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908B1 -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 Google Patents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908B1
KR102586908B1 KR1020220184685A KR20220184685A KR102586908B1 KR 102586908 B1 KR102586908 B1 KR 102586908B1 KR 1020220184685 A KR1020220184685 A KR 1020220184685A KR 20220184685 A KR20220184685 A KR 20220184685A KR 102586908 B1 KR102586908 B1 KR 10258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cking
release
fastened
dis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호
신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8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45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itical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을 진행하기 위한 받침판과 지지대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가 구비되는 피체결장치가 내장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눌림에 의해 원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며, 눌림이 해제될 때 하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체결 해제장치;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 및/또는 이동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및/또는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체결영역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체결장치; 및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며, 눌림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ncluding release device and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을 진행하기 위한 받침판과 지지대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다양한 종류의 심폐소생술(CPR)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 중 하나가 압축 공기 또는 호흡 기체(스웨덴, 룬드, Jolife AB; LucasTM)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심폐소생장치의 독특한 이점으로, 중량이 적어 운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압축 공기의 탄성적 성질인데, 이에 의해, 기체 구동식 심폐소생장치가 강성 압박 수단이 구비된 장치보다 환자의 흉부에 손상을 덜 야기시킨다. 공지된 장치는 구명 상황에서 응급용 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장치에는, 환자가 입원할 때 심폐소생술의 무중단 타격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병원용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구동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심정지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의 생소함과 갈비뼈 손상에 대한 부담감 및 환자마다 흉부높이가 일정하지 못하므로, 압박깊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심폐소생장치는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였으며, 받침판로부터 흉부압박 컴포넌트 및 기도확보 컴포넌트의 탈부착이 불가능함에 따라, 받침판가 배치(또는 설치)된 장소에서만 심폐 소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선행문헌과 다른 심폐소생술용 장치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9,107,800호(발명의 명칭: 심폐소생술용 지지구조용 전면부)과 미국 등록특허 제10,292,901호(발명의 명칭: 심폐 기능 소생을 관리하기 위한 지지 구조)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은 지지대의 체결부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제공하는 사용자도 모르게 닫혀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체결부의 닫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체결부와 백플레이트의 체결을 시도하는 경우 체결에 실패하여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은 사용자가 환자의 심폐소생 과정동안 체결부를 조작할 때 원치 않는 상황에서 체결부가 백플레이트로부터 체결해제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 환자의 심폐소생 과정이 번거로워져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9,107,800호(2015.08.18 등록) 미국 등록특허 제10,292,901호(2019.05.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심폐소생 수행이 가능한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과 지지대가 체결되는 경우, 지지대의 체결장치에 구비된 체결부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구비된 클램프와 체결 가능한 상태로 항상 유지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동작없이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단순히 삽입되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구비된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대의 체결장치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대에 구비된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를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시킬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에 구비된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통해 체결 해제장치의 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가 구비되는 피체결장치가 내장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눌림에 의해 원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며, 눌림이 해제될 때 하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체결 해제장치;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 및/또는 이동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및/또는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체결영역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체결장치; 및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며, 눌림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는 공간적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폐소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 및 체결해제가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 및 체결해제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이 가능하여, 응급상황에서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에 의한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피체결장치와 받침판의 체결장치가 체결될 때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며, 사용자가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지 여부를 즉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통해 체결 해제장치의 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환자의 심폐소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 구비된 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저장 유닛 및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적인(symmetric)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알림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와 피체결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눌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구비된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상하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초기상태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동작 불가능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동작 가능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캡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A-A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B-B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심폐소생술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흉부 압박을 위한 받침판(100), 지지대(200), 후드(3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00)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후드(300)를 지지하기 위한 형태가 아치형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대(200)는 받침판(1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받침판(100)으로부터 탈부착될 때 후드(300)와 함께 별도의 심폐소생술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드(300)는 지지대(20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치형인 지지대(200)의 중심부(Arch Crown)에 결합되고,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과, 상기 피스톤(310)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3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후드(300)는 제어 유닛(320)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환자의 흉부와 이격된 상태이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 후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흉부를 이완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10)은 제어 유닛(320)을 통해 설정되는 흉부 압박 모드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연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30번의 환자 흉부 압박 후 2번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되어 환자에게 흉부 압박 기반의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피스톤(310)의 동작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버튼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구체적인 일 예로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피스톤(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CPR)을 실행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모드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depth)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깊이 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속도(횟수)를 설정하는 압박속도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설정 초기화 및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self test)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심폐소생술장치가 온 상태일 때 다시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초기화 및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연속모드이면,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이 반복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와 달리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 30:2 모드이면 환자의 흉부가 30회 압박된 후에 2회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의 깊이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 cm, 그 후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5 cm, 다시 신호가 입력된 환자의 흉부가 4 cm,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4.5 cm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분당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횟수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자의 흉부가 분당 110회,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분당 120회,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분당 100회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 구비된 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300)는 심전도 측정 유닛(330),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 전기충격 유닛(350) 및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구성요소는 외부에 노출되거나 상기 후드(3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 및 제어 유닛(32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증폭시키고,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에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에 송신한다.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환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후드(300)의 일측에 구비되되, 환자에게 부착 가능한 전극 또는 패드로 이루어짐으로써, 받침판(100)에 등을 지지하는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전극 또는 패드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은 통상적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은 상기 후드(300)에 내장되고, 심전도 측정 유닛(330)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함께 동작되도록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은 심전도 측정 유닛(3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면, 디지털 신호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인지 판단하고,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충격 신호를 생성하며, 전기충격 유닛(350)이 동작될 때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에 전기충격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은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과 연결되고,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로부터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로부터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하면 한 쌍의 제1 전극(351)과 한 쌍의 제2 전극(352)에서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하여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 예로는 한 쌍의 제1 전극(351)은 환자의 오른쪽 빗장뼈 아래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전극(352)은 환자의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드(300)의 구성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판(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은 환자의 흉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며, 흉부 임피던스의 측정 방식을 한정하지 아니하나 구체적인 일 예에서는 고전압 에너지의 방출 뿐만 아니라, 전류의 출력이 가능한 전류 출력용 전극인 한 쌍의 제1 전극(351)과 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압 검출용 전극인 한 쌍의 제2 전극(352)을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을 연속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에서 측정된 환자의 흉부 임피던스 범위 내에서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이 환자에게 적합하게 부착됐는지 여부를 계산하며, 환자의 흉부 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환자의 흉부 이완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b)을 이용하여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 유닛(400)은 제1 저장 유닛(410)과 제2 저장 유닛(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저장 유닛(410, 420)에 저장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저장 유닛 및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저장 유닛(41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정보(411),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정보(412),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을 완료한 후에 복귀하게 될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정보(413)가 기저장된다.
상기 제2 저장 유닛(420)은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이 측정한 환자의 흉부 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그 평균값, 환자의 흉부 이완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b)과 그 평균값,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는 압박 시간정보(422),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이완시키는 이완 시간정보(423)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 유닛(400)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장 유닛(410)과 제 저장 유닛(420)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저장 유닛(410)과 제2 저장 유닛(420)은 하나의 저장 유닛으로 마련되어 각 정보가 저장 또는 기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압박 시간정보와 이완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며, 각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기반으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을 통해 연속 측정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각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과 상기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 중 일정 개수의 흉부 임피던스 값의 각 평균값과 차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계산한 흉부 임피던스의 평균값과 차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절대값 이상의 값인 경우,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되었던 변동이 발생하기 전의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제외하고, 상기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의 제외 후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을 통해 측정되는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으로 대체하고, 상기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을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흉부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흉부이완시 흉부임피던스 값(421b)을 각각 구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각각의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이용하여, 만약 전기 충격을 가하는 시점에 흉부 압박이 이루어지면, 흉부 압박시 임피던스 평균값에 해당하는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만약 전기 충격을 가하는 시점에 흉부 이완이 이루어지면, 흉부 이완시 임피던스 평균값에 해당하는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전기충격파형 프로파일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320)에 성생하는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도 5와 이하의 [표 1]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임피던스 첫번째
위상구간
(ms)
두번째
위상구간
(ms)
피크전류(A) 방전에너지(J) 에너지정확성(J)
25 2.4 2.4 70.5 201 200(±15%)
50 4.4 4.4 35.6 200.7 200(±15%)
75 6.5 6.5 25 203 200(±15%)
100 8.8 8.8 18.9 204 200(±15%)
125 10.7 10.7 15.09 202.6 200(±15%)
150 12.7 12.7 12.81 203.8 200(±15%)
175 14.8 14.8 11.15 204.7 200(±15%)
25 2.4 2.4 64.5 147.8 150(±15%)
50 4.4 4.4 32.7 149.7 150(±15%)
75 6.3 6.3 22.5 151.5 150(±15%)
100 8.8 8.8 15.9 148.1 150(±15%)
125 10.7 10.7 13.0 149 150(±15%)
150 12.7 12.7 11.0 148.2 150(±15%)
175 15.0 15.0 9.5 148.8 150(±15%)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은 양의 파형과 음의 파형을 포함하며,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때, 가해지는 전류 값과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는 환자의 흉부 이완 또는 수축시 측정된 임피던스 평균 값에 따라서 제공되는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피크전류(A) 및 이들을 통해 산출되는 방전에너지(J)을 나타내고 있다.상기 [표 1]에서 방전에너지(J)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전에너지로서 바람직하게는 200J을 성인 환자에게, 150J을 소아 환자에게 가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은 x축을 지속시간(ms), y축을 전류(A)로 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적인(symmetric)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대칭적인(asymmetric)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제 실시할 때, 상기 [표 1]에 나타난 각각의 임피던스 값에 따른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시간의 지속시간(ms), 피크 전류(A)값은 상기 제어 유닛(320)에 미리 지정된 값으로 흉부의 압박 및 이완시 측정된 임피던스 평균 값에 대응되는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시간의 지속시간(ms), 피크 전류(A)값으로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 프로파일에 따라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게된다.
도 5에서 a는 첫 번째 위상구간 이전의 전류 값, b는 첫 번째 위상구간과 두 번째 위상구간 사이의 전류값, c는 두 번째 위상구간 이후의 전류값으로 a와 b와 c값은 모두 같을 수 있다. 또한, α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 전류가 낮아지는 동안 줄어들게된 감소량이고, 마찬가지로 β는 두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전류가 낮아져 줄어들게 된 감소량이며, α와 β값은 서로 같은 값일 수 있다. 또한, A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의 지속시간, B는 두 번째 위상구간에서의 지속시간으로 A와 B값은 같을 수 있다. 또한, ①은 첫 번째 위상구간이 끝나기 직전 전류 값과 두 번째 위상구간이 시작하기 직전 전류값의 차이 값이며, ②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 전류의 절대값이며, ①과 α의 합은 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 과정에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5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500)는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500)는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를 통해 피스톤(310)의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 유닛(320)에 송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전에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이 분석되기 전에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피스톤(310)의 하단을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며, 피스톤(310)의 하단이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 이동되면 실시간으로 수신한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와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피스톤(310)의 하단이 상기 흉부압박 시작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기 전의 대기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에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부터 복수의 버튼에 의한 흉부 압박 모드,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의 설정에 맞게 환자의 흉부가 압박 및 이완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 및 이완하기 전에,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깊이만큼 피스톤(310)이 하강될 때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310)의 하단과 환자의 흉부 간의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예: 0~2 cm)을 고려한다. 즉,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는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 압박을 위해 배치되어야 할 피스톤(310)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최적화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서 일정 주기(예: 흉부 압박 모드,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 설정 완료 후 2분 30초)마다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일정 주기마다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하는 것은 환자의 흉부 압박과 이완을 통해 흉부가 함몰되거나 환자가 받침판(100)에 등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움직여져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피스톤(3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로부터 사용되는 전기적 정보(예: 전력)와 현재 피스톤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변화가 감지될 때,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정보, 모터의 회전수 및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는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일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로부터 사용되는 전기적 정보를 감지하며, 전기적 정보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의 구동 회로에 구비되어 피스톤(310) 하단의 위치를 파악한 후 실시간으로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제1 감지센서(520)로부터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 위치값을 수신하여 피스톤(310)의 현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에 캡(700)을 결합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제어유닛(320)이 환자의 흉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하우징(710)의 사전 입력된 폭의 값을 고려하여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센서(520)가 피스톤 하단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모터의 회전을 통하여 피스톤(310)이 하강할 때에, 허공을 내려오는 중에는 모터의 전력 소모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허공을 내려오는 중 모터의 전력 소모량이 일정하다가 피스톤 하단이 환자의 흉부 표면에 닿는 순간부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모량을 감지하여, 전력 소모량이 증가되는 순간을 환자의 흉부 표면으로 인식하고, 이 때 피스톤 하단의 위치값을 파악하여 상기 제어 유닛(32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일정주기마다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 표면과 접촉될 때 전기적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 여부를 감지하고,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 여부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센서(530)는 모터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수와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감지한 후 피스톤(310)의 이동거리 정보를 생성하며,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한다.
상기 센서(500)는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가 구비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는 하나의 감지센서로 마련되어 전기적 정보, 모터의 회전수 및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의 진행을 위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알림 유닛(6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알림 유닛(600)은 제1 알림 유닛(610) 및 제2 알림 유닛(6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알림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될 때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메시지와 갱신되기 전의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을 알리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이 특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제3 메시지를 출력하는데, 상기 제3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기준인 특정된 임계값은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cm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일 실시예에서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이 1 cm 이상인 경우에 제3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될 때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예: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 및 흉부 압박 횟수(예: 분당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위한 제4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환자를 응급처치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용자는 제4 메시지를 제공받은 후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유닛(320)의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압박횟수 설정 버튼에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압박횟수 설정 버튼을 통해 흉부 압박 깊이와 흉부 압박 횟수가 선택될 때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제1 감지센서(520)로부터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이 감지될 경우, 환자의 흉부 형상이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5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는 청각적 표시장치인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2, 3, 4, 5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음성으로 출력될 때 LED 전광판 또는 LED 점멸등으로 구현되는 LED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시각적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림 유닛(620)은 제어 유닛(320)이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각 흉부 임피던스 평균 값을 이용하여 현재시점에 계산된 흉부 임피던스 값과 차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절대값 이상의 값인 경우에 음성과 시각적 표현을 포함한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심폐소생술장치는 후드(300)와 결합된 지지대(200)가 탈부착을 통해 받침판(100)으로부터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대(200)에 결합된 후드(300)에 구비되는 피스톤(310)의 수축 및 확장을 통해 공간의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하다.
상기 후드(300)는 지지대(200)가 받침판(100)으로부터 체결해제된 후에도 피스톤(3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환자의 심폐소생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가 내장된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후드(300)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판(100)에도 상기 후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지지대(200)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는 상기 후드(300)가 상기 받침판(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자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지지대(200)가 분리되면 상기 후드(300)가 내장된 배터리의 전자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심폐소생술장치가 공간의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100) 및 지지대(200)의 일례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실시예
이하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받침판(100)과 지지대(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판(100)은 지지대(200)와 체결 및 체결해제되기 위한 피체결장치(130)가 구비되며, 상기 피체결장치(130)는 프레임(131), 클램프(132), 체결 해제부재(133) 및 제1 탄성부재(134)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31)은 체결장치(230)의 본체(230a)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본체(230a)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31)은 삽입구에 삽입된 본체(230a)가 좌우방향(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132)는 프레임(131)의 일측벽으로부터 삽입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에 삽입될 때, 피체결장치(130)와 상기 체결장치(230)의 체결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 해제부재(133)는 프레임(131)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때 본체(230a)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지되,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장치(230)가 상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 해제부재(133)는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34)가 내장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는 본체(230a)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질 때 압축되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으로부터 이탈될 때 압축 상태로부터 확장되어 체결 해제부재(133)를 누르는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 및 체결해제되기 위한 체결장치(23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장치(230)가 상기 피체결장치(130)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해제장치(21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지지대(200)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손잡이 홈(215)에 내장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홈(215)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를 수 있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누르게 되는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눌러져 제3 탄성부재(213)의 탄성력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손잡이 부분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상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가 시작될 때부터 체결해제가 완료될 때 까지 눌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질 때만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된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것을 통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지 않을 때에도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본체(230a)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체결부(231), 연결부재(232), 회전축(233) 및 제2 탄성부재(23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30a)는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때를 기준으로, 피스톤(310)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체결부(231)가 구비되며, 연결부재(232), 회전축(233) 및 제2 탄성부재(234)가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231)는 원위치일 때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개구 형태의 체결영역(231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전에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는 경우, 연결부재(232)가 윈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됨과 함께 상부가 결합된 회전축(233)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본체(230a)의 내측부는 심폐소생술장치에서 심폐소생을 받는 환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부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231)는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이 완료된 후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됨과 함께 상기 회전축(233)을 통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도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지 않는동안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경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됨과 함께 회전축(233)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부재(232)가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게 되고,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a)에 삽입되어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됨과 함께 회전축(233)을 통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됨을 통해 체결장치(230)를 피체결장치(13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2)는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며, 일단은 연결수단(212)을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부(231)의 하부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32)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질 때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도록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며,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측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231)가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해지도록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2)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지 않아도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며,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a)에 삽입될 때 상측이동된 상태에서 하측이동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는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2)의 일부는 수축 및 이완을 위해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형태(예: 산과 골이 반복되는 사인파형)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232)의 일부는 연결부재(232)가 원위치일 때 수축된 상태이며, 상측 이동될 때 이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장치(230)는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축/확장제한부(2320)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축/확장제한부(2320)는 제1 유동공간(2321a)과 제2 유동공간(2321b)이 형성된 수축/확장제한 플레이트(2321)가 구비된다.
상기 수축/확장제한부(2320)는 수축/확장제한 플레이트(2321)의 제1 유동공간(2321a)을 관통하면서 연결부재(232)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1 걸림돌기(2322)와, 제2 유동공간(2321b)을 관통하면서 연결부재(232)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2 걸림돌기(2323)가 구비된다.
상기 수축/확장제한부(2320)는 제1 걸림돌기(2322)가 제1 유동공간(2321a) 내에서만 유동되며, 제2 걸림돌기(2323)가 제2 유동공간(2321b) 내에서만 유동되는 것을 통해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3)은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체결부(231)의 상부와 결합되고, 연결부재(232)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2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체결부(23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와 결합되고, 연결부재(232)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어 체결부(231)의 하부가 외측부를 향하게 될 때 압축되며,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체결부(231)가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이완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탄성력을 통해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통해 상기 체결부(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체결 해제장치(210)를 이용하여 체결장치(230)를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의 체결 해제 상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특징은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으며,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받침판(100)과 지지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는 회전축(233)의 구성이 생략되며, 연결부재(233)는 제1 연결부재(232a)와 제2 연결부재(232b)로 구분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일단이 연결수단(212)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1 연결축(2325)을 통해 제2 연결부재(232b)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축/확장제한부(2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수축/확장제한부(2320)가 구비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을 관통하는 제1 연결축(2325)을 통해 제1 연결부재(232a)와 연결되며, 타단이 체결부(231)와 연결된다.
상기 체결부(23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체결영역(231a)과 다른 형태의 체결영역(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은 제1 연결부재(232a)의 타단에 구비되며, 관통하는 제1 연결축(2325)이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눌러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과정 중 체결 해제장치(210)을 눌러 체결해제 되는 과정은 도 20 내지 도 22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체결 해제장치(210)을 눌러 체결되는 과정은 도 20 내지 도 22의 역순으로, 즉 도 22 내지 도 20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눌러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과정 중에는 상기 제1 연결축(2325)이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위치하는 초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생략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대향되는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장치의 체결 방법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간의 체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하에서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와 피체결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받침판(100)의 피체결장치(130)와 지지대(200)의 체결장치(230)가 분리될 때, 상기 체결장치(230)의 체결영역(231b)에는 상기 피체결장치(130)에 구비된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미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체결장치(230)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해 본체(230a)가 사용자에 의해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장치(230)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되기 전에, 체결 해제장치(210)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눌림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생략되는 경우, 제1 연결축(2325)은 도 15의 (b) 및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상태에서, 체결이 진행되는 과정 중(도 17)에 이동홈의 타측으로 배치(도 18)되었다가, 체결이 완료됨에 따라 다시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도 19)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생략됨에 따라 체결과정동안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는 경우, 제1 연결부재(232a)는 상측이동되면서 타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상측이동 및 회전되며, 제2 연결부재(232b)는 연결축(225)이 관통된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생략된 경우를 기준으로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간의 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위해, 체결부(231)의 하부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경우, 제1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232b)는 제1 연결축(2325)이 관통된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8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기 전까지, 체결부(231)가 제2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기 전 상태인 경우, 제1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이 보다 더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도록 제2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될 때 피체결장치(130)와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이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와 대향되는 외측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재(232a)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4의 제1 연결부재(232a)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내지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생략되어 체결될 때, 도 12의 제1 연결부재(232a)의 경우 체결과정 중 제1 연결부재(232a)가 수축 및 확장과정을 거치고, 도 14의 제1 연결부재(232a)의 경우 체결과정 중 제1 연결축(2325)이 이동홈(232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후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13의 제1 연결부재(232a)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체결 해제장치(21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체결장치의 체결해제 방법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실시예의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장치(230)의 체결해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하에서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눌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된 후,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제1 연결부재(232a)가 윈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면서 타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제2 연결부재(232b)의 일단이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231)는 제2 연결부재(232b)의 회전에 따라 체결영역(231b)에 삽입된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231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제1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는동안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으로부터 이탈된 후, 피체결장치(130)가 체결 해제부재(133)에 내장된 제1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으로 체결부(231)를 밀어내는 것을 통해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분리가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분리된 후에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측이동된 제1 연결부재(232a)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본체(2320a)의 내측부에 배치된 타단이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본체(2320a)의 내측부에 배치된 제2 연결부재(232b)가 상기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231)는 제2 연결부재(232b)의 회전에 따라 본체(230a)의 내측부와 접촉되도록 회전된 후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해제되어도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대의 구성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가 내장되는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200)의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지지대(200)는 체결 해제장치(210)를 동작시키기 위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구비된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상하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200)는 체결 해제장치(210) 및 체결장치(230)가 내장되도록 내측 지지대(200a)와 외측 지지대(200b)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 지지대(200a)와 외측 지지대(200b)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 및 체결장치(230)를 비롯한 지지대(200)의 구성요소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대(200a)는 외측 지지대(200b)의 돌출부(미도시)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구(201)와, 사용자가 지지대(2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홈(215)을 관통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는 인입구(202)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구(202)는 손잡이 홈(215)을 관통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도록 외측 지지대(200b)와 마주보는 일측은 개방되되, 이와 대향되는 타측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관통하는 것이 불가능한 폐쇄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외측 지지대(200b)는 내측 지지대(200a)와 마주보는 일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내측 지지대(200a)와 결합될 때 돌출부 삽입구(201)에 삽입되는 돌출부 뿐만 아니라, 손잡이 홈(215) 및 체결 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거나 상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될 때 프레임(131)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23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체결 해제장치(210), 체결해제 잠금장치(211). 연결수단(212), 제3 탄성부재(213),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 한 쌍의 레일(216), 상측이동 제한부(217), 하측이동 제한부(218) 및 걸림부(219)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본체 플레이트(210a), 손잡이(210b), 관통구(210c) 및 브래킷(210d)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쌍의 레일(216)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는 관통구(210c)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손잡이(210b)가 상기 관통구(210c)의 둘레에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고, 연결수단(212)과 연결되기 위한 브래킷(210d)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10b)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와 접촉하게 될 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하측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210b)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하측이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체결 해제장치(210)를 상측이동시키기 위해 눌러지는 부분(또는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10b)는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임에 따라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와 접촉될 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와의 접촉을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관통구(210c)는 손잡이 홈(215)을 관통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 지지대(200a)에 형성된 인입구(202)에 인입되도록 본체 플레이트(210a)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10d)은 제1 연결부재(232a)의 일단과 연결수단(212)을 관통하는 제2 연결축(2326)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구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212)이 본체 플레이트(210a)상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사용자가 피체결장치(130)와 체결장치(230)의 체결해제를 원치 않는 상황에서 손가락을 손잡이 홈(215)에 넣어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게 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130)와 체결장치(230)가 체결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본체 플레이트(210a)의 일면에 배치되어 잠금 상태일 때 손잡이(210b)의 상부와 접촉되며, 이를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잠금 상태라 함은 일측에 구비된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잠금 상태에서 손잡이(210b)와 접촉되지 않고 손잡이 홈(215)을 통해 노출되는 일부가 문턱치 이상 눌러져 손잡이(210b)와 이격되도록 회전될 때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잠금 해제 상태라 함은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회전에 따라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잠금 해제 상태일 때, 체결 해제장치(210)는 상측이동 제한이 해제되어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원위치라 함은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가 하측이동 제한부(218)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하측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에 의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초기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일부가 문턱치 이상의 눌림이 해제될 때 이완된 상태에서 수축되는 제3 탄성부재(213)의 탄성력에 의해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는 잠금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212)은 제2 연결축(2326)이 관통될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축(2326)이 브래킷(210d)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통해 본체 플레이트(210a)와 체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와 제1 연결부재(232a)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기 연결수단(212)은 상측이동된 체결 해제장치(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가진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와 결합된다.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상태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일 때 수축되며,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문턱치 이상 눌러짐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통해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된 후에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손잡이(210b)의 눌림을 통해 상측이동되는동안 점차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눌림이 해제되어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손잡이(210b)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되는동안 점차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상태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기 위해 본체 플레이트(210a)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상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연결수단(212)과의 결합을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의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원위치에 배치될 때 수축되며,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는동안 점차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눌림이 해제되어 하측이동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는동안 점차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15)은 사용자가 지지대(200)를 파지하기 위해 손가락을 내측 지지대(200a)에 형성된 인입구(202)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외측 지지대(200b)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 홈(21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이 가능한 손잡이(210b)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216)은 본체 플레이트(210a)를 상측 또는 하측이동시키기 위해 내측 지지대(200a)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본체 플레이트(210a)가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측이동되며, 이와 달리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가 상기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하측이동될 수 있다.
상측이동 제한부(217)는 본체 플레이트(210a)의 상부와 접촉되기 위해 내측 지지대(200a)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의 상부와 접촉되는 것을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체결잠금 해제장치(211)가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된 후, 손잡이(210b)의 누름을 통해 본체 플레이트(210a)의 상부가 상측이동 제한부(217)와 접촉할 때,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하측이동 제한부(218)는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와 접촉되기 위해 내측 지지대(200a)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통해 체결 해제장치(210)의 하측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원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가 하측이동 제한부(218)에 의해 지지될 때 원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하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9)는 피걸림부(211a)의 걸림이 발생하도록 내측 지지대(200a)에 구비되며, 상기 피걸림부(211a)의 걸림이 발생할 때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219)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눌려 회전되는 것을 통해 피걸림부(211a)의 걸림이 해제될 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체결 해제장치와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동작 방법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와 체결장치(21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기 위한 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체결 해제장치(210)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동작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초기상태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해 걸림이 발생될 때 초기상태일 수 있다. 즉,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초기상태라 함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잠금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임에 따라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에 의해 상측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가 하측이동 제한부(218)에 지지되어 하측이동이 제한될 때 원위치에 배치될 때 초기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초기상태일 때, 체결된 상태의 피체결장치(130)와 체결장치(230)를 체결해제하기 위해, 손잡이(210b)가 눌러지더라도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에 의해 원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 해제장치(210)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임에 따라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해 걸림이 발생되어 체결해제 제한되는 경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되는 과정인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초기상태일 때,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기 위해,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도록 제2 연결부재(232a)가 회전되더라도 원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동작 불가능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즉,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잠금 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체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지 않게 눌러져 회전되나 문턱치 이상 눌러지지 않아,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한 걸림이 유지됨으로써,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눌림을 통해 회전됨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수축 상태로부터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12)은 체결 해제장치(210)가 상측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수단(212)과 결합된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수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문턱치 이상 눌러지는지 여부는 가상선(2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240)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문턱치 이상 눌러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가상의 선이며,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림부(211a)의 현위치를 A, B, C, D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의 피걸림부(211a)가 가상선(240)의 B 영역 또는 C 영역에 배치될 때 잠금 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와 반대로 피걸림부(211a)가 가상선(240)의 A 영역이나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영역에 배치될 때는 상측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동작 가능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즉, 체결 해제장치(210)의 잠금 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 해제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문턱치 이상으로 눌러져 피걸림부(211a)가 가상선(240)의 C 영역에 위치되어 도 26에 도시된 것보다 더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걸림부(211a)가 걸림부(219)에 의한 걸림이 해제될 때 상측이동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탄성부재(213)는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도 26에 도시된 것보다 더 회전됨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이완 상태로부터 더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12)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 제한이 해제되었으나, 손잡이(210b)가 눌러지기 전이므로 위치가 고정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수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피걸림부(211a)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19)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는동안 손잡이(210b)가 눌러질 때 본체 플레이트(210a)가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상측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는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상측이동됨에 따라 하부가 하측이동 제한부(218)로부터 이격되며, 손잡이(210b)의 눌림이 지속되면 상부가 상측이동 제한부(217)와 접촉될 때까지 상기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상측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212)은 본체 플레이트(210a)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일단에 형성된 연결축 이동홈(미도시)을 관통하는 제2 연결축(2326)을 통해 연결수단(212)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212)이 상측이동됨에 따라 상측이동 및 회전되며, 제2 연결부재(232b)는 상기 제1 연결부재(232a)의 상측이동 및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1)는 본체 플레이트(210a)와 함께 상측이동될 때, 피걸림부(211a)가 가상선(240)의 C 영역에서 B 영역으로 상측이동될 수 있다.
상기 체결장치(230)는 제1 연결부재(232a)의 상측이동 및 회전과 제2 연결부재(232b)의 회전에 따라, 체결부(231)가 체결영역(231b)으로부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이탈되도록 회전될 때,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손잡이(210b)의 눌림이 해제될 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210a)의 하부가 하측이동 제한부(218)에 지지되는 원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본체 플레이트(210a)가 한 쌍의 레일(216)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0)는 본체 플레이트(210a)의 일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측이동된 본체 플레이트(210a)가 하측이동될 때 함께 하측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210)는 본체 플레이트(210a)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동안 상측이동된 피걸림부(211a)가 가상선(240)의 B 영역에서 C 영역 그리고 C 영역에서 D 영역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걸림부(219)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여 체결 해제장치(210)의 상측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부재(213)와 한 쌍의 제4 탄성부재(214)는 이완된 상태에서 체결 해제장치(210)와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잠금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각각 수축될 수 있다.
캡의 구성
한편,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에 부착될 캡(700)은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단단한 재질의 상기 피스톤(310)과 경도가 다른 부재로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캡(7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캡의 사시도이며, 도 30은 도 29의 A-A 단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B-B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제1 부재(710) 및 제2 부재(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재(710)는 피스톤(310)과 캡(700)이 끼움결합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를 향해 확장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71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와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환자의 흉부 모양에 순응하는 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710) 중 생체 적합성 실리콘은 10 내지 30 Shore A 경도, 그 외 소재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ker C 경도는 정해진 형태의 압침을 스프링의 힘으로 시료의 표면에 난입 변형을 주고 시료의 저항력과 스프링의 힘이 벨런스한 상태로의 압침의 시료에 압입된 깊이를 바탕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Asker 경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작은 다이아몬드를 끝 부분에 고정시킨 낙하 물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반발하여 올라온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부재(71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711)을 통해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우징(711)에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와 안착부(7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711)은 일체 형성된 내부 하우징(711a) 및 외부 하우징(71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하부면에 압력이 전달되면, 사이 공간(A)의 공기 유동을 통해 부피 변화가 발생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의 상측과 바닥부(723)의 사이 공간(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확장되는 피스톤(310)에 의해 공기유동구(712)를 따라 공기가 외부로 유동될 때 부피가 줄어들 수 있고, 이와 달리 환자의 흉부 압박이 종료된 후 환자의 흉부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공기유동구(7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따라 부피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며 피스톤(310)의 확장에 따라 사이 공간(A)으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중심부에 구비된 안착부(713)가 바닥부(723)의 하부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되고,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711)은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의 경계 부분에 후술될 돌출부재(7230)의 끼움결합이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구(71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 삽입구(7110)는 돌출부재(7230)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원의 형태로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의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은 돌출부재 삽입구(7110)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 부재(710)과 제2 부재(72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내부 하우징(711a)과 바닥부(723)의 사이에 사이 공간(A)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하우징(711)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때 환자의 흉부에 순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되는 내부 하우징(711a)의 하부면은 적용 가능한 소재 중 환자의 흉부에 순응이 용이한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응급치료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711)은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로부터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어 안착부(713)가 제2 부재(720)의 바닥부(723)의 하부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사이 공간(A)이 음압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711)은 공기 유동에 따른 사이 공간(A)의 부피 변화가 가능하도록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이 자바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720)는 피스톤(310)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1 부재(7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부재(72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하나와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부재(710)와 소재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720)는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의 경우 40 내지 60 Shore A 경도를, 그 외 소재의 경우 25 내지 30 Asker C 경도를 가짐으로써, 제1 부재(710)와 경도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재(72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721), 피스톤 끼움부(722) 및 바닥부(723)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721)은 제2 부재(720)의 외형을 이루며, 피스톤 끼움부(722) 및 바닥부(723)와 일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제2 하우징(721)과 일체 형성되며, 피스톤(310)이 상기 제2 부재(720)의 상부상에서 끼움결합되도록 피스톤 끼움구(72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피스톤(310)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인입 가능한 피스톤 끼움구(722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721)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상태로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제1 피스톤 끼움부(722a), 제2 피스톤 끼움부(722b), 제3 피스톤 끼움부(722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22d)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제1 피스톤 끼움부(722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22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22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22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724a, 724b)에는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22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310)은 바닥부(723)에 하단부가 접촉되면서 체결부재가 한 쌍의 홈(724a, 724b)에 인입되는 것을 통해 캡(700)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피스톤(310)의 체결부재와 홈(724a, 724b)의 결합 및 결합 해제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310)의 체결부재가 한 쌍의 홈(724a, 724b)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부가 제2 하우징(721)의 외측으로 확장(또는 유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하우징(721)과의 사이 공간에는 확장공간(7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723)는 제2 부재(720)의 하부면으로서 제2 하우징(721)과 일체 형성되며,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220)에 끼움결합될 때 상부면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723)는 돌출부재(7230)이 하부면에 마련되어 돌출부재 삽입구(7110)에 끼움결합되며, 이를 통해 제1 부재(710)와 제2 부재(720)의 끼움결합이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재(7230)는 돌출부재 삽입구(7110)에 끼움결합되도록 바닥부(723)의 하부면으로부터 원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받침판, 130: 피체결장치,
131: 프레임, 132: 클램프,
133: 체결 해제부재, 134: 제1 탄성부재,
200: 지지대, 200a: 내측 지지대,
200b: 외측 지지대, 201: 돌출부 삽입구,
202: 인입구, 210: 체결 해제장치,
210a: 본체 플레이트, 210b: 손잡이,
210c: 관통구, 210d: 브래킷,
211: 체결해제 잠금장치, 211a: 피걸림부,
212: 연결수단, 213: 제3 탄성부재,
214: 제4 탄성부재, 215: 손잡이 홈,
216: 레일, 217: 상측이동 제한부,
218: 하측이동 제한부, 219: 걸림부,
230: 체결장치, 230a: 본체,
231: 체결부, 231a, 231b: 체결영역,
232: 연결부재, 232a: 제1 연결부재,
232b: 제2 연결부재, 233: 회전축,
234: 제2 탄성부재, 235: 슬라이딩부재,
2320: 수축/확장제한부, 2321: 수축/확장제한 플레이트,
2321a: 제1 유동공간, 2321b: 제2 유동공간,
2322: 제1 걸림돌기, 2323: 제2 걸림돌기,
2324: 연결축 이동홈, 2325: 제1 연결축,
2326: 제2 연결축, 240: 가상선,
300: 후드, 310: 피스톤,
320: 제어 유닛, 330: 심전도 측정 유닛,
340: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 350: 전기충격 유닛,
351: 한 쌍의 제1 전극, 352: 한 쌍의 제2 전극,
360: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 400: 저장 유닛,
410: 제1 저장 유닛, 411: 시작 시간정보,
412: 종료 시간정보, 413: 흉부압박 시작 위치 정보,
420: 제2 저장 유닛, 421: 흉부 임피던스 값,
422: 압박 시간정보, 423: 이완 시간정보,
500: 센서, 520: 제1 감지센서,
530: 제2 감지센서, 600: 알림 유닛,
610: 제1 알림 유닛, 620: 제2 알림 유닛,
700: 캡, 710: 제1 부재,
711: 제1 하우징, 711a: 내부 하우징,
711b: 외부 하우징, 712: 공기유동구,
713: 안착부, 720: 제2 부재,
721: 제2 하우징, 722: 피스톤 끼움부,
722a: 제1 피스톤 끼움부, 722b: 제2 피스톤 끼움부,
722b: 제3 피스톤 끼움부, 722d: 제4 피스톤 끼움부,
723: 바닥부, 724a, 724b: 홈,
7110: 돌출부재 삽입구, 7220: 피스톤 끼움구,
7221: 확장공간, 7230: 돌출부재,
A: 사이 공간.

Claims (15)

  1.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와 삽입구가 형성된 프레임이 구비되는 피체결장치가 내장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눌림에 의해 원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며, 눌림이 해제될 때 하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체결 해제장치;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 및/또는 이동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및/또는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체결영역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체결장치; 및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며, 눌림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측이동 제한부;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하측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하측이동 제한부;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
    상기 체결 해제장치와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눌림을 위해 상기 체결 해제장치와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손잡이 홈;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일 때 이완되며,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될 때 수축되도록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제3 탄성부재;
    상기 체결 해제장치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 해제장치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해제장치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이완되거나 상측이동된 체결 해제장치가 하측이동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수축되는 한 쌍의 제4 탄성부재; 및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상기 상측이동 제한부 또는 하측이동 제한부와 접촉될 때까지 상측 또는 하측이동되도록,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림을 통해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된 상태 또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눌림이 해제된 동안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림을 통해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는동안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및/또는 이동에 따른 상기 체결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체결영역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장치는,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때 체결장치 본체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지되,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가 내장된 체결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체결부가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거나,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끼움결합되어 상측 또는 하측이동되며, 상부가 상기 상측이동 제한부에 접촉되거나 하부가 상기 하측이동 제한부에 접촉될 때 상측 또는 하측이동 정도가 제어되고, 관통구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구의 둘레에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와 접촉되는 것을 통해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는,
    잠금 상태일 때 일측에 구비된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림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것을 통해 상기 이동제한부와 접촉되어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며,
    일부가 문턱치 이상 눌림을 통해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한 걸림이 해제될 때까지 회전되어 상기 이동제한부와 이격될 때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일부의 문턱치 이상의 눌림이 해제될 때 이완된 상태에서 수축되는 상기 제3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면서 상기 이동제한부와 접촉되는 잠금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는,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임에 따라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에 의해 상측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하부가 상기 하측이동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통해 하측이동이 제한되는 원위치에 배치될 때 초기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는,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이동제한부의 눌림이 발생되어도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는,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이동제한부의 눌림이 발생되면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측이동되어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며, 타단에 연결축 이동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일단 및 상기 연결축 이동홈을 관통하는 제1 연결축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단에 연결축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 이동홈을 관통하는 제2 연결축을 통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수단이 상측이동될 때 상측이동 및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측이동 및 회전과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부가 체결영역으로부터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이탈되도록 회전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해제장치는,
    상기 체결장치와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경우,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와 상기 체결 해제장치를 눌러 상기 체결장치와 상기 피체결장치의 체결 해제를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와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눌림이 해제될 때 하측이동되고,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면서 상기 체결해제 잠금장치와 접촉되는 잠금 상태로 변환되는 초기상태로 변환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이루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및 체결부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KR1020220184685A 2022-12-26 2022-12-26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KR10258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685A KR102586908B1 (ko) 2022-12-26 2022-12-26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685A KR102586908B1 (ko) 2022-12-26 2022-12-26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908B1 true KR102586908B1 (ko) 2023-10-11

Family

ID=8829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685A KR102586908B1 (ko) 2022-12-26 2022-12-26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9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01B1 (ko) 1997-02-20 2001-06-15 가네꼬 히사시 기준전압발생회로
CN212395375U (zh) * 2020-06-22 2021-01-26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心肺复苏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01B1 (ko) 1997-02-20 2001-06-15 가네꼬 히사시 기준전압발생회로
CN212395375U (zh) * 2020-06-22 2021-01-26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心肺复苏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8809B1 (en) Sleep-apnea-treatment system with multiple pressure and sealing surfaces
EP23084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PR
EP2136879B1 (en) Device for the medical care of a patient in an emergency
EP1491175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feedback from measurement of pulse and/or blood oxygenation
US1167906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ncrease survival with favorable neurological function after cardiac arrest
KR102466440B1 (ko) 흉부 임피던스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
US20150018823A1 (en) Measurement of a compression parameter for cpr on a surface
CN105828859A (zh) 人工呼吸系统
KR20150042750A (ko) 벨트위치 감시시스템이 달린 흉부압박벨트
US20090250071A1 (en) Suct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7909784B2 (en) Cardiopulmonary assist device
JP7086900B2 (ja) 改善された補助換気用の装置
WO2002091905A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with electronic stethoscope
KR102586908B1 (ko) 체결 해제장치 및 체결해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장치
KR102489017B1 (ko)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제세동을 위한 응급치료장치와 환자의 흉부 압박 깊이 소실 보정방법
KR102574574B1 (ko)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KR102459284B1 (ko) 심폐소생술장치와 자동심장충격기가 융합된 의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6725849A (zh) 一种心肺复苏装置及方法
KR102455019B1 (ko) 심폐소생술장치 및 자동심장충격기 융합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CN108210277B (zh) 一种可拆卸的空气压力治疗仪
EP3313486B1 (en) Positive pressure pul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EP3568116A1 (en) Treating sleep apnea with negative pressure and obtaining, with a sleep-apnea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sleep-apnea events and sleep-apnea treatment, and correlating sleep apnea events and sleep-apnea treatment with subject lifestyle and wellbeing
CN211611203U (zh) 用于气道护理的气管切开套管外固定套
CN210933196U (zh) 一种二级加温的输液加温装置
CN215022059U (zh) 具有自动持续心外按压功能的转运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