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59B1 -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 Google Patents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59B1
KR102583959B1 KR1020220111217A KR20220111217A KR102583959B1 KR 102583959 B1 KR102583959 B1 KR 102583959B1 KR 1020220111217 A KR1020220111217 A KR 1020220111217A KR 20220111217 A KR20220111217 A KR 20220111217A KR 102583959 B1 KR102583959 B1 KR 10258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vm
images
image
vehicle
camera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택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트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트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트빅
Priority to KR102022011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7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providing all-round vision, e.g. using omnidirectional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3D 서라운드뷰 모니터링(3D SVM)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3D SVM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채널 카메라 영상들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 비율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3D SVM 영상에 왜곡없이 표현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의 장애물 인식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 상황을 차량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3D surround view monitoring (3D SVM) technology for vehicl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orderline composite area ratio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for generating 3D SVM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stacles around a vehicle can be expressed without distortion in a 3D SVM imag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vehicle driver's obstacle recognition abi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because the vehicle driv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Description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by controlling the boundary composition area according to the 3D view point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3D 서라운드뷰 모니터링(3D SVM)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3D surround view monitoring (3D SVM) technology for vehicles.

특히, 본 발명은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3D SVM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채널 카메라 영상들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 비율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orderline composite area ratio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for generating 3D SVM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최근들어 자동차에 서라운드뷰 모니터링(Surround View Monitoring; SVM) 시스템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서라운드뷰 모니터링(SVM)은 어라운드뷰 모니터링(Around View Monitoring, AVM)이라고도 불리는데, 차량의 전후좌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전후좌우를 촬영한 후에 이들 카메라 영상을 합성하여 탑뷰(top view) 또는 버드아이뷰(bird's eye view)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운전자는 마치 차량 위에서 내려다보는 느낌으로 차량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주행이나 주차가 편리해진다.Recently,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to automobiles.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is also called around view monitoring (AVM). Cameras are install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images from these cameras are combined to create a top view or bird view. It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bird’s eye view. Drivers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as if looking down from above, making driving and parking more convenient.

[도 1]은 차량용 서라운드뷰 모니터링(SVM)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사이드미러 양쪽에 카메라(11 ~ 14)를 장착하고 이들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로부터 제공된 단위 카메라 영상(15 ~ 18)에 대해 이미지 개선과 왜곡 보정(캘리브레이션)을 적용하여 평면 이미지로 만든 후, 스티칭(이미지 정합 및 합성) 처리를 통해 버드아이뷰(탑뷰) 형태의 서라운드뷰 영상(19)을 얻는다. 이 서라운드뷰 영상(19)은 차량 내부의 모니터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utomotive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technology. As shown in [Figure 1], cameras (11 to 14)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on both side mirrors, and the unit camera images (15 to 18) provided from these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are displayed. After applying image improvement and distortion correction (calibration) to create a flat image, a surround view image (19) in the form of a bird's eye view (top view) is obtained through stitching (image registration and synthesis) processing. This surround view image 19 is provided to the driver through a monitor inside the vehicle.

[도 2]는 2D 및 3D 서라운드뷰 모니터링(SVM)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 (a)는 2D SVM 영상인데, 좌측은 후방 카메라 영상이고 우측은 버드아이뷰(탑뷰) 영상이다. 2D SVM 영상에서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과 양측방 카메라 영상(17, 18) 간의 경계선 합성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카메라 영상을 반투명하게 겹쳐서 보여준다. 경계선은 대각선 형태로 나타나고, 5도 내지 10도 정도의 영역이 겹쳐져 보이게 된다. 2D SVM 영상에서는 영상 겹침으로 인한 왜곡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도 2] (b)는 3D SVM 영상인데, 3D SVM은 입체(3D) 시점으로 합성 영상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차량 주변 상황을 좀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2D and 3D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screen. [Figure 2] (a) is a 2D SVM image, where the left side is a rear camera image and the right side is a bird's eye view (top view) image. In the 2D SVM image, two adjacent camera images are shown semi-transparently overlapping in the composite por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the bilateral camera images (17, 18). The border line appears in a diagonal shape, and areas of about 5 to 10 degrees overlap. In 2D SVM images, distortion due to image overlap is not noticeable. [Figure 2] (b) is a 3D SVM image. 3D SVM provides a composite image from a stereoscopic (3D) perspective, allowing the driv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도 3]은 3D SVM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D SVM 시스템은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원통(cylinder)이나 보울(bowl) 형태의 정형의 3D 투영면에 투영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그 중심에 3D 차량 모델을 배치한다. [도 3] (a), (b)는 보울 형상의 3D 투영면을 사용하는 예이고, [도 3] (c)는 실린더 형상의 3D 투영면을 나타낸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3D SVM technology. The 3D SVM system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by project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nto a regular 3D projection surface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bowl and places a 3D vehicle model at the center. [FIG. 3] (a) and (b) are examples of using a bowl-shaped 3D projection surface, and [FIG. 3] (c) shows a cylinder-shaped 3D projection surface.

[도 4]는 일반적인 3D SVM 영상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차량의 후측방 영역을 관찰하면 대각선을 따라 영상 왜곡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D SVM 영상에서도 2D SVM 영상과 마찬가지로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과 양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을 경계선을 따라 반투명하게 겹쳐서 보여준다. 그런데, 3D SVM 영상은 2D SVM 영상과는 달리 입체(3D) 공간에서 바닥면과 옆면을 함께 표시하기 때문에 경계선 부근의 영상 겹침 영역이 카메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넓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 주위의 장애물이 경계선 합성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과 양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을 겹치는 과정에서 영상 왜곡이 크게 발생한다.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problems with general 3D SVM images. When observing the rear side area of the vehicle in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image distortion appears prominently along the diagonal line. In the 3D SVM image, like the 2D SVM image,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the bilateral camera images (17, 18) are shown overlapping translucently along the border. However, unlike 2D SVM images, 3D SVM images display both the floor and sides in three-dimensional (3D) space, so the image overlap area near the boundary line widen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For this reason, when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exist in the boundary composite area, significant image distor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both side camera images (17, 18).

이처럼 종래의 3D SVM 영상에서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과 양측방 카메라 영상(17, 18) 간의 경계선 합성 부분에서 영상 왜곡이 크게 발생하여 운전자가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As such, in the conventional 3D SVM image, large image distortion occurred in the border composite por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both side camera images (17, 18), making it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cognize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01869호 "AVM 시스템의 영상 개선 장치 및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1869 “Imag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for AVM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1504호 "AVM 시스템 어라운드 영상 정합성 평가방법 및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1504 “AVM system around image consistenc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3D 서라운드뷰 모니터링(3D SVM)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lly provide 3D surround view monitoring (3D SVM) technology for vehicles.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3D SVM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채널 카메라 영상들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 비율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ratio of borderline composite areas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to generate 3D SVM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It is don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matter,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3D SVM 시스템이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다채널 카메라 영상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oundary composite area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of the vehicle 3D SVM system. .

본 발명에 따른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로부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획득하는 제 1 단계; 3D SVM 영상을 위한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가상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겹쳐지는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 대해 위 설정된 영역 비율에 대응하여 3D 투영면에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투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hrough border composite area control according to the 3D view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method of acquir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from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installed in a vehicle. step; A second step of acquiring the virtual camera position of the 3D view point for the 3D SVM image; A third step of setting the area ratio of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of the 3D SVM image; A fourth step of project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n the 3D proje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ratio set above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본 발명에서 제 3 단계는,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인 경우에,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서로 겹쳐지는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서로 겹쳐지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측방인 경우에,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서로 겹쳐지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서로 겹쳐지는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전후방이나 측방이 아닌 중간 지점에 위치할 경우에,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인터폴레이션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 및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s to preset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to a maximum value and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to a preset minimum value;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is set to a preset maximum value, and the overlapping side area is set to a preset maximum value.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camera images 17 and 18 to a preset minimum value;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rather tha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the side camera images (17, 18) that overlap each other by interpola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etting a .

본 발명에서 제 3 단계는,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가상 카메라 위치와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의 장착 위치가 직교에 가까운 정도에 비례하여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s to configure multi-channel video in proportion to the degree to which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are close to orthogonal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of the 3D SVM imag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camera images 15 to 18.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이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hrough controll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according to the 3D view viewpoint on the comput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3D SVM 영상에 왜곡없이 표현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의 장애물 인식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stacles around a vehicle can be expressed without distortion in a 3D SVM imag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vehicle driver's obstacle recognition 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 상황을 차량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because the vehicle driv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도 1]은 차량용 서라운드뷰 모니터링(SVM)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2D 및 3D SVM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3D SVM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3D SVM 영상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일반적인 3D SVM 영상에서 측방 시점에서의 영상 왜곡을 관찰한 예시도.
[도 6]은 일반적인 3D SVM 영상에서 전방 시점에서의 영상 왜곡을 관찰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SVM 영상 왜곡보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다채널 카메라 영상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개념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utomotive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technology.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ypical 2D and 3D SVM images.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3D SVM technology.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problems with general 3D SVM images.
[Figure 5] is an example of observing image distortion from a lateral perspective in a typical 3D SVM image.
[Figure 6] is an example of observing image distortion from a front view in a typical 3D SVM image.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setting the area ratio of a multi-channel camera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와 [도 4]를 비교하면,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과 양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이 겹쳐지는 부분에서의 영상 왜곡이 2D SVM 영상에서는 적은 반면 3D SVM 영상에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 SVM 영상은 2D SVM 영상과는 달리 입체(3D) 공간에서 바닥면과 옆면을 함께 표시하기 때문에 경계선 부근의 영상 겹침 영역이 카메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넓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3D SVM 영상에서는 카메라로부터 멀어질수록 겹침 부분에서의 영상 왜곡이 크게 일어나는 것이다. Comparing [Figure 2] and [Figure 4], the image distortion in the area where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the bilateral camera images (17, 18) overlap is less in the 2D SVM image, whereas in the 3D SVM image, It was confirmed that it appeared prominently. This is because, unlike 2D SVM images, 3D SVM images display both the floor and sides in three-dimensional (3D) space, so the image overlap area near the boundary line widen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Because of this, in 3D SVM images, image distortion in the overlapping area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increases.

그런데, 3D SVM 영상에서 영상 왜곡은 시점 별로 카메라 영상에 따라 왜곡 정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3D SVM 영상의 왜곡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킨다. 즉, 시점 별로 영상 왜곡이 적게 나타나도록 경계선 합성영역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3D SVM 영상의 왜곡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However, image distortion in 3D SVM images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degree of distortion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mera image at each viewpoint.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se characteristics to reduce overall distortion of 3D SVM images. In other words, the overall distortion of the 3D SVM image is reduced by adaptively determining the boundary composite area so that image distortion appears less for each viewpoint.

[도 5]는 일반적인 3D SVM 영상에서 측방 시점에서의 영상 왜곡을 관찰한 예시도이다.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observing image distortion from a lateral perspective in a general 3D SVM image.

[도 5] (a)를 참조하면 측방 시점에서 좌측 카메라 영상은 양끝 영역에서 왜곡이 많이 발생한다. 반면, [도 5] (b)를 참조하면 측방 시점에서 전후방 카메라 영상에서는 양끝 영역에서 왜곡이 적게 발생한다. 3D 뷰의 측방 시점에서는 측방 카메라 영상보다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합성영역의 영상에 왜곡이 적게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ure 5] (a), the left camera image from a lateral view shows a lot of distortion in both end areas.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5] (b), less distortion occurs in both end areas in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from a lateral view. In the lateral view of the 3D view, using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rather than lateral camera images causes less distortion in the image of the composite area.

[도 6]은 일반적인 3D SVM 영상에서 전방 시점에서의 영상 왜곡을 관찰한 예시도이다.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bserving image distortion from a front view in a general 3D SVM image.

[도 6] (a)를 참조하면 전방 시점에서 후방 카메라 영상은 양끝 영역에서 왜곡이 많이 발생하고 전방 카메라 영상도 양끝 영역에서는 왜곡이 적지않게 발생한다. 반면, [도 6] (b)를 참조하면 전방 시점에서 측방 카메라 영상에서는 양끝 영역에서 왜곡이 적게 발생한다. 3D 뷰의 전방 시점에서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보다는 측방 카메라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합성영역의 영상에 왜곡이 적게 발생한다.Referring to (a) of Figure 6, the rear camera image from the front view has a lot of distortion in both end areas, and the front camera image also has a lot of distortion in both end areas.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6] (b), less distortion occurs in both end areas in the side camera image from the front view. In the front view of the 3D view, using side camera images rather than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causes less distortion in the image of the composite area.

이상의 [도 5]와 [도 6]의 결과로부터 3D SVM 영상에서 3D 뷰 시점에 따라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하는 현상이 변화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D 뷰 시점(가상 카메라 위치)과 차량 카메라 장착 위치가 직교에 가까울수록 3D SVM 영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서 영상 왜곡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FIG. 5] and [FIG. 6]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henomenon of image distortion occurring in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changes depending on the 3D view point in the 3D SVM image.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closer the 3D view point (virtual camera position) and the vehicle camera mounting position are to orthogonal, the less image distortion occurs in the border composite area of the 3D SVM imag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through border composite area control according to the 3D view view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3D SVM 영상 왜곡보정 기술은 3D SVM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다채널 카메라 영상들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 비율을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3D SVM 영상은 단위 카메라 영상이 겹쳐져서 보여지는 영역에서의 영상 왜곡이 종래기술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aptively adjusts the borderline composite area ratio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dur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 3D SVM image. The 3D SVM image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shows less image distortion in areas where unit camera images are overlapp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단계 (S110) : 먼저, 차량의 여러 방향, 예컨대 전방 범퍼, 후방 범퍼, 좌우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카메라(11 ~ 14)로부터 다채널 카메라 영상, 즉 복수의 단위 카메라 영상(15 ~ 18)을 획득한다. Step (S110): First, multi-channel camera images, that is, multiple unit camera images (15 to 18), are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1 to 14)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vehicle, such as the front bumper, rear bumper, and left and right side mirrors. ) to obtain.

단계 (S120) : 다음으로, 3D SVM 영상을 위한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를 획득한다. [도 2] (b) 및 [도 4]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3D SVM 영상에서는 차량 외부의 입체 공간에서 3D 뷰 시점을 설정하고 그 위치에 가상의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처럼 3D 영상을 생성한다. 단계 (S120)에서는 3D 뷰 시점에 대응하여 3D 공간 상의 가상 카메라 위치 값을 가져온다.Step (S120): Next, the virtual camera position of the 3D view point for the 3D SVM image is acquired. As illustrated in [Figure 2] (b) and [Figure 4] to [Figure 6], in the 3D SVM image, the 3D view point is se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utside the vehicle and the 3D view point is set as if a virtual camera exists at that location. Create a video. In step S120, the virtual camera position value in 3D space is retrieved corresponding to the 3D view point.

단계 (S130) : 다음으로,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 대하여 가상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겹쳐지는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한다. Step (S130): Next,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of the 3D SVM image,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is set in response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도 8]은 본 발명에서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3D SVM 영상에 관한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2D SVM 영상에서 설명한다. 3D SVM 영상에서도 [도 8]과 동일한 개념이 적용되며 단지 입체공간으로 확장된 것이다.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etting the area ratio of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3D SVM images, it is described in terms of 2D SVM imag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concept as [Figure 8] is applied to 3D SVM images, only expanded to three-dimensional space.

[도 8] (a)를 참조하면,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이 겹쳐지는 영역에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이 존재한다.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는 서로 겹쳐지는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전방 좌측의 경계선 합성영역(21)은 2개의 단위 카메라 영상(15, 17)이 겹쳐져서 표시되고, 차량 후방 우측의 경계선 합성영역(23)은 2개의 단위 카메라 영상(16, 18)이 겹쳐져서 표시된다. Referring to (a) of FIG. 8, boundary composite areas 21 to 24 exist in areas where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verlap. In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there ar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For example, the border composite area 21 on the front left of the vehicle is displayed by overlapping two unit camera images 15 and 17, and the border composite area 23 on the rear right of the vehicle is displayed with two unit camera images 16 and 17, respectively. 18) are displayed overlapping.

단계 (S130)에서는 이들 경계선 합성영역(21 ~ 24) 각각에 대해 서로 겹쳐지는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가상 카메라 위치(즉, 3D 뷰 시점)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후방 우측의 경계선 합성영역(23)의 경우에 2개의 단위 카메라 영상(16, 18)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 비율을 가상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In step S130,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for each of these border composite areas 21 to 24 is set in response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e., 3D view poi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order composite area 23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ratio of the area where the two unit camera images 16 and 18 are displayed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virtual camera position.

이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가상 카메라 위치(3D 뷰 시점)에서 영상 왜곡이 적게 발생하는 방향으로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6], the area ratio of the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is adjusted in a direction that causes less image distortion at the current virtual camera position (3D view point). Set it.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을 구성함에 있어서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그에 따른 결과로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은 최소값으로 설정된다. 이때, 최대값과 최소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차량 후방 우측의 경계선 합성영역(23)을 예로 들면, 가상 카메라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때에는 [도 8] (d)와 같이 우측 카메라 영상(18)의 영역 비율이 최대로 되고 후방 카메라 영상(16)의 영역 비율이 최소로 된다. For example, when the virtual camera is located in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is set to the maximum value when form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As a result, the area ratio of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is set to the minimum value.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re set in advance. Tak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23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as an example, when the virtual camera is located in the front or rear, the area ratio of the right camera image 18 is maximized as shown in [Figure 8] (d), and the rear camera image ( The area ratio of 16) becomes minimum.

또한, 가상 카메라가 차량의 측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그에 따른 결과로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은 최소값으로 설정될 것이다. 차량 후방 우측의 경계선 합성영역(23)을 예로 들면, 가상 카메라가 측방에 위치할 때에는 [도 8] (c)와 같이 후방 카메라 영상(16)의 영역 비율이 최대로 되고 우측 카메라 영상(18)의 영역 비율이 최소로 된다. Additionally, when the virtual camer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is set to the maximum value when form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As a result, the area ratio of the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will be set to the minimum value. Taking the boundary composite area 23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as an example, when the virtual camera is located on the side, the area ratio of the rear camera image 16 is maximized, as shown in [Figure 8] (c), and the right camera image 18 is The area ratio of becomes minimum.

또한, 가상 카메라가 차량의 전후방이나 측방이 아닌 중간 지점에 위치할 경우에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인터폴레이션을 적용하여 서로 겹쳐지는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한다. 즉,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가까울수록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높이고, 반대로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차량의 측방에 가까울수록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도 8] (b)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차량의 우측 후방 대각선 방향이어서 우측 카메라 영상(18)과 후방 카메라 영상(16)의 영역 비율이 기본 값(default value)인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차량의 측방으로 이동할수록 영역 비율은 [도 8] (c)에 가까워지고, 반대로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영역 비율은 [도 8] (d)에 가까워진다. In addition, when the virtual camera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rather tha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interpol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to set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In other words, the closer the virtual camera location is to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the higher the area ratio of the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is. Conversely, the closer the virtual camera location is to the side of the vehicle, the higher the area ratio of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are. The goal is to increase the area ratio. [FIG. 8] (b) shows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diagonally toward the right rear of the vehicle, so the area ratio of the right camera image 18 and the rear camera image 16 is the default value. Here,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moves to the side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approaches [Figure 8] (c), and conversely,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moves to the rear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approaches [Figure 8] (d). Getting closer.

한편, 앞서 [도 5]와 [도 6]의 결과로부터 3D 뷰 시점(가상 카메라 위치)과 차량 카메라 장착 위치가 직교에 가까울수록 3D SVM 영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서 영상 왜곡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가상 카메라 위치와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의 장착 위치가 직교에 가까운 정도에 비례하여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from the results of [Figures 5] and [Figure 6],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ser the 3D view point (virtual camera position) and the vehicle camera mounting position are to each other, the less image distortion occurs in the border composite area of the 3D SVM image. . Accordingly,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the area of the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to which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are close to orthogonal.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set a ratio.

단계 (S140, S150) :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 대해 위 설정된 영역 비율에 대응하여 3D 투영면에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투영하여 3D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3D 차량 모델과 함께 3D SVM 영상을 출력한다.Steps (S140, S150): Create a 3D composite image by project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n the 3D proje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ratio set above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and use 3D SVM with the 3D vehicle model. Output the video.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These non-volatile recording media include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SSDs, CD-ROMs, NAS, magnetic tapes, web disks, and cloud disks.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code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executed in a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dur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Claims (4)

차량 3D SVM 시스템이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다채널 카메라 영상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로부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획득하는 제 1 단계;
3D SVM 영상을 위한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겹쳐지는 상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 대해 상기 설정된 영역 비율에 대응하여 3D 투영면에 상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투영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인 경우에,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서로 겹쳐지는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서로 겹쳐지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측방인 경우에,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서로 겹쳐지는 상기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서로 겹쳐지는 상기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가 차량의 전후방이나 측방이 아닌 중간 지점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인터폴레이션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상기 전후방 카메라 영상(15, 16) 및 상기 측방 카메라 영상(17,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
A method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of the vehicle 3D SVM system,
A first step of acquir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from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installed in the vehicle;
A second step of acquiring the virtual camera position of the 3D view point for the 3D SVM image;
A third step of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of the 3D SVM image;
A fourth step of projecting the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n a 3D proje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t area ratio for each borderline composite area;
It is composed including,
The third step is,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is set to a preset maximum value, and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to a preset minimum value;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area ratio of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and 16 overlapping with each other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is set to a preset maximum value, and the overlapped areas are set to a preset maximum value.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side camera images 17 and 18 to a preset minimum value;
When the virtual camera position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rather tha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the front and rear camera images 15, 16 and the side camera images 17, 18 overlap each other by interpola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 setting the area ratio of;
A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hrough controll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according to the 3D view viewpoint, including.
삭제delete 차량 3D SVM 시스템이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에 따라 다채널 카메라 영상 간의 경계선 합성영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3D SVM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로부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획득하는 제 1 단계;
3D SVM 영상을 위한 3D 뷰 시점의 가상 카메라 위치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겹쳐지는 상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에 대해 상기 설정된 영역 비율에 대응하여 3D 투영면에 상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을 투영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3D SVM 영상의 각각의 경계선 합성영역(21 ~ 24)에 대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 위치와 상기 다채널 카메라 장치(11 ~ 14)의 장착 위치가 직교에 가까운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다채널 카메라 영상(15 ~ 18)의 영역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
A method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3D SVM images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between multi-channel camera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t the 3D view point of the vehicle 3D SVM system,
A first step of acquir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from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installed in the vehicle;
A second step of acquiring the virtual camera position of the 3D view point for the 3D SVM image;
A third step of setting the area ratio of the overlapping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amera position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of the 3D SVM image;
A fourth step of projecting the multi-channel camera images (15 to 18) on a 3D projectio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t area ratio for each borderline composite area;
It is composed including,
The third step is,
For each border composite area (21 to 24) of the 3D SVM image, the virtual camera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ulti-channel camera devices (11 to 14) are close to orthogonal to the multi-channel camera image (15 to 14). 18) Setting the area ratio;
A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hrough controlling the border composite area according to the 3D view viewpoint, including.
컴퓨터에 청구항 1 또는 3에 따른 3D 뷰 시점에 따른 경계선 합성영역 제어를 통한 3D SVM 영상 왜곡보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3D SV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through control of the border composite area according to the 3D view viewpoint according to claim 1 or 3 on the computer.
KR1020220111217A 2022-09-02 2022-09-02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KR102583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17A KR102583959B1 (en) 2022-09-02 2022-09-02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17A KR102583959B1 (en) 2022-09-02 2022-09-02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59B1 true KR102583959B1 (en) 2023-09-27

Family

ID=8818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217A KR102583959B1 (en) 2022-09-02 2022-09-02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48B1 (en) * 2013-06-28 2015-01-15 (주) 세인 Apparatus Reliably Providing Vehicle Around Image
KR20170111504A (en) 2016-03-28 2017-10-12 자동차부품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Image Match of an Around View Image for an Around View Monitor System
KR20180001869A (en) 2016-06-28 2018-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mage Improving Apparatus for AVM System and Improving Method thereof
KR20200126365A (en) * 2018-03-09 2020-11-06 콘티 테믹 마이크로일렉트로닉 게엠베하 Surround view system with adjusted projection pla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48B1 (en) * 2013-06-28 2015-01-15 (주) 세인 Apparatus Reliably Providing Vehicle Around Image
KR20170111504A (en) 2016-03-28 2017-10-12 자동차부품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Image Match of an Around View Image for an Around View Monitor System
KR20180001869A (en) 2016-06-28 2018-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mage Improving Apparatus for AVM System and Improving Method thereof
KR20200126365A (en) * 2018-03-09 2020-11-06 콘티 테믹 마이크로일렉트로닉 게엠베하 Surround view system with adjusted projection pl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2053B (en) Image synthesizer for surround monitoring system
US20170161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round vehicle
JP6559253B2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DE102014107155A1 (en) Improved front curb visualization system
DE102014107158A1 (en) Improved top-down imaging in a front curb visualization system
DE102014205078A1 (en) System for viewing a curb in a front area based on two cameras
US9387804B2 (en) Image distortion compens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027329B (en) Stitching together partial images of the surroundings of a running tool into one image
JP695816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JP2009524171A (en) How to combine multiple images into a bird's eye view image
US10897600B1 (en) Sensor fusion based perceptually enhanced surround view
WO201905392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N113508574A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JP7013751B2 (en) Image processing equipment
JP5853457B2 (en) Vehicle perimeter monitoring system
JP700038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583959B1 (en)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djustment of video composition portion of boundary line corresponding to 3D viewpoint
JP7314518B2 (en) Perimeter monitoring device
JP3830025B2 (en) Drawing device
US20200307456A1 (en) Visual field support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mage conversion method
CN111355880B (en) Semiconductor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222947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of vehicle surrounding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of vehicle surroundings
CN113504962A (en) Standard-definition 360-panorama system UI layout method
CA2983654A1 (en) Image synthesizer for a driver assisting system
KR102612066B1 (en) method of correcting distortion in 3D SVM video by use of atypical 3D projection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