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055B1 -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055B1
KR102583055B1 KR1020200180207A KR20200180207A KR102583055B1 KR 102583055 B1 KR102583055 B1 KR 102583055B1 KR 1020200180207 A KR1020200180207 A KR 1020200180207A KR 20200180207 A KR20200180207 A KR 20200180207A KR 102583055 B1 KR102583055 B1 KR 10258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mi
failure
security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507A (ko
Inventor
최정환
김현옥
강동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0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은 다양한 A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판단함으로써,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를 진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되, 각 이벤트들의 발생 특성에 따라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별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MI FACILITY FAILURE THROUGH REAL-TIME COMPLEX EVENT ANALYSIS}
본 발명은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로 구동하는 모든 시설과 기기를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일명, 지능형 전력망) 개념이 등장하였고, 수용가와 공급자인 전력회사 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일명,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 또는 양방향 검침 인프라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이 때, AMI 시스템은 스마트 그리드를 이루는 인프라 중 하나로 스마트 미터, PLC/LTE 등 통신망, DCU, 서버 등으로 구성된 지능형 배전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 통신모뎀, DCU의 장애판단은, 통상적으로, 일정 시간동안 스마트 미터로부터 수집되는 전력 사용량을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애 판단 방법은 단순하게 검침데이터 하나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애판단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며, 서버시간을 기준으로 15분마다 수행하고 있어서 실시간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장애에 대한 구분도 검침실패 하나로만 표시하여 장애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054256호에는,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하드웨어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펌웨어, 칩과 회로의 개조 및 고장 등에 대한 하드웨어 무결성을 보장하되, AMI 디바이스를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 구성하여 AMI 디바이스 시스템 전체의 무결성을 보정하고, 정상적인 전력 측정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발생 가능한 물리적인 고장 및 전력 정보 위변조를 방지하는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에는 AMI 설비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정상적인 전력 측정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물리적인 고장이나 전력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장애의 구분을 다양화하여 장애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10-2054256호(공고일:2019.12.10, 명칭: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A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판단함으로써,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를 진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되, 각 이벤트들의 발생 특성에 따라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별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는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계량 데이터 수집부;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데이터 수집부;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수집하는 보안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하는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계량 데이터 수집부, 상기 감시 데이터 수집부, 상기 보안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 각각은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감시하고,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대응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은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를 이용한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단계;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에 대응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하는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 이동단계; 및 상기 이동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의거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장애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은 다양한 A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판단함으로써,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를 진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되, 각 이벤트들의 발생 특성에 따라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별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의 복합 이벤트 처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100)는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수집부(110) 및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110)는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117)를 포함한다.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계량 데이터는 현장의 계측 장비에서 계측된 결과 값으로서, 댁내의 계량기 검침 결과일 수 있다.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때, 상기 감시 데이터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예컨대, 스마트 미터, DCU 등)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데이터로서, 설비의 등록 및 관리와 관련된 트랩(TRAP) 데이터일 수 있다.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는 보안 데이터를 수집하되, 상기 보안 데이터는 상기 AMI 설비(예컨대, 스마트 미터, DCU 등)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117)는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되,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는 상기 AMI 설비(예컨대, 스마트 미터, DCU 등)의 성능(예컨대, 네트워크 속도,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온도 등)을 나타내는 NMS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117) 각각은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검침, NMS, TRAP, 보안 등의 데이터 수집 주기는 전부 다르며, 각 데이터 안에서도 설비별로 다른 수집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117) 각각은 상기 서로 다른 수집시간에 의거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데이터 특성에 따라 장애 판단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시스템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는,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검침 데이터가 3시간 이상 수집되지 않으면 검침 장애로 결정하고, NMS 즉, up/down bps가 50kbps 이하인 경우 제 시간에 수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NMS, 즉, up/down bps가 50kbps 이하인 경우 통신 장애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는 검침 데이터가 3시간을 기준으로 간헐적으로 들어오면 일시 장애로 결정하고, AMI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DCU의 CPU 사용률이 99% 이상이면 설비 장애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일명, 윈도우 사이즈)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각의 데이터들의 수집 주기가 전부 다르고, 각 데이터 안에서도 설비 별로 다른 수집 시간을 가지므로, 각각의 윈도우 사이즈 만큼의 수집된 AMI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AMI 장애 진단을 좀 더 세분화하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검침 데이터의 윈도우 사이즈는 3시간이고, NMS 데이터의 윈도우 사이즈는 2시간인 경우, 즉, 검침 데이터는 3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NMS 데이터는 2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현재 검침 데이터가 수집이 안되고, NMS의 업(up)/다운(down) bps가 50 이상일 때, 검침 장애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후에 NMS의 업(up)/다운(down) bps가 50 이하인 상태에서, 2시간 이상 데이터가 수집되고 검침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수집되는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AMI 설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에 새로운 데이터가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켜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대응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윈도우(즉,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를 이동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새로운 수집 데이터가 수집될 때마다, 그 새로운 수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미리 설정된 윈도우를 이동시킴으로써, 즉, 윈도우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위치(즉, 시간대)만 이동시킴으로써, 가장 최근에 수집된 데이터를 장애 판단에 반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켜 수집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0에서는, 데이터 수집부(110)가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110)는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117)를 포함하며, 단계 S100에서는, 계량 데이터 수집부(111)가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시 데이터 수집부(113)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안 데이터 수집부(115)가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수집하고, 성능 관리 데이터 수집부(117)가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 관리 데이터 각각은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한편, 단계 S100에서,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데이터 특성에 따라 장애 판단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 주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단계 S200에서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가 상기 단계 S100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시스템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는,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검침 데이터가 3시간 이상 수집되지 않으면 검침 장애로 결정하고, NMS 즉, up/down bps가 50kbps 이하인 경우 제 시간에 수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NMS, 즉, up/down bps가 50kbps 이하인 경우 통신 장애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합이벤트 처리부(120)는 검침 데이터가 3시간을 기준으로 간헐적으로 들어오면 일시 장애로 결정하고, AMI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DCU의 CPU 사용률이 99% 이상이면 설비 장애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에서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일명, 윈도우 사이즈)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각의 데이터들의 수집 주기가 전부 다르고, 각 데이터 안에서도 설비 별로 다른 수집 시간을 가지므로, 각각의 윈도우 사이즈 만큼의 수집된 AMI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AMI 장애 진단을 좀 더 세분화하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검침 데이터의 윈도우 사이즈는 3시간이고, NMS 데이터의 윈도우 사이즈는 2시간인 경우, 즉, 검침 데이터는 3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NMS 데이터는 2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현재 검침 데이터가 수집이 안되고, NMS의 업(up)/다운(down) bps가 50 이상일 때, 검침 장애로 결정할 수 있고, 그 후에 NMS의 업(up)/다운(down) bps가 50 이하인 상태에서, 2시간 이상 데이터가 수집되고 검침 데이터는 간헐적으로 수집되는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AMI 설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0에서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가 데이터 수집부(110)에 새로운 데이터가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켜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 과정의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의 복합 이벤트 처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 S200의 처리 과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210에서,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새로운 데이터 수집여부를 감시한다. 즉, 단계 S210에서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가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한다.
일반적으로 AMI 데이터는 다수의 수집서버에서 각 지역의 AMI 데이터를 파일로 모으고 있으므로, 상기 각 수집 서버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지를 확인하는 에이전트(agent)를 설치하고, 상기 에이전트들이 해당 서버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다가,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면, 이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계 S210에서,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상기 에이전트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의 수집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220에서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가 장애 여부 판단시간 구간을 이동한다. 즉, 단계 S210의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에 대응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일명, 윈도우 크기)에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한다. 이 때, 상기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하는 것은, 윈도우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위치(즉, 시간대)만 이동시킴으로써, 가장 최근에 수집된 데이터를 장애 판단에 반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윈도우를 이동시켜 수집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단계 S230에서는, 상기 이동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의거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장애 여부 결정 기준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기재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MI 설비 장애 진단 장치(100)는 먼저,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예컨대, 계량 데이터(211), TRAP 데이터(213), NMS 데이터(215) 및 보안 데이터(217))를 수집한다(S310). 이 때, 각각의 데이터들은 설비 별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하나의 계량 데이터(211)(a), 복수의 TRAP 데이터(213)(b, c), 복수의 NMS 데이터(215)(d, e), 복수의 보안 데이터(217)(f, g)가 수집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데이터는 모두 다른 윈도우 크기를 가지며, 그 윈도우 크기를 기준으로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상기 데이터들(a 내지 g)에 대하여 각기 크기가 다른 윈도우들(즉, 제1 내지 제7 윈도우(Wa내지 Wg))이 설정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와 같이 수집된 각각의 데이터들을 입력으로 받아 다양한 종류의 장애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윈도우(Wa)에 의해 계량 데이터(211)(a)를 분석하여 검침 장애 여부를 결정하고, 윈도우(Wb 또는 Wc)에 의해 TRAP 데이터(213)(b, c)를 분석하여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고, 윈도우(Wd 또는 We)에 의해 NMS 데이터(215)(d, e)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결정하고, 윈도우(Wf 또는 Wg)에 의해 보안 데이터(217)(f, g)를 분석하여 보안 장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상기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그에 응답하여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해당 윈도우를 이동시켜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계량 데이터(211)(a)가 새롭게 수집된 경우, 복합 이벤트 처리부(120)는 새롭게 수집된 계량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윈도우(Wa)를 이동시킨 후 이동된 윈도우(Wa)에 의해 검침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A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를 판단함으로써, AM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를 진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이벤트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되, 각 이벤트들의 발생 특성에 따라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별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장애 판단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110: 데이터 수집부
111: 계량 데이터 수집부 113: 감시 데이터 수집부
115: 보안 데이터 수집부 117: 성능 데이터 수집부
120: 복합이벤트 처리부

Claims (8)

  1.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AMI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검침시간 동안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정보에 의거하여 검침장애 또는 일시장애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AMI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능관리 기준값에 의거하여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통신장애 또는 설비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감시하여,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대응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계량 데이터 수집부;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시 데이터 수집부;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수집하는 보안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하는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데이터 수집부, 상기 감시 데이터 수집부, 상기 보안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수집부 각각은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4. 삭제
  5.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를 이용한 AMI 설비 장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AMI 시스템으로부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AMI 설비 장애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AMI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검침시간 동안 수집되는 계량 데이터 정보에 의거하여 검침장애 또는 일시장애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AMI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능관리 기준값에 의거하여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통신장애 또는 설비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감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적용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복합 이벤트 처리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단계;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새롭게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에 대응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상기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을 이동 적용하는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 이동단계; 및
    상기 이동된 장애 여부 판단 시간 구간에 의거하여, 대응된 설비의 장애 여부를 결정하는 장애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는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미터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AMI 시스템을 구성하는 AMI 설비들 각각의 등록 및 각 설비들의 이상 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보안 인증서 등록 및 보안인증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AMI 설비들 각각의 성능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는
    상기 계량 데이터, 상기 감시 데이터, 상기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성능관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된 수집주기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I 설비 장애 진단방법.
  8. 삭제
KR1020200180207A 2020-12-21 2020-12-21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258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07A KR102583055B1 (ko) 2020-12-21 2020-12-21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07A KR102583055B1 (ko) 2020-12-21 2020-12-21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07A KR20220089507A (ko) 2022-06-28
KR102583055B1 true KR102583055B1 (ko) 2023-09-25

Family

ID=8226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07A KR102583055B1 (ko) 2020-12-21 2020-12-21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0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54B1 (ko) 2012-06-11 2012-08-14 송원순 지능형 전력망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2146963B1 (ko) * 2015-09-24 2020-08-21 주식회사 케이티 Rf 통신을 이용한 ami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771A (ko) * 2009-11-03 2011-05-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 텔레메트릭스의 엔지니어링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059061B1 (ko) * 2010-01-08 2011-08-24 (주)넥스챌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5495B1 (ko) * 2015-08-13 2022-02-21 한국전력공사 원격 검침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16926B1 (ko) * 2017-03-10 2018-11-12 광주과학기술원 비정상 정보 검출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미터 시스템 및 검출 방법
KR102054256B1 (ko)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KR20200103932A (ko) * 2019-02-25 2020-09-03 한국전력공사 Ami 시스템에서의 전자식 전력량계의 고장 감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54B1 (ko) 2012-06-11 2012-08-14 송원순 지능형 전력망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2146963B1 (ko) * 2015-09-24 2020-08-21 주식회사 케이티 Rf 통신을 이용한 ami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I 통신망 실시간 감시 및 고장분석 기술연구(최종보고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17.07.31.*
김영일 외 5명, ‘AMI기반의 검침네트워크시스템 개발’, 2015년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7.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07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hlers et al. Self-adaptive software system monitoring for performance anomaly localization
US9703754B2 (en) Automatic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CN110046073B (zh) 一种日志采集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US87258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relative value of system configuration recommendations
KR100561628B1 (ko) 통계적 분석을 이용한 네트워크 수준에서의 이상 트래픽감지 방법
Nováczki An improved anomaly detection and diagnosis framework for mobile network operators
CN106411659A (zh) 一种业务数据监测方法及装置
KR101214765B1 (ko) 전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0511359A (ja) ネットワーク異常検出のための方法と装置
CN106407077A (zh) 一种实时告警方法及系统
CN106656627A (zh) 一种基于业务的性能监控和故障定位的方法
CN102740112B (zh) 一种基于视频监控系统的设备轮巡的控制方法
CN109783552A (zh) 一种数据清洗修复方法
CN106850558A (zh) 基于季节模型时间序列的智能电表状态异常检测方法
Li et al. Fighting the fog of war: Automated incident detection for cloud systems
CN110929896A (zh) 一种系统设备的安全分析方法及装置
KR102583055B1 (ko) 실시간 복합 이벤트 분석을 통한 ami 설비 장애 진단장치 및 그 방법
CN109443395B (zh) 一种用能强度多点计量差值超过限值判断方法及系统
Lu et al. The development of a smart distribution grid testbed for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CN116823220A (zh) 一种电缆运行状态监测平台及设备
CN103279816A (zh) 基于活动窗口统计终端工作效率的方法和系统
CN110990223A (zh) 一种基于系统日志的监控告警方法及装置
CN112835780B (zh) 一种业务检测方法及装置
ZHANG et al. Approach to anomaly detection in microservice system with multi-source data streams
TW201409968A (zh) 資通信服務品質評估與即時告警系統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