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209B1 -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209B1
KR102583209B1 KR1020230100938A KR20230100938A KR102583209B1 KR 102583209 B1 KR102583209 B1 KR 102583209B1 KR 1020230100938 A KR1020230100938 A KR 1020230100938A KR 20230100938 A KR20230100938 A KR 20230100938A KR 102583209 B1 KR102583209 B1 KR 10258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unit
base unit
clau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익현
이경보
유재헌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3010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5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tarting or ignition mea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는, 기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팝업 유닛; 상기 팝업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결 유닛;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하여 상기 팝업 유닛과 연결되고,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대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상기 팝업 유닛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팝업 장치{POP-UP APPARATUS}
아래의 설명은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을 고속의 동적 환경에 노출시켜 수행하는 슬레드 시험 등에서, 실험자는 팝업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실험 조건에 맞도록 일정 수준의 높이까지 팝업시켜 중량물의 수직 동적운동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팝업 장치는 팝업장치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을 이용하며, 스프링의 압축된 힘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순간적으로 밀어내어 팝업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다만, 종래의 팝업장치는 스프링을 이용하므로 팝업장치 설치 시 스프링 탄성으로 인한 작업환경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설치 및 해체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팝업 목적물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스프링 탄성계수의 물리적 한계 및 압축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성 등으로 인해 팝업장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팝업 목적물의 고중량화에 따라서, 스프링 탄성만으로 구동하지 않고, 팝업 추진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팝업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10-2014-0139944(공개일 2014년12월08일)에는 학습용 에어로켓 발사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진제의 연소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팝업시키는 기능을 수행 수 있는 팝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상물을 팝업 시키기 위해서 탄성체의 압축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험 운용이 편리한 팝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는, 기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팝업 유닛; 상기 팝업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결 유닛;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하여 상기 팝업 유닛과 연결되고,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대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상기 팝업 유닛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팝업 유닛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발생 유닛은, 하우징; 및 추진제를 연소시키는 점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제의 연소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팝업 유닛을 밀어올릴 수 있다.
상기 점화 수단은, 표면이 타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추진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점화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확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장치는, 상기 가스 발생 유닛의 내부의 상기 점화 수단과 점화선으로 연결되는 점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공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공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높이에 따라서 배치되는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팝업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탄성 충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유닛의 하단에는 상기 스토퍼와 물리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상기 팝업 유닛의 가동범위가 제한되도록 만곡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공은, 시험 조건에 따라서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는, 추진제의 연소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팝업 시키는 기능을 수행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는, 대상물을 팝업 시키기 위해서 탄성체의 압축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의 팝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발생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의 팝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장치(1)는, 추진제의 연소압을 이용하여 대상물(10)을 팝업 시키는 기능을 수행 수 있다. 즉, 대상물(10)을 팝업 시키기 위해서 탄성체의 압축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스프링 팝업 시스템에 따르면 고탄성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작업 환경의 안전성이 저해되었으며, 시스템 설치에도 많은 시간과 장비가 소요되었다. 팝업 장치(1)는 추진제를 사용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추진제의 양을 달리하여 다양한 시험 조건에서 대상물(10)을 팝업시키는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장치(1)는, 가스 발생 유닛(12)으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1)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팝업 유닛(13)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팝업 유닛(13)의 상승에 의하여 거치대 유닛(15)이 상승하고, 짧은 시간에 대상물(10)이 팝업 될 수 있다. 대상물(10)이 팝업되면, 대상물(10)은 관성에 의하여 거치대 유닛(15)으로부터 이탈하여 튀어나가게 되고,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서 팝업 유닛(13)이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팝업 장치(1)의 동작 시간은 100ms 이하가 될 수 있으며, 팝업 속도는 7.67m/s 내지 8.86 m/s가 될 수 있다. 즉, 추진제의 연소에 의하여 고속으로 대상물(10)을 팝업 시킬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은 배기공(112, 도 5 참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장치(1)는, 베이스 유닛(11), 팝업 유닛(13), 연결 유닛(14), 가스 발생 유닛(12), 거치대 유닛(15) 및 점화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은, 기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은 바닥과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은, 추진제가 연소하기 위한 챔버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내부에 가스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팝업 유닛(13)은 베이스 유닛(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므로,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서, 팝업 유닛(13)이 슬라이딩하게 되고, 대상물(10)에 수직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대상물(10)은 수직운동 후 거치대 유닛(15)으로부터 이탈하여 대상물(10) 자체의 관성으로 동적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대상물(10)의 팝업 높이는 2m 내지 4m일 수 있고, 대상물(10)의 중량은 150kg 내지 200kg 일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은 내부 반경이 약 150mm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벽의 두께는 15.75mm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험 조건에 부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 발생 유닛(12)은, 베이스 유닛(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발생 유닛(12)은 베이스 유닛(11)의 하단부의 중심에 배치되어 가스의 확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스 발생 유닛(12)은 추진제를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베이스 유닛(11)의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팝업 유닛(13)은, 베이스 유닛(1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베이스 유닛(11)에 대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 증가에 따라서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수직 이동하게 된다. 팝업 유닛(13)의 하단에는 스토퍼(111, 도 4 참조)와 물리적으로 간섭함으로써 팝업 유닛(13)의 가동범위가 제한되도록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팝업 유닛(13)의 하단에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과, 베이스 유닛(1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1)는 서로 걸림 현상에 의하여 팝업 유닛(13)이 연소압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유닛(13)의 내부 반경은 177.3mm일 수 있으며, 측벽의 두께는 5.5mm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험 조건에 부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유닛(14)은, 팝업 유닛(1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유닛(14)은, 팝업 유닛(13)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하면서도 팝업 유닛(13) 및 거치대 유닛(15)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연결 유닛(14)의 내측면에도 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연결 유닛(14)과 팝업 유닛(13)이 함께 베이스 유닛(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유닛(14)은 팝업 유닛(13)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성이 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별도의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유닛(14) 및 팝업 유닛(13) 사이의 연결부에는 기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실링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유닛(14)의 두께는 약 14mm 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 유닛(15)은, 연결 유닛(14)에 의하여 팝업 유닛(13)과 연결되고, 대상물(10)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대 유닛(15)은, 중간 부분이 함몰 형성되어 곡률이 있는 대상물(10)이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거치대 유닛(15)은, 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로 갈수록 함몰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거치대 유닛(15)이 과도하게 무거울 경우, 추진제의 연소에 의한 팝업 기능이 충분하게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경량이면서도 형상의 변형이 적은 견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점화 제어 유닛은, 가스 발생 유닛(12)의 내부의 점화 수단(122)과 점화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공(112)은 시험 조건에 따라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공은 대상물(10)의 무게, 사전에 목표한 높이, 점화 수단(122)에 포함된 추진제의 약량에 따라서 수동으로 사전에 개폐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유닛(11)은 스토퍼(111) 및 배기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11)는, 팝업 유닛(13)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11)는 베이스 유닛(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팝업 유닛(13)과 물리적으로 간섭되어 팝업 유닛(13)이 베이스 유닛(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11)의 일측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팝업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탄성 충돌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체의 역할은, 팝업 유닛(13)에 추진제 연소압과 같이 팝업 유닛(13)을 튀어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111)에 도달한 팝업 유닛(13)이 탄성 충돌하도록 유도하여 대상물(10)에 운동량의 변화량을 증대시켜 대상물(10)을 팝업시키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배기공(112)은, 베이스 유닛(1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112)은 베이스 유닛(11)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배기공(112)은 약 직경 6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8개 내지 12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배기공(112)에 의하여, 팝업 유닛(13)의 수직 운동 이후에 베이스 유닛(11)의 잔여 가스가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공(112)의 총 면적은, 배기공의 면적을 제외한 베이스 유닛(11)의 외측면적의 약 0.0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공(112)은, 베이스 유닛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면은 배기공(112)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복수 개의 배기공(112)은 베이스 유닛(11)의 높이에 따라서 개수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11)의 하단보다 상단에 배기공(112)이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팝업 유닛(13)의 수직 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 누설은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수직 운동이후 베이스 유닛(11) 내부의 압력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실험 조건에 따라서, 베이스 유닛(11)의 상단보다 하단에 배기공(112)이 다수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발생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 발생 유닛(12)은, 베이스 유닛(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발생 유닛(12)은, 하우징(121) 및 점화 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점화 수단(122)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점화 수단(122)으로부터 방출된 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다. 하우징(121)의 윗면에는 탈착가능한 캡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은, 장착부(1211), 기둥부(1212) 및 확산공(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11)는 베이스 유닛(11)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2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 유닛(11)에 돌려서 간단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단순한 동작을 통하여 가스 발생 유닛(12)을 베이스 유닛(11)으로부터 분리해내어 추진제를 추가 투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장착부(1211)의 나사산에는 실링이 형성되어, 가스 압력이 가스 발생 유닛(12)과 베이스 유닛(11)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둥부(1212)는 장착부(1211)로부터 연장되고 점화 수단(122)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212)는 장착부(121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점화 수단(122)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가 베이스 유닛(11)의 내부로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확산공(1213)은 기둥부(1212)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확산공(121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기둥부(1212)의 외측벽에 360도 고루 배치될 수 있다. 확산공(1213)은 약 직경 15mm 로 형성될 수 있으며, 24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확산공(1213)의 총 면적은, 확산공(1213)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부(1212)의 면적의 약 34%일 수 있다. 확산공(1213)의 직경은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기둥부(1212)의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큰 확산공(121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212)의 상단으로 갈수록 확산공(1213)이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가스가 기둥부(1212)의 상단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므로, 가스 압력이 높게 형성되는 하우징(121)의 하단부와 가스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121)의 상단부 사이의 압력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점화 수단(122)은 추진제를 연소시킬 수 있다. 점화 수단(122)에 의하여, 추진제의 연소압이 발생하고, 연소압은 베이스 유닛(11)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팝업 유닛(13)을 밀어올릴 수 있다. 여기서, 추진제는 10g 내지 16g 사용되어 약 170 kg의 대상물(10)을 3m 내지 4m가량 띄울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진제가 많아질수록 대상물(10)을 팝업시키는 높이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추진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유닛(11)의 내부 압력을 높여, 대상물(10)의 팝업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점화 수단(122)은, 표면이 타공 구조로 형성되어 추진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다. 타공의 직경은 약 2.49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24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타공의 총 면적은,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점화 수단(122)의 면적의 약 6%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대상물
1: 팝업 장치
11: 베이스 유닛
111: 스토퍼
112: 배기공
12: 가스 발생 유닛
121: 하우징
1211: 장착부
1212: 기둥부
1213: 확산공
122: 점화 수단
13: 팝업 유닛
14: 연결 유닛
15: 거치대 유닛

Claims (11)

  1. 기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팝업 유닛;
    상기 팝업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결 유닛;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하여 상기 팝업 유닛과 연결되고,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대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상기 팝업 유닛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팝업 유닛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공을 포함하는 팝업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유닛은,
    하우징; 및
    추진제를 연소시키는 점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제의 연소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팝업 유닛을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은,
    표면이 타공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추진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팝업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점화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확산공을 포함하는 팝업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장치는,
    상기 가스 발생 유닛의 내부의 상기 점화 수단과 점화선으로 연결되는 점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팝업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높이에 따라서 배치되는 개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팝업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탄성 충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유닛의 하단에는 상기 스토퍼와 물리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상기 팝업 유닛의 가동범위가 제한되도록 만곡된 형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은,
    시험 조건에 따라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팝업 장치.
KR1020230100938A 2023-08-02 2023-08-02 팝업 장치 KR102583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938A KR102583209B1 (ko) 2023-08-02 2023-08-02 팝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938A KR102583209B1 (ko) 2023-08-02 2023-08-02 팝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209B1 true KR102583209B1 (ko) 2023-09-26

Family

ID=8819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938A KR102583209B1 (ko) 2023-08-02 2023-08-02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42A (ko) * 1992-08-20 1994-03-15 김광호 컬럼 어드레스 래치신호 발생장치
JP4030102B2 (ja) * 2002-11-27 2008-01-09 株式会社Ihi 投射物打ち出し用の投射バルブ
KR101610740B1 (ko) * 2014-08-13 2016-04-08 국방과학연구소 핫런치 타입 미사일용 화염역류 방지장치
KR101957292B1 (ko) * 2017-09-04 2019-03-12 국방과학연구소 이중사출판 구조를 갖는 유도탄 캐니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42A (ko) * 1992-08-20 1994-03-15 김광호 컬럼 어드레스 래치신호 발생장치
JP4030102B2 (ja) * 2002-11-27 2008-01-09 株式会社Ihi 投射物打ち出し用の投射バルブ
KR101610740B1 (ko) * 2014-08-13 2016-04-08 국방과학연구소 핫런치 타입 미사일용 화염역류 방지장치
KR101957292B1 (ko) * 2017-09-04 2019-03-12 국방과학연구소 이중사출판 구조를 갖는 유도탄 캐니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709B2 (ja) 圧力レギュレータ部材を備えた火薬点火式アクチュエータ
KR102583209B1 (ko) 팝업 장치
RU200911018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расывания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е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газа
US9310284B2 (en) Muzzle exit tester
CN109668712B (zh) 一种模型发射装置及其应用
FR2793748B1 (fr) Generateur hybride a pilier perforateur
KR20110024978A (ko) 휴대용 유도탄의 사출 및 분리장치
RU2280849C1 (ru) Стенд для динамических испытаний
JP2010071819A (ja) 高速加速装置及び該高速加速装置を用いた衝突試験装置
EA2006002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нестабильных боковых нагрузок, действующих на сопло рак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100750947B1 (ko) 외팔보 형태의 두 물체 분리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298614B1 (ko) 사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US5646363A (en) Free piston machine
KR20210095334A (ko) 충격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시험방법
RU2219509C1 (ru) Стенд для ударных испытаний
EP0716015B1 (en) Ejecting pneumatic device for emergency parachute to be used with paragliders, hang-gliders or other types of aerodyne and aerostat
RU26905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тделяемых в процессе эксплуатации частей изделия от корпуса
EP3453895A1 (en) Actuator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US3747474A (en) Controlled acceleration ejector piston
SU131128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динамического раст жени металлов
US633167A (en) Automatic igniting device.
JPH08271200A (ja) 飛翔体発射装置
RU2235302C2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й изделий на ударное воздействие. раз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енда.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енда
KR101829206B1 (ko) 추력 발생 장치
US1863766A (en) Demolition bo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