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349B1 -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 Google Patents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349B1
KR102587349B1 KR1020230029673A KR20230029673A KR102587349B1 KR 102587349 B1 KR102587349 B1 KR 102587349B1 KR 1020230029673 A KR1020230029673 A KR 1020230029673A KR 20230029673 A KR20230029673 A KR 20230029673A KR 102587349 B1 KR102587349 B1 KR 102587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air
moisture
soundproof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권
김승재
신길호
김한상
Original Assignee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3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은, 적어도 일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는 방음프레임,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 각각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 상기 방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상기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환풍레이어를 포함한다.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 soundproofing frame includ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and one piece coupl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It includes the above moss panel, a solar panel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proofing frame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through light, and a ventilation layer that generates the air flow through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solar panel.

Description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본 발명은 소음공해를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패널을 구비하여 도로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로변 대기 환경을 개선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for blocking noise pollu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with a moss panel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to block road noise and at the same time has a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ying function to improve the roadside air environment. It is about a soundproof wall with moss greening.

오늘날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소음 레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원과 수음점 사이에 거리를 늘리는 방법과 도로변 지역에 방음벽, 방음둑 등과 같은 차폐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방법의 경우, 신설도로의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지만, 협소한 국토 실정과 토지이용의 극대화 등을 고려할 때 실현되기 어려우며, 특히 도시 지역에는 적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의 경우,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며, 대책효과도 크기 때문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oday, noise levels are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increase in traffic. In general, methods to reduce traffic noise can be divided into two methods: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oise source and the receiving point, and installing shielding materials such as soundproof walls and soundproof dams in roadside areas. In the case of the former method, it is suitable for new roads, but it is difficult to realize when considering the narrow national situation and maximization of land use, and is especially almost impossible to apply to urban areas. The method of installing a soundproof wall is currently widely used because i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is easy to construct, and has a large countermeasure effect.

도로와 건축단지 사이에 형성되는 방음벽은, 주로 소음 차단이 목적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도로주변에 형성된 건물의 사용자들이 소음공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즉,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Since the soundproof wall formed between the road and the building complex is mainly intended to block noise, it simply serves to prevent users of buildings formed around the road from being exposed to noise pollution, that is, to block them.

한편,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변의 대기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이외에도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인근 주민들에게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즉, 도로의 대기 환경은 다른 지역에 비해 대기환경의 오염도가 높아 도로에 인접한 생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도로상에서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들은 상대적으로 나쁜 대기환경에 항시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농도를 낮춰야 하지만, 도로의 오염된 대기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the air along the roads where vehicles drive contains harmful substances such as nitrogen oxides in addition to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which are exposed to nearby residents. In other words, the air environment on roads has higher air pollution levels compared to other areas, so people living in residential areas adjacent to roads or drivers operating vehicles on the roads are inevitably exposed to relatively bad air environments at all times. there i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and nitrogen oxides that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as described above, no method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olluted air environment on road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2922호(2019.10.0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2922 (published on October 8, 20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패널을 구비하여 도로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로변 대기 환경을 개선하는 이끼 녹화 방음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moss-green soundproof wall that blocks road noise and improves the roadside air environment by providing a moss panel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이 개시된다.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적어도 일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는 방음프레임,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 각각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 상기 방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상기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환풍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isclosed.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ncludes a soundproofing frame having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nd includ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one or more moss panels coupl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proofing frame. It may include a solar panel that generates electrical energy through light and a ventilation layer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through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solar panel.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환풍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환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음프레임 외측의 공기를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ventilation layer includes one or more ventilators and can generate suction force to move air outside the soundproofing frame to the inside of the soundproofing fram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 각각은,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간의 조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각각에는, 다른 이끼모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이끼모듈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끼류 식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moss panel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ss modul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modules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other moss modules, Each of the moss modules may be composed of moss plants that purify the air.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음프레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의 높이를 조정하는 이끼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끼승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이 고정되는 이끼고정막, 상기 이끼고정막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끼고정막의 승강시키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상기 방음프레임 상에 마운트시키는 레일거치부 및 상기 레일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oundproofing frame includes a moss elevat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one or more moss panels, wherein the moss elevating part includes a moss fixing film to which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re fixed, and an upper side of the moss fixing film. It is provided in and may include a rail portion that elevates and lowers the moss fixing membrane through rotation, a rail mount portion that mounts the rail portion on the soundproof frame, and a string portion that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rail por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공급부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분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연결되는 수분배출관, 상기 수분저장부와 상기 수분배출관을 연결하는 수분전달관 및 상기 수분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수분전달관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further includes a moisture supply unit that supplies moisture to one or more moss panels coupled to the soundproof frame, wherein the moisture supply unit includes a moisture storage unit that stores liquid, and the one or more moss panels. It may include a moistur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oss panel, a moisture delivery pipe connecting the moisture storage unit and the moisture discharge pipe, and a pumping unit that discharges the liquid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toward the moisture delivery pip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방음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수분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 및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수분전달관으로 전달시키는 통로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y unit may include a rainwater stora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undproofing frame to store moisture, and a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transfers moisture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unit to the moisture delivery pipe. .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이끼패널의 생육 환경에 관련한 생육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공급부 및 상기 환풍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ncludes a sensor unit that acquires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moss panel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isture supply unit and the ventilation layer based on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More may be included.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하는 공간에 관련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 및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의 세기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module that measures humidity related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and an ultraviolet ray sensor module that measures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You ca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방음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된 이끼패널에 광 또는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 및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connect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ortion that operates to block and allow light or moistur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ss panel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based on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이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상기 방음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part that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nd the soundproof frame when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re coupled to the soundproof fram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에 의하면, 이끼류 식물이 구비된 이끼류 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이끼의 지속적인 생육 환경 조절을 통해 장시간 공기 정화 기능에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provided with a moss panel equipped with moss plants, it is excellent in long-term air purification function by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moss.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에 의하면,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교통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ffic noise can be reduced by blocking noise generated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을 통해 공기의 순환을 위한 환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 비용 또는 유지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 energy for driving a ventilator for air circulation can be supplied through a solar module, so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is required. Since it is not provided,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costs or maintenance costs.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에 의하면, 방음벽 상에 이끼류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sually beautiful scenery can be provided by arranging moss plants on the soundproof wal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에 이끼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환풍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환풍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에 이끼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일 영역에 구비된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분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 녹화 방음벽의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패널, 필터부 및 차단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난 예시도이다.
Various aspect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examples below,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clear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ront of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ss pane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ttaching a moss panel to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layer provided inside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layer provided inside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a moss panel on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or unit provided in one area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isture supply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ss panel, a filter unit, and a blocking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are not to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Maybe not.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components, these elements or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device or component from another device or component.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and not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utilize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either X uses A; X uses B; Or, if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Additionally,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lated lis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doing so.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the context is clear to indicate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terms herein and in the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nd of themselves.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means that it is not only directly on top of, but also intervening with, the 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other component or laye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as a single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i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ould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You can.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moss green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ront of a green soundproof wall,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ss pane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이하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방음프레임(100), 이끼패널(200) 및 태양광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proof frame 100 and a moss panel 200. ) and a solar panel 300.

실시예에서,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소음 및 진동이 유입되는 다수의 흠읍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흡음재 또는 방음재가 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흡음재는, 다공질, 공명형 또는 판진동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재는, 글라스울, 타공판흡음재, 폴리에스터흡음재, 목모보드, 아트보드, 패브릭보드, 스펀지흡음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noise and vibration enters,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or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built into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n embodiments, the sound-absorbing material may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f a porous, resonance-type, or plate-vibration type. For example, sound absorbing material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lass wool, perforated plate sound absorbing material, polyester sound absorbing material, wood wool board, art board, fabric board, sponge sound absorbing material, etc.

구체적으로, 방음프레임(100)은, 지면과 맞닿아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을 지지하는 지지대(110) 및 지지대(110)로부터 직립되어 설치되는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에는 일정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이끼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이끼삽입홈(121)을 통해 이끼패널(200)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음프레임(100)의 내측에는 흡음재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흡음재가 구비됨에 따라, 소음의 전달이 저감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undproofing frame 100 may include a support 110 that contacts the ground and supports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and a main body 120 installed upright from the support 110. One or more moss insertion grooves 121 of a certain size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20, and the moss panel 200 can be coupled through the moss insertion groove 121. In an embodiment, a space for providing a sound-absorbing material may be formed inside the soundproofing frame 100, and as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space, the transmission of noise can be reduced.

방음프레임(100)은 이끼패널(200)이 구비되는 본체부(120) 및 지면으로부터 본체부(1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컨테이너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proofing frame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20 provided with a moss panel 200 and a support 110 provided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from the ground. The support 110 may be made of a structur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 container, or may be made of a concrete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이끼패널(20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적어도 일면에는 복수 개의 이끼패널(200)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하나 이상의 이끼 삽입홈(121) 각각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cluding a moss panel 20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moss panels 20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include one or more moss panels 200 coupled to each of one or more moss insertion grooves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들 각각은,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간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끼패널(200)은 복수 개의 이끼모듈(200a)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끼패널(200)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모듈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one or more moss panels may be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ss modules. In an embodiment, the moss panel 2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izes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ss modules 200a. That is, the moss panel 200 can be implemented in a modular manner so that it can have various sizes.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끼패널(200)은 복수 개의 이끼모듈(200a)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각각에는 다른 이끼모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끼모듈 각각은 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210)를 활용하여 상이한 이끼모듈 간의 결합이 허용되게 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moss panel 200 may be constr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oss modules 200a. A coupl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modules for coupling with other moss modules.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modules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210, and coupling between different moss modules is permitted by utilizing the coupling portion 210.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이끼모듈(200a-1) 및 제2 이끼모듈(200a-2) 각각의 단부에는 고정부(211) 및 고정홈(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이끼모듈(200a-1)의 고정부(211)와 제2 이끼모듈(200a-2)의 고정홈(212)이 결합됨에 따라 제1 이끼모듈(200a-1)과 제2 이끼모듈(200a-2)이 결합되게 된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4개의 이끼모듈이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이끼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끼패널의 형상 및 크기는, 결합되는 이끼모듈의 형상 및 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4개의 이끼모듈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이끼패널이 형성됨을 개시하나, 이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이끼패널은,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이끼모듈 또는 다른 형상의 이끼모듈들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For a specific example, a fixing portion 211 and a fixing groove 212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first moss module 200a-1 and the second moss module 200a-2, and the first moss module 200a As the fixing part 211 of -1) and the fixing groove 212 of the second moss module 200a-2 are combined, the first moss module 200a-1 and the second moss module 200a-2 are combined. It will happ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one moss panel can be formed by combining four moss modules. The shape and size of the moss panel can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number of moss modules to be comb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isclosed that one moss panel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four moss module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moss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r or smaller number of moss modules or moss modules of different shape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se.

이러한 이끼모듈 각각은 이끼류 식물이 구성되어 있다. 이끼모듈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끼류 식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Each of these moss modules is composed of moss plants. The moss module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omposed of lichen plants that purify the air.

즉,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적어도 일면에는 이끼류 식물을 포함하는 이끼패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이 위치한 공간(또는 영역)에 대한 공기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에 복수 개의 이끼패널을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공기 정화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at is, since at least one sid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ncludes a moss panel containing moss plants,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space (or area)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s located. In other words,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oss panels on at least one 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urifies air and removes fine dust. can do.

본 발명의 이끼류 식물은, 선태식물에 속하는 비관다발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끼류 식물은, 다량의 산소와 음이온의 배출로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공기 정화 능력을 갖추고 있다.The moss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n-vascular plants belonging to the bryophytes. Moss plants have the ability to purify the air, creat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emitting large amounts of oxygen and negative ions.

이러한 이끼류 식물은 일반적인 공기정화식물의 무려 800~1000배의 공기 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끼는 공기중 에어로졸, 탄소 미립자, 화학 먼지 등의 오염 물질과 CO2를 흡수하고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무게의 20배까지 수분을 저장하여 습도 유지에도 탁월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se moss plants are known to be 800 to 1,000 times more effective in purifying the air than ordinary air purifying plants. Moss absorbs and decomposes CO2 and pollutants such as aerosols, carbon particles, and chemical dust in the air to generate oxygen. It is known to have an excellent function in maintaining humidity by storing moisture up to 20 times its own weight.

또한, 이끼는 1.0㎡당 나무 15그루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이미 유럽 등지에서는 친환경 공기정화로 주목받고 있고, 미세먼지와 CO2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탄소 저감에 효과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moss has been found to be as effective in absorbing fine dust as 15 trees per 1.0 m2, and is already attracting attention as an eco-friendly air purifier in Europe and other countries. It is known as an effective plant for carbon reduction as it can dramatically reduce fine dust and CO2. .

이에 따라, 도로변에 인접한 생활지역에 거주하는 거주자나, 도로상에서 차량을 운행 중인 운전자들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끼 녹화 방음벽이 설치된 인근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은, 쾌적한 공기를 제공받게 되며, 추가적으로, 피톤치드 공급을 통한 운전에 대한 주의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purified air to residents living in residential areas adjacent to the roadside or to drivers operating vehicles on the road. In other words, users who exist near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will be provided with comfortable air, and additionally, the attentiveness of driving can be improved through the supply of phytoncide.

추가적으로, 피톤치드는 냄새 제거에도 탁월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피톤치드의 경우, 소취작용을 통해 화학적 중화에 의한 방법으로 냄새의 원인을 분해하여 환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냄새 제거에 보다 탁월할 수 있다. 즉,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설치 영역 내에 피톤치드 성분이 지속적으로 함유되는 경우, 소취 효과의 증대로 인해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Additionally, phytoncide can provide excellent odor removal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phytoncide, it can be excellent at removing odor because it decomposes and replaces the cause of the odor through chemical neutralization through deodorizing action. That is, if the phytoncide component is continuously contained i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bad odor can be removed due to an increase in the deodorizing effect.

또한, 이끼는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함께 흡수하여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산소를 배출해 초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끼는 톨루엔 제거 효율이 좋아 뛰어난 제습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moss absorbs carbon dioxide during photosynthesis to remove ultrafine dust in the air and at the same time emits oxygen, turning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into fresh air. In addition, moss has excellent toluene removal efficiency and has an excellent dehumidifying effect.

이러한 이끼류 식물이 대기환경의 오염도가 높은 도로변에 구비됨에 따라, 공기 정화 기능, 대기오염 감소, 음이온 효과를 통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As these moss plants are placed on roadsides where the air environment is highly polluted,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breathe clean air can be created through air purification functions, reduction of air pollution, and negative ion effects.

즉, 대시환경의 오염도가 높은 도로변에 대응하여 별도의 공기 정화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이동이 많은 도로변 주변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로변 주변에 방음 효과와 동시에 공기 정화 효과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악취 제거, 제습 효과 등을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ven if a separate air purification device is not installed in response to a roadside with a high level of pollution in the dash environment, the air around the roadside where many vehicles move can be maintained in a pleasant condi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oundproofing effect and an air purifying effect at the same time around the roadside. In addition, it can creat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by providing odor removal and dehumidification effects.

본 발명의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해당 방음벽이 위치한 공간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공기 정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가 지속적으로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racterized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moss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can continuously grow so that continuous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pace where the soundproofing wall is located.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에 이끼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to explain the process of attaching a moss panel to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200)은 본체부(1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끼 삽입홈(121) 각각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moss panels 200 may be coupled to each of one or more moss insertion grooves 12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본체부(120)의 적어도 일면(예컨대, 차량이 통행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면(정면))에는 관통된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끼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이끼삽입홈(121) 각각에 복수 개의 이끼패널(200) 각각이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oss insertion grooves 121 provided through the shape of a through hole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e.g., the first surface (fron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passes) of the main body 120, and a plurality of moss insertion grooves 121 are formed. A plurality of moss panels 20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moss insertion grooves 121.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고정부(220)를 활용하여 이끼삽입홈(121)에 이끼패널(200)이 고정결합 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이끼삽입홈(121) 각각에 복수 개의 이끼패널(200) 각각이 패널고정부(220)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끼패널들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하나의 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나, 이끼패널들은 이끼 녹화 방음벽의 제1 면(예컨대,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에 관련한 제1 면) 및 제1 면에 대응하는 제2 면(예컨대, 인접 거주자들이 위치한 방향에 관련한 제2 면) 각각에 구성되어 공기 정화 성능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For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moss panel 20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moss insertion groove 121 using the panel fixing part 220.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panels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insertion grooves 121 through the panel fixing portion 22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ss panels are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but the moss panels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e.g., the first side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moving) and It is configured on each second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e.g., the second side rela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adjacent residents are located), so that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maximiz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방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300)은 환풍레이어(4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환풍레이어(400)는 태양광패널(300)로부터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기반으로 구동된다. 태양광패널(300)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은 빛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include a solar panel 300 that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proof frame and generates electrical energy through light. The solar panel 300 can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ventilation layer 400. In an embodiment, the ventilation layer 400 is driven based on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300. The solar panel 300 can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solar panel may refer to a solar cell that converts light energy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패널(300)은 유기재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유기 태양전지 및 실리콘계 재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실리콘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lar pane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rganic solar cell provided with an organic material and a silicon solar cell provided with a silicon-based material.

유기 태양전지는, 유기물 소재의 재료를 통해 구성된 태양전지일 수 있다. 유기 태양전지는, 대면적화가 가능하여 제조 공정상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구부러짐 가능(flexible)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는 장점이 있다.An organic solar cell may be a solar cell made of organic materials. Organic solar cells can be manufactured in large areas, ensuring convenie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as it is provided using an organic material, it can be provided flexibly and has the advantage of low manufacturing cost.

실시예에서,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재료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효율이 다소 낮을 수 있으나, 재료를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낮은 장점이 있다.In an embodiment, a silicon-based solar cell is implement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and may refer to a device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a silicon wafer. Silicon-based solar cells may have somewhat low efficiency, but they have the advantage of easy availability of materials and low manufacturing costs.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패널(300)은, 특정 결정 구조를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육방면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물질로, 회티티타늄석을 의미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간편한 제조 과정을 통해 구현되며, 다양한 기판에 증착이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경우, 고가의 장비를 활용하여 섭씨 1400도 이상의 온도에서 공정 처리가 수행되나, 페로브스카이트는 저렴한 장비를 통해, 10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액체 용액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페로브스카이트는 유연한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기판에 증착될 수 있다. 이는 두껍고 강성이 높은 실리콘 웨이퍼와 달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lar panel 300 may include a perovskite solar cell having a specific crystal structure. Perovskite is a semiconductor material with a hexagonal structure and can refer to gray titanium stone. Perovskite solar cells are realized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deposited on a variety of substrat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silicon-based solar cells, processing is performed at temperatures above 1400 degrees Celsius using expensive equipment, but perovskite can be processed as a liquid solution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about 100 degrees Celsius using inexpensive equipment. . Additionally, perovskites can be deposited on a variety of substrates, including flexible plastics.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unlike silicon wafers, which are thick and highly rigid.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패널(300)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 Dye Sensitized Solar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원리 통해 동작하는 태양전지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lar panel 300 may include a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s an example, a dye-sensitized solar cell may be a solar cell that operates through a principle similar to the photosynthetic principle of plants.

구체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특수한 염료 분자가 빛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를 전극에서 모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리로 동작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 투명한 염료를 통해 투명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Specifically, dye-sensitized solar cells operate on the principle that special dye molecules chemically adsorbed on the surface of metal oxide absorb light to generate electrons, and collect the generated electrons at the electrode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In an embodim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can be provided transparently using transparent dyes or in various colors using dyes of various colors, making them highly versatile.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20~50%에 불과하다. 또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빛의 입사각에 따라 효율 감소분이 거의 없고, 낮과 밤의 발전량이 다른 태양전지에 비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즉,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 입사각에 따른 효율 감소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구비되는 위치에 대한 자율성 및 유연성이 높으며, 태양이 없는 시간에도, 다양한 빛 에너지(예컨대, 자동차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 불빛 등)를 기반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해낸다는 장점이 있다.Because these dye-sensitized solar cells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eir manufacturing cost is only 20 to 50% of that of silicon-based solar cells. In addition, dye-sensitized solar cells have the advantage that there is almost no decrease in efficiency depending on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and that the power generation during the day and night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solar cell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re is almost no decrease in efficiency depending on the angle of incidence, so they do no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where sunlight is incident, so they have high autonomy and flexibility in where they are installed, and even when there is no sun, It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ased on various light energies (for example, car headlights or street lights, etc.).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300)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통해 구비되는 경우, 태양이 없는 야간 시간에도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 불빛 등을 기반으로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환풍레이어(4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 시간에도 공기 정화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양광패널(300)이 주, 야간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으므로, 환풍레이어(400)의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즉, 24시간 활용 가능)해짐에 따라, 공기 정화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solar pane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dye-sensitized solar cell, it continuously generates electrical energy based on the headlights of cars driving on the road or street lights even at night when there is no sun, thereby forming a ventilation layer. 400, and thus air purific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even at night. In other words, since the solar panel 300 can continuously produce and supply electrical energy day and night, the ventilation layer 400 can be continuously used (i.e., can be used 24 hours a day), thereby improving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태양광패널(300)을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환풍레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환풍레이어(400)는 하나 이상의 환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풍레이어(400)는 방음프레임 외측의 공기를 방음프레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include a ventilation layer 400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through electrical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solar panel 300.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include one or more ventilation fans.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move air outside the soundproofing frame to the inside of the soundproofing fram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환풍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환풍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layer provided on the inside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layer provided on the inside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for doing so.

도 6의 (a)와 (b)를 참조하면, 환풍 레이어(400)는 하나 이상의 환풍팬이 레이어의 형태로 결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환풍 레이어(400)는 복수 개의 환풍팬(400a)을 포함할 수 있다. 환풍팬(400a)은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ures 6,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mean that one or more ventilation fans are combined in the form of a layer. That is,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ntilation fans 400a. The ventilation fan 400a can generate air flow through rotation of the propeller.

이러한 환풍 레이어(400)는, 도 6의 (b)와 같이, 본체부(120)의 내측에 구비되되, 본체부(12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b)는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풍 레이어(400)는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풍 레이어(400)는 공기배출구(140)가 구비된 방향과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측단면에 관련한 예시도이기 때문에, 하나의 환풍 레이어가 구비된 것으로 표현되나, 환풍 레이어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b)에서 보이는 환풍 레이어의 뒷면에 다른 환풍 레이어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is ventilation layer 40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b) of FIG. 6, and may b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20. Here, Figure 6 (b) may show a side cross-section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n one embodiment,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outlet 140 is provided. Since Figure 6 (b) is an exemplary view related to a side cross-section, it is expressed as having one ventilation layer, but a plurality of ventilation layer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ther ventilation layer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ventilation layer shown in (b) of FIG. 6.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 레이어(400)는 본체부(1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40)에 대응하는 일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의 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끼패널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환풍 레이어(400)는 공기배출구(140)가 형성된 일단에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즉, 지면과 수직 방향)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provided in on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140 formed in the main body 120. The air outlet 140 may have a hole as shown in FIG. 1 and serves to discharg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ss panel. That is,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20 (i.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one end where the air outlet 140 is formed.

이러한 환풍 레이어(400)는 외부 공기가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200)을 통해 유입되어 공기이동통로(130)를 지나 공기배출구(14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환풍레이어(400)가 발생시킨 공기의 흐름을 통해 이끼패널(즉, 이끼)를 통과하여 유임된 공기는, 산소와 음이온 그리고 피톤치드가 함유된 쾌적한 공기(즉, 정화된 공기)일 수 있다.This ventilation layer 400 can generate an air flow such that external air flows in through one or more moss panels 200, passes through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air outlet 140. In other words, the air that passes through the moss panel (i.e., moss) through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ventilation layer 400 and is retained can be comfortable air (i.e., purified air) containing oxygen, negative ions, and phytoncide. .

구체적으로, 환풍 레이어(400)에 포함된 환풍팬(400a) 각각의 프로펠러가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본체부(12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이끼패널(200)(도 6의 (b)를 기준으로 양면에 형성된 이끼패널들)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 외부의 공기는,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변에 관련한 공기이므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그리고 질소산화물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오염도가 높다. 이러한 외부 공기는 본체부(또는 방음프레임)에 결합된 복수 개의 이끼패널 각각 지나 본체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끼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이끼패널에 구비된 이끼가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다량의 산소와 음이온을 배출하며, 피톤치드를 발생시켜 쾌적한 공기를 만들어 낸다. 또한, 이끼의 잔뿌리를 통해 해당 이끼를 통과하는 공기의 미세먼지가 걸러질 수 있다. 즉, 미세먼지가 이끼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끼에 잔뿌리에 흡착됨에 따라 미세먼지가 걸러질 수 있다.Specifically, as each propeller of the ventilation fan 400a included in the ventilation layer 400 rotates,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lurality of moss panels 200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b in FIG. 6). ) passes through the moss panels formed on both sides and flows into the interior. In this case, since the outside air is the air related to the roadside where vehicles drive, it contain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nitrogen oxides, and is highly polluted. This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20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panels coupled to the main body (or soundproofing frame), and can be purified by moss during the inflow process. The moss provided in the moss panel absorbs carbon dioxide while photosynthesizing, emitting a large amount of oxygen and negative ions, and generating phytoncide to create comfortable air. Additionally, fine dust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ss can be filtered through the fine roots of the moss. In other words, as fine dust passes through the moss layer, it is absorbed by the fine roots of the moss and can be filtered out.

다시 말해, 외부 공기(즉, 이끼 녹화 방음벽이 설치된 영역 주변에 공기)는, 도 6의 (b)를 기준으로 양면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된 복수 개의 이끼패널들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끼에 의해 정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화된 공기는 환풍 레이어(400)가 발생시킨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배출구(140)로 배출되게 되며, 이에 따라, 이끼 녹화 방음벽 주변 대기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utside air (i.e., the air around the area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moss panel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with reference to (b) in Figure 6 and flows into the interior. It can be purified by, and this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0 according to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ventilation layer 400. Accordingly, the quality of the air around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can be improv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 레이어(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예컨대, 지면과 수평한 너비 방향)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환풍 레이어(400)는, 본체부(120) 내측에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환풍 레이어(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의 내측에 지면과 평행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the width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7.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at is,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ventilation layers 400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20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실시예에서, 환풍 레이어(400)는 외부 공기가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을 통해 유입되어 공기이동통로(130)를 지나 공기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배출구는 방음프레임(10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풍 레이어(400)가 본체부(120) 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구비되는 경우, 환풍 레이어(400)에 의해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공기배출구는 본체부(120)의 하부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공기배출구는 지지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환풍 레이어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공기는 지지대(11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an embodiment, the ventilation layer 400 may generate a flow of air such that external air flows in through one or more moss panels, passes through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air outlet.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oundproofing frame 100. Specifically, when the ventilation layer 400 is provid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within the main body 120, air is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ventilation layer 400, so the air outlet is located in the main body 12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an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110. That is, the air moved downward by the ventil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formed in the support 110.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체부(120) 내부에 구비된 환풍 레이어(400)들은, 각 레이어에 포함된 환풍팬(400a)의 회전을 통해 외부(즉, 양 측면에 구비된 이끼패널의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내부로 흡입된 공기(즉, 정화된 공기)는, 공기이동통로(130)를 지나, 각 레이어에 구비된 환풍팬(400a)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공기는, 방음프레임(100)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대(11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영역은 방음프레임(100)의 하단으로,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 또는 도로 인근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들에게 정화된 공기를 보다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more detail, the ventilation layers 40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i.e., outside the moss panels provided on both side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ventilation fans 400a included in each layer. Existing air can be sucked inside. Additionally, the air sucked inside (i.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and is moved downward by the ventilation fan 400a provided in each layer. Air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ir outlet formed in the support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oundproofing frame 100.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air outlet is formed is at the bottom of the soundproofing frame 100,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purified air more directly to drivers using the road or users active near the roa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프레임(100)은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200)의 높이를 조정하는 이끼승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끼승강부(150)는 이끼패널을 일정 높이로 승강 및/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oundproofing frame 100 may include a moss elevating part 150 that adjusts the height of one or more moss panels 200. The moss lifting unit 150 serves to raise and/or lower the moss panel to a certain height.

예컨대,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높이를 통해 구비되어 한다. 즉, 소음의 효과적인 차단을 위해서는 본체부(120)의 구비 높이가 높아져야 하며, 특히, 공기 정화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끼패널의 구비 수(즉, 구비 면적)가 증가하여야 한다. For exampl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ust be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 height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noise generated on the road. That is,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noise,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20 must be increased. In particular, in order to maximiz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the number of moss panels (i.e., area) must be increased.

한편, 이끼패널의 경우, 본체부(120)의 높은 구비 높이 때문에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본체부(120)의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이끼패널을 가지고 올라가 이끼패널을 본체부(120)의 일 영역 상에 결합시켜야 한다. 즉, 본체부(120)의 높은 구비 높이 때문에, 이끼패널의 탈부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끼패널은, 최초 설치 시점 뿐 아니라, 활용 과정에서 추가적인 교체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의 간편화가 매우 중요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moss panels, installation may be difficult due to the high installation height of the main body 120. For example, the worker must carry the moss panel up to the upper area of the main body 120 via a ladder and join the moss panel to one area of the main body 120. That is, because of the high installation height of the main body 120,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and detach the moss panel. Simplification of install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moss panels may require additional replacement not only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but also during use.

본원 발명은 이끼승강부(150)의 구성을 통해 사다리가 필요없이 높은 영역에 이끼패널을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oss panels to be easily installed and replaced in high areas without the need for a ladd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oss lifting unit 1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승강부(150)는 이끼패널이 고정되는 이끼고정막(1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끼고정막(15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끼고정막(151)은 하나 이상의 이끼 삽입홈(121)이 형성된 일면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끼고정막(151)에 이끼패널이 고정되는 경우, 이끼 삽입홈(121)을 통해 이끼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lifting unit 150 may include a moss fixing film 151 to which the moss panel is fixed. The moss fixing film 151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FIG. 8. The moss fixing film 15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urface where one or more moss insertion grooves 121 are formed. That is, when the moss panel is fixed to the moss fixing film 151, the moss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ss insertion groove 12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이끼패널(200) 각각은 패널고정부(220)를 통해 이끼고정막(151) 각 영역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부(1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끼 삽입홈(12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panels 200 may be fixed to each area of the moss fixing film 151 through the panel fixing part 220, and one or more moss insertion grooves 12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끼고정막(151)은 흡음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끼고정막(151)은 글라스울, 타공판흡음재, 폴리에스터흡음재, 목모보드, 아트보드, 패브릭보드 및 스펀지흡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끼고정막(151)이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oss fixing film 151 may be made of a sound-absorbing material. For example, the moss fixing film 151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glass wool, perforated plate sound absorbing material, polyester sound absorbing material, wood wool board, art board, fabric board, and sponge sound absorbing material. As the moss fixing film 151 includes a sound-absorbing material, the function of blocki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on the road can be further impro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에 이끼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a moss panel on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끼승강부(150)는 이끼고정막(151)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끼고정막(151)을 승강시키는 레일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oss elevat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ss fixing film 151 and may include a rail part 153 that raises and lowers the moss fixing film 151 through rotation.

또한, 이끼승강부(150)는 레일부를 방음프레임(100) 상에 마운트시키는 레일거치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레일부(153)는 레일거치부(152)에 의해 본체부(120)의 지지될 수 있다. 레일거치부(152)는 큰 외력에도 레일부(153)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소재를 통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moss lifting unit 150 may include a rail mounting unit 152 that mounts the rail unit on the soundproofing frame 100. That is, the rail portion 153 can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portion 120 by the rail holder 152. The rail holder 15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so that it can firmly support the rail 153 even under a large external force.

또한, 이끼승강부(150) 레일부(153)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끈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끈부(154)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분으로, 물리적인 압력을 인가받아 레일부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끈부(154)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인가함으로써, 레일부(153)를 일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끼고정막(15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ss elevating part 150 may include a string part 154 that applies rotational force to the rail part 153. The string portion 154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serves to rotate the rail portion by receiving physical pressure. That is,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oss fixing film 151 by applying force while holding the string portion 154 and rotating the rail portion 153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구체적으로,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예컨대, 작업자)는, 자신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끼고정막(151)의 일 위치(예컨대, 가장 하부측에 형성된 이끼 삽입홈에 대응하는 높이)에 패널고정부(220)를 통해 이끼패널(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 이끼패널(2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끈부(154)를 일방향으로 당겨 레일부(153)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이끼패널(200)이 상승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끈부(154)를 다른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레일부(153)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경우, 이끼패널이 하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끈부(154)를 활용하여 이끼패널(2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도 8의 (c)와 같이, 각 높이에 따른 이끼삽입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끼패널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8, the user (e.g., worker) selects a position (e.g., corresponding to the moss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moss fixing film 151 at which the user (e.g., worker) can easily work. The moss panel 200 can be fixed through the panel fixing part 220 at a height of The user can pull the strap portion 154 in one direction while fixing the moss panel 200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rail portion 153 rotates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moss panel 200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b) of FIG. 8. Panel 200 may be raised.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string portion 154 in a different direction, the rail portion 153 rotates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moss panel descends.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ss panel 200 using the string portion 154, the moss panel can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ss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each height, as shown in (c) of Figure 8. There will be.

즉, 본 발명은, 최초 설치 이끼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또는 이끼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이끼승강부(150)의 구성을 통해 높은 위치에 이끼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또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설치 시간 단축 및 유지 보수를 간편화 한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moss panel for the first time or when replacing moss, the moss can be placed in a high posi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oss lifting unit 150. This improves the user's (or worker's) work convenience an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installation time and simplifying maintenanc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이끼패널(200)의 생육 환경에 관련한 생육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육 환경 정보는, 이끼가 위치한 영역에 관련한 온도, 습도, 기류,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생육 환경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온도 센서, 기류 센서, 습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include a sensor unit 600 that acquires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moss panel 200. Here,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and illuminance related to the area where the moss is located. This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acquired through one or more sensor modules, and the one or more sensor modules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n airflow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illumination senso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음프레임의 일 영역에 구비된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or unit provided in one area of a soundproofing fram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센서부(600)는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하는 공간에 관련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620) 및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의 세기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센서모듈을 통해 획득된 습도 정보는 이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습도 정보를 통해 이끼에 공급되는 수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 차단부(800)를 구동하여 이끼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ensor unit 600 includes a humidity sensor module 620 that measures humidity related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and an ultraviolet sensor module that measures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It may include (610). Humidit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is humidity sensor module can be used to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moss. For example, the amount of moisture supplied to moss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corresponding humidity information. Additionally, for example, when the humidity is too high, the blocking unit 800 can be driven to block moisture from being supplied to the moss.

또한, 실시예에서, 센서부(600)는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을 측정하는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통해 이끼가 구비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 정도가 센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끼의 초기 생장시기에는 자외선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활용하여 이끼에 전달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끼가 구비된 영역에 자외선의 세기가 강한 경우, 차단부(800)를 구동하여 이끼에 전달되는 광을 차단시킴으로써, 이끼로 전달되는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600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sensor module 610 that measures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The level of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provided with moss can be sensed through the ultraviolet ray sensor module 610. For example, during the early growth period of moss, it may be vulnerable to ultraviolet rays. Accordingly, the ultraviolet rays transmitted to the moss can be blocked by using th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corresponding ultraviolet sensor module 610. For example, when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is strong in an area provided with moss, the ultraviolet rays transmitted to the moss can be blocked by driving the blocking unit 800 to block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moss.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부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공기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센서부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공기 정화 속도를 증대시키거나,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이동이 현저히 적은 밤 시간 대 보다 차량의 이동이 많은 오후 시간 대에 공기 정화 속도를 더욱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air sensor unit, and the air purification spee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i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ir purification speed can be determined more quickly in the afternoon when there is a lot of vehicle movement than at night when there is significantly less vehicle movement.

또한, 실시예에서,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환풍레이어(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환풍레이어(400)의 구동을 비롯한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되는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공급부(500) 및 환풍레이어(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layer 400 based on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layer 400. The control unit can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or run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memory.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and the ventilation layer 400 based on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센서부(600)를 통해 획득된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환풍레이어(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반으로 환풍레이어를 구성하는 환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layer 400 based on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600.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layer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etected through the air sensor unit.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감지될수록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게 감지될수록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이끼(또는 이끼패널)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질 수 있으며,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가 느릴수록 이끼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것은, 해당 영역에 공기의 질이 나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는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이끼를 통과하는 공기를 최대화함으로써, 이끼의 활발한 광합성을 유도하여 많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변화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즉, 흡입력을 증가시켜 공기(예컨대,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공기)와 이끼의 접촉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정화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detected, the faster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can be controlled, and the low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detected, the slower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can be controlled. The faster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the greater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moss (or moss panel), and the slower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the smaller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moss. You can. For example,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ay mean that the air quality in the area is poor.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high, the control unit quick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to maximiz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ss, thereby inducing active photosynthesis of the moss and converting a larg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to oxygen to purify the air. can do. In other words, by increasing the suction power,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air (e.g., air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moss can be increased, and thus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다시 말해, 제어부는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이 구비된 영역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응하여 공기가 정화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대기의 오염이 심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 빠른 속도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환풍팬(400a)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air is purified in response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rea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s provided. That is, when air pollution is severe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high, the rotation speed of the ventilation fan 400a can be quickly controlled in order to purify the air at a high spe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은, 방음프레임(10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공급부(500)는 이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이끼모듈(200a)에 구비되는 이끼는 적절한 생육환경이 갖춰지는 경우,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공기 정화의 제공을 위해서는 이끼 지속적인 생장을 위해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에서, 이끼 자체에 수분이 과하거나 또는 부족하게 공급되는 경우, 생육에 적절하지 못한 환경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may include a moisture supply unit 500 that supplies moisture to one or more moss panels coupled to the soundproof frame 100.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moisture to moss. For example, moss provided in the moss module 200a can grow continuously if an appropriate growth environment is provided.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air purification, it is important to supply moisture for continuous moss growth. In an embodiment, if the moss itself is supplied with too much or too little moisture, it may create an unsuitable environment for growth.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분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Figure 10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isture supply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수분공급부(500)는 수분저장부(510), 수분배출관(540), 수분전달관(530) 및 펌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moisture storage unit 510, a moisture discharge pipe 540, a moisture delivery pipe 530, and a pumping unit 520.

실시예에서, 수분공급부(500)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분저장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저장부(5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는, 이끼의 생장을 위한 것으로, 물 또는 영양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분저장부(510)는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 가능하도록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투입구를 통해 수분저장부(510)에 수분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투입구는 마개 또는 밸브를 통해 열림 및 닫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수분저장부(510)에 이끼의 생육을 위한 액체를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moisture storage unit 510 that stores liquid.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can store liquid. Here, the liquid is for the growth of moss and may include water or nutri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to allow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at is, moisture is filled into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through the inlet. This inlet can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stopper or valve. For example, the user may store liquid for moss growth in advance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또한, 수분공급부(500)는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연결되는 수분배출관(54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moisture discharge pipe 540 connected to one or more moss panels.

또한, 수분공급부(500)는 수분저장부(510)와 수분배출관(540)을 연결하는 수분전달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분배출관(540)은 각 이끼패널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수분전달관(530)은 각 수분배출관에 연결되는 구성이다.Additionally,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moisture delivery pipe 530 connecting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and the moisture discharge pipe 540. As shown in Figure 10, each moisture discharge pipe 540 is connected to each moss panel, and one moisture delivery pipe 530 is connected to each moisture discharge pipe.

또한, 실시예에서 수분공급부(500)는 수분저장부(510)에 저장된 액체를 수분전달관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펌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520)는 수분저장부(510)에 압력을 가하여 수분저장부(510)에 저장된 액체가 수분전달관(530) 및 수분배출관(540)을 지나 각 이끼패널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펌핑부(5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수분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던 액체는, 수분전달관(530)과 수분배출관(540)을 차례로 지나, 각 이끼패널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펌핑부(5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끼패널로 배출되는 수분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습도센서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습도 정보에 따라 펌핑부(520)의 펌핑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pumping unit 520 that discharges the liquid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toward the moisture delivery pipe. The pumping unit 520 applies pressure to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so that the liquid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is discharged to each moss panel through the moisture delivery pipe 530 and the moisture discharge pipe 540. In other words, the liquid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due to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ing unit 520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moisture delivery pipe 530 and the moisture discharge pipe 540 and be discharged to each moss panel. . In various embodiments, the pumping unit 52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moisture discharged to the moss panel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ing unit 520 according to humidity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humidity sensor module.

다양한 실시예에서, 수분공급부(500)는 방음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수분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빗물저장부(560)는 빗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빗물저장부(560)의 경우, 빗물을 보다 용이한 저장을 위하여 본체부(12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undproofing frame 100 and may include a rainwater storage unit 560 that stores moisture.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serves to temporarily store rainwater. In the cas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20 for easier storage of rainwater.

또한 수분공급부(500)는 빗물저장부(560)에 저장된 수분을 수분전달관(530)으로 전달시키는 통로개폐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빗물저장부(560)의 하부측에는 수분전달관(530)의 존재하며, 통로개폐부(550)를 매개로 빗물저장부(560)의 하면과 수분전달관(530)의 일단이 간접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로개폐부(550)는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빗물저장부(560)의 하면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통로개폐부(550)가 개방되는 경우, 빗물저장부(560)에 저장된 액체가 수분전달관(53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전달관(530)으로 전달된 액체(에컨대, 빗물)은 수분배출관(540)을 통해 각 이끼패널에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통로개폐부(550)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측정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통로개폐부(550)의 개방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isture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passage opening/closing unit 550 that transfers moisture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to the moisture transfer pipe 530. There is a moisture transfer pipe 530 on the low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and one end of the moisture transfer pipe 530 are provided in indirect contact through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550. You ca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550 may open or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en the passage opening/closing unit 550 is opened, liquid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unit 560 may move through the moisture transfer pipe 530. In this case, the liquid (e.g., rainwater) delivered to the moisture delivery pipe 530 may be discharged to each moss panel through the moisture discharge pipe 540.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may open the passage opening/closing unit 550 according to a certain time period, or may determine opening of the passage opening/closing unit 550 based on measured sensor information.

즉,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560)를 상부측에 구비하여 이끼 생육에 활용되는 수분을 추가적으로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다. 이는 빗물을 재활용하는 구성으로, 수분저장부(510)에 수분을 채우는 주기를 길게하여, 인위적으로 채워지는 수분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관리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store and supply moisture used for moss growth by providing a rainwater storage unit 560 on the upper side to store rainwater.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recycles rainwater, lengthens the cycle of filling the moisture storage unit 510 with moisture, and minimizes the amount of moisture artificially filled, making maintenance easier and also advantageous in terms of management cos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방음프레임(10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방음프레임(100)에 결합된 이끼패널에 광 또는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 및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차단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soundproof frame 100, and a blocking unit that operates to block and allow light or moistur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ss panel coupled to the soundproof frame 100. It may include (80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 녹화 방음벽의 예시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끼패널, 필터부 및 차단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난 예시도이다.Figure 11 show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moss green sound barrier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ss panel, a filter unit, and a blocking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차단부(800)는 본체부(12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각각으로 구동되어, 이끼패널의 전면을 차단하거나 또는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의 (a)는 차단부(800)가 제1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차단부(800)를 통해 이끼패널(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이며, 도 11의 (b)는 차단부(800)가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이끼패널(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즉, 차단부(80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blocking unit 8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and drive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respectively, to block or open the front of the moss panel. I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Figure 11 (a)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ss panel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cking part 800 as the blocking part 800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nd Figure 11 (b) shows a configuration where the moss panel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cking part 800. As the blocking portion 80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moss panel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blocking unit 8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liding mann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단부(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차단부(80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통해 이끼가 구비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 강도가 센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800 based on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unit 800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ultraviolet sensor module 610.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provided with moss can be sensed through the ultraviolet ray sensor module 610.

예컨대, 이끼의 경우, 자외선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의 경우, 이끼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비가 많이 불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이끼패널에 존재하는 이끼가 외부로 휩쓸려 이탈될 수 있다. 즉, 차단부(800)는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이끼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된다.For example, moss may be vulnerable to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when it rains heavily or is windy, the moss present on the moss panel may be swept outward and separated. That is, the blocking unit 800 is provided to block ultraviolet rays or protect mos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실시예에서, 자외선센서모듈(610)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활용하여 이끼에 전달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끼가 구비된 영역에 자외선의 세기가 강한 경우, 차단부(800)를 제1 위치로 구동하여 이끼로 전달되는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끼가 구비된 영역에 습도가 높은 경우, 차단부(800)를 제1 위치로 구동하여 이끼로 전달되는 수분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ultraviolet sensor module 610 can be used to block ultraviolet rays transmitted to the moss. For example, when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is strong in an area provided with moss, the blocking unit 800 may be driven to the first posi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transmitted to the moss. For another example, when humidity is high in an area provided with moss, the blocking unit 800 may be driven to the first position to minimize the amount of moisture transferred to the moss.

즉, 자외선의 세기가 심한 경우 또는 비바람이 거센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단부를 구동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이끼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끼가 생육하기에 보다 적정한 환경이 갖춰질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or wind and rain is strong, it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blocking unit is driven in response, thereby protecting the mos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ly,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moss to grow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200)이 방음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방음프레임(10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필터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7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800)와 이끼모듈(200a) 사이 영역에 구비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one or more moss panels 200 are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100,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includes a filter unit 700 that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nd the soundproofing frame 100. ) may include.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lter unit 700 is provided in the area between the blocking unit 800 and the moss module 200a.

필터부(700)는 외부 공기가 본체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차단(즉,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필터부(70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프리필터,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주는 헤파필터 및 잡냄새 제거에 효과적인 탈취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예를 들어, 동물의 털, 보푸라기, 머리카락, 큰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리필터는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최초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공기이동통로(130)에 전달되는 이물질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미세한 입자를 대부분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 공기 중에 있는 0.3㎛ 크기 입자를 99.97% 이상 필터링할 수 있다. 탈취 필터는 음식 냄새, 담배 냄새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필터로, 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700)의 구성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기에 균이 제거되며, 더욱 쾌적해질 수 있다.Whe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120, the filter unit 700 may function to block (i.e., filte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In an embodiment, the filter unit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filter that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 HEPA filter that filters out dust or bacteria, and a deodorizing filter that is effective in removing unpleasant odors. The pre-filter may be a filter that filters out, for example, animal fur, lint, hair, large dust, etc. This pre-filter is equipped to perform initial filtering on the incoming air, so that foreign substances transmitted to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can be minimized. The HEPA filter is a high-performance filter that can filter out most fine particles, and can filter out more than 99.97% of 0.3㎛ particles in the air. A deodorizing filter is a filter that provides comfortable air by removing odors generated in daily life, such as food odors and cigarette odors, and may include a carbon filt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700, filtering can be performed on the incoming air, thereby removing germs from the air provided to the user and making it more comfortable.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끼 녹화 방음벽(1000)은 공기이동통로(130) 내측 방향에 공기배출구(14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는 이끼패널(200)을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전에, 공기(예컨대, 정화된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부는 광을 공급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적외선(IR, Infrared Rays) 및 자외선(UV, ultraviolet)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부를 통해 공기 내 잔존하는 균에 대한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공기를 생성하는 등 공기 정화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0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outlet 14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The sterilizing unit may perform a sterilizing action on air (eg, purified air) b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oss panel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unit performs sterilization by supplying light, and may be characterized by supplying far infrared rays (IR) and ultraviolet rays (UV, ultraviolet). By sterilizing bacteria remaining in the air through the steriliz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can be maximized, such as creating more comfortable air.

다양한 실시예에서, 살균부는 플라즈마 발생 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 모듈은, 플라즈마로 생성된 2차 반응 물질 즉, 산소종에 의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즈마의 활용은 단순히 살균 자외선을 물체에 표면에 조사하여 산화에틸렌(EO gas)과 같은 살균소독제와 접속시켜 미생물의 사멸을 유도하는 살균법과는 상이할 수 있다. 플라즈마로 야기된 2차 반응성 산화제는 친환경적으로 인체나 사물에 피해가 없으며 빠르게 원하는 살균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를 활용하는 경우, 공기에 대한 살균 효율을 극대화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terilization un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plasma generation module. The plasma generation module can sterilize and disinfect microorganisms using secondary reactants generated as plasma, that is, oxygen species. For example, the use of plasma may be different from a sterilization method that induces the death of microorganisms by simply irradiating sterilizing ultraviolet rays to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connecting it with a sterilizing disinfectant such as ethylene oxide (EO gas). Secondary reactive oxidants generated by plasma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do not cause damage to humans or objects, can quickly provide the desired sterilization effect, and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Accordingly, when plasma is used,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for air can be maximized.

이러한 살균부는 공기이동통로(130) 상에 구비되어 이동하는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하되, 이끼패널(200)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끼는, 강한 자외선에 취약하므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살균부와 이끼패널(200) 사이에 별도의 자외선차단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steriliz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air movement passage 130 to perform a sterilizing action on the moving air, bu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directly affect the moss panel 200. In the embodiment, moss is vulnerable to strong ultraviolet rays, so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eparate ultraviolet ray blocking film between the moss panel 200 and the sterilizing unit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Can be represent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presented is an example of illustrative approach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design priorities.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0: 이끼 녹화 방음벽 100: 방음프레임
110: 지지대 120: 본체부
121: 복수 개의 이끼삽입홈 130: 공기이동통로
140: 공기배출구 150: 이끼승강부
151: 이끼고정막 153: 레일부
152: 레일거치부 154: 끈부
200: 이끼패널 200a: 이끼모듈
200a-1: 제1 이끼모듈 200a-2: 제2 이끼모듈
210: 결합부 211: 고정부
212: 고정홈 220: 패널고정부
300: 태양광패널 400: 환풍레이어
400a: 환풍팬 500: 수분공급부
510: 수분저장부 520: 펌핑부
530: 수분전달관 540: 수분배출관
550: 통로개폐부 560: 빗물저장부
600: 센서부 610: 자외선센서모듈
620: 습도센서모듈 700: 필터부
800: 차단부
1000: Moss green soundproof wall 100: Soundproof frame
110: support 120: main body
121: plurality of moss insertion grooves 130: air movement passage
140: Air outlet 150: Moss lifting part
151: Moss fixing film 153: Rail part
152: Rail holder 154: String part
200: Moss panel 200a: Moss module
200a-1: first moss module 200a-2: second moss module
210: coupling part 211: fixing part
212: fixing groove 220: panel fixing part
300: Solar panel 400: Ventilation layer
400a: Ventilation fan 500: Moisture supply unit
510: moisture storage unit 520: pumping unit
530: moisture transfer pipe 540: moisture discharge pipe
550: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560: Rainwater storage unit
600: Sensor unit 610: Ultraviolet sensor module
620: Humidity sensor module 700: Filter unit
800: Blocking unit

Claims (10)

지면과 맞닿아 이끼 녹화 방음벽을 지지하는 지지대,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의 높이를 조정하는 이끼승강부를 포함하는 방음프레임;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 각각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
상기 방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끼승강부는,
흡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일면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을 고정하는 이끼고정막;
상기 이끼고정막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끼고정막을 승강시키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상기 방음프레임 상에 마운트시키는 레일거치부; 및
상기 레일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풍레이어는 상기 본체부 내에서 지면과 수평되게 구비되어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며,
상기 공기배출구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방음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Soundproofing comprising a supporter that contacts the ground and supports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and a moss elevating portion that adjusts the height of one or more moss panels. frame;
One or more moss panels coupl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A solar panel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proofing frame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through light; and
It includes a ventilation layer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within the main body using electrical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solar panel and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one or more moss panels to the outside through an air outlet,
The moss lifting part,
A moss fixing film made of a sound-absorbing material and provided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where the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to secure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 rail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ss fixing film and lifting the moss fixing film through rotation;
A rail mounting portion that mounts the rail portion on the soundproofing frame; and
It includes a string part that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rail part,
The ventilation layer is provid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within the main body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moves air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to the bottom,
The air outlet is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a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formed on the sup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oundproofing frame to discharge air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환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음프레임 외측의 공기를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ntilation layer is: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comprising one or more ventilators and generating suction force to move air outside the soundproof frame to the inside of the soundproof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 각각은,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간의 조합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이끼모듈 각각에는,
다른 이끼모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이끼모듈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끼류 식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moss panels,
It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ltiple moss modul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ss modules,
A joint is form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moss modules,
Each of the moss modules is,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moss plants that purify the ai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공급부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분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연결되는 수분배출관;
상기 수분저장부와 상기 수분배출관을 연결하는 수분전달관; 및
상기 수분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수분전달관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It further includes a moisture supply unit that supplies moisture to one or more moss panels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The moisture supply unit,
A moisture storage unit that stores liquid;
A moistur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 moisture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moisture storage unit and the moisture discharge pipe; and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including a pumping unit that discharges the liquid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toward the moisture transfer pi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방음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수분을 저장하는 빗물저장부; 및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수분전달관으로 전달시키는 통로개폐부를 포함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isture supply unit,
A rainwater stora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undproofing frame to store moisture; and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including a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transfers moisture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unit to the moisture transfer pi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이끼패널의 생육 환경에 관련한 생육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공급부 및 상기 환풍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A sensor unit that acquires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moss panel; and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isture supply unit and the ventilation layer based on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하는 공간에 관련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모듈; 및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이 위치한 공간에 대응하는 자외선의 세기를 측정하는 자외선센서모듈을 포함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or unit,
A humidity sensor module that measures humidity related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and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that includes an ultraviolet sensor module that measures the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corresponding to the space where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loc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방음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된 이끼패널에 광 또는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 및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육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It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ortion that operates to block and allow light or moistur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ss panel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The control unit,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녹화 방음벽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이 상기 방음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끼패널과 상기 방음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녹화 방음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ss green soundproof wall is:
When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re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frame, a moss green soundproof wall with a carbon reduc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filter part that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one or more moss panels and the soundproofing frame.

KR1020230029673A 2023-03-07 2023-03-07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KR102587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673A KR102587349B1 (en) 2023-03-07 2023-03-07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673A KR102587349B1 (en) 2023-03-07 2023-03-07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349B1 true KR102587349B1 (en) 2023-10-12

Family

ID=8829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673A KR102587349B1 (en) 2023-03-07 2023-03-07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34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76A (en) * 2006-12-14 2008-07-03 Daikure Co Ltd Vertical greening device
JP2008289462A (en) * 2007-05-24 2008-12-04 Ryozo Takano Wall surface greening method for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allowing plant unit to go up and down
KR101352549B1 (en) * 2013-11-20 2014-01-16 (주)봉황씨원 Lawn vegetation pallet
KR20190112922A (en) 2018-03-27 2019-10-08 (주)평화엔지니어링 Air pollutant disposal system for soundproof wall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20220023508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Device for moss pla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76A (en) * 2006-12-14 2008-07-03 Daikure Co Ltd Vertical greening device
JP2008289462A (en) * 2007-05-24 2008-12-04 Ryozo Takano Wall surface greening method for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allowing plant unit to go up and down
KR101352549B1 (en) * 2013-11-20 2014-01-16 (주)봉황씨원 Lawn vegetation pallet
KR20190112922A (en) 2018-03-27 2019-10-08 (주)평화엔지니어링 Air pollutant disposal system for soundproof wall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20220023508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Device for moss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614B1 (en) A window type indoor air purifier using photosynthetic organisms
US10576418B2 (en) Module of ventil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an environment, and relevant method
KR102172150B1 (en) IoT Smart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Ease of Detachment and Clean Outdoor Induction Structure of Sterilization Unit Frames
WO2011115806A2 (en)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KR101938003B1 (en) Vegetated wall filtration apparatus and a natural air supplying heat exchange ventilation effect system using the same
KR102136364B1 (en) Air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Vegetation Filters
CN109780648A (en) A kind of air purification aeration device
CN108518772B (en) Plant air purification device and purification method
CN104566710A (en) Air purifying system as well as air purifying device and cultivation unit
CN105180291A (en) Ecological air conditioner
CN203261868U (en) Ecological greening system for house and indoor ecological greening system
KR102587349B1 (en) Moss green sound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carbon reduction
CN108534281A (en) One kind exempting from the green window water supply ventilating system of daily maintenance and method
KR102067030B1 (en) Air filter using vegetation block
WO2019041649A1 (en) Sunroom for providing oxygen-rich fresh air
KR102547440B1 (en) Schools, military units, subways, underground parking lots, plant breeding houses, livestock breeding grounds, earthworm breeding ground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drying areas, A nature-friendly and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and purifies polluted air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generated inside a building where multiple people reside, and an eco-friendly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is system
CN105465901A (en) Indoor greening and air purifying device
CN211861191U (en) Plant cultivation panel light source and plant cultivation building
KR10061086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CN209840300U (en) Be provided with little ecosystem of artificial rainforest and view and admire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70112770A (en) Fresh air supply in the residential area with enclosed garden
CN205037451U (en) Ecological air conditioner
CN105009995A (en) Lift-type plant air purifier
KR102602933B1 (en) A three-dimensional smart planter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
KR102602932B1 (en) Fine dust reduction type air purification plant cultiv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