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016B1 -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16B1
KR102581016B1 KR1020210032577A KR20210032577A KR102581016B1 KR 102581016 B1 KR102581016 B1 KR 102581016B1 KR 1020210032577 A KR1020210032577 A KR 1020210032577A KR 20210032577 A KR20210032577 A KR 20210032577A KR 102581016 B1 KR102581016 B1 KR 10258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ression
detection unit
assist device
cp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8032A (en
Inventor
박준규
김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16B1/en
Priority to PCT/KR2022/003255 priority patent/WO2022191573A1/en
Publication of KR2022012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0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2"Iron-lungs", i.e. involving chest expansion by applying underpressure thereon, whether or not combined with gas breat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4Accelera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4Ch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61H2230/065Heartbeat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mplifi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교육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CPR 사용자가 압박부를 누름에 따라, 압박부에 구비된 제1 감지부와 상기 압박부로부터 이격된 기준부에 구비된 제2 감지부가 가속도 또는 자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획득된 데이터 중 활성 기준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유효구간과 활성 기준값 범위 외의 무효구간을 구분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이동거리 데이터 중 상기 유효구간 동안 발생한 데이터만 추출한 후, 상기 기준부를 기준으로 상기 압박부의 상대적인 수직방향 이동거리인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PR training assist device.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a CPR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a first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compression unit and a second detection unit provided in a reference unit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acquiring acceleration or posture data; A control unit distinguishing between a valid section within an activation reference value range and an invalid section outside the activation reference value range among the acquired data; And after the control unit extracts only data that occurred during the effective section among the movement distance data,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 compression depth, which is a relativ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based on the reference unit.

Description

심폐소생술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을 보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 수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CPR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자도 쉽게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CP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CPR.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for CPR training by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on the CPR performance situation to the user, and can be used for CPR training even by those who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training in CPR. The goal is to provide a CPR assist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first aid on site.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의 경우 신속히 조치하지 않을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필요한 행동수칙들을 정리하여 배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116906(공고일자 2020.5.29)는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CPR 훈련을 보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an emergency treatment used when the heart stops functioning or breathing stops. In the case of a heart attack, death or serious brain damage can occur if action is not taken quickly, so it is necessary for a witness who finds the patient to quickly perform CPR. Accordingly, each country is educating the general public on CPR and organizing and distributing the necessary rules of conduc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16906 (announcement date 2020.5.29) discloses a device that assists CPR training using pressure information.

그럼에도, 대부분 사람들은 CPR에 교육이 미비한 탓에 살아날 수 있는 심정지 환자가 목숨을 잃고 있다. 따라서 교육기관 입장에서는 교육생의 숙련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생 입장에서는 자신이 기준에 맞게 CPR을 수행하는지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Nevertheless, because most people have insufficient training in CPR, cardiac arrest patients who could have survived are losing their lives. Therefore, from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trainee's proficiency, and from the trainee's point of view, a device is nee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by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on whether the trainee is performing CPR according to the standards.

또한, 실제 응급상황에서는 CPR교육을 받지 못한 자라도 적극적으로 CPR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Additionally, in actual emergency situation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assists even those who have not received CPR training to actively perform CPR.

첫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심폐소생술 수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CPR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자도 쉽게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irst,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that provides immediate feedback on the CPR performance status so that even people who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training in CPR can easily perform first aid in the field.

둘째,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심폐소생술 교육생 및 지도자에게 심폐소생술 수행정도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another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PR trainees and instructors with accurate feedback on the degree of CPR performance.

셋째, 오차를 최소화하며 압박 깊이와 압박 속도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rd, it provides an auxiliary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speed while minimizing erro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가 내장된 압박부; 상기 압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가 내장된 기준부;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가 서로 다른 가속도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가 내장된 압박부; 상기 압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가 내장된 기준부;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압박부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with a built-in first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a user's pressure; a reference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unit and having a built-in second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a user's pressur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so that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can move at different accelerations as the user presses them;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ased on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In addition,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with a built-in first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 reference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unit and having a built-in second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a user's pressur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so that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can move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as the user presses them;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ased on data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삭제dele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PR assist device and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심폐소생술 수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CPR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자도 쉽게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First, by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on the CPR performance status, even those who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training in CPR can easily perform first aid on site.

둘째, 심폐소생술 교육생 및 지도자에게 심폐소생술 수행정도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Secon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ccurate feedback on the degree of CPR performance to CPR trainees and instructors.

셋째, 오차를 최소화하며 압박 깊이와 압박 속도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it provides an auxiliary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speed while minimizing error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 은 도2 의 3-3단면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가속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의 가속도 데이터가 이루는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실제 응급상황에서 응급처치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훈련과정에서 교육생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기준값을 표시한 것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압박부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3 은 도 10 및 도12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 는 도 11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데이터를이용하여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ture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cceleration data.
Figure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vector formed by acceleration data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to a first responder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to trainee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Figure 9 shows the activity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method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by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y th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according to Figures 10 and 12.
Figure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according to Figure 11.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moving distance using data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block diagram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of a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3 은 도2 의 3-3단면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ture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110)가 내장된 압박부(100); 압박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210)가 내장된 기준부(200);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압박부(100)와 기준부(200)가 서로 다른 가속도로 운동 가능하도록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5); 및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100 with a built-in first detection unit 110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 A reference unit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having a built-in second detection unit 210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 connecting portion (5) connecting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so that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can move at different accelerations as the user presses them; and a control unit 51 that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제1 감지부(110)는 압박부(100)에 내장된다. 압박부(100)는 심폐소생술 수행시 손으로 누르는 부위이다. 압박부(100)는 양 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눈금이 표시된다.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is built into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mpression unit 100 is a part that is pressed by hand when performing CPR. The compression unit 100 is marked with a scale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exact center of the line connecting both nipples.

제2 감지부(210)는 기준부(200)에 배치된다. 기준부(200)는 압박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기준부(200)는 목 방향으로 배치되어 압박부(100)의 상하이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부(200)는 압박부(1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is disposed on the reference unit 200. The reference unit 2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reference unit 20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neck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unit 100 moving up and down. The reference unit 20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ts angle may change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mpression unit 100.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는 공통적으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는 3축 가속도와 3축 자이로 센서를 조합한 후 각각의 센서 출력을 내보내는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일 수 있다. 제1 감지부(110)는 후술할 압력센서(130)를 포함한다.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may commonl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may be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that combines a 3-axis acceleration and 3-axis gyro sensor and then sends the output of each sensor. The first sensing unit 1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51)는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사용자(교육생과 응급처치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는 압박부(100)에 강한 압력을 가하므로 압박부(100)는 상하방향(수직방향)성분의 운동을 한다. Since the user (a concept that includes trainees and first responders) applies strong pressure to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mpression unit 100 moves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압박깊이와 수직방향 이동거리 등을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z 축 방향 성분의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것은 동일하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mpression depth and vertical movement distance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inclusion of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z-axis direction is the same.

연결부(5)는, 압박부(100)와 기준부(200)의 상호 이격된 길이가 유지되도록 연결된다. 연결부(5)는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를 일체로 포장하는 커버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5 is connected so that the mutually spaced lengths of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are maintained. The connection portion 5 may be formed as part of a cover that integrally packages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연결부(5)와 압박부(100)는 상호 이격되고, 휘어질 수는 있으나 길이가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5)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5 and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but does not increase in length.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5 may be made of silic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110)가 내장된 압박부(100); 압박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210)가 내장된 기준부(200);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수평면을 기준으로 압박부(100)와 기준부(200)가 서로 다른 각도로 운동 가능하도록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5); 및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A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100) with a built-in first detection unit (110)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a user's pressure; A reference unit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having a built-in second detection unit 210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 connecting portion 5 connecting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so that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can move at different angles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as the user presses them; and a control unit 51 that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압박부(100)는 수평상태라고 가정될 수 있다. 기준부(200)는 목 방향에 배치되어 목 방향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상하이동이 제한될 수이다. 기준부(200)는 연결부(5)와 연결된 지점은 압박부(10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수직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부(10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100 may be assumed to be in a horizontal state. The reference portion 200 is disposed in the neck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nd in the neck direction may be relatively limited. The point where the referenc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5 may move verticall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ccordingly, the angle of the compression unit 100 may be changed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제어부(51)는 제2 감지부(210)에서 측정한 자세데이터를 이용하여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the angle using the posture data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연결부(5)는, 압박부(100)와 기준부(200)가 서로 다른 가속도로 운동 가능하도록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를 연결한다. The connection unit 5 connect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so that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can move at different accelerations.

기준부(200)는 압박부(100)의 높이변화(수직방향 이동거리, 압박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오차를 제거하는 수단이 된다.The reference unit 200 serves as a means to accurately measure the height change (vertical movement distanc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eliminate errors.

연결부(5)는, 휨 가능하지만 상호 이격된 거리는 유지한다. 연결부(5)는 휨 가능하여 압박부(100)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허용한다. The connecting portions 5 can be bent but maintain a mutually spaced distance. The connection portion 5 is bendable to allow the angle of the compression portion 100 to be changed.

압박부(100)와 기준부(200)와의 이격 거리(L)은,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를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연결부(5)와 압박부(100)의 연결지점과 교차하는 지점인 일단과, 압박부(100)의 자유단과 교차하는 지점인 타단 사이의 길이이다.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is based o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nd the connection unit 5 and the compression unit 100 ) is the length between one end, which is the point that intersects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other end, which is the point that intersects the free end of the pressure portion (100).

압박부(100)의 내부에는 PCB 기판이 내장될 수 있고, 기준부(200)는 후술할 표시기판이 장착된다. 즉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는 비교적 유연성이 떨어지지만 연결부(5)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므로(휨은 허용하지만 길이변화는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부(100)와 기준부(20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압박부(100)와 기준부(20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며,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의 각각 다른 데이터를 통하여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연결부(5)의 양 단에 힌지를 배치할 수 도 있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연결부(5)의 양 단을 피봇운동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A PCB board may be built into the pressing part 100, and a display boar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reference part 200. That is,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reference portion 200 are relatively less flexible, but the connection portion 5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desirable to use a material that allows bending but has a small change in length), so the compression portion (100 ) and the reference unit 200 may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This feature allow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the pressure of the compression unit 100 is determined through different data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It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judging depth. However, hinges may be plac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5).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5 to a structure capable of pivoting m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연결부(5) 내부에 압박부(100) 또는 기준부(200)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3) 이 내장된다. In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 3 for transmitting data of the compression unit 100 or the reference unit 200 is built into the connection unit 5.

케이블(3) 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cable 3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300)를 포함하고, 제어부(51)는, 심박 센서(300)로부터 데이터 전송유무를 판단하여, 심박데이터가 전송되면 심박데이터를 기초로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CPR성공 메시지를 출력하고, 심박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압박부(100)의 압박깊이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CPR성공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300 that measures heartbeat, an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or no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300, If heart rate data is transmitted,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based on the heart rate data. If heart rate data is not transmitted,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based on accumulated data on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

심박 센서(300)는 PPG(Photoplethysmography)센서 또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센서일 수 있다. The heart rate sensor 300 may be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제어부(51)는 PPG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유 의미한 데이터를 뜻한다)실제 사람에 대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실제 응급상황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PPG센서의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가 정상 심박수에 도달한 경우 CPR 성공메시지를 출력한다.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PPG sensor (meaning meaningful data),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it was used on an actual person and determines it to be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In this case, if the judgment result based on the data from the PPG sensor reaches a normal heart rate,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제어부(51)는 PPG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무 의미한 데이터를 뜻한다), 마네킹에 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이 경우 훈련상황 또는 교육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훈련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훈련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 한다. If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PPG sensor (meaning meaningless data),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that it is being used for the mannequi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it to be a training situation or an education situation. If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it is a training situation, it continues to monitor the training situation until it reaches a predetermined standard.

사용자는 훈련상황 또는 실제 응급상황 여부를 직접 결정하여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를 설정할 수도 있다. The user can also set the CPR assist device 1 by directly determining whether it is a training situation or an actual emergency.

도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가속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cceleration data.

도6a 를 참조하면, 제어부(51)는 X, Y 및 Z 방향의 가속도 데이터을 획득할 수 있다. 가속도 데이터는 사용자의 압박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Referring to Figure 6a, the control unit 51 can obtain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directions. Acceleration data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pressure state.

제어부(51)는 기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어부(51)의 가속도 데이터를 샘플(11)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11)링 주기하는 단계(Sampling period)는 10ms, 20ms 또는 50ms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하드웨어적 특성으로 샘플(11)의 획득 시점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51)는 획득된 샘플(11)에 보간법(Interpolation)을 적용하여 샘플(11)링 주기에서 획득될 수 있는 샘플(11)의 값을 추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 may sample (11) the acceleration data of the control unit 51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sampling period (11) may be 10 ms, 20 ms, or 50 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if the acquisition time of the sample 11 is not constant due to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the control unit 51 performs an interpolation method on the acquired sample 11. )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sample 11 that can be obtained in the sampling cycle 11.

제어부(51)는 하나의 샘플(11)링 시점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는 X, Y, Z 축 방향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1 may acquire a plurality of data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t one sampling point 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 may acquire acceleration data in the X, Y, and Z axes.

제어부(51)는 기 결정된 개수의 연속적인 샘플(11)들을 하나의 섹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섹션은 64개, 128개 또는 256개의 샘플(11)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섹션은 일회의 압박 상태가 추출되는 하나의 시간 구간 동안 획득된 샘플(11)들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samples 11 as one section. One sec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64, 128 or 256 samples 11. A section may refer to samples 11 acquired during one time period in which a single compression state is extracted.

도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가속도 데이터가 이루는 벡터(27)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vector 27 formed by acceleration data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b 를 참조하면, 하나의 섹션에 대응하는 벡터(27)는 하나의 샘플(11)을 구성하는 X축 데이터(21), Y축 데이터(23) 및 Z축 데이터(25)가 이루는 벡터(27)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b, the vector 27 corresponding to one section is a vector formed by the X-axis data 21, Y-axis data 23, and Z-axis data 25 constituting one sample 11 ( 27).

제어부(51)는 각각의 섹션에 대응하여 섹션에 대응하는 벡터(27)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벡터(27)의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압박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벡터(27)의 특징은 벡터(27)의 크기, 주파수, 표준 편차 또는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a vector 27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the user's compression stat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ctor 27. Characteristics of vector 27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magnitude,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or energy of vector 27.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실제 응급상황에서 응급처치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훈련과정에서 교육생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to a first responder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to trainee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도 7, 도8 및 다시 도6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110)가 내장된 압박부(100); 사용자가 누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210)가 내장된 기준부(200); 및 획득된 데이터 중 활성 기준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유효 구간(13)과 활성 기준값 범위 외의 무효 구간(15)을 구분하여, 유효 구간(13) 동안,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8, and again to FIG. 6A,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ression device with a built-in first detection unit 110 that measures the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wealth(100); A reference unit 200 with a built-in second detection unit 210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And among the acquired data, a valid section 13 that exists within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nd an invalid section 15 outside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re distinguished, and during the valid section 13,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 It includes a control unit 51 that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data of 210).

제어부(51)는 유효 구간(13)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CPR을 수행중인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고, 무효 구간(15)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CPR을 중단중인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유효 구간(13) 동안의 데이터를 기초로 압박깊이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that the data in the valid section 13 is a section in which the user is performing CPR, and the data in the invalid section 15 may determine the data in the invalid section 15 to be a section in which the user is stopping CPR.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based on data during the effective section 13.

제어부(51)는, 압박부(100)의 압박깊이가 기준값 이상이면, 압박 성공 판정을 하고, 누적 압박횟수를 카운트하고, 유효 구간의 시간을 누적카운트한다. If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the compression is successful, counts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and cumulatively counts the time of the effective section.

제어부(51)는 유효 구간(13)의 샘플(11)값을 누적 적분하여 압박깊이를 판단한다. 제어부(51)는 압박깊이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예를 들면 가속도 데이터를 통하여 적분한 결과값이 5cm 이상이면 압박 성공 판정을 하고, 압박횟수 1회를 증가시킨다. 제어부(51)는 유효 구간(13)의 시간(예를 들면 0.4s)를 유효 구간(13)의 시간으로 누적시킨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compression depth by accumulating and integrating the sample 11 value of the effective section 13. If the compression depth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if the result value integrated through acceleration data is more than 5 cm,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the compression is successful and increases the number of compressions by one. The control unit 51 accumulates the time of the effective section 13 (for example, 0.4 s) as the time of the effective section 13.

제어부(51)는, 최초 압박부터 경과한 시간과 누적 압박횟수를 기초로 압박 평균속도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averag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elapsed from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만약 최초 압박부터 2분이 경과하였고 누적 압박횟수가 100회이라면 분당 50회가 되며, 최초 압박부터 3분이 경과하였고 누적 압박횟수가 360회라면 분방 120회가 된다. If 2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is 100, the number of compressions becomes 50 per minute. If 3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is 360, the number of compressions is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300)를 포함하고, 제어부(51)는, 심박 센서(300)로부터 데이터 전송유무를 판단하여, 심박데이터가 전송되면 심박 센서(300)로 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정상 심박수 도달여부를 판단한 후, 정상 심박수에 도달하면 CPR성공 메시지를 출력하고, 심박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누적 압박횟수와 압박평균 횟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값 이상일 때, CPR성공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300 that measures heartbeat, an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or no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300, When heart rate data is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ormal heart rate has been reached based on th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300. If the normal heart rate is reached,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If the heart rate data is not transmitted,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and compression average are displayed. When the number of times exceeds the predetermined normal value,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제어부(51)는 심박데이터가 전송되면 실제 상황으로 판단하여 심박수가 정상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표시 패널(231)에 압박반복 메시지 또는 압박 개선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어부(51)는 심박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훈련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압박속도 및 압박횟수가 미리 정해진 수준에 도달하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될 때까지 표시 패널(231)에 압박반복 메시지 또는 압박 개선 메시지를 표시한다. When heart rate data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actual situation and displays a compression repetition message or a compression improvement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until the heart rate is determined to be normal. If heart rate data is not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it is a training situation and displays a compression repetition message or a compression improvement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until the compression speed and number of compressions reach a predetermined level or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Display.

즉,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훈련상황과 실제 응급상황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both training situations and actual emergency situations.

제어부(51)는,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의 시간과 직전 무효 구간의 시간을 기초로 당회 압박속도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per-tim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be successful and the tim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valid section.

제어부(51)는 직전 무효 구간의 시간이 2초이고, 당회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13)의 시간이 0.5초이면, 2.5초에 1회 수행한 것으로 압박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CPR은 매우 힘든 행위이므로 사용자는 응급조치 도중 쉬거나 중단할 수 있으나, 이 기간 동안 환자의 심장이 멈추게 되므로 이러한 휴식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tim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valid section is 2 seconds and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13 in which success was determined at the time is 0.5 seconds, 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the compression speed as having been performed once every 2.5 seconds. CPR is a very difficult activity, so the user can rest or stop during first aid, but such rest is very dangerous because the patient's heart stops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easure speed in real time and provide feedback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당회 압박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압박 반복 메시지를 표시하고, 당회 압박속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압박 개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231)을 포함한다.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31 that displays a compression repeat message when the current compression speed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displays a compression improvement message when the current compression speed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Includes.

제어부(51)는 당회 압박속도가 정상 범위라면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하라는 압박 반복 메시지를 출력하고, 당회 압박속도가 정상 범위 이하이면 압박 속도를 개선하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If the per-time compression speed is within the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compression repetition message to continue in this state, and if the per-time compression speed is below the normal range, it outputs a warning message to improve the compression speed.

제1 감지부(110)는 압력센서(130)를 포함하고, 제어부(51)는, 압력센서(130)를 통하여 감지한 압력값이 기준값 초과 후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1회 압박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를 초기화 한다.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30, an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one-time compression has ended when the pressure value detect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3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n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Considering this,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re initialized.

제어부(51)는 압박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을 1회 수행 완료한 것이라 판단되면 센서를 초기화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51 initializes the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compression depth. Therefore, the control unit 51 initializes the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completed compression once.

제1 감지부(110)는 압력센서(130)를 포함하고, 제어부(51)는, 미리 정해진 압력값을 활성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압력센서(130)로 부터 얻은 압력값과 비교하여 판단한다.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30, and the control unit 51 sets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as an activation reference value and compares it with the pressure value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or 130.

활성기준값은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 내인 경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된 압력값이 너무 작다면 제어부(51)는 압박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무효 구간(15)으로 판단한다. It is desirable to set the activation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pressure range. If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too small,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it to be an invalid section 15 as compression has not been performed.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기준값을 표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activity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를 참조하면, 제어부(51)는, 미리 정해진 속도값을 활성기준값으로 설정하고, 가속도 데이터를 적분하여 결정된 속도값과 비교하여 판단한다.Referring to Figure 9, the control unit 51 sets a predetermined speed value as an activation reference value, integrates the acceleration data, and compares it with the determined speed value to make a decision.

활성기준값은 미리 정해진 속도값 범위 내인 경우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판단된 속도가 너무 작다면 제어부(51)는 압박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무효 구간(15)으로 판단한다. The activation reference value can also be set when it is withi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range. If the determined speed is too small,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it to be an invalid section 15 as compression has not been performed.

제어부(51)는 속도와 압력을 모두 판단하여, 모두 활성기준값 범위 내인 경우에만 유효 구간(13)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1 may determine both speed and pressure and determine the section 13 to be valid only if both are within the activation reference value range.

다시 도7 및 도8 을 참조하면, 제어부(51)는, 압박부(100)의 압박깊이가 기준값 미만이면, 압박 실패 판정을 하고, 실패 판정된 유효 구간을 무효 구간으로 재 설정한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7 and 8, if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the compression has failed and resets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have failed to an invalid section.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압박을 시작한 경우라도 깊이가 충분하지 못하면 압박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미 유효 구간으로 판단한 경우라도 무효 구간으로 재 설정한다. 이러한 조치는 압박 평균속도의 정확성을 높이는 수단이다. Even if the user starts compression by applying sufficient pressure, if the depth is not sufficient,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compression has not been performed and resets the section to an invalid section even if it has already been determined to be a valid section. These measures are a means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compression average spe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심장 박동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300)를 포함하고, 제어부(51)는, 심박 센서(300)로 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정상 심박수 도달여부를 판단한 후, 정상 심박수에 도달하면 CPR성공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300 that measures heartbeat, and the control unit 51 monitors the heart rate based on the data measur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300.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normal heart rate has been reached, a CPR success message is output when the normal heart rate is reached.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3 은 도 10 및 도12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 는 도 11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100 by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method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100 by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by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according to Figures 10 and 12. Figure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according to Figure 11.

도10 내지 도14 를 참조하면,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1 감지부(110)로부터 압박부(1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한 후,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을 결정한다.10 to 14, the control unit 51 obtains acceleration data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n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100).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한 후,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obtains acceleration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n obtain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reference unit 200 ( ds2) is determined.

제어부(51)는,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와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차이를 기초로 압박부(100)의 제1 압박깊이(ds3)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first compression depth (ds3) of the compression unit 10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 is determined.

제어부(51)는,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과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비율로부터 가중치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weight from the ratio of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제어부(51)는, 미리 정해진 상수(A)를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와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비율에 곱연산하여 가중치(r)이 0보다 크고 1보다 작도록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calculates the weight (r) by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constant (A) by the ratio of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Decide to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자세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준부(200)의 제1 각도값 및 단위시간 후 제2 각도값을 결정한다.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ntrol unit 51 acquires the posture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nd determines the first position of the reference unit 200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After the angle value and unit time, the second angle value is determined.

도3 을 함께 참조하면, 압박부(100)와 기준부(200)와의 이격 거리(L)은,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를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연결부(5)와 압박부(100)의 연결지점과 교차하는 지점인 일단과, 압박부(100)의 자유단과 교차하는 지점인 타단 사이의 길이이다. 타단은 고정점(256)이다. 고정점(256)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is based on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nd the connection part ( 5) It is the length between one end that intersect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mpression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that intersects the free end of the compression portion 100. The other end is the fixed point (256). The fixed point 256 is assumed to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제어부(51)은 압박부(100)와 기준부(200)와의 이격 거리(L)를 기초로 단위시간동안 압박부(100)의 제2 압박깊이(dd3)을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second compression depth (dd3) of the compression unit 100 per unit time based on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1 감지부(110)로부터 압박부(1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한 후,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을 결정한다.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한 후,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을 결정한다. 제어부(51)는,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와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차이를 기초로 압박부(100)의 제1 압박깊이(ds3)을 결정하고,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과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비율로부터 가중치(r)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obtains acceleration data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n obtain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100 ( ds1)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51 obtains acceleration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n obtain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reference unit 200 ( ds2)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first compression depth (ds3) of the compression unit 10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 is determined, and the weight (r) is determined from the ratio of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가중치(r)은 제1 압박깊이(ds3)와 제2 압박깊이(dd3)의 비율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제어부(51)는 가중치(r)을 이용하여 보정 압박깊이(dc)를 결정한다.The weight (r)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ratio between the first compression depth (ds3) and the second compression depth (dd3).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corrected compression depth (dc) using the weight (r).

제어부(51)는, 다음 계산식에 의하여 보정 압박깊이(dc)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corrected compression depth (dc) using the following calculation formula.

제어부(51)는 상기와 같은 보정을 통해 dd3와 ds3에 가중치를 이용한 보다 정확한 압박깊이를 판단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rrection, the control unit 51 can determine a more accurate compression depth using weights for dd3 and ds3.

도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를이용하여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moving distance using data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를 참조하면, 제어부(51)는 가속도 데이터를 통하여 d1, d2 등의 수직방향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제1 감지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압력 데이터 및 또는 가속도 데이터) 유효 구간을 판단하고, 판단된 유효 구간에 대하여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판단한다. 제어부(51)는 유효 구간의 샘플(11)을 취득하여 1회 압박시 수직방향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가 판단한 수직방향 이동거리는 d1, d2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control unit 51 can measure vertical depths such as d1 and d2 through acceleration dat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a valid section based on data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pressure data and/or acceleration data), and determines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for the determined valid section. The control unit 51 can obtain a sample 11 of the effective section and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upon one compressio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51 may be d1 or d2.

다시 도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압박부(100)에 구비된 제1 감지부(110)와 압박부(100)로부터 이격된 기준부(200)에 구비된 제2 감지부(210)와 피사용자에게 부착된 PPG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획득된 데이터 중 활성 기준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유효 구간(13)과 활성 기준값 범위 외의 무효 구간(15)을 구분하여, 유효 구간(13) 동안,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S120); 및 표시 패널(231)에 CPR 성공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7,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first sensor provided in the compression unit 10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Obtaining data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provided on the reference unit 200 spaced apart from the unit 110 and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PPG sensor unit attached to the user (S110); Among the acquired data, a valid section 13 within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nd an invalid section 15 outside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re distinguished, and during the valid section 13,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 from the data,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S120); and displaying a CPR success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압박 성공으로 판정하는 단계(S141); 누적 압박횟수 카운트 및 유효 구간의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는 단계(S143); 최초 압박부터 경과한 시간과 누적 압박횟수를 기초로 압박 평균속도 결정 및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의 시간과 직전 무효 구간의 시간을 기초로 당회 압박속도 결정하는 단계(S145); 표시 패널(231)에 압박 반복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147); 및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 초기화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compression is successful (S141); Coun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and the time of the effective section (S143); Determining the averag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elapsed from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compressions and determining the per-tim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be successful and the tim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valid section (S145); Displaying a pressure repetition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147); and initializing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1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압박 실패로 판정하는 단계(S151); 실패 판정된 유효 구간을 무효 구간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S153); 표시 패널(231)에 압박 개선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157); 및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 초기화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compression failure (S151); Resetting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have failed to an invalid section (S153); Displaying a pressure improvement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157); and initializing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160).

제어부(51)는 심박 측정부의 데이터 입력값을 기초로 교육상황과 실제 응급상황을 구분하여 다른 방식으로 측정 종료 여부를 판단하거나, 메시지 표시여부를 달리하거나, 교육생별 수행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 및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 distinguishes between a training situation and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ata input value of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in a different way, displays a message differently, or processes and processes data on the performance level of each trainee. You can decide whether to send it or not.

다시 도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압박부(100)에 구비된 제1 감지부(110)와 압박부(100)로부터 이격된 기준부(200)에 구비된 제2 감지부(210)로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 획득된 데이터 중 활성 기준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유효 구간(13)과 활성 기준값 범위 외의 무효 구간(15)을 구분하여, 유효 구간(13) 동안,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의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S220); 및 표시 패널(231)에 CPR 성공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8,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first sensor provided in the compression unit 100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Obtaining data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210 provided in the reference unit 200 spaced apart from the unit 110 and the compression unit 100 (S210); Among the acquired data, a valid section 13 within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nd an invalid section 15 outside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re distinguished, and during the valid section 13,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 from the data,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100 (S220); and displaying a CPR success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압박 성공으로 판정하는 단계(S241); 누적 압박횟수 카운트; 유효 구간의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는 단계(S243); 최초 압박부터 경과한 시간과 누적 압박횟수를 기초로 압박 평균속도 결정 및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의 시간과 직전 무효 구간의 시간을 기초로 당회 압박속도 결정하는 단계(S245); 표시 패널(231)에 압박 반복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247); 및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 초기화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compression is successful (S241); Cumulative compression count; Cumulatively counting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S243); Determining the averag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elapsed from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compressions and determining the per-tim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be successful and the tim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valid section (S245); Displaying a pressure repetition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247); and a step of initializing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2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압박 실패로 판정하는 단계(S251); 실패 판정된 유효 구간을 무효 구간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S253); 표시 패널(231)에 압박 개선 메시지 표시하는 단계(S257)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compression failure (S251); A step of resetting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have failed to an invalid section (S253); It includes displaying a pressure improvement message on the display panel 231 (S257).

다시 도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1 감지부(110)로부터, 압박부(1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10); 및 제1 감지부(110)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 ds1 결정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0,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mpression unit is sent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Obtaining acceleration data at (100) (S310); and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acceleration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S330).

다시 도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자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10); 2 감지부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준부(200)의 제1 각도값 및 단위시간 후 제2 각도값을 결정하는 단계(S430); 압박부(100)와 기준부(200)와의 거리값, 제1 각도값 및 제2 각도값으로부터, 단위시간 동안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d 결정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ure 11,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reference unit is sent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Obtaining posture data at (200) (S410); 2 From the posture data of the sensing unit, determining the first angle value of the reference unit 200 and the second angle value after unit time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S430); It includes a step (S450)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d of the compression unit 100 per unit time from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ompression unit 100 and the reference unit 200, the first angle value, and the second angle value.

다시 도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1 감지부(110)로부터, 압박부(1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자세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10); 제2 감지부(210)의 자세데이터로부터 기준부(200)의 각도값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21); 기준부(200)의 각도값 데이터와 기준부(200)와 압박부(100)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d)결정하는 단계(S523)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2,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mpression unit is sent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Obtaining acceleration data of 100, obtaining posture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nd obtaining acceleration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tep (S510); Obtaining angle value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posture data of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521); It includes a step (S523)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d)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the angle value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and the gap between the reference unit 200 and the compression uni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제1 감지부(110)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압박부(1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 ds1을 결정하는 단계; 제2 감지부(210)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기준부(200)의 수직방향 이동거리 ds2 를 결정하는 단계(S531); ds1과 ds2의 차이인 ds3를 결정하는 단계(S533); ds1을 기준으로, ds1과 ds2의 비율로부터 가중치r을 결정하는 단계(S535)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100 from acceleration data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Determin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acceleration data of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S531); Determining ds3,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ds1 and ds2 (S533); It includes a step (S535) of determining the weight r from the ratio of ds1 and ds2, based on ds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제어방법은, 가중치r을 이용하여 dd와 ds3를 조정하고, 보정 이동거리dc를 결정하는 단계(S550)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adjusting dd and ds3 using weight r and determining the corrected movement distance dc (S550).

도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블록도이다.Figure 16 is a block diagram of a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사용자 입력부, 제1 감지부(110), 제2 감지부(21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제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PR assist device 1 includes a user input unit, a first detection unit 110, a second detection unit 210, a display unit 230, and a control unit 51. It can be included. However, not all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CPR assist device 1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or the CPR assist device 1 may be implemented with fewer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1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10) 및 제2 감지부(210)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100)의 X, Y 및 Z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CPR assist device (1) (100).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can measure acceleration in the X, Y, and Z axes of the CPR assist device (1) (100).

도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의 블록도이다.Figure 17 is a block diagram of a CPR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 을 참조하면,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스마크 글래스(Smart Glass),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보조장치(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와 연동하여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7, the CPR assist device 1 includes, for example, a mobile phone, tablet PC, PDA, MP3 player, kiosk, electronic picture frame, navigation device, digital TV, smart watch, and wristwatch ( It can be appli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wrist watches, smart glasses, and wearable devices such as HMD (Head-Mounted Display).

심폐소생술 보조장치(1)는 웨어러블 보조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 또는 타인의 웨어러블 장치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육상황에서 교육자(강사)는 교육생의 CPR 수행정도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고, 교육생에게 수행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The CPR assist device 1 transmits data to a wearable assist device, and the transmitted data may be transmitted back to a server or another person's wearable device. For example, in a training situation, an educator (instructor) can convert the trainee's CPR performance level into data and save it, and notify the trainee of the performance resul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제1 감지부- 압력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함-를 구비하는 압박부와 제2 감지부-가속도 센서를 포함함-를 구비한 기준부와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압력 데이터와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압력 데이터 중 활성 기준값 범위- 미리 정해진 압력 범위임- 내에 존재하는 유효구간과 활성 기준값 범위 외의 무효구간을 구분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유효구간 동안 발생한 가속도 데이터만 추출하여 상기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ds1)를 결정하고, 상기 제2 감지부가 측정한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기준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2)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1)와 상기 기준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2)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압박부의 제1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 first detection unit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 reference unit including a second detection unit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PR assist device,
A control unit acquiring pressure data and acceleration data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acquiring acceleration data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distinguishing between a valid section existing within an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 a predetermined pressure range - and an invalid section outside the active reference value range among the pressure data acquir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extracts only the acceleration data that occurred during the effective section to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and determines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based o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step; and
A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y a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의 제1 압박깊이가 기준값 미만이면 압박 실패로 판정하고, 실패 판정된 유효 구간을 무효구간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first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at the compression has failed, and resetting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have failed to an invalid section, is a control method for a CPR assis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의 제1 압박깊이가 기준값 이상이면 압박 성공으로 판정하고,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에서의 시간 및 압박횟수를 누적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first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at the compression is successful, and cumulatively counting the time and number of compressions in the effective section determined to be successful, is a control method for a CPR assist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최초 압박부터 경과한 시간과 누적 압박횟수를 기초로 압박 평균속도를 결정하고,
성공 판정된 유효 구간의 시간과 직전 무효 구간의 시간을 기초로 당회 압박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
Determine the average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elapsed from the first compression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compressions,
A control method for a CPR assist device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the current compression speed based on the time of the valid section determined to be successful and the tim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invalid section.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위치에 놓여지고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가 구비된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가 구비된 기준부; 및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압박부(100)를 누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제2 감지부(210)로부터 기준부(200)의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부(200)의 제1 각도값 및 단위시간 후 상기 기준부의 제2 각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각도값의 사인값과 상기 제2 각도값의 사인값 차이값에, 상기 압박부와 상기 기준부 사이의 간격을 곱 연산하여, 상기 압박부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 compression unit placed in a position to perform CPR and provided with a first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and a reference uni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and provided with a second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ccelera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mpression part and the reference part,
As the user presses the compression unit 100, the control unit obtains acceleration data of the reference unit 200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10 and sets a first angle of the reference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determining a second angle value of the reference unit after a value and unit time; and
A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ne value of the first angle value and the sine value of the second angle value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reference unit. Control method of CPR assis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감지부가 측정한 수직방향 이동거리(ds1)에서 상기 제2 감지부가 측정한 수직방향 이동거리(ds2)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압박부의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the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measur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Control method of CPR assist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과 상기 기준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의 비율을 기초로 가중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박깊이와 상기 압박깊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중치를 곱연산 하여 상기 압박부의 보정 이동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7,
determining a weight based on a ratio of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reference unit; and
A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corrected movement distance of the compression unit by multiplying any one of the compression depth and the compression depth by the weigh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측정한 압력값이 기준값 초과 후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1회 압박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를 초기화 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n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a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in which one compression is considered to have ended and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are initialized.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위치에 놓여지고,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가 내장된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의 흉부에 놓여져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가 내장된 기준부;와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제1 감지부가 측정한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1)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측정한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기준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2)를 연산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압박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1)와 상기 기준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ds2)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상기 압박부의 제1 압박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방법.
A compression unit placed in a position to perform CPR and having a built-in first sensor that measures acceleration; and a reference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ion unit and placed on the user's chest and has a built-in second sensor that measures acceleration; In a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calculating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based o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based o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method of a CPR assist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compression depth of the compression unit by a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1) of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ds2) of the reference unit. .
KR1020210032577A 2021-03-12 2021-03-12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KR102581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77A KR102581016B1 (en) 2021-03-12 2021-03-12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PCT/KR2022/003255 WO2022191573A1 (en) 2021-03-12 2022-03-08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ing device providing feedback fo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77A KR102581016B1 (en) 2021-03-12 2021-03-12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32A KR20220128032A (en) 2022-09-20
KR102581016B1 true KR102581016B1 (en) 2023-09-21

Family

ID=8344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577A KR102581016B1 (en) 2021-03-12 2021-03-12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0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13B1 (en) * 2010-12-07 2014-01-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ering patient chest compression depth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9805623B1 (en) * 2016-04-08 2017-10-31 I.M.Lab Inc.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111901A (en) * 2019-03-19 2020-10-05 (주)판타웍스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32A (en)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20B2 (en) Periodic evaluation and tele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220933A1 (en) Chest measuring device, scoliosis correction system, system for remotely diagnosing spine, and wearable measuring device
US20090240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re-fall conditions based on the angular orientation of a patient
JP5896240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exercise support program
US20130171596A1 (en) Augmented reality neurological evaluation method
EP3298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tural balance of a person
US20150351647A1 (en) Effective cpr procedure with real time evaluation and feedback using smartphones
US20170000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moving body parts
US20170181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Muscle Tone
KR101446653B1 (en) Health and rehabilitation game apparatus, system and game method
KR20180124498A (en) Scoliosis correction system using wearable IOT device
JP6241488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exercise support program
KR101054722B1 (en)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viding using mobile terminal
KR101545516B1 (en) Posture correction system for balance-improving remedical excercise
JP2009106374A (en) Display system for gait information
Guimarães et al. A smartphone-based fall risk assessment tool: measuring one leg standing, sit to stand and falls efficacy scale
KR102581016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in CPR
KR102581015B1 (en) CPR assistive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corresponding to input
US2021013778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odulation of therapeutic procedures
KR20140082449A (en) Health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natural interaction
KR20220049271A (en) Rehabilitaiton Guide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6432665B2 (en) Exercise device, arm lowering angl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251303B1 (en) Method for provi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mannequin and mobile terminal
John et al. Smartsenior’s interactive trainer-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ystem for a home-based fall-prevention training for elderly people
JP6062889B2 (en) Muscle contraction exercise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