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058B1 - Dehumidification module - Google Patents

Dehumidificat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058B1
KR102588058B1 KR1020230018727A KR20230018727A KR102588058B1 KR 102588058 B1 KR102588058 B1 KR 102588058B1 KR 1020230018727 A KR1020230018727 A KR 1020230018727A KR 20230018727 A KR20230018727 A KR 20230018727A KR 102588058 B1 KR102588058 B1 KR 10258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filter
filter medium
low
high tempera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권
김남욱
박예재
정지웅
김하이준
김회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위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위니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1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증발되는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는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습 모듈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acts as a cooling agent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produces hea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rein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introduces outside air. I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capable of discharging air evaporated from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wherei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 dehumidifying module is formed.

Description

제습 모듈{DEHUMIDIFICATION MODULE}Dehumidification module {DEHUMIDIF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제습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제습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cation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humidification module that allows natural drying of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가전 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공간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A dehumidifier is a type of home appliance that lowers the humidity in a desired space by sucking in air from a desired space,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and discharging the dehumidified air to a desired space. These dehumidifiers can remove moisture from a desired space by sucking in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from a desired space and passing it through various types of heat exchange means.

상기 제습기는 단독의 제품으로 제공되어, 필요한 공간에서 단독으로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 관리기, 신발 건조기, 시스템 옷장 등 다양한 제품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is provided as a stand-alone product and can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independently in a required space, and can be used by incorporating it into various products such as clothes care machines, shoe dryers, and system wardrobes.

한편, 상기 제습기는 제습 모듈을 통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열교환 시키면서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응축수는 별도의 물받이에 집수된다. Meanwhile, the dehumidifier generates condensate in the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while exchanging heat with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through a dehumidification module, and the condensate is collected in a separate water pan.

이후, 제습 시간이 지나면서 응축수가 물받이에 차오르고, 사용자는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Afterwards, as the dehumidification time passes, condensate fills the water pan, and the user must check the level of the condensate from time to time.

또한, 응축수가 물받이에 포화된 상태이거나, 응축수가 물받이에서 적정 수위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제습기로부터 물받이를 탈거하여 별도의 장소에 처리한다.Addition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ensate is saturated in the water pan or the condensate has reached an appropriate level in the water pan, the user removes the water pan from the dehumidifier and disposes of it in a separate location.

한편, 이러한 일련의 물받이 비움 과정이 수반되는 종래의 제습 모듈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dehumidification module that involves a series of water tank emptying processe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사용자가 제습 모듈의 응축수 수위를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First, there is the inconvenient problem that users must frequently check the level of condensate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둘째, 사용자가 제습 모듈로부터 물받이를 탈거하여 별도의 정해진 장소로 이동한 후에, 물받이를 비워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Second, there is the inconvenient problem of having to empty the water pan after the user removes it from the dehumidifying module and moves it to a separate designated loc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863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5863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건조하여 처리함으로써, 물 비움 과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제습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cation module that prevents the water emptying process from occurring by drying and treating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증발되는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는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습 모듈을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acts as a cooling function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produces a heat effec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rein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introduces outside air. I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capable of discharging air evaporated from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wherei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 dehumidifying module is formed.

이때, 상기 고온 영역에는 상기 친수성 여재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친수성 여재의 일측에 배출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xhaust fa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to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이때, 상기 친수성 여재는 상기 열전소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향해 송풍하거나, 상기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s disposed below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exhaust fan blows air toward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aterial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r blows air 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inhale.

이때,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ccommodating part preferably includes a condensate water inlet formed to allow condensed water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low in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ccommodating part.

이때,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친수성 여재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친수성 여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includes a body that constitutes an exterior,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an be accommodated, and ha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an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preven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이때,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고온 파트의 고온측 히트싱크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디의 돌기 또는 홈에 결합될 수 있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protrusion or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dy along the edge, and an air outlet is formed in the cover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discharged toward the heat sink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of the high temperature part,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or protrusio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protrusions or grooves of the body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cover.

또한, 상기 친수성 여재는,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친수성 여재; 및 일 측이 상기 제1 친수성 여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응축수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includes: a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a disposed to face the condensate inlet; and a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whos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whos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이때,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좌우 방향에서의 크기가 상하 방향에서의 크기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친수성 여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친수성 여재는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densate inlet is formed as a long hole whose siz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is larger than the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is provided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ortion is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친수성 여재의 측면은, 물결(courrugation)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side surfac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s preferably formed in a corrugation shape.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되는 응축수를 상기 저온 파트에서 상기 친수성 여재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마주보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온 파트의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는 상기 관통홀에 마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facing the condensate inlet is formed in the housing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ortion to flow from the low-temperature par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guide portion extends from the heat sink of the low-temperature part to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faces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설치되며, 쿨링팬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고온 파트가 설치되며, 배출팬이 설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는 구조물에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in which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and a cooling fan is installed; and a second housing in which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and an exhaust fan is installed, wherein the first housing forms an opening opening toward one side, and a detachable piece is provided around the opening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structure. It is desirable to form

이때, 상기 제2 하우징은 응축수의 증발열을 배출팬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Duc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housing preferably includes a duct having a flow path that guides the evaporation heat of the condensate to the discharge fan.

이때,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xhaust fan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cond housing with a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high-temperature part in between.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저온 영역에는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가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고온 영역에는 열전소자의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가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쿨링팬은 각각의 저온측 히트싱크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팬은 각각의 고온측 히트싱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s coupled to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installed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of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s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installed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fan is installed in each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exhaust fan is installed in each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물받이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습 모듈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water pan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둘째, 본 발명은 일련의 물 비움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제습 모듈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ries of water emptying operation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dehumidifica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친수성 여재 및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다른 변형예가 제습 모듈에 설치된 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싱글 타입의 시스템 옷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싱글 타입의 시스템 옷장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습 모듈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싱글 타입의 시스템 옷장의 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온 영역에서의 공기 흐름 및 처리부를 통한 의류 수납 공간의 공기 순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싱글 타입의 시스템 옷장 정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듀얼 타입의 시스템 옷장 정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이 적용된 듀얼 타입의 시스템 옷장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6A to 6D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dehumidify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ingle 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y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ingle-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ication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showing the location where the dehumidification module is installed.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ingle-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y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a high temperature area and the air circulation flow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through the processing unit.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cross-section of a single-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y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cross-section of a dual-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y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dual-type system closet to which a dehumidification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제습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the dehumidifica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dentical and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identical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and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humidify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2.

제습 모듈(D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100)와, 하우징(200)과, 가이드부(300)와, 친수성 여재(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ehumidifying module DM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100, a housing 200, a guide portion 300, and a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열전소자(100)는 전류를 흘려주면 전도성 물질 여러 층의 양 끝에 온도 차이가 지속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열의 흐름이 극성에 따라 일측으로 열이 몰려, 일 측은 차갑고 타 측은 뜨거워지는 기능을 갖는 소자이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utilizes the phenomenon in which a temperature difference persists at both ends of several layers of a conductive material when an electric current is passed. It is an element that has the function of concentrating heat to one side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heat flow, making one side cold and the other side hot. am.

열전소자(100)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으로, 펠티어 소자라고도 불리며, 별도의 구동부 없이 전원만 인가해도 습기 제거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열전소자(100)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잉여 자유 전자가 줄어 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a general term for elements that utilize various effects that occur through the interaction of heat and electricity. It is also called a Peltier element, and can achieve a moisture removal effect by simply applying power without a separate driving unit.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noise because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excess free electrons decrease and noise can be reduced.

이러한 열전소자(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인가에 따라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다. 이때, 열전소자(100)의 저온 파트는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구비하며, 열전소자(100)의 고온 파트는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has a low-temperature part that cools when a current is applied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generates heat. At this tim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provided with a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provided with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하우징(200)은 열전소자(100)의 저온 파트인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배치하는 저온 영역(CA)과, 고온 파트인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배치하는 고온 영역(HA)을 구획한다. 하우징(200)은 재질이나 형태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각 형태의 금속인 것을 예로 한다. The housing 200 has a low temperature area (CA) in which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which is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HA)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which is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compartmentalize.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housing 20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but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o be made of square metal.

하우징(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01)을 형성한다. 관통홀(201)은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냉각 작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친수성 여재(400)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관통홀(201)은 열전소자(100)의 저온 영역(CA)과 고온 영역(HA)을 관통한 형태로 제공된다.The housing 200 forms a through hole 201 as shown in FIG. 2 . The through hole 201 is a passage for flowing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cooling of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he through hole 201 is provided in a form that penetrates the low temperature area (CA) and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한편, 하우징(200)은 열전소자(100)의 저온 파트인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배치하는 제1 하우징(210)과, 열전소자(100)의 고온 파트인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배치하는 제2 하우징(2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housing 200 includes a first housing 210 that places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which is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and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which is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econd housing 220 that disposes.

제1 하우징(210)은 열전소자(100)의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1)을 형성하며, 수용공간(211)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211a)를 갖는다. 이때, 개구부(211a)는 둘레에 개구부(211a)의 외측을 향해 외향 연장된 탈착편(211b)을 형성한다. 탈착편(211b)은 제습 모듈(DM)을 다양한 구조물(제품)에 장착시킬 수 있게 한 구성으로써, 복수의 탈착공(211c)을 구비한다.The first housing 210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211 for accommodating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and the accommodating space 211 has an opening 211a opened toward one side. . At this time, the opening 211a forms a detachable piece 211b around the circumference extending out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opening 211a. The detachable piece 211b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to be mounted on various structures (products),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tachable holes 211c.

한편, 제1 하우징(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11)을 가로질러 저온측 히트싱크(110) 앞에 설치된 브라켓(212)을 구비하며, 브라켓(212)은 저온측 히트싱크(110)와 통하는 브라켓공(212a)을 형성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first housing 21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12 installed in front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cross the receiving space 211, and the bracket 212 is a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A bracket hole 212a communicating with the sink 110 is formed.

쿨링팬(213)은 제습 대상 공간의 공기를 열전소자(100)의 저온측 히트싱크로 흡입하여, 저온측 히트싱크(110)와 상기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쿨링팬(2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공(212a) 앞에 설치된다.The cooling fan 213 serves to suck air from the space to be dehumidified into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and exchange heat between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the air. The cooling fan 213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racket hole 212a, as shown in FIGS. 1 and 2.

제2 하우징(220)은 열전소자(100)의 고온측 히트싱크(1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1 하우징(210)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제2 하우징(22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로부터 발열된 고온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221a)를 갖는 덕트(221)를 포함한다.The second housing 220 provides a space where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disposed, and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housing 210. The second housing 220 includes a duct 221 having an discharge passage 221a that discharges high-temperature air generated from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덕트(221)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상측에서 확관의 형태를 갖는 확관부(222)를 형성한다. 확관부(222)는 덕트(221)의 배출유로(221a)에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제2 하우징(220)의 외부에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확관부(222)는 상측을 향해 개구되며, 일 측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part of the duct 221 forms an expanded tube 222 having the shape of an expanded tube on the upper sid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The expansion portion 222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discharge high-temperature air gener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221a of the duct 221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220. The expansion portion 222 opens upward and has one side inclined upward.

배출팬(230)은 제2 하우징(220) 외부의 외기를 배출유로(221a)에 흡입하여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키고, 고온측 히트싱크(120)와 열교환된 배출유로(221a)의 고온 공기를 제2 하우징(22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출팬(230)은 확관부(222)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된다.The discharge fan 230 cools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by sucking external air outside the second housing 220 into the discharge passage 221a, and heat-exchanges the discharge passage 221a with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It serves to quickly discharge high temperature ai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220. The discharge fan 230 is install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expanded pipe 222.

가이드부(300)는 제습 과정에서 저온측 히트싱크(110)로부터 발생한 응축수를 제습 모듈(DM)의 고온 영역(HA)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300)는 제1 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1)에 마련되며,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하측에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The guide unit 300 serves to guid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to the high-temperature area (HA)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The guide unit 30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first housing 210 and is positioned to collect condensate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가이드부(300)는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형성하며, 관통홀(201)과 마주보록 형성된다. 가이드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좁아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guide portion 30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is formed to face the through hole 201. As shown in FIG. 2, the guide portion 300 has a downwardly sloping shape whose width gradually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친수성 여재(400)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자연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serves to absorb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ortion 300 and naturally evaporate it.

친수성 여재(400)의 재질은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으며, 응축수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이면 무방하다. 예컨대 친수성 여재(400)는 셀룰로오스패드, 종이, 섬유, 직물(순면 등), 부직포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소재별 표면 처리방법에 따라 내구성, 흡수 속도, 물 확산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The material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nd any material that can absorb condensate may be used. For exampl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may be provided as a cellulose pad, paper, fiber, fabric (pure cotton, etc.), non-woven fabric, etc., and differences in durability, absorption rate, and water diffusion rate occur depending on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each material.

한편, 친수성 여재(400)는 열전소자(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건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온 영역(HA)에 배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저온 영역(C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친수성 여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영역(H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영역(CA)과 고온 영역(HA)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placed below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and is preferably placed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to increase drying efficiency, but may also be placed in the low temperature area (CA). That i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may be placed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placed across the low temperature area (CA) and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as shown in FIG. 5b. There is.

또한, 친수성 여재(4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에 수납되어 제공된다. 이때,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provided and accommodated in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10, as shown in FIG. 3A. At this tim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10 may be provided below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as shown in FIG. 2.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친수성 여재(400)를 수납하며, 수납 공간(411a)을 형성하는 바디(411)와, 수납 공간(411a)으로부터 친수성 여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412)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10 accommodat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has a body 411 forming the storage space 411a, and a body 411 wher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411a. Includes a cover 412 that prevents

바디(4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공간(411a)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411b)를 바닥에 형성한다. 바디(411)는 친수성 여재(400)를 바디(411)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내향 돌부(413)를 형성하며, 내향 돌부(413)는 친수성 여재(400)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홈(413a)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3B, the body 411 forms an air inlet 411b at the bottom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storage space 411a. The body 411 forms an inward protrusion 413 capable of fixing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o the inside of the body 411, and the inward protrusion 413 i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be inserted ( 413a).

또한, 바디(411)는 응축수 유입구(411c)를 형성한다. 응축수 유입구(411c)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수납 공간(411a)으로 유입시키는 통공이다. 응축수 유입구는 바디(411)의 상하 방향에서의 크기에 비해 바디(411)의 좌우 방향에서의 크기가 큰 장공(長空)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디(411)의 좌우 방향이라 함은 바디(411)의 긴 변에 해당하는 바디(411)의 길이 방향을 말하고, 바디(411)의 상하 방향이라 함은 바디(411)의 높이 방향을 말한다.Additionally, the body 411 forms a condensate inlet 411c. The condensate inlet 411c is a hol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guided through the guide unit 300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411a. The condensate inlet is preferably formed as a long hole whose siz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411 is larger than tha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411.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ody 411 refer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411 corresponding to the long side of the body 411,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body 411 refers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411. says

또한, 바디(411)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커버(412)와의 결합을 위한 홈(411d)을 형성한다. 홈(411d)은 후술하는 커버(412)의 돌기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바디(411)의 상단 테두리에 요홈의 형태로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upper edge of the body 411 forms a groove 411d for coupling with the cover 412. The groove 411d is a configuration for engaging the protrusion of the cover 4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upper edge of the body 411.

커버(412)는 바디(411)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어 친수성 여재(400)의 이탈을 방지하며, 친수성 여재(400)로부터 증발되는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 토출구(412a)를 형성한다. 즉, 커버(412)는 친수성 여재(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친수성 여재(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토출구(412a)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cover 412 is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body 411 to preven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from leaving, and forms an air outlet 412a through which air evaporated from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be discharged. That is, the cover 4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o preven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from leaving, and forms an air outlet 412a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커버(412)는 바디(411)에 형성된 홈(411d)에 결합할 수 있는 돌기(412b)를 형성한다. 돌기(412b)는 커버(412)로부터 외향 돌출되며, 바디(411)의 홈(411d)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over 412 forms a protrusion 412b that can be coupled to the groove 411d formed in the body 411. The protrusion 412b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 412 and is formed to fit comfortably into the groove 411d of the body 411.

한편, 친수성 여재(4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친수성 여재(420)와 제2 친수성 여재(4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nd a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as shown in FIGS. 3A and 3B.

제1 친수성 여재(420)는 응축수 흡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응축수 유입구(411c))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친수성 여재(420)는 바디(411)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한 장만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serves to increase condensate absorption efficiency and is arranged to face the condensate inlet 411c.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411, and may be provided as just one sheet.

제1 친수성 여재(420)는 응축수 유입구(411c)를 마주보면서 차폐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응축수 유입구(411c)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반드시 제1 친수성 여재(420)를 통해 후술하는 제2 친수성 여재(430)에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친수성 여재(420)는 친수성 여재(400) 전체의 응축수 흡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is facing and shielding the condensate inlet 411c, the condensate flowing in through the condensate inlet 411c must pass throug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nd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described later). 430) can be absorbed. Accordingly,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can increase the condensat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entir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제2 친수성 여재(430)는 제1 친수성 여재(420)에 흡수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바디(411)의 좌우방향을 따라 수납 공간(411a)에 복수로 배열된다. 이때, 제2 친수성 여재(430)의 일 측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친수성 여재(420)에 접촉되고, 제2 친수성 여재(430)의 타 측은 응축수 유입구(41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2 친수성 여재(430)는 응축수 유입구(411c)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를 직접 흡수하기보다는 제1 친수성 여재(420)에 흡수된 응축수를 간접적으로 흡수하는 구성인 것이다.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absorbs condensed water absorbed by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nd is arranged in plural numbers in the storage space 411a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411.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s shown in Figure 3b,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faces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411c. placed to face. That is,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is configured to indirectly absorb the condensate absorbed in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rather than directly absorbing the condensate flowing in through the condensate inlet 411c.

한편,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 및 친수성 여재(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 및 친수성 여재(400)의 변형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410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may have a modified shape, as shown in FIGS. 4A and 4B. Hereinafter, modified examples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410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denoted by the same symbols.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는 바디(411)와 커버(412)를 포함하며, 바디(411)의 전면은 응축수 유입구(411c)를 형성한다. 응축수 유입구(411c)는 바디(411)의 좌우 방향에서의 크기가 상하 방향에서의 크기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된다.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10 includes a body 411 and a cover 412, and the front of the body 411 forms a condensate inlet 411c. The condensate inlet 411c is formed as a long hole whose siz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411 is larger than tha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바디(411)의 바닥을 기준으로 바디(411) 전면에서의 응축수 유입구(411c) 높이는 바디의 수납 공간(411a)에 배열된 친수성 여재(400)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축수 유입구(411c)의 위치는 가이드부(300)에 의해 안내되는 응축수의 최초 흡수 위치를 친수성 여재(400)의 중심보다 높게 함으로써, 친수성 여재(400) 전체에 걸쳐 흡수되는 확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ondensate inlet 411c at the front of the body 411 based on the bottom of the body 411 is preferably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enter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411a of the body. The location of the condensate inlet 411c makes the initial absorption position of the condensate guided by the guide part 300 higher than the center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hereby increasing the diffusion efficiency of absorption throughou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here is.

친수성 여재(400)는 제1 친수성 여재(420)와 제2 친수성 여재(440)를 포함한다. 제1 친수성 여재(420)는 바디(411)의 응축수 유입구(411c)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 친수성 여재(440)의 일 측은 제1 친수성 여재(420)에 접촉된 후 제2 친수성 여재(440)의 타측은 응축수 유입구(41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ncludes a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nd a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40.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is disposed to face the condensate inlet 411c of the body 411, and one side of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40 is contacted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and then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 The other side of 440) is disposed to face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411c).

이때, 제2 친수성 여재(4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유입구(41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물결(courrugation)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친수성 여재(440)의 측면은 물결 모양을 형성하여, 수납 공간(411a) 대비 흡수 면적을 늘려 응축수 흡수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40 may be formed in a corrugation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411c,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40 has a wave shape to increase the absorption area compared to the storage space 411a,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densate absorbed.

한편,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다른 변형 예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친수성 여재 수납부도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Meanwhile,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In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is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

친수성 여재 수납부(450)는 수납 공간(451a)을 확장시킨 형태로써, 바디(451)를 고온 영역(HA)과 저온 영역(CA)에 걸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고온 영역(HA)에 위치된 친수성 여재 수납부(450)의 일부는 친수성 여재(400)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451b)를 형성하고, 공기 유입구(451b)에 대응되는 커버(452)의 일 측은 공기 토출구(452a)를 형성한다. 저온 영역(CA)에 위치한 친수성 여재 수납부(450)의 나머지는 커버(452)의 타 측을 통해 차폐되며, 커버(452)의 타 측에는 집수관(453)이 설치된다.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50 is an expansion of the storage space 451a, and the body 451 can be formed over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and the low temperature area (CA).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450 located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forms an air inlet 451b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nd the air inlet 451b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451b is formed. One side of the cover 452 forms an air outlet 452a. The remainder of the hydrophilic media storage unit 450 located in the low temperature area (CA) is shield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cover 452, and a water collection pipe 453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452.

이때, 커버(452)는 집수관(453)과 통하는 관통홀(452b)을 형성한다. 집수관(453)은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하측까지 위치됨으로써, 저온측 히트싱크(110)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를 친수성 여재(400)에 바로 흡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452 forms a through hole 452b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collection pipe 453. The water collection pipe 453 is position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so that condensate falling from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can be directly absorbed in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이와 같이, 친수성 여재 수납부(450)는 수납 공간(451a)을 확장시킴에 따라, 친수성 여재(400)의 크기 또한 늘릴 수 있다. 즉, 친수성 여재 수납부(450)는 수납 공간(451a) 확장을 통해, 친수성 여재(400)의 흡수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응축수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50 expands the storage space 451a, the siz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also be increased. That i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450 can increase the absorption area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by expanding the storage space 451a,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densate absorbed.

한편, 고온 영역(HA)에 설치되어 외기를 흡수하면서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키는 배출팬(230)의 설치구조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xhaust fan 230, which is installed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and cools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while absorbing external air,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에 직접 설치되어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양측 상하 방향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A, the exhaust fan 23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to cool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The exhaust fan 230 can cool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by sucking in external air from both sides of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이때, 배출팬(230)은 친수성 여재(400)에 근접 설치되므로, 친수성 여재(400)의 건조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으며, 친수성 여재(400)로부터 증발된 응축수를 고온측 히트싱크(120)에 경유시킴에 따라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ischarge fan 230 is installed close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he drying tim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be further shortened, and the condensate evaporated from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be transferred to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By passing through ,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can be increased.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팬(230)은 제2 하우징(220)을 구성하는 덕트(221)의 상부에서 덕트(221)의 외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덕트(221)의 확관부(222)는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B, the exhaust fan 230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uct 221 constituting the second housing 220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duct 221. For this purpose, the expansion portion 222 of the duct 221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이와 같은 구조의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와 열교환된 공기 흐름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exhaust fan 230 of this structure can vary the flow of air heat exchanged with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팬(230)은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사이에 두고 제2 하우징(220)을 구성하는 덕트(2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덕트(221)의 상하부는 각각 확관부(222)를 형성하며, 배출팬(230)은 상기 각각의 확관부(222)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6C, the exhaust fan 230 can b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uct 221 forming the second housing 220 with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in between. there i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uct 221 each form an expansion part 222, and an exhaust fan 230 is installed in each expansion part 222.

설명의 편의상, 덕트(221) 상부의 확관부(222)에 설치된 배출팬(230)을 제1 배출팬(231)이라 하고, 덕트(221) 하부의 확관부(222)에 설치된 배출팬(230)을 제2 배출팬(232)이라 할 때, 제1 배출팬(231)은 덕트(22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221)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 배출팬(232)은 덕트(22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221) 내부로 송풍시키는 역할을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charge fan 230 installed in the expansion part 222 at the top of the duct 22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scharge fan 231, and the discharge fan 230 installed in the expansion part 222 at the bottom of the duct 22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scharge fan 231. ) is the second exhaust fan 232, the first exhaust fan 231 serves to suck in the air inside the duct 22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duct 221, and the second exhaust fan 232 It serves to suck in air from outside the duct (221) and blow it into the inside of the duct (221).

이와 같은 듀얼(Dual) 타입의 배출팬(230)은 배출유로(221a)를 형성하는 덕트(2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 및 배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덕트(221) 내부의 공기를 덕트(221)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냉각 및 친수성 여재(400) 건조를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uch a dual type exhaust fan 230 i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uct 221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221a, respectively, and performs intake and exhaust functions at the same time, thereb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uct 221 into the duct. (221) It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discharge fan 230 can quickly and effectively cool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and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모듈(DM)은 제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열전소자(1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습 모듈(DM)이 2 개의 열전소자(100)를 구비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6D,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100 to increas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aving two thermoelectric elements 100.

제습 모듈(DM)은 저온 영역(CA)인 하우징(200)의 수용공간(211)에 2 개의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배치시키며, 고온 영역(HA)에 2 개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배치시킨다. 이때, 하우징(200)의 수용공간(211)은 각각의 저온측 히트싱크(120) 앞에 브라켓(212)을 구비한다.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arranges two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s 110 in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housing 200, which is the low temperature area (CA), and two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s 120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 is plac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12 in front of each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또한, 각각의 저온측 히트싱크(110)는 브라켓(212)을 통해 쿨링팬(213)을 구비하고, 각각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는 배출팬(230)을 구비한다.In addition, each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213 through a bracket 212, and each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230.

또한, 제습 모듈(DM)은 2 개의 열전소자(100)를 구비한 하우징(200)의 너비만큼 친수성 여재(400)의 양도 늘릴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can increase the amount of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by the width of the housing 200 equipped with the two thermoelectric elements 100.

이와 같은 구조의 제습 모듈(DM)은 복수의 쿨링팬(213)으로 하여금 제습 대상 공간의 공기 흡입량을 늘려 제습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늘어난 친수성 여재(400)의 면적은 응축수 흡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dehumidifying module (DM) with this structure can maximize the amount of dehumidifica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take in the space subject to dehumidific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cooling fans 213, and the increased area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densate absorption. there is.

또한, 복수의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냉각 효율성 및 친수성 여재(400) 건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exhaust fans 230 can maximiz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and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한편, 복수의 쿨링팬(213)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cooling fans 213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 6D, and, although not shown, may be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200.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습 모듈(DM)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습 기능을 갖는 시스템 옷장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 시스템 옷장에서 설명하는 제습 모듈(DM)은 전술한 제습 모듈(DM)과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In this specification, a system with a dehumidifying function installed in a close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7 to 10. Before explaining, the dehumidifying module (DM) described in the system closet below has the same symbol as the dehumidifying module (DM)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시스템 옷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수납부(500)와 의류 관리 장치(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system closet includes a clothing storage unit 500 and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의류 수납부(500)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의류 수납 공간(510)을 형성하며, 의류 관리 장치(60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forms a clothing storage space 510 for storing clothing, 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이때, 의류 수납부(500)의 일 측 내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공(520)을 형성한다. 이때, 의류 수납부(500)의 일 측 내벽이라 함은, 의류 관리 장치(600)가 설치되는 측의 내벽을 말하며, 의류 수납부(500)에 형성된 제습공(520)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납부 제습공(520)이라 한다.At this time, the inner wall on one side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forms a dehumidifying hole 520 as shown in FIG. 7 . At this time, the inner wall on one side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refers to the inner wall on the side wher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is installed, and the dehumidifying hole 520 formed in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helps in understanding the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it is called the storage part dehumidifying hole 520.

수납부 제습공(520)은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제습 모듈(DM) 측으로 유입시키는 통로이며, 제습 모듈(DM)을 통해 제습된 공기를 의류 수납 공간(510)으로 복귀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납부 제습공(52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 수납부(500)의 일 측 내벽의 높이 방향으로 장공(長空)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dehumidifying hole 520 is a passage that introduces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into the dehumidifying module (DM), and is a space that returns air dehumidified through the dehumidifying module (DM) 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o provide. The shape of the storage unit dehumidifying hole 520 is not limited, and it is preferably a long ho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one inner wall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이때, 수납부 제습공(520)은 의류 수납 공간(510)의 심미감을 높이고, 의류 수납 공간(510)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그릴(G)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dehumidifying hole 5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grill (G) that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또한, 의류 수납 공간(510)의 일측 내벽은 순환 입구(530) 및 순환 출구(540)를 형성한다. 이때, 의류 수납부(500)에 형성된 순환 입구(530) 및 순환 출구(540)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납부 순환 입구(530) 및 수납부 순환 출구(540)라 한다.Additionally, one inner wall of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forms a circulation inlet 530 and a circulation outlet 540. At this time, the circulation inlet 530 and circulation outlet 540 formed in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are referred to as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30 and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outlet 540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xplanation.

수납부 순환 입구(530) 및 수납부 순환 출구(540)는 의류 수납 공간(514)의 공기를 의류 수납 공간(514)과 후술하는 처리부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로로써, 서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다. 이때, 수납부 순환 입구(530)는 상기 일 측 내벽의 하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수납부 순환 출구(540)는 상기 일 측 내벽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납부 순환 입구(530) 및 수납부 순환 출구(540)도 그릴(G)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30 and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outlet 540 are passages for circulating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4 and the process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are formed at a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one side inner wall, and the storage part circulation outlet 54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inner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30 and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outlet 540 also have a grill (G).

의류 수납부(500)의 일 측 내벽은 필터 교체공(550)을 형성하며, 필터 교체공(550)은 후술하는 필터 장착 및 교체를 위해 제공된다. 필터 교체공(550)은 수납부 순환 입구(530)와 수납부 순환 출구(540)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납부 필터 교체공(550)이라 한다.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forms a filter replacement hole 550, and the filter replacement hole 550 is provided for filter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lter replacement hole 550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storage portion circulation inlet 530 and the storage portion circulation outlet 540, and is referred to as the storage portion filter replacement hole 550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xplanation.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류 수납부(500)는 의류 수납 공간(510)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의류 수납 공간(510)에 여닫이 또는 미닫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의류 수납 공간(510)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어와 의류 수납 공간(510) 사이에는 씰링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includes a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e door may be configured as a hinged or sliding type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is provid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 sealing means (not shown)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door and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의류 관리 장치(600)는 의류 수납 공간(510)의 습기를 제거하고,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수납부(500)의 일 측 외벽에 설치된다. 의류 관리 장치(600)는 의류 수납부(5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serves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purify the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xterior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의류 관리 장치(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10)와 제습 모듈(DM)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includes a case 610 and a dehumidification module (DM).

케이스(610)는 의류 관리 장치(6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아우터 케이스(620)와 이너 케이스(630)를 포함한다.The case 610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and includes an outer case 620 and an inner case 630.

아우터 케이스(620)는 이너 케이스(630)를 출입시킬 수 있는 중공(中空)의 슬라이드 공간(621)을 형성한다. 이때, 슬라이드 공간(621)은 이너 케이스(630)의 출입을 원활하게 수행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수단(622)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수단(6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지만, 슬라이딩 수단(622)이 반드시 롤러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 수단(622)은 아우터 케이스(610)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outer case 620 forms a hollow slide space 621 through which the inner case 630 can be taken in and out. At this time, the slide space 621 is provided with a sliding means 622 that can smoothly enter and exit the inner case 630. The sliding means 622 is preferably provided as a roller, as shown in FIG. 8, but the sliding means 62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as a roller. The sliding means 622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ceiling of the outer case 610, respectively.

아우터 케이스(620)는 의류 수납부(500)의 수납부 제습공(520)에 대응되는 제습공(623)을 형성하며, 아우터 케이스(620)에 형성된 제습공(623)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우터 제습공(623)이라 한다. 아우터 제습공(623)은 아우터 케이스(620)의 슬라이드 공간(621)과 아우터 케이스(620)의 외부를 소통시킨다.The outer case 620 forms a dehumidifying hole 623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art dehumidifying hole 520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and the dehumidifying hole 623 formed in the outer case 620 helps understand the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it is called the outer dehumidifier (623). The outer dehumidifier 623 communicates with the slide space 621 of the outer case 620 and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620.

또한, 아우터 케이스(620)는 수납부 제습공(520), 수납부 순환 입구(530), 수납부 순환 출구(540), 수납부 필터 교체공(550)에 대응되는 통공을 형성하는데, 상기 통공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언급한 순서대로 아우터 제습공(623), 아우터 순환 입구(625), 아우터 순환 출구(626), 아우터 필터 교체공(627)이라 한다.In addition, the outer case 620 forms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ection dehumidifying hole 520, the storage section circulation inlet 530, the storage section circulation outlet 540, and the storage section filter replacement hole 550.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xplanation, they are referred to as the outer dehumidifying hole 623, the outer circulation inlet 625, the outer circulation outlet 626, and the outer filter replacement hole 627 in the order mentioned.

또한, 아우터 케이스(620)는 에어 벤트(628)를 형성한다. 에어 벤트(628)는 제습 모듈(DM)에서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620)의 천장 선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outer case 620 forms an air vent 628. The air vent 628 serves to discharge high-temperature air generated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eiling of the outer case 620, as shown in FIGS. 7 and 8.

에어 벤트(628)는 아우터 케이스(620) 천장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통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우터 케이스(620) 천장의 선단부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에어 벤트(628)는 제습 모듈(DM)로부터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아우터 케이스(62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한 것이다.The air vent 62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iling of the outer case 620. Although not shown, the air vent 62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ceiling of the outer case 620 being cut. That is, the air vent 628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high temperature air generated from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out of the outer case 620.

또한, 아우터 케이스(620)는 제습 모듈(DM)에서 제습 작용시, 제습 모듈(DM)을 냉각시키기 위해 외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구(629)를 형성한다. 외기구(62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620)의 바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case 620 forms an external mechanism 629 that can suck in external air to cool the dehumidifying module (DM) when the dehumidifying module (DM) operates. As shown in FIG. 8, the outer mechanism 629 is preferab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620.

이너 케이스(630)는 의류 수납부(500)의 의류 수납 공간(510)을 제습하고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아우터 케이스(620)의 슬라이드 공간(621)에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너 케이스(630) 역시, 슬라이드 공간(621)을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는 슬라이딩 수단(630a)을 마련하며, 슬라이딩 수단(630a)은 아우터 케이스(620)의 슬라이딩 수단(622)과 마찬가지로 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ner case 630 performs the function of dehumidifying and purifying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and is provided to allow access to the slide space 621 of the outer case 620. The inner case 630 also provides a sliding means 630a that can smoothly enter and exit the slide space 621, and the sliding means 630a is provided as a roller like the sliding means 622 of the outer case 620. It can be.

이너 케이스(6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631)와, 처리부(632)와, 전면 패널(63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inner case 630 includes a dehumidifying unit 631, a processing unit 632, and a front panel 633.

제습부(631)는 의류 수납부(500)의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술한 제습 모듈(DM)을 구비한다. 제습부(631)는 제습 모듈(DM)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배치할 수 있는 중공의 내부 공간(631a)을 구비한다. 내부 공간(631a)은 제습 모듈(DM)의 제습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The dehumidifying unit 631 functions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and is provided with the dehumidifying module (DM)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ying unit 631 has a hollow internal space 631a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of the dehumidifying module DM can be placed. The internal space 631a is a space for cooling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during the dehumidifying op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이때, 이너 케이스(6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631b)와, 내부 공간(631a)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631c)를 형성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inner case 630 forms an intake port 631b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and an outlet port 631c that exhausts air in the internal space 631a.

흡입구(63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630)의 바닥에 형성되며, 아우터 케이스(620)의 외기구(629)에 대응된다. 배출구(631c)는 이너 케이스(630)의 천장에 형성되며, 아우터 케이스(620)의 에어 벤트(628)에 대응된다.As shown in FIG. 8, the suction port 631b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630 and corresponds to the external mechanism 629 of the outer case 620. The outlet 631c is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630 and corresponds to the air vent 628 of the outer case 620.

한편, 이너 케이스는 아우터 제습공(623), 이우터 순환 입구(625), 아우터 순환 출구(626), 아우터 필터 교체공(627)에 대응되는 통공을 형성하는데, 상기 통공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언급한 순서대로 이너 제습공(631d), 이너 순환 입구(631e), 이너 순환 출구(631f), 이너 필터 교체공(631g)이라 한다.Meanwhile, the inner case forms hol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ehumidifying hole 623, the outer circulation inlet 625, the outer circulation outlet 626, and the outer filter replacement hole 627, which help the explanation to be understood. In the order mentioned for this purpose, they are called an inner dehumidifying hole (631d), an inner circulation inlet (631e), an inner circulation outlet (631f), and an inner filter replacement hole (631g).

제습 모듈(DM)은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한다. 제습 모듈(DM)은 하우징(200)의 탈착편(211b)을 통해 이너 제습공(631d)에 설치된다. 이때, 제습 모듈(DM)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는 이너 케이스(630)의 내부 공간(631a)에 배치되고, 제습 모듈(DM)의 저온측 히트싱크(110) 및 쿨링팬(213)은 하우징(200)을 통해 제습부(631)의 내부 공간(631a)과 구획되어 아우터 제습공(623) 및 수납부 제습공(52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performs a dehumidifying function by sucking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he dehumidifying module (DM) is installed in the inner dehumidifying hole ( 631d ) through the detachable piece (211b) of the housing (200). At this time,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631a of the inner case 630, and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cooling fan 213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is partitioned from the internal space 631a of the dehumidifying unit 631 through the housing 200 and is arranged to face the outer dehumidifying hole 623 and the storage unit dehumidifying hole 520.

한편, 제습 모듈(DM)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처리부(632)는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630)에서 격벽(W)을 통해 제습부(631)와 공간적으로 구획된다.The processing unit 632 performs the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as shown in FIG. 9, it is spatially partitioned from the dehumidifying unit 631 through the partition wall (W) in the inner case 630. do.

처리부(632)는 내부에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필터, 살균, 정전기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cessing unit 632 is equipped with a device therein that can purify the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e device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way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in this specification, a device that performs filter, sterilization,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functio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처리부(6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32a)와, 순환팬(632b)과, 살균기(632c)와, 정전기 제거기(632d)를 포함한다. 필터(632a)와, 순환팬(632b)과, 정전기 제거기(632d)는 이너 순환 입구(631e)와 이너 순환 출구(631f) 사이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9, the processing unit 632 includes a filter 632a, a circulation fan 632b, a sterilizer 632c, and a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The filter 632a, the circulation fan 632b, and the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ar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lation inlet 631e and the inner circulation outlet 631f.

필터(632a)는 이너 순환 입구(631e)를 통해 유입된 의류 수납 공간(510)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필터 교체공(631g,627,550)을 통해 처리부(632)의 내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필터(632a)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헤파(HEPA) 필터임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632a serves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introduced through the inner circulation inlet 631e,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unit 632 through the filter replacement holes 631g, 627, and 550. It is provided so that The filter 632a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is preferably a HEPA filter.

순환팬(632b)은 이너 순환 입구(631e)를 통해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너 순환 출구(631f)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팬(632b)은 도면상 필터(632a)의 상측에 설치되며,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The circulation fan 632b serves to suck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rough the inner circulation inlet 631e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inner circulation outlet 631f. Circulation fans 632b are installed above the filter 632a in the drawing, and are preferably provided in plural numbers.

살균기(632c)는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제거하거나, 의류 수납 공간(510)의 탈취 기능을 수행하며, 도면상 순환팬(632b)의 상측에 설치된다. 살균기(632c) 역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광촉매(Tio2)를 이용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기임이 바람직하다.The sterilizer 632c removes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of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or performs a deodorizing function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is installed above the circulation fan 632b in the drawing. The sterilizer 632c can als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nd is preferably a sterilizer that performs a sterilization function using a photocatalyst (Tio2).

정전기 제거기(632d)는 의류 수납 공간(510)의 정전기를 제거하여, 의류 착용시 정전기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정전기 제거기(632d)는 이오나이저(Ionizer)임이 바람직하며, 살균기(632c)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removes static electricity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and serves to minimize discomfort to the user due to static electricity when wearing clothing. The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is preferably an ionizer and is installed above the sterilizer 632c.

정전기 제거기(632d)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너 케이스(630)의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location of the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is not limited, and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630.

한편, 처리부(632)는 상기한 장치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Meanwhile,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processing unit 632 may include various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devices described above.

전면 패널(633)은 의류 관리 장치(600)의 전면을 구성하며, 이너 케이스(630)의 내부 공간(631a)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면 패널(633)은 시스템 옷장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식물(DECO)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의류 관리 장치(600)의 기능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제어판(633a)을 포함한다.The front panel 633 constitutes the front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and serves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631a of the inner case 630. The front panel 633 is preferably provided as a decoration (DECO) that can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system wardrobe, and includes a control panel 633a that can control and display the function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면 패널(633)은 상부에 타공을 형성하여 아우터 케이스(620) 대신 에어 벤트를 마련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ront panel 633 may have a perforation at the top to provide an air vent instead of the outer case 620.

한편, 의류 관리 장치(600)의 처리부(632)는 어떠한 제1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습부(631)는 어떠한 제2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ing unit 632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may be replaced with any first area, and the dehumidifying unit 631 may be replaced with any second area.

상기 제1 영역은 의류 수납부(50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영역으로써, 상기 제1 영역에는 의류 수납부(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632b)이 설치된다.The first area is an area that circulates the air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and a circulation fan 632b i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to circulate the air of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구획되는 영역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는 제습 작용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배출시키는 배출팬(230)이 설치된다.The second area is an area partitioned from the first area, and an exhaust fan 230 is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to exhaust high-temperature heat generated during dehumidification.

이때, 상기 제1 영역에는 제습 모듈(DM)을 구성하는 열전소자(100)의 저온 파트인 저온측 히트싱크(110)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에는 열전소자(100)의 고온 파트인 고온측 히트싱크(120)가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which is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constituting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which is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 side heat sink 120 is dispos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의류 수납부(500)의 제습을 위한 제습 모듈(DM)의 저온 파트는, 반드시 처리부(632)가 아니더라도 의류 수납부(500)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기만 하면 무방한 것이다. 물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물질 필터링, 탈취, 살균, 정전기 제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처리부(632)가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for dehumidifying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is the first area that can circulate air with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even if it is not necessarily the processing unit 632. It is okay as long as it is installed. Of course, what is most desirable is for a processing unit 632 to be formed in the first area to process at least one of foreign matter filtering, deodorizing, sterilizing,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옷장의 제습 및 정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ehumidifying and purifying actions of the system closet composed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전면 패널(633)의 제어판(633a)을 조작하여 시스템 옷장을 동작시킨다.The user operates the system closet by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633a on the front panel 633.

이때, 제습 모듈(DM)의 저온 파트는 냉각 작용을 하여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통해 냉기를 발산하고, 제습 모듈(DM)의 고온 파트는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통해 고온의 열을 발산한다.At this time,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acts as a cooling agent and radiates cold air through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dissipates high-temperature heat through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radiates.

이때, 제습 모듈(DM)의 쿨링팬(213)은 회전하면서 수납부 제습공(520)을 통해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측 히트싱크(110)와 열교환시킨다. 쿨링팬(213)은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저온측 히트싱크(110)에 지속적으로 열교환시킴에 따라 의류 수납 공간(510)의 습기는 제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ling fan 213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rotates and sucks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rough the storage unit dehumidification hole 520 to exchange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s the cooling fan 213 continuously exchanges heat with the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o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moisture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can be removed.

이때, 처리부(632)의 순환팬(632b)은 수납부 순환 입구(530)를 통해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흡입하고, 처리부(632)에 흡입된 공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32a)-살균기(632c)-정전기 제거기(632d)를 거친 후 수납부 순환 출구(626)를 통해 의류 수납 공간(510)으로 토출된다.At this time, the circulation fan 632b of the processing unit 632 sucks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rough the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30, and the air sucked into the processing unit 632 is as shown in FIG. 9. ,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632a, sterilizer 632c, and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2d, it is discharged in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rough the storage portion circulation outlet 626.

이러한 일련의 순환 과정은 의류 수납 공간(510)을 더욱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의류 수납 공간(510)에 보관된 의류 역시 쾌적한 착용 상태를 항상 제공할 수 있다.This series of circulation processes can mainta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in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and clothing stored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can also always provide a comfortable wearing condition.

한편, 저온측 히트싱크(110)와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저온측 히트싱크(110)는 응축수를 발생하고 응축수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친수성 여재(400)로 안내된다. 이때, 응축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410)의 응축수 유입구(411c)를 통해 제1 친수성 여재(420)에 흡수된 후, 제1 친수성 여재(420)에 접촉된 제2 친수성 여재(430)를 따라 응축수 유입구(411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산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heat exchange between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the air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generates condensate, and the condensate flows through the guide portion 300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 400). At this time, the condensate is absorbed into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through the condensate water inlet 411c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410, and then along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20. It sprea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411c).

또한, 상기와 같이 저온측 히트싱크(110)를 통해 제습 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고온측 히트싱크(120)는 고온의 열을 발산하고, 배출팬(230)은 회전하면서 제습부(631)의 내부 공간(631a)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킨다.In addition, while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s described above,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radiates high-temperature heat, and the exhaust fan 230 rotates to cool the inside of the dehumidifier 631.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space 631a to cool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배출팬(2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630)의 흡입구(631b)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이너 케이스(630)의 배출구(631c) 및 아우터 케이스(620)의 에어 벤트(628)로 고온 영역(HA)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외기는 고온측 히트싱크(120)와 지속적으로 열교환하면서 고온측 히트싱크(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exhaust fan 230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the intake port 631b of the inner case 630 and blows it through the outlet 631c of the inner case 630 and the air vent (620) of the outer case 620. As the air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628), the outside air can continuously exchange heat with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and cool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이 과정에서, 친수성 여재(400)는 외기와 접촉하면서 응축수 증발을 가속시키며, 응축수가 증발되면서 기화되는 에너지는 고온측 히트싱크(120) 냉각 효율성을 배가시킨다.In this proces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ccelerates the evaporation of condensate while contacting the outside air, and the energy vaporized as the condensate evaporates doubles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이와 같이 고온측 히트싱크(120)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냉각됨에 따라,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제습량은 증가되어 의류 수납 공간(510)의 제습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제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the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is quickly and effectively cooled in this way, the dehumidification amount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increases, thereby maximizing the dehumidification effect, such as shortening the dehumidification time in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

한편, 시스템 옷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 수납부(500)가 의류 관리 장치(600)의 일측에만 설치된 싱글(single)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수납부(500)가 의류 관리 장치(600)의 양측에 설치된 듀얼(Dual)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closet may be provided as a single type in which the clothing storage unit 500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As shown in FIG. 11, the clothing storage unit ( 500) may be provided as a dual typ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이때, 듀얼 타입의 시스템 옷장에 설치된 제습 모듈(DM)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 module (DM) installed in the dual-type system closet is present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1 and 12.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Prior to explana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습 모듈(DM)은 의류 관리 장치(600)의 양측에 구비된 의류 수납부(500)를 동시에 제습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박스(700)와, 열전소자(100)와, 가이드부(300)와, 친수성 여재(400)와, 배출팬(230)을 포함한다.The dehumidifying module (DM)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dehumidify the clothing storage units 5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dehumidifying box 700 and the thermoelectric It includes an element 100, a guide part 300, a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nd an exhaust fan 230.

제습 박스(700)는 제습부(631)의 내부 공간(631a)에 배치되며, 열전소자(100)의 저온측 히트싱크(110)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CA)과 열전소자(100)의 고온측 히트싱크(120)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HA)을 구획한다. The dehumidifying box 700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631a of the dehumidifying unit 631, and the low temperature area (CA) where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disposed and the high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The high temperature area (HA) where the side heat sink 120 is disposed is defined.

제습 박스(700)는 중공의 내부를 갖는 함체로 구성된다. 이때, 제습 박스(700)의 양측면은 각각 토출공(710)을 형성하며, 토출공(710)은 제습 박스(700)의 내외부를 관통시킨다. The dehumidifying box 700 is composed of an enclosure with a hollow interior.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dehumidifying box 700 form discharge holes 710, and the discharge holes 710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box 700.

토출공(710)은 의류 관리 장치(600) 양측에 구비된 의류 수납부(500)의 수납부 제습공(520)에 각각 대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토출공(710)은 제습 박스(700)의 양측면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토출공(710)이 제습 박스(700)의 양측면 각각의 상하부에 2 개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ischarge holes 710 are formed to face the storage section dehumidifying holes 520 of the clothing storage section 5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7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humidifying box 700. In this specification, an example will be given where two discharge holes 710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dehumidifying box 700.

한편, 제습 박스(700)는 제습부(631)의 내부 공간(631a)에 설치되었을 때, 내부 공간(631a)의 공기가 토출공(710)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토출공(710)과 수납부 제습공(520)은 서로 기밀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Meanwhile, when the dehumidifying box 700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631a of the dehumidifying unit 631, the discharge hole 710 and the storage unit are dehumidified so that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631a does not leak into the discharge hole 710. Balls 520 must be able to maintain confidentiality between each other.

또한, 제습 모듈(DM)의 쿨링팬(213)은 제습 박스(70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공(71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oling fan 213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ehumidification box 700, and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710 as shown in FIGS. 11 and 12.

열전소자(100)는 제습 박스(700)에 설치되며, 열전소자(100)의 저온측 히트싱크(110)는 제습 박스(7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열전소자(100)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는 제습 박스(700)의 외부에 배치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installed in the dehumidifying box 700, and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disposed inside the dehumidifying box 700. At this time,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00 is disposed outside the dehumidifying box 700.

가이드부(300)는 제습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친수성 여재(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습 박스(7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00)는 저온측 히트싱크(11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저온측 히트싱크(1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guide unit 300 serves to guide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dehumidification box 700. The guide portion 300 is provided below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a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110.

친수성 여재(400)는 가이드부(300)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자연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친수성 여재(400)는 제습 박스(700)의 외부에 마련되며, 고온측 히트싱크(120)의 하측에 설치된다.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absorbs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300 and serves to naturally evaporate i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is provided outside the dehumidifying box 700 and installed below the heat sink 120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배출팬(230)은 내부 공간(631a)의 공기를 의류 관리 장치(60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친수성 여재(400)에 흡수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배출팬(230)은 고온측 히트싱크(120)에 설치된다.The discharge fan 230 serves to discharge air from the internal space 631a to the outside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and effectively dry the condensate absorbed in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400. The exhaust fan 230 is installed in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습 모듈(DM)이 설치된 듀얼 타입의 시스템 옷장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dual-type system closet equipped with a dehumidifying module (D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전면 패널(633)의 제어판(633a)을 조작하여 시스템 옷장을 동작시킨다.The user operates the system closet by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633a on the front panel 633.

제습 모듈(DM)의 저온측 히트싱크(110)는 제습 박스(700)의 내부에서 냉기를 발산하고, 제습 모듈(DM)의 고온측 히트싱크(120)는 고온의 열을 발산한다.The heat sink 110 on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radiates cold air inside the dehumidification box 700, and the heat sink 120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radiates high temperature heat.

이때, 제습 박스(700)의 양측면에 설치된 각각의 쿨링팬(213)은 의류 관리 장치(600)의 양측에 설치된 의류 수납 공간(510)의 공기를 각각, 제습 박스(700)의 내부로 흡입시킨다. 이때, 의류 수납 공간(510)으로부터 제습 박스(700)에 흡입된 각각의 공기는 제습 박스(700)의 내부에서 동시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each cooling fan 213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ehumidification box 700 sucks air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into the inside of the dehumidification box 700. . At this time, each air sucked into the dehumidifying box 700 from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undergoes heat exchange simultaneously inside the dehumidifying box 700.

이후, 제습 박스(700)의 내부에서 열교환되어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는 제습 박스(700) 양측면의 토출공(710)을 통해 의류 관리 장치(600) 양측의 의류 수납 공간(510)으로 각각 토출된다. Thereafter, the dehumidified air that is heat exchanged inside the dehumidifying box 700 is discharged to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through the discharge holes 710 on both sides of the dehumidifying box 700.

이후, 제습 모듈(DM)은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의류 관리 장치(600) 양측의 의류 수납 공간(510)을 동시에 제습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dehumidification module (DM) can simultaneously dehumidify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on both sides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600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this series of processes.

한편, 처리부(632)를 통한 의류 수납 공간(510)의 정화 작용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purification action of the clothing storage space 510 through the processing unit 632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듈(DM)은 한 개의 제습 모듈(DM)을 통해, 2 개의 의류 수납부(500)를 동시에 제습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dehumidifying module (D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of being able to simultaneously dehumidify two clothing storage units 500 through one dehumidifying module (DM). there is.

이상에서 설명된 제습 모듈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ehumidifying modul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열전소자 110 : 저온측 히트싱크
120 : 고온측 히트싱크 200 : 하우징
210 : 제1 하우징 211 : 수용공간
211a : 개구부 211b : 탈착편
211c : 탈착공 212 : 브라켓
212a : 브라켓공 213 : 쿨링팬
220 : 제2 하우징 221 : 덕트
221a : 배출유로 222 : 확관부
230 : 배출팬 231 : 제1 배출팬
232 : 제2 배출팬 300 : 가이드부
400 : 친수성 여재 410, 450 : 친수성 여재 수납부
411,451 : 바디 411a, 451a : 수납공간
411b, 451b : 공기 유입구 411c : 응축수 유입구
411d : 홈 412, 452 : 커버
412a, 452a : 공기 토출구 412b : 돌기
413 : 내향 돌부 413a : 삽입홈
420 : 제1 친수성 여재 430, 440 : 제2 친수성 여재
453 : 집수관 500 : 의류 수납부
510 : 의류 수납 공간 520 : 수납부 제습공
530 : 수납부 순환 입구 540 : 수납부 순환 출구
550 : 수납부 필터 교체공 600 : 의류 관리 장치
610 : 케이스 620 : 아우터 케이스
621 : 슬라이드 공간 622, 630a : 슬라이딩 수단(롤러)
623 : 아우터 제습공 625 : 아우터 순환입구
626 : 아우터 순환출구 627 : 아우터 필터 교체공
628 : 에어 벤트 629 : 외기구
630 : 이너 케이스 631 : 제습부
631a : 내부 공간 631b : 흡입구
631c : 배출구 631d : 이너 제습공
631e : 이너 순환입구 631f : 이너 순환출구
631g : 이너 필터 교체공 632 : 처리부
632a : 필터 632b : 순환팬
632c : 살균기 632d : 정전기 제거기
633 : 전면패널 633a : 제어판
700 : 제습 박스 710 : 토출공
G : 그릴 W : 격벽
100: thermoelectric element 110: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120: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200: Housing
210: first housing 211: accommodation space
211a: opening 211b: detachable piece
211c: Removal hole 212: Bracket
212a: Bracket hole 213: Cooling fan
220: second housing 221: duct
221a: discharge passage 222: expansion part
230: exhaust fan 231: first exhaust fan
232: Second discharge fan 300: Guide part
400: Hydrophilic filter media 410, 450: Hydrophilic media storage unit
411,451: Body 411a, 451a: Storage space
411b, 451b: air inlet 411c: condensate inlet
411d: groove 412, 452: cover
412a, 452a: air outlet 412b: protrusion
413: inward protrusion 413a: insertion groove
420: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430, 440: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453: water collection pipe 500: clothing storage unit
510: Clothing storage space 520: Storage unit dehumidifier
530: Storage unit circulation inlet 540: Storage unit circulation outlet
550: Storage filter replacement unit 600: Clothing management device
610: Case 620: Outer Case
621: slide space 622, 630a: sliding means (roller)
623: Outer dehumidifier 625: Outer circulation inlet
626: Outer circulation outlet 627: Outer filter replacement hole
628: Air vent 629: External device
630: Inner case 631: Dehumidifying unit
631a: internal space 631b: intake port
631c: outlet 631d: inner dehumidifier
631e: Inner circulation entrance 631f: Inner circulation exit
631g: Inner filter replacement hole 632: Processing unit
632a: Filter 632b: Circulation fan
632c: Sterilizer 632d: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633: Front panel 633a: Control panel
700: Dehumidifying box 710: Discharge hole
G: Grille W: Bulkhead

Claims (14)

제습 모듈에 있어서,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증발되는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는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습 모듈.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performs a cooling function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generates hea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It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It includes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evaporated from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Dehumidif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제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rt,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that guide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Dehumidification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영역에는 상기 친수성 여재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친수성 여재의 일측에 배출팬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향해 송풍하거나, 상기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an exhaust fa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o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exhaust fan is arranged to blow air towar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r to suck air 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Dehumidification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Further comprising a condensate water inlet formed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ortion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Dehumidificat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친수성 여재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친수성 여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 body that constitutes an exterior,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an be stored, and ha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and
Comprising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preven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Dehumidification module.
제습 모듈에 있어서,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제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온 영역에는 상기 친수성 여재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친수성 여재의 일측에 배출팬이 설치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친수성 여재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친수성 여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고온 파트의 고온측 히트싱크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디의 돌기 또는 홈에 결합될 수 있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제습 모듈.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performs a cooling function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generates hea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It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rt,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that guide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an exhaust fa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o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 condensate water inlet formed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low in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nd
I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 body that constitutes an exterior,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an be stored, and ha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and
It includes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prevent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A protrusion or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dy along the edge,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cover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discharged toward the heat sink on the high temperature side of the high temperature part,
Grooves or protrusions that can be coupled to protrusions or grooves of the body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cover.
Dehumidification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여재는,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친수성 여재; 및
일 측이 상기 제1 친수성 여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응축수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hydrophilic media is,
a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a disposed to face the condensate inlet; and
Comprising a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whose one side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whos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Dehumidification module.
제습 모듈에 있어서,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제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온 영역에는 상기 친수성 여재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친수성 여재의 일측에 배출팬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향해 송풍하거나, 상기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친수성 여재는,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친수성 여재; 및
일 측이 상기 제1 친수성 여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응축수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유입구는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좌우 방향에서의 크기가 상하 방향에서의 크기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친수성 여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친수성 여재는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습 모듈.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performs a cooling function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generates hea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It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rt,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that guide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an exhaust fa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o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exhaust fan is arranged to blow air towar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r to suck air 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 condensate water inlet formed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low in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nd
I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media is,
a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a disposed to face the condensate inlet; and
It includes a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philic filter medium,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face away from the condensate inlet,
The condensate inlet is formed as a long hole whose siz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is larger than tha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um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ydrophilic filter media are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unit,
Dehumidif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여재의 측면은,
물결(courrugation)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de of the hydrophilic medi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ave (courrugation),
Dehumidification module.
제습 모듈에 있어서,
냉각 작용을 하는 저온 파트와, 발열 작용을 하는 고온 파트를 갖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배치되는 저온 영역과 고온 파트가 배치되는 고온 영역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저온 영역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흡수하는 친수성 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제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온 영역에는 상기 친수성 여재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친수성 여재의 일측에 배출팬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향해 송풍하거나, 상기 고온측 히트싱크와 상기 친수성 여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습 모듈은 상기 친수성 여재를 수납하는 친수성 여재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응축수를 상기 친수성 여재 수납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구; 및
공기가 상기 친수성 여재를 통해 상기 고온 파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되는 응축수를 상기 저온 파트에서 상기 친수성 여재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마주보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온 파트의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는 상기 관통홀에 마주하는,
제습 모듈.
In the dehumidification modul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ow-temperature part that performs a cooling function and a high-temperature part that generates heat;
A housing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viding a low temperature area where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laced and a high temperature area where the high temperature part is placed; and
It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that absorb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by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rt,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that guides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In the high temperature area, an exhaust fa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o dry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exhaust fan is arranged to blow air towar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r to suck air 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dehumidif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ortion that stores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hydrophilic filter media storage part,
a condensate water inlet formed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low in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storage part; and
I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part through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A through hole facing the condensate inlet is formed in the housing to allow condensate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to flow from the low-temperature part to the hydrophilic filter medium,
The guide part moves downward from the heat sink of the low-temperature part toward the through hol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faces the through hole,
Dehumidif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가 설치되며, 쿨링팬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열전소자의 고온 파트가 설치되며, 배출팬이 설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는 구조물에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편이 형성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is,
a first housing in which the low-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and a cooling fan is installed; and
It includes a second housing in which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and an exhaust fan is installed,
The first housing forms an opening that opens toward one side,
A detachable piece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structure,
Dehumidification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응축수의 증발열을 배출팬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Duct)를 포함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duct having a flow path that guides the evaporation heat of condensate to the discharge fan.
Dehumidification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팬은 상기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The exhaust fan i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housing with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coupl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in between,
Dehumidification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온 영역에는 열전소자의 저온 파트에 결합되는 저온측 히트싱크가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고온 영역에는 열전소자의 고온 파트에 결합되는 고온측 히트싱크가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쿨링팬은 각각의 저온측 히트싱크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팬은 각각의 고온측 히트싱크에 설치되는,
제습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A plurality of low-temperature side heat sinks coupled to low-temperature part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installed in the low-temperature region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high-temperature side heat sinks coupled to the high-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installed in the high-temperature area of the housing,
The cooling fan is installed in each low temperature side heat sink, and the exhaust fan is installed in each high temperature side heat sink,
Dehumidification module.

KR1020230018727A 2023-02-13 2023-02-13 Dehumidification module KR102588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727A KR102588058B1 (en) 2023-02-13 2023-02-13 Dehumidific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727A KR102588058B1 (en) 2023-02-13 2023-02-13 Dehumidification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058B1 true KR102588058B1 (en) 2023-10-12

Family

ID=8829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727A KR102588058B1 (en) 2023-02-13 2023-02-13 Dehumidificat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0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389A (en) * 2003-12-15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9139071A (en) * 2007-12-06 2009-06-25 Ind Technol Res Inst Condenser and dehumidifier using it
KR101258639B1 (en) 2012-09-06 2013-04-26 주식회사 아이비포 Dehumidifier
KR20210089451A (en)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nti-condensation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389A (en) * 2003-12-15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9139071A (en) * 2007-12-06 2009-06-25 Ind Technol Res Inst Condenser and dehumidifier using it
KR101258639B1 (en) 2012-09-06 2013-04-26 주식회사 아이비포 Dehumidifier
KR20210089451A (en)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nti-condensation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86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627704B1 (en) Clothes Care Device
BR112014007131B1 (en) washing machine
US20210401264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110139538A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drying duct
KR20210158779A (en) Shoes management apparatus
US11918112B2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190141286A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US20120246962A1 (en) Clothes dryer
US20220192465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88058B1 (en) Dehumidification module
KR102639852B1 (en) System closet
US20220192464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433929B1 (en) Footwear cabinet
KR102662599B1 (en) Shoes care device
US20210401263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100025347A (en) Dehumidifier
US20210401169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JPH07241214A (en) Storage device
KR102505490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0600774B1 (en) Dehumidifier
KR101250526B1 (en) Caring apparatus for textile goods
KR102505489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US20240115110A1 (en) Shoes c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