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52B1 -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52B1
KR102585152B1 KR1020210058741A KR20210058741A KR102585152B1 KR 102585152 B1 KR102585152 B1 KR 102585152B1 KR 1020210058741 A KR1020210058741 A KR 1020210058741A KR 20210058741 A KR20210058741 A KR 20210058741A KR 102585152 B1 KR102585152 B1 KR 10258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dry
air
guid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1466A (en
Inventor
한재권
한정희
Original Assignee
한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52B1/en
Publication of KR2022015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5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은 유도 음향을 출력하는 펫 유도부(131); 및 펫 유도부(131)가 음향을 출력하는 상황에서, 감지센서(230)를 이용해 펫이 드라이룸(200)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펫 인식부(132)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ing robot. A pet dry robot with a built-in pet guidance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t guidance unit 131 that outputs a guidance sound; and a pet recognition unit 132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et is located inside the dry room 200 using a detection sensor 230 when the pet guidance unit 131 outputs a sound.

Description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ing robot.

최근 반려동믈(이하 '펫')이 각 가정에 증가하고 있다. 펫은 주로 가정에서 키우기에 각 가정에서 생활을 하지만, 펫의 건강을 위해 자주 산책을 시켜줘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외출을 통한 산책을 하고 오는 펫은 각종 이물질 및 미세먼지로 털이 더렵혀지는 경우가 많다.Recently,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ts’) is increasing in each household. Pets are mainly raised at home and live in each household, but in most cases, pets need to be walked frequently for their health. Pets that go out for walks often have their fur stained with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펫이 더렵혀진 경우에 따라 청결을 위하여 펫을 목욕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당연히 몸의 물기를 제거해야 함에 따라,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많이 있지만, 헤어드라이 로봇을 사용하여 건조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계속된 움직임 때문에 전체적으로 건조가 어려우며, 극소 부위만 마를 경우가 있고, 열풍 온도를 높임으로 인해 화상 및 털 손상의 문제가 발생 할 수도 있다.When a pet becomes dirty, it is often necessary to bathe the pet to keep it clean. Accordingly, as it is necessary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ody, there are many ways to remove moisture, but when drying using a hair dryer robot, it is difficult to dry the entire pet due to the constant movement of the pet, and only very small areas may dry. ,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may cause burns and hair damage.

그에 따라 특허문헌 "애완동물용 건조기"와 같이 펫을 구조물 안에 넣고 출입문을 닫음으로써, 펫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할 수 있는 드라이 바람을 통해 건조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Accordingly, as in the patent document "Pet dryer," a method of drying the pet's fur using dry wind that can automatically dry it by placing the pet inside the structure and closing the door is preferred.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89777호 (2008.07.25.)KR 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89777 (2008.07.25.)

특허문헌 1의 "애완동물용 건조기"는 펫의 털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을 닫고 건조를 하는 방식에 있어서, 낯선공간에 대한 두려움과 문이 닫힘으로 인한 폐쇄감이 형성되어, 펫이 공포감 및 불안감을 느낌으로 인한 급작스런 움직임이나 위험한 행동을 통해 펫의 건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pet dryer” in Patent Document 1 is a method of drying pet fur with the door closed, which creates fear of unfamiliar spaces and a sense of closure due to the door being closed, causing the pet to feel fear and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pet's drying performance deteriorates due to sudden movements or dangerous actions due to anxiety.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입문의 기능을 에어커튼으로 대체함으로 인해, 펫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안감 및 공포감이 조성되지 않게 하는 펫 드라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t dry robot that prevents anxiety and fear that may occur in pets by replacing the function of the door with an air curtain. will be.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펫을 드라이하는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펫 드라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t drying robot that can naturally guide a pet to a drying sp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은 유도 음향을 출력하는 펫 유도부(131); 및 펫 유도부(131)가 음향을 출력하는 상황에서, 감지센서(230)를 이용해 펫이 드라이룸(200)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펫 인식부(132)를 포함한다. A pet dry robot with a built-in pet guidance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t guidance unit 131 that outputs a guidance sound; and a pet recognition unit 132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et is located inside the dry room 200 using a detection sensor 230 when the pet guidance unit 131 outputs a sound.

여기서, 유도 음향을 펫의 종류 별로 저장하는 저장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storage unit 134 that stores the guided sound for each type of pet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상기 유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000)가 상기 드라이룸(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speaker 1000 that outputs the induced sou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y room 200.

또한, 상기 펫 인식부(132)가 펫이 상기 드라이룸(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펫 유도부(131)는 유도 음향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response to the pet recognition unit 132 determining that the pet is located in the dry room 200, the pet guidance unit 131 may stop outputting the guidance sound.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룸에서 출입문을 에어커튼으로 대체하여 펫에게 발생할 수 있는 폐쇄감, 공포감 및 불안감을 조성하지 않음으로써, 급작스런 움직임이나 위험한 행동을 억제하고, 이로써 안정성 및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door in the pet dry room with an air curtain, thereby preventing sudden movements or dangerous behavior by not creating a sense of closure, fear, and anxiety that may occur in pets, thereby improving stability and drying efficiency. .

본 발명은 유도 음향을 이용해 펫을 드라이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guide a pet to a drying space using induction soun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정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후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에어 공급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 및 리니어 모터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이 상단일 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이 하단일 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정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13은 도 11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pet dry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side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rior to explain the air supply and operation of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uide bracket and linear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guide bracket is at th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guide bracket is at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ure 1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ile explain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cribe similar compon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 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펫드라이 로봇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정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후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에어 공급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 및 리니어 모터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이 상단일 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이 하단일 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rear cross-section of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rior to explain the air supply and operation of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uide bracket and a linear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guid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the top, and Figure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operation when the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example is at the bottom.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부(1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긴 하나, 필요에 따라, 개폐의 역할을 하는 출입문이 아닌 출입을 위한 출입구(101)의 역할을 하는 뚫려있는 구조의 출입구(101)를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has an open front, but if necessary, it functions as an entrance 101 for entry and exit rather than an entranc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101) with an open structure can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은 전면에 개방된 형태로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부(100)로 구성되며, 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300)를 포함 할 수 있다.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body 100 with an entrance open in the front, and a blower 3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sucking in external air to supply air. may includ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블로워(30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측면과 하부측에 타공이 되어 형성된 드라이홀(210)이 드라이 통로(110)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으며, 펫을 드라이하는 공간인 드라이룸(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dry hole 21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receives air from the blower 300, and is perforated on the side and bottom to provide a dry passage 110. It receives air through a drying room and includes a dry room 200, which is a space for drying pets.

또한 도 4는 한 측면에 대해 에어를 표시하였지만 다른 측면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Also, although Figure 4 shows air on one side, it is natural that the same way can be done on the other side.

도 6은 드라이룸(200)의 상부 중 출입구(101) 측에 형성되어, 블로워(30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 통로(120)을 통해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작하는 재질은 용도와 크기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6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dry room 200, on the entrance 101 side, and receives air from the blower 300. It is comprised of supplying air to the air curtain hole 220 through the air passage 120, and the material from which it is manufacture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siz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은 드라이룸(200)의 후면과 본체부(100)의 후면 사이 공간에는 블로워(Blower)(300), 가이드 브라켓(400), 리니어 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uch,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er 300, a guide bracket 400, and a linear motor 500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It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의 설치 위치는 펫의 주인(사용자)의 조작이 편한 위치라면 어느 곳이든 가능하며, 설치 위치에 대하여 특정한 한 장소만을 특정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o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guide bracket 400.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ntrol unit can be anywhere that is convenient for the pet owner (user) to operate,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드라이룸(200)의 후면과 본체부(100)의 후면 사이 공간에 형성된 각 구성 요소의 기능으로는, 블로워(300)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이드 브라켓(400)으로 에어를 공급하고, 제어부(130)의 신호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00)이 승강함에 따라,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드라이홀(21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400)을 승강 시키는 리니어 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7 ,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is that the blower 300 sucks in external air and connects the guide bracket 400. Air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30, and as the guide bracket 400 is raised and lower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0, air can be supplied to the air curtain hole 220 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dry hole 210, and the control unit 130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near motor 500 that raises and lowers the guide bracket 400 according to a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라이 에어가 나오는 드라이홀(210)은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바람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하여 내부 드라이룸(200)에서 바람이 골고루 불어 펫의 전부위에 대한 건조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hole 210 through which dry air comes out is formed three-dimensionally, and the wind is dir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wind blows evenly in the internal dry room 200 to dry the entire surface of the pet. It can be expressed.

본 발명은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300), 가이드 브라켓(400), 리니어 모터(500)의 결합을 할 수 있는 구성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브라켓(400)의 하부의 개방된 구조를 통해 블로워(30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게 결합이 되며, 가이드 브라켓(40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브라켓의 후면 측에 부착 된 형태로 리니어 모터(500)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bine a blower 300, a guide bracket 400, and a linear motor 500, as shown in FIG. 8. More specifically, it is coupled to receive air from the blower 300 through the open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guide bracket 400, and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bracket so that the guide bracket 400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linear motor 500 may be formed in this shape.

가이드 브라켓(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양측이 일정부분 개방되어 개방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410)은 드라이홀(210) 또는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8, the guide bracket 400 may be partially opened on both sides to form an open hole 410. The open hole 410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dry hole 210 or the air curtain hole 220.

또한 가이드 브라켓(400)의 상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단면이 V자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가이드 브라켓(400)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된 개방홀(410)로 에어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V자 형태의 상판 구성에 의해, 상판에 부딪혀 생성될 수 있는 와류를 최소화하여 가이드 브라켓(400)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된 개방홀(410)로 에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에어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of the guide bracket 400 may be bent as shown in FIG. 8 to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This configuration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open holes 4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guide bracket 400. It plays a role in inducing. In other words, this V-shaped top plate structure minimizes vortices that may be generated by hitting the top plate and naturally guides the flow of air into the open holes 4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guide bracket 400, thereby improving air supply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 동작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형태로 가이드 브라켓(400)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450)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guide frame 45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guide bracket 400 in a way that allows the guide bracket 400 to move up and down while restricting left and right movement.

가이드 프레임(450)은 상부 프레임(451), 중부 프레임(452) 및 하부 프레임(453)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guide frame 45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frame 451, a middle frame 452, and a lower frame 453.

먼저, 중부 프레임(452)은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 동작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형태로 가이드 브라켓(4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부 프레임(4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소정 길이를 갖는 2개의 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잇다.First, the central frame 45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guide bracket 400 in a way that allows the guide bracket 400 to move up and down while restricting left and right movement. Accordingly, the central frame 452 may have a shape in which two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upward lengt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400)이 중부 프레임(45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며, 가이드 브라켓(400)은 중부 프레임(4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bracket 400 is fitted into the central frame 452, and the guide bracket 4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entral frame 452.

이때 중부 프레임(452) 각각의 판 상부에 제2 배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1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plate of the central frame 452.

상부 프레임(451)은 중부 프레임(452) 상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프레임(452)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frame 451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middle frame 452,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middle frame 452, as shown in FIG. 5.

이러한 상부 프레임(451)은 드라이룸(200) 측면과 하부측에 타공이 되어 형성된 드라이홀(210)과의 연결 통로인 드라이 통로(110)와 에어커튼홀(220)과의 연결 통로인 에어 통로(120)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This upper frame 451 is a dry passage 110, which is a connecting passage with the dry hole 210 formed by perforating the side and lower side of the dry room 200, and an air passage, which is a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air curtain hole 220. It serves to distinguish (120).

좀 더 간단히 설명하면, 상부 프레임(451)은 드라이 통로(110)와 에어 통로(120)를 구획하는 구성요소로 작용하게 된다.To explain more simply, the upper frame 451 serves as a component that partitions the dry passage 110 and the air passage 120.

따라서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승하여 상부 프레임(451)의 위쪽으로 개방홀(410)이 위치한 때에만 에어 통로(120)와 개방홀(410)이 연통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passage 120 and the open hole 410 can communicate only when the guide bracket 400 rises and the open hole 410 is located above the upper frame 451.

에어 통로(120)와 개방홀(410)의 연통을 위해 중부 프레임(452)의 상부에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 배출부(150)일 수 있다. 즉, 제2 배출부(150)와 같은 배출홀과 가이드 브라켓(400)의 개방홀(410)이 동일한(혹은 비슷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브라켓(400)의 개방홀(410)이 에어 통로(120)와 연통되고, 최종적으로 드라이룸(200) 측면과 하부측에 타공이 되어 형성된 드라이홀(210)을 통해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frame 452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ir passage 120 and the open hole 410, which may be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150 described below. That is, when the discharge hole such as the second discharge part 150 and the open hole 410 of the guide bracket 400 are placed in the same (or similar) position, the open hole 410 of the bracket 400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20. ), and ultimately ai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ry hole 210 formed by perforating the side and bottom of the dry room 200.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 상부 프레임(451)은 중부 프레임(452)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드라이룸(200)의 후면과 본체부(100)의 후면 사이 공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this operation, the upper frame 451 may extend from the top of the middle frame 452 and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pace between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하부 프레임(453)은 중부 프레임(452) 하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프레임(452)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lower frame 45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frame 452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frame 452 as shown in FIG. 5 .

이러한 하부 프레임(453)은 중부 프레임(45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드라이룸(200)의 후면과 본체부(100)의 후면 사이 공간을 구획하여 블로워(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is lower frame 453 serves to support the central frame 452 and divides the space between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blower 300 can be installed. It can be secured.

또한 하부 프레임(453)에 의해 블로워(30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다른 곳으로 새지 않도록 하며, 중부 프레임(452) 쪽으로 모든 에어가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중부 프레임(452)에는 가이드 브라켓(400)이 끼워지고 가이드 브라켓(400)의 하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블로워(30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모두 가이드 브라켓(400)을 통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에어 공급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453 prevent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blower 300 from leaking elsewhere, and all air can be concentrated toward the central frame 452. A guide bracket 40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frame 452, and since the lower end of the guide bracket 400 is open, all air supplied through the blower 300 is supplied through the guide bracket 400.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air supply efficiency through this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은 제어부(130)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조작신호에 의해 리니어 모터(500)가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상승 또는 하강)이 결정될 수 있다.In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anipulation signal is input by the control unit 130, the linear motor 500 may determine whether to raise or lower the guide bracket 400 by the manipulation signal. .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배출부(140)를 통해 드라이 통로(110)로 에어를 배출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guide bracket 400 is located at the top, air is discharged into the dry passage 1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140.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1 배출부(140)는 가이드 프레임(450)의 상부 프레임(451)에 의해 구획된 공간일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451) 위쪽으로 개방홀(410)이 상승하기 때문에, 개방홀(410)은 에어 통로(120)와 연통되어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In more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harge unit 140 may be a space partitioned by the upper frame 451 of the guide frame 450. When the guide bracket 400 is located at the top, the open hole 410 rises above the upper frame 451, so the open hole 410 communicates with the air passage 120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air curtain hole 220. will be supplied.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브라켓(400)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개방홀(410)을 통해 드라이 통로(110)를 거쳐 드라이 홀(210)로 에어를 배출하는 제2 배출부(150)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부(150)는 앞서 설명한 중부 프레임(452)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guide bracket 400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second discharge unit 150 discharges air to the dry hole 210 through the dry passage 110 through the open hole 410. You can check what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frame 452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제2 배출부(150)와 가이드 브라켓(400)의 개방홀(410)이 동일한(혹은 비슷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브라켓(400)의 개방홀(410)이 드라이 통로(110)와 연통되고, 최종적으로 드라이룸(200) 측면과 하부측에 타공이 되어 형성된 드라이홀(210)을 통해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charge unit 150 and the open hole 410 of the guide bracket 400 are placed in the same (or similar) position, the open hole 410 of the bracket 400 communicates with the dry passage 110. And finally, ai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ry hole 210 formed by perforating the side and lower side of the dry room 2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은 제어부(130)에 의해 에어커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리니어 모터(500)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단으로 움직이고, 가이드 브라켓(400)의 에어가 개방홀(410) 및 제1 배출부(140)를 통해 에어 통로(120)를 거쳐 에어커튼홀(220)에 공급되고, 그에 따라 에어커튼이 작동할 수 있다.In the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ir curtain operation signal is input by the control unit 130, the guide bracket 400 moves to the top by the linear motor 500, and the guide bracket 400 Air is supplied to the air curtain hole 220 through the air passage 120 through the open hole 410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140, and the air curtain can operate accordingly.

또한 드라이룸(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드라이룸(200)의 내부 공간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에어커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살균부(미도시)에서 UV-C의 파장을 조사하여 내부 드라이룸(200)을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UV-C파장을 비치는 기능을 하는 LED라면 어떠한 LED라도 가능하며 형태에 의거하여 특정 LED로 한정하지 아니 한다.Additionally, a sterilizing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ry room 200 to sterilize bacteria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ry room 200. When the air curtai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30, the internal dry room 200 can be sterilized by irradiating UV-C wavelengths from the sterilizing unit (not shown). Any LED that functions to emit UV-C wavelengths can be us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ED based on its shape.

자외선 UV-C파장은 UV-A파장에 비해 적게 쐬어도 충분한 살균효과를 가지며, UV-B파장은 피부를 태우기도 하며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함에 따라 UV-C의 파장을 선택함으로써, 드라이룸(200)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UV-C wavelength has a sufficient sterilizing effect even when applied less than UV-A wavelength, and UV-B wavelength can burn the skin and cause skin cancer, so by selecting the wavelength of UV-C, dry room (200 ) The interior can be effectively sterilized.

본 발명은 드라이룸(200)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펫의 존재 유무를 체크하는 감지센서(2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ry room 200 and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230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t.

감지센서(230)는 펫이 드라이룸(200)의 내에서 어떠한 자세로 있어도 각각의 감지각도를 달리한 다수의 감지센서(230)를 설치하여 펫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언제든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위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한가지의 특정 센서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The detection sensor 230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t at any time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230 with different detection angles, no matter what posture the pet is in in the dry room 200. The angle can be chang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to any one specific sensor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above functions.

본 발명에 따라 펫을 건조시키는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30)의 조작으로 인해 블로워(300)가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가이드 브라켓(400)으로 에어를 공급하며, 그 후, 리니어 모터(500)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단으로 움직여 개방홀(410)을 통해 에어를 제1 배출부(140)로 내보낸다.Looking at the form of drying a 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blower 300 sucks air from the outsid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and supplies air to the guide bracket 400, and then the linear motor ( The guide bracket 400 moves to the top by 500 and discharges air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40 through the open hole 410.

그 후, 에어 통로(120)를 거쳐 들어간 에어가 에어커튼홀(220)을 통해 외부와의 공기유입 및 오염을 차단하고, 내부적으로는 살균부(미도시)를 통해 살균함으로써 사용전의 펫 드라이 로봇의 오염상태를 살균할 수 있다.Afterwards, the air entering through the air passage 120 is blocked from external air inflow and contamination through the air curtain hole 220, and is internally sterilized through a sterilization unit (not shown) to dry the pet before use. Contamination conditions can be sterilized.

즉, 본 발명은 에어커튼홀(220)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가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curtain hole 220 performs an air curtain function to block ai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또한 펫의 건조를 하기 전 에어커튼의 작동을 통한 살균까지 마치고 나면, 감지센서(230)를 통해 드라이룸(200) 내부에서의 펫의 존재 유무를 체크 한 후, 펫이 드라이룸(200)의 내부에 존재 한다고 판단될 시, 블로워(300)가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가이드 브라켓(400)에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drying the pet, after steriliz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curtain is comple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t inside the dry room 200 is check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230, and then the pet is allowed to enter the dry room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present inside, the blower 300 can suck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guide bracket 400.

이때 리니어 모터(500)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이 하단으로 움직이고, 개방홀(410)을 통해 에어를 제2 배출부(150)로 내보낸다. 그 후, 드라이 통로(110)를 거쳐 공급된 에어가 드라이홀(210)을 통해 드라이룸(200)내부에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고, 내부에 있는 펫의 건조를 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bracket moves downward by the linear motor 500,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150 through the open hole 410. Afterward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dry passage 110 supplies dry air to the inside of the dry room 200 through the dry hole 210, and drying of the pet inside can begi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400)이 상단과 하단의 중간인 중단에 걸치게 되었을때에는, 블로워에서 공급받은 에어는 개방홀(410)을 통해 제1 배출부(140) 및 제2 배출부(150)에 동시에 공급이 가능하다. 이때 중단에 걸치게 되었다 함은, 제1 배출부(140)에 및 제2 배출부(150)에 각 각 블로워(300)로부터 공급받은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 bracket 400 reaches the middle point between the top and bottom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30,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lows through the open hole 410. It is possible to supply to the first discharge part 140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150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fact that an interruption has occurred means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0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discharge part 140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150, respectively.

그에 따라 에어커튼홀(220)에 공급된 에어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하며, 드라이 에어홀(210)에 공급된 에어는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여 펫을 건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supplied to the air curtain hole 220 functions as an air curtain, and the air supplied to the dry air hole 210 supplies dry air to dry the pet.

본 발명은 출입문이 없는 구조를 통해 건조중에도 펫과의 유대감을 형성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펫의 공포감 및 불안감을 해소 시킴으로 인해 스트레스에 의한 급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위험한 행동을 억제 시킴으로써, 건조의 성능을 올릴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nd with the pet even during drying through a structure without a door, thereby relieving the pet's fear and anxiety that may occur in an enclosed space, suppressing sudden movements or dangerous behavior due to stress,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process.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룸(200)의 후면 측에 형성되어, 이물질 및 펫의 털을 흡입하는 필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dry roo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filter 240 that suctions foreign substances and pet hair.

본 발명의 필터(240)는 PRE FILTER와 헤파필터로 구성되는데, Pre Filter를 통해 입자크기가 50㎛이상의 비교적 큰 먼지를 먼저 여과하는 1차필터로 써의 기능을 한다.The filter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RE FILTER and a HEPA filter. It functions as a primary filter that first filters relatively larg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50㎛ or more through the Pre Filter.

또한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late Air)는 BSC와 Clean Bench, Co2 Incubator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원자력위원회에서 미크론(Micron)이하의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필터이며, 0.3㎛의 입자에 대해 85 ~ 99.975% 이상의 포집능력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In addition,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late Air) is used in BSC, Clean Bench, Co2 Incubator, etc. It is a filter developed by the U.S. Atomic Energy Commission to remove particles below micron, and is 85 ~ 99.975 for particles of 0.3㎛. Grade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ability of % or more.

제일 높은 등급인 14등급의 헤파필터가 존재하기는 하나, 필터를 감싸는 프레임이나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 사이의 미세한 유격 또는 제품 케이스 사이의 유격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보는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 발명은 13등급의 헤파필터를 사용하여 2차 필터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Although there is a HEPA filter of grade 14, which is the highest grade, the actual efficiency varies depending on the frame surrounding the filter, the minute gap between parts entering the product, or the gap between product cases, etc., s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de 13 HEPA filter. Use a HEPA filter to function as a secondary filter.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펫 드라이 로봇의 건조중에 있어서, 필터(240)가 드라이에어를 흡입함에 있어서는, 블로워(300)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during drying of the pet dry robot, when the filter 240 suctions dry air, the suction power of the blower 300 is used to perform filter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부(100)에 외부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건조하면서 발생하는 털 및 기타 이물질(미세먼지 포함)을 포함한 에어는 필터(240)를 거쳐 털 및 이물질을 거를 수 있고, 털 및 기타 이물질이 걸러진 에어의 70%는 재순환을 하여 다시 건조에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filter (not shown). Air containing hair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fine dust) generated during drying can be filtered out through the filter 240, and 70% of the air with hair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filtered out is recirculated and used again for drying. You can.

또한, 재순환이 되지 않는 나머지 30%는 외부필터(미도시)를 통과 방출하게 되고, 방출된 만큼의 새로운 에어가 블로우(300)를 통해 드라이룸(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30% that is not recirculated is discharged through an external filter (not shown), and new air equivalent to the discharg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y room 200 through the blower 300.

도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후면에 외부방출홀(102)이 형성될 수 있고, 외부필터를 통해 재순환 되지 않고 배출된 에어의 나머지 30%는 외부방출홀(102)을 통해서 최종 방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an external discharge hole 102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maining 30% of the air discharged without being recirculated through the external filter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external discharge hole 102. It can b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동작에 따라 에어커튼을 따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내부 드라이 에어가 필터를 통해 흡입됨으로 인해, 내부 드라이 에어가 외부로 나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온도 유지 및 외부와의 차단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ir curtain is not separat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bove operation, the internal dry ai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so the internal dry air does not go out, there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blocking it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드라이룸(200)의 바닥부분의 드라이홀(210)을 통해 빠지는 물기(펫의 털에 있는 물 등) 및 기타 이물질(미세먼지 포함)을 모아주는 받침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펫의 주인(사용자)은 드라이가 끝난 후 필터(240)가 놓침으로써, 드라이홀(210)을 통해 빠진 물기 및 기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 ( (not shown)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pet's owner (user) can easily clean up moisture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allen through the dry hole 210 as the filter 240 is released after dry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드라이룸(20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의 조작신호에 의해, 드라이룸(200)의 내부 에어의 온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냉방의 온도를 제어할 설정할 때는 펠티어 쿨러(미도시)를 사용하며, 난방의 온도를 제어함에 있어, 원적외선 방출기(250)를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dry room 200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dry room 200 by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When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 Peltier cooler (not shown) is used. ), and i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the far-infrared ray emitter 250 can be used.

또한 펫 드라이 로봇에 펠티어 쿨러(미도시)는 냉매가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며, 진동이나 소음이 없어 펫 드라이 로봇의 소음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펠티어 쿨러의 설치 갯수 및 위치에 대하여 제한을 따로 갖지 아니한다.Additionally, since the Peltier cooler (not shown) does not require refrigerant in the pet dry robot, i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space, and there is no vibration or noise, so it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noise of the pet dry robot. Accordingly,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Peltier cooler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펫 드라이 로봇에 원적외선 방출기(250)를 설치함으로, 펫의 체온을 적정체온으로 유지시켜주는 온열작용의 기본효과가 있으며, 중화작용을 통하여 왕성한 발한작용에 의해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이나 유해 중금속류, 유해색소 등을 체외에 배설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자라면 특정 소자로 한정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far-infrared ray emitter 250 in the pet dry robot, there is a basic effect of a thermal effect that maintains the pet's body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neutralizing effect is used to promote vigorous sweating in the body. It can have the effect of excreting accumulated waste products, harmful heavy metals, and harmful pigments from the body. Additionally, as long as it is a device that can function as far-infrared rays,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evice.

이하,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드라이 로봇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펫드라이 로봇은 펫의 유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펫의 유도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펫 드라이 로봇의 정면측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앞서 설명된 사항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여를 부여하였다. Hereinafter, a pet dry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13. In this embodiment, the pet dry robot may have a pet guidance func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pet's guided movements.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dry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pet dry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11. Hereinafte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ly described matter is assigned the same drawing designation.

본체부(100)의 전면에 제어부(130a) 및 스피커(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a)는 펫 유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000)는 드라이룸(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A control unit 130a and a speaker 10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control unit 130a can perform pet guidance operations. The speaker 10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y room 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a)는 펫 유도부(131), 펫 인식부(132), 통신부(133) 및 저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a may include a pet guidance unit 131, a pet recognition unit 132, a communication unit 133, and a storage unit 134.

펫 유도부(131)는 펫을 유도하기 위한 음향(이하, ‘유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펫을 유도하기 위한 음향 주파수 대역 및 파동은 펫 별로 상이할 수 있다. 펫 유도부(131)는 펫을 유도하기 위한 음향을 스피커(10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펫 유도부(131)는 유도 음향의 주파수 및 파동에 대응하는 디지털 출력을 출력하고 이때, 별도의 신호처리부(미도시)가 그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증폭하여 스피커(10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pet guidance unit 131 may output a s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ance sound') for guiding the pet. The sound frequency band and wave for guiding the pet may be different for each pet. The pet guidance unit 131 may output a sound for guiding the pet. A sound for inducing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00. At this time, the pet inducing unit 131 outputs a digital output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nd wave of the inducing sound, and at this time, a separate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The digital output can be amplified into an analog signal and provided to the speaker 1000.

펫 인식부(132)는 펫 유도부(131)가 음향을 출력하는 상황에서, 감지센서(230, 도 3 참조)를 이용해 펫이 드라이룸(200, 도 3 참조)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펫 인식부(132)가 펫이 드라이룸(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펫 유도부(131)는 유도 음향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The pet recognition unit 132 can use the detection sensor 230 (see FIG. 3) to determine whether the pet is located inside the dry room 200 (see FIG. 3) when the pet guidance unit 131 outputs a sound. there is. In response to the pet recognition unit 132 determining that the pet is located in the dry room 200, the pet guidance unit 131 may stop outputting the guidance sound.

통신부(133)는 외부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미도시)과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통신부(133)를 통해 펫을 유도할 것을 펫 유도부(131)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펫의 종류를 지정하고, 펫 유도부(131)는 유저가 지정한 펫에 대응하는 유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3 may provid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eg, smartphone, not shown). The user may instruct the pet guidance unit 131 to guide the pe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3. At this time, the user specifies the type of pet, and the pet inducing unit 131 can output an induc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et designated by the user.

저장부(134)는 유도 음향을 펫의 종류 별로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4 can store guided sounds for each type of pet.

이 같이 본 발명은 펫을 자동으로 드라이룸(200)에 유도하는 음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수고로움이 없이 펫을 드라이품(200)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that automatically guides the pet into the dry room 200, thereby allowing the pet to enter the dry room 200 without the user's effort.

100 : 본체부
101 : 출입구
102 : 외부방출홀
110 : 드라이 통로
120 : 에어 통로
130 : 제어부
140 : 제1 배출부
150 : 제2 배출부
200 : 드라이룸
210 : 드라이홀
220 : 에어커튼홀
230 : 감지센서
240 : 필터
250 : 원적외선 방출기
300 : 블로워
400 : 가이드 브라켓
410 : 개방홀
450 : 가이드 프레임
451 : 상부 프레임
452 : 중부 프레임
453 : 하부 프레임
500 : 리니어 모터
1000 : 스피커
130a : 제어부
131 : 펫 유도부
132 : 펫 인식부
133 : 통신부
134 : 저장부
100: main body
101: Entrance
102: external emission hole
110: Dry passage
120: Air passage
130: control unit
140: first discharge unit
150: second discharge unit
200: Dry room
210: dry hole
220: Air curtain hole
230: detection sensor
240: filter
250: Far-infrared ray emitter
300: blower
400: Guide bracket
410: open hole
450: Guide frame
451: upper frame
452: Central frame
453: lower frame
500: Linear motor
1000: Speaker
130a: control unit
131: Pet Judo Department
132: Pet recognition unit
133: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34: storage unit

Claims (4)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출입구(101)가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과 하부측에 형성된 드라이홀(210) 및 출입구(101) 측 상부에 에어커튼홀(220)이 형성되는 드라이룸(2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면과 상기 드라이룸(20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3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면과 상기 드라이룸(20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30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드라이 통로(110)를 통해 상기 드라이홀(210)로 에어를 공급 또는 에어 통로(120)를 통해 상기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하는 가이드 브라켓(4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고, 펫 유도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30a);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400)은 양측이 일정 부분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홀(41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40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개방홀(410)이 드라이홀(210) 또는 에어커튼홀(220)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130a)는
유도 음향을 출력하는 펫 유도부(131),
상기 펫 유도부(131)가 음향을 출력하는 상황에서, 감지센서(230)를 이용해 펫이 드라이룸(200)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펫 인식부(132),
외부 단말과 연결되어 유저가 상기 펫 유도부(131)를 통해 펫을 유도할 것을 지시하는 통신부(133), 및
유도 음향을 펫의 종류 별로 저장하는 저장부(134)를 포함하는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
A main body portion 100 with an entrance 101 formed in an open front shape;
A dry room 2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having a dry hole 210 formed on the side and lower side and an air curtain hole 22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101;
A blower 300 provided betwee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supplies air by sucking in external air;
It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ar of the dry room 200, and receives air from the blower 300 to supply air to the dry hole 210 through the dry passage 110. A guide bracket 400 that supplies air to the air curtain hole 220 through the air passage 120;
It includes a control unit 130a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which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guide bracket 400 and performs a pet guidance operation,
The guide bracket 400 is provided with an open hole 410 that is formed to be partially open on both sides, and the open hole 410 is opened as a dry hole 210 or an air curtain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guide bracket 400. Supply air to the hole 220,
The control unit 130a is
A pet induction unit 131 that outputs an induction sound,
A pet recognition unit 132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et is located inside the dry room 200 using a detection sensor 230 when the pet guidance unit 131 outputs a sound;
A communication unit 133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instructs the user to guide the pet through the pet guidance unit 131, and
A pet dry robot with a built-in pet guidance function, including a storage unit 134 that stores guidance sounds for each type of p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000)가 상기 드라이룸(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 pet dry robot with a built-in pet guida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peaker 1000 that outputs the guidance sound is provided inside the dry room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펫 인식부(132)가 펫이 상기 드라이룸(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펫 유도부(131)는 유도 음향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의 유도 기능이 내장된 펫 드라이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pet guidance unit 131 has a built-in pet guida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et guidance unit 131 stops outputting the guidance sound in response to the pet recognition unit 132 determining that the pet is located in the dry room 200. Pet dry robot.




KR1020210058741A 2021-05-06 2021-05-06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KR102585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41A KR102585152B1 (en) 2021-05-06 2021-05-06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41A KR102585152B1 (en) 2021-05-06 2021-05-06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66A KR20220151466A (en) 2022-11-15
KR102585152B1 true KR102585152B1 (en) 2023-10-05

Family

ID=8404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41A KR102585152B1 (en) 2021-05-06 2021-05-06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87A1 (en) 2018-09-29 2020-04-02 Lg Electronics Inc. Pet bath
KR102137572B1 (en) 2019-12-10 2020-07-28 주식회사 펫쿤 Total care system for pe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817A (en) * 2003-12-17 2004-07-30 배영환 cleansing device and method for pet
KR20140040326A (en) * 2012-09-25 2014-04-03 윤태수 Hair Drying, Skin Treatment, Psychotherapy Healing System and Equipment for Pets
KR20180038701A (en) * 2016-10-07 2018-04-17 이신호 Hair drying apparatus for pets
KR20200135675A (en) * 2019-05-24 2020-12-03 쿠쿠전자 주식회사 Pet dr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87A1 (en) 2018-09-29 2020-04-02 Lg Electronics Inc. Pet bath
KR102137572B1 (en) 2019-12-10 2020-07-28 주식회사 펫쿤 Total care system for p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66A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4950A1 (en) Air filtr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n animal housing
US4087925A (en) Hand drier
KR102242771B1 (en) Window type Air cleaner
KR100577214B1 (en) air-cleaner having ventilation
KR101680824B1 (en) Pet dry room
US20110281514A1 (en) Apparatus for directing air flow in a biological safety cabinet
BRPI0604465A (en) road cleaning unit and the like
CN106662350A (en) Air purifier and appliance having air purifying functionality
KR102308237B1 (en)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5152B1 (en) Pet dryer with built-in pet induction function
KR101966438B1 (en)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KR102585153B1 (en) Pet management robot with human interaction function
KR102592364B1 (en) Automatic Pet Dryer
US20130071300A1 (en) Bills-only sterilizer
DE202005007406U1 (en) Device for cleaning and / or sterilizing mattresses
KR100983811B1 (en) Air duct system for cafeteria
KR20180123823A (en) An air circulator
KR20200085172A (e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sterilization function and ultra fine dust collecting efficiency
KR20110132176A (en) Air shield generator
US20180015196A1 (en) Attachable and movable deodorizer for enclosed space
KR20220088028A (en) Pet house
KR20070093788A (en) A drying machine for a pet
KR102239047B1 (en) Pet drying room to maintain negative pressure
JP3901428B2 (en) Ventilator for kitchen equipment
US20040120846A1 (en) Fungus abat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