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923B1 -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923B1
KR102588923B1 KR1020230070273A KR20230070273A KR102588923B1 KR 102588923 B1 KR102588923 B1 KR 102588923B1 KR 1020230070273 A KR1020230070273 A KR 1020230070273A KR 20230070273 A KR20230070273 A KR 20230070273A KR 102588923 B1 KR102588923 B1 KR 10258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tibacterial
paper
base pap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림
육기헌
Original Assignee
이하림
육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림, 육기헌 filed Critical 이하림
Priority to KR102023007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by contacting paper with a device carrying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02Metal coatings
    • D21H19/06Metal coatings applied as liquid or powd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70Multistep processes; Apparatus for adding one or several substances in portions or in various ways to the paper,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group of this main grou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페이퍼 타월에 향균 용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도포하여 페이퍼 타월에 장시간 지속 가능한 향균성이 더하여지도록 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기 위한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으로서, 원지를 마련하는 과정,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인출유닛에 원지를 결합하는 과정, 인출유닛이 원지를 인출하는 과정, 인출되어 이동하는 원지의 표면에 향균성 용액이 도포되도록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분사유닛이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드라이유닛이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폴딩유닛이 건조된 원지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겹치는 과정,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커팅유닛이 겹쳐진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는 과정,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가압유닛이 겹쳐진 상태에서 절단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분사유닛이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을 분사하는 과정 이전에 티트리 오일과 정제수 알코올이 함유된 향균성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antibacterial paper towels}
본 발명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페이퍼 타월에 향균 용액을 분사하여 페이퍼 타월에 장시간 지속 가능한 향균성이 더하여지도록 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퍼 타월은 원지를 가공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미용티슈나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크린티슈, 가정이나 사무실 및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일반 티슈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위생을 이유로 100% 천연펄프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원지에 향을 처리한 향 타월을 제조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페이퍼 타월이 개발되었고, 기능성 페이퍼 타월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날로 다양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후가공에 의하여 원지에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통상 액상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후가공 과정에서 원지에 효과적으로 향균 물질을 도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원지에 향균 물질이 효과적으로 도포되지 못하여, 원지에 향 처리가 정확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원지에 향균 처리가 정확하게 진행되어 사용자가 페이퍼 타월 사용시 정확하게 향을 느낄 수 있는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2-0003725 A1
본 발명은 페이퍼 타월에 향균 용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도포하여 페이퍼 타월에 장시간 지속 가능한 향균성이 더하여지도록 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기 위한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으로서, 원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인출유닛에 상기 원지를 결합하는 과정; 상기 인출유닛이 상기 원지를 인출하는 과정; 인출되어 이동하는 상기 원지의 표면에 향균성 용액이 도포되도록,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분사유닛이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드라이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상기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폴딩유닛이 건조된 상기 원지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겹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커팅유닛이 겹쳐진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가압유닛이 겹쳐진 상태에서 절단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을 분사하는 과정 이전에, 티트리 오일과 정제수 알코올이 함유된 상기 향균성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향균성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은, 라벤더 오일, 티트리 오일, 정제수 알코올 첨가 수용액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향균성 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상기 라벤더 오일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티트리 오일 2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정제수 알코올 0.1 중량% 내지 4 중량%, 상기 첨가 수용액 0.2 중량% 내지 1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 수용액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첨가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천연옥 40 중량% 내지 50 중량%, 게르마늄 5 중량% 내지 10중량 %, 맥반석 3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상기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은나노 액상을 1 중량% 내지 2 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상기 반죽을 일정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는 과정; 건조된 상기 건조물을 가열시켜 소성 가공하여 가공물을 제조하는 과정; 소성된 상기 가공물을 분쇄하여 분쇄물로 만들고, 만들어진 상기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상기 볼 형태로 가공된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여 첨가 수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만들어진 상기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은 정제수 혹은 함초, 당귀, 대추, 감초를 혼합한 약초수를 포함하며, 상기 약초수는, 상기 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함초 0.1 중량% 내지 0.2 중량%, 상기 당귀 0.1 중량% 내지 0.3 중량%, 대추 0.05 중량% 내지 0.2 중량%, 감초 0.1 중량% 이상 0.4 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 이후, 부피가 축소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포장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가 인출되는 제1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제2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 상기 인출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빠르다고 측정될 경우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되는 양을 증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느리다고 측정될 경우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원지가 탈착 가능한 인출유닛몸체; 상기 인출유닛몸체로부터 상기 제1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원지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원지를 상기 제1 이송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복수의 인출유닛롤러;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향균성 용액을 제조하는 분사유닛제조부; 상기 분사유닛제조부에 연결되며, 제조된 상기 향균성 용액이 저장되는 분사유닛저장부; 상기 분사유닛저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향균성 용액이 이동하는 경로인 분사유닛공급부; 복수의 상기 인출유닛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유닛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송방향 및 상기 제2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 가능한 분사유닛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인출유닛롤러 중 상기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유닛공급부가 연결되는 분사유닛몸체;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향균성 용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분사유닛이동배관;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분사유닛모터;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에 연결되는 분사유닛분사기; 상기 분사유닛분사기로 공급되는 상기 향균성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사유닛조절기; 및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에 연결되며,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분사유닛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분사유닛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는,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이동경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제어기는, 상기 인출유닛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재; 상기 측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재; 상기 판단부재가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빠르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재가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느리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좁게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향균성 용액을 액적 형태 혹은 미스트 형태로 분사한다.
상기 커팅유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팅유닛이 절단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적층시켜 그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가 되도록 직육면체 형태의 향균성 페이퍼 타월 묶음을 형성하는 적층유닛; 부피가 축소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유닛; 및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포장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측에 상기 가압유닛이 배치되는 운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운반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직육면체 형태의 향균성 페이퍼 타월 묶음을 그 상측에서 가압하고, 상기 드라이유닛은, 상기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유닛의 후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인출유닛롤러 중 후단측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상기 원지의 표면과 대향되게 온풍배출공이 형성된 건조케이스; 상기 건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 상기 건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상기 원지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온풍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온풍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드라이유닛에서 건조된 상기 원지의 제1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폴딩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폴딩판은, 상기 원지가 접히는 부분이 각각의 상기 폴딩판의 단부에 닿도록 상기 원지를 상기 제1 이송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상기 원지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폴딩판에 의해 양측이 접혀져 중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폴딩유닛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상기 원지가 통과하게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하는 커팅롤러와 커팅종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롤러는, 예각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종동롤러는, 직각커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팅롤러와 커팅종동롤러의 상호 회전에 의해 상기 커팅롤러의 예각커터와 상기 커팅종동롤러의 직각커터가 서로 부딪혀 상기 폴딩유닛으로 부터 공급되는 겹쳐진 상기 원지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적층유닛은, 일정구간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적층벨트; 상기 적층벨트의 전단 하방에 설치되어 적층벨트와 맞물리도록 회전되고, 적층벨트와 사이에 투입틈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투입안내롤러; 상기 커팅유닛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커팅유닛과 연동 작동되면서 커팅유닛에서 공급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겹쳐진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의 일부분을 가로로 접어 상기 투입틈으로 투입시키는 인서팅판; 상기 투입안내롤러의 후측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서팅판에 의해 투입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이 상기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운반유닛의 전측에 설치되는 안착롤러; 상기 안착롤러의 후측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롤러 상에 적층되는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롤러는, 자전하며 그 상측에 상부에 안착된 적층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상기 운반유닛을 향해 이송시킨다.
상기 분사유닛분사기는, 그 내부에 통로를 가지고 상기 향균성 용액이 분사되는 분사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 및 상기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의 내벽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규소와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영역과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구획은, 각 구획의 각 영역에서 최소 직경 및 최대 직경을 가지며, 최소 직경 및 최대 직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 구획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는 가지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최소 직경의 길이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최대 직경의 길이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하며, 상기 복수의 구획은, 상기 복수의 구획의 최대 직경의 길이 및 최소 직경의 길이가 모두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상기 복수의 구획 중 향균성 용액이 배출되는 구획의 후단부가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각 구획의 최소 직경의 길이들 중 가장 큰 값에 대한 가장 작은 값의 비율이 0.33 이상 내지 0.39 이하이고, 상기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벽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통로를 갖고, 상기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 및 상기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과 상기 제2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의 사이에 설치되고,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제3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유리(Na2O·nSiO2)와 산화철(Fe2O3)을 함유하고, 상기 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유리는, 산화나트륨(Na2O)에 대한 이산화규소(SiO2)의 몰비가 2 이상 내지 4 이하이며, 상기 코팅층은, 두께가 5㎜ 이상 내지 20㎜ 이하이고, 상기 운반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회전되어 상기 안착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휠;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휠은,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 상기 한쌍의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허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 상기 한쌍의 허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을 상기 패시브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 및 복수의 상기 패시브롤러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한쌍의 허브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 및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패시브롤러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패시브롤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는, 제1 허브부재와, 상기 제1 허브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부재는, 상기 제1 허브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브부재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서 상기 제2 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부재는,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 및 상기 어드헤시브층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헤시브층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고, 상기 앱솔션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퍼 타월에 향균 용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도포하여 페이퍼 타월에 장시간 지속 가능한 향균성이 더하여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할때 까지 페이퍼 타월에 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페이퍼 타월에 향균성 용액을 분사함에 있어서, 원지가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향균성 용액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원지에 균일하게 기 설정된 향균성 용액이 도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커팅유닛과, 적층유닛과, 운반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분사유닛과, 드라이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분사유닛분사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운반유닛의 운반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운반휠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커팅유닛과, 적층유닛과, 운반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분사유닛과, 드라이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분사유닛분사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운반유닛의 운반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운반휠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지를 향균성 페이퍼 타월로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이 진행되는 대상인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구조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는 인출유닛(110), 분사유닛(120), 드라이유닛(130), 폴딩유닛(140), 커팅유닛(150), 적층유닛(160), 운반유닛(170), 가압유닛(180), 포장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인출유닛(110)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의 원재료가 되는 원지(P)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지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유닛(110)은 인출유닛몸체(111) 및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유닛몸체(111)는 그 내부에 원지(P)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인출유닛몸체(111)는 인출유닛공급롤러(111a)를 구비하며 인출유닛몸체(111)에 결합된 원지(P)를 인출유닛롤러(112)로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는 인출유닛몸체(111)로부터 제1 이송방향(도 2 참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 상부에 원지(P)가 안착되고 안착된 원지(P)를 제1 이송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 벽체에 설치되거나, 혹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가 마련되는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유닛(120)은 향균성 용액(L)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 중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에 위치한 인출유닛롤러(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분사유닛(120)은 분사유닛제조부(121), 분사유닛저장부(122), 분사유닛공급부(123) 및 분사유닛분사부(124)를 포함한다.
분사유닛제조부(121)는 향균성 용액(L)을 제조할 수 있다. 분사유닛제조부(121)는 라벤더 오일, 티트리 오일, 정제수 알코올 첨가 수용액을 마련하고, 향균성 용액(L) 100 중량%에 대해서, 라벤더 오일 40 중량% 내지 60 중량%, 티트리 오일 20 중량% 내지 30 중량%, 정제수 알코올 0.1 중량% 내지 4 중량%, 첨가 수용액 0.2 중량% 내지 1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향균성 용액(L)을 제조한다.
여기서, 분사유닛제조부(121)는 첨가 수용액을 마련함에 있어서, 첨가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천연옥 40 중량% 내지 50 중량%, 게르마늄 5 중량% 내지 10중량 %, 맥반석 3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제조된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은나노 액상을 1 중량% 내지 2 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며, 제조된 반죽을 일정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고, 건조된 건조물을 가열시켜 소성 가공하여 가공물을 제조하는 과정, 소성된 가공물을 분쇄하여 분쇄물로 만들고 만들어진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며, 볼 형태로 가공된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여 첨가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만들어진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은, 정제수 혹은 함초, 당귀, 대추, 감초를 혼합한 약초수를 포함한다. 또한, 약초수는 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함초 0.1 중량% 내지 0.2 중량%, 상기 당귀 0.1 중량% 내지 0.3 중량%, 대추 0.05 중량% 내지 0.2 중량%, 감초 0.1 중량% 이상 0.4 중량%을 포함한다.
분사유닛저장부(122)는 분사유닛제조부(121)에 연결되며, 제조된 향균성 용액(L)이 저장된다. 여기서, 분사유닛저장부(122)는 예컨데, 저장탱크일 수 있다. 한편, 분사유닛저장부(122)에서는 저장된 향균성 용액(L)에 포함된 불순물들이 분사유닛저장부(122) 바닥면으로 침전될 수 있다. 또한, 분사유닛저장부(122)는 분사유닛공급부(123)로 향균성 용액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인터록(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록은 분사유닛저장부(122)에서 분사유닛공급부(123)로 향균성 용액을 공급시키거나 혹은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분사유닛공급부(123)는 분사유닛저장부(122)에 연결되며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유닛공급부(123)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Bellows) 배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사유닛분사부(124)는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의 상측(중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분사유닛분사부(124)는 분사유닛공급부(123)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1 이송방향 및 제2 이송방향(도 2 참조)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상하방향(도 2 참조)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분사유닛분사부(124)는 분사유닛몸체(124a), 분사유닛이동배관(124b), 분사유닛모터(124c), 분사유닛분사기(124d), 분사유닛조절기(124e) 및 분사유닛제어기(124f)를 포함한다.
한편, 분사유닛이동배관(124b), 분사유닛모터(124c), 분사유닛분사기(124d),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각각 하나의 세트로서 하나의 분사유닛몸체(124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사유닛이동배관(124b), 분사유닛모터(124c), 분사유닛분사기(124d), 분사유닛조절기(124e)으로 이루어진 세트가, 3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분사유닛몸체(124a)는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 중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분사유닛공급부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분사유닛몸체(124a)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를 구성하는 벽체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혹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가 마련되는 작업장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은 분사유닛몸체(124a)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분사유닛몸체(124a)의 내부에서 분사유닛공급부(123)에 연통될 수 있다.
분사유닛모터(124c)는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설치되며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에 결합되며 분사유닛이동배관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원지(P)에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그 내부에 통로를 가지고 향균성 용액(L)이 분사되는 분사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 및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의 내벽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규소와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코팅층(124db)을 포함한다.
통로(124daa)는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영역(D)과 직경이 점차 증가(I)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획(124daaa)을 가진다.
한편, 복수의 구획(124daaa)은, 각 구획의 각 영역에서 최소 직경 및 최대 직경을 가지며, 최소 직경 및 최대 직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 구획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는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구획(124daaa)은 복수의 구획(124daaa)의 최소 직경의 길이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하거나, 혹은 복수의 구획(124daaa)의 최대 직경의 길이가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구획(124daaa)은 복수의 구획(124daaa)의 최대 직경의 길이 및 최소 직경의 길이가 모두 향균성 용액의 분사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도 있다.
복수의 구획(124daaa)은 복수의 구획(124daaa) 중 향균성 용액이 배출되는 구획의 후단부가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영역(I)으로 형성되고, 각 구획의 최소 직경의 길이들 중 가장 큰 값에 대한 가장 작은 값의 비율이 0.33 이상 내지 0.39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분사유닛분사기(124d)의 향균성 용액(L)이 배출되는 단부에서 제트 기류가 형성될 수 있고, 분사유닛분사기(124d)가 향균성 용액(L)을 더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다.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은 향균성 용액(L)의 분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b), 향균성 용액(L)의 분사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벽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통로(124daa)를 갖고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b)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c) 및 제1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b)과 제2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c)의 사이에 설치되고 향균성 용액(L)의 분사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제3 향균성 용액 이동배관(124dad)을 포함한다.
한편, 코팅층(124db)은 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유리(Na2O·nSiO2)와 산화철(Fe2O3)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나트륨을 포함하는 물유리는, 산화나트륨(Na2O)에 대한 이산화규소(SiO2)의 몰비가 2 이상 내지 4 이하일 수 있다.
또하. 코팅층(124db)은 두께가 5㎜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일예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분사유닛분사기(124d)로 공급되는 향균성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유닛분사부(124)의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원지(P)를 향하여 향균성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은 분사유닛몸체(124a)에 설치되고, 분사유닛몸체(124a)에 결합된 분사유닛공급부(123)에 연통되며, 내부에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향균성 용액 이동경로(이하, 이동경로라 함)(124ba)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은 제1 배관(124bb) 및 제2 배관(124b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124bb)은 일방향(예컨데, 제1 이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배관(124bb)의 내부에 중공 부분이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이동경로(124ba)일 수 있다. 제1 배관(124bb)의 이동경로(124ba)는 분사유닛몸체(124a) 및 후술하는 분사유닛조절기(124e)의 몸체부재(124ea)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분사유닛몸체(124a)로부터 제1 배관(124bb)으로 향균성 용액(L)이 공급되고, 제1 배관(124bb)에서 몸체부재(124ea)로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124bb)은 분사유닛몸체(12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관(124bb)은 상술한 분사유닛모터(124c)에 의해 자전될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4bb)이 분사유닛몸체(124a)에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배관(124bc)은 제1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배관(124bc)의 내부에 중공 부분이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이동경로(124ba)일 수 있다. 제2 배관(124bc)은 분사유닛조절기(124e)의 몸체부재(124ea)와 분사유닛분사기(124d)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24ea)로부터 제2 배관(124bc)으로 향균성 용액(L)이 공급되고, 제2 배관(124bc)에서 분사유닛분사기(124d)로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할 수 있다.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분사유닛분사기(124d)로 공급되는 향균성 용액(L)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이동경로(124ba)의 개구된 정도를 조절하여 향균성 용액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의 제1 배관(124bb)과 제2 배관(124bc)이 연결되는 부분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분사유닛이동배관(124b)의 제1 배관(124bb)과 제2 배관(124bc)을 연결하도록, 이격된 제1 배관(124bb)과 제2 배관(124bc)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분사유닛조절기(124e)가 이격된 제1 배관(124bb)과 제2 배관(124bc) 사이에 마련되고, 제1 배관(124bb) 및 제2 배관(124bc)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분사유닛조절기(124e)는 제1 배관(124bb)의 상부 및 제2 배관(124bc)의 하부와 결합되는 몸체부재(124ea), 몸체부재(124ea)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절부재(124eb) 및 조절부재(124eb)에 연결된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24ea)는 제1 배관(124bb)의 이동경로(124ba)와 제2 배관(124bc)의 향균성 용액 이동경로와 연동되도록, 내부공간을 갖고,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그 타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재(124ea)의 내경(즉, 내부공간의 직경)은 제1 배관(124bb) 및 제2 배관(124bc)의 내경(즉, 향균성 용액 이동경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24ea)는 O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재(124ea)의 내부공간 중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 후술하는 조절부재(124e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24ea)의 내부공간 중 내부공간의 중심 부분이 향균성 용액(L)이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내부공간의 중심 부분이 이동경로(124ba)일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조절부재(124eb)가 내부공간의 중심부로 전개되며 이동경로(124ba)의 개구된 정도(즉,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조절부재(124eb)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조절부재(124eb)는 내부공간에서 이동경로(124ba)의 개구된 정도를 변경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향균성 용액의 유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조절부재(124eb)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재(124ea)의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내부공간의 중심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조절부재(124eb)는 오리피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24eb)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이동경로(124ba)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124eb)는 내부공간의 중심부, 즉 이동경로(124ba)를 향하여 향균성 용액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부재(124eb)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조절부재(124eb)의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조절부재(124eb)들은 내부공간에서 이동경로(124ba)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며, 이동경로(124ba)와 수직한 방향(즉, 제1 이송방향)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조절부재(124eb)는 일측이 몸체부재(124ea)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하며 이동경로(124ba)와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전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조절부재(124eb)들의 타측은 일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부재(124eb)들이 포개지는 부분은, 향균성 용액 이동경로를 통과하는 향균성 용액(L)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즉, 각각의 조절부재(124eb)들은 내부공간을 이동하는 향균성 용액의 유량 조절시, 조절부재(124eb)들이 포개지는 부분이 균일한 비율로 증감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조절부재(124eb)는 내부공간의 향균성 용액(L)의 유량 조절을 위해, 이동경로(124ba)의 개구율을 균일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재(124eb)의 유량 조절 방식은 보통 카메라의 광의 노출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방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써, 내부공간 중심부의 이동경로(124ba)의 개구율을 일정한 비율로 증감할 수 있다.
구동부재(미도시)는 조절부재(124eb)를 이동시키도록, 조절부재(124eb)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는, 회전체, 모터, 제1 톱니, 제2 톱니, 및 제3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몸체부재(124ea)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의 중심은 향균성 용액이 통과되도록 개방되며, 개방된 중심 영역은 내부공간 내에 이동경로(124ba)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체는 모터로부터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2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 기어가 회전되면,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톱니는 모터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톱니와 제2 톱니 및 회전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3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한다. 즉,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한다.
제3 톱니는 회전체의 내측벽을 따라 조절부재(124eb)들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각각의 제3 톱니들은 내부공간의 중심부의 향균성 용액 이동경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설치된다. 제3 톱니는 몸체부재(124ea) 내부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들은 제3 톱니의 회전 중심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들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조절부재(124eb)들은 이동경로(124ba)의 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가 조절부재(124eb)들을 구동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분사유닛조절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다른 분사유닛조절기의 조절부재 및 구동부재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절부재(124eb')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내부공간에서 이동경로(124ba)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부공간에서 이동경로(124ba)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24eb')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124eb')는 일단이 몸체부재(124e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몸체부재(124ea')의 타단이 내부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124eb')들의 타단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124eb')들의 타단부가 내부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회전 이동하면 이동경로(124ba)의 직경(또는, 폭)이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조절부재(124eb')들의 타단부가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면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직경(또는, 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조절부재(124eb')들을 연결해줄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조절부재(124eb')가 회전하면, 다른 조절부재(124eb')들도 연결부재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24eb')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고, 연결부재는 일 조절부재(124eb')의 일측 돌기와, 다른 조절부재(124eb')의 타측 돌기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절부재(124eb')에 구비된 돌기는 연결부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124eb')들이 펴졌을 때는 돌기가 연결부재의 외곽부로 이동하고, 조절부재(124eb')들이 이동경로(124ba) 내부로 밀렸을 때는 돌기가 연결부재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는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재의 로드 부분이 복수개의 조절부재(124eb') 중 어느 하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재의 로드 부분이 향균성 용액(L)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중심부를 향하여 전진하면, 조절부재(124eb')가 내부공간의 중심부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재의 로드 부분이 몸체부재(124ea') 내부로 후진하면, 조절부재(124eb')가 내부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124eb')들이 회전 이동한 정도에 따라 내부공간의 이동경로(124ba)의 직경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제2 배관(124bc)에 결합되며 향균성 용액(L)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향균성 용액(L)를 배출하는 단부가 인출유닛롤러(112)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2 배관(124bc)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분사유닛분사기(124d)는 분사유닛몸체(124a)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제1 배관(124bb)에 의해 좌우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향균성 용액(L)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분사유닛분사기(124d)의 단부에는 향균성 용액(L)를 액적 형태 혹은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기 위해, 배플(baffle)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플은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분사유닛분사기(124d)의 단부에서 향균성 용액(L)이 배플과 충돌하며, 액적 형태 혹은 미스트 형태의 작은 입자로 변하여 인출유닛롤러(112) 상에서 이동하는 원지(P)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유닛제어기(124f)는 분사유닛몸체(124a)에 설치되고, 분사유닛조절기(124e)에 연결되며 원지(P)의 이송속도를 측정하여 분사유닛조절기(124e)의 구동을 제어하여 분사유닛분사기(124d)에서 분사되는 향균성 용액(L)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분사유닛제어기(124f)는 측정부재(124fa), 판단부재(124fb) 및 제어부재(124fc)를 포함한다.
측정부재(124fa)는 인출유닛롤러(112) 상에서 이송되는 원지(P)의 이송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재(124fa)는 분사유닛몸체(124a)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측정부재(124fa)는 광학식 회전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재(124fa)는 원지(P)가 제1 이송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인출유닛롤러(112)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판단부재(124fb)는 측정부재(124fa)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재(124fc)는 판단부재(124fb)가 원지(P)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빠르다고 판단할 경우 조절부재(124eb)가 이동경로(124ba)를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시키도록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판단부재(124fb)가 원지(P)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느리다고 판단할 경우 조절부재(124eb)가 이동경로(124ba)를 상대적으로 좁게 개방시키도록 구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유닛(130)은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된 원지(P)를 건조시킬 수 있다.
드라이유닛(130)은 건조케이스(131), 히터(132), 온풍배출팬(133)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케이스(131)는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분사유닛(120)의 후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인출유닛롤러(112) 중 후단측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112)들 사이에 배치되며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된 원지의 표면과 대향되게 온풍배출공(131a)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132)는 건조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온풍배출팬(133)은 건조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되고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된 원지(P)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게 히터(13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배출공(131a)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유닛(130)에는 온풍배출공(131a)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히터(132)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조절기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온풍배출공(131a)에서 배출되는 온풍의 온도는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원지(P)가 수분함유율이 10% 내지 20%가 유지될 수 있도록 건조시킬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폴딩유닛(140)은 드라이유닛(130)에 의해 건조된 원지(P)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원지(P)가 겹쳐지게 하는 부분이다. 폴딩유닛(140)은 넓은 면적으로 공급되는 원지(P)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좁은 면적의 원지(P)를 형성함으로써 후공정인 원지(P)를 롤형태로 권취시키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폴딩유닛(140)은 드라이유닛에서 건조된 원지(P)의 진행방향(즉, 제1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폴딩판(141,142)으로 구성되되, 원지(P)가 접히는 부분이 각각의 폴딩판(141,142)의 단부에 닿도록 원지(P)를 진행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원지(P)가 진행함에 따라 폴딩판(141,142)에 의해 양측이 접혀져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한쌍의 폴딩판(141,142)은 지그재그로 마주보게 다수개 설치될 수 있는 데, 폴딩판이 설치되는 갯수에 따라 원지(P)가 세로로 접혀지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폴딩판이 n개 설치될 경우 원지(P)는 접혀지는 부분이 n개가 되어 원지(P)가 n번 만큼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폴딩판을 통해 원지(P)를 세로로 지그재그로 접혀지게 하면 원지(P)를 다수번 접혀지게 하여 후공정인 원지(P)를 롤형태로 권취시키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접혀진 원지(P)는 내면는 내면끼리 면접촉되고 외면은 외면끼리 면접촉되고 원지(P)의 단부가 항상 노출되게 되므로, 압착후 물을 부어 향균성 페이퍼 타월(T)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양손으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의 양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1회에 펼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보다 배가될 수 있다.
커팅유닛(150)은 폴딩유닛(14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원지(P)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커팅유닛(150)은 폴딩유닛(14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원지(P)가 통과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팅롤러(151)와 커팅종동롤러(152)로 이루어진다. 즉, 커팅유닛(150)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예각커터(151a)가 장착된 커팅롤러(151)와, 커팅롤러(151)와 연동하여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직각커터(152a)가 장착된 커팅종동롤러(152)로 이루어져 폴딩유닛(140)에 의해 공급되는 원지(P)를 커팅롤러와 커팅종동롤러의 상호 회전에 의해 컷팅롤러의 예각커터(151a)와 컷팅종동롤러의 직각커터(152a)가 서로 부딪혀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킨다. 여기서, 커팅롤러와 커팅종동롤러에는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예각커터 및 직각커터가 삽입되어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예각커터 또는 직각커터를 교환할 경우 교환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팅유닛(150)의 하방에는 커팅유닛에서 컷팅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가 자연 낙하됨이 없이 일정속도로 공급되도록 원단을 홀딩(HOLDING)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팅유닛(150)은 커팅롤러(151) 및 커팅종동롤러(152)와 연동하여서 회전되는 홀딩롤러(153)와, 홀딩롤러(153)와 연동하여서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홀딩종동롤러(154)와, 홀딩종동롤러(154)와 연동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홀딩종동롤러(154)의 상측에 설치된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와,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와 연동하여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홀딩롤러(153)의 상부에 설치된 홀딩아이들롤러(155)와, 홀딩아이들롤러(155)와 홀딩롤러(153)가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와 홀딩종동롤러(154)가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컷팅된 원지(P)가 유동됨이 없이 공급되도록 홀딩아이들롤러(155)와 홀딩롤러(153) 그리고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와 홀딩종동롤러(154)를 각각 연결시키는 탄성벨트(157)로 이루어진다. 즉, 커팅되어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된 원지(P)는 이후 홀딩아이들롤러(155)와 홀딩종동아이들롤러(156)로 유입되고 유입되어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은 탄성벨트(157)들 사이로 공급된 후 탄성벨트(157)들과 접촉에 의해서 일정한 속도로 후술하는 적층유닛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적층유닛(160)은 커팅유닛(150)에서 공급되는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적층시켜 그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가 되도록 직육면체 형태의 향균성 페이퍼 타월(T) 묶음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적층유닛(160)은 일정구간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적층벨트(161)와, 적층벨트(161)의 전단 하방에 설치되어 적층벨트(161)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적층벨트(161)와 사이에 투입틈(161a)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투입안내롤러(162)와, 커팅유닛(150)의 하방에 설치되고 커팅유닛과 연동 작동되면서 커팅유닛(150)에서 공급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의 일부분을 가로방향으로 접어 투입틈(161a)으로 투입시키는 인서팅판(163)과, 투입안내롤러(162)의 후측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인서팅판(163)에 의해 투입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운반유닛(170)의 전측에 설치되는 안착롤러(164) 및 안착롤러(164)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착롤러(164) 상에 적층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지지하는 지지판(1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층벨트(16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안착롤러(164)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인입되는 과정에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지지판(165)의 일면에 접촉되며 그 위치가 안착롤러(164) 상에 일정하게 정렬된다. 이에, 낱개로 인입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직육면체 형태의 향균성 페이퍼 타월(T) 묶음이 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높이 혹은 기 설정된 개수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적층되면, 지지판(165)이 하강되고, 지지판(165)의 하강이동에 연동하여 안착롤러(164)가 자전할 수 있다. 이에, 적층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이 이송공간(S)으로 이동(즉, 운반유닛(170) 상으로 이동)된다. 한편, 투입안내롤러(162)와, 안착롤러(164)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16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반유닛(170)은 적층유닛(160)과 포장유닛(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측에 상기 가압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운반유닛(170)은 예컨데 레일 구조 혹은 복수의 롤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운반유닛(170)은 후술되는 가압유닛(180)이 향균성 페이퍼 타월(T) 묶음을 가압할 수 있도록,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운반유닛(170)은 운반휠(171)을 포함한다.
운반휠(117)은 허브(117a), 패시브롤러(117b), 구동롤러샤프트(117c), 지지링(117d), 회전유도체(117e) 및 타이어부재(117f)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휠(117)은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117a), 한쌍의 허브(117a)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허브(117a)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117b),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한쌍의 허브(117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17c), 한쌍의 허브(117a)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시브롤러(117b)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시브롤러(117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117d), 지지링(117d)을 패시브롤러(117b)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117e)를 포함한다.
한편, 회전유도체(117e)는 한쌍의 허브(117a)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117ea) 및 회전유도체샤프트(117ea)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회전유도체샤프트(117ea)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지지링(117d)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117eb)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링(117d)은 패시브롤러(117b)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패시브롤러(117b)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117da)을 형성하고 함몰홈(117da)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된다.
또한, 한쌍의 허브(117a)는 제1 허브부재(117aa)와, 제1 허브부재(117a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117a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허브부재(117aa)는 제1 허브부재(117aa)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허브부재(117aa)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117aaa), 그 내부에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17c)가 삽입되고 복수의 가이드슬릿(117aa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117aab) 및 복수의 가이드슬릿(117aaa)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베어링(117aab) 각각을 지지하며, 복수의 가이드슬릿(117aaa)에서 제2 베어링(117aa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슬릿(117aa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117aac)를 포함한다.
타이어부재(117f)는 트레드부(117fa), 사이드월부(117fb), 비드부(117fc), 카카스층(117fd), 비드 코어(117fe), 벨트층(117ff)을 포함한다.
트레드부(117fa)는 레일유닛바디(121)의 상부와 접하는 부분으로, 레일유닛바디(121)에 쌓일 수 있는 먼지 및 불순물로부터의 충격, 외상으로부터 패시브롤러(117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7fa)의 표면에는 타이어의 배수성 향성을 위해 그루브(groove)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블록들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17fb)는 트레드부(117fa)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부재(117f)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주행 중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작용을 견디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17fd)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17fc)는 사이드월부(117fb)의 양단에 구비되어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비드부(117fc)는 링 형태의 강선재를 포함하는 비드 코어(117fe)를 포함한다.
즉, 좌우 한 쌍의 비드부(117fc) 사이에는 카카스층(117fd)이 위치하며 타이어부재(117f) 내부에서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카카스층(117fd)이 비드 코어(117fe) 주위를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아 올라가고 있다.
카카스층(117fd)의 내측의 일면상에는 내부고무층(117fg)이 위치한다.
트레드부(117fa)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17fd)의 외측면에는 트레드부의 탄성을 높이고, 조종성 및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보강층으로서 벨트층(117ff)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타이어부재(117f)는 내부고무층(117fg), 내부고무층(117fg)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117fh) 및 어드헤시브층(117fh)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117fi)을 더 포함한다.
어드헤시브층(117fh)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편,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다.
또한, 앱솔션층(117fi)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가압유닛(180)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운반유닛(170) 상에 일시 정지된 직육면체 형태의 향균성 페이퍼 타월(T) 묶음을 그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가압유닛(180)은 예컨데,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유닛(미도시)은 부피가 축소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포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유닛은 대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원지를 마련하는 과정(S120),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인출유닛(110)에 원지(P)를 결합하는 과정(S130), 인출유닛(110)이 원지(P)를 인출하는 과정(S140), 인출되어 제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원지(P)의 표면에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되도록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분사유닛(120)이 원지(P)에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하는 과정(S150),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드라이유닛(130)이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된 원지(P)를 건조시키는 과정(S160),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폴딩유닛(140)이 건조된 원지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겹치는 과정(S170),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커팅유닛(150)이 겹쳐진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제조하는 과정(S180),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가압유닛(180)이 겹쳐진 상태에서 절단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S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분사유닛(120)이 원지(P)에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하는 과정을 분사하는 과정(S150) 이전에, 티트리 오일과 정제수 알코올이 함유된 향균성 용액(L)을 준비하는 과정(S110)을 더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향균성 용액(L)이 상술한 과정들 중 제일 먼저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향균성 용액(L)이 준비될 수 있다(S110).
먼저, 라벤더 오일, 티트리 오일, 정제수 알코올 첨가 수용액을 마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첨가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천연옥 40 중량% 내지 50 중량%, 게르마늄 5 중량% 내지 10중량 %, 맥반석 3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은나노 액상을 1 중량% 내지 2 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조된 반죽을 일정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건조된 건조물을 가열시켜 소성 가공하여 가공물을 제조할 수 잇다.
이후, 소성된 가공물을 분쇄하여 분쇄물로 만들고, 만들어진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후, 볼 형태로 가공된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여 첨가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향균성 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라벤더 오일 40 중량% 내지 60 중량% 티트리 오일 20 중량% 내지 30 중량% 정제수 알코올 0.1 중량% 내지 4 중량% 첨가 수용액 0.2 중량% 내지 1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이후, 원지(P)를 마련(S120)하고,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인출유닛(110)에 원지(P)를 결합(S130)하여, 인출유닛(110)이 원지(P)를 인출하는 과정(S140)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후, 인출되어 이동하는 원지(P)의 표면에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되도록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분사유닛(120)이 원지(P)에 상기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할 수 있다(S150).
우선, 분사유닛(120)Dl 원지(P)가 인출되는 제1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제2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원지(P)에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할 수 있다.
이후, 인출유닛(110)에 의해 이동하는 원지(P)의 이속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송속도에 따라 분사유닛(120)이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유닛(120)이 향균성 용액(L)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원지(P)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빠르다고 측정될 경우 향균성 용액(L)의 분사되는 양을 증가시키키고, 원지(P)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느리다고 측정될 경우 향균성 용액(L)의 분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드라이유닛(130)이 향균성 용액(L)이 도포된 원지(P)를 건조시킬 수 있다(S160).
이후,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폴딩유닛(140)이 건조된 원지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겹칠 수 있다(S170).
이후,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커팅유닛(150)이 겹쳐진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제조할 수 있다(S180).
이후,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가압유닛(180)이 겹쳐진 상태에서 절단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S19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은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 이후, 부피가 축소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포장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부피가 축소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을 포장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과정은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운반유닛(170)에 의해 수행되고, 운반유닛(170)에 의해 운반된 향균성 페이퍼 타월(T)은 상술한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100)의 포장유닛(미도시)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퍼 타월에 향균 용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원지에 향균성 용액을 도포하여 페이퍼 타월에 장시간 지속 가능한 향균성이 더하여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할때 까지 페이퍼 타월에 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페이퍼 타월에 향균성 용액을 분사함에 있어서, 원지가 이송되는 속도에 대응하여 향균성 용액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원지에 균일하게 기 설정된 향균성 용액이 도포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 110: 인출유닛
120: 분사유닛 130: 드라이유닛
140: 폴딩유닛 150: 커팅유닛
160: 적층유닛 170: 운반유닛
180: 가압유닛

Claims (3)

  1.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기 위한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으로서,
    원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인출유닛에 상기 원지를 결합하는 과정;
    상기 인출유닛이 상기 원지를 인출하는 과정;
    인출되어 이동하는 상기 원지의 표면에 향균성 용액이 도포되도록,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분사유닛이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드라이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이 도포된 상기 원지를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폴딩유닛이 건조된 상기 원지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겹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커팅유닛이 겹쳐진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겹쳐진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제조하는 과정;
    상기 페이퍼 타월 제조장치의 가압유닛이 겹쳐진 상태에서 절단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을 분사하는 과정 이전에, 티트리 오일과 정제수 알코올이 함유된 상기 향균성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향균성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은,
    라벤더 오일, 티트리 오일, 정제수 알코올 첨가 수용액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향균성 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상기 라벤더 오일 4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티트리 오일 2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정제수 알코올 0.1 중량% 내지 4 중량%, 상기 첨가 수용액 0.2 중량% 내지 1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 수용액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첨가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해서, 천연옥 40 중량% 내지 50 중량%, 게르마늄 5 중량% 내지 10중량 %, 맥반석 3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상기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은나노 액상을 1 중량% 내지 2 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과정;
    제조된 상기 반죽을 일정 크기의 덩어리로 만든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는 과정;
    건조된 상기 건조물을 가열시켜 소성 가공하여 가공물을 제조하는 과정;
    소성된 상기 가공물을 분쇄하여 분쇄물로 만들고, 만들어진 상기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상기 볼 형태로 가공된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여 첨가 수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만들어진 상기 분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은 정제수 혹은 함초, 당귀, 대추, 감초를 혼합한 약초수를 포함하며,
    상기 약초수는, 상기 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함초 0.1 중량% 내지 0.2 중량%, 상기 당귀 0.1 중량% 내지 0.3 중량%, 대추 0.05 중량% 내지 0.2 중량%, 감초 0.1 중량% 이상 0.4 중량%을 포함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가압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 이후, 부피가 축소된 상기 향균성 페이퍼 타월을 포장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가 인출되는 제1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제2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과정;
    상기 인출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량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빠르다고 측정될 경우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되는 양을 증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원지의 이속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보다 느리다고 측정될 경우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원지가 탈착 가능한 인출유닛몸체;
    상기 인출유닛몸체로부터 상기 제1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원지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원지를 상기 제1 이송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복수의 인출유닛롤러;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향균성 용액을 제조하는 분사유닛제조부;
    상기 분사유닛제조부에 연결되며, 제조된 상기 향균성 용액이 저장되는 분사유닛저장부;
    상기 분사유닛저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향균성 용액이 이동하는 경로인 분사유닛공급부;
    복수의 상기 인출유닛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유닛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송방향 및 상기 제2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 가능한 분사유닛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인출유닛롤러 중 상기 제1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에 배치된 인출유닛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유닛공급부가 연결되는 분사유닛몸체;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향균성 용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분사유닛이동배관;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분사유닛모터;
    상기 원지에 상기 향균성 용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에 연결되는 분사유닛분사기;
    상기 분사유닛분사기로 공급되는 상기 향균성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유닛이동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사유닛조절기; 및
    상기 분사유닛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에 연결되며,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분사유닛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상기 향균성 용액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분사유닛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조절기는,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이동경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제어기는,
    상기 인출유닛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재;
    상기 측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된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재;
    상기 판단부재가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빠르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재가 상기 원지의 이송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느리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좁게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향균성 용액을 액적 형태 혹은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KR1020230070273A 2023-05-31 2023-05-31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KR10258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273A KR102588923B1 (ko) 2023-05-31 2023-05-31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273A KR102588923B1 (ko) 2023-05-31 2023-05-31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23B1 true KR102588923B1 (ko) 2023-10-12

Family

ID=8829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273A KR102588923B1 (ko) 2023-05-31 2023-05-31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75B1 (ko) * 2009-01-30 2009-08-11 최지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
KR20120003725A (ko) 2010-07-05 2012-01-11 씨앤텍 주식회사 클렌징 티슈와 그 제조방법
KR20140060424A (ko) * 2012-11-09 2014-05-20 이래마케팅(주)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40068709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101984172B1 (ko) * 2018-01-12 2019-05-31 (주)나노피엔씨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레이더 차폐원단 상에 적외선 차폐용액을 코팅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레이더 차폐원단
KR20190075535A (ko) * 2017-12-21 2019-07-01 (주)나노피엔씨 롤투롤 방식의 전처리 코팅장치가 이용되는 전처리 코팅 섬유원단
KR20210112589A (ko) * 2020-03-05 2021-09-15 조남호 소독용 세정 용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75B1 (ko) * 2009-01-30 2009-08-11 최지호 항균압착티슈 제조장치
KR20120003725A (ko) 2010-07-05 2012-01-11 씨앤텍 주식회사 클렌징 티슈와 그 제조방법
KR20140060424A (ko) * 2012-11-09 2014-05-20 이래마케팅(주)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40068709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90075535A (ko) * 2017-12-21 2019-07-01 (주)나노피엔씨 롤투롤 방식의 전처리 코팅장치가 이용되는 전처리 코팅 섬유원단
KR101984172B1 (ko) * 2018-01-12 2019-05-31 (주)나노피엔씨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레이더 차폐원단 상에 적외선 차폐용액을 코팅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레이더 차폐원단
KR20210112589A (ko) * 2020-03-05 2021-09-15 조남호 소독용 세정 용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832B2 (en) Pack of interfolded tissues with enhanced dispensing
MX2012014954A (es) Estructuras fibrosas para rollos de alta densidad.
US8623248B2 (en) Methods for producing nonwoven materials from continuous tow bands
US9080262B2 (en) Apparatus for bulking nonwoven fabric
KR102588923B1 (ko) 향균성 페이퍼 타월 제조방법
CN106012396B (zh) 使无纺布的体积恢复的方法和装置
US5023126A (en) Composite towels and method for making composite towels
ITVI20080261A1 (it) Utensile per la tracciatura di strisce e linee decorative.
RU2020114748A (ru) Безгильзовый рулон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лис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684927B2 (en) Discretiz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2109469A (zh) 一种财务用智能装订装置
CN105643737B (zh) 木质薄板低温等离子体改性和微量施胶一体化装置
US20140238295A1 (en) Equipment and processes for the application of atomized fluid to a web substrate
EA004191B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е и/или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ое изделие на основе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US10850937B2 (en) Tail sealing apparatus
KR20080008002A (ko) 탤컴 파우더를 함유한 물티슈와 그 제조장치
CN111604195A (zh) 一种用于地板生产具有防堵塞结构的淋涂机
US20150327734A1 (en) Stack of folded absorbent sheet products, use of the same in a dispenser, method and 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5466705U (zh) 防水纸面石膏板加工装置
CN202878758U (zh) 一种自动生产冷气格滤芯的装置
ITVI20120100A1 (it)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una miscela, preferibilmente schiuma.
CN204217884U (zh) 一种卷烟滤嘴双层纸质基材的加工装置
CN106671555B (zh) 一种包装盒用齿形纸壳加工流水线
CN219965376U (zh) 一种可均匀涂胶的海绵涂胶装置
EP0942891A1 (en) Assembly of webs having staggered edge f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