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871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71B1
KR102588871B1 KR1020180138384A KR20180138384A KR102588871B1 KR 102588871 B1 KR102588871 B1 KR 102588871B1 KR 1020180138384 A KR1020180138384 A KR 1020180138384A KR 20180138384 A KR20180138384 A KR 20180138384A KR 102588871 B1 KR102588871 B1 KR 10258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er
display device
displayed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725A (ko
Inventor
배유진
최고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8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의 홈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런처(launcher)가 1단 런처 및 2단 런처로 구성되어, 런처의 소망 앱/기능이 편리하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IM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기 위하여 영상표시장치의 성능 향상 및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향상된 영상표시장치의 성능을 통하여 단순히 방송국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등 영상표시장치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표시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이 많아질수록,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상기 많은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 등을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0 내지 25는 본 발명에 따른 런처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7는 1단 타겟 기능이 검색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8는 1단 타겟 기능이 검색인 경우의 2단 런처의 또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9는 1단 타겟 기능이 TV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0는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1는 1단 타겟 앱이 갤러리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2는 1단 타겟 앱이 웹브라우저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3는 영상표시기기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포토앤비디오 앱을 위한 2단 런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4는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제 1 구성을 도시한다.
도 35는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제 2 구성을 도시한다.
도 36는 영상표시기기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뮤직 앱을 위한 2단 런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7는 1단 타겟 앱이 뮤직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제 1 구성을 도시한다.
도 38는 1단 타겟 앱이 뮤직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제 2 구성을 도시한다.
도 39은 1단 타겟 앱이 컨텐츠 스토어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0 및 41는 영상표시기기가 홈 편집 모드로 진입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2 내지 44는 영상표시기기가 홈 편집 모드 내에서 자동 정렬 모드로 진입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을 도시한다.
도 45 내지 도 50은 영상표시기기가 홈 편집 모드 내에서 타일 추가 모드로 진입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 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인 클라이언트(100)에 대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해당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이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어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 등이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방송 인터페이스(101), 섹션 필터(102), AIT 필터(103),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 미디어 플레이어(106),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07), 인터넷 인터페이스(108), 그리고 런타임 모듈(109)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데이터, 실시간 방송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그리고 스트림 이벤트가 수신된다. 한편,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트는,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Linear A/V Content)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섹션 필터(102)는,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수신된 4가지 데이터에 대한 섹션 필터링을 수행하여 AIT 데이터는 AIT 필터(103)로 전송하고,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로 전송하고, 스트림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108)을 통해,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Non-Linear A/V Content)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예를 들어, COD(Content On Demand)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미디어 플레이어(106)로 전송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런타임 모듈(109)로 전송된다.
나아가, 상기 런타임 모듈(10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컨대 AIT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프 싸이클을 컨트롤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우져는, 예컨대 상기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 등을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도 3은 일실시예이며, 도 3의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서비스 프로바이더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한다(S301). 영상표시기기는 SP 접속 요청(Service Provider Attachment Request) 신호를 전송한다(S302). SP 접속이 완료한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프로비져닝 정보(provisioning information)를 수신한다(S303). 나아가,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master SI 테이블을 수신하고(S304), Virtual Chnnanel Map 테이블을 수신하고(S305), Virtual Channel Description 테이블을 수신하고(S306), Source 테이블을 수신한다(S307).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ervice provider discovery 는, IPTV 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들이 자신들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찾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SD (service discovery) server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SP discovery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주소 목록을 찾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 3가지 이다. 첫째, 영상표시기기에 미리 설정된 주소 또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으로 설정된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DHCP 기반 SP discovery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DNS SRV-based SP discovery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위와 같은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한 주소의 서버에 접속하여, SP 별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service provider discovery record 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 탐색 단계를 진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은, push mode 또는 pull mode 모두 가능하다.
SP discovery record 의 SP attachment locator 로 지정된 SP attachment server 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또는 service attachment 절차)를 수행한다.
나아가, SP authentication locator 로 지정되는 SP 의 authentication service server 에 접속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다음, service authentication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service attachment 절차 성공 이후에 서버에서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service attachment 과정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자신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고, Service attachment server 는 이를 바탕으로 영상표시기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특정할 수가 있다. 나아가, 영상표시기기가 수신하고자 하는 Service Information 을 획득할 수 있는 주소 정보는,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주소 정보는, master SI table의 접속 정보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가입자 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Service Information 은, virtual channel map 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버전을 관리하는 master SI table record 와, 패키지 형태의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는 virtual channel map table, 그리고 각 채널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그리고 실제 서비스를 access 할 수 있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source table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SI 내 데이터들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aster SI table 은, 각 virtual channel map 을 받을 수 있는 위치 정보와, 각 virtual channel map 들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각 virtual channel map 은, virtual channel map identifier 로 유일하게 식별되며, virtual channel map version 은, virtual channel map 의 버전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master SI table 로부터 시작된 화살표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이 변경될 경우, 해당 테이블의 버전 증가와 함꼐 상위 모든 테이블(master SI table까지)의 버전이 증가한다. 따라서, master SI table 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체 SI 테이블 상의 변화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source table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source table의 버전이 증가하고, 상기 source table 을 reference 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의 version 도 변경된다. 따라서, 하위 테이블의 변화는 상위 테이블의 변화를 야기시키며, 궁극적으로 master SI table의 버전이 변경된다.
Master SI table은, 서비스 제공자 마다 하나가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구성이 지역별 또는 가입자(내지는 가입자 그룹)별로 다를 경우, 각 단위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복수개의 master SI table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가입자의 지역 및 가입 정보 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master SI table 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Virtual channel map table은, 하나 이상의 virtual channel 을 가질 수 있으며, 채널의 상세 정보를 virtual channel map 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virtual channel map table 의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은, 채널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의 위치를 알려 준다.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은 virtual channel 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며, virtual channel map table 의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을 이용하여, 상기 virtual channel desctiprion table 에 access 할 수가 있다.
Source table 은, 실제 서비스를 접속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포트, AV 코덱, 전송 프로토콜 등)를 서비스별로 제공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master SI table, virtual channel map tabl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그리고 source table 은, 논리적으로 4개의 분리된 flow 를 통해 전달되며, push mode 또는 pull mode 모두 가능하다. 한편, master SI table 은, 버전 관리를 위하여 멀티캐스트로 전송될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버전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도 5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영상표시기기(7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7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7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703), 디멀티플렉서(Demux)(705), PSI&(PSIP and/or SI) 디코더(704),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7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7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7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7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710),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712), SI&Metadata DB(711), UI 매니저(714), 그리고 서비스 매니저(7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01)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컨텐츠 등을 수신한다.
TCP/IP 매니저(702)는, 영상표시기기(700)로 수신되는 패킷과 영상표시기기(700)가 전송하는 패킷에 대하여, 즉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7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7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712)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7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713)의 제어에 따라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디멀티플렉서(7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706, 707), PSI&(PSIP and/or SI) Decoder(704)에 전송한다.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즉,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상기 디멀티플렉서(705)에서 역다중화된 PSI 섹션,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섹션 또는 SI(Service Information) 섹션 등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또한 상기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상기 수신된 섹션들을 디코딩하여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상기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706/707)는, 상기 디멀티플렉서(705)에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706)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707)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7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UI 매니저(714) 및 서비스 매니저(713)는, 영상표시기기(7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한다.
UI 매니저(7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수신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신호를 서비스 매니저(7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7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7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7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매니저(7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713)는 PSI&(PSIP and/or SI) Decoder(7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705)에 설정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713)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방식과 같은 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C 게이트웨이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7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
SI&Metadata DN(711)는 PSI&(PSIP and/or SI) Decoder(7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7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Metadata DB(711)는 시스템에 대한 셋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Metadata DB(7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 NVRAM)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IG(7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 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6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 중 셋탑 박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7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2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신호 처리부(2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신호 처리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58)는,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2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셋탑 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튜너(2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70),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부(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는, 상술한 도 6에서 기술한 튜너(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셋탑 박스(2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셋탑 박스(2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17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8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동일하나, 다만, 튜너(270) 및 복조부(275)의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300) 내가 아닌 셋탑 박스(250) 내에 위치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신호 처리부(260)는, 튜너(270) 및 복조부(2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3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영상표시기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
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
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어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어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어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어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어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어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어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어플리케이션, 핫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어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어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어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어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어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플랫폼은, 도 11과 비교하여, 도 11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어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11에 대응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도 12에 도시된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
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어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예약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어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1 및 도 12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2의 플랫폼은, 도 6에 도시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SI&메타데이터 DB(711), UI 매니저(714), 서비스매니저(713)에 저장 또는 탑재될 수가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3의 (b)), 앞뒤(도 1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
(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3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기기(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네트워크 상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해당 컨텐츠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탐색 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의 (a)는, 접속된 서버 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목록(6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어플리케이션 목록(610)은, 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접속된 서버로부터의 수신된 아이콘 또는 설명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도 15의 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목록(610)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항목(62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은, 영상표시기기 내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6의 (a)는,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목록(66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5와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6의 (b)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목록(660)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항목(67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200)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205)를 이동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배치되는 방향키 및 확인키의 조합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용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가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터치 패드의 터치 동작에 의해,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이동하며, 이를 이용하여 소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7은, 웹 화면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7의 (a)는, 검색창(720)을 구비하는 검색 가능한 소정 웹 화면(7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미도시)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검색창(720)에, 소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7의 (b)는,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73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웹 화면 표시시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웹 화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8은, 웹 화면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8의 (a)는, 아이디 입력창(820)과 패스워드 입력창(825)를 구비하는 메일 서비스 화면(8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미도시)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문자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아이디 입력창(820)과 패스워드 입력창(825)에, 소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메일 서비스에 로그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8의 (b)는, 메일 서비스에 로그인 한 후의 화면(83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편지 읽기' 항목, '편지 쓰기' 항목, '보낸 편지함' 항목, '받은 편지함'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받은 편지함' 항목 내에 '보낸 사람' 항목, '제목' 항목으로 분류되어 메일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메일 서비스 화면 표시시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메일 서비스 이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는 (1900)는 무선 통신부(1910), A/V(Audio/Video) 입력부(1920), 사용자 입력부(1930), 센싱부(1940), 출력부(1950), 메모리(1960), 인터페이스부(1970), 제어부(1980) 및 전원 공급부(19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910)는 이동 단말기(19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900)와 이동 단말기(19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910)는 방송 수신 모듈(1911), 이동통신 모듈(1912), 무선 인터넷 모듈(1913), 근거리 통신 모듈(1914) 및 위치정보 모듈(19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9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19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9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9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에서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할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9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9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921)와 마이크(19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9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951)에 표시될 수 있다.
마이크(19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9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9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940)는 이동 단말기(19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9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9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9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9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940)는 근접 센서(19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940)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중인 소정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신호로 이용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9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951), 음향 출력 모듈(1952), 알람부(1953), 및 햅틱 모듈(19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는 이동 단말기(1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9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9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9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51)는 사용자 단말기(1900)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9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9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9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980)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을 상기 게임의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9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9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9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9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9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9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9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952)은 이동 단말기(19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9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953)는 이동 단말기(19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9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951)나 음성 출력 모듈(19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951, 1952)은 알람부(19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9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이동 단말기(19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960)는 제어부(19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9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9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9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970)는 이동 단말기(19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9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9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9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9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9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9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981)은 제어부(19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9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80)는,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51)에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 모듈 또는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98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로부터 사용자 컨트롤러로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 모드로 설정하여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무선 통신부(1910)를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951)에 출력하고, 터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위치 정보 모듈에서 판단되는 위치 변경 신호등을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을 통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90)는 제어부(19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 도 20 내지 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영상표시기기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홈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런처(launcher)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줄여서 "앱(App)"이라고도 함) (또는 각종 메뉴/기능) 검색 및 바로가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영상표시기기 공장 출하 시에 미리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하여 영상표시기기에서도 인터넷 서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런처는 공장 출하시 시스템 앱 (예: Search, Mobile, Live, Recents), 스텁 앱(Stub App) (예: Netflix, Amazon, YouTube 등), 프리로디드 앱 (pre-loaded app) (예: Gallery, Web browser, Photo & Video, Music, Content Store 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런처의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될 수도 있다.
상기 런처에 대해 도 20및 25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0 내지 25는 본 발명에 따른 런처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소정의 컨텐츠(10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컨텐츠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컨텐츠는 한 방송채널을 통해 온에어로 실시간 방송 중인 방송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방송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홈화면" 버튼)이 눌러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런처(launcher)(200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런처(200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 상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의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단부, 우측부, 좌측부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어도 무방하다. 심지어 화면 전체를 가리도록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가 런처(2000)의 일방향(예를 들면 가로 방향)의 크기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의 일방향 (예를 들면 가로 방향)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런처(2000)의 우측 일부분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상기 런처(2000)의 우측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일부분은 사용자의 스크롤 명령에 의해 스크롤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런처(2000)은 1단 런처(2000A) 및 2단 런처(200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단 런처(2000A)는, 복수의 연속적인 타일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타일에 하나의 앱 또는 기능 (또는 메뉴)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타일들은, 상기 할당된 앱 또는 기능의 성격에 따라 복수의 용도 또는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일들은, 용도 또는 타입 별로 프로모션용 타일, 시스템용 타일, 주요 컨텐츠 (Content Primary)용 타일, 프리로디드용 타일, 및 홈 편집용 타일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타일들은 해당 용도/타입 별로 구분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타일의 배열은 사용자의 편집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 1단 런처(2000A) 내에 포함된 각 타일은 필요에 따라서 "1단 타일"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상기 타일들 중 한 소망 타일은 사용자에 의해 포커스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소망 타일이 포커스되었다고 함은,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네이게이션 키 조작을 통해 상기 소망 타일에 네비게이션 포인터(또는 커서, 프레임, 인디케이터)가 위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소망 타일이 하이라이트되거나,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공간 리모콘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통해 공간 리모콘 포인터(또는 커서, 프레임, 인디케이터)가 소망 타일 상에 위치하도록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망 타일이 선택되었다고 함은, 상기 소망 타일이 포커스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통해 사용자 확인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확인 명령은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버튼 (예를 들면 "확인"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이하, 상기 1단 타일 에 대해 상기 용도/타입 별로 살펴보겠다.
상기 프로모션용 타일(2100)은, 홈화면 진입시마다 리프레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를 위해 할당된 타일이다. 상기 프로모션용 타일은, 사용자에 의해 프로모션 표시 OFF 설정이 된 경우, 프로모션 약관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안된 경우에는 상기 1단 런처(200A)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용 타일은, 검색(2200), 홈대시보드(home dashboard)(2300), TV (2400), 및 리센츠(Recents) 기능 (2500) (최근 사용 앱/기능 호출 기능)이 각각 할당된 타일이다.
상기 검색 타일(220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통합 검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대시보드 타일(230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홈대시보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V 타일(2400)에는 "TV"라고 표시되거나, STB명, GIP명, 라이브 OTT명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TV 타일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가장 최근에 시청하였던 소스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센츠 기능 타일(2500)에는 가장 최신 사용 앱/기능 스크린 샷이 타일 배경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센트 기능 타일이, 도 22 (2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되면 타일 중앙에 가장 최신 사용 앱/기능의 타이틀이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타이틀이 긴 경우에는 마퀴(marquee)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다른 타일을 위한 타이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사용 앱/기능 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리센트 기능 타일이 포커싱되면 도 22 (2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 recent Activity"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21로 돌아와서, 상기 주요 컨텐츠용 타일(2600)은 공장 출하시 제조사에 의해 주요 컨텐츠라고 분류된 앱 (또는 기능)을 위해 할당된 타일이다. 소정 개수(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일 수 있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타일이 상기 주요 컨텐츠를 위해 사전 준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앱은 그 전체가 공장출하시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다운로드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은 상기 타일을 위한 타이틀 이미지만 공장출하시에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다운로드되어 상기 타이틀 이미지가 상기 타일 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타일을 선택할 때 비로소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가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타일에 해당하는 앱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앱 설치 중일 때, 도 23 (2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에는 앱 설치 상황이 프로그래스 바(2610) 형태로 안내될 수 있다. 앱 설치 중에 상기 타일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앱 설치 중인 전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에는, 도 23 (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badge)(26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상기 타일에 해당하는 앱이 잠금인 경우 잠금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타일에 해당하는 앱이 잠금인 경우 상기 타일이 포커싱되더라도 상기 타일에 해당하는 2단 런처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2단 런처에 대해서는 이하 다시 서술된다.
또는 상기 배치는 새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한 앱을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새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한 앱 진입(deep link 포함)시 상기 배지는 사라질 수 있다.
프리로디드용 타일(2700)은, 공장출하시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치된 앱 또는 기능을 위해 할당된 타일로서, 그 예로는 갤러리(Gallery) 앱, 웹브라우저(Web browser) 앱,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이 있을 수 있다.
홈 편집용 타일(미도시)은, 런처의 구성의 편집을 위한 앱 또는 기능을 위해 할당된 타일이다. 상기 홈 편집용 타일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1단 런처(2000A)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 가로 길이보다 길어서, 상기 1단 런처(2000A)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부분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네이게이션 키 조작을 통해 상기 1단 런처(2000A)가 스크롤됨으로써, 보이지 않던 상기 1단 런처(2000A)의 타일(들)이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공간 리모콘인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1단 런처(2000A)의 좌측 에지 영역(2010) 또는 우측 에지 영역(2020)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1단 런처(2000A)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최좌측 또는 최우측 타일이 나타날 때까지 스크롤될 수 있다.
이하, 상기 1단 런처(2000A)의 한 소망 타일(즉, 소망 1단 타일)이 사용자에 의해 포커스되는 것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예를 들어, 상기 소망 타일이 포커스 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타일에 해당하는 앱 (또는 기능)에 부합되도록 2단 런처(2000B)가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망 타일이 포커스 되면,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에 해당하는 앱(또는 기능)(이하, "1단 타겟 앱(또는 기능)"이라고 함)의 주요 컨텐츠들(또는 기능들) 각각을 나타내는 타일들로서 상기 2단 런처(2000B)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2단 런처(2000B) 내에 포함된 각 타일은 필요에 따라서 "2단 타일"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즉, 상기 2단 런처(2000B)는 상기 1단 런처(2000A)에서 선택되는 타일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2단 런처(2000B)를 통해 상기 1단 타겟 앱의 주요 컨텐츠들을 타일로서 사용자가 미리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1단 타겟 앱을 선택하여 실행하지 않더라도 미리 그 앱의 주요 컨텐츠들을 열람하고 또한 그 주요 컨텐츠들 중 하나를 바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다.
다만,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에 주요 기능이 없는 경우 (예를 들면, 프로모션용 타일(2100)), 상기 소망 타일이 포커스되어도 상기 2단 런처(2000B)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 런처(2000A)가 스크롤되는 동안에도 상기 2단 런처(2000B)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소망 타일을 포커스하기 위해 상기 소망 타일 위에 위치하던 포인터가 상기 2단 런처(2000B)로 이동되면, 상기 런처(2000)의 구성이 도 25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1단 런처(2000A)는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수축되어 더 작은 화면 영역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면서, 상기 1단 런처(2000A) 내의 각 타일 내의 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또는 축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2단 런처(2000B)는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어 더 큰 화면 영역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면서, 상기 2단 런처(2000B) 내의 각 타일 내에 텍스트 정보가 새롭게 디스플레이되거나, 더 자세히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포인터가 상기 2단 런처(2000B)로 이동하기 전의 상기 런처(2000)의 표시 모드 (예를 들면, 도 21 또는 24)를 "제 1 모드"라고 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2단 런처(2000B)로 이동한 후의 상기 런처(2000)의 표시 모드 (예를 들면, 도 25)를 "제 2 모드"라고 하고 하겠다.
상기 2단 런처(2000B)로 이동했던 포인터가 다시 상기 1단 런처(2000A) 로 이동하면, 상기 런처(2000)는 제 1 모드로 복귀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의 상기 2단 런처(2000B) 내의 각 타일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 보겠다.
가장 좌측 타일에는 상기 1단 런처(2000A)의 상기 1단 타겟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우측으로는 상기 1단 타겟 앱의 주요 컨텐츠들이 각각 차지하는 타일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런처(2000)가 제 2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주요 컨텐츠들이 각각 차지하는 타일들 중에서 최좌측의 타일이 디폴트로 포커스되거나, 이들 중에서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타일이 포커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2단 런처(2000B)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 가로 길이보다 길어서, 상기 2단 런처(2000B)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부분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네이게이션 키 조작을 통해 상기 2단 런처(2000B)가 스크롤됨으로써, 보이지 않던 상기 2단 런처(2000B)의 타일(들)이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공간 리모콘인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2단 런처(2000B)의 좌측 에지 영역(2030) 또는 우측 에지 영역(2040)에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2단 런처(2000B)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최좌측 또는 최우측 타일이 나타날 때까지 스크롤될 수 있다.
상기 2단 타일들 중에서 한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타일의 컨텐츠가 실행되어 상기 실시간 방송 화면과 함께 또는 상기 실시간 방송 화면 대신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런처(20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런처(2000A) 이외의 실시간 방송화면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실시간 방송화면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런처(2000)가 사라지면서 상기 실시간 방송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6를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26은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2000B)에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최근 실행된 적이 있는 앱들이 최근 순대로 2단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2단 타일 중에서 한 타일이 포커스 된 후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타일에 해당하는 앱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한 타일(2510)이 포커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커스된 타일(2510) 위에 삭제 아이콘(2413)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삭제 아이콘(2413) 상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삭제 아이콘(2413)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타일(2510)이 상기 2단 런처(2000B)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일(2510)이 상기 2단 런처(2000B)에서 사라지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사라진 타일(2510)의 우측에 있던 타일들이 상기 사라진 타일(2510)이 있었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왼쪽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검색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27는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검색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7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2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1단 타겟 기능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통합 검색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210)의 우측에는 최대 제 1 소정 개수(예를 들면, 5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까지의 최근 검색어들이 타일 형태로 최근 검색어 리스트(2230)를 구성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우측에는 최대 제 2 소정 개수(예를 들면, 10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인기 검색어들이 타일 형태로 타일 형태로 인기 검색어 리스트(2250)를 구성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최근 검색어들과 상기 인기 검색어들은 별도의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리스트의 첫 번째 타일 위에는 각 리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2231, 225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검색에 사용된 검색어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검색어 중에서 최근 사용 순서대로 일부를 상기 최근 검색어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방송 관련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서버로부터 다른 영상표시기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검색어를 수신하여 이를 인기 검색어로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저장된 검색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최근 검색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상기 방송 관련 서버로부터 인기 검색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기 검색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최근 검색어 타일이 포커스되면 그 위에 삭제 버튼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삭제 버튼 선택시 이에 해당하는 최근 검색어는 삭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삭제된 최근 검색어의 타일도 삭제될 수 있다.
상기 검색어들 중에서 한 소망 검색어의 타일이 포커스된 후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기기(200)에서 실시간 방송 시청 영상(온에어 방송 영상, STB 방송 영상 등)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런처(2000)가 호출되고 상기 1단 타겟 기능으로서 검색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실시간 방송에 특화된 검색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8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도 28는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검색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또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8에서도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2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1단 타겟 기능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통합 검색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210)의 우측에는 상기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타이틀이 검색어가 되어 타일(2260)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일(2260) 위에는 상기 타일이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타이틀에 따른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226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틀 타일(2210)의 우측에는 최대 제 1 소정 개수(예를 들면, 5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까지의 상기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의 출연진들의 이름이 검색어가 되어 타일 형태로 출연진 리스트(2270)을 구성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출연진 리스트(2270)의 첫 번째 타일 위에는 상기 리스트(227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227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출연진들의 정보를 상기 방송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연진 리스트(2270)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연진 리스트(2270) 우측에는 최대 제 2 소정 개수(예를 들면, 10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까지의 상기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과 연관성 있는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이름이 검색어가 되어 타일 형태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2280)을 구성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2280)의 첫 번째 타일 위에는 상기 리스트(228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228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이 특정 유형(예를 들면 야외 촬영)의 예능 프로그램이라면, 상기 특정 유형의 다른 예능 프로그램들이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들의 정보를 상기 방송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2280)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검색어들 중에서 한 소망 검색어의 타일이 포커스된 후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미도시)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9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TV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29는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TV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9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4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1단 TV 기능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정보로서, STB (Set-Top Box) 또는 라이브 OTT (Over The Top)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컨텐츠 소스(예를 들면, 온에어, STB 등)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시청했던 소스의 정보가 타이틀 타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24210)의 우측에는, 최근 소정 기간(예를 들면, 최근 3개월) 동안에 자주 시청했던 소정 개수(예를 들면 15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채널들(2430)이 그 순서대로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채널을 "채널 타일"이라고도 하겠다. 첫 번째 채널 타일 위에는 자주 시청하는 채널들이 나열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43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던 방송 입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송 입력의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타일에는 방송 채널 로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로고가 없는 경우에는 채널 명으로 대체될 수 있고, 채널 명도 없는 경우에는 채널 번호로 대체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제목(program name)이 없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제목 위치에 "No Information"이라고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채널 타일에는 방송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시브 바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진행 정도 정보를 수신하지 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촬성화 바만이 표시될 수 있다.
셋톱 채널인 경우, 번호 앞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CH Plus 채널인 경우 번호 앞에 "IP-"가 붙어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P-501)
상기 채널 타일들 중에서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 대한 타일에는 별도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식별될 수도 있다.
소망 채널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채널 타일로 이동하여 상기 소망 채널 타일의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단 런처의 제일 우측에는, 방송 시청과 관련된 기능들이 모아져 있는 메뉴(이하, "라이브 메뉴"라고도 함)로 진입하기 위한 라이브 메뉴 타일(24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자주 시청하는 채널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상기 라이브 메뉴 타일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 30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30는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0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리센츠 기능의 경우에는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에 상기 1단 타겟 기능이 리센츠 기능임을 알리는 타이틀 타일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리센츠 기능을 위해 최근 앱/기능 사용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1단 런처에서 리센츠 기능 타일(2500)이 포커싱되더라도 이를 위한 상기 2단 런처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 31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갤러리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31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갤러리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1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갤러리 앱은, 기저장되거나 다운로드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상기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갤러리 앱은,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와는 달리,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전자 앨범 또는 전자 창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정 테마 이미지(예를 들면, 작품 그림, 작품 사진)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특정 테마 동영상(예를 들면, 비오는 풍경 동영상, 맑은 날씨 풍경 동영상, 가을 날씨 풍경 동영상 등)이 재생하는 것에 더욱 특화된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테마 이미지들은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면, 10초) 하나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7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갤러리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갤러리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710)의 우측에는 소정 갯수의 새로운 갤러리 테마들(2730)이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갤러리 테마를 "테마 타일"이라고도 하겠다. 상기 새로운 테마 타일들은 최신 순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 테마 내에 여러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별도의 인디케이터가 테마 타일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미도시). 첫 번째 새로운 갤러리 테마 타일 위에는 이로부터 우측으로는 새로운 갤러리 테마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73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테마들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 의 저장 용량 문제로 소정 개수의 테마들만이 완전치 기저장되어 있다. 나머지 테마들의 경우에는 타이틀 이미지만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정되어 있고, 해당 테마 타일이 선택되면 다운로드될 수 있다는 표시가 상기 해당 테마 타일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새로운 테마 타일(2730) 우측에는 최근 재생 테마 타일(Recently Selected & Played Theme)(27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테마 타일(275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재생되었던 테마 목록 대로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테마 타일(2750) 내에는 상기 목록 내의 테마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전체가 재생되었던 경우에는 숫자가 대신에 "All"이 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새로운 마이 테마 타일 위에는 이 우측으로는 새로운 마이 테마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277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테마 타일(2750) 우측에는 마이 테마 타일들(27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갤러리 앱 내의 "My Themes" 내의 컨텐츠들이 소정 개수로 상기 마이 테마 타일들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on/off 될 때마다 랜덤하게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32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웹브라우저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32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웹브라우저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1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8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웹브라우저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웹브라우저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810) 우측에는 상기 웹브라우저 앱에서 사전에 북마크 등록되어 있는 웹페이지 사이트들(2830)이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사이트를 "사이트 타일"이라고도 하겠다. 상기 사이트 타일 내에는 해당 웹페이지 사이트의 파비콘(Favicon)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 하단에는 해당 웹페이지 사이트의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새로운 북마크 사이트 타일 위에는 상기 사이트가 북마트되어 있는 사이트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83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북마크 사이트 타일들 우측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최근 방문했던 웹페이지 사이트의 타일들(28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최근 방문 북마크 사이트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는 최근 방문 북마크 사이트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8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최근 방문 웹페이지 사이트 타일들(2850) 우측에는 추천 웹페이지 사이트의 타일들(28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추천 웹페이지 사이트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는 추천 웹페이지 사이트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87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공장 출하 이후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전까지는 상기 타일들 중에서 추천 웹페이지 사이트 타일들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웹페이지 사이트 정보도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1단 타겟 앱로서 상기 웹브라우저 앱이 포커싱되더라도 상기 2단 런처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일들 중에서 한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웹브라우저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타일에 해당하는 웹페이지 사이트가 상기 실행된 브라우저 앱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단 런처의 제일 우측에는 웹브라우저 앱 설정을 위한 타일(2890)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웹브라우저 앱 설정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웹브라우저 앱 내의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은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 멀티미디어 재생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인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2단 런처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3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위한 2단 런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 앱인 경우(S331),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32).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1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33). 제 1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콘텐츠 파일(정지영상 파일 및/또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34).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콘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1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33). 제 1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4를 참조하여 후술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콘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2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35). 제 2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 도 34를 참고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인 경우의 상기 2단 런처의 제 1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34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제 1 구성을 도시한다. 도 34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29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910) 우측에는, 외부 저장장치 연결 가이드 타일(29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타일(293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 연결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가이드 타일 우측(2930)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공장출하시부터 샘플로서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 타일들(29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샘플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 샘플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29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샘플 타일들(2950) 중에서 한 타일이 포커스되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상기 실행된 포토앤비디오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이하, 도 35을 참고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Photo & Video) 앱인 경우의 상기 2단 런처의 제 2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35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포토앤비디오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제 2 구성을 도시한다. 도 35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30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구성시와는 달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기기명)가 상기 타이틀 타일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시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301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301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특정 시점에 생성된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 파일이 소팅되어 있는 폴더(3030)가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시점은 오늘로부터 1년전 시점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음). 상기 폴더 타일(3030) 내에는 상기 폴더 내에 소팅되어 있는 파일의 개수와 상기 특정 시점의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더 타일(3030) 내에는 상기 폴더 내의 파일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일(303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실행하고 상기 폴더 내의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 파일이 상기 실행된 포토앤비디오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일(303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소정 개수(예를 들면 15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즉,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 파일들)(3050)이 최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부터 그 저장된 순서대로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30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타일이 포커스되었을 때만 상기 타일 내에 상기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타일이 포커스되었는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상기 타일 내에 상기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해당하는 타일 내에 동영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는 그 제목이 상기 상기 동영상 파일에 해당하는 타일 내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들(3050)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토앤비디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타일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실행된 포토앤비디오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타일들(305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목록 타일(30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목록 타일(3070) 내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기기명)가 표시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재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목록 타일(307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재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이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Music)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상기 뮤직 앱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앱의 일종으로 특히 오디오 미디어 재생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Music) 앱인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2단 런처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6는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상기 뮤직 앱을 위한 2단 런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 앱인 경우(S361),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62).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1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63). 제 1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7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64).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1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63). 제 1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7를 참조하여 후술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단 런처가 제 2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65). 제 2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38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 도 37을 참고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Music) 앱인 경우의 상기 2단 런처의 제 1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37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제 1 구성을 도시한다. 도 37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31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뮤직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2910) 우측에는, 외부 저장장치 연결 가이드 타일(31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타일(313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 연결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가이드 타일 우측(3130)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공장출하시부터 샘플로서 저장되어 있는 샘플 오디오 미디어 타일들(31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샘플 오디오 미디어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 샘플 오디오 미디어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31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샘플 타일들(3150) 중에서 한 타일이 포커스되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오디오 미디어가 상기 실행된 뮤직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이하, 도 38을 참고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Music) 앱인 경우의 상기 2단 런처의 제 2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38는 상기 1단 타겟 앱이 뮤직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제 2 구성을 도시한다. 도 35에서는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32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뮤직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구성시와는 달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기기명)가 상기 타이틀 타일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시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321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321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 중에서 나의 재생 리스트(My playlist)로 사전 선정 또는 등록되어 있는 파일(들)이 있는 나의 재생 리스트 (3230)가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 타일(3230) 내에는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로서 등록되어 있는 파일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 타일(3230) 내에는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 내의 파일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오디오 미디어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 타일(323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나의 재생리스트 내의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이 상기 실행된 뮤직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나의 재생 리스트 타일(323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 중에서 최근 재생된 파일들의 리스트인 최근 재생 리스트 (3240)가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 타일(3240) 내에는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로서 등록되어 있는 파일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 타일(3240) 내에는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 내의 파일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오디오 미디어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 타일(3240)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최근 재생리스트 내의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이 상기 실행된 뮤직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최근 재생 리스트 타일(3240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소정 개수(예를 들면 15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3250)이 최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미디어 파일부터 그 저장된 순서대로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오디오 미디어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 오디오 미디어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32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에는 해당 오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에는 해당 오디오 미디어 파일의 타이틀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미디어 타일들(3250)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뮤직 앱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타일 해당하는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상기 실행된 뮤직 앱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미디어 타일들(3250) 우측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목록 타일(32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목록 타일(3270) 내에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예를 들면 기기명)가 표시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재생한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목록 타일(327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외부 저장장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자가 재생한 오디오 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모든 오디오 미디어 파일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39을 참조하여 상기 1단 타겟 앱이 컨텐츠 스토어(content store) 앱인 경우의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상기 컨텐츠 스토어 앱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사전 설정된 앱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소망의 앱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9은 상기 1단 타겟 앱이 컨텐츠 스토어 앱인 경우의 2단 런처(2000B)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9에서도 편의상 2단 런처만을 도시하겠다.
상기 2단 런처의 가장 좌측 타일(3310)은 타이틀 타일로서, 상기 컨텐츠 스토어 앱의 타이틀 및/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이틀 타일이 포커스된 다음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컨텐트 스토어 앱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도시).
상기 타이틀 타일(3310)의 우측에는, 상기 컨텐츠 스토어의 사전 설정된 갯수의 인기 앱들(3330)이 인기 순서대로 타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첫 번째 인기 앱 타일 위에는 이것부터 우측으로 인기 앱 타일들이 디스플레이됨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333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에는 해당 인기 앱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타일이 포커스되면 상기 해당 인기 앱의 이름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단 타겟 앱으로서 상기 컨텐츠 스토어 앱이 포커스 되더라도 상기 2단 런처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인기 앱 타일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앱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앱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선택된 타일에 해당하는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미도시).
이상에서는 상기 1단 타겟 기능/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2단 런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1단 런처에 구비된 홈 편집용 타일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1단 런처의 맨 우측에 상기 홈 편집용 타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 편집용 타일이 포커스되는 경우에는 이를 위한 별도의 2단 런처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폼 편집용 타일이 포커스된 후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홈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홈 편집 화면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0 및 41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0 및 41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홈 편집 모드로 진입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편집 화면(3405)는 크게 3개의 영역(3410, 3430, 34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영역은 1단 런처(2000A)의 타일의 수동 이동 및 삭제를 위한 제 1 영역(3410), 1단 런처(2000A)의 타일의 자동 정렬을 위한 제 2 영역(3430), 및 1단 런처(2000A) 내에 타일을 추가하기 위한 제 3 영역(34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05)에는 상기 홈 편집 화면(3405)을 닫기 위한 닫기 아이콘(340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홈 편집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2 영역(3430)의 편집 아이콘(3431)이 디폴트로 포커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1단 런처(2000A)의 한 소망 타일(2800)로 포커스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2800)이 다른 타일들에 비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1에서는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2800)이 다른 타일들에 비해 소정 높이 만큼 위로 돌출됨으로써 다른 타일들에 비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2800) 좌우에는 상기 소망 타일(28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좌이동 아이콘(2810) 및 우이동 아이콘(2820)이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좌이동 아이콘(2810)이 한번 선택될 때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타일(2800)이 좌측으로 한칸씩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우이동 아이콘(2820)이 한번 선택될 때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타일(2800)이 우측으로 한칸씩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 1단 런처(2000A) 내에서의 상기 소장 타일(28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소망 타일(2800)의 위쪽에는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2800)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28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삭제 아이콘(2830)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삭제되도록 사전 허용된 소정 용도 또는 타입의 타일에 대해서만 포커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삭제 아이콘(2830)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커스된 소망 타일(2800)이 상기 1단 런처(2000A)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2 내지 44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홈 편집 모드에서 그 하부 모드인 자동 정렬 모드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2 내지 44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자동 정렬 모드로 진입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가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2 영역(3430)의 편집 아이콘(3431)이 포커스된 후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자동 정렬 모드로 진입하고,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정렬 모드에 따른 홈 편집 화면(343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정렬 모드에 따른 홈 편집 화면(3431)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앱들이 소정 시간 동안 많이 사용된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나열된 상기 1단 런처(2000A)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1단 런처(2000A)는 전체 타일이 모두 최빈도 순서에 따라 정렬될 수도 있고, 또는 소정 개수(예를 들면, 10개의 타일; 이에 한정되지 않음)만이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면서 나머지 타일들은 사용자가 정한 순서 또는 이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31)에는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아이콘(343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복귀 아이콘(3436)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31)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의 앱 사용 이력을 삭제하기 위한 이력 삭제 아이콘(343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이력 삭제 아이콘(3437)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앱 사용 이력 삭제를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홈 편집 화면(3431)에는 상기 1단 런처(2000A)가 공장출하시와 같은 순서가 되도록 하기 위한 앱 정렬 초기화 아이콘(3438)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앱 정렬 초기화 아이콘(3488)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현재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앱들 중에서 공장출하시부터 존재하던 앱들에 그 순서가 공장출하시와 같은 순서가 되도록 하고, 출하 후 추가된 앱에 대해서는 공장출하시의 앱들 뒤에 추가된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공장출하시에 있던 앱이 삭제되고 없는 경우에는 그 삭제된 앱을 제외한 나머지 공장출하시의 앱들이 그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31)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앱들이 소정 시간 동안 많이 사용된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나열되었음을 알리는 가이드(343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3434)에서 소정 시간 동안 많이 사용된 소정 개수의 앱들(예를 들면, 6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만이 원 모양으로 나열될 수 있다. 사용 횟수가 많은 만큼 원 크기가 크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434)의 아래에는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도록 상기 1단 런처(2000A)를 정렬하는 것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아이콘(343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적용 정렬 아이콘(3435)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43와 같이 홈 편집 화면(343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편집 화면(3432)에는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된 제 1 런처(2000A)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32)에는 제 1 런처(2000A)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었음을 알리는 가이드(3439)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439) 아래에는 제 1 런처(2000A) 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는 것을 최종 승인하는 승인 아이콘(3441)과, 제 1 런처(2000A)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는 것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아이콘(344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승인 아이콘(3441)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제 1 런처(2000A)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된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취소 아이콘(3441)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제 1 런처(2000A)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기 정렬되기 직전의 순서대로 정렬된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용 정렬 아이콘(3435)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된 제 1 런처(2000A)의 순서와 그 이전의 제 1 런처(2000A)의 순서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44와 같은 홈 편집 화면(343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4의 상기 홈 편집 화면(3432)에는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된 제 1 런처(2000A)의 순서와 그 이전의 제 1 런처(2000A)의 순서가 동일함을 알리는 가이드(344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447) 아래에는 제 1 런처(2000A) 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는 것을 최종 승인하는 승인 아이콘(34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3와는 다르게, 제 1 런처(2000A)가 상기 최빈도 순서가 반영되어 정렬되는 것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아이콘(3443)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승인 아이콘(3441)이 선택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하, 도 45 내지 도 49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홈 편집 모드에서 또다른 하부 모드인 타일 추가 모드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5 내지 도 49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상기 타일 추가 모드로 진입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홈 편집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가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3 영역(3430)의 추가 아이콘(3461)이 포커스된 후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타일 추가 모드로 진입하고,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 추가 모드에 따른 홈 편집 화면(346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 편집 화면(3462)는 소정 컨텐츠 채널이 타일로서 추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정 컨텐츠 채널의 예로는 유튜브(Youtube) 채널(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상기 타일 추가 모드에 따른 홈 편집 화면(3462)를 통해 유튜브 채널을 새로운 1단 타일로 등록하는 것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겠다.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아이콘(3436)과 상기 홈 편집 화면(3405)을 닫기 위한 닫기 아이콘(340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소망 유튜브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 입력 필드(346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유튜브 서버에서 제공되는 소정 갯수의 추천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5)는 상기 검색어 입력 필드(3463)에 어떤 텍스트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5) 중에서 첫 번째 추천 유튜브 채널이 디폴트로 포커스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첫 번째 추천 유튜브 채널을 1단 타일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아이콘(3465-1)이 상기 첫 번째 추천 유튜브 채널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다른 추천 유튜브 채널이 포커스되면 다른 등록 아이콘(미도시)가 상기 다른 추천 유튜브 채널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등록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추천 유튜브 채널을 1단 타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5) 중에서 포커스된 추천 유튜브 채널의 정보(3467)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의 정보로서, 채널명, 채널 로고, 채널 내 콘텐츠 썸네일, 채널 설명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검색어 입력 필드(3463)이 포커스되면,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서 하단에 화면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 키보드를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검색어는 상기 검색어 입력 필드(346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서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 리스트는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검색어에 따른 검색된 유튜브 채널의 리스트(이하, "검색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8)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유튜브 채널 리스트에서 첫 번째 검색 유튜브 채널이 디폴트로 포커스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첫번 째 검색 유튜브 채널을 1단 타일로 등록하기 위한 등록 아이콘(3468-1)이 상기 첫 번째 검색 유튜브 채널에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다른 검색 유튜브 채널이 포커스되면 다른 등록 아이콘(미도시)가 상기 다른 검색 유튜브 채널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등록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소망 검색 유튜브 채널을 1단 타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상기 검색 유튜브 채널 리스트(3468) 중에서 포커스된 검색 유튜브 채널의 정보(3469)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유튜브 채널의 정보로서, 채널명, 채널 로고, 채널 내 콘텐츠 썸네일, 채널 설명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등록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1단 타일로 등록된 상기 소망 검색 유튜브에 대해 도 47을 더욱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망 검색 유튜브가 상기 1단 런처(2000A)의 제일 우측에 상기 1단 타일(3500)로서 등록 (또는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등록 아이콘이 선택된 다음에 상기 등록된 1단 타일(3500)이 디폴트로 포커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된 1단 타일(3500) 좌우에는 상기 1단 타일(35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좌이동 아이콘(3510) 및 우이동 아이콘(3520)이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포커스된 1단 타일(3500)의 위쪽에는 상기 포커스된 1단 타일(3500)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35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아이콘들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반면에, 상기 검색어에 따라 검색되는 유튜브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는, 도 48과 같이, 상기 검색어에 따라 검색되는 유튜브 채널이 없음을 알리는 가이드(3471)가 상기 검색 유튜브 채널 리스트 대신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 유튜브 앱이 아직 설치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의 상기 추가 아이콘(3461)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 유튜브 앱 설치를 안내하는 가이드(3473)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유튜브 앱 설치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347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아직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0의 홈 편집 화면(3405)의 상기 추가 아이콘(3461)이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편집 화면(3462)에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가이드(3477)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네트워크 설치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3479)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
    외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저장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1단 런처 및 2단 런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1단 런처는 각 1단 타일 당 하나의 앱 또는 기능이 할당되는 복수의 1단 타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2단 런처는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 중 사용자에 의해 포커스된 1단 타일에 부합하는 컨텐트 또는 서브 기능이 각 2단 타일 당 할당되는 복수의 2단 타일들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은,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앱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타일과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는 앱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타일을 포함하고,
    제 1 타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앱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제 1 앱을 설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2단 런처의 구성이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 및 상기 복수의 2단 타일 중에서 소망 1단 또는 2단 타일 상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망 1단 또는 2단 타일이 포커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 중 다른 1단 타일이 포커스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 중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4. 디스플레이부;
    외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저장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1단 런처 및 2단 런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1단 런처는 각 1단 타일 당 하나의 앱 또는 기능이 할당되는 복수의 1단 타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2단 런처는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 중 사용자에 의해 포커스된 1단 타일에 부합하는 컨텐트 또는 서브 기능이 각 2단 타일 당 할당되는 복수의 2단 타일들을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은,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1 앱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타일과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앱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타일을 포함하고,
    제 1 타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앱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제 1 앱을 설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2단 런처의 구성이 달라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2 단 런처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 연결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연결 가이드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저장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2단 런처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 중에서 특정 시점에 생성된 파일을 소팅하여 실행하기 위한 폴더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된 상기 1단 타일에 할당된 앱 또는 기능의 실행 없이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의 세로 크기는 상기 복수의 2단 파일들의 세로 크기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 중 소망 2단 타일이 포커스되면,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의 세로 크기가 커지고 상기 복수의 1단 파일들의 세로 크기가 작아져서,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의 세로 크기가 상기 복수의 1단 파일들의 세로 크기보다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2단 타일들 중에서 소망 2단 타일이 선택되면, 상기 포커스된 1단 타일에 해당하는 앱 또는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소망 2단 타일에 해당하는 컨텐트 또는 서브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망 2단 타일이 포커스되고 있을 때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함에 반응하여 상기 포커스된 2단 파일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1단 런처 및 상기 2단 런처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1단 런처 및 상기 2단 런처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0. 영상 표시 기기에 제어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신호에 반응하여, 1단 런처 및 2단 런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단 런처는 각 1단 타일 당 하나의 앱 또는 기능이 할당되는 복수의 1단 타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2단 런처는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 중 사용자에 의해 포커스된 1단 타일에 부합하는 컨텐트 또는 서브 기능이 각 2단 타일 당 할당되는 복수의 2단 타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1단 타일들은,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앱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타일과 공장출하시에 설치되어 있는 앱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제 1 타일이 선택되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앱의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제 1 앱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외부 저장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2단 런처를 다르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제어방법.
KR1020180138384A 2018-11-12 2018-11-12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8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84A KR102588871B1 (ko) 2018-11-12 2018-11-12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84A KR102588871B1 (ko) 2018-11-12 2018-11-12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25A KR20200054725A (ko) 2020-05-20
KR102588871B1 true KR102588871B1 (ko) 2023-10-13

Family

ID=7091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84A KR102588871B1 (ko) 2018-11-12 2018-11-12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2673B2 (en) * 2020-06-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1722A1 (en) * 2013-05-23 2014-11-27 Microsoft User interface elements for multiple displays
US10212481B2 (en) * 2015-09-04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menu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viewing op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25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7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6981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177020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3349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304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52812B1 (ko)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
KR101823474B1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3593B1 (ko)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KR1016941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2984566A (zh) 提供外部装置列表的方法和图像显示装置
KR10255757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054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962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2588871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538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345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84457A (ko) 영상표시기기의 실시간 검색 채널 목록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214573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20080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28726B1 (ko) 이종의 복수개의 컨텐츠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20120089972A (ko) 복수개의 컨텐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219186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
KR20200077955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24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