
    상기 엘샤프트들의 상단부에 연결하며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에 압입할 압입강관을 체결하는 잭파일 머신 장치 압입강관 체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 설치단계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잭파일 머신 장치는 지면에 형성된 굴착공에 체결되는 엘샤프트들과,
    상기 엘샤프트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하부관통공이 형성된 하부고정패널과,
    상기 엘샤프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축샤프트와,
    상기 축샤프트들을 연결하며 끼움되어 승강되며,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통관이 끼움된 승강패널과,
    상기 축샤프트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패널에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을 승강시키는 유압압착기와,
    상기 축샤프트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끼움되고 상부관통공이 형성된 상부고정패널로 이루지며,
    상기 승강패널의 연통관에는 압입강관이 관통되게 끼움된 후 고정되어, 상기 유압압착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이 이동하면서 상기 압입강관을 지중에 압입하도록 되고,
    상기 굴착공에는 내면에 수평걸림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굴착공에 끼움되는 상기 엘샤프트에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굴착공에는 지지관이 더 끼움되고,
    상기 지지관의 외면과 상기 굴착공의 내면 사이에 상기 엘샤프트들이 배치되며,
    상기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은, 지면에 배치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의 설치방법.

  2. 삭제
KR1020220161322A 2022-11-28 2022-11-28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8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22A KR102588956B1 (ko) 2022-11-28 2022-11-28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22A KR102588956B1 (ko) 2022-11-28 2022-11-28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56B1 true KR102588956B1 (ko) 2023-10-12

Family

ID=8829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322A KR102588956B1 (ko) 2022-11-28 2022-11-28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560B1 (ko) * 2022-11-30 2024-05-23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배선 트렌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30B1 (ko) 2007-03-16 2008-01-04 이창남 압입강관말뚝 공법(PPP Pile 공법)
KR20140090493A (ko) * 2013-01-09 2014-07-17 (주)센구조연구소 강관말뚝 압입장치 및 압입 강관말뚝 공법
KR20150084258A (ko) * 2014-01-13 2015-07-22 황규원 ?지장치를 이용한 파일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두부정착방법
KR101809111B1 (ko) * 2017-03-28 2017-12-14 주식회사 동남이앤씨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20180109112A (ko) * 2017-03-27 2018-10-08 김인수 파일 압입 시 콘크리트 바닥두께 보강방법
KR20210084887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30B1 (ko) 2007-03-16 2008-01-04 이창남 압입강관말뚝 공법(PPP Pile 공법)
KR20140090493A (ko) * 2013-01-09 2014-07-17 (주)센구조연구소 강관말뚝 압입장치 및 압입 강관말뚝 공법
KR20150084258A (ko) * 2014-01-13 2015-07-22 황규원 ?지장치를 이용한 파일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두부정착방법
KR20180109112A (ko) * 2017-03-27 2018-10-08 김인수 파일 압입 시 콘크리트 바닥두께 보강방법
KR101809111B1 (ko) * 2017-03-28 2017-12-14 주식회사 동남이앤씨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20210084887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560B1 (ko) * 2022-11-30 2024-05-23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배선 트렌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nd supporting a building
CA2107489C (en) Device for driving a stake into the ground
KR102588956B1 (ko) 유압압착기를 이용한 트윈 유압 잭파일 머신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418978B1 (ko) 무용접 직결식 수평 볼팅 말뚝 이음 구조
CN104563116B (zh) 一种自动控制重锤夯击的施工设备
KR101427340B1 (ko) 강관말뚝 압입장치 및 압입 강관말뚝 공법
CN109915188B (zh) 一种高强稳阻可卸压回收锚杆及围岩变形监测方法
US11359344B2 (en) Barbed micropiles for soil reinforcement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CN102134861B (zh) 土体内预制桩试桩方法
JP2009167734A (ja) 耐震補強工事における補強鋼板の地中貫入方法及び補強鋼板貫入装置
US2014021222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Foundation
CN114592517B (zh) 带扩大桩靴桩身自重锤击施工工艺
KR102668052B1 (ko) 중대형 회전관입 조인트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820642B2 (ja) 既存構造物の解体時における浮力対策工法
CN210031803U (zh) 用于打桩设备的内外套管组件和打桩设备
CN108408635A (zh) 一种提升千斤顶装拆式承力与导向结合的组合架
KR101444916B1 (ko) 파일드라이버용 균형유지형 백텐션 탑시브
US7785039B1 (en) Pier driving and foundation lifting assembly
KR102024338B1 (ko)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JP4032711B2 (ja) 基礎杭施工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施工される基礎杭
KR102649072B1 (ko) 심도에 따른 다중 회전관입 파일 및 그 제조방법
CN206693236U (zh) 一种用于拔桩的连接架
EP1010815A1 (en) Splice for a drilled pile
KR102187920B1 (ko) 반력대를 이용한 압입강관말뚝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