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35B1 - Plastic flowerpot - Google Patents
Plastic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0535B1 KR102580535B1 KR1020230066677A KR20230066677A KR102580535B1 KR 102580535 B1 KR102580535 B1 KR 102580535B1 KR 1020230066677 A KR1020230066677 A KR 1020230066677A KR 20230066677 A KR20230066677 A KR 20230066677A KR 102580535 B1 KR102580535 B1 KR 102580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lange
- circumferential direction
- ribs
- plastic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55 Orchi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원은 플라스틱 화분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plastic flower pots.
일반적으로 화분은 관상용으로 기르는 식물을 쉽고 간편하기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좁은 공간 및 실내에서 꽃이나, 난 및 관상수를 키울 수 있는 용기크기로 선택하여 사용하며, 특히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한 모양 및 크기를 갖는 화분을 선택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흙을 담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flower pots are used by selecting a container size that can grow flowers, orchids, and ornamental trees in small spaces and indoors in ord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grow ornamental plants. In particular, they are of an appropriate shape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plant. It is widely used to select pots of the following sizes and fill them with soil so that plants can grow in offices or homes.
또 화분의 형태는 통상 상단 둘레로 플랜지를 갖고 바닥에는 물 빠짐 구멍을 갖는 구조를 구비하되, 그 재료는 플라스틱 수지, 사기, 토기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lower pot usually has a structure with a flange around the top and a water drain hole at the bottom,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resin, porcelain, and earthenware are used.
그런데, 일반적으로, 화분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갖는 화분이 심미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를 테면, 틀에서 성형(제조) 가능한 화분(이를 테면, 사기, 토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 화분)이 내측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 있어 높은 심미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However, in general, pots with flanges protruding inward are considered to be highly aesthetically pleasing. For example, pots that can be molded (manufactured) in a mold (e.g., ceramic pots made of porcelain, earthenware, etc.) are considered to have a high aesthetic value. It can have a flange that faces in any direction, so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high aesthetics.
반면에, 보다 낮은 공정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플라스틱 화분은, 사출로 성형(제조)되기 때문에 내측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가 없어 외측 방향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므로, 심미성이 낮은 측면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plastic flower pots,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lower processing costs, cannot have flanges facing inward because they are molded (manufactured) by injection, so they form flanges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thus have lower aesthetics.
이에 따라, 플라스틱 화분의 둘레부(본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내측 방향으로의 플랜지를 모사하는 제품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단순히 둘레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이므로 플랜지로부터 화분의 손잡이 역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Accordingly, there are products that simulate the flange in the inner direction by thickening the circumference (main body) of a plastic flower pot, but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ircumference is simply increased,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flange to serve as a handle for the flower pot. .
본원과 관련된 배경 기술이 등록특허 10-1874410호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is application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4410.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랜지를 갖는 플라스틱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plastic flower pot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has a flange that can serve as a handl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은, 하향 함몰되는 함몰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본체보다 상기 함몰구를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및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식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및 상기 장식 구조체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downwardly depressed depression is formed; and an edge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edge part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depression hole than the main body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upling the edge part with the main body. It includes a decorative structure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decorative structure ar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plastic,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체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갖는 장식 구조체 각각을 플라스틱으로 별도로 제조(이를 테면 사출로 제조 가능함)하여, 장식 구조체를 본체에 결합하므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되, 손잡이로도 사용가능한 내측 방향으로의 플랜지를 갖는 화분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자기 화분 대비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고 기존의 도자기 화분과 대응되는 심미성과 효용성을 가질 수 있는 화분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decorative structures having a flange protruding inward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plastic (for example, they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and the decorative structures are join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y are made of plastic, A flower pot can be implemented with a flange toward the inside that can also be used as a handle. Accordingly, a flower pot that can have aesthetics and utility equivalent to existing ceramic flower pots can be implemented at a lower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existing ceramic flower pots.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개략적인 개념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장식 구조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장식 구조체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본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본체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본체와 장식 구조체의 체결 전 상태의 수직 단면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의 본체와 장식 구조체가 체결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onceptu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structure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structure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of a plastic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7 (a)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before fastening the main body of the plastic flower pot and the decora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ure 7 (b)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vertical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a plastic flower pot and the decorative structure are fastened to each oth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상부, 하측, 하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상측이 하향으로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top, top, top, bottom, bottom, etc.)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ure 1,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the side generally facing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the overall side toward the 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and the 6 o'clock direction is the lower side, overall. The part facing 6 o'clock may be the lower back. However, in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pper side may be dispos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downward.
본원은 플라스틱 화분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plastic flower pots.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화분(이하 '본 화분'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stic flower p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화분은, 하향 함몰되는 함몰구(11)가 형성되는 본체(1)를 포함한다. 함몰구(11)는 흙이 담기거나 식물이 심어지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구(1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1)의 하면에는 함몰구(11)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본체(1)의 하측과 함몰구(11)를 통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은 함몰구(11)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체(1)는 수평 방향 단면이 원형일 수 있고, 함몰구(11)는 수평 방향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 있어서, 내외측 방향이라 함은, 함몰구(11) 또는 본체(1)의 반경 방향으로의 내외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방향 또는 내측은 본체(1)의 반경 방향으로의 내측 방향 또는 내측을 의미할 수 있고, 외측 방향 또는 외측은 본체(1)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측 방향 또는 외측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5, and 6, the present flower pot includes a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화분은 장식 구조체(2)를 포함한다.Also,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flower pot includes a decorative structure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식 구조체(2)는 본체(1)의 상측에서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21)를 포함한다. 2 to 4,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식 구조체(2)는 테두리부(21)로부터 본체(1)보다 함몰구(11)를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2)를 포함한다. 본원에 의하면, 플랜지(22)를 포함하는 장식 구조체에 의해, 종래의 도자기 화분에서만 찾아볼 수 있고 플라스틱 화분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내측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22)가 구비되는 플라스틱 화분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장식 구조체(2)는 테두리부(21)를 본체(1)와 결합시키는 결합부(23)를 포함한다. 테두리부(21), 플랜지(22) 및 결합부(23)는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이에 따라, 결합부(23)는 테두리부(21)뿐만 아니라 플랜지(22)도 본체(1)에 결합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본체(1) 및 장식 구조체(2)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화분에 내측 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면 심미성이 높아지고, 플랜지가 손잡이 역할까지 하여 효용성이 증가하는 측면이 있다. 그런데, 틀에서 성형(제조) 가능한 화분(이를 테면, 사기, 토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 화분)은 내측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보다 낮은 공정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플라스틱 화분은, 사출로 성형(제조)되기 때문에 내측 방향을 향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가 없어 외측 방향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므로, 심미성이 낮은 측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화분의 둘레부(본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내측 방향으로의 플랜지를 모사하는 제품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단순히 둘레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이므로 손잡이 역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The
반면에,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에 의하면, 본체(1)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를 갖는 장식 구조체(2) 각각을 플라스틱으로 별도로 제조(이를 테면 사출로 제조 가능함)하여, 장식 구조체(2)를 본체(1)에 결합하므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되, 손잡이로도 사용가능한 내측 방향으로의 플랜지를 갖는 화분이 구현되므로, 기존의 석고 또는 도자기 화분 대비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고 대응되는 심미성과 효용성을 가질 수 있는 플라스틱 화분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본체(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간격을 두고 본체(1)로부터 본체(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12)이 형성될 수 있다. 턱(12)은 본체(1)의 내면에서 본체(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6, and 7,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23)는 플랜지(2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턱(12)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유닛(23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to 4 and 7, the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걸림 유닛(231)은, 플랜지(2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2311) 및 연장부(2311)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312)는 턱(12)에 대하여 상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걸림 유닛(231)은 단면이 L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2312)가 턱(12)에 걸림으로써 걸림부(23)와 본체(1)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to 4 and 7,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장부(2311)는, 턱(12)에 대하여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외경이 턱(11)의 내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식 구조체(2)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플라스틱의 특성 상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2311)는 장식 구조체(2)가 소성 변형되지 않는 범위에서 탄성 변형되어 턱(12)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되, 턱(12)의 내경 이상(바람직하게는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2312)의 장식 구조체(2)가 소성 변형되지 않는 범위에서 턱(12)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턱(12)의 내경보다 크되, 본체부(1)의 걸림부(2312)가 대향하는 부분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2312) 및 연장부(2311)는 탄성 변형되며 턱(1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걸림부(2312)는 턱(12)에 걸려 상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2 to 4 and 7 , 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23)는, 플랜지(22)의 내측 방향으로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마감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to 4 and 7, the
도 7을 참조하면, 마감부(232)는 연장부(2311)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 방향에서 덮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nishing
마감부(232)는 연장부(2311)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232)는 손잡이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마감부(232) 내측으로 손을 넣어 손가락이 마감부(232)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게 마감부(232)에 걸림된 상태로 사용자는 본 화분을 들 수 있고, 이 때, 걸림부(2312)가 턱(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장식 구조체(2)는 본체(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에게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finishing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23)는 연장부(231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를 연결하는 갈빗살(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 사이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간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부재(12)의 도시를 생략하면,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음), 갈빗살(234)은 이러한 간격을 내외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되어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갈빗살(234)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갈빗살(234)은 마감부(232)와 연장부(2311)를 연결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장식 구조체(2)를 함몰구(11) 내에서, 다시 말해, 장식 구조체(2)의 내측에서 마감부(232) 또는 갈빗살(234)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지지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상에 마감부(232)와 갈빗살(234)이 얹혀지는 상태로 본 화분을 들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본 화분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본 화분을 들어올리는게 편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갈빗살(234)이 형성되므로 마감부(232)의 갈빗살(234)이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은 갈빗살(234)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의 내경 대비 더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갈빗살(234)이 형성되므로 마감부(232)의 갈빗살(234)이 연결되는 부분은 갈빗살(234)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갈빗살(234)이 형성되므로 연장부(2311)의 갈빗살(234)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경은 갈빗살(234)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의 외경 대비 더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갈빗살(234)이 형성되므로 연장부(2311)의 갈빗살(234)이 연결되는 부분은 갈빗살(234)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식 구조체(2)와 본체(1)의 결합력이 커지고, 장식 구조체(2)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 since the
또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본체(1)의 상부 중 턱(12)보다 낮은 위치에서 본체(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강화부재(13)가 형성될 수 있다. 강화부재(13)는 복수 개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강화부재(13)에 의해 본체(1)의 상부 중 강화부재(13)가 형성된 부분의 수평 방향 단면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본체(1)는 상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본 화분을 들 때, 전술한 장식 구조체(2)의 플랜지(22)를 지지하여 화분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화분 내부의 흙, 식물 등의 무게로 인해 본 화분 상부의 내구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체(1)의 상부에 강화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2, 6, and 7, the
또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강화부재(13)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외측 방향으로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로 향할수록 본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2, 6, and 7,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또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강화부재(13)의 내측 단부에는 강화부재(1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부재(14)는 장식 구조체(2)의 본체(1)에 대한 결합시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연장부(2311)와 마감부(232) 사이의 공간 중 갈빗살(23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조부재(14)가 마감부(232)를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장식 구조체(2)와 본체(1)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장식 구조체(2)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2, 6, and 7, an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연장부(2311)는 턱부(12)와 보조부재(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2311)는 내외측 방향으로 턱부(12)와 보조부재(14)에 의해 2중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력, 내구성 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b) of FIG. 7, th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본체
11: 함몰구
12: 턱
13: 강화부재
14: 보조부재
2: 장식 구조체
21: 테두리부
22: 플랜지
23: 결합부
231: 걸림 유닛
2311: 연장부
2312: 걸림부
232: 마감부
234: 갈빗살1: Body
11: depression
12: chin
13: Reinforcement member
14: Auxiliary member
2: Decorative structure
21: border part
22: Flange
23: coupling part
231: Jamming unit
2311: extension
2312: Hang part
232: Closing department
234: Ribs
Claims (7)
하향 함몰되는 함몰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본체보다 상기 함몰구를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및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식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및 상기 장식 구조체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턱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 중 턱보다 낮은 위치에서 본체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강화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강화부재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외측 방향으로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플랜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턱에 대하여 상측으로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턱에 대하여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턱의 내경 이상으로 설정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의 외경은 상기 턱의 내경보다 크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걸림부가 대향하는 부분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내측 방향으로의 내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내측 방향에서 덮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마감부를 연결하는 갈빗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갈빗살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인, 플라스틱 화분.In plastic flower pots,
A main body in which a depression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downward is formed; and
An edge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flange that protrudes from the edge part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depression than the main body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upling that couples the edge part with the main body. Contains a decorative structure containing a part,
The main body and the decorative structure ar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plastic,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 chin is formed on the main body,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in the inner direction at a distan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uni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lange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ngages the jaw,
A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middl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main body and extends up and down,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come thicker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s it moves upward,
The locking unit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and a locking portion bent and extending from a bottom of the extension portion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is suppor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hin,
The extension portion has an outer diameter set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jaw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jaw,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jaw, but is set to be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main body facing the locking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flange in the inward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inward direction,
The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ribs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inward direction to connect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nishing portion,
A plastic pot in which the ribs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마감부의 상기 갈빗살이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은 상기 갈빗살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의 내경 대비 더 작은 것인, 플라스틱 화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iameter of the part where the ribs of the finishing part are connected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art where the ribs are not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6677A KR102580535B1 (en) | 2023-05-24 | 2023-05-24 | Plastic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6677A KR102580535B1 (en) | 2023-05-24 | 2023-05-24 | Plastic flower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0535B1 true KR102580535B1 (en) | 2023-09-19 |
Family
ID=8819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6677A KR102580535B1 (en) | 2023-05-24 | 2023-05-24 | Plastic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053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587Y1 (en) * | 1999-10-18 | 2000-03-15 | 권혁중 | A sectional flowerpot |
JP2002369625A (en) * | 2001-08-09 | 2002-12-24 | Yoshinobu Ito | Flowerpot |
KR20180002953U (en) * | 2017-04-06 | 2018-10-16 | 김정현 | Handle An integral flowerpot |
-
2023
- 2023-05-24 KR KR1020230066677A patent/KR1025805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587Y1 (en) * | 1999-10-18 | 2000-03-15 | 권혁중 | A sectional flowerpot |
JP2002369625A (en) * | 2001-08-09 | 2002-12-24 | Yoshinobu Ito | Flowerpot |
KR20180002953U (en) * | 2017-04-06 | 2018-10-16 | 김정현 | Handle An integral flower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7692B2 (en) | Planter with snap-in rim insert | |
USD957942S1 (en) | Tamper-resistant lid assembly | |
USD951624S1 (en) | Cantilever umbrella base | |
USD937441S1 (en) | Vertical post for patio cover | |
KR102580535B1 (en) | Plastic flowerpot | |
US6170144B1 (en) | Method of making a decorative container | |
JP2016204029A (en) | Egg packaging container | |
KR101706369B1 (en) | Self-assembly Flowerpot | |
US6179153B1 (en) | Two-chamber container with changeable upper cover | |
KR102653566B1 (en) | Plastic flowerpot | |
USD974885S1 (en) | Plastic wall hook | |
JP3219872U (en) | flower pot | |
CN107920474A (en) | Flowerpot bottom member and the flowerpot for having used the bottom member | |
USD980006S1 (en) | Cookware vessel with a decorative interior bottom | |
EP0727136B1 (en) | Article having a flange protruding therefrom | |
KR20240001570U (en) | Assemble type flowerpot | |
JP3166992U (en) | planter | |
KR200174587Y1 (en) | A sectional flowerpot | |
KR200404181Y1 (en) | Translucency flowerpot | |
USD1021376S1 (en) | Section of a round cantilever umbrella base | |
KR102530930B1 (en) | A square pot with good ventilation and drainage | |
JP4784799B2 (en) | flower pot | |
USD961451S1 (en) | Plant pot | |
CN216752876U (en) | Injection molding flowerpot | |
JP3060814U (en) | Synthetic resi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