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239B1 -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 Google Patents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239B1
KR102588239B1 KR1020210185460A KR20210185460A KR102588239B1 KR 102588239 B1 KR102588239 B1 KR 102588239B1 KR 1020210185460 A KR1020210185460 A KR 1020210185460A KR 20210185460 A KR20210185460 A KR 20210185460A KR 102588239 B1 KR102588239 B1 KR 10258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dispenser
discharge
dosage form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5713A (en
Inventor
정지원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알고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고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고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239B1/en
Publication of KR2023009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23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제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 및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는 일정한 값과 비율을 가지는 제형이며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량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1회에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춰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이 가능하며 상기 제형은 일정한 경도를 갖춤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 시 디스펜서 내에서 파손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경구복용시 목 넘김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shaped dosage form. More specifically,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lar shape have constant values and ratios, and a certain amount is discharged at a time by a dispenser. As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t can be provided accurately and quickly according to the dosage that the user needs at one time. The formulation has a certain hardness, so there is a low possibility of damage within the dispenser when provided to the user, and it is easy to swallow when taking orally. has

Description

기둥 형상의 제형을 제공하는 디스펜서{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Dispenser that provides a column-shaped formulation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제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둥 형상의 제형은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 및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가 일정한 값과 비율을 가지고,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량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1회에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춰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형은 일정한 경도를 갖춤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 시 디스펜서 내에서 파손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경구복용시 목 넘김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shaped dosage form. More specifically, the pillar-shaped dosage form has a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constant values and ratios, and is dispensed in a certain amount at a time by a dispenser. Becaus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provide the amount that the user needs at one time. In addition, the formulation has a certain hardness, so there is a low possibility of damage within the dispenser when provided to the user, and it is easy to swallow when taken orally.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바쁜 생활 속에서 영양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양제를 섭취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health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while the number of people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to resolve nutritional imbalances in busy lives is increasing.

이러한 영양제의 섭취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섭취영양소, 섭취용량, 섭취주기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요소들은 개인의 건강 및 영양 섭취 상태에 따라 상이하다.그런데,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영양제를 섭취하는 사용자들은 전술한 세 가지 고려요소-섭취영양소, 섭취용량, 섭취주기-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채로 영양제를 섭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There may b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taking these nutritional supplements, but among them, the intake nutrients, intake dose, intake cycle, etc. are pointed out as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and the above factors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s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users who currently consume nutritional supplements sold on the market are consuming them without properly reflecting the three factors considered above - intake nutrients, intake dose, and intake cycle.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시판영양제를 구입하여 시판영양제의 포장 상태 그대로 섭취하게 되는데, 각각의 시판영양제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 사용자는 일 영양소를 과다하게 섭취하고 다른 일 사용자는 다른 일 영양소를 과소하게 섭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users purchase commercial nutritional supplements and consume them as they are packaged. However, since each commercial nutritional supplement is not customiz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e user may consume excessive amounts of one nutrient and consume other nutrients. Users may experience under-consumption of other daily nutrients.

이에 따라, 개인의 건강 및 영양 섭취 상태에 따라 개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적절량으로 섭취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lated technologies that enable individuals to consume the nutrients they need in appropriate amounts according to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개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섭취량을 제공할 수 있는 기둥 형상의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은 파손 가능성이 낮고 개인별 적절한 섭취량으로 섭취가 가능하며 목넘김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a pillar-shaped dosage form that can provide an appropriate intake considering the individual's situation. The dosage form has a low probability of breakage, can be consumed at an appropriate dosage for each individual, and is easy to swallow. di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둥 형상의 제형으로서 상기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 및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는 일정한 값과 비율을 가지고,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량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ar-shaped formulation, wherein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lar shape have constant values and ratios, and a certain amount is discharged at a time by a dispen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illar-shaped dosage form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제형으로서 상기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 및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가 일정한 값과 비율을 가지고,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량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제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ar-shaped formulation, in which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lar shape have constant values and ratios, and a certain amount is discharged at one time by a dispenser. Provides a pillar-shaped dosage form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제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형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 및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는 일정한 값과 비율을 가지며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량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1회에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춰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일정한 경도를 갖춤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 시 디스펜서 내에서 파손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경구복용시 목 넘김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shaped dosage form.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sage form have constant values and ratios, and are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amount is discharged at a time by a dispenser, so that the user can dispense the product once. It can be provided accurately and quickly according to the required dos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certain hardness, which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within the dispenser when providing it to the user and making it easy to swallow when taking it orally.

도 1a는 본 발명의 제형이 원통 기둥 형상일 때의 제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형이 원통 기둥 형상일 때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형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곡률반경을 가지는 기둥 형상일 때의 제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형이 다각형 기둥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형이 구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에서 토출 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프레임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프레임과 카트리지가 결합된 부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토출캡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로터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로터, 토출캡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토출 유닛이 제형을 토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Figure 1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has a cylindrical pillar shape.
Figure 1b shows a cross-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pillar shape.
Figure 1c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sage form are pillar-shap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Figure 2 show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gonal pillar shape.
Figure 3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has a spherical shape.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ispenser that dispens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ischarge unit in a dispenser that discharg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rame in FIG. 5 in more detail.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rtion where a frame and a cartridge are combined.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discharge cap in FIG. 5 in more detail.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rotor in FIG. 5 in more detail.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otor, discharge cap, and frame in FIG. 5 are combined.
Figures 11A to 11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discharge unit discharg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언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languag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inciple is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uch as the exampl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제형으로서,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주성분 물질; 및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ar-shaped dosage form, comprising: a main ingredient containing nutritional ingredients; and

상기 주성분 물질에 혼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형으로서, 상기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의 최대 폭은 3 내지 7 mm이며, 상기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formulation containing an additive mixed with the main ingredient and having a pillar shape, wherein the maximum width of the cross-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llar shape is 3 to 7 mm, and it ha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illar-shaped dosage 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은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주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는 캡슐제, 정제, 건조 시럽형 제제, 시럽제, 젤리형 제제 또는 과립제 등이 있으며, 일 구체예로 정제 또는 캡슐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n oral preparation containing a main ingredient including nutritional ingredients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The oral preparations include capsules, tablets, dry syrup-type preparations, syrup preparations, jelly-type preparations, or granules. In one embodiment, they may be formulated as tablets or capsul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경구용 제제로서 정제는 약 용량을 정확히 할 수 있고, 취급이 편리하고 복용이 간편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코팅을 통해 쓴맛, 냄새 및 자극성 등의 교정이 용이하며, 성형에 의해 약물의 용출 및 흡수 양상의 변화 조절이 용이하고 경도를 높여 파손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an oral preparation, table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cisely dose the drug, being convenient to handle and take, and being mass-produced at a low price. In addition, it is easy to correct bitterness, odor, and irritation through coating, and it is easy to control changes in drug elution and absorption patterns by molding,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reakage rate by increasing hardness.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포함되는 주성분으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수용성의 물질 더 자세하게는 각종 비타민류, 무기질, 기능성 영양물질, 아미노산, 생약성분 등이 주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성분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ater-soluble substances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various vitamins, minerals, functional nutrients, amino acids, herbal ingredients, etc., and the ingredients are preferably water-soluble. It is not limited to ingredients or these.

본 발명에서 정의된 “주성분” 이란 본 발명의 제형을 이루는 주된 성분으로서 본 발명 제형 전체의 5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는 성분인 것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ain ingredient”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ain ingredient constituting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cluded in 50 to 99% by weight of the total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형에 포함되는 주성분 물질은 마그네슘(MgO), 비타민D, 비타민 C,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 비오틴, 엽산, 비타민B12, 비타민E, 철, 크롬, 몰리브덴, 셀렌, 아연, 요오드, 망간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gnesium (MgO), vitamin D, vitamin C,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pantothenic acid, vitamin B6, biotin, folic acid, vitamin B12, vitamin E, iron,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um, molybdenum, selenium, zinc, iodine, manganese, and copper.

또한 본 발명의 제형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붕해제, 활택제, 고결 방지제, 코팅제, 색소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included i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disintegrants, lubricants, anti-caking agents, coating agents, pigments, and mixtures thereof.

부형제는 안전하면서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첨가제로, 고형제에서 증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부형제는 정제를 제조할 때 주성분만으로 타정을 하거나 캡슐을 충전하기 어려우므로, 제품의 형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제형의 경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부형제로는 결정셀룰로스, 말토덱스트린, 결정 포도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cipients are additives that are safe and increase stability, and can be understood as substances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volume of solid formulations. Since it is difficult to tablet or fill capsules with only the main ingredient when manufacturing tablets, excipients can be added to create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can perform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dosage form. In one embodiment, crystalline cellulose, maltodextrin, crystalline glucose, etc. may be used as excipi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붕해제는 경구용 제제의 적절한 경도 유지와 경구 투여시 적절한 약물 흡수를 위하여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조성을 의미한다. 상기 붕해제로는 정제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만니톨(예, 분무건조 만니톨), 솔비톨, 프록토스, 유당, 덱스트로스, 자일리톨, 글루코스, 락토오스, 백당, 과당, 말토스, 말토덱스트린, 에리스리톨, 아라비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미세결정셀룰로오스(MCC), 전호화 전분(Pregelatinzed starch), 전분 및 그의 유도체, 콜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칼슘(CMC), 에프멜트(F-MELT; Fuji chemical), 루디프레쉬(Ludiflash; BAS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붕해제는 만니톨, 에프멜트, 솔비톨, 자일리톨, 락토오즈, 및 전호화 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integrant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can be easily decomposed to maintain appropriate hardness of the oral preparation and ensure proper drug absorption upon oral administration. The disintegrant may be selected from one or two or more type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tablets, for example, mannitol (e.g., spray-dried mannitol), sorbitol, fructose, lactose, dextrose, xylitol, glucose, Lactose, white sugar, fructose, maltose, maltodextrin, erythritol, arabitol, crospovidone, croscarmellose sodium,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pregelatinized starch, starch and its derivatives, collidone,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calcium (CMC), F-MELT (Fuji chemical), Ludiflash (BASF), etc. can be used. Specifically, the disintegran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mannitol, Fmelt, sorbitol, xylitol, lactose, and pregelatinized starch.

본 발명의 경구용 제제는 상기 조성에 더하여 유효성분의 안정성, 외관, 색상, 보호, 유지, 결합, 성능 개선, 제조 공정 개선 또는 보조적인 방출 제어 등의 부가적인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인 성분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sition, the oral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biologically inert ingredients for additional purposes such as stability, appearance, color, protection, maintenance, binding, performance improvement,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ment, or auxiliary release control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additionally.

이러한 불활성인 성분은 희석제, 당류, 당알코올류, 고분자, 착색제, 착향제, 감미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보존제, 붕해제, 완충기제, 벌크화제, 희석제, 파라핀, 또는 왁스일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인 성분은 활택제일 수 있다.These inert ingredients include diluents, sugars, sugar alcohols, polymers, colorants, flavoring agents, sweeteners, surfactants, lubricants, stabilizers, antioxidants, foaming agents, preservatives, disintegrants, buffering agents, bulking agents, diluents, and paraffin. , or wax, and one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For example, the biologically inert ingredient may be a lubricant.

활택제는 글리던트(glidant) 혹은 안티-태킹(antitacking) 효과를 발현시켜 정제를 압축 다이에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정제 타정시 점착 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으며, 정제 타정시 정제 깨짐 또는 정제 층분리 상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 푸마린산 나트륨, 이산화규소, 탈크,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The lubricant has a glidant or anti-tacking effect, allowing tablets to be easily ejected from the compression die,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adhesion during tablet compression, and preventing tablet breakage during tablet compression. Alternatively, the possibility of tablet layer separation phase occurring can be excluded. The lubric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aric acid, glyceryl behenate, glyceryl monostearate, magnesium stearate, calcium stearate, sodium stearyl fumarate, silicon dioxide, talc, and magnesium silicate. It may be magnesium stearate, and magnesium stearate may be preferably used.

구체적으로, 상기 활택제의 사용을 통해 정제 타정 진행시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아 타정 장애에 의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그 함량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약물의 용출률에 대한 기준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일정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use of the lubrican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ate of defects due to tabletting failure as sticking does not occur during tablet compression, but if the content is used excessively, the standard range for the dissolution rate of the drug is not satisfi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it within a certain range.

고결방지제는 식품의 입자가 흡습에 의하여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로 규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또는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ti-caking agents are additives used to prevent food particles from agglomerating due to moisture absorption, an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silicate, silicon dioxide, or tal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팅제는 본 발명 제형의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통상의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및 프탈산 히프로멜로오스(HPMCP), 폴리비닐아세테이트(예를 들어, 콜리코트®SR 30D), 수불용성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유드라짓®NE30D),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클로라이드) 공중합체(예를 들어, 유드라짓®RSPO) 등],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실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불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ating agent can be added to increase the surface strength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is time, common polymers can be used, and specific examples include polyvinyl alcohol, hydroxyethylcellulose, hypromellose, polyvinylpyrrolidone, and A water-solubl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and hypromellose phthalate (HPMCP), polyvinylacetate (e.g., Colicoat® SR 30D), water-insoluble polymethacrylate copolymer [e.g., poly(ethylacrylate-methylmethacrylate) copolymer. polymers (e.g., Eudragit®NE30D), poly(ethylacrylate-methylmethacrylate-tr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hloride) copolymers (e.g., Eudragit®RSPO), etc.], ethylcellulose , cellulose esters, cellulose ethers, cellulose acylates, cellulose diacylates, cellulose triacylates, cellulose acetates, cellulose diacetates, cellulose triacetates, and mixtures thereof. It doesn't work.

상기 색소는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산화티타늄, 청색 1호, 청색 2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비드 제형에 있어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붕해제, 활택제 및 고결방지제는 3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3.78 내지 3.83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층은 0.5 내지 0.9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중량%로 사용될 수 있고, 붕해제, 활택제, 고결 방지제 및 코팅층의 배합비율은 4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4.48 내지 4,5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The pigm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 iron oxide, yellow iron oxide, titanium oxide, blue No. 1, blue No. 2, and mixtures thereof. In the bead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integrant and a lubricant are adde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rmulation. The agent and anti-caking agent can be used in an amount ranging from 3 to 4% by weight, preferably 3.78 to 3.83% by weight, and the coating layer can be used in an amount of 0.5 to 0.9% by weight, preferably 0.7% by weight, and the disintegrant and lubricant , the mixing ratio of the anti-caking agent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4 to 5% by weight, preferably 4.48 to 4.53% by weight.

본 발명의 제형의 형상에 있어서, 제형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기둥형, 난형, 삼각형, 아몬드형, 땅콩형, 평행사변형, 원형, 오각형, 육각형, 구형 또는 사다리꼴형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In terms of the shape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dosage form may generally be column-shaped, oval-shaped, triangular, almond-shaped, peanut-shaped, parallelogram, circular, pentagonal, hexagonal, spherical or trapezoid-shaped, but is preferably selected. may have a pillar shape.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기둥 형상일 때는 다각형 기둥 형상, 원통기둥 형상, 타원형 기둥 형상, 구 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기둥 형상의 단면은 사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llar shape, it may be any one of a polygonal pillar shape, a cylindrical pillar shape, an oval pillar shape, and a spher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pillar shape may be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It may be circular or o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형이 원통 기둥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다각형 기둥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고 구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A schematic diagram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has a cylindrical pillar shape is shown in Figure 1, a schematic diagram when it has a polygonal pillar shape is shown in Figure 2, and a schematic diagram when it has a spherical shape is shown in Figure 3.

본 발명의 기둥 형상의 제형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일정한 최대 폭을 가지며 일정한 최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illar-shaped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stant maximum width and a constant maximum height.

본 발명에서 정의된 “최대 폭” 이란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에서의 최대 폭을 의미한다. “Maximum width”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maximum width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최대 높이”란 기둥 형상의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둥의 실린더 부분의 높이와 상부면 및 하부면이 반구형인 경우 양 단부의 높이의 합을 포함한 최대 높이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maximum heigh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lar shape, including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part of the pillar and the sum of the heights of both ends i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hemispherical. means.

본 발명 제형의 기둥 형상이 원통 기둥 형상인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 형상의 최대 폭이 3 내지 7 mm일 때 원통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과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은, 1 : 0.5 내지 1 : 1.5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1 : 1.2 이며 이때 최대 높이는 상기 최대 폭과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 내의 범위값 중에서 3 내지 7 mm의 값을 가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pillar shape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pillar shape,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pillar shape is 3 to 7 mm,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illar shape is 1:0.5 to 1:1.5, more preferably 1:0.8 to 1:1.2, and the maximum height is 3 to 7 mm withi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일 실시예로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과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이 1 : 0.8 내지 1 : 1.2 일 때, 기둥 형상의 최대 폭이 4 mm인 경우, 최대 높이는 3.2 내지 4.8 mm로 형성되며 최대 폭이 3.5 mm인 경우, 최대 높이는 3 내지 4.2 mm이며, 최대 폭이 6.5 mm인 경우 최대 높이는 5.2 내지 7 mm로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1:0.8 to 1:1.2,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pillar shape is 4 mm, the maximum height is formed to be 3.2 to 4.8 mm. When the maximum width is 3.5 mm, the maximum height is 3 to 4.2 mm, and when the maximum width is 6.5 mm, the maximum height is 5.2 to 7 mm.

상기와 같은 최대 폭과 최대 높이의 비율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제형이 디스펜서로부터 토출될 때 제형의 제형 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 뿐만 아니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착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토출이 가능하며 최대 폭과 최대 높이가 3 내지 7 mm인 경우 토출량 제어 및 목넘김이 용이하며 적절한 용량 해상도를 가진다.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atio of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as described above, stable discharge is possible even if it is seated not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but also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and the maximum width When the maximum height is 3 to 7 mm, it is easy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and swallow, and has appropriate capacity resolution.

구체적으로, 하기 시험예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최대 폭이 3 내지 7 mm인 경우 2.4 kp이상의 경도를 갖추어 제형을 형성하고 35 내지 100 mg의 용량해상도를 가지며 목넘김도 용이하여 경구 복용시 복용편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시험예 4에서와 같이 1회 토출 시 개수 오차가 거의 없이 원하는 양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5초 이내 토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됨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Test Example 3 below, when the maximum width is 3 to 7 mm, the formulation has a hardness of 2.4 kp or more, has a dosage resolution of 35 to 100 mg, and is easy to swallow, so when taken orally. It was confirmed to be convenient to take. In addition, as in Test Example 4 below, it was possible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with almost no number error when discharging o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discharge was possible within 5 seconds, showing that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ensed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the dispenser. It was confirmed that

또한 시험예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의 비율이 1 : 1.5 이상인 경우 목넘김 시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 : 0.5 이하인 경우 매우 힘든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 및 최대 높이의 비율이 1 : 0.5 내지 1 : 1.5 인 경우 적절한 최대 폭 및 최대 높이를 가져 복용이 매우 용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험예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의 비율이 1 : 0.3 내지 1 : 0.5 인 경우 디스펜서로부터 토출이 불가능하였으며, 1 : 0.6 및 1 : 0.7인 경우에는 토출은 가능하였으나 원하는 오차 범위 내의 토출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고, 1 : 0.8 내지 1 : 1.2 인 경우 원하는 오차 범위 내로 토출 가능하여 토출량 제어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as shown in Test Example 5,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1:0.5 to 1:1.5,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very easy to take because it had an appropriat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As shown in Test Example 6, the maximum width of the dosage form ( When the ratio of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1:0.8 to 1:1.2, discharge was possible within the desired error range, showing excellent discharge volume control.

또한 본 발명은 구 형상의 제형으로서,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주성분 물질; 및 상기 주성분 물질에 혼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구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 최대 폭은 상기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와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지며, 상기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herical dosage form, the main ingredient containing nutritional ingredients; and an additive mixed with the main ingredient, wherein the maximum cross-sectional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pherical shape has a value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illar-shaped dosage form characterized by having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형이 구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A schematic diagram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has a spherical shape is shown in Figure 3.

본 발명의 제형이 구형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 형상의 제형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 최대 폭은 상기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와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지며, 상기 구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 최대 폭은 3 내지 7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herical, the maximum width of the cross-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pherical dosage form has a value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phere-shaped dosage form has a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aximum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3 to 7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형이 구 형상인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과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은 구 형상의 최대 폭이 3 내지 7 mm일 때, 1 : 0.5 내지 1 : 1.5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1 : 1.2 이며 이때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는 3 내지 7 mm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herical shape,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herical shape is 1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spherical shape is 3 to 7 mm: It is 0.5 to 1:1.5, more preferably 1:0.8 to 1:1.2, and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3 to 7 mm.

본 발명의 제형은 약리학적 활성 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의 혼합물 또는 과립물을 타정기에서 압축함으로써 정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타정기의 타정압, 코팅층의 유무, 주성분 물질 및 첨가제의 물질의 종류 및 함량 비율에 따라 다양한 경도를 지닐 수 있다.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to tablets by compressing a mixture or granule of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in a tablet press, wherein the tablet pressure of the tablet pr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ating layer, the main ingredient and the additive substance are adjusted. It can have various hardnesses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tent ratio.

정제의 경도는 과립 공정의 특성과 관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압축압력이 높을수록 경도도 높아진다. 서서히 녹는 것이 필요한 경우 의도적으로 경도를 높이며 신속한 방출이 필요한 경우 정제는 경도를 낮게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정제는 포장 및 수송 등 일상적인 취급 과정에서는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경도를 가져야 하지만, 동시에 복용 후에는 적절하게 붕해하며 용해되기 쉽도록 적절한 경도를 가져야 한다. The hardness of tablet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nulation process, and generally, the higher the compression pressure, the higher the hardness. When slow dissolution is required, the hardness is intentionally increased, and when rapid release is required, the hardness of the tablet is manufactured to be low. In general, tablets must have sufficient hardness not to break during routine handling such as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must have appropriate hardness so that they disintegrate properly and are easily dissolved after inges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은 3 내지 7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5 mm이며, 최대 폭과 최대 높이의 비율은 1 : 0.5 내지 1 : 1.5, 더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1 : 1.2가 바람직하며 이때 최대 높이는 3 내지 7 mm이며, 상기와 같은 최대 폭 및 최대 높이를 가지는 제형의 경도는 2.4 내지 35.0 kp(킬로폰드),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0 kp,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6 kp의 경도값을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aximum width of the dosage form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3 to 7 mm, preferably 3 to 5 mm, more preferably 3.5 m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width and the maximum height is The ratio is preferably 1:0.5 to 1:1.5, more preferably 1:0.8 to 1:1.2, where the maximum height is 3 to 7 mm, and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having the abov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is 2.4 to 35.0. It has a hardness value of kp (kilopond), preferably 2.4 to 20 kp, more preferably 2.4 to 6 kp.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35 kp이하인 경우 붕해시간은 1시간 이내이며, 20 kp이하인 경우 붕해시간은 20분 이내이며, 경도가 6 kp이하인 경우 붕해시간은 5분 이내이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5 kp or less, the disintegration time is within 1 hour, when the hardness is 20 kp or less, the disintegration time is within 20 minutes, and when the hardness is 6 kp or less, the disintegration time is within 5 minutes.

구체적으로, 하기 시험예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2.1 kp이하인 경우 디스펜서 내에서 일부 제형의 파손이 확인되었으며, 2.4 및 2.7 kp인 경우 약간의 가루날림은 있으나 제형의 형상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경도가 3.0 kp이상인 경우에는 디스펜서 내에서 제형이 파손 및 가루날림 현상 없이 기둥 형상을 우수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Test Example 1 below,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2.1 kp or less, damage to some of the formulation was confirmed within the dispenser, and when the hardness was 2.4 and 2.7 kp, there was some dusting, but the shape of the formulation was changed. It was observed that maintenance was possible, and when the hardness was 3.0 kp or 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ulation maintained its pillar shape excellently without breakage or dusting within the dispenser.

또한 시험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40 kp이상인 경우 적정 시간 내에 붕해되지 않았으며, 25 이상 35 kp이하의 경도에서는 1시간 이내로 붕해되었고 7 이상 20 kp이하의 경도에서는 20분 이내로 붕해되었으며 제형의 경도가 3 내지 6 kp인 경우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디스펜서 내부에서 원통 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5분 이내로 붕해되어 적절한 붕해시간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est Example 2,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40 kp or more, it did not disintegrate within the appropriate time. For hardnesses between 25 and 35 kp, it disintegrated within 1 hour, and at hardnesses between 7 and 20 kp, it disintegrated within 20 minute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was 3 to 6 kp, it disintegrated within 5 minutes and had an appropriate disintegration time while maintaining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inside the dispenser as in Test Example 1.

이에 본 발명 제형의 경도가 2.4 내지 6 kp인 경우에 제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포장 및 디스펜서로부터 토출하여 사용시에도 제형이 파손되지 않아 디스펜서에서 토출하여 사용시에도 제형의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적절한 붕해시간에 용해됨을 확인하였다. Accordingly,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4 to 6 kp,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ulation was not damaged even when the formulation was formed and used after being packaged and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so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used without damage to the formulation even when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and used.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it dissolved at an appropriate disintegration time.

본 발명의 제형의 기둥 형상이 원통 기둥 형상인 경우 일 예로 반구 형상의 양 단부를 가진 원통형 형태일 수 있다. If the pillar shape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pillar shape, for example, it may be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in a hemispherical shape.

본 발명의 제형이 원통 기둥 형상일 때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A schematic diagram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has a cylindrical pillar shape is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에서 정의된 “곡률 반경”이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통 기둥 형상의 양 단부가 반구 형상일 때 상부면 및 하부면의 수직방향에 대한 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The “radius of curvatur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n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illar shape are hemispherical, as shown in FIG. 1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 형상이 양 단부를 가진 원통형 형태일 때 기둥의 최대 폭과 곡률 반경의 비율은 1 : 0.6 내지 1 : 1.8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mispherical shape is cylindrical with both ends,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of the pillar and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1:0.6 to 1:1.8.

구체적으로, 하기 시험예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대 폭과 곡률 반경의 비율이 1 : 0.6 내지 1 : 1.8 인 경우 목넘김이 용이하며 경도도 2.4 kp상으로 측정되어 제형의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파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스펜서로부터의 토출 개수 제어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Test Example 7 below,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to the radius of curvature is 1:0.6 to 1:1.8, it is easy to swallow, and the hardness is measured at 2.4 kp, so it is possible to form a dosage form,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breakage. was confirmed to be low, and control of the number of discharges from the dispenser was also confirmed to b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기둥 형상의 제형은 디스펜서로부터 비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lumn-shaped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ads from a dispenser.

상기 비드 제형은 경구용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는 캡슐제, 정제, 건조 시럽형 제제, 시럽제, 젤리형 제제 또는 과립제 등이 있으며, 일 구체예로 정제 또는 캡슐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bead formulation can be prepared as an oral formulation. The oral preparations include capsules, tablets, dry syrup-type preparations, syrup preparations, jelly-type preparations, or granules. In one embodiment, they may be formulated as tablets or capsul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은 디스펜서로부터 토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1회에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춰 정확하고 빠르게 제공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ensed from a dispenser, and can be provided accurately and quickly according to the dosage required by the user at one time.

본 발명의 제형은 디스펜서의 각 비드 카트리지로부터 초당 3 내지 7개가 토출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디스펜서로부터 1회에 25개 내지 250개가 토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1회 토출 시간은 1 내지 10초가 소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charged at a rate of 3 to 7 beads per second from each bead cartridge of the dispenser, for example, 25 to 250 beads may be discharged at a time from the dispenser, and in this case, the one discharge time may take 1 to 10 second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구체적으로, 하기 시험예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형의 최대 폭이 3.5 내지 7 mm인 경우 토출 시 개수 오차가 거의 없어 원하는 양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토출 시간이 5초이내 토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됨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Test Example 4 below,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5 to 7 mm, there is almost no number error during discharge, so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time is within 5 second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ispense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ispen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examples are provided as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thin the description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scope of equivalents interpreted therefro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term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operator or the customs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는 제형의 총 중량 대비 해당 성분의 중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중량%를 의미한다.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 means weight %, which represents the ratio of the weight of the ingredient in question to the total weight of the formulation.

실시예 1. 비드 제형의 제작Example 1. Fabrication of bead formulation

본 발명의 기둥 형상의 제형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The pillar-shaped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as follows.

주성분 물질과 상기 주성분 물질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한 다음, 기둥 형상의 홈을 갖는 실린더 홈에 과립을 충진한 상태에서, 제형의 경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가 되도록 실린홈의 상부면을 압축하여 각 폭에 따른 정제를 타정하였다.Granules are manufactured by mixing the main ingredient and additives, and then the granules are filled into a cylinder groove having a column-shaped gro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groove is compressed so that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ablets according to each width were compressed.

이하에서는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 단면이 원형인 원통 기둥 형상의 제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cylindrical pillar-shaped dosage form with a circular horizontal cross-s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의 제형은 다각형 기둥, 원통 기둥 또는 구 형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뿐만 아니라, 다각형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 단면이 사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또는 원통 기둥에서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및 구 형인 경우 단면이 원형일 때에도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a polygonal pillar, cylindrical pillar or sphere is circular, but also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olygonal pillar shape is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or cylindrical pillar. If the cross-section is oval or spherical, it can also be included when the cross-section is circular.

시험예 1. 원통 기둥 형상의 제형 경도에 따른 디스펜서 내부에서의 제형의 파손정도 측정Test Example 1.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damage of the formulation insid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cylindrical column-shaped formulation.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에 따른 디스펜서 내 파손정도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The degree of damage in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파손정도에 따라 1점 내지 4점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디스펜서에서 대부분의 제형이 90%이상 파손되어 원형 유지가 불가한 경우 1점, 디스펜서 내에서 제형이 일부 파손되어 파손율이 20%이상 90%미만인 경우 2점, 디스펜서 내에서 약간의 가루날림은 있으나 대부분의 제형의 형상유지가 가능한 경우 3점 및 디스펜서 내에서 가루날림이 없이 기둥 형상 유지 정도가 우수한 경우 4점을 부여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A score of 1 to 4 points was given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1 point if most of the formulation was damaged in the dispenser by more than 90% and the original shape could not be maintained; 90 if some of the formulation was damaged in the dispenser and the damage rate was 20% or more. 2 points if less than %, 3 points if there is some dusting in the dispenser but the shape of most formulations can be maintained, and 4 points if the shape of the pillar is maintained well without dusting in the dispenser.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given. is shown below.

경도(kp)Hardness (kp) 파손율breakage rate 7.0 이상7.0 or higher 44 6.56.5 44 6.06.0 44 5.55.5 44 5.05.0 44 4.54.5 44 4.04.0 44 3.53.5 44 3.03.0 44 2.72.7 33 2.42.4 33 2.12.1 22 1.81.8 22 1.5 이하1.5 or less 1One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2.1 kp이하인 경우 디스펜서 내에서 일부 제형의 파손이 확인되었으며, 2.4 및 2.7 kp인 경우 약간의 가루날림은 있으나 제형의 형상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경도가 3.0 kp이상인 경우에는 디스펜서 내에서 제형이 파손 및 가루날림 현상 없이 기둥 형상을 우수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2.1 kp or less, some damage to the formulation was confirmed within the dispenser, and when the hardness was 2.4 and 2.7 kp, there was some dusting, but the shape of the formulation was confirmed to be maintained. It was observed that when the hardness was above 3.0 kp,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ulation maintained its pillar shape excellently without breakage or dusting within the dispenser.

시험예 2. 원통 기둥 형상의 제형 경도에 따른 제형의 붕해시간 측정 Test Example 2. Measurement of disintegration time of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cylindrical column-shaped formulation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에 따른 붕해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붕해시험을 수행하였다. A disintegration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disintegration time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붕해시험은 1액(pH 1.2) 및 정제수 37℃ 온도에서 대한민국 약전에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형의 붕해시간을 측정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The disintegration test was performed in one solution (pH 1.2) and purified water at a temperature of 37°C according to the Korean Pharmacopoeia to measure the disintegration time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경도(kp)Hardness (kp) 붕해시간Disintegration time 45.045.0 붕해되지 않음Does not disintegrate 40.040.0 붕해되지 않음Does not disintegrate 35.035.0 1시간 이내in 1 hour 30.030.0 1시간 이내in 1 hour 25.025.0 1시간 이내in 1 hour 20.020.0 20분 이내Within 20 minutes 15.015.0 20분 이내Within 20 minutes 10.010.0 20분 이내Within 20 minutes 7.57.5 20분 이내Within 20 minutes 7.07.0 20분 이내Within 20 minutes 6.06.0 5분 이내Within 5 minutes 5.05.0 5분 이내Within 5 minutes 4.04.0 5분 이내Within 5 minutes 3.0이하3.0 or less 5분 이내Within 5 minutes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40 kp이상인 경우 적정 시간내에 붕해되지 않았으며, 25 이상 35 kp이하의 경도에서는 1시간 이내로 붕해되었고 7 이상 20 kp이하의 경도에서는 20분 이내로 붕해되었으며 제형의 경도가 3 내지 6 kp인 경우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디스펜서 내부에서 원통 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5분 이내로 붕해되어 적절한 붕해시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형의 경도가 3 내지 6 kp인 경우 빠른 붕해가 일어남으로써 빠른 흡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40 kp or more, it did not disintegrate within the appropriate time, at hardnesses between 25 and 35 kp, it disintegrated within 1 hour, and at hardnesses between 7 and 20 kp, it disintegrated within 20 kp. It was disintegrated within minutes, and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was 3 to 6 kp, it was found to have an appropriate disintegration time as it disintegrated within 5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inside the dispenser as in Test Example 1.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 to 6 kp, rapid disintegration occurs and rapid absorption is possible.

시험예 3. 원통 기둥 형상의 최대 폭에 따른 경도 형성, 용량 해상도 및 목 넘김 정도 측정Test Example 3. Measurement of hardness formation, capacity resolution, and degree of necking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of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에 따른 경도 형성, 용량 해상도 및 목 넘김 정도를 측정하였다. The hardness formation, capacity resolution, and throat swallowing degree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measured.

목넘김 정도의 경우 경구 복용이 용이한 정도를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 길이별로 10인을 대상으로 하여 복용편의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최대 폭 길이별로 본 발명의 제형 100알을 경구복용한 뒤 제형을 삼킬 때 목넘김이 용이한 정도를 1 : 매우 힘듦 / 2 : 힘듦 / 3 : 보통 / 4 : 용이 / 5 : 매우 용이의 채점 방식으로 채점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뒤, 각 평균치의 구간을 1 내지 2 : 매우 힘듦/ 2 내지 3 : 힘듦/ 3 내지 4 : 용이/ 4 내지 5 : 매우 용이로 기재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swallowing, a convenience test was conducted on 10 people for each maximum width and length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ease of oral administration. After orally taking 100 tablets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maximum width and length, the degree to which the dosage form is swallowed is rated as follows: 1: very difficult / 2: difficult / 3: normal / 4: easy / 5: very easy.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by scoring, the range of each average value was written as 1 to 2: very difficult / 2 to 3: difficult / 3 to 4: easy / 4 to 5: very eas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It was.

최대 폭(mm)Maximum width (mm) 경도(kp)Hardness (kp) 용량 해상도capacity resolution 목넘김 정도About to swallow 10.010.0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매우 힘듦very difficult 9.59.5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매우 힘듦very difficult 9.09.0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매우 힘듦very difficult 8.58.5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힘듦difficult 8.08.0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힘듦difficult 7.57.5 2.4 이상2.4 and above 100 mg 초과More than 100 mg 힘듦difficult 7.07.0 2.4 이상2.4 and above 75 내지 100 mg75 to 100 mg 용이dragon 6.56.5 2.4 이상2.4 and above 75 내지 100 mg75 to 100 mg 용이dragon 6.06.0 2.4 이상2.4 and above 50 내지 75 mg50 to 75 mg 용이dragon 5.55.5 2.4 이상2.4 and above 50 내지 75 mg50 to 75 mg 용이dragon 5.05.0 2.4 이상2.4 and above 50 내지 75 mg50 to 75 mg 매우 용이very easy 4.54.5 2.4 이상2.4 and above 40 내지 50 mg40 to 50 mg 매우 용이very easy 4.04.0 2.4 이상2.4 and above 40 내지 50 mg40 to 50 mg 매우 용이very easy 3.53.5 2.4 이상2.4 and above 40 내지 50 mg40 to 50 mg 매우 용이very easy 3.03.0 2.4 이상2.4 and above 35 내지 40 mg35 to 40 mg 매우 용이very easy 2.52.5 2.4 이상2.4 and above 35 내지 40 mg35 to 40 mg 매우 용이very easy 2.02.0 2.4 미만less than 2.4 30 mg 미만Less than 30 mg 매우 용이very easy 1.51.5 2.4 미만less than 2.4 30 mg 미만Less than 30 mg 매우 용이very easy 1.01.0 비드 형성 불가No bead formation 30 mg 미만Less than 30 mg 매우 용이very easy 0.50.5 비드 형성 불가No bead formation 30 mg 미만Less than 30 mg 매우 용이very easy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폭이 1 mm미만인 경우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2 mm인 경우 제형의 경도가 2.4 kp미만으로 측정되었으며 해당 경도를 가지는 경우 시험예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펜서내에서 제형의 파손이 측정되어 적절한 경도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3, when the maximum width was less than 1 mm, the formulation was not formed, and when it was 2 mm,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2.4 kp, and when it had the corresponding hardness, as shown in Test Examples 1 and 2. Breakage of the formulation was measured within the dispenser, confirming that appropriate hardness was not formed.

또한 최대 폭이 2.5 mm이상인 경우 제형의 경도는 2.4 kp이상으로 측정되어 제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시험예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장 및 디스펜서로부터 토출하여 사용시에도 제형이 파손되지 않아 디스펜서에서 토출하여 사용시에도 제형의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한 경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maximum width is 2.5 mm or more,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is measured to be more than 2.4 kp, and at the same time as the formulation is formed, as shown in Test Examples 1 and 2, the formulation is not damaged even when discharged from the packaging and dispenser and use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hardness that could be used without damage to the formulation.

용량 해상도의 경우 최대 폭이 7.5 mm이상인 경우 100 mg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목넘김의 경우 최대 폭이 9 mm이상인 경우 경구복용시 목넘김이 매우 힘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7 mm이상인 경우 복용이 용이하고 5 mm이하인 경우 매우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대 폭이 작아질 수록 제형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목넘김 시 불쾌감을 감소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In terms of dosage resolu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exceeded 100 mg when the maximum width was 7.5 mm or more. In terms of swallowing, it was found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swallow when taking oral medication when the maximum width was 9 mm or more. It was easy to take when it was 7 mm or more, and it was easy to swallow when the maximum width was 9 mm or more. In the case below, it was found to be very easy.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e smaller the maximum width, the smaller the size of the dosage form, which reduces discomfort when swallowing.

시험예 4. 원통 기둥 형상의 최대 폭에 따른 디스펜서에서의 토출량 제어 정도 측정Test Example 4. Measurement of discharge volume control degree in dispenser according to maximum width of cylindrical column shape

본 발명의 제형의 디스펜서에서의 토출량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ispenser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토출량 제어 정도의 경우 카트리지로부터 1회 토출량 100알을 기준으로 하여 5회 반복 토출후 평균 토출량을 토출 개수 오차범위에 따라 1 : 토출량 제어불가 / 2 : 85 내지 90알 토출 및 110 내지 115알 토출 / 3 : 91 내지 96알 토출 및 104 내지 109알 토출 / 4 : 97 알 내지 103알 토출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discharge volume control, the average discharge volume after 5 repeated discharges is based on the discharge amount of 100 grains from the cartridge at one time. Depending on the error range of the discharge number, 1: discharge volume cannot be controlled / 2: 85 to 90 grains discharged and 110 to 115 grains discharged / Scores were given as follows: 3: 91 to 96 tablets discharged and 104 to 109 tablets dispensed / 4: 97 tablets to 103 tablets dispensed.

토출 시간의 경우 카트리지로부터 1 g의 제형을 토출할 때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ejection time,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average time required to eject 1 g of formulation from the cartridge are shown below.

최대 폭maximum width 토출량 제어 정도Degree of discharge volume control 토출 시간discharge time 10.010.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9.59.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9.09.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8.58.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8.08.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7.57.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7.07.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6.56.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6.06.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5.55.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5.05.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4.54.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4.04.0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3.53.5 44 5초 이내Within 5 seconds 3.03.0 33 5초 초과>5 seconds 2.52.5 22 8초 초과>8 seconds 2.02.0 22 8초 초과>8 seconds 1.51.5 22 토출불가Discharge not possible 1.01.0 1One 토출불가Discharge not possible 0.50.5 1One 토출불가Discharge not possible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이 0.5 및 1 mm인 경우 디스펜서로부터 1회 토출되는 비드 제형의 개수 제어가 불가능 했으나 최대 폭이 3.5 내지 7 mm인 경우 토출 시 개수 오차가 거의 없어 원하는 양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토출 시간이 5초이내 토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됨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4,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0.5 and 1 mm,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bead formulations discharged at one time from the dispenser, but when the maximum width was 3.5 to 7 mm, there was a number error during discharg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as there was almost no discharge,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time was possible within 5 secon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harged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the dispenser.

시험예 5. 원통 기둥 형상의 최대 폭과 최대 높이 비율에 따른 경구복용시 목넘김 정도 측정Test Example 5. Measurement of throat swallowing during o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ratio of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본 발명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 비율에 따른 목 넘김 정도를 측정하였다. The degree of neck flipping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X) and maximum height (Y)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목넘김 정도의 경우 경구 복용이 용이한 정도를 최대 폭 길이별로 10인을 대상으로 하여 복용편의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최대 폭 길이별로 본 발명의 제형 100알을 경구복용한 뒤 제형을 삼킬 때 목넘김이 용이한 정도를 1 : 매우 힘듦 / 2 : 힘듦 / 3 : 보통 / 4 : 용이 / 5 : 매우 용이의 채점 방식으로 채점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뒤, 각 평균치의 구간을 1 내지 2 : 매우 힘듦/ 2 내지 3 : 힘듦/ 3 내지 4 : 용이/ 4 내지 5 : 매우 용이로 기재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swallowing, a convenience test was conducted on 10 people for each maximum width and length to determine the ease of oral administration. After orally taking 100 tablets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maximum width and length, the degree to which the dosage form is swallowed is rated as follows: 1: very difficult / 2: difficult / 3: normal / 4: easy / 5: very easy.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by scoring, the range of each average value was written as 1 to 2: very difficult / 2 to 3: difficult / 3 to 4: easy / 4 to 5: very eas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It was.

X : YX:Y 목넘김 정도About to swallow 1:1.61:1.6 힘듦difficult 1:1.51:1.5 힘듦difficult 1:1.41:1.4 용이dragon 1:1.31:1.3 용이dragon 1:1.21:1.2 매우 용이very easy 1:1.11:1.1 매우 용이very easy 1:1.01:1.0 매우 용이very easy 1:0.91:0.9 매우 용이very easy 1:0.81:0.8 매우 용이very easy 1:0.71:0.7 용이dragon 1:0.61:0.6 용이dragon 1:0.51:0.5 힘듦difficult 1:0.41:0.4 매우 힘듦very difficult 1:0.31:0.3 매우 힘듦very difficult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의 비율이 1 : 1.5 이상인 경우 목넘김 시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 : 0.5 이하인 경우 매우 힘든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 및 최대 높이의 비율이 1 : 0.5 내지 1 : 1.5 인 경우 적절한 최대 폭 및 최대 높이를 가져 복용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of the dosag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1:0.5 to 1:1.5, it had an appropriat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making it very easy to take.

시험예 6. 원통 기둥 형상의 최대 폭과 최대 높이 비율에 따른 토출 제어 정도 Test Example 6. Degree of discharge control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ratio of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본 발명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 비율에 따른 디스펜서에서의 토출 제어 정도를 측정하였다.The degree of discharge control in the dispenser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X) and maximum height (Y) ratio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량 제어 정도의 경우 디스펜서로부터 1회 토출량 100알을 기준으로 하여 5회 반복 토출후 평균 토출량을 토출 개수 오차범위에 따라 1 : 토출량 제어불가 / 2 : 85 내지 90알 토출 및 110 내지 115알 토출 / 3 : 91 내지 96알 토출 및 104 내지 109알 토출 / 4 : 97 알 내지 103알 토출로 점수를 부여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the degree of discharge volume control, the average discharge volume after 5 repeated discharges is based on the discharge amount of 100 grains from the dispenser at one time. Depending on the error range of the discharge number, 1: Discharge volume cannot be controlled / 2: 85 to 90 grains discharged and 110 to 115 grains discharged /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by assigning scores as 3: 91 to 96 eggs discharged and 104 to 109 eggs discharged / 4: 97 eggs to 103 eggs discharged.

X : YX : Y 토출량 제어정도Discharge volume control degree 1:1.61:1.6 1One 1:1.51:1.5 1One 1:1.41:1.4 22 1:1.31:1.3 22 1:1.21:1.2 33 1:1.11:1.1 44 1:1.01:1.0 44 1:0.91:0.9 44 1:0.81:0.8 33 1:0.71:0.7 22 1:0.61:0.6 22 1:0.51:0.5 1One 1:0.41:0.4 1One 1:0.31:0.3 1One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의 비율이 1 : 0.3 내지 1 : 0.5인 경우 디스펜서로부터 토출이 불가능하였으며, 1 : 0.6 및 1 : 0.7인 경우 토출은 가능하였으나 원하는 오차 범위 내의 토출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제형의 최대 폭(X)과 최대 높이(Y)의 비율이 1 : 0.8 내지 1 : 1.2인 경우 원하는 오차 범위 내로 토출 가능하여 토출량 제어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6, discharge from the dispenser was impossible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X) and maximum height (Y) of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1:0.3 to 1:0.5, and 1:0.6 and 1:0.5. In the case of 0.7, discharge was possible, but discharge within the desired error range was not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X) and maximum height (Y) of the formulation was 1:0.8 to 1:1.2, discharge was possible within the desired error range, showing excellent discharge volume control.

시험예 7. 원통 기둥 형상의 최대 폭과 기둥 양 단부의 곡률 반경에 따른 목 넘김 정도, 경도 형성 및 토출 제어 정도 측정Test Example 7.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necking, hardness formation, and discharge control according to the maximum width of the cylindrical column shap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both ends of the column.

본 발명 제형의 최대 폭(X) 및 기둥 양 단부의 곡률 반경(r)에 따른 목 넘김 정도, 제형의 경도 및 디스펜서에서의 토출 제어 정도를 측정하였다. The maximum width (

목넘김 정도 및 제형 경도의 경우 시험예 3에서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디스펜서에서의 토출 제어 정도는 시험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여 본 실험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The degree of swallowing and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were measured as in Test Example 3, and the degree of discharge control from the dispenser was measured in the same way as in Test Example 4, an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shown below.

X : rX : r 목넘김 정도About to swallow 경도Hardness 토출량 제어Discharge volume control 1:2.41:2.4 용이dragon 2.4 kp이상2.4 kp or more 22 1:2.21:2.2 용이dragon 2.4 kp이상2.4 kp or more 22 1:2.01:2.0 용이dragon 2.4 kp이상2.4 kp or more 22 1:1.81:1.8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33 1: 1.61: 1.6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44 1: 1.41: 1.4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44 1: 1.21: 1.2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44 1:1.01:1.0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44 1:0.81:0.8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33 1:0.61:0.6 매우 용이very easy 2.4 kp이상2.4 kp or more 1One 1:0.41:0.4 용이dragon 2 kp미만Less than 2 kp 1One 1:0.21:0.2 힘듦difficult 2 kp미만Less than 2 kp 1One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폭과 기둥 양 단부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 1 : 0.6 내지 1 : 1.8 인 경우 목넘김이 용이하며 경도도 2.4 kp이상으로 측정되어 제형의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파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스펜서로부터의 토출 개수 제어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whe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both ends of the pillar is 1:0.6 to 1:1.8, it is easy to swallow, and the hardness is measured to be more than 2.4 kp, so it is possible to form a dosage form,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breakage. was confirmed to be low, and control of the number of discharges from the dispenser was also confirmed to be excellent.

반면 1 : 2.0 이상의 비율에서는 토출 개수 제어에 있어 목적하는 개수와 차이가 있었으며, 1 : 0.6 이하의 비율에서는 제형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경도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On the other hand, at a ratio of 1:2.0 or more,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desired number in controlling the discharge number, and at a ratio of 1:0.6 or less, it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have sufficient hardness to form a formul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토출시키는 디스펜서(1)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ispenser 1 that dispens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펜서(1)를 기준으로 디스펜서(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 제1 방향(x)과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y), 제1, 2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4 an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enser 1 with respect to the dispenser 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direction horizontally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x)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s called the third direction (z).

여기서, 도 4의 (a)는 디스펜서(1)의 전체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디스펜서(1)에서 상부 커버(50)를 개폐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c)는 디스펜서(1)에 구비된 복수의 수납부(10) 중 일부에 카트리지부(60)를 삽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Here, Figure 4 (a)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ispenser 1, Figure 4 (b) shows an examp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cover 50 in the dispenser 1, and Figure 4 (c) shows an example of inserting the cartridge unit 60 into som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10 provided in the dispenser 1.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토출시키는 디스펜서(1)의 일례는 수납부(10), 본체(20), 디바이스 단말기(30) 및 받침대(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4, an example of a dispenser 1 that dispens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0, a main body 20, a device terminal 30, and a stand 40. can do.

수납부(10)는 디스펜서(1)의 제1 방향(x)으로 전면쪽에 위치하며, 본체(20)는 디스펜서(1)의 제1 방향(x)으로 배면쪽에 위치하고, 디바이스 단말기(30)는 디스펜서(1)의 상부에 위치하고, 받침대(40)는 수납부(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dispenser 1, the main body 20 is located on the back 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of the dispenser 1, and the device terminal 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ispenser 1, the stand 4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10.

디스펜서(1)는 사용자의 실시간 몸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의 종류 및 각 제형별 개수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enser 1 can determine the types of formulations containing different nutritional ingredients and the number of each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al-time physical condition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수납부(10)는 디스펜서(1)의 전면쪽에 위치하여, 제3 방향(z)으로 길게 구비되고, 전체적인 외형이 곡면(예, 원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부(60)가 수납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1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enser 1, is provided long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has an overall outer shape that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e.g., circular), as shown in (b) of FIG. 4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60 can be accommodated.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부(60) 각각은 전체적으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4, each of the plurality of cartridge parts 6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verall length.

복수의 카트리지부(60) 각각은 제형이 수납되는 카트리지(70)와 카트리지(70)에 결합되어 제형을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60 may include a cartridge 70 in which the formulation is stored and a discharge unit 80 coupled to the cartridge 70 to discharge the formulation.

복수의 카트리지(70)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을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부(60) 각각은 하나의 카트리지(70)에 하나의 토출 유닛(8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토출 유닛(80)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rtridges 70 can store formulations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nutritional ingredients. Each of these cartridge units 60 may be formed by combining one discharge unit 80 with one cartridge 70. Each discharge unit 80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수납부(10)의 상부는 도 4의 (b)와 같이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수납부(1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50)의 일단은 본체(20)의 일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0 may be opened as shown in (b) of FIG. 4, and for this purpose, an upper cover 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0. One end of the upper cover 50 is hinged to a part of the main body 20 and can be opened by the user, as shown in (b) of FIG. 4.

수납부(10)에는 도 4의 (c)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부(60)가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수납홈(11)이 제3 방향(z)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납홈(11)은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수납홈(11)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카트리지부(60)가 위치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As shown in (c) of FIG. 4, the storage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long in the third direction (z) in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 parts 60 can be stor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in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 parts 60 can be accommodated. The storage groove 11 may b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orage unit 10, as shown in (b) and (c) of Figures 4.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may be arranged in a circle with the cartridge portion 60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도 4에서는 복수의 수납홈(11)의 개수가 8개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수납홈(11)의 개수는 8개보다 많거나 작을 수 있다.Although FIG. 4 shows an example where the number of storage grooves 11 is 8, the number of storage grooves 11 may be more or less than 8.

이에 따라 복수의 수납홈(11) 각각에 삽입된 각 카트리지부(60)로부터 제형이 토출될 때, 각 제형이 디스펜서(1)의 외부인 받침대(40)쪽으로 토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rmulation is discharged from each cartridge unit 60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the time until each formulation is discharged toward the pedestal 40, which is outside of the dispenser 1, is equalized. You can.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납홈(11)의 일측에는 카트리지부(6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수납 가이드홈(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가이드홈(12)은 수납부(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수납홈(11)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4, a storage guide groove 1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storage groove 11 to guid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rtridge unit 60. Such a storage guide groove 1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torage groove 11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storage portion 10.

수납 가이드홈(12)에 대응하여, 각 카트리지부(60)에서 토출 유닛(80)의 일측에는 수납 가이드 돌출부(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가이드 돌출부(81)는 토출 유닛(80)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납 가이드홈(12)에 카트리지부(60)가 삽입될 때 수납 가이드 돌출부(81)는 수납 가이드홈(12)에 맞추어 삽입될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storage guide groove 12, a storage guide protrusion 81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80 in each cartridge unit 60. Such storage guide protrusion 81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80 protrudes outward, and when the cartridge portion 6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uide groove 12, the storage guide protrusion 81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guide groove (12).

수납부(10)의 중심부에는 각 수납홈(11)에 각 카트리지부(60)가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 램프(90)가 구비될 수 있다.An indicator lamp 9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torage unit 10 to indicate whether each cartridge unit 60 is correctly mounted in each storage groove 11.

일례로, 표시 램프(90)는 각 카트리지부(60)가 각 수납홈(11)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례로, 각 수납홈(11)의 바닥면에는 카트리지부(60)가 삽입되는 경우, 표시 램프(90)를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lamp 90 may indicate whether each cartridge unit 60 is properly inserted into each storage groove 11.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a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each storage groove 11 to turn on or off the display lamp 90 when the cartridge unit 60 is inserted. there is.

복수의 수납홈(11)에 삽입되는 카트리지부(6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디스펜서(1)에서 단위 시간당 토출되는 제형의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각 카트리지부(60)는 초당 5알 내지 10알 이상의 제형이 고속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디스펜서(1)에 삽입되는 카트리지부(6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디스펜서(1)가 토출하는 초당 제형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펜서(1)에서 1회에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는 25개 내지 250개 사이일 수 있다.As the number of cartridge units 60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11 increases, the number of formulations discharged per unit time from the dispenser 1 may increase. For example, each cartridge unit 60 can discharge 5 to 10 or more tablets per second at high speed, and as the number of cartridge units 60 inserted into the dispenser 1 increases, the dispenser 1 discharges more. The number of formulations per second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the number of formulations discharged at one time from the dispenser 1 may be between 25 and 250.

디바이스 단말기(30)는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 설정을 위한 메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아 각 카트리지부(60)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The device terminal 3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 and can display a menu for user settings on the touch screen. Specifically, the dispenser 1 can control the number of formulations discharged from each cartridge unit 60 by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본체(20)에는 복수의 카트리지부(60)가 위치하는 수납부(10)를 냉장시키는 냉장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장 장치에 포함되는 방열판 및 방열펜(fan)을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 may be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device for refrigerating the storage unit 10 where the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60 are located.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 heat sink and a heat sink (fan)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device ) can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토출시키는 디스펜서(1)에서 카트리지부(6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artridge portion 60 in the dispenser 1 that discharges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로터부(300)가 제형을 토출시키는 방향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정회전이라 하고, 로터부(300)가 제형을 토출시키는 정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역회전이라 한다.5 an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rotor unit 300 rotat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mulation is discharged, it is referred to as normal rotation, and when the rotor section 30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formulation is discharged, it is referred to as reverse rotation. It is called rota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카트리지부(60)는 카트리지(70)와 토출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artridge unit 6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rtridge 70 and a discharge unit 80.

카트리지(70)의 입구가 하부 방향으로 향하여 토출 유닛(80)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let of the cartridge 70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80 with the inlet facing downward.

토출 유닛(80)은 프레임(100), 로터부(300) 및 토출캡(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 로터부(300) 및 토출캡(200)은 카트리지부(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80 may include a frame 100, a rotor unit 300, and a discharge cap 200. The frame 100, the rotor unit 300, and the discharge cap 200 may be sequential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tridge unit 60.

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토출 유닛(80)의 외형을 형성하며,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관통되는 제1 개구부(100A)와 제2 개구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100 has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discharge unit 80, and has a first section that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It may include an opening 100A and a second opening 100B.

제1 개구부(100A)는 내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카트리지(7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구부(100B)는 프레임(100)에서 제1 개구부(100A)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로터부(300) 및 토출캡(200)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0)에서 제2 개구부(100B)에 인접한 외측면은 수납 가이드 돌출부(81)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에 대해서는 도 6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rst opening 100A has a circular inner surface and can be coupled to the cartridge 70. The second opening 100B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00A in the frame 100, and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rotor unit 300 and the discharge cap 200. . A storage guide protrusion 81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0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100B. This fram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6.

토출캡(200)은 중심 부분에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관통되는 회전홀(204)이 구비되고, 회전홀(204)의 외측으로 원반 형태를 갖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원반 형태를 갖는 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관통되는 토출구(201)가 형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ap 2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204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at its cent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disk-shaped surface outside the rotating hole 204. A discharge port 20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may be formed on at least some of the disk-shaped surfaces.

토출캡(200)은 제형을 카트리지부(60)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캡(200)은 토출구(201)의 하부에서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형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토출관(2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ap 200 may function to discharge the formulation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unit 60. To this end, the discharge cap 200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202 tha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2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and guides the discharge of the formulation.

토출캡(200)은 원반 형태를 갖는 면 중 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모리칩 수납부(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캡(200)에 대해서는 도 8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discharge cap 200 may be provided with a memory chip storage portion 10 that protrudes outward from a portion of the disc-shaped surface. This discharge cap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8.

로터부(300)는 프레임(100)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 중 일부 제형을 토출캡(200)의 토출구(201)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터부(30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면을 가지며, 제형 유도홈(340) 및 구동축홈(301)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or unit 300 may function to move some of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located in the frame 100 toward the discharge port 201 of the discharge cap 200. To this end, the rotor unit 300 has an overall circular surface and may include a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and a drive shaft groove 301.

제형 유도홈(340)은 로터부(300)의 중심쪽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면의 일부분을 개구하는 형태를 가지며, 제형 유도홈(34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토출캡(200)의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형 유도홈(340)은 원형으로 형성된 면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 중 일부 제형이 제형 유도홈(340)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로딩(loading)할 수 있다.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has a shape that opens a portion of a circularly formed surface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of the rotor unit 300, and the discharge cap 200 passes through the opened portion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Part of it may be exposed.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can load some of the formulations among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positioned on the circularly formed surface so that they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구동축홈(301)은 로터부(300)의 중심 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토출캡(200)의 회전홀(204)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축홈(301)은 토출 유닛(8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rive shaft groove 301 is located below the center portion of the rotor unit 300 and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hole 204 of the discharge cap 200. The drive shaft groove 301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not shown) of a drive motor (not shown) that drives the discharge unit 80.

이와 같은 로터부(300)에 대해서는 도 9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rotor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9.

로터부(300)의 구동축홈(301)이 토출캡(200)의 회전홀(204)에 삽입되어 로터부(300)는 토출캡(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토출캡(2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토출캡(200)은 프레임(100)의 제2 개구부(100B)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캡(200)의 메모리칩 수납부(10)가 프레임(100)의 수납 가이드 돌출부(81)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The drive shaft groove 301 of the rotor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204 of the discharge cap 200, so that the rotor unit 30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cap 200. And the discharge cap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100B of the frame 100. Here, the memory chip storage portion 10 of the discharge cap 200 may be coupled to the storage guide protrusion 81 of the frame 100.

이에 따라 로터부(300)가 프레임(100) 내에서 회전하면서, 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은 로터부(300)의 제형 유도홈(340)에 로딩될 수 있다. 이후 계속, 로터부(300)가 정회전하면서 제형 유도홈(340)에 로딩된 복수의 제형은 로터부(300)의 정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형 유도홈(34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제형이 토출캡(200)의 토출구(201) 상에 위치하게 되면 제형이 토출관(202)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ile the rotor unit 300 rotates within the frame 100, a plurality of formulation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100 may be loaded into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of the rotor unit 300. Thereafter, as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loaded into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may move along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section 300. At this time, when the outer formulation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is located on the discharge port 201 of the discharge cap 200, the formula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02.

본 발명의 디스펜서(1)는 제형 유도홈(340)에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로터부(30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형을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속으로 제형을 토출시킬 수 있다.The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sequentially discharges the formulation as the rotor unit 300 rotates with a plurality of formulations arranged in a row in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thereby dispensing the formulation at high speed. It can be discharged.

이하에서는 전술한 토출 유닛(8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unit 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도 5에서 프레임(100)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은 프레임(100)과 카트리지(70)가 결합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rame 100 in FIG. 5 in more detail,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frame 100 and the cartridge 70 are combined.

도 6의 (a)는 프레임(100)을 제1 개구부(100A)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S1-S1 라인에 따른 프레임(1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c) 및 (d)는 프레임(100)을 제2 개구부(100B)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Figure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100 looking down from the first opening 100A, and Figure 6 (b) is a cross-section of the frame 100 along the S1-S1 line in Figure 6 (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d Figures 6 (c) and (d) are views of the frame 100 as seen from the second opening (100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외벽(110), 내벽(120), 연결부(130), 분리리브(140), 차단리브(150) 및 수납 가이드 돌출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가이드 돌출부(81)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6, the frame 100 may include an outer wall 110, an inner wall 120, a connecting portion 130, a separating rib 140, a blocking rib 150, and a storage guide protrusion 81. there is. Here, the storage guide protrusion 81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외벽(110)은 카트리지(70)의 길이 방향(z)으로 연장되고, 프레임(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내벽(120)은 외벽(110)의 내측에 외벽(110)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내벽(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복수의 제형이 위치할 수 있다. The outer wall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cartridge 70 and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rame 100. The inner wall 12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110, and a plurality of formulations may b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wall 120.

제1 개구부(100A)쪽의 외벽(110)에 카트리지(70)의 입구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서는 외벽(110)의 내측면에 복수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카트리지(70)의 입구가 외벽(110)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되어 도 7과 같이, 카트리지(70)와 프레임(100)이 결합될 수 있다.The inlet of the cartridge 7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wall 110 on the first opening 100A side. For example, in Figure 6,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10, and the inlet of the cartridge 70 is screwed to the threads of the outer wall 110, as shown in Figure 7, the cartridge 70 and the frame ( 100) can be combined.

카트리지(70)와 프레임(100)의 제1 개구부(100A)쪽이 결합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카트리지(70)의 입구의 끝단은 내벽(120)의 끝단과 맞닿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70)에 수납되는 복수의 제형은 자연스럽게 프레임(100)의 내벽(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cartridge 70 and the first opening 100A of the frame 100 are coupled, the end of the inlet of the cartridge 70 may contact the end of the inner wall 120, as shown in FIG. 7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osage forms stored in the cartridge 70 can naturally be mov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wall 120 of the frame 100.

차단리브(150)는 제1 개구부(100A)쪽 내벽(120)의 끝단에서 카트리지(70) 방향으로 돌출 및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차단리브(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제1 개구부(100A)쪽으로 가까워질수록 복수의 차단리브(15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70) 내에 복수의 제형과 함께 수납되되, 제형보다 부피가 큰 보존제(예, 실리카겔포)가 프레임(100)의 내벽(120) 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rib 15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and extend from the end of the inner wall 120 toward the first opening 100A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artridge 7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blocking ribs 150 as shown in FIG. 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locking ribs 150 may narrow as it approaches the first opening 100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eservative (eg, silica gel foam) that is stored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formulations in the cartridge 70 and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formulation from entering the space within the inner wall 120 of the frame 100.

연결부(130)는 프레임(100)의 제2 개구부(100B)쪽에서 내벽(120)과 외벽(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b)와 같이 제2 개구부(100B)와 마주보는 연결부(130)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30 may connect the inner wall 120 and the outer wall 110 to each other at the second opening 100B of the frame 100. Here, as shown in (b) of FIG. 6, the connection portion 130 facing the second opening 100B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도 6의 (b),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리브(140)는 제2 개구부(100B)와 마주보는 연결부(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연결부(130)로부터 제2 개구부(100B)를 향하여 돌출되고, 정회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리브(140)는 정회전 방향으로 토출구(201)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b), (c), and (d) of FIG. 6, the separation rib 14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facing the second opening 100B,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 ), protrudes toward the second opening 100B,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eparation rib 14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201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일례로, 로터부(300)가 정회전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분리리브(140)의 시작단(140S)은 토출구(201) 이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분리리브(140)의 종단(140E)은 토출구(201)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d)와 같이, 분리리브(140)의 종단(140E)은 토출구(201)의 회전 방향 길이의 1/2 이상과 중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tor unit 300 moves in a forward rotation direction, the starting end (140S) of the separating rib 140 may be located before the discharge port 201, and the ending end (140E) of the separating rib 140 may be located before the discharge port 201. It can be located overlapping with (201). Here, as shown in (d) of FIG. 6, the longitudinal end 140E of the separating rib 140 may overlap with more than 1/2 of the rotational direction length of the discharge port 201.

또한, 분리리브(140)의 종단(140E)의 돌출 높이(140H2)는 분리리브(140)의 시작단(140S)의 돌출 높이(140H1)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분리리브(140)의 시작단(140S) 쪽에서부터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분리리브(140)의 시작단(140S)쪽에는 돌출 높이가 점진적 증가하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ding height 140H2 of the terminal end 140E of the separating rib 140 may be great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140H1 of the starting end 140S of the separating rib 140.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6, the protrusion height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starting end 140S of the separation rib 140 as it progress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6, an inclined surface whose protrusion height gradually increases may be provided at the starting end 140S of the separation rib 140.

분리리브(140)는 제형의 고속 토출을 도와주고, 토출구(201)의 입구에서 복수의 제형에 의한 막힘 현상(jam)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리브(140)의 기능은 도 11A 내지 도 11E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eparation rib 140 assists high-speed discharge of the formulation and can minimize jamming caused by a plurality of formulations at the entrance of the discharge port 201. The function of the separation rib 140 is explained in detail in FIGS. 11A to 11E.

도 8은 도 5에서 토출캡(200)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discharge cap 200 in FIG. 5 in more detail.

도 8의 (a)는 토출캡(2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S2-S2 라인에 따른 토출캡(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c)는 토출캡(200)을 메모리칩 수납부(10)쪽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8의 (d)는 토출캡(200)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Figure 8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cap 200, and Figure 8 (b) shows a cross-section of the discharge cap 200 along the line S2-S2 in Figure 8 (a). (c) in Figure 8 is a view of the discharge cap 200 from the memory chip storage unit 10, and (d) in Figure 8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discharge cap 200 from abov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캡(200)은 회전홀(204), 제1 토출레일(210), 제2 토출레일(220), 복수의 가이드 돌기(230), 토출구(201), 토출관(202) 및 메모리칩 수납부(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discharge cap 200 includes a rotating hole 204, a first discharge rail 210, a second discharge rail 220,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0, a discharge port 201, and a discharge It may include a tube 202 and a memory chip storage unit 10.

여기서, 회전홀(204), 토출구(201), 토출관(202)과 메모리칩 수납부(10)에 대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regarding the rotation hole 204, discharge port 201, discharge pipe 202, and memory chip storage unit 10 will be omitted.

제1 토출레일(210)은 회전홀(204)의 외주연에 회전홀(204)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포함하는 원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토출레일(210)의 일부분은 로터부(300)의 제형 유도홈(340)을 통하여 프레임(100)의 내벽(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제형 유도홈(340)의 내측에 로딩된 제형은 제1 토출레일(2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rail 21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hole 204 in a disk shape includi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hole 204. A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may be expos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wall 120 of the frame 100 through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of the rotor unit 300. The formulation loaded inside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제2 토출레일(220)은 제1 토출레일(210)의 외주연을 따라 위치하고, 토출구(201)가 제2 토출레일(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201)는 제2 토출레일(220) 상에서 메모리칩 수납부(1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may be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nd the discharge port 201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Specifically, the discharge port 20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memory chip storage unit 10 on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제2 토출레일(220)은 제1 토출레일(210)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토출레일(220)의 일부분은 로터부(300)의 제형 유도홈(340)을 통하여 프레임(100)의 연결부(1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에 로딩된 제형은 제2 토출레일(2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형이 이동중에 토출구(201) 상에 위치하면, 토출구(20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221 inclined outward from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may be expos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portion 130 of the frame 100 through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of the rotor portion 300. The formulation loaded on the outside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can move along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if the formulation is located on the discharge port 201 while moving,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1. there is.

이와 같은 제2 토출레일(220)의 제1 경사면(221)은 프레임(100) 연결부(130)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토출레일(220)의 제1 경사면(221)과 연결부(130)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제1 이동통로라 한다. 이와 같은 제1 이동통로는 토출캡(20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221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of the frame 100. Hereinafter,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1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moving passage. This first movement passage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cap 200.

제2 토출레일(220)은 토출구(201)와 인접한 부분에 토출구(201)를 향하여 기울어진 제2 경사면(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사면(222)이 제1 경사면(221)의 연장 선상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평균각(O1)은 10°~50° 사이일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clined surface 222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opening 201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opening 201 . Here, the average angle O1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1 may be between 10° and 50°.

이와 같은 제2 경사면(222)은 분리리브(140)의 시작단(140S)쪽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하여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토출레일(220)의 제2 경사면(222)과 분리리브(140)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제2 이동통로라 한다.This second inclined surface 22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starting end 140S of the separation rib 140. Hereinafter,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2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paration rib 140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movement passage.

복수의 가이드 돌기(230)는 제1 토출레일(210)과 제2 토출레일(220)의 경계선상에 위치하고, 제1 토출레일(210)의 제1 개구부(100A)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0 are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opening 100A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

이와 같은 복수의 가이드 돌기(230)는, 제형 유도홈(340)에 로딩된 내측 제형과 외측 제형이 제1 토출레일(210)과 제2 토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여 토출구(201)에 인접하였을 때 내측 제형과 외측 제형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분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uch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0 allow the inner and outer formulations loaded in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to move along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to the discharge port 201. When adjacent,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inner and outer formulations rather than overlapping each other.

메모리칩 수납부(10)에는 도 8의 (a)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에 수납되는 제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칩(205)이 수납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d) of FIGS. 8, the memory chip storage unit 10 may accommodate a memory chip 205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ormulation stored in the cartridge 70.

도 8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01)에서 제2 토출레일(220)의 제1 경사면(221)과 토출구(201)의 수직측면이 만나는 제1 부분(201A)의 높이는 제2 토출레일(220)의 제1 경사면(221)과 토출구(201)의 수직측면이 만나는 제2 부분(20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a) and (c) of FIGS. 8, the first portion 201A w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1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vertical side of the discharge port 201 meet at the discharge port 201. )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portion 201B w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21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vertical side of the discharge port 201 meet.

여기서, 토출구(201)의 제1 부분(201A)은 로터부(300)가 정회전할 때 외측 제형이 토출구(201)를 통하여 배출되기 이전에 만나는 부분이고, 토출구(201)의 제2 부분(201B)은 제형이 토출구(201)를 통하여 배출된 이후에 만나는 부분이다.Here, the first part 201A of the discharge port 201 is a part that meets before the outer formula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1 when the rotor unit 300 rotates forward, and the second part of the discharge port 201 ( 201B) is the part where the formulation meets after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1.

이에 따라, 제2 토출레일(220)의 제2 경사면(222)을 따라 이동된 외측 제형은 토출구(201)의 제2 부분(201B)을 형성하는 내부벽에 사선 방향으로 충돌한 후 자연스럽게 토출관(202)쪽으로 이동되어, 로터부(300)가 고속 회전하더라도 복수의 제형에 의해 토출구(201)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er formulation move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2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forming the second part 201B of the discharge port 201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n naturally hits the discharge pipe ( 202), the phenomenon of the discharge port 201 being blocked by a plurality of formulations can be minimized even if the rotor unit 300 rotates at high speed.

도 9는 도 5에서 로터부(300)의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0은 도 5에서 로터, 토출캡(200) 및 프레임(10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rotor unit 300 in FIG. 5 in more detail, and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otor, discharge cap 200, and frame 100 in FIG. 5 are combined. am.

도 9의 (a)는 로터부(300)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에서 로터부(300)를 바라본 모습이고, 도 9의 (c)는 도 9에서 S3-S3 라인에 따른 로터부(3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d)는 로터부(300)의 각 제형 유도홈(340)에 복수의 제형이 로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unit 300 looking down from above, Figure 9 (b) is a view of the rotor part 300 from the outside of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and Figure 9 (c) ) shows a cross-section of the rotor unit 300 along the line S3-S3 in FIG. 9, and (d) in FIG. 9 shows a plurality of formulations loaded into each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of the rotor section 300. It shows an example.

도 10의 (a) 및 (b)는 로터부(300)와 토출캡(200)이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0의 (c)는 로터부(300), 토출캡(200) 및 프레임(10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b)의 S4-S4 라인에 따른 단면과 함께 프레임(100)을 도시한 것이다.Figures 10 (a) and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tor unit 300 and the discharge cap 200, and Figure 10 (c) shows the rotor unit 300 and the discharge cap 200. In order to explai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frame 100, the frame 100 is shown along with a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S4-S4 in (b) of FIG. 10.

로터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콘(310), 제1 로터레일(320), 제2 로터레일(330), 제형 유도홈(340) 및 구동축홈(301)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rotor unit 300 includes a rotor cone 310, a first rotor rail 320, a second rotor rail 330, a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and a drive shaft groove 301. can do.

도 9 이하에서, 제형 유도홈(340) 및 구동축홈(301)에 대해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9 and below, descriptions of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regarding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and the drive shaft groove 301 will be omitted.

로터부(300)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형상의 중심에 로터콘(310)이 위치할 수 있다. 로터콘(310)은 로터부(30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면으로부터 카트리지(7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로터콘(310)은 경사가 완만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tor unit 300 may be formed in an overall circular shape, and the rotor cone 3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The rotor cone 3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otor unit 300 and may protrude from a circular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rtridge 70 is located. For example, the rotor cone 310 may have a cone shape with a gentle slope.

로터콘(310)은 프레임(100)의 내벽(120)과 함께 복수의 제형이 위치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제형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복수의 제형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rotor cone 310,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120 of the frame 100, can form the bottom surface of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formulations are located, and can form a plurality of formulations to prevent the multiple formulations located within the frame 100 from sticking to each other. It can function to disperse.

이를 위해, 로터콘(310)은 원뿔 형상에 따른 곡면을 포함하는 제1 로터콘 부분(310A)과 곡면보다 평탄한 면을 포함하는 제2 로터콘 부분(310B)을 포함하되, 제1 로터콘 부분(310A)과 제2 로터콘 부분(310B)은 로터콘(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교번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rotor cone 310 includes a first rotor cone portion 310A including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a cone shape and a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including a surface that is flatter than the curved surface. (310A) and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may be positioned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cone (310).

이에 따라 로터콘(310)에 맞닿아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은, 로터콘(310)이 회전할 때 제2 로터콘 부분(310B)에 의해 힘을 받아 로터콘(310)의 법선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rotor cone 310 are distribut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rotor cone 310 by receiving force from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when the rotor cone 310 rotates. You can.

아울러, 경도가 기준치(예, 2.4kp) 이상이 되도록 하여, 복수의 제형이 서로 접하여 부착된 경우라도, 로터콘(310)의 제1, 2 로터콘 부분(310A, 310B)의 충격에 의해 제형이 떨어져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nsuring that the hardness is above the standard value (e.g., 2.4 kp), even when a plurality of formulations are attach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ormulation is formed due to the impact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 cone portions 310A and 310B of the rotor cone 310. This can be allowed to disperse apart.

이때, 복수의 제형은 제2 로터콘 부분(310B)에 의해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형의 경도가 기준치(예, 2.4kp)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2 로터콘 부분(310B)의 충격에 의해 제형이 부서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기준치이상의 경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형의 부서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osage forms may be impacted by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If the hardness of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is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e.g., 2.4 kp),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ormulations will be broken by the impact of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However, by ensuring that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dness above the standard value, breakage of the formulation can be minimized.

제1 로터레일(320)은 미리 결정된 폭을 가지고 로터콘(310)의 외주연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제2 로터레일(330)은 제1 로터레일(320)의 하부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며 미리 결정된 폭을 가지고 제1 로터레일(320)의 외주연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rotor rail 32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extends lo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cone 310, and the second rotor rail 330 has a step toward the bottom of the first rotor rail 320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It may extend lo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otor rail 320 with a determined width.

복수의 제형은 로터콘(310) 상부 및 제1 로터레일(320) 상부에 맞닿아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로터레일(330) 상부에는 맞닿아 위치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plurality of formulations can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rotor cone 310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otor rail 320, but cannot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rotor rail 330.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 of FIG. 10.

아울러, 도 9와 같이, 제1 로터레일(320) 및 제2 로터레일(330) 각각의 외주연은 하방으로 폭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rotor rail 320 and the second rotor rail 330 may have a downward width.

제2 로터레일(330)에서 제형 유도홈(340)과 인접한 부분(340A)은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의 (b)와 같이, 제형 유도홈(340)이 형성된 제2 로터레일(330)에서 로터부(300)가 정회전할 때 제형과 맞닿는 부분(340A)의 하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second rotor rail 330, the portion 340A adjacent to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9 (b), when the rotor unit 300 rotates forward in the second rotor rail 330 on which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is formed, the lower part of the portion 340A in contact with the formulation has an inclined surface. It can be provided.

제형 유도홈(340)은 제2 로터콘 부분(310B)의 연장 선상에 제1 로터레일(320) 및 제2 로터레일(33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로터레일(320) 및 제2 로터레일(330)의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is locat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otor rail 320 and the second rotor rail 330, and the first rotor rail 320 and the second rotor rail 330 2 A portion of the rotor rail 330 may be provided in an open form.

이에 따라 제형 유도홈(340)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로터부(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토출레일(210)과 제2 토출레일(220)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로터부(300)가 회전하게 되면 도 10의 (a) 및 (b)와 같이 각 제형 유도홈(340)은 일부가 토출구(201)와 수직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Accordingly, portions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located below the rotor unit 300 may be exposed at the portion where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 In addition, when the rotor unit 300 rotates, a portion of each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may overlap the discharge port 201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s shown in Figures 10 (a) and (b).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형 유도홈(340)의 개수가 3개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형 유도홈(340)의 개수는 3개보다 많거나 작을 수 있다.9 and 10 show an example where the number of formulation guide grooves 340 is thre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formulation guide grooves 340 may be more or less than three. .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제형 유도홈(340)에는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치되어 로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 유도홈(340)은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는 제1 폭(W1)과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d) of FIG. 9, in order to discharge the formulation, a plurality of formulations may be arranged in a row and loaded into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0,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may have a first width W1 and a first length L1 in which a plurality of formulations can be arranged in a row.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B1, B2) 각각은 원통형 제형 또는 구형 제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폭(W2)과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형의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는 3 내지 7 mm 사이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0 (a) and (b), each of the dosage forms (B1, B2) may include a cylindrical dosage form or a spherical dosage form, and has a second width (W2) and a second length (L2). You can have it. In one example, the second width (W2) or second length (L2) of the dosage form may be between 3 and 7 mm.

여기서, 제형의 제2 폭(W2)과 제2 길이(L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제2 폭(W2) 대비 제2 길이(L2)의 비율은 1 : 0.5 내지 1 : 1.5 사이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width (W2) and second length (L2) of the dosage for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in a preset rang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second length (L2) to the second width (W2) may be between 1:0.5 and 1:1.5.

제형 유도홈(340)의 제1 폭(W1)은 제형의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되되, 제1 폭(W1) 방향으로 하나의 제형이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폭(W1)은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 대비 1.1 ~ 1.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width (W1) of the formulation guide groove 3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r the second length (L2) of the formulation, and is a width that can accommodate one formul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idth (W1). You can have For example, the first width W1 may have a ratio between 1.1 and 1.5 times the second width W2 or the second length L2.

제형 유도홈(340)의 제1 길이(L1)는 제형 유도홈(340)의 제1 폭(W1), 제형의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 보다 크게 형성되되,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열되어 로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길이(L1)는 제1 폭(W1) 대비 1.5 ~ 2.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L1)는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 대비 1.5 ~ 2.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1)가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의 2배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된 것은 제2 로터레일(330)의 끝단과 프레임(100)의 외벽(110) 사이의 유격을 고려한 것이다.The first length L1 of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width W1 of the formulation guiding groove 340, the second width W2 or the second length L2 of the formulation,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t may have a length that allows the dosage forms to be arranged in a row and loaded. As an example, the first length L1 may have a ratio value between 1.5 and 2.5 times that of the first width W1. Additionally, the first length L1 may have a ratio between 1.5 and 2.5 times the second width W2 or the second length L2. The first length L1 is set to a range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or twice the second length L2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rotor rail 330 and the outer wall 110 of the frame 100. It takes into account the shortcomings.

아울러, 제형 유도홈(340)에 의해 노출되는 제1 토출레일(2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로터레일(320)의 상부면까지의 제1 높이(H1)는, 로터부(300)가 회전할 때 제형 유도홈(340)에 로딩된 제형과 로딩되지 않은 다른 제형과의 마찰 또는 충돌을 최소화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높이(H1)는 제형의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 대비 0.8 ~ 1.2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ight (H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exposed by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tor rail 320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unit 300. When doing so, it may have a size that minimizes friction or collision between the dosage form loaded in the dosage form guide groove 340 and other dosage forms that are not loaded. To this end, the first height (H1) may have a ratio value between 0.8 and 1.2 times the second width (W2) or second length (L2) of the dosage form.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형은 프레임(100)의 내벽(120), 로터부(300)의 로터콘(310) 및 제1 로터레일(3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로터부(300)의 제2 로터레일(330) 상에는 위치할 수 없다.As shown in (c) of FIG. 10,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are formed by the inner wall 120 of the frame 100, the rotor cone 310 of the rotor unit 300, and the first rotor rail 320. It can be located in space. At this time, the formulation cannot be located on the second rotor rail 330 of the rotor unit 3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수의 제형 중 일부 제형은 제1 토출레일(210)이 노출되는 제형 유도홈(340)의 내측 부분에 로딩될 수 있다. In this state, some of the plurality of formulations may be load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where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is exposed.

이후, 로터부(300)가 정회전 함에 따라 제형은 제2 토출레일(220)이 노출되는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reafter, as the rotor unit 300 rotates forward, the formulation may be mov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where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is exposed.

이후,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 부분으로 이동된 제형은 로터부(300)가 계속적으로 정회전 함에 따라 제2 토출레일(220)을 따라 형성된 제1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형이 토출구(201) 상에 위치하면, 토출구(201)를 통하여 토출 유닛(80)의 배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dosage form mov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dosage form guidance groove 340 can move along the first movement passage formed along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s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and the dosage form moves along the first movement passage formed along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When located on the discharge port 201, the discharge unit 8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1.

이하에서는 전술한 토출 유닛(80)이 복수의 제형을 토출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by which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unit 80 discharges a plurality of formul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토출 유닛(80)이 제형을 토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ures 11A to 11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ischarge unit 80 discharges a formul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D 각각에서 (a)는 토출캡(200)을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b)는 토출구(201)와 인접한 프레임(100)의 일부분을 절단한 이미지이다. 도 11A 내지 도 11E 각각에서 제형 유도홈(340)의 위치 및 분리리브(140)는 토출캡(200)의 대응되는 부분에 가상으로 표시되었다.In each of FIGS. 11A to 11D, (a) is a shape of the discharge cap 200 viewed from above, and (b) is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frame 100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201 cut away. In each of FIGS. 11A to 11E, the position of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and the separation rib 140 are virtually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discharge cap 200.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형은 제형 유도홈(340)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형 유도홈(34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형을 제1 제형(B1),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형을 제2 제형(B2)이라 한다.As shown in FIG. 11A, a plurality of dosage forms may be arranged in a row in the dosage form guiding groove 340. Hereinafter, the dosage form located inside the dosage form guiding groove 34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osage form (B1), and the dosage form located outside the dosage form guiding groove 340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osage form (B2).

제형 유도홈(340)에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로터부(300)가 정회전하면서, 제1 제형(B1)은 제1 토출레일(210)을 따라 이동되고, 제2 제형(B2)은 제2 토출레일(220)과 연결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As the rotor unit 300 rotates forward with a plurality of formulations arranged in a row in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the first formulation (B1) moves along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and the second formulation (B2) )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formed by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

이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부(300)가 계속 정회전하여, 제형 유도홈(340)이 토출캡(200)의 복수의 가이드 돌기(230)를 지나면서, 복수의 가이드 돌기(230)에 의해 제1 제형(B1)은 내측으로, 제2 제형(B2)은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1B,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and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0 of the discharge cap 200, and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30 ), the first dosage form (B1) can be separated to the inside, and the second dosage form (B2) can be separated to the outside.

이후, 도 11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부(300)가 계속 정회전하여, 제형 유도홈(340)이 분리리브(140) 하부를 지나면서 제1 제형(B1)과 제2 제형(B2)은 분리리브(140)에 의해 공간적으로 완전히 이격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a) of FIG. 11C,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and the dosage form guidance groove 340 passes under the separation rib 140 to form the first dosage form (B1) and the second dosage form. (B2) can be completely spaced apart spatially by the separation rib 140.

아울러, 도 11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형(B2)은 제2 토출레일(220)의 제2 경사면(222)과 분리리브(140)의 하부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동통로를 따라 토출관(202)을 향하여 사선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1C, the second formulation (B2) is formed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2 of the second discharge rail 220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separating rib 140. It can be forcibly moved in a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pipe 202 along the moving passage.

이후, 로터부(300)가 계속 정회전하면, 도 11D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형(B2)은 토출구(201)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토출구(201)의 내부벽에 사선방향으로 충돌하면서 자연스럽게 토출관(202)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as shown in (a) of FIG. 11D, the second formulation (B2) moves inside the discharge port 201 and forms a diagonal line on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ort 201. It can naturally move downward along the discharge pipe 202 while colliding in that direction.

이와 같은 제2 이동통로는 제형이 토출관(202)에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로터부(300)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복수의 제형에 의한 토출구(201) 막힘 현상(Jam)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second movement passage allows the formulation to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discharge pipe 202, preventing jamming of the discharge port 201 by a plurality of formulations even if the rotor unit 300 rotates at a relatively high speed. It can be prevented.

이때, 제형 유도홈(340)에서 제1 토출레일(210) 상에 위치하는 제1 제형(B1)은 도 11D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리브(140)에 의해 토출관(202)쪽으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리브(140)와 제1 토출레일(210)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간격(Dt)은 제형의 제형의 제2 폭(W2) 또는 제2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ormulation (B1) located on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in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340 is separated by the separation rib 140, as shown in (b) and (c) of Figure 11D. Discharge toward the discharge pipe 202 may be blocked. To this end, the vertical gap (Dt) between the separation rib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rail 210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W2) or second length (L2) of the dosage form.

이후, 로터부(300)가 계속 정회전하면, 도 11E와 같이, 분리리브(140)의 종단(140E)이 지난 지점에서 제1 제형(B1)은 원심력에 의해 제형 유도홈(340)의 외측으로 밀려나고, 제형 유도홈(340) 근처에 위치하는 제3 제형이 제형 유도홈(340)의 내측에 새로이 로딩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otor unit 300 continues to rotate forward, as shown in FIG. 11E, at the point past the end 140E of the separation rib 140, the first dosage form B1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osage form guidance groove 340 by centrifugal force. is pushed out, and the third dosage form located near the dosage form guidance groove 340 may be newly loaded inside the dosage form guidance groove 340.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최대 폭과 최대 높이를 가지고 있고, 최대 폭과 최대 높이의 비율이 적절한 범위로 형성되어, 디스펜서(1)를 통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priat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and maximum height is formed in an appropriate range, so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1). .

아울러, 본 발명의 디스펜서(1)에 이용되는 제형은, 카트리지(70)로부터 토출되는 과정에서 (1) 로터부(300)의 제2 로터콘 부분(310B)에 의해 충격을 받고, (2) 로터부(300)가 정회전할 때 제형 유도홈(340)에 로딩된 제형과 로터부(300)의 상부에 위치한 제형이 서로 마찰되거나 충격을 받고, (3) 제2 연결통로를 통해 토출구(201)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토출구(201)의 내부벽에 부딪히면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ulation used in the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impacted by the second rotor cone portion 310B of the rotor portion 300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70, and (2) When the rotor unit 300 rotates forward, the dosage form loaded in the dosage form guide groove 340 and the dosage form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or unit 300 rub against or impact each other, and (3)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through the discharge port ( In the process of exiting through 201), it may receive a shock by hitting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ort 201.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기준치 이상의 경도를 가지고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충격에도 제형의 부서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rdness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and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or prevent breakage of the formulation even upon impact as described abov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not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부로 토출될 제형이 안착되는 제형 유도홈을 구비하는 로터부 및 상기 로터부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형 유도홈에 안착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토출캡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주성분 물질; 및
상기 주성분 물질에 혼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형은 기둥 형상을 가지되,
상기 기둥 형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의 최대 폭은 3mm 내지 7 mm이며,
상기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되, 상기 기둥 형상의 최대 높이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폭에 대한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이 1: 0.8 내지 1: 1.2 사이 범위인 값을 갖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기둥 형상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방향 단면의 최대 폭 대비 상기 곡률 반경의 비율은 1: 0.8 내지 1: 1.8 사이이고,
상기 제형의 경도는 2.4 kp 내지 20 kp이고,
상기 제형이 이용되는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형을 보관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프레임, 상기 로터부 및 상기 토출캡을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제형을 토출하되,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토출 유닛;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이 결합된 카트리지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복수의 수납홈을 구비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카트리지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로터부에 구비된 상기 제형 유도홈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길게 개구되어 구비되되 내부에 복수 개의 상기 제형이 한 줄로 배열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형은, 상기 단면 최대 폭의 범위,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의 비율 범위, 상기 곡률 반경의 비율 범위 및 상기 제형의 경도의 범위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에서의 토출량의 오차가 목표 토출량의 10% 이내인 특성을 가지되, 상기 토출량의 오차는 상기 제형이 저장된 상기 디스펜서의 상기 목표 토출량과 실제 토출량의 차이인, 디스펜서.
A frame, a rotor unit rotatably coupled within the frame and having a dosage form guide groove into which the dosage form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seated, and a rotor unit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at the bottom of the rotor unit and discharging the dosage form seated in the dosage form guide groove to the outside. In the dispenser including a discharge cap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The formulation is
Main ingredient containing nutritional ingredients; and
Contains additives mixed with the main ingredient,
The formulation has a pillar shape,
The maximum width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illar shape is 3 mm to 7 mm,
It ha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ximum height of the column shape is such that the ratio of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aximum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1: 0.8 to 1: 1.2. has a height with a value,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pillar shape include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atio of the radius of curvature to the maximum width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tween 1: 0.8 and 1: 1.8,
The hardness of the formulation is 2.4 kp to 20 kp,
The dispenser in which the formulation is used is
a cartridge storing the dosage form; and
a discharge unit that has the frame, the rotor unit, and the discharge cap to discharge the formulation from the cartridge, and is mounted on or removed from the dispenser while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cartridge;
I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to which a cartridge portion in which the cartridge and the discharging unit are combined is inserted and mounted,
The frame is screwed to be separable from the cartridge,
The formulation guidance groove provided in the rotor unit is provided with a long open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has a width and length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formulations are arranged in one line therein,
In the formulation, the error in the discharge amount from the dispenser is 10% of the target discharge amount due to the range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width, the ratio range of the maximum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tio range of the radius of curvature, and the range of hardness of the formulation. A dispenser having characteristics within %, wherein the error in the discharge amou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discharge amount and the actual discharge amount of the dispenser in which the formulation is sto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의 붕해시간은 20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integration time of the formulation is within 20 minu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물질은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ingredient contains a water-soluble compon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물질은 마그네슘(MgO), 비타민D, 비타민 C,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 비오틴, 엽산, 비타민B12, 비타민E, 철, 크롬, 몰리브덴, 셀렌, 아연, 요오드, 망간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ingredients are magnesium (MgO), vitamin D, vitamin C,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pantothenic acid, vitamin B6, biotin, folic acid, vitamin B12, vitamin E, iron, chromium, molybdenum, selenium, zinc, iodine, A dispens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anese and c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물질은 생약 재질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wherein the main ingredient contains nutritional ingredients of herbal medic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상기 주성분 물질에 허용가능한 물질로서 Bulky Agent(BA), 붕해제, 활택제 및 고결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ditive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ubstance for the main ingredien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ulky agent (BA), a disintegrant, a lubricant, and an anti-caking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의 표면은 상기 기둥 형상의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 위하여 상기 첨가제와 다른 물질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pillar shape is coated with a material other than the additive to increase the surface strength of the pil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의 단면은 사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column shape is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circular, or o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디스펜서에 의해 1회에 일정 개수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number of the formulations are discharged at a time by the dispenser.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에는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상기 제형은 상기 디스펜서의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초당 3개 내지 7개 사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use 15,
The dispenser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he cartridges,
A dispenser, wherein the dosage form is dispensed from each cartridge of the dispenser at a rate of between 3 and 7 units per secon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상기 디스펜서로부터 1회에 25개 내지 250개가 토출 되고, 상기 1회 토출 시간은 1초 내지 10초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According to clause 15,
The dispenser is characterized in that 25 to 250 formulations are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at a time, and the discharge time for one time is between 1 second and 10 secon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85460A 2021-12-22 2021-12-22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KR102588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60A KR102588239B1 (en) 2021-12-22 2021-12-22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60A KR102588239B1 (en) 2021-12-22 2021-12-22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13A KR20230095713A (en) 2023-06-29
KR102588239B1 true KR102588239B1 (en) 2023-10-12

Family

ID=8694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460A KR102588239B1 (en) 2021-12-22 2021-12-22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23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182A (en) * 2013-09-14 2015-04-23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Fast-disintegrating compression moldin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21078965A (en) 2019-11-21 2021-05-2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dicine dosing management device and medicine dosing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6050B2 (en) * 2009-09-08 2015-04-08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Antacid / loose tablets
KR101559339B1 (en) * 2014-02-03 2015-10-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ast-release tablet comprising high amounts of herbal substances
KR20210148883A (en) * 2020-06-01 2021-12-08 알고케어 주식회사 Nutrition supplement dispenser including a plurality of nutrition supplement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182A (en) * 2013-09-14 2015-04-23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Fast-disintegrating compression moldin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21078965A (en) 2019-11-21 2021-05-2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dicine dosing management device and medicine dosing management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Drug Tablet Design: Why Pills Come in So Many Shapes and Sizes, https://ftloscience.com/drug-tablet-design/, 2020.07.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13A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0582B2 (en) Immediate release PH-independent solid dosage form of cisapride
AU713462B2 (en) Quickly disintegrable compression-molded materi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S2675548T3 (en) Solid pharmaceutical form containing lopinavir
CN102772379B (en) Orally-dispersible multilayer tablet
KR101378973B1 (en) Composite formulation comprising multi-unit spheroidal tablet(must) encapsulated in a hard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1918667A (en) Pediatric nilapanib formulations and pediatric treatment methods
WO2012085043A2 (en) Rapidly disintegrating, solid coated dosage form
US20110287096A1 (en) Modified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for amine drugs
WO2008140461A1 (en) Solid form
KR102588239B1 (en) A dispenser providing columnal formulation
US8715729B2 (en) Rapidly disintegrating, solid coated dosage form
US20140178484A1 (en) Multi-particul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ES2307076T3 (en) EFFICIENT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MPOSED BY AMOXYCLINE AND CLAVULANIC ACID.
WO2015017423A2 (en) Stabilized modified release folic acid derivative composition, its therapeutic 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3331502B1 (en) Controlled release propiverine formulations
EP0803251B1 (en) Immediate release pH-independent solid dosage form of cisapride
US20210299053A1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comprising flavoxate
US20050123615A1 (en) 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s of azithromycin
EP3251661B1 (en) Raloxifene sprinkle composition
KR20230096866A (en) Spherical shape formulation
EP2698151A1 (en) Orally Disintegrating Formulation of Paliperidone
US20230248654A1 (en) Swellable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0988032A1 (en) IMMEDIATE RELEASE pH-INDEPENDENT SOLID DOSAGE FORM OF (+)- OR (-)-CISAPRIDE
JP2022167880A (en) Solid preparation
US20210346303A1 (en) Co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