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664B1 - 면도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면도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664B1
KR102582664B1 KR1020210168712A KR20210168712A KR102582664B1 KR 102582664 B1 KR102582664 B1 KR 102582664B1 KR 1020210168712 A KR1020210168712 A KR 1020210168712A KR 20210168712 A KR20210168712 A KR 20210168712A KR 102582664 B1 KR102582664 B1 KR 10258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holder
cartridge
unit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038A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1016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22Containers or carriers for storing shaving appliances
    • A45D27/29Stands for shavers or raz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6T5/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6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reshol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도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거치부에 거치된 면도기 중 카트리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상태 정보를 근거로 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도기 거치대{RAZOR HOLDER}
본 발명은 면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면도기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면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는 성인 남성들이 거의 매일 사용하는 위생용품이다. 면도기의 면도날에는 면도시 발생하는 절삭된 체모, 피부 조직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며, 또한, 습하고 통풍이 잘 안되는 화장실에서는 이러한 오염에 따른 세균 증식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면도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는 작고 큰 상처가 필수적으로 동반된다. 이때 면도날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 피부염이나 피부 세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면도날은 사용횟수가 누적됨에 따라 커팅 에지가 마모되면서 절삭 성능을 점차 상실하게 되고, 사용시에 체모를 잡아당기는 터깅(tugg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자극이 커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추가적인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5363 호에서는 면도기를 거치했을 때 면도날의 세균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면도기의 수명에 관련된 객관적인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했으며, 결국 사용자는 카트리지 또는 면도기의 교체 시기를 놓치게 되어 사용시 피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5363 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면도기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면도기의 수명 관리 기능 및 살균 기능을 갖는 면도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면도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거치부에 거치된 면도기 중 카트리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상태 정보를 근거로 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는 면도날의 상태를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객관적인 카트리지 또는 면도기의 교체 시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도기의 사용 전후에 카트리지를 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의 헤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윤활 밴드의 상태를 평가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카트리지를 세척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카트리지를 살균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10a 및 도 10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서 면도기의 자세 및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면도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 ‘면도기’는 카트리지 교체형 면도기 또는 카트리지 일체형 면도기를 뜻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면도기’는 사용량에 따른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마모될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헤드부(30)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면도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카트리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 예로서 면도기 또는 카트리지의 교체 시기를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태 정보’란 사용에 따라 노후되는 면도기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태 정보는 블레이드의 마모량, 윤활 밴드의 마모량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조명부(100), 조도센서(200), 조명부(100), 카메라(300), 클리닝부(400), 소독부(500), 거치부 구동부(610), 처리부(700) 및 통신부(80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면도기의 카트리지(110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후술할 처리부(7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일예로서 LED 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200)는 카메라(300)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며, 촬영영역에서 발생되는 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서(200)에서 측정된 광량은 처리부(700)에 전송되며, 처리부(700)는 이를 근거로 조명부(100)의 광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카트리지(1100)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카트리지 중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 (cutting edge)를 포함한 영역을 촬영하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00)는 면도기 거치대(1)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킷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처리부(700)로 전송될 수 있다.
클리닝부(400)는 카트리지(1100)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리닝부(400)는 처리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1100)를 향하여 클리닝 유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400)는 펌프 또는 압력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 또는 압력용기로부터 배출된 클리닝 유체는 카트리지(1100)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400)는 카메라(300)의 렌즈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400)가 카메라 렌즈를 클리닝하는 경우 클리닝 유체가 렌즈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소독부(500)는 카트리지에 광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독부(500)는 일 예로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독부(500)는 카트리지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부 구동부(도 1의 610)는 면도기(100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6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부 구동부(610)는 거치부(600)를 조절하여 거치되어 있는 면도기(1000)의 자세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부 구동부(610)는 일 예로서 거치부(6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처리부(700)는 면도기 거치대(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처리부(700)는 일 예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00)는 외부와 무선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무선통신 모듈은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최종적으로 서버(3)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서버(3)는 학습된 인공지능부를 이용하여 면도기 거치대(1)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근거로 카트리지(110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구동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면도기(10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2),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이어블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는 면도기 거치대(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서버(3)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카트리지의 상태에 대한 판단결과를 스마트 디바이스(2)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에서 확인하거나, 면도기 거치대(1)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스마트 디바이스(2) 및 서버(3)와 함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직접 서버(3)와 무선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면도기 거치대(1)의 통신부(80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웹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베이스(10), 연장부(20) 및 헤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면도기 거치대(1)의 기반이 되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처리부(700), 통신부(800), 거치부 구동부(610), 펌프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크기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거치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600)는 일 예로서 면도기(1000)의 하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600)는 베이스(10)의 상면에서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거치부 구동부(610)에 의해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후술할 헤드부(30)를 소정 높이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장부(20)는 베이스(10)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내측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배선 및 유체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20)의 상단에는 후술할 헤드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30)는 카트리지(11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또한 카트리지(1100)를 클리닝하고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부(30)는 연장부(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외면 중 거치부(600)에 거치된 면도기(1000)의 카트리지(1100)를 향하는 설치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면(31)에는 카메라(300), 조도센서(200), 조명부(100), 클리닝 노즐(410) 및 소독부(500)가 전부 또는 일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설치면(31)의 중심부분에 구비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도센서(200)는 카메라(300)에서 획득되는 광량과 유사한 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3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설치면(31)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부(100)는 촬영되는 블레이드(1300)의 커팅 에지(1310, 도 6 참조)(cutting edge)가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00)의 개수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클리닝 노즐(410)은 설치면(3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 노즐(410)에서 분사되는 클리닝 유체는 설치면(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소독부(500)는 조명부(100)와 유사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1100)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전술한 면도기 거치대(1)의 구성은 일 예일 뿐 면도기(1000)를 거치하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면도기(1000)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면도기 거치대(1)는 검사위치에 카트리지(1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고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위치는 헤드부(30)의 설치면(3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뜻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사위치는 거치부(600)에 면도기(1000)가 거치되었을 때 카트리지(1100) 중 커팅 에지가 배열된 단부가 헤드부(30)의 설치면(31)을 바라보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1100)에 포함된 블레이드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내식성을 갖출 수 있도록 코팅 또는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마모량을 결정하기 위한 이미지의 획득시 적절한 광량의 조사가 필요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조명부(100)를 작동시켜 광을 카트리지(1100)에 조사하며, 이때 조도센서(20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광과 조명부(100)에 의해 조사된 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처리부(700)는 카메라(30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가 적절한 명암과 대비를 가질 수 있도록 조도센서(200)로부터 측정된 값을 근거로 피드백 제어하여 조명부(100)의 광량을 조절한다. 이때 처리부(700)에서 조명부(100)의 광량 조절을 위한 제어는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300)에서 카트리지(1100)를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300)와 커팅 에지(1310)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원본 이미지(Ir)는 초점거리가 짧은 카메라(300)의 특성상 중심부분보다 외곽 부분에 대한 왜곡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심해지게 된다. 이때 처리부(700)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왜곡된 부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 이미지(Ia)를 획득한다. 이후 처리부(700)는 보정 이미지(Ia)로부터 주된 관심 영역인 커팅 에지(1310) 부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마모량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700)는 복수의 커팅 에지(1310)가 인식된 경우 각각의 커팅 에지(1310)가 촬영된 영역을 크롭하여 분석 영역(Is)을 설정하고, 각각의 분석영역 내에서 커팅 에지(1310)의 마모량을 판단하게 된다. 처리부(700)에서 마모량의 판단은 상하 방향에 인접한 다른 블레이드(1300)의 단면과 커팅 에지(1310)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 하나의 커팅 에지(1310)가 이루는 경계좌표 등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커팅 에지(1310)의 부분적인 마모량 또는 전체적인 마모량을 판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윤활 밴드(1200)의 상태를 평가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처리부(700)는 원본 이미지(Ir)로부터 윤활 밴드(1200)가 구비된 영역에서 획득된 색상 값을 근거로 윤활 밴드(1200)의 마모량을 판단하게 된다. 윤활 밴드(1200)는 사용함에 따라 초기 상태로부터 색상이 달라지게 된다. 또는, 윤활 밴드(1200)의 마모에 따른 색상 변화가 뚜렷하도록, 윤활 밴드(120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을 가질 수도 있다. 처리부(700)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과거 획득된 원본 이미지(Ir)로부터 추출된 색상 정보를 근거로 현재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윤활 밴드(1200)의 마모량을 판단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색상을 근거로 이루어지므로 굴절율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 보정은 별도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처리부(700)는 도 6에서와 같이 원본 이미지로(Ir)부터 보정 이미지(Ia)를 획득한 이후 윤활 밴드(1200)의 색상을 추출하도록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클리닝 및 소독을 위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카트리지(1100)를 세척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면도기(1000)를 거치대에 거치한 경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부(400)가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물질은 면도시 발생할 수 있는 절삭된 체모(debris), 피부 조직, 주위 환경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처리부(700)는 면도기(1000)가 거치대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센서, 예를 들어 처리부(700)는 압력센서(미도시), 근접센서(미도시) 또는 거치부 구동부(610) 내에 구비된 스위치(미도시)를 통하여 면도기(1000)의 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700)는 카메라(300)를 작동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면도기(1000)가 적절한 위치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검사위치에 카트리지(1100)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면도기(1000)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클리닝부(400)를 작동하여 헤드부(30)의 설치면(31)에 구비된 노즐(410)로부터 클리닝 유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클리닝부(400)는 초기에는 액체를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이후에는 가스를 분사하여 카트리지(1100)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독립적인 유체 채널이 연장부(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만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리닝부(400)의 세척 동작은 면도날의 세척은 물론 카메라(300)를 이용한 이미지획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카트리지(1100)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카트리지(1100)의 이미지를 획득할 때 장애가 되므로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메라(300)에 의한 이미지 획득은 클리닝부(400)의 작동에 의해 카트리지(1100)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카트리지(1100)를 살균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면도기(1000)가 거치부 구동부(6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처리부(700)는 소독부(500)를 구동하여 자외선을 카트리지(1100)로 조사할 수 있다. 소독부(500)의 구동은 기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욕실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소독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조도센서(200)로부터 측정된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욕실 내의 조명이 소등된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이때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소독부(50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의 작동은 면도기(1000)의 카트리지(1100)가 검사위치에 적절하게 거치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면도기(1000)의 검사를 위해 정확한 검사 위치로 면도기(1000)를 안착시키는 것을 강요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치부 구동부(610)가 면도기(1000)의 위치 및/또는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면도기(1000)의 자세 및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면도기 거치대(1)에서 면도기(1000)의 자세 및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에서 거치부 구동부(610)는 면도기(1000)가 상측에 안착되었을 때 촬영 가능한 위치로 면도기(1000)의 자세 및/또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거치부(600)에 거치한 면도기(1000)는 카트리지(1100)의 방향이 헤드부(30)의 설치면(31)을 향하지 않고 또한 검사영역으로부터 낮게 위치된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처리부(70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면도기(1000)가 거치부 (600)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30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카트리지(1100) 중 커팅 에지(1310)에 대한 이미지가 적절하게 확보되지 않으면 면도기(1000)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700)는 이후 거치부 구동부(610)를 구동하여 면도기(10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초기 카트리지(1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면도기(1000)의 높이가 낮게 거치된 경우 처리부(700)는 거치부(6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거치부 구동부(610)를 구동하며, 거치부(600)의 높이 조절에 의해 면도기(1000)는 적절한 위치로 상승된다.
이후 도 10c를 참조하면, 처리부(700)는 거치부 구동부(610)를 구동하여 거치부(600)를 회전시키고 카트리지(1100)가 헤드부(30)의 설치면(31)을 바라볼 수 있는 각도로 조절하여 자세 조절을 완료한다. 이때 거치부 구동부(610)의 동작은 카메라(30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값을 근거로 처리부(700)에서 피드백 제어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사용자에게 검사를 위한 과도한 요구를 하지 않고, 사용자가 한번 면도기(1000)를 거치부(600)에 거치하면 이후 자동으로 검사 위치로 조절하여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가 스마트 디바이스(2)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동작을 통하여 획득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면도기(1000) 또는 카트리지(110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2)와 통신하여 교체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면도기 거치대(1)와 통신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면도기 거치대(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면도기 거치대(1)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면도기 거치대(1)는 거치된 면도기(1000) 및 헤드부(30)를 감쌀 수 있는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40)는 열렸을 때 커버(40)의 개구를 통하여 면도기(10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면도기 거치대(1)의 커버(40)가 닫혔을 때 면도기(1000)가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광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커버(40) 내부 공간을 암실로 조성할 수 있으며, 외부 광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알림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900)는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처리부(700)에서 카트리지(1100)의 교체(또는 면도기(1000)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된 알림부(900)를 점등하여 교체시기가 도래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트리지(110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면도기(1000)를 사용하고 난 뒤 면도기 거치대(1)에 거치할 때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거치대(1)는 사용자가 면도기(1000)를 거치하면 자동으로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하여 면도기(10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교체필요 여부 등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1: 면도기 거치대 2: 스마트 디바이스
3: 서버
1000: 면도기 1100: 카트리지
1200: 윤활 밴드 1300: 블레이드
1310: 커팅 에지
10: 베이스 20: 연장부
30: 헤드부 31: 설치면
40: 커버
100: 조명부 200: 조도센서
300: 카메라
400: 클리닝부 410: 노즐
500: 소독부
600: 거치부 610: 거치부 구동부
700: 처리부 800: 통신부
900: 알림부
Ir: 원본 이미지 Ia: 보정 이미지
Is: 분석 영역

Claims (20)

  1. 면도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면도기 중 카트리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를 상측에 구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가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면도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센서부를 향하는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image data)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의 면도날의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면도날의 커팅 에지(cutting edge)의 경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마모량을 판단하는 면도기 거치대.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색상을 근거로 상기 카트리지의 윤활 밴드의 마모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 교체 가능한 면도기의 거치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향하여 배치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근거로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면도기 거치대.
  13. 제2 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기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16. 제15 항에 있어서,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1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 및/또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면도기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리닝부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유체를 분사하여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거치대.
  1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20. 제3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면도기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거치대.
KR1020210168712A 2021-11-30 2021-11-30 면도기 거치대 KR10258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712A KR102582664B1 (ko) 2021-11-30 2021-11-30 면도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712A KR102582664B1 (ko) 2021-11-30 2021-11-30 면도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038A KR20230081038A (ko) 2023-06-07
KR102582664B1 true KR102582664B1 (ko) 2023-09-26

Family

ID=8676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712A KR102582664B1 (ko) 2021-11-30 2021-11-30 면도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6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6175A1 (en) * 2019-12-19 2021-06-24 Bic Violex S.A. Safe container for grooming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363A (ko) 2008-01-04 2009-07-08 유흥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갖는 면도기거치대
KR20180058334A (ko) * 2016-11-24 2018-06-01 윤성주 화분용 조명 장치
EP3829836B1 (en) * 2018-07-31 2022-07-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Apparatus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a shaving razor cartridge
KR20200126860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티피오스 면도기용 살균 거치대
KR102261978B1 (ko) * 2019-10-15 2021-06-08 허동현 면도기용 충전 및 살균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6175A1 (en) * 2019-12-19 2021-06-24 Bic Violex S.A. Safe container for grooming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038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485B (zh) 用於容納儲存一個或多個眼用鏡片之眼用鏡片儲存盒的基座
CN102946911B (zh) 角膜接触镜片存储盒表面消毒
JP5989638B2 (ja) 眼用レンズ用の発光ダイオード消毒ベース部
US20120138819A1 (en) Uv radiation control for disinfecting of ophthalmic lenses
JP6316868B2 (ja) 眼用レンズ消毒保管ケース
KR102582664B1 (ko) 면도기 거치대
US20210298703A1 (en) Self-disinfecting imaging systems and methods
AU2015203699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infection base for ophthalmic lens
WO2023015389A1 (en) Ultraviolet treatment apparatus
WO2007102036A1 (en) Electro -optical device for screening of skin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