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67B1 -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67B1
KR102585067B1 KR1020180055386A KR20180055386A KR102585067B1 KR 102585067 B1 KR102585067 B1 KR 102585067B1 KR 1020180055386 A KR1020180055386 A KR 1020180055386A KR 20180055386 A KR20180055386 A KR 20180055386A KR 102585067 B1 KR102585067 B1 KR 10258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l
content
list
medi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04A (ko
Inventor
김정익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웨어 filed Critical (주)엠아이웨어
Priority to KR102018005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로그인 및 해킹 여부를 체킹하는 단계와, 가상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레퍼럴(referrer) URL, 컨텐츠 제목 및 컨텐츠의 생산 연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레퍼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URL Resolver, Media Checker를 통해 상기 가상 URL을 확인하여,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의 컨텐츠 제목, 연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Search Media Meta Info)를 획득하는 단계와,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 메타 정보 및 데이터와 새로 획득된 미디어 메타 정보 및 새로 획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하여 장르 별, 연도 별 VOD 리스트 파일(List File)을 생성하는 단계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리스트 정보 및 리스트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에 업로드 하는 단계와, 수행된 작업의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SERVER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SECURING CONTENT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보하여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IP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분배 센터 또는 통신국에 케이블 모뎀 종단 장치를 설치하고, 가입자 댁내 장치에는 케이블 모뎀을 설치하고, CMTS와 케이블 모뎀을 HFC 망으로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케이블 모뎀에 셋 탑 박스를 더 연결하거나, 또는 유저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 방송(이하“IP(internet protocol)TV”라 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PTV 서비스는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의 방송 사업자와, 인터넷 시장의 콘텐츠 공급자(CP: Contents Provider)의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에 따른 통신과 방송이 융합된 형태의 양방향 TV 콘텐츠를 광대역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IP 셋탑 박스(STB)에 연결된 TV가 오디오, 비디오, 패킷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턴 패스(return path) 개념으로 양방향 통신 채널을 부수적으로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하게(interactive) TV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17662A(IPTV 서비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콘텐츠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본 발명은 컨텐츠 싱크 서비스(Contents Sync Service)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간마다 소스 매니저에 등록된 소스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소스 베이스(Source Base)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 목록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로그인 및 해킹 여부를 체킹하는 단계와, 가상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레퍼럴(referrer) URL, 컨텐츠 제목 및 컨텐츠의 생산 연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레퍼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URL Resolver, Media Checker를 통해 상기 가상 URL을 확인하여,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의 컨텐츠 제목, 연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Search Media Meta Info)를 획득하는 단계와,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 메타 정보 및 데이터와 새로 획득된 미디어 메타 정보 및 새로 획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하여 장르 별, 연도 별 VOD 리스트 파일(List File)을 생성하는 단계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리스트 정보 및 리스트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에 업로드 하는 단계와, 수행된 작업의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레퍼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퍼럴 URL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가상 URL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의 가상 URL을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획득된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를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URL에서 URL 추출기(URL extractor)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URL Resolver Factory로부터 입력된 가상 URL을 처리할 수 있는 URL 추출기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URL 추출기 객체의 획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URL 추출기를 찾지 못한 경우,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할 수 있다. URL 추출기를 찾은 경우, 획득한 URL 추출기의 Get Media URL 메소드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되지 않으면,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된 경우, 획득된 컨텐츠 URL을 URL result 객체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컨텐츠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소스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매니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웹 상의 소스(Source) 객체들을 관리하고, 각 소스에 대한 정보 및 재생 가능한 가상 URL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URL 추출부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RL 추출부는 상기 소스 매니저에 의해서 상기 웹 상에서 취합된 소스의 가상 URL로부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는 상기 웹 상의 컨텐츠의 제목, 연도, 장르 등의 미디어 메타 정보를 수집하되, 포털 사이트, 영화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의 장르, 연도, 제목, 포스터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디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판단부는 상기 URL 추출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부는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입력된 시간 주기에 맞춰 컨텐츠 항목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항목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유틸리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제공부는 상기 소스 매니저, 상기 URL 추출부, 상기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 상기 미디어 판단부 및 상기 업데이트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String, URL, File, Conver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은, 컨텐츠 싱크 서비스(Contents Sync Service)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간마다 소스 매니저에 등록된 소스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은,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은, 소스 베이스(Source Base)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 목록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컨텐츠 목록을 확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상 URL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확보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채널 편집 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 활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IPTV 채널 서버 웹 사이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Json 포맷의 채널 목록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또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구성과 B 구성이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A 구성과 B 구성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IPTV 시스템은 서버(100), 복수의 단말(200),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400) 및 상기 서버(100), 단말(200) 및 컨텐츠 제공자(4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일 예로서, 인터넷망 또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110), 어플리케이션부(120) 및 어플리케이션부(120)에 의해 수집, 판단 및 분류된 컨텐츠의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PHY 계층 유닛(physical layer unit) 및 컨트롤러(controller)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파워(power)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HY 계층 유닛은 다른 통신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다른 통신 노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 유닛은 PHY 계층 유닛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PHY 계층 유닛과 컨트롤러 유닛은 하나의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소스 매니저(121, Source Manager),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추출부(122, URL resolver), 유틸리티 제공부(123), 미디어 메타정보(media meta info) 수집부(124), 미디어 판단부(125) 및 업데이트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컨텐츠의 확보를 위한 것으로, 컨텐츠 싱크 서비스(Contents Sync Service)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간마다 소스 매니저에 등록된 소스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소스 매니저(121)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웹 상의 소스(Source) 객체들을 관리하고, 각 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웹 상의 소스들은 소스 베이스(Source Base) 객체를 상속 받는 객체들로 이루어져 있다. 소스 베이스(Source Base)는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웹 사이트들의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소스 매니저(121)는 데이터의 파싱 결과에 따라 재생 가능한 가상(Virtual) URL을 획득할 수 있다.
 URL 추출부(122)는 소스 매니저(121)에 의해서 웹 상에서 취합된 소스의 가상(virtual) URL로부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을 추출할 수 있다.
유틸리티 제공부(123)는 소스 매니저(121), URL 추출부(122),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124), 미디어 판단부(125) 및 업데이트부(126)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String, URL, File, Conver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124)는 웹 상의 컨텐츠의 제목, 연도, 장르 등의 미디어 메타 정보(Media Meta Info)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124)는 포털 사이트, 영화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의 장르, 연도, 제목, 포스터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집된 컨텐츠의 장르, 연도, 제목, 포스터 등의 정보는 카테고리 별 분류 및 동일 컨텐츠 비교에 사용될 수 있다.
 미디어 판단부(125)는 URL 추출부(122)에서 추출된 컨텐츠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126)는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입력된 시간 주기에 맞춰 컨텐츠 항목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항목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컨텐츠 목록을 확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목록의 확보는 소스 매니저(121)에 등록된 소스 베이스(Source Base) 객체를 상속한 클래스 객체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소스 베이스(Source Base)는 다음의 절차를 통해서 컨텐츠 목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 목록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20)는 로그인(login) 및 DDOS 체크(Check)를 수행할 수 있다(S10). 이때, 별도의 쿠키 정보가 있어야만 정상 적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쿠키 획득 및 쿠키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사이트 내 HTML을 파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Virtual) URL, 획득 가능한 레퍼럴(referrer) URL, 컨텐츠 제목 및 컨텐츠의 생산 연도(Option)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Info) 객체 리스트(List)를 획득 및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최소 동작 시에는 모든 정보를 획득하며, 기존 데이터가 있는 경우 레퍼럴 URL을 통해 새로운 컨텐츠만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11).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획득된 객체 리스트(레퍼럴 리스트)에 포함된 레퍼럴 URL에 접근하여 가상 URL을 획득할 수 있다(S12). 이때, 가상 URL은 URL Resolver, Media Checker를 통해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재생 가능한 컨텐츠의 가상 URL을 객체 리스트(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레퍼럴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의 컨텐츠 제목, 연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Search Media Meta Info)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Search Media Meta Info)를 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S13).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서버(100)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 메타 정보 및 데이터와 새로 획득된 미디어 메타 정보 및 새로 획득된 데이터를 비교한 후, 두 미디어 메타 정보를 머지(merge)한 후, 최종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하여 모든 장르 별, 연도 별 VOD 리스트 파일(List File)을 생성할 수 있다(S14).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리스트 정보 및 리스트 파일을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30)에 업로드 할 수 있다(S15).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수행된 작업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하고,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S16).
도 5는 가상 URL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가상 URL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0).
이어서, 입력된 가상 URL에서 URL 추출기(URL extractor)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S21). 이때, URL Resolver Factory로부터 입력된 가상 URL을 처리할 수 있는 URL 추출기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URL 추출기 객체의 획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
S22의 판단 결과, URL 추출기를 찾지 못한 경우, 어플리케이션부(120)는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할 수 있다(S23).
한편, S22의 판단 결과, URL 추출기를 찾은 경우, 어플리케이션부(120)는 획득한 URL 추출기의 Get Media URL 메소드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할 수 있다(S24).
이후,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5).
S25의 판단 결과,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할 수 있다(S23).
한편, S25의 판단 결과,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된 경우, 어플리케이션부(120)는 획득된 컨텐츠 URL을 URL result 객체에 설정할 수 있다(S26).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Json Data를 반환할 수 있다(S27).
여기서, URL Result Json Data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URL Info Json Data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penload, Streamango, Daylimotion 등의 Resolver들은 URL 추출기(URL Extractor)를 상속하고, 가상 URL의 매칭 여부 판단,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RL 추출기는 다음의 표 3과 같은 메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확보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확보된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은 다음의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20)는 가상 URL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0).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입력된 가상 URL을 확인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
S31의 판단 결과, 가상 URL에 에러가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입력된 가상 URL은 재생이 되지않는 컨텐츠로 판단하고, 이를 스킵할 수 있다(S32).
S31의 판단 결과, 가상 URL에 에러가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컨텐츠 URL을 확인할 수 있다(S33).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확인이 이루어진 컨텐츠 URL의 타입(type)를 판단할 수 있다(S34). 이때, 컨텐츠 URL의 타입이 심플(simple)인지 또는 미디어 정보(Media Info)인지 판단할 수 있다(S34).
이어서, 어플리케이션부(120)는 타입에 따라서 Simple Checker 또는 Media Info 모듈을 통해 재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컨텐츠 URL의 타입 심플(simple)인 경우, Simple Checker를 이용하여 컨텐츠 URL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
이어서, S35의 판단 결과, 재생이 가능한 컨텐츠 URL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S36).
한편, S35의 판단 결과, 재생이 불가능한 컨텐츠 URL로 판단되면 해당 컨텐츠 URL을 스킵할 수 있다(S32).
Simple Checker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컨텐츠의 경우에만 사용 가능할 수 있다. HTTP 연결 응답 헤더의 “Content-Type”이 Media 컨텐츠 타입 인지를 체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반면, 정확도가 낮고, Audio, Video Stream 존재 여부 판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S34의 판단 결과, 미디어 정보(Media Info)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Open source 미디어 정보(Media Info)를 사용하여 컨텐츠 URL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
여기서, 타입이 Simple Checker로 설정되어 있어도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디어 정보(Media Info) 모듈을 사용하여 컨텐츠 URL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7의 판단 결과, 재생이 가능한 컨텐츠 URL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S36).
한편, S37의 판단 결과, 재생이 불가능한 컨텐츠 URL로 판단되면 해당 컨텐츠 URL을 스킵할 수 있다(S32).
여기서, 미디어 정보(Media Info) 모듈을 사용하면 정확도가 높고, Audio, Video Stream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컨텐츠 URL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의 개발 환경은 일 예로서 다음과 같은 수 있다.
- Eclipse Java EE IDE for Web Developer v4.7.1a
- Java 1.8
- Media Info v18.03.1
컨텐츠 URL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의 실행 환경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Media Info 사용 시: Windows 7 이상 & Java 1.8
- Media Info 미사용 시: Java 1.8 이 동작되는 모든 OS
도 7은 채널 편집 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 활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IPTV 채널 서버 웹 사이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Json 포맷의 채널 목록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IPTV 시스템은 웹 기반의 프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관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IPTV Channel 서버의 기능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IPTV Channel 서버는 프리 컨텐츠 URL 목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리 컨텐츠 URL 관리 및 URL 목록을 지정된 Set-top Box 등의 재생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실제 기 상용화 된 quad-core 기반 IPTV set-top box(Smart6.1)의 업그레이드 제공된 소프트웨어(software)는 Special IPTV 섹션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Special IPTV 섹션의 목록 IPTV Channel Server로부터 목록을 온라인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IPTV 채널 서버는 트랜스 코딩(Trans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IPTV 채널 서버는 프리 컨텐츠 URL로부터 스트림을 입력 받는다. 입력 받은 프리 컨텐츠 URL에 기초하여 실시간 transcoding을 수행하고, 변환된 영상 스트림을 CDN 서비스를 통해 개별 유저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채널의 경우 재생 장치에서 받아들이는 URL은 본 Server 시스템이 될 수 있다. Transcoding의 경우 서버 리소스(CPU, 메모리)와 네트워크 리소스의 부하가 이슈가 될 수 있다. Passthrough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것은 입력되는 스트림을 그대로 출력하는 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첫째 CPU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둘째 원 소스 스트림의 URL을 감출 수 있으며, 셋째 원 소스 제공 서버에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특징은 다수의 유저가 원 소스 서버에 접속하다가 그 부하로 인해 영상 제공이 끊기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Passthourgh 옵션을 사용하면 CPU 부하는 줄일 수 있으나, 여전히 네트워크 부하 우려가 있다. 이런 경우 상용 CDN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CDN 서비스의 구현 환경은 일 예로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Operating System: Ubuntu Linux 16.04
- Web Service Engine: nginx with rtmp module & php7.0-fpm(FastCGI Process Manager) socket
- Transcoding tool: ffmpeg package
트랜스코딩은 웹 서비스가 ffmpeg package의 linux 명령어를 호출하여 실행될 수 있다. Ubuntu Linux 환경에서 웹 서버인 nginx의 worker process는 root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하에서는 ffmpeg을 정상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worker process 실행 user(예: www-data)에 명령 실행 권한을 부여하게끔 설정할 수 있다. ffmpeg의 기본 실행 옵션은 다음과 같다.
ffmpeg -i <소스 URL> <비디오, 오디오 변환 옵션> <target URL>. 이때, target URL은 -f flv 옵션과 Adobe사의 프로토콜인 rtmp 로 MRL(Media Resource Locator)를 구성할 있다. 이 경우, 유저에게 제공되는 URL은 rtmp://<hostname>/... 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TV 채널 서버는 프리 컨텐츠 채널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채널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채널은 채널 명, URL, 썸네일 URL로 구성될 수 있다. 썸네일 URL은 아이콘 이미지의 위치인데, 채널명과 함께 유저가 보는 화면에서 개별 항목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운영 시 썸네일 URL은 관리자가 별도로 확보하여야 한다. Set-top Box에서 http의 POST 방식으로 전체 채널 목록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조합을 base 64 hashing 방식의 암호화를 지원할 수 있다. 리턴은 JSON 포맷의 text script를 결과로 돌려주는 방식일 수 있다. IPTV 채널 서버는 JSON 포맷을 이용하여 채널 목록을 유저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채널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팅의 일 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은, 컨텐츠 싱크 서비스(Contents Sync Service)를 사용하여 지정된 시간마다 소스 매니저에 등록된 소스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베이스(Source Base)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 목록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서버 200: 단말
300: 네트워크 400: 컨텐츠 제공자
110: 통신부 120: 어플리케이션부
130: 데이터 베이스 121: 소스 매니저
122: URL 추출부 123: 유틸리티 제공부
124: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 125: 미디어 판단부
126: 업데이트부

Claims (14)

  1. 로그인 및 해킹 여부를 체킹하는 단계;
    가상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레퍼럴(referrer) URL, 컨텐츠 제목 및 컨텐츠의 생산 연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레퍼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URL Resolver, Media Checker를 통해 상기 가상 URL을 확인하여,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의 컨텐츠 제목, 연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Search Media Meta Info)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 메타 정보 및 데이터와 새로 획득된 미디어 메타 정보 및 새로 획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최종 컨텐츠 리스트에 기초하여 장르 별, 연도 별 VOD 리스트 파일(List File)을 생성하는 단계;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리스트 정보 및 리스트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에 업로드 하는 단계; 및
    수행된 작업의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URL에서 URL 추출기(URL extractor)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하고,
    URL Resolver Factory로부터 입력된 가상 URL을 처리할 수 있는 URL 추출기 객체를 획득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퍼럴 URL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업데이트 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URL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의 가상 URL을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획득된 서치 미디어 메타 정보를 상기 레퍼럴 리스트에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추출기 객체의 획득 여부를 판단하고,
    URL 추출기를 찾지 못한 경우,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하고,
    URL 추출기를 찾은 경우, 획득한 URL 추출기의 Get Media URL 메소드를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을 시도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의 획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되지 않으면, URL Result를 통해 에러(Error) Json Data를 반환하고,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이 획득된 경우, 획득된 컨텐츠 URL을 URL result 객체에 설정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의 구동 방법.
  8.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컨텐츠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소스 매니저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매니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웹 상의 소스(Source) 객체들을 관리하고, 각 소스에 대한 정보 및 재생 가능한 가상 URL을 획득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URL 추출부는 포함하고,
    상기 URL 추출부는 상기 소스 매니저에 의해서 상기 웹 상에서 취합된 소스의 가상 URL로부터 재생 가능한 컨텐츠 URL을 추출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디어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판단부는 상기 URL 추출부에서 추출된 컨텐츠 URL에 연동된 컨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는 상기 웹 상의 컨텐츠의 제목, 연도, 장르 등의 미디어 메타 정보를 수집하되, 포털 사이트, 영화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의 장르, 연도, 제목, 포스터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부는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입력된 시간 주기에 맞춰 컨텐츠 항목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항목을 업데이트 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유틸리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틸리티 제공부는 상기 소스 매니저, 상기 URL 추출부, 상기 미디어 메타정보 수집부, 상기 미디어 판단부 및 상기 업데이트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String, URL, File, Convert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
KR1020180055386A 2018-05-15 2018-05-15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58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6A KR102585067B1 (ko) 2018-05-15 2018-05-15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6A KR102585067B1 (ko) 2018-05-15 2018-05-15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04A KR20190130804A (ko) 2019-11-25
KR102585067B1 true KR102585067B1 (ko) 2023-10-06

Family

ID=6873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86A KR102585067B1 (ko) 2018-05-15 2018-05-15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03B1 (ko) 2007-11-20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서비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34B1 (ko) * 2006-02-07 2007-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콘텐츠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823421B1 (ko) 2006-08-22 2008-04-17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콘텐츠 및 데이타송수신 방법
KR101711218B1 (ko) * 2010-11-2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315608B1 (ko) * 2011-09-27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909257B1 (ko) * 2011-12-30 2018-12-20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로부터 요청된 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03B1 (ko) 2007-11-20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서비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04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285B2 (en) System for managing media content
US103679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behavior using closed caption text
US8646013B2 (en) Identifying instances of media programming available from different content sources
US11153612B2 (en) Image sampling from multicast streams
US10971138B2 (en) Break state detection for reduced capability devices
US20240073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caching media content
US9215417B2 (en) Managing media content for a personal television channel
US20090089251A1 (en) Multimodal interface for searching multimedia content
US20150382061A1 (en) Spoiler mitigation methods and systems
CN101707635A (zh) 一种基于互联网的资源推送系统
US104256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eld tes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a flexible hierarchy structure
US11477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lastic cloud-based voice search utilized by set-top box (STB) clients
KR102585067B1 (ko) 컨텐츠 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버와 이의 구동 방법
US201601892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purchase of items displayed within video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