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59B1 -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 Google Patents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59B1
KR102585859B1 KR1020220099808A KR20220099808A KR102585859B1 KR 102585859 B1 KR102585859 B1 KR 102585859B1 KR 1020220099808 A KR1020220099808 A KR 1020220099808A KR 20220099808 A KR20220099808 A KR 20220099808A KR 102585859 B1 KR102585859 B1 KR 10258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ower
power supply
data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주원
Original Assignee
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은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 상기 빌딩 내부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상기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환경목표설정부,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수득 및 분석하여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도록 상기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하는 소비전력예측부,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빌딩의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각각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공급전력설정부와 상기 설정한 공급 전력량에 따라 상기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전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econd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3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ata, an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that sets the environmental goal of the building, and a device that obtains and analyzes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and adjus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achieve the set environmental goal. When supplying power, a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and a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from the building's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building's reserve power supply sourc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It may include a supply power setting unit that sets the amount of supplied power, and a supply powe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set amount of supplied power.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딩 내·외부 환경 조건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빌딩 에너지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which can minimi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using big data analysis results regarding build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It relates to build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건축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빌딩은 계속적으로 현대화되고 있으며, 빌딩 내에 위치한 다양한 설비들도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빌딩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방재 등과 같은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도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빌딩 관리 시스템은 빌딩 내의 시설 또는 장비 등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기능을 부여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설정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빌딩 관리 시스템은 빌딩 내의 사용자 분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설정 값에 의해 빌딩 내의 설비들을 자동 제어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고, 빌딩 내의 일부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빌딩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면서도 빌딩 내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빌딩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s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s, buildings continue to be modernized, and various facilities located within the building also continue to develop. As building facilities are modernized, control systems that automatically control facilities such as power, l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installed in buildings are also sp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building management systems that manage these control systems is also actively progressing. This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s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turning on/off facilities or equipment in the building,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m according to set values at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is building management system automatically controls facilities in the building based on predetermined settings without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users in the building, which may result in unnecessary energy waste and provide an uncomfortable environment for some users in the building. .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increase convenience for users in the build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958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69581

본 발명은 빌딩 에너지 소비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minimi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은 빌딩 내부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nside a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빌딩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실내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building'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빌딩 내부의 사용자 환경 조건에 따라 실내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us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은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 상기 빌딩 내부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상기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환경목표설정부;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수득 및 분석하여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도록 상기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하는 소비전력예측부;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빌딩의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각각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공급전력설정부; 및 상기 설정한 공급 전력량에 따라 상기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전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econd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ird data including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that sets environmental goals for the building; a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at obtains and analyzes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to predict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when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hat adjus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meet the set environmental goal; a supply power setting unit that sets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from the building's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building's reserv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that controls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spar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set amount of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공급전력설정부는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과 상기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이 상기 전력공급능력의 미리 설정한 제1비율 이상이면,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1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상기 전체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제2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2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공급전력제어부는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1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2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compares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of the building,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is obtained. If the power consumption is more than the preset first ratio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is set as the first supply power amount to a value reflecting the first ratio compared to the total power supply, and the reserve power is set as the first power supply amount.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supply source is set as the second supply power amount to a value reflecting the second ratio excluding the first ratio compared to the total supply amount, and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supplies the first power supply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Power supply may be controlled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and to supply power from the reserve power source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mount of power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1데이터는 온도, 습도, 강수량, 조도, 태양의 위치, 미세먼지,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 상기 제2데이터는 상기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의 수, 성별 및 연령 및 상기 제3데이터는 상기 공간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냉난방기, 가습기, 조명기기 및 공기 청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ata is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illuminance, sun position, fine dust, wind strength and wind direction, and the second data is The number, gender and age of people entering the building, and the third data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air quality inside the space, and the device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a humidifier,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purifi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수집부, 상기 환경목표설정부, 상기 소비전력예측부, 상기 공급전력설정부 및 상기 공급전력제어부는 하루를 적어도 3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한 후, 상기 분류된 구간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the environmental target setting unit,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and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each day have at least three or more After classifying into sections, it can be process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은 상기 빌딩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빌딩의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stores energy gener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은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 상기 빌딩 내부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상기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수득 및 분석하여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도록 상기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빌딩의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각각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한 공급 전력량에 따라 상기 일반전력공급원과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econd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collecting third data including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etting environmental goals for the building; obtaining and analyzing the first to third data to predict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when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hat adjus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meet the set environmental goal; Setting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of the building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And it may include controlling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spar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set amount of power supp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빌딩 에너지 소비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빌딩 내부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nside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빌딩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실내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빌딩 내부의 사용자 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us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외부 환경 조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내부의 사용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내부의 별도로 구획된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내부의 환경 조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공간 내부의 환경조건 예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소비전력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소비전력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급전력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ser measurement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easurement of users staying in a separately partitioned space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edic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 build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수집부(110), 환경목표설정부(120), 소비전력예측부(130), 공급전력설정부(140) 및 공급전력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빌딩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살펴본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110, an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120, a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and a supply It may include a power setting unit 140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50.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ig data analysis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1.

데이터수집부(110)는 빌딩 내·외부의 환경 조건 및 사용자 조건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 빌딩 내부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can collect various data regar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er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More specifically,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econd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third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may be coll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외부 환경 조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빌딩 외부에는 환경 조건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 장치들(111)이 설치될 수 있다. 특정한 환경 조건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측정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모든 종류의 센서, 계측기 등이 측정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측정 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 습도, 강수량, 미세먼지, 일조량, 바람 등은 제1데이터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값을 제1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으나, 기상청 등과 같이 공인된 기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및/또는 예보 데이터도 제1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suring devices 111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Any device that can measure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used as a measuring device, and its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ll kinds of sensors, measuring instruments, etc. can be used as measuring devices. Additionally,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sunlight, wind, etc. measured by various measuring devices can be managed as first dat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can be used as the first data, but data and/or forecast data used by authoriz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an also be used as the first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내부의 사용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출입구에는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을 측정 및 분석하는 장치(11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의 수, 성별 및 연령을 포함하는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측정 값은 제2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출입을 측정하는 장치로는 센서 및/또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의 수, 시간, 성별 및 연력 등과 같이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에 관한 모든 정보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ser measurement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device 112 that measures and analyzes people entering the building may be located at the building entrance. These devices can be used to measure information about people entering a building, including the number, gender, and age of people entering the building, and the measured values can be managed as secondary data. Sensors and/or cameras may be used as devices that measure user entry, and these sensors and/or cameras may be used to measure all information about people entering the building, such as the number, time, gender, and age of people entering the building. Information can be measured and manag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내부의 별도로 구획된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내부(113)는 다수의 공간(A, B, C, D, E, F)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공간에는 공간에 출입하는 사람의 수, 성별 및 연령을 포함하는 공간에 출입하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113a, 113b, 113c, 113d, 113e, 113f, 113g)가 있으며, 이러한 각 장치를 통해 측정한 값은 제2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다수의 공간(A, B, C, D, E, F)은 층별로 구분하여 구획될 수 있으며, 공간에 출입하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113a, 113b, 113c, 113d, 113e, 113f, 113g)로는 다양한 센서 및/또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measurement of users staying in a separately partitioned space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nside of the building 113 is divided into a number of spaces (A, B, C, D, E, F), and each space has the number, gender, and age of people entering the space. There are devices (113a, 113b, 113c, 113d, 113e, 113f, 113g) that can measure information about people entering the space, and the values measured through each of these devices can be managed as secondary data. there is. Multiple spaces (A, B, C, D, E, F) can be divided and partitioned by floor, and devices (113a, 113b, 113c, 113d, 113e) that can measure information about people entering the space , 113f, 113g), various sensors and/or cameras may be used.

빌딩 내부에는 빌딩의 환경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빌딩 내부의 환풍기의 위치 및 동작 여부, 문의 위치 및 개폐 여부, 창문의 위치, 크기 및 개폐 여부, 창문 블라인드의 위치 및 가림 여부를 포함하는 설비 정보는 제3데이터의 추가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설비에 관한 정보는 별도의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거나, 빌딩 내부의 배치도를 통해 설치된 설비 정보와 이러한 설비를 관측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The interior of a building may include various facilities that affec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ventilation fans inside the building, the location and openness of doors, the location and size of windows, and whether they are open or closed, and the location and covering of window blinds. Equipment information including availability can be managed as additional data of third party data. Information about various facilities can be obtained through separate sensors and/or cameras, or through facility information installed through a layout map inside the building and cameras that observe these facilitie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내부의 환경 조건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내부의 다수의 공간 각각에는 빌딩 내부의 환경 조건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 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빌딩 내부 각 공간의 온도, 습도, 강수량, 미세먼지, 일조량, 바람 등과 같은 빌딩 내부의 환경 조건을 제3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수집부(110)는 이러한 제1데이터 내지 제3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various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multiple spaces inside the building,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space inside the building measured by these measuring devices. ,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such as precipitation, fine dust, sunlight, wind, etc., can be managed with third party data. And,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can collect these first to third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수집부(110)가 수집한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수득 및 그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빌딩 공간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별도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일 때 공간 내부 각각의 환경조건을 예측할 수 있다. 빌딩 내부 및 외부의 환경 조건(온도, 습도, 강수량, 미세먼지, 일조량, 바람 등)으로 인해 빌딩은 아무런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빌딩 내부 공간의 환경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강수량, 태양의 위치 등과 같은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 빌딩에 출입하는 사람의 수, 빌딩 내부의 각 공간에 머무르는 사람의 수, 이러한 사람이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 빌딩 내부에 위치한 환풍기의 위치, 이러한 환풍기의 동작 시간, 빌딩의 각 공간에 위치한 창문의 위치, 크기 및 개폐 여부에 따라 빌딩 내부 공간 각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제1 내지 제2데이터에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에 따른 제3데이터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빌딩 공간 내부의 환경조건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빌딩 내부에 전력을 전혀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빌딩의 환경 조건을 알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space. When no separate power is supplied to the device that controls the environment,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inside the space can be predicted.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sunlight, wind, etc.),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s interior space can change even if the building does not supply any power. For example,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position of the sun, etc.,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and exiting the building, the number of people staying in each space inside the building, the time these people stay in the space, and the number of people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of each space inside the buil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ventilator, the operating time of the ventilator, and the location, size, and openness of the windows located in each space of the building. 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weights are assign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hird data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dicted. Therefo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can be known without any power being supplied inside the build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공간 내부의 환경조건 예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A, B, C 및 D의 외부 환경조건이 온도(30℃), 바람(동풍 2.3m/s), 습도(60%), 강수량(3mm), 빌딩사용자조건으로 출입인원(오전 100명, 오후 200명)이 동일하고, 추가 데이터로 공간사용자조건 및 내부설비조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를 때, 공간 A, 공간 B, 공간 C 및 공간 D의 공간환경조건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은 빌딩 내부 공간 각각에 관한 환경조건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빌딩 내부가 20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 20개 공간 각각에 관한 환경조건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도 예측할 수 있다.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edic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 build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paces A, B, C, and D are temperature (30℃), wind (east wind 2.3m/s), humidity (60%), precipitation (3mm), and building user conditions. When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and leaving (100 people in the morning, 200 people in the afternoon) is the same, and the space user conditions and internal facility conditions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ure 6, the space A, space B, space C, and space D as additional data are Spatial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dicted. In this way,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ach space inside the building, so whe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20 spaces, each of the 20 spaces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dicted. Additionally,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can also be predicted.

환경목표설정부(120)는 빌딩 내부에 관한 환경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경목표설정부(120)는 빌딩 내부의 공간에 관한 환경목표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빌딩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 관한 환경목표는 개별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직원이 항시 이용하는 사무실과 직원이 특정 시간대에만 이용하는 휴게실의 환경 목표는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목표설정부(120)는 빌딩 내부에 위치한 전체 공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공간에서 필요한 환경조건을 파악한 후, 각 공간에 관한 환경목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120 can set environmental goals fo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dditionally, the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120 can also set environmental goals for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In general, a building ca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physically separated spaces, and environmental goals for these spaces may need to be set individually. For example, environmental goals can be set differently for an office that employees use all the time and a break room that employees use only during specific times.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120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space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dentif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required for this space, and then set different environmental goals for each space.

여기서, 환경조건은 빌딩에 위치한 설비 제어를 통해 그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포함하며,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경목표설정부(120)는 빌딩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의 목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빌딩 공간 내부 각각에 관한 환경목표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몇 개의 그룹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목표설정부(120)는 빌딩의 특성, 빌딩 내부 공간의 특성에 따라 빌딩 공간 내부의 환경목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환경목표는 월, 요일, 공휴일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하루를 적어도 3이상의 다수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각 구간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전 근무시간, 점심시간, 오후 근무시간에 따라 다른 환경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n be adjusted through equipment control located in the building, and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air quality, and the environmental target setting unit 120 determin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uilding. , target conditions for illuminance and air quality can be set. In addition, environmental goals for each building space can be set the same for all, or can be set differently for several group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120 can set environmental goals inside the building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At this time, environmental goals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nth, day of the week, and public holiday, and the day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3 or more sections and set differently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different environmental goals can be set depending on morning work hours, lunch hours, and afternoon work hours.

소비전력예측부(130)는 제1데이터 내지 제3데이터를 수득 및 분석하고, 빌딩의 환경조건이 환경목표설정부(120)에서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기 위해,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이러한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is a device that obtains and analyzes the first to third data, and adjus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meet the environmental target set by the environmental target setting unit 120. When powering, you can predict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se devices.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소비전력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소비전력예측부(130)의 동작을 살펴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전력예측부(130)는 제1데이터(외부환경조건, 700), 제2데이터(빌딩사용자조건, 710) 및 제3데이터(내부환경조건, 720)을 테이블 형태로 관리한 후, 이러한 테이블에 목표환경조건(730)과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740)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빌딩의 환경을 목표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해 장치(740)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데이터 및 제3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빌딩의 온도 1℃, 습도 1%를 상승시키기 위해 장치(740)에 공급해야 하는 전력 공급량 및 공급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통해 이러한 장치(740)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can be examined. As shown in FIG. 7,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uses first data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700), second data (building user conditions, 710), and third data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720) in a table. After managing in the form, the target environmental condition 730 and the device 740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 can be matched to this table. In addition,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data,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740 to maintain the building environment as the target environment. For example,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third data, the power supply amount and supply time that must be supplied to the device 74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building by 1°C and humidity by 1% are calculated, and the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is device 740 can be predic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소비전력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A, 공간 B, 공간 C, 공간 D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은 내부환경조건(800)과 환경목표설정부(120)에서 설정한 목표환경조건(810)을 테이블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간의 환경조건을 목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환경조건(810)을 만들기 위해 에어컨을 3시간, 공기청정기를 8시간, 가습기를 3시간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 각 장치의 소비전력과 동작시간을 고려하면 각 환경조건 조절 장치 및 환경조건 조절 장치 전체의 소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비전력예측부(130)에서는 각 환경조건 조절 장치의 동작 시간을 우선 산출한 후, 각 환경조건 조절 장치의 시간당 소비전력 정보에 산출한 동작 시간을 반영하여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space A, space B, space C, and space D are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800 and the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 The target environmental conditions 810 set in 120) can be managed in table form. Additionally, in order to se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ach space to a target value, the power consumed by the device that control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dicted. For example, if the air conditioner must be operated for 3 hours, the air purifier for 8 hours, and the humidifier for 3 hours to create the target environmental conditions 810, consider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on time of each device,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device can be predicted. In this way,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first calculates the operation time of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device, and then reflects the calculated operation time in the hourly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device to predict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소비전력예측부(130)에서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에 따라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과 빌딩의 예비전력공급원에서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각각 공급해야 하는 전력량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빌딩 내부에 위치하며, 빌딩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의 공급원으로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다. 공급전력설정부(140)에서는 소비전력예측부(130)에서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공급 전력량을 분배하여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각각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소비전력이 15kWh인 경우,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10kWh,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5kWh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각각 공급해야 하는 공급 전력량을 전체 공급 전력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낼 수도 있고,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 전력량을 결정하고 나머지는 예비전력공급원의 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determines the amount of power that should be supplied from the building's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building's reserve power source to the device that controls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predicted by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can be set. According to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nd uses a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a reserve power supply source as a source of power supplied to a device that control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You can.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can distribute the amount of supply power required to supply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predicted by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and set the amount of supply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respectively. For example, if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15 kWh,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may set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to 10 kWh and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to 5 kWh. At this time,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may express the amount of supply power to be supplied from each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ource as a ratio to the total amount of power supply, or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use the remainder as reserve power. It can also be set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by the source.

공급전력제어부(150)는 상기 공급전력설정부(140)에서 설정한 공급 전력량에 따라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으로부터 빌딩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의 빌딩 내·외부의 환경 조건은 매년, 매월, 매일, 매주, 매일, 매시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수집부(110), 환경목표설정부(120), 소비전력예측부(130), 공급전력설정부(140) 및 공급전력제어부(150)는 월, 요일, 공휴일 및 하루를 적어도 3이상의 구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구간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를 오전(08;00 ~ 12:00), 오후(12:00 ~ 17:00) 및 야간(17:00 ~ 20:00)과 같이 3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다시 이를 월, 요일 및 공휴일에 따라 분류한 후, 분류된 구간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루를 3구간으로 분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 이상의 구간으로만 분류할 수 있다면 그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a device that adjus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pply power set in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of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every year, every month, every day, every week, every day, and every hour. Therefore,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the environmental target setting unit 120,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and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150 have at least 3 days of the month, day of the week, public holidays, and one day.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bove sections and process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ection. For example, a day can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sections, such as morning (08:00 ~ 12:00), afternoon (12:00 ~ 17:00), and night (17:00 ~ 20:00), and then divided into months. After classifying by day of the week and public holiday, it can be process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y is classified into 3 sections, but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the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classified into 3 or more section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급전력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공급전력설정부(14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소비전력예측부(130)에서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을 적어도 3이상의 구간에 따라 분류한 후, 각 구간마다 예상소비전력과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예상소비전력과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예상소비전력이 전력공급능력의 90%보다 작은 구간(구간 1 및 구간 3)에서는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을 100%(구간 1(16 kWh) 및 구간 3(18kWh))까지로 설정하고, 예상소비전력이 전력공급능력의 90%보다 작은 구간(구간 2)에서는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을 예상소비전력의 90%(구간 2(19.8kWh))까지로 설정하고,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공급량을 예상소비전력의 10%(구간 2(0.2kWh))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90% 비율은 전력수급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상소비전력과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 결과에 따라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classifie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predicted by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30 into at least three sections, and then compare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for each section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Depending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can be set differently. More specifically,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compare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a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ections (section 1 and section 3) where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90%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is set to 100% (section 1 (16 kWh) and section 3 (18 kWh)), and in the section (section 2) where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90%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can be set to 90% of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section 2 (19.8kWh)), and the amount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ource can be set to 10% of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section 2 (0.2kWh)). . Here, the 90% ratio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wer supply and demand situation.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ratio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ource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이와 같이, 예상저장전력이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보다 큰 구간에서는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을 확대하고, 예상저장전력이 작은 구간에서는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전력량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급전력설정부(140)는 예상소비전력과 전력공급능력의 비교를 통해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공급전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sections where the expected stored power is greater than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may be expanded, and in sections where the expected stored power is smal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ource may not be supplied. That is,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140 may set the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ource differently through comparison of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power supply capacity.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예상소비전력을 기준으로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을 결정하면, 예상소비전력이 큰 구간에서도 일반전력공급원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a general power supply sour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can be stably used even in sections where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large, so power can be managed efficiently. .

여기서, 예비전력공급원으로는 빌딩의 외부에 위치하면, 빌딩의 회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는 외부 환경에 의해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그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은 빌딩 외부에 에너지저장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빌딩 외부의 온도, 습도, 강수량, 미세먼지, 일조량, 바람 등과 같은 제1데이터와 에너지저장장치에 실질적으로 저장되는 전기에너지의 관계를 분석하여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예상저장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한 예상저장전력을 통해 예비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의 전령공급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Here,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when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stores energy generated b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building. Here,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stores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llows the energy to be used when power is needed.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n energy storage device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power stored in this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used when necessary. A solar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fine dust, sunlight, wind, etc. outside the building and electricity substantiall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the expected storage power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predicted.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amount of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predicted expected storage power, and this can be used to adjust the messenger supply amount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의 동작을 살펴본다.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we will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00단계에서, 제1 내지 3데이터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빌딩 외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 빌딩 내부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와 빌딩 내부의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step 1000, first to third data are collected. More specifically, firs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utside the building, second data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third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building can be collected.

제1100단계에서,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빌딩 공간 내부 각각 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환경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환경목표는 월, 요일, 공휴일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하루도 다수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각 구간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전 근무시간, 점심시간, 오후 근무시간에 따라 다른 환경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1100, environmental goals for the building are set. Additionally, environmental goals required by users can be set for each building space. At this time, environmental goals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nth, day of the week, and public holiday, and a day can also be divided into multiple sections and set differently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different environmental goals can be set depending on morning work hours, lunch hours, and afternoon work hours.

제1200단계에서, 제1데이터 내지 제3데이터를 수득 및 분석하여 설정한 빌딩의 환경목표가 되도록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빌딩의 각 공간의 환경조건을 목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장치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In step 1200, the first to third data are obtained and analyzed to predict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when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hat adjusts environmental conditions to meet the set environmental goal of the build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in order to se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ach space of a building to a target value, the power consumed by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dicted.

제1300단계에서,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에 따라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과 빌딩의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장치에 공급해야 하는 전력량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상소비전력과 일반전력공급원의 공급능력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의 공급 전력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전력량은 하루를 오전(08;00 ~ 12:00), 오후(12:00 ~ 17:00) 및 야간(17:00 ~ 20:00)과 같이 3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구간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상소비전력과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이 상기 전력공급능력의 미리 설정한 제1비율(90%) 이상이면,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제1비율(90%)을 반영한 값을 제1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고,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전체 공급량 대비 제1비율(90%)을 제외한 나머지 제2비율(10%)을 반영한 값을 제2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1300,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from the building's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building's reserve power supply source is set according to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the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can be compared,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by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addition,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is divided into three or more sections such as morning (08:00 ~ 12:00), afternoon (12:00 ~ 17:00), and night (17:00 ~ 20:00), and each section is divided into three or more sections. You can set it differently. More specifically,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compared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building's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if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more than the preset first ratio (90%)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ource is set as the first power supply amount reflecting the first ratio (90%) to the total power supply, and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is set to the first ratio (90%) to the total power supply. A value reflecting the remaining second ratio (10%) can be set as the second supply power amount.

제1400단계에서, 설정한 공급 전력량에 따라 일반전력공급원과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따라서, 빌딩 에너지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1400, power supply is controlled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device from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set supply power amount. Therefor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nd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or a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are recorded. When th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th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may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110: 데이터수집부
120: 환경목표설정부
130: 소비전력예측부
140: 공급전력설정부
150: 공급전력제어부
100: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110: Data collection department
120: Environmental goal setting department
130: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140: Supply power setting unit
150: Supply power control unit

Claims (6)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 외부의 온도, 습도, 강수량, 조도, 태양의 위치, 미세먼지,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에 출입하여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의 내부에 머무르는 사람의 수, 성별 및 연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환경목표설정부;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며,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도록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냉난방기, 가습기, 조명기기 및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는 장치와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를 상기 테이블에 매칭시킨 후,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기 설정한 목표환경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하는 소비전력예측부;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과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이 상기 전력공급능력의 미리 설정한 제1비율 이상이면,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1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고,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상기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제2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2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는 공급전력설정부; 및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1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2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전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수집부, 상기 환경목표설정부, 상기 소비전력예측부, 상기 공급전력설정부 및 상기 공급전력제어부는 월, 요일, 공휴일 및 하루를 적어도 3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한 후, 상기 분류된 구간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In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First data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illuminance, sun position, fine dust, wind strength, and wind direction out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d the system can be accessed by entering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Data that collects secondary data, which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gender and age of people staying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d third data, which includes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air quality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collection department;
An environmental goal setting unit that sets environmental goals for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are managed in the form of a table, and a device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a humidifier,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purifier that adjusts environmental conditions to meet the set environmental goals, and the set environmental goals are stored in the table. After matching, a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when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o achieve the set target environmen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compared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of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d if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more than a preset first ratio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general power supply capacity is compared.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is set as the first supply power amount to a value that reflects the first ratio compared to the total power supply, and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is set to the remaining amount excluding the first ratio compared to the total power supply. 2A supply power setting unit that sets a value reflecting the ratio as the second supply power amount; and
A supply powe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mount of power supplied,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mount of power supplied; ,
The data collection unit, the environmental target setting unit,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unit, the supply power setting unit, and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classify the month, day of the week, public holiday, and day into at least three sections, and then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independent proces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은
상기 빌딩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빌딩의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re power supply source is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includes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stores energy gener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 외부의 온도, 습도, 강수량, 조도, 태양의 위치, 미세먼지, 바람의 세기 및 바람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에 출입하여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의 내부에 머무르는 사람의 수, 성별 및 연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및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위치한 빌딩의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며,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가 되도록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냉난방기, 가습기, 조명기기 및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는 장치와 상기 설정한 환경목표를 상기 테이블에 매칭시킨 후,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상기 제3데이터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기 설정한 목표환경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장치에서 소비하는 예상소비전력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과 상기 빌딩의 일반전력공급원의 전력공급능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예측한 예상소비전력이 상기 전력공급능력의 미리 설정한 제1비율 이상이면,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1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고, 예비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상기 전체 전력 공급량 대비 상기 제1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제2비율을 반영한 값을 제2공급 전력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1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예비전력공급원에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제2공급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든 단계들은 월, 요일, 공휴일 및 하루를 적어도 3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한 후, 상기 분류된 구간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빌딩 관리 방법.
In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of the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First data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illuminance, sun position, fine dust, wind strength, and wind direction out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d the system can be accessed by entering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Collecting second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gender, and age of people staying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d third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
Setting environmental goals for the building where the system is located;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are managed in the form of a table, and a device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a humidifier, a lighting device, and an air purifier that adjusts environmental conditions to meet the set environmental goals, and the set environmental goals are stored in the table. After matching, predicting expected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when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o achieve the set target environmen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irst data to the third data;
Compare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with the power supply capacity of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of the building, and if the predicted expected power consumption is more than a preset first ratio of the power supply capacit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is set as the first power supply amount reflecting the first ratio to the total power supply, and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reserve power supply source is set to the second ratio excluding the first ratio to the total power supply. Setting the reflected value as the second supply power amount;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power supply so that the general power supply source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ower supply amount, and the spare power supply source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ower supply amount,
All of the above steps are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method of a big data analysis-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th, day of the week, public holiday, and day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three sections and then independent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ections. .
KR1020220099808A 2022-08-10 2022-08-10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KR102585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08A KR102585859B1 (en) 2022-08-10 2022-08-10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08A KR102585859B1 (en) 2022-08-10 2022-08-10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859B1 true KR102585859B1 (en) 2023-10-10

Family

ID=882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808A KR102585859B1 (en) 2022-08-10 2022-08-10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859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280A (en) * 2013-06-05 2014-12-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building and appratus for managing building energy
KR20210011745A (en) * 2019-07-23 2021-02-02 (주) 씨이랩 Big data based energy demand and supply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zero-energy town building
KR20210027617A (en) * 2019-08-29 2021-03-11 주식회사 나인와트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KR20210041806A (en) * 2019-10-08 2021-04-16 채명진 METHOD FOR MANAGING SMART BUILDING USING IoT SENSOR AND ARTIFICIAL INTELIGENCE
KR102269581B1 (en) 2020-10-16 2021-06-28 화인시스템(주)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ld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10117946A (en)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티에스엠테크놀로지 Facility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nd facility performance analysis program for active energy management
KR102353401B1 (en) * 2021-04-12 2022-01-20 (주)비츠로이에스 Peak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4314A (en) * 2020-07-28 2022-02-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KR20220023226A (en) * 2020-08-20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trol method thereof
KR20220077994A (en)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에스투알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anaging indo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280A (en) * 2013-06-05 2014-12-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building and appratus for managing building energy
KR20210011745A (en) * 2019-07-23 2021-02-02 (주) 씨이랩 Big data based energy demand and supply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zero-energy town building
KR20210027617A (en) * 2019-08-29 2021-03-11 주식회사 나인와트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KR20210041806A (en) * 2019-10-08 2021-04-16 채명진 METHOD FOR MANAGING SMART BUILDING USING IoT SENSOR AND ARTIFICIAL INTELIGENCE
KR20210117946A (en)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티에스엠테크놀로지 Facility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nd facility performance analysis program for active energy management
KR20220014314A (en) * 2020-07-28 2022-02-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KR20220023226A (en) * 2020-08-20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trol method thereof
KR102269581B1 (en) 2020-10-16 2021-06-28 화인시스템(주)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ld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077994A (en)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에스투알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anaging indoor air quality
KR102353401B1 (en) * 2021-04-12 2022-01-20 (주)비츠로이에스 Peak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ukas et al. Intellig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rule sets
US10083408B2 (en) Energy conservation unit and system of a building by way of interactive learning
US98660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JP4363244B2 (en) Energy management equipment
JP6022050B2 (en) Consumer power control system and consumer power control method
Escrivá-Escrivá et al. New indices to assess building energy efficiency at the use stage
US200801833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ddressable lighting units
Zhu et al.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 ultra-low energy buildings: Using a simulation and measurement methodology to model occupant behavior and lighting controls
Chiogna et al. Energy efficiency of alternative lighting control systems
O'Brien et al. Do building energy codes adequately reward buildings that adapt to partial occupancy?
CN104956280A (en) Social learning softthermostat for commercial buildings
US2020017553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ergy management
JP6605181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Colaco et al. Integrated design and real-time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predictive light controller
JP2015040693A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US20190384238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earned environmental parameters for proactive control
JP5113568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Motamed et al. Eight-month experimental study of energy impact of integrated control of sun shading and lighting system based on HDR vision sensor
KR102585859B1 (en)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Tabadkani et al. A hierarchical multi-purpose roller shade controller to enhance indoor comfort and energy efficiency
Garzia et al. Co-benefits of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an analysis of smart office buildings
Bourgeois et al. Assessing the total energy impact of occupant behavioural response to manual and automated lighting systems
Papantoniou et al. Adaptive lighting controllers using smart sensors
JP2017227437A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Jiang et al. OCCUPIED: Long-term field experiment results from an occupant-centric control in an offic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