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090B1 - Apparatus for door-lo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090B1
KR102582090B1 KR1020230054755A KR20230054755A KR102582090B1 KR 102582090 B1 KR102582090 B1 KR 102582090B1 KR 1020230054755 A KR1020230054755 A KR 1020230054755A KR 20230054755 A KR20230054755 A KR 20230054755A KR 102582090 B1 KR102582090 B1 KR 10258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handle
lock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토프
Priority to KR102023005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0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기존 대비 차별된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제반 구조의 운용 효율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전반적인 락킹 여부 또한 일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사물함 도어에 일체형으로 결부되는 설정의 내부 공간을 보유한 하우징(110);과,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고 회전축(125)을 기반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제어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120)는 하우징 선단에서 전방으로 위치 가변 후 복귀되는 손잡이(121)의 위치 조작 및 손잡이와 연동한 잠금부(122)의 위치 전환에 의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되게 하고, 자물쇠가 체결되는 회동편(123)이 손잡이 및 잠금부와 연동하여 전방으로 선회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관장하되, 자물쇠 거치 유무에 따라 손잡이의 움직임이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improves the use of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and implements a mechanism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that integrates the handle and lock function, not only improv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overall structure, but also improving the selection of the handle. The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are maximized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omes from its differentiated structure from the existing structure, such as opening the door and controlling overall locking by simply manipulating it. It relates to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are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comprising a housing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cker door; It includes a control member 120 that guarantees a turning movement, wherein the control member 12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handle 121, which is returned after changing the position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part 122 linked to the hand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the rotating piece 123 on which the lock is fastened rotates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and lock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handle depending on whether the lock is mounted or no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trolled.

Description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APPARATUS FOR DOOR-LOCK}Door lock assembly with unified control of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lockers {APPARATUS FOR DOOR-LOCK}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락 관련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기존 대비 차별된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제반 구조의 운용 효율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전반적인 락킹 여부 또한 일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lation to the technical idea related to the door lock of a locker, and more specifically, by actively improving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part of the lock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a mechanism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that integrates the handle and lock functions is developed. Not only does it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overall structure, but it also enables the opening of the door and overall locking control by selectively manipulating the handle.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management resulting from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This relates to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is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which maximizes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due to ease of maintenance.

통상 사물함은 학교나 사무실, 헬스클럽, 지하철 등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소지하는 물품을 일정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품 보관을 위하여 수납공간이 구비된 함체와, 함체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Typically, lockers are used in place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schools, offices, health clubs, and subways, to store item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have a box equipped with a storage space to store items, and a hinge on the front of the box. It usually consists of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또한, 상기 도어 및 함체에는 수납공간 내 물품의 도난 및 훼손방지를 위해 잠금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어 전면에 개인 이름표를 수납할 수 있는 명찰 꽂이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and enclosure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ft and damage of items in the storage space, and, if necessary, a name tag holder for storing a personal name tag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한편, 종래부터 기존까지 사용되고 있는 사물함 대다수는 구조적 한계 내지 원가절감 등을 이유로 사용상 만족하지 못할 수준의 기능만이 탑재되어 있는바, 예컨대 자물쇠를 채용함에 있어 자물쇠 고리가 손잡이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majority of lockers that have been in use up until now are equipped with functions that are not satisfactory for us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or cost reduction. For example, when adopting a lock, the lock ring is configured to also function as a handle. .

그러나 전술한 종래 방식의 사물함은 자물쇠 고리가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도어 개방 시 도어측에 설치된 자물쇠 고리가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므로 사용자 또는 주변 보행자가 돌출된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거나 옷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ocker described above, the lock ring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dy and door of the locke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ock ring installed on the door side is exposed in a protruding state, causing injury to the user or nearby pedestrians by hitting the protruding lock ring. It can cause problems such as damage to clothing or clothing.

이와 같은 종래 사물함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물쇠 고리가 내측으로 매립되는 사물함용 손잡이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사물함용 손잡이는 랙과 피니언 방식 또는 탄성 스프링방식에 의해 도어의 개방 시, 자물쇠 고리가 도어 내부로 이동하는 구성을 취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lockers, handles for lockers with a lock ring embedded in the inside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handles for lockers as described above use the rack and pinion method or the elastic spring method to open the door, The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lock ring moves inside the door.

하지만, 전술한 랙과 피니언 구조는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이 요구될 뿐 아니라 관련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조립성 저하는 물론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치명적인 문제를 내포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ack and pinion structure not only requires costs due to mold production, but also has a somewhat complicated related structure, which not only reduces assembly but also poses fatal problems in terms of maintenance.

또한, 탄성 스프링 방식은 도어 개방을 위한 손잡이의 작동 시, 손잡이와 연동되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연동되도록 자물쇠 고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손잡이와 스프링 및 자물쇠 고리가 다수의 부품에 의해 연동하는 구조인바, 제반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성이 떨어지며 고장발생의 우려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해 제품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 각종 폐단이 초래된다.In addition, in the elastic spring method, when the handle for opening the door is operated, a spring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handle, and a lock ring must be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spring, so the handle, spring, and lock ring are interlocked by multiple parts. Invar, the overall structure is complex, the operability is poor, the risk of malfunctions increases, and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decreases, resulting in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 reliability.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2347호(2014.10.20)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2347 (2014.10.20)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13749호(2010.02.10)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3749 (2010.02.1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3122호(2012.09.1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83122 (2012.09.10)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locker door lock assembly with integrated handle and lock functions by actively improving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adoption part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This is the problem we want to solve.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잠금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작동 메커니즘이 일괄 제어 가능하게 되는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er door lock assembly that enables comprehensive control of the overall operating mechanism, from opening the door to locking, just by selectively manipulating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의 간소화와 구조의 단조로움을 통해 도어의 개폐와 잠금을 쉽고 간편하게 일원화하여 통합 제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유지 보수의 간편성이 확보되는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er door lock assembly that ensures convenience of use and simplicity of maintenance by easily and conveniently unify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door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number of parts and monotony of the structure. am.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door lock assembly 100 in which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is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사물함 도어에 일체형으로 결부되는 설정의 내부 공간을 보유한 하우징(110);과,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고 회전축(125)을 기반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제어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120)는 하우징 선단에서 전방으로 위치 가변 후 복귀되는 손잡이(121)의 위치 조작 및 손잡이와 연동한 잠금부(122)의 위치 전환에 의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되게 하고, 자물쇠가 체결되는 회동편(123)이 손잡이 및 잠금부와 연동하여 전방으로 선회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관장하되, 자물쇠 거치 유무에 따라 손잡이의 움직임이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loc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cker door; and a housing 110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guaranteed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ased on the rotation axis 125. It includes a control member 120, wherein the control member 120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to the front and then returns to the door by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121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122 linked to the handle. It determines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door, and the rotating piece 123 on which the lock is fastened rotates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and lock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controlled depending on whether the lock is mounted or not. do.

또한, 상기 제어부재(120)는 회전축(125)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서 설정 폭만큼 전후 회동이 허용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 여부를 관장하는 잠금부(122);와, 잠금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잠금부의 전후 회동 움직임을 동시 제어하도록 설정 길이로 상하 연장되는 손잡이(121);와, 잠금부로부터 절곡 형상으로 수평 전개되고 자물쇠 개입을 위한 관통홀(123-1)이 천공되는 회동편(123);과, 회동편의 하방으로 근접 배치되고 관통홀과 일치하는 인입공(124-1)을 천공하여 자물쇠 개입을 허용하는 고정편(1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mber 120 includes a locking unit 122 that control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allowing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within the housing 110 by a set width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rotating shaft 125; and, a locking unit and A handle (121) that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piece and extends up and down to a set length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al movements of the locking section; and a rotating handle that is horizontally expanded in a bent shape from the locking section and has a through hole (123-1) drilled for lock interv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piece (123); and a fixed piece (124) disposed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iece and drilling an inlet hole (124-1) that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to allow lock intervention.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회동편(123)의 내장 및 후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돌출블록(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블록(112)은 외면에 가이드부재(112-1)를 더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로 수평 개재되는 회동편의 위치 고수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ding block 112 to limit the interior and rear movement range of the pivoting piece 123, and the protruding block 112 has a guide member 112-1 on its outer surface. It is further provided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pivoting piece horizontally inserted inside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손잡이(121) 조작이 허용되면서 자물쇠 거치를 위한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이 내장되게 설정 깊이와 면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111);과, 제어부재(120)의 유동 경로 확보를 위하여 돌출블록(112)과 설정 거리 이격시켜 결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 has a receiving hole 111 that is recessed to a set depth and area to allow manipulation of the handle 121 and to have a fixed piece 124 and a rotating piece 123 for holding the lock.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plate-shaped cover member 130 that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112 at a set distance to secure the flow path of the control member 120.

또한, 상기 커버부재(130)는 설정 각도로 이루어져 하우징(110) 후면 상에 고정 결속되는 끼움대(133);와,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을 2단으로 끼움 개재하는 제1공간부(131);와, 손잡이(121) 조작에 의하여 위치 가변되는 잠금부(122)의 유동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2공간부(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130 is configured at a set angle and has a fitting 133 fixedly fasten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a second member sandwiching the fixed piece 124 and the rotating piece 123 in two stag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first space part 131; and a second space part 132 provided as a movement space of the locking part 122 whose position is variable by manipulating the handle 121.

또한, 상기 잠금부(122)는 손잡이(121)와 결부되는 바디(122-1);와, 바디 상에 상하 천공되어 회전축(125)을 수직 개재하는 삽지홀(122-2);과, 회전축 외면에 권취되어 설정 수준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126);와, 바디 일단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걸림고리(1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22 includes a body 122-1 connected to the handle 121; and an insertion hole 122-2 perforated up and down on the body to vertically interpose the rotation axis 125; and a rotation ax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n elastic body (126) wound on the outer surface to provide a set level of elasticity; and a hook (122-3) provided in a hook shape at one end of the body.

또한, 상기 회전축(125)은 하우징(110) 후면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구속대(113)를 수단으로 결부되고, 상기 잠금부(122)는 양측 외면에서 설정 폭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2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22-4)는 구속대와의 중첩 여부에 의해 잠금부의 유동 범위가 임의 제한됨에 따라 잠금부의 외부 인출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125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by means of a pair of restraint bars 113 spaced apart at a set distance, and the locking portion 122 extends and protrudes from both outer surfaces at a set width. 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122-4, wherein the stopper 122-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external withdrawal of the locking part is controlled as the movement range of the locking part is arbitrarily limited by whether it overlaps with the restraint bar. .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키(Key)의 개입 및 개입된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과의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키박스(1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 further includes a key box 140 in which locking with the lock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insertion of the key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key.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구조 또한 단조로워짐에도 제반 목적 달성에 부족함이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관련 구조의 통합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 및 잠금을 기존 대비 쉽고 간편하게 통합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유지 보수의 간편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is it sufficient to achieve the overall purpose even though the overall number of parts is simplified and the structure is also monotonous, but rather,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doo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ontroll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due to the integration of related structures.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convenience of use and simplicity of maintenance.

즉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사물함 도어락을 제공하는바,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잠금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작동 메커니즘이 일괄 제어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locker door lock that integrates the handle and lock functions by actively improving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adoption part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The door can be opened only by selective manipulation of the handle. Of course, it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overall operating mechanism, up to locking, can be controlled coll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정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의 실시 양태를 순차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2중 잠금 구조의 실시 양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er door lock assembly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xing piece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tation axi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usag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locker door lock assemb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implementation of the double locking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resulting actions and effects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락 관련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echnical ideas related to locker door locks.

무엇보다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기존 대비 차별된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제반 구조의 운용 효율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전반적인 락킹 여부 또한 일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overall structure by implementing a differentiated mechanism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that integrates the handle and lock functions through active improvement of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adoption part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but also improv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overall structure and the handle. The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are maximized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omes from a differentiated structure from the existing structure, such as opening the door and controlling overall locking at the same time with just a selective operation. Note that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guided locker is related to the door lock assembly 100 that is unifiedly controlled.

도 1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사물함 도어에 일체형으로 결부되는 설정의 내부 공간을 보유한 하우징(110);과,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고 회전축(125)을 기반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제어부재(120);로 구분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door lock assembly 100 propos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cker door; and a rotating shaft 125 interposed inside the housing. ) and a control member 120 that guarantees turning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ased on the control member 120.

상기 하우징(110)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통상 사물함 도어 전면에 고정 체결된 상태에서 사물함 내부의 일단을 통해 잠금부(122)의 걸림 여부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도어의 개폐 움직임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하우징(110)을 형성함에 있어, 설정의 함몰된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손의 진입과 함께 손잡이(121)의 조작, 그리고 자물쇠 장착을 위한 회동편(123)과 고정편(124)이 내부 수용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10 may have the sam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usually fixed to the front of the locker door,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such a way that whether or not the lock 122 is caught is determined through one end inside the locker. guarante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above-described housing 110, consists of a recessed internal space of the setting, and includes a rotating piece 123 and a fixed piece for entering the user's hand, manipulating the handle 121, and installing the lock. It is desirable that (124)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internally.

또한, 상기 제어부재(120)는 하우징 선단에서 전방으로 위치 가변 후 복귀되는 손잡이(121)의 위치 조작 및 손잡이와 연동한 잠금부(122)의 위치 전환에 의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되게 하고, 자물쇠가 체결되는 회동편(123)이 손잡이 및 잠금부와 연동하여 전방으로 선회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관장하되, 자물쇠 거치 유무에 따라 손잡이의 움직임이 통제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mb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121, which changes its position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then returns,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122 linked to the handle, The rotating piece 123 on which the lock is fastened rotates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and the locking par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its main function i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handle depending on whether the lock is mounted or not.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재(120)는 회전축(125)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서 설정 폭만큼 전후 회동이 허용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 여부를 관장하는 잠금부(122);와, 잠금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잠금부의 전후 회동 움직임을 동시 제어하도록 설정 길이로 상하 연장되는 손잡이(121);와, 잠금부로부터 절곡 형상으로 수평 전개되고 자물쇠 개입을 위한 관통홀(123-1)이 천공되는 회동편(123);과, 회동편의 하방으로 근접 배치되고 관통홀과 일치하는 인입공(124-1)을 천공하여 자물쇠 개입을 허용하는 고정편(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ember 120 includes a locking part 122 that control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allowing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within the housing 110 by a set width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rotating shaft 125; and, a locking part and A handle (121) that is provided as an integrated piece and extends up and down to a set length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al movements of the locking section; and a rotating handle that is horizontally expanded in a bent shape from the locking section and has a through hole (123-1) drilled for lock intervention. It may be composed of a piece 123; and a fixed piece 124 that is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piece and drills an inlet hole 124-1 matching the through hole to allow lock inter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제어부재(120) 관련 기술사상은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는바, 잠금부(122)와 일체형으로 구비된 손잡이(121)를 매개로 하여 잠금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회동편(123)의 움직임을 적극 제어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는 물론 잠금 행위에 이르기까지 일원화된 작동성을 보장한다.The main purpose of the technical idea related to the control memb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locker door lock assembly with integrated handle and lock functions through active improvement of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adoption part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As such, the movement of the pivoting piece 123 extending from the locking part is a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handle 121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art 122, thereby providing a unified operation from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o locking. Guarantee gender.

상기 손잡이(121)는 도면과 같이 잠금부(122)의 바디(122-1)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수용홀(111) 상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 보존된다. 이후 사용자는 선택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행위만으로 잠금부의 걸림고리(122-3)가 사물함 단부와의 걸림을 해제함에 따라 간섭없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12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ody 122-1 of the locking unit 122 and is maintained in an exposed position on the receiving hole 111 of the housing 110. Afterwards, when the user wishes to open the door by choice, the locking hook 122-3 of the lock is released from the lock with the end of the locker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allowing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interference.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손잡이(121)는 기존처럼 단순히 도어를 유동하기 위한 수단이 아닌 근본적으로 도어의 개폐 및 잠금에 관여하는 주요 수단이 되며, 후술할 잠금부(122)를 비롯하여 회동편(123)과 설정 경로로 일체화 구현됨으로써 단일 동작에 의해 유기적이고 연쇄적인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잠금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작동 메커니즘이 일괄 제어 가능하고, 부품 수의 간소화와 구조의 단조로움을 통해 도어의 개폐와 잠금을 쉽고 간편하게 일원화하여 통합 제어하는 것에 핵심이 있다.In particular, the handle 121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ans for simply moving the door as before, but is fundamentally a major means involved i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includes a locking port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and a rotating piece 123. ) and the setting path ar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llowing organic and serial manipulation through a single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mprehensive control of the entire operating mechanism, from door opening to locking, just by selectively manipulating the handle, and easily and conveniently unifies and integrates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door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number of parts and monotony of the structure. The key is in control.

여기서 상기 잠금부(122)는 손잡이(121)와 결부되는 바디(122-1);와, 바디 상에 상하 천공되어 회전축(125)을 수직 개재하는 삽지홀(122-2);과, 회전축 외면에 권취되어 설정 수준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126);와, 바디 일단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걸림고리(12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cking portion 122 includes a body 122-1 connected to the handle 121; an insertion hole 122-2 perfor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and vertically interposing the rotation axis 125; and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axis.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elastic body 126 that is wound around and provides a set level of elasticity; and a hook 122-3 provided in a hook shape at one end of the body.

상기 회전축(125)은 하우징(110) 후면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구속대(113)를 수단으로 결부될 수 있으며, 이때의 잠금부(122)는 양측 외면에서 설정 폭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2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22-4)는 구속대와의 중첩 여부에 의해 잠금부의 유동 범위가 임의 제한됨에 따라 잠금부의 외부 인출 정도를 제어한다.The rotation shaft 125 may be connected to a pair of restraint bars 113 spaced apart at a set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the locking portion 122 extends from both outer surfaces to a set width. It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stopper 122-4, and the stopper 122-4 controls the degree of external withdrawal of the locking part as the movement range of the locking part is arbitrarily limited depending on whether it overlaps with the restraint bar.

또한, 상기 탄성체(126)는 도면에 상세 도시하진 않았으나 양단이 각각 하우징(110) 후면과 스토퍼(122-4) 후면을 통해 거치 고정됨에 따라 회전축(125)을 기반으로 한 잠금부의 위치 변동 시 해당 방향에 대해 탄성이 유발되므로, 잠금부는 선회 움직임 후 원위치로의 손쉬운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lastic body 126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both ends are mounted and fixed through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the rear of the stopper 122-4,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changes based on the rotation axis 125, the elastic body 126 is fixed. Because elasticity is induced with respect to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may be able to easi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a pivoting movement.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회동편(123)의 내장 및 후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돌출블록(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블록(112)은 외면에 가이드부재(112-1)를 더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로 수평 개재되는 회동편의 위치 고수에 기여한다. Meanwhile, the housing 110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ding block 112 to limit the interior and rear movement range of the pivoting piece 123, and the protruding block 112 has a guide member 112-1 on its outer surface. It is further provided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piece horizontally inserted inside the hous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우징(110)은 손잡이(121) 조작이 허용되면서 자물쇠 거치를 위한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이 내장되게 설정 깊이와 면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111);과, 제어부재(120)의 유동 경로 확보를 위하여 돌출블록(112)과 설정 거리 이격시켜 결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부재(130);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ousing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hole ( 111); and a plate-shaped cover member 130 that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112 at a set distance to secure the flow path of the control member 120.

상기 커버부재(130)는 설정 각도로 이루어져 하우징(110) 후면 상에 고정 결속되는 끼움대(133);와,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을 2단으로 끼움 개재하는 제1공간부(131);와, 손잡이(121) 조작에 의하여 위치 가변되는 잠금부(122)의 유동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2공간부(132);로 구분 구성된다.The cover member 130 is formed at a set angle and has a fitting 133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a first space between the fixed piece 124 and the rotating piece 123 in two stages. It is divided into a portion 131; and a second space portion 132 provided as a movement space for the locking portion 122 whose position is variable by manipulating the handle 121.

여기서 상기 제1공간부(131)와 제2공간부(132)는 잠금부(122)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서로 연통된 공간으로 구축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연통 공간은 제1공간부에 비해 협소한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공간부(131)는 고정편(124)을 하방에 위치 보존한 상태에서 회동편(123)을 고정편 상방에 2단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통로 영역인 연통 공간에 비해 확장된 형상이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편과 회동편의 부피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공간으로 천공되어야 한다.Here, the first space 131 and the second space 132 are preferably constructed as space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part 122, and this communicating space is compared to the first space. It consists of a small area. That is, the first space 131 is a passage area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n order to arrange the rotating pieces 123 in two stages above the fixed piece while keeping the fixed piece 124 positioned below. It must have an expanded shape compared to the communication space, and more preferably, it must be perforated into an appropriate space considering the volume of the fixed piece and the rotating piece.

한편, 본 발명의 도어락 어셈블리는 키를 이용한 시건구조가 더 구성되며, 상기 키를 이용한 시건구조는 하우징(110)에 구비된 키박스(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박스(140)는 자물쇠 뭉치로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키박스에 키(Key)를 개입하고,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잠금 여부가 결정 및 이루어져 사물함의 개폐가 허용된다.Meanwhile, the door 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locking structure using a key, and the locking structure using the key can be achieved by the key box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he key box 140 is made of a bundle of locks,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box, and whether or not it is lock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key, allow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cker.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구조 또한 단조로워짐에도 제반 목적 달성에 부족함이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관련 구조의 통합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 및 잠금을 기존 대비 쉽고 간편하게 통합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유지 보수의 간편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is it sufficient to achieve the overall purpose even though the overall number of parts is simplified and the structure is also monotonous, but rather,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doo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ontroll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due to the integration of related structures.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convenience of use and simplicity of maintenance.

즉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기능을 위한 손잡이와 도어 잠금 기능을 위한 자물쇠 채용 부위의 적극적인 개선으로 손잡이와 자물쇠 기능이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사물함 도어락을 제공하는바, 손잡이의 선택적인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방은 물론 잠금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작동 메커니즘이 일괄 제어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locker door lock that integrates the handle and lock functions by actively improving the handle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nd the lock adoption part for the door locking function. The door can be opened only by selective manipulation of the handle. Of course, it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overall operating mechanism, up to locking, can be controlled coll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should be made clear.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물함 도어락 어셈블리
110. 하우징
120. 제어부재
121. 손잡이
122. 잠금부
123. 회동편
124. 고정편
130. 커버부재
140. 키박스
100. Locker door lock assembly
110. Housing
120. Lack of control
121. Handle
122. Locking part
123. Meeting
124. Fixed piece
130. Cover member
140. Key box

Claims (8)

사물함 도어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고 회전축(125)을 기반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제어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120)는 회전축(125)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서 설정 폭만큼 전후 회동이 허용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 여부를 관장하는 잠금부(122);와, 잠금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잠금부의 전후 회동 움직임을 동시 제어하도록 설정 길이로 상하 연장되는 손잡이(121);와, 잠금부로부터 절곡 형상으로 수평 전개되고 자물쇠 개입을 위한 관통홀(123-1)이 천공되는 회동편(123);과, 회동편의 하방으로 근접 배치되고 관통홀과 일치하는 인입공(124-1)을 천공하여 자물쇠 개입을 허용하는 고정편(1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It includes a housing 110 coupled to the locker door; and a control member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uaranteed to pivo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ased on the rotation axis 125,
The control member 120 includes a locking unit 122 that control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allowing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within the housing 110 by a set width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rotating shaft 125; and is integrated with the locking unit. A handle 121 that is provided and extends up and down to a set length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al movements of the locking part; and a rotating piece that is horizontally developed in a bent shape from the locking part and has a through hole 123-1 for lock intervention ( 123); And, a fixed piece 124 disposed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iece and drilling an inlet hole 124-1 matching the through hole to allow lock intervention.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is unified controlled door lock assemb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회동편(123)의 내장 및 후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돌출블록(1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블록(112)은 외면에 가이드부재(112-1)를 더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로 수평 개재되는 회동편의 위치 고수에 기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110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ding block 112 to limit the interior and rear movement range of the rotating piece 123,
The protruding block 112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112-1 on the outer surface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pivoting piece horizontally interposed inside the housing.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are unifiedly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손잡이(121) 조작이 허용되면서 자물쇠 거치를 위한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이 내장되게 설정 깊이와 면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홀(111);
제어부재(120)의 유동 경로 확보를 위하여 돌출블록(112)과 설정 거리 이격시켜 결부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부재(130);
를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110 is,
A receiving hole (111) that is recessed to a set depth and area to allow manipulation of the handle (121) and to have a fixed piece (124) and a rotating piece (123) for mounting the lock;
A plate-shaped cover member 130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112 at a set distance to secure the flow path of the control member 120;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is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30)는,
설정 각도로 이루어져 하우징(110) 후면 상에 고정 결속되는 끼움대(133);
고정편(124)과 회동편(123)을 2단으로 끼움 개재하는 제1공간부(131);
손잡이(121) 조작에 의하여 위치 가변되는 잠금부(122)의 유동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2공간부(132);
를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ver member 130 is,
A mounting bracket 133 configured at a set angle and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 first space portion 131 sandwiching the fixed piece 124 and the rotating piece 123 in two stages;
a second space portion 132 provided as a movement space for the locking portion 122 whose position is variable by manipulating the handle 121;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is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22)는,
손잡이(121)와 결부되는 바디(122-1);
바디 상에 상하 천공되어 회전축(125)을 수직 개재하는 삽지홀(122-2);
회전축 외면에 권취되어 설정 수준의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126);
바디 일단에서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걸림고리(122-3);
를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cking part 122 is,
A body (122-1) connected to the handle (121);
An insertion hole (122-2) is dri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and vertically interposes the rotation axis (125);
An elastic body (126)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to provide a set level of elasticity;
A hook (122-3) provided in a hook shape at one end of the body;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is controlled in a unifi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5)은 하우징(110) 후면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구속대(113)를 수단으로 결부되고,
상기 잠금부(122)는 양측 외면에서 설정 폭으로 연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2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22-4)는 구속대와의 중첩 여부에 의해 잠금부의 유동 범위가 임의 제한됨에 따라 잠금부의 외부 인출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tation axis 125 is connected to a pair of restraint bars 113 spaced apart at a set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110,
The locking portion 122 further includes a stopper 122-4 protruding from both outer surfaces extending to a set width,
The stopper (122-4) is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a locker are unifiedly controlled, including controlling the degree of external withdrawal of the locking portion as the movement range of the locking portion is arbitrarily limited by whether or not it overlaps with the restraint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키(Key)의 개입 및 개입된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과의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키박스(140)를 더 포함하는 사물함의 개폐와 락킹이 일원화 제어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110 further includes a key box 14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lock the locker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the key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serted key. A door lock assembly in which the opening, closing and locking of the locker are unifiedly controlled.
KR1020230054755A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door-lock KR102582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755A KR102582090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755A KR102582090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door-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090B1 true KR102582090B1 (en) 2023-09-26

Family

ID=881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755A KR102582090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09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407U (en)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아이토프 Apparatus for double latch in door-lock
KR20100013749A (en) 2008-08-01 2010-02-10 김두철 Locker locking apparatus
KR101183122B1 (en) 2012-05-10 2012-09-19 주식회사 코아스 Handle for locker
KR101381039B1 (en) * 2014-02-20 2014-04-1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ventilation handle
KR20140122347A (en) 2013-04-09 2014-10-20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ing Device of Personal Case
KR102255132B1 (en) * 2021-02-19 2021-05-24 양해채 The multi-Axis type door locking device and cabinet including the same
KR102449714B1 (en) * 2022-04-14 2022-09-30 주식회사 퍼맥스 Locking device for cabinet
KR102519982B1 (en) * 2022-12-20 2023-04-10 양해채 The multi-Axis type door locking device and cabinet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407U (en)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아이토프 Apparatus for double latch in door-lock
KR20100013749A (en) 2008-08-01 2010-02-10 김두철 Locker locking apparatus
KR101183122B1 (en) 2012-05-10 2012-09-19 주식회사 코아스 Handle for locker
KR20140122347A (en) 2013-04-09 2014-10-20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ing Device of Personal Case
KR101381039B1 (en) * 2014-02-20 2014-04-1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ventilation handle
KR102255132B1 (en) * 2021-02-19 2021-05-24 양해채 The multi-Axis type door locking device and cabinet including the same
KR102449714B1 (en) * 2022-04-14 2022-09-30 주식회사 퍼맥스 Locking device for cabinet
KR102519982B1 (en) * 2022-12-20 2023-04-10 양해채 The multi-Axis type door locking device and cabinet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6402C2 (en) Retractable multilatch lock device of reinforced type
KR100888514B1 (en) Push-pull type digital door locking device
US5203187A (en) Portable door lock closure
US11346130B1 (en) Double lock dual action gravity latch
KR102582090B1 (en) Apparatus for door-lock
JP4205081B2 (en) Locking mechanism for hinged door
JPH0842228A (en) Double sliding type door lock handle device
KR101119837B1 (en) Safety locker to transfer of safety bar
KR101119924B1 (en) A door lock device using a ball joint
KR101932986B1 (en) Handle of locker door
KR200451117Y1 (en) Locker Door Lock
KR20110092646A (en) Safe door can be opened extraordinarily
KR101195925B1 (en) A door lock device
KR200389834Y1 (en) Cashbox with door stopper
KR200436199Y1 (en) Toilet door locking device in ktx
JP2651289B2 (en) Double door key mechanism
JP4127353B2 (en) lock
KR200463670Y1 (en) Reclaimed locking apparatus for window
KR200374484Y1 (en) Tool box lock equipment
KR102076160B1 (en) Lockless handle assembly with manual locking and unlocking
KR102580801B1 (en) Digital Doorlock
KR100894176B1 (en) A door opening and shutting contrivance with an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a building
KR200363391Y1 (en) Lock for playbox that have duplex fastening function
JPH0435987Y2 (en)
JP4928153B2 (en) Locking mechanism of doors using cylinder k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