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704B1 -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704B1
KR102584704B1 KR1020220185779A KR20220185779A KR102584704B1 KR 102584704 B1 KR102584704 B1 KR 102584704B1 KR 1020220185779 A KR1020220185779 A KR 1020220185779A KR 20220185779 A KR20220185779 A KR 20220185779A KR 102584704 B1 KR102584704 B1 KR 10258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 board
road surface
drainage system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지성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지성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22018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해 보차도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도로에 내린 우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드레인 보드 및 드레인 보드에 의해 노면 배수 특성이 극대화되도록 시공된 측구 구조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돌출 형성에 의하여 반대 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제1판의 돌출부의 끝 단면과 접촉하면서 제1판과 겹쳐지는 제2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판과 제2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는 'L'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판은 집수정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및 집수정의 상면, 경계석의 측면과 직접 접촉되어 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gutter structure constructed to maximize road surface drainage characteristics by using a drain board and a drain board installed at the border of a roadway to drain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quickly and smoothly for road surface drainage. The drai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by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s; It includes a second plate that overlaps the first plate while contacting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bent into an 'L' shap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forming a passage spac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nd the second plate is It is construc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poured between the water collection well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s,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Description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보드{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해 보차도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도로에 내린 우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및 드레인 보드에 의해 노면 배수 특성이 극대화되도록 시공된 측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that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the roadway for road surface drainage and is configured to quickly and smoothly drain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and a gutter constructed to maximize road surface drainage characteristics by the drain board. It's about structure.

도로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이나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구 수로관들을 연속적으로 매립하여 도로의 노면에 내린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도랑, 즉, 측구(側溝)를 형성한다. 그리고 측구 수로관들을 도랑 형성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측구 라인을 따라서는 적당한 간격(예; 일반적인 도로에서는 약 20 ~ 25미터)마다 별도의 집수정을 매립하고, 집수정은 하수관에 연결한다. 따라서, 도로 표면에 내린 우수는 도로 가장자리의 측구 수로관으로 유입된 후, 측구 수로관을 흘러 집수정에 모인 다음 하수관으로 흘러간다.At the side edge of the road o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side ditches are continuously bu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to form drainage ditches, that is, ditches,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surface. In addition, separate water collection wells are buried at appropriate intervals (e.g., about 20 to 25 meters on a typical road) along the ditch line form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side ditch pipes along the ditch formation line, and the water collection well is connected to a sewer pipe. . Therefore,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surface flows into the gutter pipe at the edge of the road, flows through the gutter pipe, collects in a water collection well, and then flows into the sewer pipe.

측구 수로관은, 도로의 가장자리 바닥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매설되며, 측구 수로관의 상부 개구 부분에 그레이팅이나 콘크리트 뚜껑을 설치하여 마감한다.The side ditch pipes are continuously buried along the length of the bottom of the road edge, and are closed by installing grating or a concrete cover at the upper opening of the side ditch pipes.

도 1은 일반적인 측구 형태 및 물 고임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측구 형태는 도로 경계석을 따라 일정 폭으로 콘크리트로 덮은 측구 구간이 형성되고, 그 측구 구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예: 20미터)으로 집수 구멍인 집수 그레이팅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집수 그레이팅은, 종래의 일반적인 L-형 측구에서의 측구 수로관에 우수를 내려 보내기 위한 집수 구멍일 수도 있고, 선행문헌 1, 2(등록번호 제10-1509202호, 등록번호 제10-1822899호)에 개시된 측구 겸용 집수정이 가지는 표면수 유입공의 입구를 형성하는 그레이팅일 수도 있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gutter shape and water stagnation phenomenon. As shown in Figure 1, in the form of a gutter, a gutter section covered with concrete is formed at a certain width along the road boundary stone, and water collection gratings, which are water collection hole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e.g., 20 met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tter section. there is. The water collection grating may be a water collection hole for sending rainwater down to the gutter water pipe in a conventional general L-shaped gutter, and is described in Prior Documents 1 and 2 (Registration No. 10-1509202, Registration No. 10-1822899). It may be a grating that forms the inlet of the surface water inflow hole of the side-mounted water collection well disclosed in .

하지만, 실제 도로에서는 지형이나 시공 상태에 따라 측구 구간의 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 차가 있게 마련이고, 또 이웃하는 집수 그레이팅이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집수 구간의 중간 어떤 지점에 우수가 고이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However, in actual roads, depending on the topography or construction conditions, the surface of the gutter section is curved or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along the length of the road, and because neighboring catchment gratings maintain spacing, there is a certain point in the middle of the catchment section. Rainwater may accumulat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원활한 배수 기능을 위하여 선행문헌 3(등록번호 제10-2184981호)을 출원하고 등록받은 바 있다. 선행문헌 3은 집수정 사이의 측구 구간에서도 우수를 원활히 유입시키는 한편, 유입된 우수를 효과적으로 집수정으로 유도함으로써, 노면 배수 특성을 극대화하여 도로에 내린 우수의 신속하고 원활한 배수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노면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Prior Document 3 (Registration No. 10-2184981) for smooth drainage function. Prior document 3 allows rainwater to flow smoothly even in the gutter sections between catch basins, while effectively directing the inflow rainwater to the catch basin, thereby maximizing road surface drainage characteristics to enable rapid and smooth drainage and utilization of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The construction of an eco-friendly gutter structure with improved road surface drainage characteristics is being disclosed.

선행문헌 3를 참조하면 측구 구조물에서 통로 형성판은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들 사이 공간을 통해 우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prior literature 3, the passage forming plate in the side gutter structur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functions to provide a passage for rainwater to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그런데 선행문헌 3에 개시된 통로 형성판은 대부분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통로 형성판을 시공할 때 통로 형성판의 일면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찌그러지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의 돌출 정도가 낮아지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우수 통로가 좁게 되거나 막아, 우수 흐름을 방해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However, the passage forming plat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3 is mostly composed of plastic molded products, and when constructing such a passage forming plate, the protrusion forming one surface of the passage forming plate may be distorted. Then, due to problems such as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being lowered or damaged, the rainwater passage becomes narrow or blocked, thereby hindering or blocking the flow of rainwater.

따라서 선행문헌 3에서 개시된 통로 형상판의 구조에 의해서도 도로의 노면에 내린 우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계속 고이는 현상을 완전하게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를 여전히 초래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ith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shape plat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3, the problem of not completely resolving the phenomenon of rainwater falling on the road surface being unable to be discharged and continuing to pool may still occur.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92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509202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289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822899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8498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218498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수정 및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 측면에 시공되는 통로 형성판(본 발명에서는 '드레인 보드'라 칭함)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함으로써, 도로에 내린 우수의 배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forming plate (referred to as 'drain 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asin and concrete support layer, and on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efficiently maintain the drainage function of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by preventing or preventing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드레인 보드가 시공된 측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tter structur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drain board is install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는, 도로 가장자리의 경계석을 따라 형성되는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어 우수를 배수하는 드레인 보드이고, 상기 드레인 보드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돌출 형성에 의하여 반대 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제1판의 돌출부의 끝 단면과 접촉하면서 제1판과 겹쳐지는 제2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는 'L'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판은 집수정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및 집수정의 상면, 경계석의 측면과 직접 접촉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is purpose,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 board that is installed in a gutter structure formed along the boundary stone of the edge of the road to drain rainwater, and the drain board is, A firs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by the protrusions of the protrusions; It includes a second plate that overlaps the first plate while contacting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where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bent into an '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passage spac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construc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poured between the water sump,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서 지지된다.The protrusion is suppo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상기 통로 공간은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가 제외된 공간이다. The passage space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excluding the protrusion.

상기 드레인 보드 위에 미세 망 구조물이 더 시공될 수 있고, 상기 미세 망 구조물은 부직포를 포함한다. A fine mesh structure may be further constructed on the drain board, and the fine mesh structure includes non-woven fabric.

상기 드레인 보드 또는 상기 부직포 위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Gutter finishing concrete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or the non-woven fabric.

상기 드레인 보드는, 제1 사이즈를 가지며, 일 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제1판과, 상기 제1 판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사이즈를 가지는 제2판을 준비하고, 상기 제1 판을 'ㄴ' 형상으로 구부린 후, 상기 제2판을 상기 'ㄴ'자 형상과 동일하게 구부리면서 상기 제2판의 일 면이 상기 제1판의 돌출부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상기 통로 공간이 형성되게 제작된다.The drain board is prepared by preparing a first plate having a first siz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and a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nd a second plate having a second size extending from the first plate, After bending the first plate into an 'L' shape, bending the second pl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L'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It is manufactured so that the pass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끝 단 개구부에는 부직포가 덮어진다.The end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covered with non-woven fabric.

상기 오목 홈에는 측구 마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Side-groove finishing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ncave groo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보드가 시공된 측구 구조물은, 도로 가장자리의 경계석을 따라 형성되는 측구 구조물로서,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드레인 보드가 집수정 상면과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의 측면의 일정 높이까지 덮혀지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tter structure with the drain board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tter structure formed along the boundary stone of the edge of the road, and the drain board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structed to cover up to a certain heigh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 및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 측면에 시공되는 드레인 보드의 변형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어, 우수 통로를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 내린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음으로써 도로 가장장리에 우수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ormation of the drain board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and the concrete support layer,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can be minimized or prevented, thereby preserving the rainwater passage. Therefore, by efficiently draining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rainwater from piling up on the edge of the road.

도 1은 일반적인 측구 형태 및 물 고임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구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드레인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드레인 보드의 제작 과정을 보여준 공정 도면이다.
도 9은 도 6의 드레인 보드가 도로 측구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gutter shape and water stagnation phenomen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gut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of a drain board installed 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6.
Figure 8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rain board installed 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drain board of FIG. 6 installed in a road side ditch.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lower), 위(above, 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 upper)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facilitate the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describ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below,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upper)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부분” 등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은 해당 구성요소가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나, 꼭 표현된 기능에 한정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indicating a part such as “part” or “par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a device that can include a specific function, software that can include a specific function, or a device that can include a specific function. It means that it can represent a combination of and software, but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pressed functions.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구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gut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2,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4.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100)은 도로 가장자리의 경계석(110)을 따라 형성되며, 도로 표면에 내린 우수는 도로 가장자리 쪽의 경계석(110) 및 측구 구조물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gutte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the boundary stone 110 at the edge of the road, and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surface flows toward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gutter structure at the edge of the road. do.

본 발명은 이처럼 측구 구조물로 흘러온 우수를 측구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that allows rainwater flowing into the gutter structure to be quickly discharg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gutter.

경계석(110)은 보도(2)와 차도의 경계부분에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고, 경계석(110)의 아래에는 지지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undary stone 110 is install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2 and the roadway, and a support wall 112 may be formed below the boundary stone 110.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는 측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집수정(1)이 매설된다. 집수정(1)은 바닥과 측면 둘레가 막히고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우수가 모이는 집수공간(10a)을 제공하는 집수 통체(10)와, 집수 통체(10)의 상부를 덮는 덮개(20)를 포함한다. 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ollection wells (1) are buri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tter. The water collection well (1) includes a water collection tube (10) that is closed around the bottom and sides, open at the top, and provides a water collection space (10a) where rainwater collects, and a cover (20)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lection tube (10). Includes.

집수 통체(10)의 측벽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수 시설의 우수 연결관을 접속하기 위한 우수관 연결공이 형성된다. 우수관 연결공은, 하수시설에 배출관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이다. 예를 들어, 우수관 연결공에는 우수 연결관을 연결하고, 우수 연결관을 도로 지하를 지나는 우수 본관에 연결한다. 그러면, 집수정에 모인 우수는 우수관 연결공에 접속된 우수 연결관을 통해 우수 본관으로 빠져나간다.Although not shown, a rainwater pipe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a rainwater pipe of a sewage facility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collection pipe 10. A storm water pipe connector is a hole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sewage facility. For example, connect a stormwater pipe to a stormwater pipe connector, and connect the stormwater pipe to a stormwater main pipe that passes under the road. Then,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sump drains into the stormwater main pipe through the rainwater pipe connected to the stormwater pipe connector.

덮개(20)에는, 도로 포장층의 표면으로부터 우수가 흘러 들어오도록 하는 표면수 유입공(22)과 도로 포장층 아래로 침투한 우수가 흘러 들어오도록 하는 침투수 유입공(24)이 형성된다. 침투수 유입공(24)의 입구에는 그릴 형태의 커버(24a)가 덮이게 된다. The cover 20 is formed with a surface water inlet hole 22 that allows rainwater to flow in from the surface of the road pavement layer and a seepage water inlet hole 24 that allows rainwater infiltrated below the road pavement layer to flow in. The entrance of the permeating water inlet hole 24 is covered with a grill-shaped cover 24a.

표면수 유입공(22)의 둘레에는 유입 목부 구조물(30)이 축조된다. 그리고 유입 목부 구조물(3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32)이 설치된다. 유입 목부 구조물(30)은, 현장에서 집수정(1)의 상면의 표면수 유입공(22) 둘레에 콘크리트를 쌓아 올려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관 또는 덕트 형태로 만든 것을 설치하여 축조할 수 있다. 금속 또는 플라스틱 관이나 덕트 형태로 만든 것은, 현장에서 표면수 유입공(22)의 둘레에 입구 형성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에 유입 목부 구조물(30)의 하단부를 매립하여 굳히는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An inflow neck structure 30 is built around the surface water inlet hole 22. And a grating 3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flow neck structure 30. The inflow neck structure 30 can be formed in the field by piling concrete around the surface water inflow hole 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Alternatively,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constructed by installing metal or plastic materials in the form of pipes or ducts. Made in the form of a metal or plastic pipe or duct, concrete for forming an inlet is poured around the surface water inflow hole 22 at the site, and the lower part of the inflow neck structure 30 is buried in the poured concrete and fixed. can do.

집수정(1)과 집수정(1) 사이에는 토양 또는 바닥 다짐층(130)과, 그 위에 콘크리트 지지층(140)이 타설된다. 콘크리트 지지층(140)은, 그 표면이 집수정(1)의 상면과 표면이 일치하도록 높이를 맞추어 타설될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과 집수정(1)의 상면 사이에 우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우수가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을 흘러 집수정(1)의 상면에 형성된 침투수 유입공(24)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A soil or floor compaction layer 130 and a concrete support layer 140 are poured between the water sump 1 and the water sump 1.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may be poured at a height such that its surface mat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1. Accordingly, rainwater can flow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at is, rainwater can flow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flow into the infiltration water inlet hole 2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1)과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경계석(110)의 측면의 일정 높이까지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보드(200)가 덮어지도록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 보드(200)가 시공되면, 그 드레인 보드(200)에 의해 집수정(1)과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경계석(110)의 측면에 우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board 200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is constructed to cover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to a certain height. When the drain board 200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 passage through which rainwater can flow is formed on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by the drain board 200. .

그리고 드레인 보드(200)에는 부직포(300)가 더 시공될 수 있고, 드레인 보드(200) 및 부직포(300) 위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가 타설된다. 부직포(300)는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의 타설 전에 드레인 보드(200)를 덮어 그 드레인 보드(200)를 보호하는 용도이다. 즉 부직포(300)는 경계석(110)과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사이의 틈새에 있는 드레인 보드(200)로 이물질이 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집수정(1) 안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쓸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부직포(300)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 되기 때문에 집수정(1)에 양질의 물을 담을 수 있어 양질의 지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부직포(300) 외에 미세 망 구조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non-woven fabric 30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drain board 200, and side-groove finishing concrete 150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200 and the non-woven fabric 300. The non-woven fabric 300 is used to protect the drain board 200 by covering it before pouring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That is, the non-woven fabric 300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wept into the drain board 200 in the gap between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side finishing concrete 150, and also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from being swept into the water sump 1. It is to prevent this. Since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by the non-woven fabric 300, high-quality water can be stored in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ereby securing high-quality groundwater. In addition to the nonwoven fabric 300, a fine mesh structure, etc. may be used.

상기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는 그레이팅(32)의 높이에 맞추어 형성된다. 드레인 보드(200)는 타설 후의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의 높이를 사전에 산정하여, 드레인 보드(200)의 상단이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의 상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finishing concrete 150 is form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grating 32.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the height of the drain board 200 in advance after pouring the drain board 200 so that the top of the drain board 200 is located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finished concrete 150.

이처럼 집수정(1)의 상면, 즉 덮개(20)의 상면과 경계석(110)의 측면에는 드레인 보드(200)가 시공되고, 그 드레인 보드(200) 위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가 타설되는 구성이다. 그래서 도로 표면에 내린 우수는,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위를 흘러서, 일부는 그레이팅(32)을 통해 집수정(1)의 표면수 유입공(22)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위를 흘러 경계석(110)까지 흘러간 우수는, 경계석(110)의 측면과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사이에 있는 드레인 보드(200)의 통로 공간을 통해 흘러 내려간다. 경계석(110) 쪽의 드레인 보드(200)를 따라 아래로 내려간 우수는, 집수정(1)의 상면 및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을 따라 흘러서, 집수정(1)의 침투수 유입공(24)으로 들어가게 된다.In this way, a drain board 200 i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side finishing concrete 150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200. am. Therefore,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surface flows over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and some of it enters the surface water inflow hole (22)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rough the grating (32). And the rainwater that flows over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and flows down to the boundary stone 110 flows down through the passage space of the drain board 200 between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Rainwater that goes down along the drain board 200 on the boundary stone 110 side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flows through the infiltration water inlet hole (24)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 is entered.

다음에 드레인 보드(20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Next, we will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drain board 200.

도 6은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드레인 보드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drain board installed 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6.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드레인 보드(200)는 측구 구조물(100)에 시공되기 전 상태이다. 이를 제작하여 완성된 드레인 보드(200)가 집수정(1) 상면과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경계석(110)의 측면에 시공되는 것이다. 완성된 드레인 보드는 도 8의 (e)에 도시하였고,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drain board 200 shown in FIGS. 6 and 7 is in a state before being installed on the gutter structure 100. The completed drain board 200 i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The completed drain board is shown in (e) of FIG. 8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 보드(200)는 측구 구조물(100)에서 시공해야 할 면적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board 200 has a size that sufficiently covers the area to be constructed in the gutter structure 100, and can be made of plastic.

드레인 보드(200)는, 복수의 돌출부(212)가 형성되고 돌출부(212)의 돌출 형성에 의하여 반대 면에 오목 홈(214)이 형성된 제1판(210)과, 상기 제1판(21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판(210)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구부러져서 제1판(210)의 돌출부(212)들의 끝 단면과 접촉하여 돌출부(212)들을 모두 덮는 제2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rain board 200 includes a first plate 210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2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21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by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s 212, and the first plate 210 A second plate 22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bent about one side of the first plate 210 to contact the end surfaces of the protrusions 212 of the first plate 210 and cover all of the protrusions 212. It is composed including.

제1판(210)의 돌출부(212) 위에 제2판(220)이 구부러져서 덮을 수 있도록 제2판(220)의 길이(L2)가 제1판(210)의 길이(L1) 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L2 of the second plate 220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first plate 210 so that the second plate 220 can be bent and cover the protrusion 212 of the first plate 210.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long.

이와 같이 제1판(210) 및 제2판(2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판(210)과 제2판(220)이 서로 겹쳐지게 제작하면 그 사이에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통로 공간이 형성된 드레인 보드(200)를 시공하게 된다. In this way, i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re manufactur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unfolded state, a passage spac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can be formed between them. There is, and the drain board 200 with the passage space formed in this way is constructed.

도 8은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드레인 보드의 제작 과정을 보여준 공정 도면이다.Figure 8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rain board installed 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드레인 보드(200)의 제작 과정은 제1판(210)과 제2판(220)을 구비하는 제작 전의 드레인 보드가 집수정(1) 및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110)의 측면에 시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만드는 과정으로, 대략 'ㄴ'자 형상의 드레인 보드(200)를 제작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rain board 200 in FIG. 8 is a drain board before manufacturing including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1 and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boundary stone ( This is a process of creating a shap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of 110), and can be viewed a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pproximately 'ㄴ' shaped drain board 200.

드레인 보드(200)를 만들기 위해 도 8의 (a)와 같이 제1판(210)과 제2판(2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판(210)의 돌출부(212)가 형성된 면을 향해 제2판(220)을 90°꺽는다. 이때 제1판(210)을 꺾어 만드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In order to make the drain board 200,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re unfolded as shown in (a) of FIG. 8, and the protrusion 212 of the first plate 210 is formed. Bend the second plate (220) by 90°. At this time, there may be a method of making the first plate 210 by bending it.

제2판(220)이 90°꺽인 상태는 도 8의 (b)에 도시되었고, 이 상태에서 제1판(210)의 a선을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90°꺽는다, 그러면 도 8의 (c)와 같은 형상이 되며, 이때 도 8의 (c)에서 H는 경계석(110)의 측면에 시공되는 높이가 되고, W는 집수정(1)과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에 시공되는 폭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H 및 W의 사이즈에 따라 제1판(210)과 제2판(220)의 꺾어지는 부분은 달라질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220 is bent 90° is shown in (b) of FIG. 8, and in this state, the first plate 210 is bent 9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ased on line a. Then, in FIG. 8 ( It has the same shape as c), and in this case, in (c) of Figure 8, H is the height constructed on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nd W is the width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1 and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This can be. Therefore,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s of H and W.

다음에는 제1판(210)에 형성된 돌출부(212)와 제2판(220)의 일 면이 접촉되게 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즉 도 8의 (c)에서 제2판(220)의 일부가 제1판(210)의 돌출부(212)와 접촉되게 꺾어 도 8의 (d)와 같이 하고, 도 8의 (d) 상태에서 제2판(220)의 나머지 일 면이 제1판(210)의 나머지 돌출부(212)와 접촉되도록 제2판(220)을 다시 꺾어 접는다. Next,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bring the protrusion 212 formed on the first plate 210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20. That is, in Figure 8 (c), a part of the second plate 220 is bent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12 of the first plate 210 as shown in Figure 8 (d), and in the state of Figure 8 (d) The second plate 220 is folded again so that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20 is in contact with the remaining protrusion 212 of the first plate 210.

이러한 과정을 모두 완료하게 되면,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정(1) 및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110)의 측면에 시공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드레인 보드(200)가 완성된다. 도 8의 (e)에서 드레인 보드(200)의 일 면에는 개방된 오목 홈이 형성되고, 타 면은 제2판(220)에 의해 밀폐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판(210)과 제2판(220)의 겹쳐진 구조로 인해 제1판(210)과 제2판(220) 사이에는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230)이 형성된다. When all of these processes are completed, a drain board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asin 1 and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s shown in (e) of FIG. 8 (200) is completed. In (e) of FIG. 8 , an open concav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in board 200,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by the second plate 220. Due to this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 passage space 230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그리고 완성된 드레인 보드(200)는 제2판(220)이 통로 공간(230)을 지지하기 때문에, 드레인 보드(200)를 측구 구조물에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도 드레인 보드(200)의 돌출부(212)가 찌그러지지 않고 최초의 온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노면에 내린 우수는 제1판(210)과 제2판(220) 사이에 돌출부(212)들을 피해 확보된 통로 공간(230)을 통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게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late 220 supports the passage space 230 in the completed drain board 200, even when concrete is poured after constructing the drain board 200 on the side structure, the drain board 200 remains intact. The protrusion 212 can maintain its original intact state without being distorted. Therefore, rainwater that falls on the road surface will flow smoothly and unhindered through the passage space 230 secured between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voiding the protrusions 212.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보드가 도로 측구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rai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ad side ditch.

도 9를 보면, 집수정(1) 상면과 경계석(110)의 측면에 드레인 보드(200)가 시공되고, 드레인 보드(200)에는 부직포(300)가 덮혀진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가 타설된다. Referring to Figure 9, a drain board 200 i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1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drain board 200 may be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300. Then, the side finishing concrete (150) is poured.

그리고 드레인 보드(200)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를 타설하면, 드레인 보드(100)의 제1판(210)에 형성된 오목 홈(214) 안에도 콘크리트가 들어가게 되고, 콘크리트의 굳음 과정에 따라 드레인 보드(200)는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와 일체화된다. And when the side hole finishing concrete 150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200, the concrete enters the concave groove 214 formed in the first plate 210 of the drain board 100, and the drain is drained according to the hardening process of the concrete. The board 200 is integrated with the side finishing concrete 150.

한편 제1판(210)의 돌출부(212)와 접촉하는 제2판(220)이, 제1판(210)과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 공간(230)을 지지할 수 있어, 드레인 보드(200)의 시공 후 콘크리트 등의 타설 작업이 수행되더라도 통로 공간(230)을 훼손시키지 않고 보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수의 배출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극대화 시킬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second plate 22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12 of the first plate 210 can support the passage space 230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210 and the drain board 200. Even if pouring work such as concrete is performed after construction, the passage space 230 can be preserved without being damaged. As a result, the discharge function of rainwater can be maximized without being degra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집수정(1)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 지지층(140)의 상면 및 집수정(1)의 상면, 경계석(110)의 측면의 일정 높이에 이르기까지 내측에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230)이 형성된 드레인 보드(200)를 시공하고 그 드레인 보드(200) 위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를 타설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위를 흘러 경계석(110)까지 흘러간 우수는 경계석(110) 측면과 측구 마감 콘크리트(150) 사이에 시공된 드레인 보드(200)의 통로 공간(200)을 따라 흐르게 되고, 집수정(1)의 침투수 유입공(24)을 통해 집수공간(10a)으로 유입된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rainwater flows inside up to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poured between neighboring water collection basins (1),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asin (1),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 drain board 200 on which a passage space 230 is formed is constructed, and side opening finishing concrete 150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200. Therefore, rainwater that flows over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and flows to the boundary stone 110 flows along the passage space 200 of the drain board 200 constructed between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10 and the gutter finishing concrete 150, The infiltration water flows into the collection space (10a) through the infiltration hole (24) of the collection well (1).

본 발명은 측구 구조물 대비 드레인 보드의 규격은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얼마든지 다르게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rain board compared to the gutter structure can be determined as follows. However, this is just one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ways.

본 발명의 측구 구조물에서, 경계석(110)의 폭 및 높이가 180mm * 150mm, 측구 구조물(150)의 폭 및 높이가 500mm * 200mm, 콘크리드 지지층(140)의 높이는 200mm 등으로 시공됨을 가정할 때, 제1판(210)의 L1은 580mm, 제2판(220)의 L2은 600mm이고, 오목 홈의 직경은 100mm, 오목 홈 사이 간격은 7mm, 돌출부의 돌출길이는 10mm일 수 있다. 제1판(210)과 제2판(220)의 폭은 변동 가능하다.In the gut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oundary stone 110 are 180 mm * 150 mm, the width and height of the gutter structure 150 are 500 mm * 200 mm, and the height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140 is 200 mm, etc. , L1 of the first plate 210 may be 580 mm, L2 of the second plate 220 may be 600 mm, the diameter of the concave groove may be 100 mm, the spacing between the concave grooves may be 7 mm,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rotrusion may be 10 mm. The widths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re vari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측구 구조물
110: 경계석 112; 지지벽
1: 집수정
10: 집수 통체
20: 덮개
30: 유입 목부 구조물
32: 그레이팅
140: 콘크리트 지지층
150: 측구 마감 콘크리트
200: 드레인 보드
210: 제1판
212: 돌출부
214: 오목홈
220: 제2판
230: 통로 공간
300: 부직포
100: gutter structure
110: boundary stone 112; support wall
1: Sump basin
10: Catchment body
20: cover
30: Inflow xylem structure
32: Grating
140: Concrete support layer
150: Side ditch finishing concrete
200: drain board
210: 1st edition
212: protrusion
214: concave groove
220: 2nd edition
230: Passage space
300: Non-woven fabric

Claims (9)

도로 가장자리의 경계석을 따라 형성되는 측구 구조물에 시공되어 우수를 배수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이고,
상기 드레인 보드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돌출 형성에 의하여 반대 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제1판; 및
상기 제1판의 돌출부의 끝 단면과 접촉하면서 제1판과 겹쳐지는 제2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판과 제2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는 'L'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우수가 흐르는 통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판은 집수정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및 집수정의 상면, 경계석의 측면과 직접 접촉되어 시공되며,
상기 드레인 보드는,
제1 사이즈를 가지며, 일 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제1판과, 상기 제1 판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사이즈를 가지는 제2판을 준비하고,
상기 제1 판을 'ㄴ' 형상으로 구부린 후, 상기 제2판을 상기 'ㄴ'자 형상과 동일하게 구부리면서 상기 제2판의 일 면이 상기 제1판의 돌출부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에 상기 통로 공간이 형성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It is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that is installed in the gutter structure formed along the boundary stone at the edge of the road to drain rainwater.
The drain board is,
A first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by the protrusions of the protrusions; and
It includes a second plate that overlaps the first plate while contacting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bent into an 'L' shap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passage spac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econd plate is construc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poured between the water sump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The drain board is,
Prepare a first plate having a first siz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and a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nd a second plate having a second size extending from the first plate,
After bending the first plate into an 'L' shape, bend the second pl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L'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Manufactured so that the pass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Characterized by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서 지지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trusion is,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support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공간은,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가 제외된 공간인,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ssage space is,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excluding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보드 위에 미세 망 구조물이 더 시공될 수 있고,
상기 미세 망 구조물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ne mesh structure may be further constructed on the drain board,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wherein the fine mesh structure includes non-woven fabric.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보드 또는 상기 부직포 위에 측구 마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4,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in which side-finishing concrete is poured on the drain board or the non-woven fabric.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끝 단 개구부에는 부직포가 덮어지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wherein the end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covered with non-woven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에는 측구 마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ain board for a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in which side-finishing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ncave groove.
도로 가장자리의 경계석을 따라 형성되는 측구 구조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 보드가 집수정 상면과 콘크리트 지지층의 상면, 그리고 경계석의 측면의 일정 높이까지 덮혀지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가 시공된 측구 구조물.
A side structure formed along the boundary stone at the edge of the road,
Constructed so that the drain board for the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to 5, 7, and 8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as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layer, and the side of the boundary stone to a certain height. A side structure with a drain board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185779A 2022-12-27 2022-12-27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KR102584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79A KR102584704B1 (en) 2022-12-27 2022-12-27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79A KR102584704B1 (en) 2022-12-27 2022-12-27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704B1 true KR102584704B1 (en) 2023-10-06

Family

ID=8829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779A KR102584704B1 (en) 2022-12-27 2022-12-27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7B1 (en) * 2006-05-18 2007-04-27 정태진 The double drain board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KR101509202B1 (en) 2014-07-28 2015-04-09 지성산업개발(주) Side Gutter Type Rain Collecting Well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ain Collecting Wells
KR101822899B1 (en) 2017-01-24 2018-01-30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Storage Function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KR102184981B1 (en) 2019-07-22 2020-12-01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Gutter Structure Improved Drainage Properties for Road Grou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57B1 (en) * 2006-05-18 2007-04-27 정태진 The double drain board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KR101509202B1 (en) 2014-07-28 2015-04-09 지성산업개발(주) Side Gutter Type Rain Collecting Well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ain Collecting Wells
KR101822899B1 (en) 2017-01-24 2018-01-30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Surface Water Reservoir for Improvement of Groundwater Storage Function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eservoir
KR102184981B1 (en) 2019-07-22 2020-12-01 지성산업개발(주) Eco-friendly Gutter Structure Improved Drainage Properties for Road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02B1 (en) Side Gutter Type Rain Collecting Well AND Eco-friendly Road Structure With Drainage System Using The Rain Collecting Wells
RU2718041C2 (en) Surface drainage device
KR101510615B1 (en) Pene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184981B1 (en) Eco-friendly Gutter Structure Improved Drainage Properties for Road Ground
KR102584704B1 (en) Drain board for road surface rainwater drainage system
JP2011074563A (en)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DK1518964T4 (en) Surface Drainage Facilities
JP2002061105A (en) Boundary water introducing groove block and waste water treatment structure in road
KR100529500B1 (en) Method for drainage of road
JP2002227111A (en) Channel block and drainage facility for draining pavement using it
JP2006118131A (en) Boundary block between sidewalk and roadway, having drainage function, drainage structure of pavement, using boundary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oundary block
KR200426719Y1 (en) A Tunnel Type Rainwater Infitration and Detention System
KR200327756Y1 (en) Draining structure of a road
JP2011174292A (en) U-shaped side ditch block equipped with overflow pipe, and roadside ditch using the same
JP2001279607A (en) Boundary block and drain treatment structure of road
JP4250719B2 (en) Boundary water channel block
KR20090007408U (en) Distributing a cap for steel grating
KR10257419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current system
KR102410480B1 (en) Roadside drainage system
JP4237071B2 (en) Drainage device and drainage method for road structures
KR101653722B1 (en) A structure for drainage and this method using the same
JP6198592B2 (en) Rainwater treatment system and boundary block used therefor
KR100771586B1 (en) Tunnel type rainwater processing system
KR200476485Y1 (en) Drainage structure
JP3089219B2 (en) Mud sun dry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