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849B1 -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849B1
KR102584849B1 KR1020210131004A KR20210131004A KR102584849B1 KR 102584849 B1 KR102584849 B1 KR 102584849B1 KR 1020210131004 A KR1020210131004 A KR 1020210131004A KR 20210131004 A KR20210131004 A KR 20210131004A KR 102584849 B1 KR102584849 B1 KR 10258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tin
weight
contact lens
parts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7767A (en
Inventor
박미정
김소라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849B1/en
Publication of KR2023004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보관 시에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이 안정적으로 저장되고, 사용자의 눈에 착용 시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효과적으로 각막에 방출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that can stably stor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when stored and effectively releas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into the cornea when worn on the user's eyes.

Description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es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es.

콘택트렌즈는 시력교정 및 미용 등의 목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6년에는 세계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수가 1억 2천 5백만 명에 달하였을 정도로 콘택트렌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콘택트렌즈 사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안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Contact lenses are used around the world for vision correction and cosmetic purposes. As the contact lens market continues to grow, the number of contact lens wearers worldwide reached 125 million in 2016, and the use of contact lense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Recently, contact lenses that can protect the eyes from oxidative stress and contact lenses that can minimize ocular side effects due to viral infections have been developed.

자외선으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각막의 표면에 있는 눈물층이 증발된다. 눈물층에 포함된 락토페린이라는 물질은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라지게 되고 그만큼 눈이 가지는 항산화력도 저하된다. 항산화 물질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자 기능성 식품 섭취, 직접 안약 점안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눈에서의 직접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기란 어려움이 있다.Ultraviolet rays increase oxidative stress, causing the tea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to evaporate. A substance called lactoferrin contained in the tear layer is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but as it disappears, the antioxidant power of the eyes decreases accordingly. Various methods, such as consuming functional foods and directly instilling eye drops, have been attempted to reduce oxidative stress through antioxidant substances, but it is difficult to demonstrate a direct antioxidant effect in the eyes.

콘택트렌즈의 사용은 각결막염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2020년에 발생한 'COVID-19 pandemic'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COVID-19(SARS-CoV-2)는 세포 진입을 위해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ACE2) 및 기타 보조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환자의 0.8%에서 결막충혈이 보고되었으며, SARS-CoV-2가 결막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고 추측하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The use of contact lenses is widely known as a risk factor for keratoconjunctivitis, and interest in viral infections is increas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occurred in 2020. COVID-19 (SARS-CoV-2) is assumed to us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and other accessory proteins for cell entry, in 0.8% of SARS-CoV-2 patients. Conjunctival injection has been reported, and some studies speculate that SARS-CoV-2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njunctiva.

따라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가능성 콘택트렌즈의 사용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인 'SARS-CoV-2'에 대한 결막의 보호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생각될 수 있다.Therefore, the use of contact lenses with antiviral activity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easures against viral infection, as it can be expected to play a protective role in the conjunctiva against 'SARS-CoV-2', a type of coronavirus.

한편, 소프트렌즈에 항생제를 삽입하여 치료용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국한되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소프트렌즈는 제조 후 완충용액에 보관되는데 유통 및 보관 중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력을 가지는 성분이 렌즈로부터 유리되지 않고 착용 후 각막 온도에서 유리된다면 최대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력을 기대할 수 있다. Meanwhile,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develop antibiotics for treatment by inserting them into soft lenses, but development is currently limited to substances used as medicines. In addition, soft lenses are stored in a buffer solution after manufacturing. If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nd antiviral properties are not released from the len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and are released at the corneal temperature after wearing, maximum antioxidant and antiviral properties can be expected.

따라서, 각막의 온도인 35 ℃에 반응하여 약물을 방출하는 '각막 온도 감응성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rneal temperature-sensitiv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that releases drugs in response to the cornea's temperature of 35°C.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보관 시에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이 안정적으로 저장되고, 사용자의 눈에 착용 시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효과적으로 각막에 방출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lens that can stably stor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when stored and effectively releas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into the cornea when worn on the user's eyes.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교차결합제,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 crosslinker,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ether diol, and an initiator. A polymer matrix comprising a polymer of; and a flavonoid compound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and containing rut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멀티액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lement antioxidant and antiviral multi-ac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사용자의 눈의 착용 시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leas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when worn on the user's eyes.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로딩된 루틴의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loaded into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4 to 9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ntact lense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erein, the unit “part by weight” may refer to the ratio of weight between each component.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eth)acrylate” is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acrylates and methacrylate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교차결합제,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 crosslinker,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ether diol, and an initiator. A polymer matrix comprising a polymer of; and a flavonoid compound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and containing rut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멀티액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lement antioxidant and antiviral multi-ac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사용자의 눈의 착용 시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leas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when worn on the user's eye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콘택트렌즈의 기본이 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콘택트렌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콘택트렌즈의 형태로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may include a polymer matrix that is the basis of the contact lens. That is, the polymer matrix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can be loaded into a polymer matrix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상기 중합용 용액을 중합하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용 용액을 열중합, 광중합 또는 건조함으로써,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제조 시간 및 제조 효율 측면에서, 상기 중합용 용액을 열중합하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be polymerized to form the polymer matrix. For example, the polymer matrix can be formed by thermally polymerizing, photopolymerizing, or drying the polymerization solution. At this time, in terms of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olymer matrix,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polymer matrix by thermally polymerizing the polymerization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용액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할 수 있다. 즉,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극성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를 함유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로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분자 내에 다수의 극성 관능기(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에테르기)를 포함하고 있어,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보다 용이하게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상기 교차결합제 및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보다 품질이 우수한 콘택트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include a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 as a monomer for forming the polymer matrix. Specifically,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contain a hydroxy group. That is,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contain a hydroxy group as a polar functional group. Whe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ing a hydroxy group is used, the polymer matrix can be effectively loaded with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Specifically, as described later,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contains a plurality of polar functional groups (e.g., hydroxy group, ether group) in the molecule,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containing the hydroxy group By using a monomer,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can be more easily loaded. In additio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contact lenses of higher quality.

한편,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극성 관능기로서, 카복실기, 아미드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히드록시기 이외에 다른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택트렌즈의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로딩 및 방출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극성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로딩 및 방출에 대하여 최적화된 단량체일 수 있다.Meanwhile,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a carboxyl group, amide group, or amine group as a polar functional group. However, whe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s a polar functional group other than a hydroxy group,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loading and release properties of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of the contact lens are deteriorated. That is,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ing a hydroxy group as a polar functional group may be a monomer optimized for the loading and release of the flavonoid compound including ruti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렌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히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수 4 이하의 알킬렌을 갖는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교차결합제 및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보다 효과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contain alkylene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Specifically,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compounds include hydroxy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hydroxybutyl (meth)acryl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ates. A (meth)acrylate-based compound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 having an alkylene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nd more effectively loads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into the polymer matrix. You can do it. In particular, as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2-hydroxyethyl methacrylate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85 중량부 이상 98.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87.5 중량부 이상 98.5 중량부 이하, 88 중량부 이상 98.5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 또는 90 중량부 이상 98.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에 포함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비타민 E를 효과적으로 로딩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각막 온도에 해당되는 약 34 ℃ 이상 36 ℃ 이하의 온도에서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콘택트렌즈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예를 들어, 함수율이 35% 내지 4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be 8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98.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Specifical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is 87.5 parts by weight to 98.5 parts by weight, 88 to 98.5 parts by weight, and 85 to 95 parts by weight.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9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98.5 parts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con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and vitamin E can be effectively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flavonoid compounds containing rutin can be effectively released at a temperature of about 34°C or more and 36°C or less, which corresponds to the human cornea temperature. In addition, the polymer matrix can easily achieve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contact lenses (for example, moisture content of 35% to 40%).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용액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콘택트렌즈로 사용하기에 용이한 물성을 가지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include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s a monomer for forming the polymer matrix. Specifically,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contain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there is. In particular, methyl acrylate can be used as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By using the above-described types of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s, a polymer matrix having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a contact lens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0.6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에 포함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콘택트렌즈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예를 들어, 함수율이 35% 내지 4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may be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Specifical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may be 0.6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8 parts by weight or less, or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7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con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olymer matrix has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a contact lens (for example, a moisture content of 35% to 40%) ) can be easily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용액은 교차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차결합제는 2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차결합제는 2 이상 4 이하, 또는 2 이상 3 이하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차결합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함유하는 교차결합제는,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two or more (meth)acrylate groups. Specifically, 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2 or more and 4 or less, or 2 or more and 3 or less (meth)acrylate groups. For example, 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he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two or more (meth)acrylate groups is compatible with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s including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and polyether diol. This is excellent, and a polymer matrix can be formed more stably.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교차결합제의 함량은,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교차결합제의 함량은 0.6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에 포함된 상기 교차결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콘택트렌즈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예를 들어, 함수율이 35% 내지 4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Specifical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0.6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8 parts by weight or less, or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7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con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olymer matrix can be stably formed, and the flavonoid compound including rutin can be more effectively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In addition, the polymer matrix can easily achieve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contact lenses (for example, moisture content of 35% to 40%).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용액은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포함되며,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각막 온도(예를 들어, 약 34 ℃ 이상 36 ℃ 이하)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수축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각막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팽윤하는 양상을 보이는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양상 변화는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가지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콘택트렌즈는 각막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저장되는 경우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인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콘택트렌즈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콘택트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어 각막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사용자의 각막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사용자의 눈의 착용 시에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멀티액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include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is included in the polymer matrix,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hrink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e.g., about 34°C or more and 36°C or less) and swell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It may be a compound that shows this pattern. Additionally, the change in aspec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reversible depending on temperature. By using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having the physical propertie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ct lens is stor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flavonoid compounds including rutin, an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 can be stably stored in the contact lens, When the contact lens is worn on the user's eye and reaches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user's cornea. Through this,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can effectively release antioxidant and antiviral substances when worn on the user's eyes, effectively implementing antioxidant and antiviral multi-a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폴리에테르계의 주쇄와 주쇄의 양 말단에 결합된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계 디올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포함하는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교차결합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콘택트렌즈에서의 저장 및 방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a polyether-based diol containing a polyether-based main chain and hydroxy groups bonded to both ends of the main chain.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ether-based diol may hav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and contact lenses of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depending on temperature Storage and releas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For example,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 [Formula 1]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는,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Pluronic F127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분자 구조의 주쇄 내에 다수의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고,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다수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로딩되는 양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uronic F127,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can be used as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s a plurality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of the molecular structure, and hydroxy groups are bonded to both ends, and thus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containing the hydroxy group and a plurality of hydroxy groups. It may hav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and can effectively suppress a decrease in the loading amount of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in the polymer matrix.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농도가 5 w/v% 이상 10 w/v%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은 용액의 형태로 상기 중합용 용액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 용제를 혼합할 수 있으며, 이때 용제로서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5 w/v% or more and 10 w/v% or less. That is,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mix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n the form of a solution. To prepare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olution,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nd a solvent can be mixed, and distilled water can be used as the sol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3.5 중량부 이상 1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함량은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에 포함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콘택트렌즈는 각막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각막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2.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Specifical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may be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or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2.5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ontact lens can stably stor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an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Flavonoid compounds containing the rutin can be effectively rel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5 내지 1: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7.5 내지 1:19, 1:8.5 내지 1:19, 1:5 내지 1:12.5, 또는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may be 1:5 to 1:20. Specifically, the weight ratio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is 1:7.5 to 1:19, 1:8.5 to 1:19, and 1:5 to 1. :12.5, or 1:10 to 1:20.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과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콘택트렌즈에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로딩할 수 있고, 상기 콘택트렌즈는 각막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각막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When the weight ratio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can be effectively loaded into the contact lens, The contact lens can stably stor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and can effectively release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교차결합제와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중량비는 1:5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교차결합제와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중량비는 1:6 내지 1:13, 1:5 내지 1:8, 또는 1:10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용액에 포함된 상기 교차결합제와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중량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이 보다 균질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콘택트렌즈는 각막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각막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may be 1:5 to 1:15. Specifically, the weight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may be 1:6 to 1:13, 1:5 to 1:8, or 1:10 to 1:15.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ed in the polymerizable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an be more homogeneously provided in the polymer matrix, and through this, the contact lens can operate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At low temperatures, the flavonoid compounds containing rutin can be stably stored, and at temperatures higher than the corneal temperature, the flavonoid compounds containing rutin can be effectively rel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시제는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을 중합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개시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제로서 당업계에서 이용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시제는 아조디이소부틸로나이트릴(AIBN), 벤조인 메틸 에테르(BME),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디메톡시페닐 아세토페논(DMPA),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enone, DMPA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시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tor may be a photoinitiator or a thermal initiator. Depending on the method of polymerizing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type of the initiator can be selected, and any initiator used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initiator may be azodiisobutyronitrile (AIBN), benzoin methyl ether (BME), 2,5-dimethyl-2,5-di-(2-ethylhexanoylperoxy)hexane, dimethy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oxyphenyl acetophenone (DMPA) and 2,2-dimethoxy-2-phenylacetop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enone, DMPAP). However, the type of initiator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용 용액에 포함된 상기 개시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중합용 용액으로부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initiator may be 0.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7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When the content of the initiator con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olymer matrix can be stably formed from the polymerization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된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적어도 루틴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루틴일 수 있다. 상기 콘택트렌즈는 천연물질인 루틴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멀티액션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루틴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may include a flavonoid compound including the rutin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Specifically, the flavonoid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rutin, and more specifically, the flavonoid compound may be rutin. By containing rutin, a natural substance, the contact lenses can implement multi-actions of antioxidant and antiviral properties. The rutin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루틴은 퀘르세틴(quercetin) 3번 탄소에 '루티노스(글루코스와 람노스로 이루어진 2당류)'가 결합한 배당체에 해당한다. 즉, 상기 콘택트렌즈는 배당체의 형태인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Rutin corresponds to a glycoside in which ‘rutinose (a disaccharide consisting of glucose and rhamnose)’ is bound to carbon 3 of quercetin. That is, the contact lens may contain rutin in the form of a glyco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는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농도는 50 μM 이상 200 μM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용액의 형태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는 상기 루틴의 농도는 50 μM 이상 200 μM 이하, 100 μM 이상 200 μM 이하, 150 μM 이상 200 μM 이하, 또는 200 μM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시킬 상기 루틴의 농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루틴이 효과적으로 로딩될 수 있고, 상기 콘택트렌즈가 사용자의 눈의 착용 시에 효과적으로 루틴을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flavonoid compound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may be 5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That is, the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the rutin can b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in the form of a solution.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the rutin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may be 5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10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15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or 200 μM.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rutin to b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utin can be effectively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and the contact lens can effectively release the rutin when worn on the user's eye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농도는 10 μM 이상 40 μM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이 완료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루틴의 농도는 10 μM 이상 40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상기 루틴의 농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콘택트렌즈는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멀티액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flavonoid compound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may be 10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rutin contained in the contact lens after loading into the polymer matrix may be 10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When the concentration of rutin contained in the contact lens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ontact lens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multi-action of antioxidant and antiviral.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는 비타민 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E는 소수성 물질로서, 상기 콘택트렌즈에 로딩되어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급격히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배리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비타민 E를 로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를 사용자의 눈에 착용 시에 단기간에 루틴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루틴의 방출 시간을 지연시켜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효과를 보다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may further include vitamin 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Vitamin E is a hydrophobic material that can be loaded into the contact lens and act as a barrier to prevent rapid release of the flavonoid compound. That is, by loading vitamin E into the polymer matrix, it prevents a large amount of rutin from being relea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hen the contact lens is worn on the user's eyes, and delays the release time of rutin to enhance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effects. I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되는 비타민 E의 농도는 0.2 w/v% 이상 1.0 w/v%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시킬 비타민 E의 농도는 0.2 w/v% 이상 0.8 w/v% 이하, 0.2 w/v% 이상 0.6 w/v% 이하, 0.2 w/v% 이상 0.4 w/v% 이하, 또는 0.2 w/v%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로딩시킬 비타민 E의 농도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루틴의 방출 시간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의 효과를 보다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타민 E의 농도가 1.0 w/v%를 초과하는 경우, 콘택트렌즈의 표면이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may be 0.2 w/v% or more and 1.0 w/v% or less.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to b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is 0.2 w/v% or more and 0.8 w/v% or less, 0.2 w/v% or more and 0.6 w/v% or less, and 0.2 w/v% or more and 0.4 w/v. % or less, or 0.2 w/v%. Whe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to be loaded into the polymer matrix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elease time of rutin can be effectively delayed, and the antioxidant and antiviral effects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Meanwhile, if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exceeds 1.0 w/v%, the problem of clouding of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용액을 중합하여 콘택트렌즈 형태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고분자 매트릭스를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침지시켜 로딩할 수 있다. 즉, 콘택트렌즈를 루틴 용액에 담가 물리적인 방법으로 로딩하는 것으로, 이는 콘택트렌즈가 팽창을 하면서 루틴 용액이 내부로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루틴이 로딩된 콘택트렌즈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비타민 E를 로딩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를 비타민 E 용액에 담가 로딩시킨 후, 건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be polymerized to form a polymer matrix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and the polymer matrix may be loaded by immersing it in a flavonoid compound containing rutin. In other words, the contact lens is loaded in a physical manner by immersing it in the rutin solution, which allows the contact lens to expand and contain the rutin solution inside. Afterwards, the contact lenses loaded with routine can be dried. Similarly to the above, in order to load vitamin E, contact lenses can be loaded by immersing them in a vitamin E solution and then dried.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Example

재료ingredient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는 Lotte chemica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MA), 교차결합제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온도 감응성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Pluronic F-127, 열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광 개시제인 DMPAP(2,2-Dimethoxy-2-Phenylacetopenone), 루틴은 Sigma-Aldrich, USA에서 구매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는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에서 구매하였다.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 (meth)acrylate-based monomer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 was purchased from Lotte chemical, Korea. Methyl acrylate (MA),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 cross-linking agent, and Pluronic,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bove. F-127,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 thermal initiator, 2,2-Dimethoxy-2-Phenylacetopenone (DMPAP) as a photoinitiator, and rutin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SA.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was purchased from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Reference Example 1 to Reference Example 4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및 AIBN을 10ml 바이알에 넣고 마그네틱바로 10분 교반하여, 중합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HEMA의 함량은 98.1 중량부, MA의 함량은 0.6 중량부, EGDMA의 함량은 0.8 중량부, AIBN의 함량은 0.5 중량부로 조절하였다. 이는 38%의 함수율을 가지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함이다.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methyl acrylate (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nd AIBN were placed in a 10 ml vial and stirred with a magnetic bar for 10 minutes to prepare a polymerization solution. At this tim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HEMA was adjusted to 98.1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MA was adjusted to 0.6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EGDMA was adjusted to 0.8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AIBN was adjusted to 0.5 parts by weight. This is to manufacture contact lenses with a moisture content of 38%.

이후,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몰드(Plano, BC 8.6, DIA 14.2)에 교반된 중합용 용액을 78μl씩 동일하게 주입하고, 오븐(Wise oven, DAIHAN scientific, Korea)에서 120℃의 온도에서 50분 동안 열중합하였다. 중합이 끝난 콘택트렌즈는 PBS(pH 7.4)에서 24시간 수화시켰다. 수화 과정이 끝난 렌즈는 실온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Afterwards, 78 μl of the stirred polymerization solution was equally injected into a mold for soft contact lenses (Plano, BC 8.6, DIA 14.2), and heated in an oven (Wise oven, DAIHAN scientific, Korea) at a temperature of 120°C for 50 minutes. polymerized. After polymerization, the contact lenses were hydrated in PBS (pH 7.4) for 24 hours. After the hydration process was completed, the lenses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루틴의 농도가 200μM인 저장 용액(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50μM, 100μM, 150μM, 200μM로 농도가 상이한 루틴 용액을 제조하였다. 농도가 상이한 루틴 용액을 10ml 바이알에 각각 1.5ml씩 담고 건조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각 바이알에 1개씩 넣어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24시간 로딩을 시켰다. 로딩이 끝난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렌즈 전, 후면에 묻어있는 루틴 용액을 1.5ml의 PBS로 washing한 후 빛을 차단한 실온에 24시간 건조시켰다.After preparing a stock solution with a rutin concentration of 200 μM, rutin solu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0 μM, 100 μM, 150 μM, and 200 μM were prepared. Rutin solution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placed in 10 ml vials, 1.5 ml each, and one dried soft contact lens was placed in each vial and loaded for 24 hours while blocking light. After loading the soft contact lenses, the rutin solution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lenses was washed with 1.5 ml of PBS and dried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blocking light.

참고예 1은 50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2는 100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3은 150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4는 200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다.Reference Example 1 used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50 μM for loading, Reference Example 2 used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100 μM for loading, Reference Example 3 used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150 μM for loading, and Reference Example 4 used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200 μM. A routine solution of similar concentration was used for loading.

중합용 용액 (중량부)Solution for polymerization (parts by weight) 루틴 용액 농도(μM)Rutin solution concentration (μM) HEMAHEMA MAM.A. EGDMAEGDMA AIBNAIBN 참고예 1Reference example 1 98.198.1 0.60.6 0.80.8 0.50.5 5050 참고예 2Reference example 2 98.198.1 0.60.6 0.80.8 0.50.5 100100 참고예 3Reference example 3 98.198.1 0.60.6 0.80.8 0.50.5 150150 참고예 4Reference example 4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참고예 5 내지 참고예 9Reference Example 5 to Reference Example 9

비타민E는 0.2g, 0.4g, 0.6g, 0.8g, 1.0g씩 각각 에탄올 10 ml에 넣고 20초 동안 볼텍싱(voltexing) 후 마그네틱바로 5분 동안 섞어 0.2 w/v%, 0.4 w/v%, 0.6 w/v%,0.8 w/v%, 1.0 w/v%농도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농도별 비타민E 용액을 각각 10ml 바이알에 1.5ml씩 넣고,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루틴이 로딩되지 않은 콘택트렌즈를 각 바이알에 1개씩 넣어 24시간 동안 비타민 E를 로딩시켰다. 비타민E의 로딩이 끝난 콘택트렌즈는 표면에 묻어 있는 비타민E를 에탄올과 증류수 순으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건조가 끝난 비타민E가 로딩된 콘택트렌즈는 각각 1.5ml의 200μM의 루틴 용액에 24시간 담구어 로딩하였다. 로딩이 끝난 후 각 콘택트렌즈는 1.5ml의 PBS로 세척한 후 빛을 차단한 실온에 24시간 건조시켰다.Add 0.2g, 0.4g, 0.6g, 0.8g, and 1.0g of vitamin E to 10 ml of ethanol, vortex for 20 seconds, and mix with a magnetic bar for 5 minutes to obtain 0.2 w/v%, 0.4 w/v%. , prepared at concentrations of 0.6 w/v%, 0.8 w/v%, and 1.0 w/v%. 1.5 ml of the prepared vitamin E solution of each concentration was added to each 10 ml vial, and one contact lens not loaded with rutin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as added to each vial to load vitamin E for 24 hours. After loading the contact lenses with vitamin E, the vitamin E on the surface was washed with ethanol and distilled water in that orde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he dried vitamin E-loaded contact lenses were each soaked in 1.5 ml of 200 μM rutin solution for 24 hours. After loading, each contact lens was washed with 1.5 ml of PBS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blocking light, for 24 hours.

참고예 5는 0.2 w/v% 농도의 비타민E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6은 0.4 w/v% 농도의 비타민E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7은 0.6 w/v% 농도의 비타민E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8은 0.8 w/v% 농도의 비타민E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고, 참고예 9는 1.0 w/v% 농도의 비타민E 용액을 로딩에 이용한 것이다.Reference Example 5 used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2 w/v% for loading, Reference Example 6 used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4 w/v% for loading, and Reference Example 7 used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6 w/v%. A vitamin E solution of was used for loading, Reference Example 8 used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8 w/v% for loading, and Reference Example 9 used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1.0 w/v% for loading.

중합용 용액 (중량부)Solution for polymerization (parts by weight) 루틴 용액 농도(μM)Rutin solution concentration (μM) 비타민E
용액 농도
(w/v%)
Vitamin E
solution concentration
(w/v%)
HEMAHEMA MAM.A. EGDMAEGDMA AIBNAIBN 참고예 4Reference example 4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00 참고예 5Reference example 5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0.20.2 참고예 6Reference example 6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0.40.4 참고예 7Reference example 7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0.60.6 참고예 8Reference example 8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0.80.8 참고예 9Reference example 9 98.198.1 0.60.6 0.80.8 0.50.5 200200 1.01.0

실시예 1 Example 1

온도 감응성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Pluronic F-127 1g을 10ml 증류수에 용해시켜 10 w/v%의 온도 감응성 화합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DMPAP 및 온도 감응성 화합물 용액을 10ml 바이알에 넣고 마그네틱바로 10분 교반하여, 중합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HEMA의 함량은 93.1 중량부, MA의 함량은 0.6 중량부, EGDMA의 함량은 0.8 중량부, DMPAP의 함량은 0.5 중량부, 온도 감응성 화합물(용액)의 함량은 5 중량부로 조절하였다.As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1 g of Pluronic F-127,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as dissolved in 10 ml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10 w/v%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olution. Afterwards,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methyl acrylate (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DMPAP, and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olution were placed in a 10 ml vial and stirred with a magnetic bar for 10 minutes to polymerize. A solution was prepared. At this tim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HEMA is 93.1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MA is 0.6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EGDMA is 0.8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DMPAP is 0.5 parts by weight, and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olution) The content was adjusted to 5 parts by weight.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몰드(Plano, BC 8.6, DIA 14.2)에 교반된 중합용 용액을 78 μl씩 동일하게 주입하여 빛을 차단한 상태로 자외선램프(VL-6-LM, Vilber Lourmat, France)를 이용하여 365 nm에서 광중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Inject 78 μl of the stirred polymerization solution into a mold for soft contact lenses (Plano, BC 8.6, DIA 14.2), block light, and use an ultraviolet lamp (VL-6-LM, Vilber Lourmat, France). By photopolymerizing at 365 nm, contact lenses were manufactured.

이후, 상기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00 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루틴을 로딩하였다.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in Reference Example 4, rutin was loaded onto the contact lenses using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200 μM.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3과 같이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HEMA의 함량을 88.1 중량부, 온도 감응성 화합물(용액)의 함량을 10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틴이 로딩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In Example 1, the content of HEMA was adjusted to 88.1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solution) was adjusted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as shown in Table 3 below. Rutin-loaded contact lenses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루틴이 로딩되지 않은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참고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0.2 w/v% 농도의 비타민 E 용액을 콘택트렌즈에 로딩하였다. 이후, 상기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00 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루틴을 로딩하였다.Contact lenses without rutin loading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Reference Example 5, a vitamin E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2 w/v% was loaded onto the contact lenses. 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in Reference Example 4, rutin was loaded onto the contact lenses using a rutin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200 μ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2와 같이 중합용 용액 제조 시에 온도 감응성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틴이 로딩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In Example 1, rutin-loaded contact lenses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no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was added when preparing the polymerization solu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중합용 용액 (중량부)Solution for polymerization (parts by weight) 루틴 용액 농도(μM)Rutin solution concentration (μM) HEMAHEMA MAM.A. EGDMAEGDMA AIBNAIBN Pluronic F-127Pluronic F-12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8.198.1 0.60.6 0.80.8 0.50.5 00 200200 실시예 1Example 1 93.193.1 0.60.6 0.80.8 0.50.5 55 200200 실시예 2Example 2 88.188.1 0.60.6 0.80.8 0.50.5 1010 200200

실험예Experiment exampl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의 콘택트 렌즈에 로딩된 루틴의 양은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The amount of rutin loaded into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s 1 to 4 was evaluated as follows.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의 로딩이 끝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꺼내고, 남아 있는 루틴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루틴의 농도별 검량선을 통해 나온 수식으로 로딩 후 남은 루틴 용액의 농도를 구했다.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초기 루틴의 농도값에서 남은 용액의 농도값과 렌즈 전, 후면에 묻어있던 루틴 용액의 농도값을 더하여 빼주었다. 이 값을 렌즈에 최종적으로 로딩된 루틴의 양으로 설정하였다.The soft contact lenses that had been load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were taken out, and the absorbance of the remaining rutin solution was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the rutin solution remaining after loading was obtained using the formula deriv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for each concentration of rutin.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maining solution and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outine solution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lens were added and subtracted from the initial routine concentration value. This value was set as the amount of routine finally loaded into the lens.

[수학식 1][Equation 1]

루틴이 로딩된 양 = 초기 루틴 용액 농도 - (로딩 후 남은 루틴 용액의 농도 + 렌즈 전, 후면의 루틴 용액 농도)Amount of rutin loaded = initial rutin solution concentration - (concentration of rutin solution remaining after loading + rutin solution concentration on front and back of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로딩된 루틴의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loaded into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콘택트렌즈에 로딩이 완료된 루틴의 양(콘택트렌즈에 포함된 루틴의 양)은 참고예 1은 12.81±0.44μM, 참고예 2는 21.21±0.98μM, 참고예 3은 26.71±2.10μM, 참고예 4는 31.63±3.42μM로, 로딩에 사용한 루틴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루틴이 로딩되는 양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mount of routine loaded into the contact lens (amount of routine included in the contact len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above is 12.81 ± 0.44 μM for Reference Example 1 and 21.21 ± 0.98 for Reference Example 2. μM, Reference Example 3 was 26.71 ± 2.10 μM, and Reference Example 4 was 31.63 ± 3.42 μM.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the rutin solution used for loading increased, the amount of rutin loaded also increased.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s 1 to 4 were evaluated as follows.

10 ml 바이알에 PBS(pH 7.4)를 1.5 ml씩 정량하였다.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를 정량된 PBS 1.5 ml가 담긴 바이알에 넣고, 증발을 막기 위해 바이알 뚜껑과 바이알 틈 사이를 파라필름을 이용해 감쌌다. 루틴의 방출은 진탕기(shaker, CR300, FINEPCR, Korea)를 이용하여 50 rpm의 속도로 각막의 온도 조건과 동일한 35℃, 습도 50% 조건 하에서 진행하였다. 초기 방출 시간을 제외하고 1시간 단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할 때마다 콘택트렌즈를 새로운 PBS 1.5ml에 옮겨 주었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기(Microplate reader, Bio-TEK, IT/μQuant MQX200, 380 x 180 x406mm)로 루틴의 피크 파장 360nm에서 측정하였다. 시간대별로 루틴의 농도별 검량선을 통해 얻은 수식으로 계산하여 루틴의 방출양을 구하였다.1.5 ml of PBS (pH 7.4) was metered into each 10 ml vial.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s 1 to 4 were placed in a vial containing 1.5 ml of quantified PBS, and the space between the vial lid and the gap between the vial was wrapped with parafilm to prevent evaporation. The release of rutin was carried out using a shaker (CR300, FINEPCR, Korea) at a speed of 50 rpm under the conditions of 35°C and 50% humidity, which are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as the cornea. Excluding the initial release time, absorbance was measured every hour, and the contact lens was transferred to 1.5 ml of new PBS every time it was measured.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reader (Bio-TEK, IT/μQuant MQX200, 380 x 180 x 406mm) at the peak wavelength of 360nm.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was calculated using a formula obtained through a calibration curve for each concentration of rutin over tim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2 and 3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초기 30분까지의 방출양은 참고예 1이 1.14±0.23μM, 참고예 2가 3.22±0.24μM, 참고예 3이 5.47±0.25μM, 참고예 4가 8.03±0.83μM으로, 루틴 농도가 높게 로딩된 콘택트렌즈일수록 초기 방출양이 높았다. 그래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방출 속도를 구했을 때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 각각은 2.4μM/h, 6.4μM/h, 10.9μM/h, 16.1μM/h 으로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가 가장 놓은 초기 방출 속도를 보였다.Referring to Figure 2, the amount of release up to the first 30 minutes is 1.14 ± 0.23 μM for Reference Example 1, 3.22 ± 0.24 μM for Reference Example 2, 5.47 ± 0.25 μM for Reference Example 3, and 8.03 ± 0.83 μM for Reference Example 4. Contact lenses loaded with a higher concentration of rutin had a higher initial release amount. When the release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slope of the graph, Reference Examples 1 to 4 were 2.4μM/h, 6.4μM/h, 10.9μM/h, and 16.1μM/h, respectively, and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4 had the highest initial release rate. The release rate was shown.

도 3을 참고하면, 도 2의 데이터를 통해 방출률(%)을 구한 경우, 초기 30분까지의 방출률은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 각각이 8.89 %, 15.16 %, 20.48 %, 25.40 %로 루틴의 농도가 높게 로딩된 콘택트렌즈일수록 초기 방출률 또한 높았다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release rate (%) was obtained through the data in Figure 2, the release rates up to the first 30 minutes were 8.89%, 15.16%, 20.48%, and 25.40% for Reference Examples 1 to 4, respectively, of the routine. Contact lenses loaded at higher concentrations also had higher initial release rate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참고예 1 및 참고예 2는 루틴이 방출된 지 2시간부터 4시간 사이에는 각각 방출 속도가 평균 0μM/h 와 0.1μM/h 로 방출이 거의 되지 않다가, 4시간부터 8시간 사이에서는 방출양이 각각 5.11±0.50μM, 8.17±1.11μM까지 증가하였다. 24시간까지 누적된 방출양은 참고예 1이 5.11±0.50μM, 참고예 2가 8.32±1.36μM, 참고예 3이 15.16±2.12μM, 참고예 4가 19.57±1.23μM로 루틴 농도가 높게 로딩된 콘택트렌즈일수록 총 방출양이 높았다. 이를 방출률(%)로 나타냈을 때 참고예 1이 39.84 %, 참고예 2가 39.21 %, 참고예 3이 56.76 %, 참고예 4가 61.88 %로 루틴의 농도가 높게 로딩된 콘택트렌즈일수록 방출률이 높았다. 즉, 루틴이 농도별로 로딩된 렌즈 중에서 농도가 200μM인 참고예 4가 가장 방출 효율이 좋았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in Reference Example 1 and Reference Example 2, the release rate of rutin was on average 0 μM/h and 0.1 μM/h, respectively, between 2 and 4 hours after the rutin was released. Between 4 and 8 hours, the amount released increased to 5.11 ± 0.50 μM and 8.17 ± 1.11 μM, respectively. The cumulative release amount up to 24 hours was 5.11 ± 0.50 μM for Reference Example 1, 8.32 ± 1.36 μM for Reference Example 2, 15.16 ± 2.12 μM for Reference Example 3, and 19.57 ± 1.23 μM for Reference Example 4, indicating contacts load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rutin. The larger the lens, the higher the total emission amount. When this was expressed as a release rate (%), Reference Example 1 was 39.84%, Reference Example 2 was 39.21%, Reference Example 3 was 56.76%, and Reference Example 4 was 61.88%. The contact lens loaded with a higher concentration of rutin had a higher release rate. . That is, among lenses loaded with ruti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Reference Example 4 with a concentration of 200 μM had the best emission efficiency.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의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루틴이 로딩되는 양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For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s 4 to 9, the amount of routine loaded was evaluated as follows.

소수성 물질인 비타민 E가 루틴의 로딩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비타민 E가 로딩되지 않은 참고예 4, 서로 다른 농도의 비타민 E가 로딩된 참고예 5 내지 참고예 9의 콘택트렌즈에 200 μM 농도의 루틴 용액을 로딩하였다. 이때, 콘택트렌즈에 로딩된 루틴의 양은 전술한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로딩된 루틴의 양은, 참고예 4가 33.07±4.34μM, 참고예 5가 28.54±1.42μM, 참고예 6이 32.43±6.17μM, 참고예 7이 32.14±1.94μM, 참고예 8이 29.14±2.74μM, 참고예 9가 31.20±2.3 μM로 비타민 E의 농도에 따른 로딩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vitamin E, a hydrophobic substance, affects the loading amount of rutin, 200 μM was applied to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 4, which was not loaded with vitamin E, and Reference Examples 5 to 9, which were loa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itamin E. The concentration of rutin solution was load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routine loaded into the contact lens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loaded routin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is 33.07±4.34μM for Reference Example 4, 28.54±1.42μM for Reference Example 5, 32.43±6.17μM for Reference Example 6, and 32.14±1.94μM for Reference Example 7. Example 8 was 29.14 ± 2.74 μM, and Reference Example 9 was 31.20 ± 2.3 μM, showing no difference in loading amoun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의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루틴이 방출되는 물성을 상기 실험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For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s 4 to 9, the physical properties of rutin being released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2 abov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4 and 5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Reference Examples 4 to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초기 30분까지의 방출양은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 각각이 8.65±0.26μM, 7.50±0.07μM, 6.95±1.30μM, 7.19±1.03μM, 8.57±0.91μM, 8.40μM로서, 비타민 E가 로딩되지 않은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에서 초기 방출양이 가장 높았고, 참고예 8의 콘택트렌즈가 그 뒤를 이었다. 초기 방출양이 가장 적은 렌즈는 참고예 6의 콘택트렌즈이었다. 이를 각 시간대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구한 결과, 초기 30분 동안에 루틴의 방출이 가장 빠른 렌즈는 방출 속도가 17.3μM/h인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다. 그 뒤를 속도가 17.1μM/h인 참고예 8의 콘택트렌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amount of release up to the first 30 minutes is 8.65 ± 0.26 μM, 7.50 ± 0.07 μM, 6.95 ± 1.30 μM, 7.19 ± 1.03 μM, 8.57 ± 0.91 μM, and 8.40 μM for Reference Examples 4 to 9, respectively. , the initial release amount was highest in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4, which was not loaded with vitamin E, followed by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8. The lens with the lowest initial release amount was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6.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peed using the slope of each time period, the lens with the fastest release of rutin during the first 30 minutes was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4 with a release speed of 17.3 μM/h. This is followed by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8, which has a speed of 17.1 μM/h.

도 5를 참고하면, 도 4의 데이터를 통해 방출률(%)을 구한 경우, 방출률은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 각각이 27.41 %, 26.29 %, 21.42 %, 22.38 %, 28.51 %, 25.49 %로서, 참고예 8의 콘택트렌즈가 가장 높은 초기 방출률을 보였으며,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가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초기 방출률을 보였다.Referring to Figure 5, when the release rate (%) was calculated from the data in Figure 4, the release rates were 27.41%, 26.29%, 21.42%, 22.38%, 28.51%, and 25.49% for Reference Examples 4 to 9, respectively.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8 showed the highest initial release rate, and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4 showed the next highest initial release rate.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24시간까지 누적된 루틴의 방출양은 로딩되는 비타민 E의 용액 농도 순서대로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 각각이 19.35±0.24μM, 20.15±1.35μM, 18.71±2.58μM, 19.51±2.58μM, 20.86±1.28μM, 19.14μM로, 참고예 8의 콘택트렌즈가 총 방출양이 가장 많았고, 참고예 4의 콘택트렌즈가 그 다음으로 총 방출양이 많았다. 이를 방출률로 나타냈을 때, 참고예 4 내지 참고예 9 각각이 62.49 %, 70.61 %, 57.69 %, 60.70 %, 69.41 %, 58.08 %로, 참고예 5의 콘택트렌즈가 방출 효율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 참고예 8의 콘택트렌즈가 방출 효율이 좋았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cumulative amount of rutin released over 24 hours was 19.35 ± 0.24 μM, 20.15 ± 1.35 μM, and 18.71 ± 2.58 μM for Reference Examples 4 to 9,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the solution concentration of vitamin E loaded. , 19.51 ± 2.58 μM, 20.86 ± 1.28 μM, and 19.14 μM,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8 had the highest total emission amount, and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4 had the next highest total emission amount. When this was expressed as a release rate, the contact lenses of Reference Example 5 had the best release efficiency, with 62.49%, 70.61%, 57.69%, 60.70%, 69.41%, and 58.08% for Reference Examples 4 to 9,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ontact lens of Reference Example 8 had good emission efficiency.

실험예 5Experimental Example 5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루틴이 방출되는 물성을 상기 실험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35 ℃ 및 25 ℃의 온도 조건에서의 루틴이 방출되는 물성을 평가하였다.For the contact lenses of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physical properties of rutin being released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2. Specifically, the contact lenses of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evaluated for their rutin release properties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35°C and 25°C.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루틴이 방출되는 양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6 and 7 show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35℃에서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각각의 초기 30분까지의 방출양은 6.04±0.91μM, 6.95±0.79μM, 7.87±0.46μM로,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에서 초기 방출양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초기 방출양이 높았다. 35℃에서 초기 방출양이 가장 적은 콘택트렌즈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다. 이를 각 시간대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구한 결과 초기 30분 동안 방출이 가장 빠른 콘택트렌즈는 속도가 7.87μM/h인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이었다. 그 다음으로 방출 속도가 6.95μM/h인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이고,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가 6.04μM/h으로 방출 속도가 가장 느렸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amount of release for the first 30 minutes of each of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at 35°C is 6.04±0.91μM, 6.95±0.79μM, and 7.87±0.46μM, The contact lens of Example 2 had the highest initial release amount, followed by the contact lens prepared in Example 1. The contact lens with the lowest initial release amount at 35°C is the contact lens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does not contain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peed using the slope of each time zone, the contact lens with the fastest release during the first 30 minutes was the contact lens of Example 2 with a speed of 7.87 μM/h. Next was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with a release rate of 6.95 μM/h, and the contact lens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the slowest release rate of 6.04 μM/h.

도 7을 참고하면, 도 6의 데이터를 통해 방출률(%)을 구한 경우, 방출률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각각이 20.79 %, 23.74 %, 29.84 %로,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가 가장 높은 초기 방출률을 보였으며,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가 그 다음으로 높은 초기 방출률을 나타냈다. Referring to Figure 7, when the release rate (%) was calculated from the data in Figure 6, the release rates were 20.79%, 23.74%, and 29.84% for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respectively. The contact lens of Example 2 showed the highest initial release rate, and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showed the next highest initial release rate.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35℃에서 24시간 동안 누적된 방출양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순서대로 11.86±2.57μM, 12.37±2.70μM, 13.68±1.61μM로,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가 총 방출양이 가장 많았고,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가 그 다음으로 총 방출양이 많았다. 이를 방출률로 나타냈을 때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순서대로 40.84 %, 42.26 %, 51.87 %로,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가 총 방출양이 가장 많았고,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가 그 다음으로 총 방출양이 많았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cumulative release amount for 24 hours at 35°C is 11.86±2.57μM, 12.37±2.70μM, 13.68±1.61 in that order for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In μM, the contact lens of Example 2 had the highest total release amount, and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had the next highest total release amount. When expressed in terms of release rate,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in that order, were 40.84%, 42.26%, and 51.87%, with the contact lenses of Example 2 having the highest total release amount, and Example 1 Contact lenses had the next highest total amount of emissions.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25℃에서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각각의 초기 30분까지의 방출양은 4.40±0.89μM, 5.49±0.10μM, 5.05±1.27μM로,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가 초기 방출양이 가장 높았고 렌즈 TR10%/R이 그 뒤를 이었다. 25℃에서 초기 방출양이 가장 적은 것은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이었다. 이를 각 시간대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방출 속도를 구한 결과, 초기 30분 동안에 방출이 가장 빠른 것인 속도가 5.49μM/h인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이었다. 그 다음으로, 방출 속도가 5.05μM/h인 실시예 2의 콘택트렌즈이고, 방출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4.40μM/h의 방출 속도를 나타낸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이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release amounts for the first 30 minutes of each of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at 25°C were 4.40±0.89μM, 5.49±0.10μM, and 5.05±1.27. In μM,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had the highest initial release amount, followed by lens TR10%/R. The contact lens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the lowest initial release amount at 25°C.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elease rate using the slope of each time zone,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had the fastest release rate of 5.49 μM/h during the first 30 minutes. Next was the contact lens of Example 2 with a release rate of 5.05 μM/h, and the slowest release rate was the contact lens of Comparative Example 1 with a release rate of 4.40 μM/h.

이를 방출률(%)로 나타냈을 때, 비교예 1이 9.70 %, 실시예 1이 14.17 %, 실시예 2가 12.71 %이었다. 25℃에서 24시간 동안 누적된 총 방출양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 순서대로 16.18±0.85μM, 11.62±2.23μM, 13.06±3.97μM로,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가 총 방출양이 가장 많았다. 이를 방출률(%)로 나타냈을 때, 비교예 1이 35.68 %, 실시예 1이 29.97 %, 실시예 2가 32.89 %로, 비교예 1의 콘택트렌즈에서 총 방출양이 가장 많았고, 실시예 1의 콘택트렌즈가 가장 적었다.When expressed as a release rate (%), Comparative Example 1 was 9.70%, Example 1 was 14.17%, and Example 2 was 12.71%. The total amount of release accumulated over 24 hours at 25°C was 16.18 ± 0.85 μM, 11.62 ± 2.23 μM, and 13.06 ± 3.97 μM, in that order, for the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 1, and Example 2. The lens had the highest total emission amount. When expressed as a release rate (%), Comparative Example 1 was 35.68%, Example 1 was 29.97%, and Example 2 was 32.89%, with the contact lens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the highest total release amount, and the contact lens of Example 1 There were the fewest lenses.

실험예 6Experimental Example 6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콘택트렌즈로부터 방출된 루틴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평가를 하였다.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ntact lense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Specifically, DPPH evaluation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power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of Examples 2 and 3.

안정된 자유 라디칼 물질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95% 에탄올에 용해시켜 57 μM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제조된 DPPH 용액을 1ml씩 넣고 이에 루틴 농도가 20μM, 40μM, 60μM, 80μM, 100μM인 루틴 용액을 50μl씩 넣고 3분간 볼텍싱하였다. 이후, 30분간 25 ℃에 정치한 뒤 96 well plate에 300μl씩 소분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기(Microplate reader, Bio-TEK, IT/μQuant MQX200, 380 x 180 x406mm)로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 stable free radical substance, was dissolved in 95% ethanol to prepare a 57 μM solution. 1 ml of the prepared DPPH solution was added to each Eppendorf tube, and then 50 μl of rutin solution with rutin concentrations of 20 μM, 40 μM, 60 μM, 80 μM, and 100 μM were added and vortexed for 3 minutes. After standing at 25°C for 30 minutes, 300 μl was distributed into 96 well pla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icroplate reader, Bio-TEK, IT/μQuant MQX200, 380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상기 수학식 2에서, “scavenging”은 라디칼 소거능을 의미하고, Abscontrol은 515 nm에서의 DPPH 용액의 흡광도를 의미하고, Abssample은 515 nm에서의 농도가 상이한 루틴 용액의 흡광도를 의미한다.In Equation 2 above, “scavenging” refers to radical scavenging ability, Abs control refers to the absorbance of the DPPH solution at 515 nm, and Abs sample refers to the absorbance of routine solu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t 515 nm.

35 ℃에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로부터 방출된 루틴의 양으로 항산화력을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루틴을 DPPH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흡광도를 통해 항산화력을 계산한 수식 그래프를 이용하여,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로부터 방출된 루틴의 양을 계산하여 항산화력을 평가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Antioxidant power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at 35°C. Specifically, the amount of rutin released from the contact lense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was calculated by processing rutin by concentration in DPPH using Equation 2 above and calculating the antioxidant power through absorbance. The calculated and evaluated antioxidant power is shown in Figure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ntact lense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최대 항산화력은 20.6 %,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최대 항산화력은 24.3 %인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Figure 8,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antioxidant power of the contact lens manufactured in Example 2 was 20.6%, and the maximum antioxidant power of the contact lens manufactured in Example 3 was 24.3%.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llustrates and explains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merely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and the scope and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 disclosure and/or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dditionall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as well.

Claims (5)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교차결합제,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성 화합물,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루틴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농도는 5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것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
A polymer matrix containing a polymer of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based monomer, a cross-linking agent, a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containing a polyether-based diol, and an initiator. ; and
Flavonoid compounds including rutin;
An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flavonoid compound is 5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용 용액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85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상기 교차결합제의 함량은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상기 온도 감응성 화합물의 함량은 3.5 중량부 이상 12.5 중량부 이하인 것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
According to paragraph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The conten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is 8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95 parts by weight or less,
The conten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is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An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wherein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compound is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2.5 parts by weight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것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wherei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monomer contains a hydroxy grou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비타민 E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타민 E의 농도는 0.2 w/v% 이상 1.0 w/v% 이하인 것인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콘택트렌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lymer matrix further includes vitamin E,
An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E is 0.2 w/v% or more and 1.0 w/v% or less.
KR1020210131004A 2021-10-01 2021-10-01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KR102584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04A KR102584849B1 (en) 2021-10-01 2021-10-01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04A KR102584849B1 (en) 2021-10-01 2021-10-01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67A KR20230047767A (en) 2023-04-10
KR102584849B1 true KR102584849B1 (en) 2023-10-05

Family

ID=8598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04A KR102584849B1 (en) 2021-10-01 2021-10-01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8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7910A (en) * 2013-10-21 2016-04-07 三井化学株式会社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material
JP2020128360A (en) * 2019-02-12 2020-08-27 賢治 松山 Ophthalmic delivery system containing angiogenesis inhibitor nanoparticles
JP2021525398A (en) * 2018-05-22 2021-09-24 ビーエフ リサーチ エス.アール.エルBf Research S.R.L. Soft contact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408A1 (en) * 2002-03-11 2006-05-11 Powell P M Method for forming contact lenses comprising therapeutic agents
KR102033594B1 (en) * 2018-02-13 2019-10-17 뉴바이오 (주) Manufacturing method of soft contact lenses for drug delivery
KR102354663B1 (en) * 2020-02-03 2022-01-24 윤경태 Contact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7910A (en) * 2013-10-21 2016-04-07 三井化学株式会社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material
JP2021525398A (en) * 2018-05-22 2021-09-24 ビーエフ リサーチ エス.アール.エルBf Research S.R.L. Soft contact lenses
JP2020128360A (en) * 2019-02-12 2020-08-27 賢治 松山 Ophthalmic delivery system containing angiogenesis inhibitor nano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67A (en)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beiro et al. Bioinspired imprinted PHEMA-hydrogels for ocular delivery of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drugs
JP6138827B2 (en) Silicone polymer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EP2274640B1 (en) High refractive index ophthalmic device materials
CA2971877C (en) Wet-pack intraocular lens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AU766397B2 (en) Ophthalmic and otorhinolaryngological device materials
EP2225325B1 (en) High refractive index ophthalmic device materials
WO2007050394A2 (en) Polymeric radiation-absorbing materials and ophthalmic devices comprising same
US8585938B1 (en) UV-absorbers for ophthalmic lens materials
EP2906970B1 (en) High refractive index ophthalmic device materials with reduced tack
US955505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xidative damage
ES2676743T3 (en) Acrylic ophthalmic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minimized glare
US2011017130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mposite Nanoparticle Hydrogels
KR102309508B1 (en) Intraocular lens material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high Abbe number
JP5609525B2 (en) Contact lens care formulation and packaging solution
EP3132804B1 (en) Medical device including anionic drug
JPH0117126B2 (en)
KR102584849B1 (en) Antioxidant and antiviral contact lens
WO2003090805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hydrogel material enhanced in the intake of drugs and permitting sustained release of drugs
CN113527581A (en) Aqueous gel composition and aqueous gel lens
KR20190035353A (en) Contact lends for treatment of eye dise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AU2015362796B2 (en) Low-water content acrylate-acrylamide copolymers for ophthalmic devices
KR20160085699A (en) Uv-absorbers for ophthalmic lens materials
JP2015527606A (en) 2-Aminobenzophenone UV absorber for ophthalmic lens materials
KR2021011142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ydrophobic Acrylic Intraocular Lens with Reduced Glistening
JP5238115B2 (en) Drug sustained-release polymer gel and ophthalmic lens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