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895B1 -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 Google Patents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95B1
KR102588895B1 KR1020210113991A KR20210113991A KR102588895B1 KR 102588895 B1 KR102588895 B1 KR 102588895B1 KR 1020210113991 A KR1020210113991 A KR 1020210113991A KR 20210113991 A KR20210113991 A KR 20210113991A KR 102588895 B1 KR102588895 B1 KR 10258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pring
spring
deployment
tap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1585A (en
Inventor
정근성
고관호
강창수
임재혁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1011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895B1/en
Publication of KR2023003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B64G1/2229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characterised by the deployment actu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03G1/02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using spir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6Other parts or details
    • F03G1/10Other parts or details for producing output movement other than rotary, e.g. vibra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41Telescoping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에 있어서, 복합재로 성형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변형 에너지를 가지는 테이프 스프링 및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는'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스프링이 설치되어, 각 면이 외력에 의해 수납 또는 전개 상태가 되는 상기 테이프 스프링과의 선 접촉을 통해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which is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formed into an 'L' shape including a tape spring that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has strain energy, and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The tape spring is installed, and each side can be provided with a deployment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bracket that fixes the position through line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in a stored or deployed state by external force.

Description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본 발명은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또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기적/기계적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 스프링의 변형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는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t has a stabl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to have another stable structure, and can provide electrical/mechanical power. This relates to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that can be deployed using only the strain energy of the tape spring without using a device.

전개 구조물은 보관 또는 수송 목적을 위해 일시적으로 크기를 축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Deployable structures ar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when there is a need to temporarily reduce their size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purposes.

이러한 전개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항공 분야로 위성, 우주선 등의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다.One of the fields in which these deployable structures are used is the aviation field, where they are being applied to structures such as satellites and spacecraft.

다른 분야로 선박 분야를 들 수 있는데, 일 예로 마스트(Mast)는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 돛대가 결합되는 기둥으로써, 경량화를 위해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길이가 약 15~25m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마스트는 육상에서 수송에 어려움이 있어 한번에 그 길이 대로 제작되지 않고, 통상 분할 제작되며 전개 구조물이 적용되어 축소 보관하여 이송한 후 결합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Another field is the ship field. For example, a mast is a pillar that stands vertically on the deck on the center line of the hull and connects the mast. It i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to reduce weight and is about 15 to 25 meters in length. . Such long-length masts are difficult to transport on land, so they are not manufactured to that length at once. Instead, they are usually manufactured in segments, and deployed structures are applied to reduce them, store them, transport them, and then install them.

기존의 전개 구조물은 금형 성형을 통해 제작되고 있는데, 전개 구조물 크기의 금형을 통해 일괄 성형한 다음, 후가공으로 여러 단의 테이프 스프링을 구성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Existing deployment structures are manufactured through mold molding, which involves molding the structure in batches through a mold the size of the deployment structure and then constructing multiple stages of tape springs through post-processing.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구조물 크기에 대응되는 금형을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후가공 시 다량의 복합재 스크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When using this metho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d because a mol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tructure had to be manufactured and used,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tly, and there was a problem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composite scrap during post-processing.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95246호(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이 공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No. 10-1495246 (Structure Deployment Device and Artificial Satellite Equipped with the Same) has been disclosed.

또한 전개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수납 상태 시 축소될 수 있는 크기에 한계가 있었다.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ployed structure, there was a limit to the size that could be reduced when stor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또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기적/기계적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 스프링의 변형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는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bl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have another stable structure by rolling into a circular shape, and uses only the strain energy of the tape spring without using an electrical/mechanical power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that can be deploy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은 복합재로 성형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변형 에너지를 가지는 테이프 스프링 및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여'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스프링이 설치되어, 각 면이 수납 또는 전개 상태가 되는 상기 테이프 스프링과의 선 접촉을 통해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ape spring of the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from a composite material, and the tape spring and horizontal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length and have strain energy. A deployment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bracket that is formed in an 'ㄴ' shape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and is installed with the tape spring, and fixes the position through line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in which each side is in a stored or deployed state.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은, 일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면에 접착 고정되어, 전개 시 전개 길이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ape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is adhesive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ape spring, so that the deployment length is controlled when deployed.

또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에'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r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formed in a 'L' shape on the vertical portion and supports the tape spring.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이 부채꼴로 완전 복원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a height in the vertical portion at which the tape spring is completely restored to a fan shape, and supports the tape spring.

또한 상기 지지돌기의 폭은, 부채꼴로 완전 복원된 테이프 스프링의 횡단면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돌출길이는, 부채꼴로 완전 복원된 테이프 스프링의 횡단면의 높이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 spring completely restored into a fan shape,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 spring fully restored to a fan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또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은, 타단에서 일단으로 폭이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전개 시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져 전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pe spring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whose width gradually widens from the other end to one en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celera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when deployed, thereby preventing deployment shock.

또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자유도 구속을 위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접촉을 이루되, 접촉 부위에 굴곡 돌기가 형성되어 점 접촉을 유지하는 접촉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constrain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to constrai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ape spring, and maintains point contact by forming a curved protrusion at the contact portion. You can.

또한 접촉 구속부는,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중심프레임; 상기 중심프레임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형성되되, 굴곡 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접촉측면프레임 및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촉측면프레임에 연결되게 형성되되, 길이 수직방향으로 굴곡 돌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반경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restraint part includes a central fram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contact side frame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entral frame and formed with curved protrusions, and connected to the contact side frames located on both sides, and one or more contact radius frames formed with curved protru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may include.

또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상기 수평부 끝단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테이프와 점 접촉되는 굴곡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r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an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in point contact with the spring tap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접촉 구속부는, 상기 수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굴곡 돌기가 형성된 접촉내측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of 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ape spring of the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and has one or more curv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may include a contact inner fram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또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have a stabl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nother stable structure by rolling into a circular shape.

이에 수직하중이 특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수납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수직하중이 해제되면 길이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load is above a certain value, it can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stored, and when the vertical load is released, it can be deplo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전기적/기계적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 스프링의 변형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으며, 전개와 수납이 반복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deployed using only the strain energy of the tape spring without using an electrical/mechanical power device, and deployment and storage can be repeated.

또한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추가 케이싱이나 고정 장치 없이 상하좌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가볍고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without an additional casing or fixing device to support the tape spring, resulting in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하중 조건에 따라서 다수개의 조합을 통해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의 태양전지판 전개, 안테나 전개 등 우주 구조물에 활용될 수 있다.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used in space structures such as solar panel deployment and antenna deployment on artificial satellites or space stations through multiple combinations depending on load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과 원형 형태로 말려 다른 안정적인 구조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스프링 브라켓에서 끝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접착 고정되어 완전 전개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과 수납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2의 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도 1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ployment state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of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ape spring in a stable structural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ape spring in another stable structural state when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Figures 4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tape spring in a fully deployed state and the tape spring in a stored state, with the end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in the spring bracket and fixed by adhesiv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ing bracket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ring bracket of Figure 5.
Figure 7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Figure 2.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Figure 1.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ployment state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ing bracket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Figure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combinations of steps, components, etc.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 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과 원형 형태로 말려 다른 안정적인 구조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스프링 브라켓에서 끝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접착 고정되어 완전 전개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과 수납 상태인 테이프 스프링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a deployment structure to which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ure 2 is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deployed structure to which is applied, and Figures 3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tape spring in a stable structural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ape spring in another stable structural state when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Figures 4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ape spring in a fully deployed state and a tape spring in a stored state with the end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adhesively fixed in the spring bracket,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ape spring in a stored state.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ing bracket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of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ring bracket of FIG. 5, FIG. 7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of FIG. 2, and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1, 이하 '전개 구조물'이라 함)은 테이프 스프링(10) 및 스프링 브라켓(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deployment structur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 spring 10 and a spring bracket 20. may include.

한편, 테이프 스프링(10)은 복합재로 소형 금형을 통해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후 가공에 의한 다량의 복합재 스크랩 등의 폐기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tape spring 10 can be manufactured from a composite material by molding it through a small mold. Through thi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the generation of waste such as large amounts of composite scrap due to post-processing can be reduced.

여기서 사용되는 복합재는 탄소섬유 에폭시 복합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섬유, 열가소성 수지가 적용된 복합재, 또는 프리프레그 등 다양한 복합재가 적용될 수 있다.The composite material used here may be a carbon fiber epoxy composite, etc.,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composite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a composite material to which a thermoplastic resin is applied, or prepreg can be applied.

테이프 스프링(10)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횡단면이 부채꼴로 형성되어 횡단면의 반지름, 폭 및 두께가 일정비율을 가져 변형 에너지를 가지며 이중 안정 구조 특성을 보일 수 있다. The tape spring 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fan shape, so that the radius, width, and thickness of the cross-section have a constant ratio, so that it has strain energy and can exhibit bi-stab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이러한 테이프 스프링(10)의 두 가지 안정적인 구조 상태와 이에 따른 전개 및 수납 상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two stable structural states of the tape spring 10 and the corresponding deployment and storage stat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S. 3 and 4.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로 제작된 테이프 스프링(10)은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 상태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tape spring 10 made of composite material can be deplo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table structure.

이러한 테이프 스프링(10)은 테이프 스프링(10)의 부채꼴 반지름의 바깥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형태로 말려 다른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an-shaped radius of the tape spring 10, the tape spring 10 i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with a specific diameter, as shown in (b) of FIG. 3, and is in another stable structural state. It can b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테이프 스프링(10)이 스프링 브라켓(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전개와 수납이 반복적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테이프 스프링(10)의 일부 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tape spring 10 can be repeatedly deployed and stored in a stable state while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20, as shown in (a) of FIG. 4, one e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can be rolled up and adhesively fixed to some surfaces of the tape spring 10.

이에 테이프 스프링(10)은 스프링 브라켓(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개되면 일단이 원형 형태로 고정되어, 도 4의 (a)와 같은 전개 상태로 스프링 브라켓(2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최종적인 전개 길이가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ape spring 10 is deployed while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20, one end is fixed in a circular shape and can be placed on the spring bracket 20 in the deployed state as shown in (a) of Figure 4, and the final The deployment length can be controlled.

테이프 스프링(10)의 일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테이프 스프링(10)의 전개되는 속도와 힘에 의해 스프링 브라켓(20)에서 테이프 스프링(10)이 제한없이 전개되거나 아예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If one end of the tape spring 10 is not rolled and fixed in a circular shape, the tape spring 10 may be unfolded without limit or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pring bracket 20 due to the unfolding speed and force of the tape spring 10. Because you can.

또한 도 4의 (a)와 같은 전개 상태에서 테이프 스프링(10)의 부채꼴 반지름의 바깥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수납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형의 형태로 말린 상태를 다른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 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 도 4의 (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utside the fan-shaped radius of the tape spring 10 in the deployed state as shown in (a) of FIG. 4, the tape spring 10 can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placed in a stowed state. In this way, the stat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can be said to be another stable structural state, which will be explained through (b) of FIG. 4.

이러한 테이프 스프링(10)은 스프링 브라켓(20)에 설치되어 수납 상태가 될 경우에는 타단이 스프링 브라켓(20)의 지지돌기(21)에 의해 지지와 고정이 되기 때문에 도 4의 (b)와 같은 수납 상태로 스프링 브라켓(20)에 고정될 수 있다.When this tape spring (10) is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20) and stored, the other end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support protrusion (21) of the spring bracket (20), as shown in (b) of Figure 4. It can be fixed to the spring bracket 20 in a stored state.

즉, 스프링 브라켓(20)에 의하여 테이프 스프링(10)이 한 위치에서 전개와 수납이 반복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스프링 브라켓(20)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other words, the tape spring 10 can be repeatedly deployed and stored in one position by the spring bracket 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spring bracket 20.

도 4의 (b)와 같은 수납 상태에서 테이프 스프링(10)의 부채꼴 반지름의 안쪽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길이방향으로 전개가 되면서 도 4의 (a)와 같은 전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an-shaped radius of the tape spring 10 in the stored state as shown in (b) of FIG. 4, the tape spring 10 can be expa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stored to the deployed state as shown in (a) of FIG. 4.

이러한 구조가 반영되어 있어, 전개 구조물(1)은 도 1과 같은 수납 상태에서 고정이 해제되면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도 2와 같은 전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전개 상태에서 반지름의 바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도 1과 같은 수납 상태가 될 수 있어, 수납 상태와 전개 상태가 반복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As this structure is reflected, the deployment structure 1 can be deplo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released from the storage state as shown in FIG. 1 into a deployed state as shown in FIG. 2, and in the deployed state, force is exer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radius. When applied, it can be in a stowed state as shown in Figure 1, so the stowed state and deployed state can be repeated.

또한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수납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개 상태 대비 크기가 대폭 줄어들어 보관성과 이동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stored, the siz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deployed state, allowing for better storage and mobility.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 브라켓(20)은 테이프 스프링(10)이 설치되어 지지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수평부(20a)와 수직부(20b)를 포함하여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spring bracket 20 is a tape spring 10 installed to support and fix the position, and has an 'ㄴ'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part 20a and a vertical part 20b. can be formed.

스프링 브라켓(2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부(20a)와 수직부(20b)의 각 면이 수납 또는 전개 상태가 되는 테이프 스프링(10)과의 선 접촉을 통해 마찰력으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spring bracket 20 is formed in an 'ㄴ' shape, and each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0a and the vertical portion 20b is positioned by frictional force through line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10 in a stored or deployed state. can be fixed.

또한 스프링 브라켓(20)은 지지돌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ring bracket 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21.

지지돌기(21)는 수직부(20b) 상단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평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테이프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돌기(21)는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테이프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0b, and may have a flat cross-section in a 'ㄷ' shape to support the tape spring 10. Meanwhile,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support protrusions 2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take various forms capable of supporting the tape spring 10, such as being formed in an 'ㄱ' shape.

또한 지지돌기(21)는 테이프 스프링(10)을 보다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부(20b)에서 테이프 스프링(10)이 부채꼴로 완전 복원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테이프 스프링(1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21 is formed at a height where the tape spring 10 is completely restored to a fan shape in the vertical portion 20b so as to support the tape spring 10 more accurately, so as to support the tape spring 10. It may be desirable.

이는 부채꼴로 완전 복원되는 테이프 스프링(10)의 부분을 보다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보다 바람직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지지돌기(21)의 폭(W1)은 부채꼴로 완전 복원된 테이프 스프링의 횡단면의 폭(W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is is to more accurately support the part of the tape spring 10 that is fully restored to a fan shape. In order to support it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7, the width W 1 of the support protrusion 21 is fan-shaped. It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W 2 )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ully restored tape spring.

또한 수직부(20b)에서 지지돌기(21)의 돌출길이(L)는 부채꼴로 완전 복원된 테이프 스프링(10)의 횡단면의 높이(H)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L) of the support protrusion 21 in the vertical portion 20b may be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ape spring 10 that is fully restored to a fan shape.

이에 지지돌기(21)가 테이프 스프링(10)이 전개 또는 수납 될 시 부채꼴로 완전 복원되는 부분의 폭과 높이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지지하고 고정하여, 테이프 스프링(10)이 스프링 브라켓(20)에서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 21 more accurately supports and fixe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part where the tape spring 10 is fully restored to a fan shape when deployed or stored, so that the tape spring 10 is positioned in the spring bracket 20. can be firmly fixed.

또한 지지돌기(21)는 내면을 따라 볼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 스프링(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테이프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21 has a convex protrusion formed along its inner surface, so that it can support the tape spring 10 while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tape spring 10.

한편, 테이프 스프링(10)은 타단에서 일단으로 폭이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테이프 스프링(10)이 전개될 시 폭이 점차 넓어짐에 따라 지지돌기(21)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져 전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tape spring 10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whose width gradually widens from the other end to one end. As a result, when the tape spring 10 is deployed, the width gradually widens and the support protrusion 21 decelerates the tape spring 10. This can prevent deployment shock.

또한 스프링 브라켓(20)은 접촉 구속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ring bracket 20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접촉 구속부(22)는 테이프 스프링(10)의 자유도 구속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스프링 브라켓(20)에 설치되는 테이프 스프링(10)의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접촉되는 면에 따라 형태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is formed to restrai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ape spring 10, and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20. The shap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rface being contacted.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촉 구속부(22)는 테이프 스프링(10)의 외측 면과 접촉하는 형태로서,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하며, 내측 면과 접촉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contact restraint part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orm that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and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form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is described in the second This will be explained in examples.

접촉 구속부(22)는 테이프 스프링(10)의 외측 면과 접촉을 이루되, 접촉 부위에 굴곡 돌기(22a)가 형성되어 전개 또는 수납 시 테이프 스프링(10)과 점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and a curved protrusion 22a is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so that point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10 can be maintained when deployed or stored.

여기서, 굴곡 돌기(22a)는 단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 스프링(10)과 접촉이 이루어질 시 점 접촉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마찰에 의한 운동에너지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Here, the curved protrusion 22a has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so tha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10, it can make point contact. As a result, the reduction in kinetic energy due to friction can be minimized.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구속부(22)는 중심프레임(220), 접촉측면프레임(221) 및 접촉반경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restraint part 22 may include a center frame 220, a contact side frame 221, and a contact radius frame 222.

중심프레임(220)은 스프링 브라켓(2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entral frame 22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pring bracket 20,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또한 중심프레임(220)의 중심이 테이프 스프링(10)의 원형 형태로 말려 고정된 부분의 중심과 상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central frame 220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circularly rolled and fixed portion of the tape spring 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접촉측면프레임(221)은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중심프레임(22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일정 각도가 120°로 이루어져 각 중심프레임(220)을 기준으로 세 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ontact side frame 221 may be formed as a fram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center frame 220, where the certain angle is 120° and is divided into three frames based on each center frame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one by on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러한 접촉측면프레임(221)의 내측면에는 굴곡 돌기(22a)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 스프링(10)의 측면과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A curved protrusion 22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side frame 221, so that point contact can be mad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접촉반경프레임(222)은 원형 형태인 테이프 스프링(10)의 반경 측에 위치되도록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접촉측면프레임(221)에 연결되게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길이 수직방향으로 굴곡 돌기(22a)가 형성되어 테이프 스프링(10)의 반경 방향 면과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One or more contact radius frames 22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wo contact side frames 221 located on both sides so as to be located on the radius side of the circular tape spring 10, and may have curved protru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22a) is formed so that point contact can be made with the radial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구속부(22)가 테이프 스프링(10)의 외측 면(반경 방향 면 및 측면)과의 점 접촉을 통해 테이프 스프링(1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전개 또는 수납 시 불필요한 움직임이 없도록 하며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contact restraint part 22 more firmly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tape spring 10 through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radial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It prevents unnecessary movement when deploying or storing and makes operation easier.

또한 스프링 브라켓(20)은 굴곡 지지돌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ring bracket 20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support protrusion 23.

굴곡 지지돌기(23)는 수평부(20a) 끝단 측에서 폭 중심에 형성되고, 수평부(20a)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테이프 스프링(10)과 점 접촉을 통해 테이프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다.The bent support protrusion 2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at the end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0a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20a, and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10 to form a tape spring ( 10) can be supported.

이러한 굴곡 지지돌기(23)도 단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support protrusion 23 also has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스프링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9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a deployment structure us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ployed state of the deployed structure to which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ing bracket of the deployed structure to which a composite tape spring of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2 is a cross-section of FIG. 9 Thi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의 스프링 브라켓(20)의 접촉 구속부(22)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테이프 스프링(10)의 내측 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1, 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of the spring bracket 20 of 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ape spring of the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 may be formed to mak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여기서, 접촉 구속부(22)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개 구조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개 구조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Here, except for 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the deploy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ploy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따라서, 접촉 구속부(22)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접촉 구속부(22)는 테이프 스프링(10)의 내측 면과 접촉을 이루되, 접촉 부위에 굴곡 돌기(22a)가 형성되어 전개 또는 수납 시 테이프 스프링(10)과 점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The contact restraint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and a curved protrusion 22a is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so that point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10 can be maintained when deployed or stored.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구속부(22)는 지지프레임(223) 및 접촉내측프레임(224)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restraint part 22 may include a support frame 223 and an inner contact frame 224.

지지프레임(223)은 수직부(20b)에 형성될 수 있는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끝단이 수직부(20b)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데,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frame 223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portion 20b, and may be formed in a 'ㄷ' shape so that both ends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20b. However,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It can also be formed into a shape.

또한 지지프레임(223)은 내면을 따라 굴곡 돌기(22a)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dditionally, the support frame 223 may have curved protrusions 22a formed along its inner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접촉내측프레임(224)은 지지프레임(223)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링 형상, 원판 형상, 구 형상 등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ontact inner frame 224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23,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such as a ring shape, a disk shape, or a 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접촉내측프레임(224)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굴곡 돌기(22a)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개가 형성될 경우 외주면을 따라 120°의 각도로 이격되어 3개의 굴곡 돌기(2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act inner frame 224 may have one or more curved protrusions (22a)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en a plurality is formed, three curved protrusions (22a)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spaced apart at an angle of 120°. Preferred, but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접촉내측프레임(224)은 스프링 브라켓(20)에 설치되는 테이프 스프링(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테이프 스프링(10)의 내측 면과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테이프 스프링(10)의 원형 형태로 말려 고정된 부분의 내측 면과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is contact inner frame 224 is located inside the tape spring 10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20 and can make poin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10, and the tape spring 10 has a circular shape. Point contact can be mad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lled and fixed part.

이에 접촉 구속부(22)는, 도 12와 같이, 점 접촉을 통해 테이프 스프링(1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전개 또는 수납 시 불필요한 움직임이 없도록 하며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act restraint part 22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tape spring 10 more firmly through point contact, as shown in FIG. 12, to prevent unnecessary movement when deployed or stored, and to make the operation easier. .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또 하나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ployment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stabl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nother stable structure by rolling into a circular shape.

이에 수직하중이 특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원형의 형태로 말리면서 수납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수직하중이 해제되면 길이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load is above a certain value, it can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stored, and when the vertical load is released, it can be deplo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전기적/기계적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프 스프링의 변형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으며, 전개와 수납이 반복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deployed using only the strain energy of the tape spring without using an electrical/mechanical power device, and deployment and storage can be repeated.

또한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추가 케이싱이나 고정 장치 없이 상하좌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가볍고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without an additional casing or fixing device to support the tape spring, resulting in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하중 조건에 따라서 다수개의 조합을 통해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의 태양전지판 전개, 안테나 전개 등 우주 구조물에 활용될 수 있다.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used in space structures such as solar panel deployment and antenna deployment on artificial satellites or space stations through multiple combinations depending on load conditions.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bove, specific parts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전개 구조물
10: 테이프 스프링
20: 스프링 브라켓
20a: 수평부
20b: 수직부
21: 지지돌기
22: 접촉 구속부
22a: 굴곡 돌기
220: 중심프레임
221: 접촉측면프레임
222: 접촉반경프레임
223: 지지프레임
224: 접촉내측프레임
23: 굴곡 지지돌기
1. Deployment structure
10: tape spring
20: Spring bracket
20a: horizontal part
20b: vertical part
21: Support protrusion
22: contact restraint part
22a: bending protrusion
220: Center frame
221: Contact side frame
222: Contact radius frame
223: Support frame
224: Contact inner frame
23: Bend support protrusion

Claims (6)

이중 안전 구조의 복합재 테이프 스프링을 적용한 전개 구조물에 있어서,
복합재로 성형되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변형 에너지를 가지는 테이프 스프링 및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여'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스프링이 설치되어, 각 면이 수납 또는 전개 상태가 되는 상기 테이프 스프링과의 선 접촉을 통해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에'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전개 구조물.
In the deployment structure applying a composite tape spring with a double safety structure,
A tape spring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formed to have a length, and having strain energy, and
It is formed in an 'ㄴ'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part and a vertical part, and the tape spring is installed, and each side includes a spring bracket that fixes the position through line contact with the tape spring in a stored or deployed state,
The spring bracket is,
A deployment structure formed in a 'ㄷ' shape on the vertical portion and including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tape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은,
일단이 원형 형태로 말려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면에 접착 고정되어, 전개 시 전개 길이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 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pe spring is,
A deploy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nd adhesive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ape spring, so that the deployment length is controlled during deploy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이 부채꼴로 완전 복원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 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ing protrusions are,
A deploy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at a height where the tape spring is completely restored to a fan shape, and supports the tape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은,
타단에서 일단으로 폭이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전개 시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져 전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 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ape spring is,
A deployment structure that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with the width gradually widening from the other end to one end,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deployment impact by decelerating the support protrusion during deploy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자유도 구속을 위해,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외측 면 또는 내측 면과 접촉을 이루되, 접촉 부위에 굴곡 돌기가 형성되어 점 접촉을 유지하는 접촉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전개 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pring bracket is,
In order to restrai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ape spring, the deploymen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contact restraint portion that makes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inner surface of the tape spring and maintains point contact by forming a curved protrusion at the contact portion.
KR1020210113991A 2021-08-27 2021-08-27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KR102588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991A KR102588895B1 (en) 2021-08-27 2021-08-27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991A KR102588895B1 (en) 2021-08-27 2021-08-27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85A KR20230031585A (en) 2023-03-07
KR102588895B1 true KR102588895B1 (en) 2023-10-12

Family

ID=8551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991A KR102588895B1 (en) 2021-08-27 2021-08-27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89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83014A1 (en) * 2018-05-27 2019-12-19 Roccor, Llc Boom deploy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83014A1 (en) * 2018-05-27 2019-12-19 Roccor, Llc Boom deploy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85A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522B1 (en) Deployable space boom using bi-stable tape spring mechanism
Pellegrino Deployable structures in engineering
US7009578B2 (en) Deployable antenna with foldable resilient members
US8074324B2 (en) Flexible, deployment rate damped hinge
US9605430B2 (en) Tape spring retractable deployable structure and method
JP5694306B2 (en) Telescopic structure
US10815012B2 (en) Deployable sheet material systems and methods
US20170297749A1 (en) Method for releasing a deployable boom
CN107539500B (en) Cube satellite braking sail off-track device
US10601142B2 (en) Reflecting systems, such as reflector antenna systems, with tension-stabilized reflector positioning apparatus
US5515067A (en) Self-supporting shell for use in space
CN110431278B (en) Extendable mast structure
CN106887714B (en) Inflated expanded cable net reflector antenna reflector
KR102588895B1 (en) Self-deployable structure with bi-stable composite tape spring
US3241142A (en) Gravity stabilized satellite
CN102267573A (en) On-track inflatable rigidizable aerated satellite
CN113161710B (en) Spatial expandable mesh antenna with profile precision capable of being adjusted in orbit
Block et al. A self-deploying and self-stabilizing helical antenna for small satellites
CN108001712B (en) Solar cell sailboard unfolding mechanism, unfolding system and unfolding method
KR102264913B1 (en) Deployable Truss Boom Structure foldable into Planar Form
Murphey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deployable reflectors
Higuchi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ultra-light extendible mast as an inflatable structure
KR20180067204A (en) Reconfigurable Structures using Dual-Matrix Composite Materials
KR102302075B1 (en) Multi-stage bending composite tape spring applied Deployment structure
HEDGEPETH Dynamics of a large spin-stiffened deployable paraboloidal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