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63B1 -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63B1
KR102583463B1 KR1020210074610A KR20210074610A KR102583463B1 KR 102583463 B1 KR102583463 B1 KR 102583463B1 KR 1020210074610 A KR1020210074610 A KR 1020210074610A KR 20210074610 A KR20210074610 A KR 20210074610A KR 102583463 B1 KR102583463 B1 KR 10258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holder
groove
holder part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5945A (en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송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경 filed Critical 송현경
Priority to KR102021007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적어도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2 홀더부; 상기 제2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3 홀더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2 홀더부의 홈을 통과한 치실이 팽팽해지도록, 상기 제2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3 홀더부의 홈 사이의 치실이 상기 베이스부 상에 고정되게 하는 치실 텐션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base portion formed in a rod shape so that a user can hold at least part of it; a first holder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ip of the base portion and has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secon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er part in a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thir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lder part in the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on the base part, so that the dental floss passing through the groove of the first holder part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is tensioned,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or that secures the dental floss between the grooves of the third holder part on the base part.

Description

치아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teeth}Apparatus for cleaning teeth}

본 발명은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할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한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clea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oth cleaning device that can hold dental floss tautly and is easily replaced.

치아를 건강하고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섭취한 후 적절한 시간 내에 양치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 만으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치석 등을 완전히 닦아내거나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keep your teeth healthy and clean, it is advisable to brush your teeth within an appropriate amount of time after eating food. However, brushing alone with a toothbrush has limitations in completely wiping or removing food residue, plaque, and tartar stuck between teeth.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쑤시개와 치실 등의 여러가지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tools such as toothpicks and dental floss are generally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tuck between teeth.

이쑤시개는 치아 사시에 낀 이물질이 시원하게 잘 빠지지도 않고, 특히 치아 안쪽에 낀 음식물을 빼려고 하다보면 뾰족한 끝이 잇몸에 상처를 주어 잇몸 질환을 유발하며, 치아에 무리를 주는 등 구강 위생상의 문제점과 치아 보존 관리상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치의학상 측면에서도 이쑤시개는 사용하지 않기를 권하고 있으며, 치실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Toothpicks do not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tuck in the crooks of the teeth, and especially when trying to remove food stuck inside the teeth, the sharp ends can damage the gums, causing gum disease, putting strain on the teeth, causing oral hygiene problems and dental problems. Because there are problems with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rom a dental perspective, it is recommended not to use toothpicks, and the use of dental floss is strongly recommended.

이와 같은 이쑤시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치실을 사용하는 방법은 치실 양쪽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한 손은 입밖에 한 손은 입속을 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치실의 사용 방법은 불편하고 비위생적이며 또한 치아에 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또한 있었다. Considering these problems with toothpicks, dental floss is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tuck between teeth. However, the method of using dental floss is to hold both sides of the dental floss with both hands and use one hand toward the mouth and the other hand toward the inside of the mouth. , this method of using dental floss is inconvenient and unhygienic, and also has the problem of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tuck in teeth.

한편, 이러한 불편한 치실의 사용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6736호와 같이 치실이 구비된 치아 세정장치가 개발되었다. 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inconvenient method of using dental floss, a tooth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dental floss has been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16736, which is a patent document.

그러나 이러한 치아 세정장치는 사용 방법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치실이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아 치아에 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though these tooth cleaning devices are convenient to 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tuck on teeth because the dental floss is not pulled tightly.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팽팽한 치실을 유지할 수 있는 치아 세정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the industry, continuous and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conducted to develop a tooth cleaning device that can maintain a tight dental floss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팽팽한 치실을 유지할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한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 cleaning device that can maintain a taut dental floss and is easy to re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사용자가 적어도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2 홀더부; 상기 제2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3 홀더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2 홀더부의 홈을 통과한 치실이 팽팽해지도록, 상기 제2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3 홀더부의 홈 사이의 치실이 상기 베이스부 상에 고정되게 하는 치실 텐션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ooth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formed in a rod shape so that a user can hold at least part of it; a first holder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ip of the base portion and has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secon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er part in a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thir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lder part in the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on the base part, so that the dental floss passing through the groove of the first holder part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is tensioned,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or that secures the dental floss between the grooves of the third holder part on the base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텐션 발생부는, 몸체에 치실이 감겨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양단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를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몸체가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치실 고정부; 및 상기 치실 고정부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치실 고정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or is configured to wrap and secure dental floss around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body, between the second holder portion and the third holder portion on the base portion. a dental floss fixing part whose body is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o slide; and a multi-stage sliding fixing part that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so that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is fixed on the base part, and is reces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ase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and the second holder part may be lar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홀더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부는, 상기 제2 홀더부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holder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holder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의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치실이 감겨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으로 구성되는 치실 삽입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base portion from the third holder portion to a distal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groove to secure the dental floss by wrapping it around the dental floss.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은,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에 다단 감겨 1차 고정된 후, 상기 제3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2 홀더부의 홈을 거쳐 상기 제1 홀더부의 홈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에 배치된 치실을 상기 치실 텐션 발생부의 상기 치실 고정부로 함께 끌어내려 다단 감음으로써 상기 치실 고정부에 고정되고, 다시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에 다단으로 감겨 2차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ntal floss is wound in multiple stages around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ture and first fixed, then moves to the groove of the first holder through the groove of the third holder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and then moves to the groove of the first holder. The dental floss placed between the holder unit and the third holder unit is pulled down together to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of 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unit and wound in multiple stages to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and then wound again in multiple stages around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to form a secondary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는, 상기 치실을 1차 고정시키는 제1 홈; 및 상기 치실을 2차 고정시키되 상기 제1 홈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홈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groove for primarily fixing the dental floss; and a second groove that secondarily fixes the dental floss,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groov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groove.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은, 상기 치아 세정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ntal floss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oot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홈들이 형성된 홀더부가 3개 구비되고, 치실 텐션 발생부가 구비되어 팽팽한 치실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tooth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ree holder parts in which grooves are formed, and is equipped with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part, whic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taut dental floss and making it easy to re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홀더부들의 상세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holder parts of the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시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show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실 세정장치의 홀더부들의 상세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holder parts of the dental floss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 degre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1)는, 베이스부(10), 제1 홀더부(20), 제2 홀더부(30), 제3 홀더부(40), 치실 텐션 발생부(50) 및 치실 삽입 고정부(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ooth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a first holder portion 20, a second holder portion 30, and a third holder portion. It includes a holder part 40,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part 50, and a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part 60.

이하, 상기의 구성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치실(S)은 치아 세정장치(1)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Hereinafter, the tooth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dental floss (S)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tooth cleaning device (1).

베이스부(10)는, 사용자(도시하지 않음)가 적어도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in a rod shape so that a user (not shown) can hold at least part of it.

베이스부(1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선단(11)에서 후단(12)으로 갈 수록 폭과 너비가 커지게 형성될 수 있고, 후단(12)보다 선단(11)에 가까운 곳에 후술할 제1 내지 제3 홀더부(20, 30, 40)들이 배치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0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width from the front end 11 to the rear end 12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and will be described later closer to the front end 11 than the rear end 12. First to third holder parts 20, 30, and 40 may be disposed.

제1 홀더부(20)는, 베이스부(10)의 선단(11)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S)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21)을 구비한다.The first holder portion 20 protrudes upward from the tip 11 of the base portion 10 and has a groove 21 configured to hold the dental floss S.

제1 홀더부(20)와 제2 홀더부(3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제2 홀더부(30)와 제3 홀더부(40) 사이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실(S)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치실질이 더욱 편하고 더 넓은 치실 면적(S)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second holder part 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30 and the third holder part 40,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user's teeth. It is possible to secure a longer length of dental floss (S) to remove stuck foreign substances, which makes flossing more comfortable for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use a wider dental floss area (S).

제1 홀더부(20)는, 홈(21)이 베이스부(10)의 선단(11) 방향에서 제1 홀더부(20)의 측면을 돌아 다시 베이스부(10)의 말단(12)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이때 홈(21)은 적어도 일부 곡선을 가지는 'ㄴ'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치실(S)은 제1 홀더부(20)의 홈(21)을 통과한 후 제2 홀더부(30)와 제3 홀더부(40) 사이에 배치된 치실(S)을 치실 텐션 발생부(50)의 치실 고정부(51)로 함께 끌어내릴 경우에 충분한 지지가 될 수 있고, 치실(S)이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holder part 20 has a groove 21 that goes around the side of the first holder part 20 from the direction of the tip 11 of the base part 10 and back towards the distal end 12 of the base part 10.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see Figure 3). At this time, the groove 21 may have an 'L' shape with at least some curves.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dental floss (S) passes through the groove (21) of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n the dental floss (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30) and the third holder part (40) is flossed. When pulled down together with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51 of the tension generating part 50, sufficient support can be provided and the dental floss S can be tightly fixed.

제2 홀더부(30)는, 제1 홀더부(20)로부터 베이스부(10)의 말단(12)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S)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31)을 구비한다.The second holder portion 3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er portion 20 toward the distal end 12 of the base portion 10 and holds the dental floss S.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31 configured to do so.

제2 홀더부(30)는, 제1 홀더부(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실질이 편안한 자세에서 이루어지고 정확한 치실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part 30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holder part 20, so that the user can floss his or her teeth in a comfortable position and floss the teeth accurately.

제3 홀더부(40)는, 제2 홀더부(30)로부터 베이스부(10)의 말단(12)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S)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41)을 구비한다.The third holder portion 4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lder portion 30 toward the distal end 12 of the base portion 10 and holds the dental floss S.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41 configured to do so.

제3 홀더부(40)는, 제2 홀더부(30)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홀더부(20)의 홈(21)과 제2 홀더부(30)의 홈(31)을 통과한 치실(S)이 팽팽해지도록 하는 힘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third holder part 40 is formed to have the same or higher height than the second holder part 30, and the groove 21 of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30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implement the force that causes the dental floss (S) passing through (31) to become taut.

치실 텐션 발생부(50)는, 베이스부(10) 상의 제2 홀더부(30)와 제3 홀더부(40) 사이에 위치되며, 제1 홀더부(20)의 홈(21)과 제2 홀더부(30)의 홈(31)을 통과한 치실(S)이 팽팽해지도록, 제2 홀더부(30)의 홈(31)과 제3 홀더부(40)의 홈(41) 사이의 치실(S)이 베이스부(10) 상에 고정되게 한다.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or 50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30 and the third holder part 40 on the base part 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groove 21 of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second holder part 20. The dental floss is placed between the groove 31 of the second holder portion 30 and the groove 41 of the third holder portion 40 so that the dental floss S passing through the groove 31 of the holder portion 30 is taut. (S) is fixed on the base portion (10).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은 팽팽한 치실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taut dental floss and making it easy to replace.

치실 텐션 발생부(50)는, 치실 고정부(51) 및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unit 50 may include a dental floss fixing unit 51 and a multi-stage sliding fixing unit 52.

치실 고정부(51)는, 몸체에 치실(S)이 감겨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몸체의 양단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베이스부(10) 상의 제2 홀더부(30)와 제3 홀더부(40) 사이를 슬라이딩하도록 몸체가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ental floss fixing unit 51 is configured to wrap and secure the dental floss (S) around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body, and includes the second holder portion 30 on the base portion 10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30 on the base portion 10. 3 The body may b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o slide between the holder portions 40.

치실 고정부(51)는 슬라이딩하면서 치실(S)을 더욱 팽팽하게 잡아 당길 수 있어, 더욱 팽팽한 치실의 유지가 지속적으로 가능한 효과가 있고 그럼에 따라 치실질의 효율 및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51 can pull the dental floss (S) more tightly while slid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 tighter dental flos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flossing.

구체적으로 치실 고정부(51)는, 제3 홀더부(40)보다 제2 홀더부(30)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S)이 고정되고 난 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오랜 사용에 의해 제1 홀더부(20)와 제2 홀더부(30) 사이의 치실(S)이 약간 느슨해질 수 있다. 이대, 치실 고정부(51)를 제3 홀더부(40)에 더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 홀더부(20)와 제2 홀더부(30) 사이의 치실(S)이 다시 팽팽해지도록 조작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51 is fixed in a position closer to the second holder part 30 than the third holder part 40, and when the user uses it after the dental floss S is fixed, it lasts for a long time. The dental floss (S)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second holder part 30 may become slightly loose due to use. At this time,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51 is slid closer to the third holder part 40 and the dental floss S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second holder part 30 is tightened again. can do.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52)는, 치실 고정부(51)가 베이스부(10) 상에서 다단 고정되도록, 치실 고정부(51)와 맞물리게 형성되되, 베이스부(10)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multi-stage sliding fixing part 52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51 so that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51 is fixed in multiple stages on the base part 1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ase part 10. A depression may fo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52)의 홈을 3개로 표현하였으나, 팽팽함의 정도를 더욱 늘리기 위해 4개 또는 5개까지 늘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치실질이 더욱 편하고 더 넓은 치실 면적(S)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홀더부(20)와 제2 홀더부(30) 사이의 이격 간격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llustration, the grooves of the multi-stage sliding fixing part 52 are expressed as three, but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degree of tension, they can be increased to four or five. In this case, the user In order to make flossing more comfortable and having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se a larger floss area (S),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 second holder part 30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치실 삽입 고정부(60)는, 제3 홀더부(40)로부터 베이스부(10)의 말단(12) 방향의 베이스부(10) 상에 위치되며, 치실(S)이 감겨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61, 6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60 is located on the base portion 10 in the direction from the third holder portion 40 to the distal end 12 of the base portion 10, and includes at least one dental floss S to be wound and secured thereto. It may be composed of grooves 61 and 62.

치실 삽입 고정부(60)는, 제1 홈(61)과 제2 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ture 60 may include a first groove 61 and a second groove 62.

제1 홈(61)은, 치실(S)을 1차 고정시키되, 치실(S)이 베이스부(10)에 최초 고정시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groove 61 primarily fixes the dental floss S, and may be used when the dental floss S is initially fixed to the base portion 10.

제2 홈(62)은, 제1 홈(6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되 제1 홈(6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치실(S)을 2차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홈(62)은 치실(S)이 제1 홈(61)에서 최초 고정되고 난 후에 제1 내지 제3 홀더부(20~40)을 거친 치실(S)이 후속적으로 감겨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62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groove 61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groove 61, and can secondaryly fix the dental floss (S). Here, the second groove 62 is formed so that the dental floss 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holder parts 20 to 40 is subsequently wound and fixed after the dental floss S is initially fixed in the first groove 61. can be formed.

치실(S)은 치실 삽입 고정부(60)의 제1 홈(61)에 다단으로 감겨 1차 고정된 후, 제3 홀더부(40)의 홈(41)으로 그리고 제2 홀더부(30)의 홈(31)으로 가이드된 후 제1 홀더부(20)의 홈(21)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제2 홀더부(30)와 제3 홀더부(40) 사이에 배치된 치실(S)을 치실 텐션 발생부(50)의 치실 고정부(51)로 함께 끌어내려 다단 감음으로써 치실 고정부(51)에 고정된 후, 다시 치실 삽입 고정부(60)의 제2 홈(62)에 다단으로 감겨 2차 고정될 수 있다. The dental floss (S) is wound in multiple stages around the first groove (61) of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part (60) and is first fixed, and then into the groove (41) of the third holder part (40) and the second holder part (30). After being guided to the groove 31 of the first holder part 20, it moves to the groove 21 of the first holder part 20, and then the dental floss (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30 and the third holder part 40. 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unit 50 is pulled together into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51 and wound in multiple stages to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fixing unit 51, and then again into the second groove 62 of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60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wound and secured secondaryly.

이러한 치실(S)의 감기는 순서 및 배치로 인해서, 본 발명은 기존 치아 세정장치(1)에 비해서 더욱 팽팽하게 치실(S)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치실질이 매우 편하고 안락하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ue to the winding order and arrangement of the dental floss (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ental floss (S) to be maintained more tightly than the existing tooth cleaning device (1), allowing the user to floss their teeth very comfortably, comfortably, and accurately. There is a possible effec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1)는, 홈들(21,31,41)이 형성된 홀더부(20, 30, 40)가 3개 구비되고, 치실 텐션 발생부(50)가 구비되어 팽팽한 치실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tooth clea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ree holder parts 20, 30, and 40 in which grooves 21, 31, and 41 are formed, and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part 50. It is provided to maintain a taut dental floss and makes it easy to replac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치아 세정장치
10: 베이스부
11: 선단 12: 말단
20: 제1 홀더부 21: 홈
30: 제2 홀더부 31: 홈
40: 제3 홀더부 41: 홈
50: 치실 텐션 발생부
51: 치실 고정부 52: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
60: 치실 삽입 고정부
61: 제1 홈 62: 제2 홈
S: 치실
1: Teeth cleaning device
10: Base part
11: tip 12: end
20: first holder portion 21: groove
30: second holder portion 31: groove
40: Third holder portion 41: Home
50: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on part
51: Dental floss fixture 52: Multi-stage sliding fixture
60: Dental floss insertion fixture
61: 1st groove 62: 2nd groove
S: dental floss

Claims (8)

사용자가 적어도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2 홀더부;
상기 제2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치실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제3 홀더부;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2 홀더부의 홈을 통과한 치실이 팽팽해지도록, 상기 제2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3 홀더부의 홈 사이의 치실이 상기 베이스부 상에 고정되게 하는 치실 텐션 발생부; 및
상기 제3 홀더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 방향의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치실이 감겨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으로 구성되는 치실 삽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A base portion formed in a b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hold at least part of it;
a first holder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ip of the base portion and has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secon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lder part in a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a third hold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der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lder part in the dist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groove configured to hold dental floss;
I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on the base part,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a dental floss tension generator that secures the dental floss between the grooves of the third holder unit on the base unit; and
A tooth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portion located on the base portion from the third holder portion toward a distal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mprised of at least one groove to secure the dental floss by wrapping it around the dental flo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텐션 발생부는,
몸체에 치실이 감겨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양단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 상의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를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몸체가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치실 고정부; 및
상기 치실 고정부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치실 고정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다단 슬라이딩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unit,
It is configured to wrap and secure dental floss around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body, and the body has elasticity to slide between the second holder portion and the third holder portion on the base portion. A dental floss fixture configured to; and
A tooth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multi-stage sliding fixing part that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so that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is fixed on the base part, and is reces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ase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and the second holder part is,
A tooth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홀더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부는, 상기 제2 홀더부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holder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holder portion,
The third holder portion is a tooth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holder portion.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에 다단 감겨 1차 고정된 후, 상기 제3 홀더부의 홈과 상기 제2 홀더부의 홈을 거쳐 상기 제1 홀더부의 홈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2 홀더부와 상기 제3 홀더부 사이에 배치된 치실을 상기 치실 텐션 발생부의 상기 치실 고정부로 함께 끌어내려 다단 감음으로써 상기 치실 고정부에 고정되고,
다시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에 다단으로 감겨 2차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ntal floss is:
After being wound in multiple stages around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and first fixed, it moves to the groove of the first holder unit through the groove of the third holder unit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unit,
Next, the dental flos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and the third holder part is pulled down together to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of the dental floss tension generating unit and wound in multiple stages to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fixing part,
A tooth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und around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in multiple stages to be secondaryly fix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삽입 고정부는,
상기 치실을 1차 고정시키는 제1 홈; 및
상기 치실을 2차 고정시키되 상기 제1 홈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홈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ental floss insertion fixing unit,
a first groove that primarily secures the dental floss; and
A tooth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groove that secondly fixes the dental floss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groov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groo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은,
상기 치아 세정장치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ntal floss is:
A tooth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tooth cleaning device.






KR1020210074610A 2021-06-09 2021-06-09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KR102583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10A KR102583463B1 (en) 2021-06-09 2021-06-09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10A KR102583463B1 (en) 2021-06-09 2021-06-09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45A KR20220165945A (en) 2022-12-16
KR102583463B1 true KR102583463B1 (en) 2023-09-26

Family

ID=8453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610A KR102583463B1 (en) 2021-06-09 2021-06-09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6551B2 (en) * 2010-09-20 2020-10-20 Roman Kozak Dental tape and floss holder with installation c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087A (en) * 1999-08-16 2000-09-26 Jang; Seung Gi Dental floss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6551B2 (en) * 2010-09-20 2020-10-20 Roman Kozak Dental tape and floss holder with installation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45A (en)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9853A (en) Dental flosser
NO985316D0 (en) Interproximal toothbrush brush
US20130000668A1 (en) Dental interproximal cleaning device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JP3151190U (en) Interdental brush with dental floss
CN114302694A (en) Dental floss device with dental floss tension adjusting device
TW200819113A (en) Interproximal space cleaning tape
KR101589575B1 (en) Multipurpose toothbrush
KR102583463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US20150351882A1 (en) Flossing tool
JP3124246U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JP3163229U (en) Interdental toothbrush
US20220218453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US20140230843A1 (en) Multi-tooth flosser
KR102436488B1 (en) Holder for dental floss
US3747612A (en) Dental instrument
US9757218B2 (en) Loose floss method of inter-dental plaque removal
RU75279U1 (en) DENTAL BRUSH (OPTIONS)
US20070144553A1 (en) Tufted multifloss dental article
RU34079U1 (en) Floss Toothpick
JP6886745B1 (en) Dental floss holder
KR101020097B1 (en) 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200283021Y1 (en) Toothpick
KR101356341B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