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00B1 -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 Google Patents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00B1
KR102580200B1 KR1020230068549A KR20230068549A KR102580200B1 KR 102580200 B1 KR102580200 B1 KR 102580200B1 KR 1020230068549 A KR1020230068549 A KR 1020230068549A KR 20230068549 A KR20230068549 A KR 20230068549A KR 102580200 B1 KR102580200 B1 KR 10258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p
bracket
disposed
pile
w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지에스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6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CIP(10);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CIP(20);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벽체에 띠장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을 CIP에 앙카로 체결하여 연결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 1 CIP 및 제 2 CIP의 단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IPs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second CIP (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It provides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wale 300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20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for installing the wale on the wall are connected to the CIP by fastening them with anchors, the cross-sectional loss of the first CIP and the second CIP can be minimized and the construction time on site can be shortened. There are advantages to this.

Description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흙막이 구조물은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지하구조체 시공 시,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와 지보공이 설치되는 임시 구조물이다.Earth retaining structures are temporary structures in which earth retaining walls and support holes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ground from collaps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for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그 중 흙막이 벽체는 형식에 따라 여러 공법으로 분류되지만, 10m 이상 심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열식 공법인 CIP공법은 천공장비를 사용하여 일정 심도까지 천공한 후 H-PILE 또는 철근망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Among them, earth retaining wall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but the CIP method,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column method at depths of 10 m or more, uses drilling equipment to drill to a certain depth and then inserts H-PILE or rebar net to create concrete. It is a method of pouring.

종래 기술에 따른 CIP공법은 시공 시 철근망과 H-PILE을 교차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는데, 경제성 때문에 CIP공은 암반면 1m 정도까지만 시공하고 암반구간은 H-PILE/토류판 또는 숏크리트(shotcrete)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CIP벽체 구간에 지보재 중 하나인 띠장 설치하기 위해 H-PILE이 삽입된 구근의 콘크리트 단면을 깎아 노출된 H-PILE 단면에 띠장 거치를 위한 브라켓을 설치하며, CIP와 띠장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별도의 홈메우기 블록을 설치한다.In the CIP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crete is poured after cross-inserting reinforcing bar nets and H-PILE during construction. Due to economic efficiency, CIP construction is performed only up to about 1m on the rock surface, and the H-PILE/earth plate or shotcrete method is used for the rock section. It is common to apply In order to install a wale, which is one of the supporting materials in the CIP wall section, the concrete cross-section of the bulb where the H-PILE is inserted is cut and a bracket for mounting the wale is installed on the exposed H-PILE cross-section, and a separate bracket is install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IP and the wale. Install groove infill blocks.

이처럼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경제성 및 시공성, 구조적 안전성 저하 문제가 있다.As such,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problems of reduced economic efficiency,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safety.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126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8126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8468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7846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2066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2066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253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2253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563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1563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342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634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CIP 벽체의 띠장 설치 시 벽체의 불필요한 단면손실 방지 및 보다 안정적인 홈메우기 방식으로 경제성 및 시공성, 안전성을 확보한 연결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events unnecessary cross-sectional loss of the wall when installing strips of CIP walls, and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that secures economic efficiency, constructability, and safety through a more stable groove filling method, and the resulting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CIP(10);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CIP(20);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IPs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second CIP (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It provides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wale 300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20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제 1 CIP(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1 CIP(1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2 CIP(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CIP(2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CIP(12)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1 H-PILE(2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타측에 밀착되는 제 2 H-PILE(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100)은, 상기 제 1 CIP(11)에 배치된 제 1-1 브라켓(101); 상기 제 2 CIP(12)에 배치된 제 1-2 브라켓(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은, 상기 제 1 H-PILE(21)에 배치된 제 2-1 브라켓(201); 상기 제 2 H-PILE(22)에 배치된 제 2-2 브라켓(2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IP (10) includes a first CIP (1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CIP (12)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CIP (11), wherein the second CIP (20)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CIP (12) ) A first H-PILE (21)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t includes a second H-PILE (22)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IP (11), wherein the first bracket (100) is disposed on the first CIP (11). 1-1 bracket (101); and a 1-2 bracket 102 disposed on the second CIP 12, wherein the second bracket 200 includes a 2-1 bracket disposed on the first H-PILE 21 ( 201); It may include a 2-2 bracket 202 disposed on the second H-PILE 22.

상기 제 1-1 브라켓(101) 및 제 1-2 브라켓(102) 각각은,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1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1 브라켓바디(110);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1 간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1-1 bracket 101 and the 1-2 bracket 102 includes a first bracket body 110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a of a cylindrical pile; It may include a first spacing member 120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is coupled to the wale 300.

상기 제 2-1 브라켓(201) 및 제 2-2 브라켓(202) 각각은, 상기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2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2 브라켓바디(210);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2 간격부재(220);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띠장(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빔서포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2-1 bracket 201 and the 2-2 bracket 202 includes a second bracket body 210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0a of the cylindrical pile; a second spacing member 220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is coupled to the wale 300; It may include a beam supporter 250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wale 300.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CIP(10);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CIP(20);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의 시공을 위해 지면을 구멍을 형성시키는 천공단계(S10); 천공된 구멍에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을 시공하는 단계(S21)(22); 상기 S21 및 S22 단계 이후에 땅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이후에, 상기 시공공간에서 상기 제 1 CIP(10)에 제 1 브라켓(100)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CIP(20)에 제 2 브라켓(200)를 설치하는 단계(S41)(S42); 상기 S41 및 S42 단계 이후에 띠장(300)을 상기 제 2 브라켓(200)의 빔서포터(250)에 걸치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브라켓(100)의 제 1 채움공간(1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의 제 2 채움공간(2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60상기 띠장(300) 및 빔서포터(250)를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IPs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second CIP (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In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wale 300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20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A drilling step (S10) of forming a hole in the ground for construction of the CIP (20); Steps of constructing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in the drilled hole (S21) (22); A step of securing construction space by excavating the ground after steps S21 and S22 (S30); After step S30, a step (S41) of installing the first bracket 100 on the first CIP 10 and installing the second bracket 200 on the second CIP 20 in the construction space (S41) S42); After steps S41 and S42, a step (S50) of attaching the wale 300 to the beam supporter 250 of the second bracket 200; After step S50, the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first filling space 127 of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second filling space 227 of the second bracket 200. )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step of arranging (S60) and a step of fixing the wale 300 and the beam supporter 250 (S80).

첫째, 본 발명은 벽체 띠장 연결을 위한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을 CIP 벽체면을 깎아 내지 않고 앙카로 체결하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for connecting wall wales are fastened with anchors without cutting the CIP wall surface.

둘째, 본 발명은 벽체 띠장 연결을 위해 CIP 내부 H-PILE 사용이 반드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근입장 하부까지 토사층만으로 이루어진 지반 조건일 경우 철근망만 사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e use of H-PILE inside the CIP to connect the wall wale, i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by using only the reinforcing bar network when the ground condition consists of only a soil layer up to the bottom of the root ent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브라켓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브라켓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racket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bracket shown in Figure 2.
FIG. 5 is an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bracket shown in FIG.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bracket shown in Figure 1.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or “changed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브라켓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브라켓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racket shown in Figure 2,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racket shown in Figure 2.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bracket shown, FIG. 5 is an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bracket shown in FIG. 1, FIG. 6 is an instal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bracket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CIP(10, CIP)과,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H-PILE(20, H-Pile)과,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과,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과,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한다.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IPs (10, CIP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H-PILE (20, H-Pile) arrang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nd ,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and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It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brackets 200 and includes a wale 30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CIP(10)은 CAST IN PLACED PILE 로서, 천공장비로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한 뒤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주열식 현장타설말뚝이다. The first CIP (10) is a CAST IN PLACED PILE, which is a cast-in-place pile that forms an earth retaining wall by excavating the ground with drilling equipment, inserting a reinforcing bar network, and then pouring concrete.

상기 제 2 CIP(20)은 상기 제 1 CIP(10)에서 철근망 대신 H-PILE을 천공된 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형성시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이다. The second CIP (20) is a cast-in-place pile formed by inserting H-PILE into the perforated hole instead of the reinforcing bar mesh in the first CIP (10) and then pouring concrete.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은 흙막이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are general structures used for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and are common technique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흙막이 구조물의 구조적 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CIP(20)이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1 CIP(10)들 사이에 상기 제 2 CIP(20)이 배치된다. The second CIP (20) is dispos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IP (20) is disposed between two first CIPs (10).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이 교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 CIP(20)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CIP(10)만을 연속으로 수직하게 배열하여도 무방하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may be arranged alternately. Additionally,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first CIP (10)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continuously, excluding the second CIP (20).

종래 기술에서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띠장(300)을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CIP(20)의 설치가 반드시 요구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브라켓(100) 및 제 2 브라켓(200)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벽체 근입깊이까지 토사층으로 이루어 졌을 경우 상기 제 2 CIP(20)이 없이 철근망이 삽입된 상기 제 1 CIP(10) 만으로 구성되어도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완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the prior art, installation of the second CIP 20 was required to install and fix the wale 300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 if the soil layer is made up to the wall penetration depth,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installed even if it consists only of the first CIP (10) with a reinforcing bar network inserted without the second CIP (20). .

본 실시예에서 H-PILE이 내장된 제 2 CIP(20)은 띠장(300)의 설치와는 무관하고, 굴착면 하부가 암반층으로 이루어 졌을 경우 경제성을 고려하여 엄지말뚝공법으로 변경하기 위함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IP (20) with built-in H-PILE is un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wale (300), and is intended to be changed to the thumb pile metho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efficiency whe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is made of rock layer.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상기 제 1 브라켓(100) 및 제 2 브라켓(200)을 통해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의 강성을 저하시키기 않고, 벽체에 띠장을 연결하기 위한 불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경제성 및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strip on the wall without reducing the rigidity of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through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by shortening unnecessary processes for conn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 1 브라켓(100)이 상기 제 1 CIP(1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 2 브라켓(200)이 상기 제 2 CIP(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10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bracket 20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CIP 20.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 CIP(20)이 삭제되어 제 1 CIP(10)만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 2 브라켓(200)이 상기 제 1 CIP(1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cond CIP (20) is deleted and consists of only the first CIP (10), the second bracket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CIP (10).

상기 제 2 브라켓(200)은 띠장(300)을 고정할 때 상기 띠장(300)의 임시 거치하기 위한 빔서포터(250)가 배치된다. The second bracket 200 is provided with a beam supporter 250 for temporarily holding the wale 300 when fixing the wale 300.

상기 띠장(300)을 설치하기 위해 적어도 4개의 파일이 필요하다. At least four files are required to install the strip 30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CIP(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1 CIP(11)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밀착되는 제 2 CIP(12)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IP (1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CIP (11)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th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CIP (11). It includes a second CIP (1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CIP(2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CIP(1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밀착되는 제 1 H-PILE(21)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밀착되는 제 2 H-PILE(22)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IP (20)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th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second CIP (12) and a vertical direction. It is arranged and includes a second H-PILE (22)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CIP (11).

그래서 상기 제 1 H-PILE(21) 및 제 2 H-PILE(22) 사이에 상기 제 1 CIP(11) 및 제 2 CIP(12)이 배치된다. Therefore, the first CIP (11) and the second CIP (12)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PILE (21) and the second H-PILE (22).

상기 제 1 H-PILE(21), 제 2 H-PILE(22), 제 1 CIP(11) 및 제 2 CIP(12)이 각각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H-PILE (21), the second H-PILE (22), the first CIP (11), and the second CIP (12) are each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 1 H-PILE(21) 및 제 2 H-PILE(22) 내부에 철근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CIP(11) 및 제 2 CIP(12) 내부에 H 빔이 배치될 수 있다. Reinforcing bars may be placed inside the first H-PILE (21) and the second H-PILE (22), and H beams may be placed inside the first CIP (11) and the second CIP (12). .

상기 제 1 H-PILE(21), 제 2 H-PILE(22), 상기 제 1 CIP(11) 및 제 2 CIP(12)이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The first H-PILE (21), the second H-PILE (22), the first CIP (11), and the second CIP (12) are each formed vertically and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브라켓(100)은,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1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1 브라켓바디(110)와,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1 간격부재(120)를 포함한다. The first bracket 100 includes a first bracket body 110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a of a cylindrical pile,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wale It includes a first spacing member 120 coupled to (300).

상기 제 1 CIP(11)에 배치된 제 1 브라켓을 제 1-1 브라켓(101)이라 하고, 상기 제 2 CIP(12)에 배치된 제 1 브라켓을 제 1-2 브라켓(102)이라 한다. The first bracket disposed on the first CIP 11 is referred to as a 1-1 bracket 101, and the first bracket disposed on the second CIP 12 is referred to as a 1-2 bracket 102.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가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The first bracket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이를 위해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가 원통형태의 일부이고, 탑뷰로 볼 때 호 형상이다.For this purpose, the first bracket body 110 is part of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arc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 1 CIP(10)의 반지름에 대응된다.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CIP(10)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체결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the first CIP (10). A first bracket fastening member (not shown) that penetrates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is fixed to the first CIP 10 may be further disposed.

상기 제 1 브라켓체결부재는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외주면을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0)의 중심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may be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CIP 10.

상기 띠장(300) 및 제 1 브라켓바디(110)의 간격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제 1 간격부재(12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간격부재(120)가 상기 띠장(30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The first spacing member 120 is disposed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wale 300 and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first spacing member 12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e 300. .

상기 제 1 간격부재(120)는, 상기 띠장(300)의 넓은 면에 밀착되는 제 1 밀착부(125)와, 상기 제 1 밀착부(125)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에 결합되는 제 1-1 결합부(121)과, 상기 제 1 밀착부(125)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에 결합되는 제 1-2 결합부(122)와, 상기 제 1 밀착부(125)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에 결합되는 제 1-3 결합부(123)을 포함한다. The first spacing member 120 includes a first close contact portion 125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de surface of the wale 300, and is bent at one end of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125 to form the first bracket body 110. ) a 1-1 coupling portion 121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2, and a 1-2 coupling portion 122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125 and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body 110, It includes a 1-3 coupling part 123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lose contact part 125 and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body 110.

상기 제 1 밀착부(125), 제 1-1 결합부(121), 제 1-2 결합부(122), 제 1-3 결합부(123)의 내측에 제 1 채움공간(127)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채움공간(127)에 채움부재(1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채움공간(127)은 상측으로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폐쇄된다. A first filling space 127 is formed inside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125, the 1-1 coupling portion 121, the 1-2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1-3 coupling portion 123. And, a filling member 150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first filling space 127. The filling space 127 is open on the upper side, and the remaining surface is closed.

상기 채움부재(150)는 콘크리트일 수 있다. 상기 채움부재(150)는 포대 형태로 제작되고,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된다. 상기 충전재는 물에 담그거나 물을 부으면 경화되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식 콘크리트 또는 건식 시멘트일 수 있다. The filling member 150 may be concrete. The filling member 15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ag,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filler. The filler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harden when immersed in water or poured with water, and is preferably dry concrete or dry cement.

상기 채움부재(150)에 물을 뿌리거나 물에 담근 후 설치하여 충전재가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충전재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일정 비율로 혼입되도록 함으로써,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filling member 150 can be sprayed with water or dipped in water and then installed to allow the filler to harden. In particular, by mixing an elastic member with elasticity at a certain ratio in the filler, errors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etc. can be accommodated.

이와 같은 상기 채움부재(150)에 포함되는 탄성부재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 우레탄폼, 스티로폼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included in the filling member 150 may be made of rubber, or may include various known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urethane foam, and styrofoam.

땅을 천공할 때, 천공되는 위치가 정밀하기 않기 때문에, 제 1 CIP(10) 및 제 2 CIP(20)에서 상기 띠장(300)까지의 간격이 다를 수 있다.When drilling the ground, since the drilling position is not precis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to the wale 300 may be different.

상기 제 1 간격부재(120)를 통해 상기 제 1 CIP(10) 및 띠장(30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간격에 따라 상기 제 1-1 결합부(121) 및 제 1-2 결합부(122)의 길이가 다를 수 있고, 현장에서 제 1-1 결합부(121) 및 제 1-2 결합부(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first CIP (10) and the wale (300) through the first spacing member (120). Depending on the interval, the length of the 1-1 coupling part 121 and the 1-2 coupling part 122 may be different, and the 1-1 coupling part 121 and the 1-2 coupling part ( 122) can be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body 110 by adjusting its length.

상기 제 1 간격부재(120)의 제 1-1 결합부(121), 제 1-2 결합부(122) 및 제 1-3 결합부(123)가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에 용접될 수 있다.The 1-1 coupling portion 121, the 1-2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1-3 coupling portion 123 of the first spacing member 120 are welded to the first bracket body 110. You can.

상기 띠장(300) 및 제 1 간격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A fastening member may be further disposed to secure the strip 300 and the first spacer 120.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를 제 1 CIP(10)에 고정하기 위해, 제 1-1 바디체결부재(111) 및 제 1-2 바디체결부재(112)가 설치된다. 상기 제 1-1 바디체결부재(111)가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CIP(10)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 1-2 바디체결부재(112)가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CIP(10)에 체결고정된다. In order to fix the first bracket body 110 to the first CIP 10, a 1-1 body fastening member 111 and a 1-2 body fastening member 112 are installed. The 1-1 body fastening member 111 penetrate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CIP 10, and the 1-2 body fastening member 112 is fastened to the first CIP 10. It penetrate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CIP (10).

상기 띠장(300)은, 넓은 면적의 제 1 빔부(310)와, 상기 제 1 빔부(32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빔부(320)와, 상기 제 1 빔부(310) 및 제 2 빔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빔(330)을 포함한다. The wale 300 includes a first beam unit 310 of a large area, a second beam unit 320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beam unit 320, and the first beam unit 310 and the second beam unit ( It includes a connecting beam 330 that connects 320).

상기 띠장(300)은 일반적인 H 빔 형상이다. The wale 300 has a general H-beam shape.

상기 제 2 브라켓(200)은, 상기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2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2 브라켓바디(210)와,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2 간격부재(220)와,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띠장(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빔서포터(250)를 포함한다. The second bracket 200 includes a second bracket body 210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0a of the cylindrical pile,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 second spacing member 220 coupled to the wale 300, and a beam supporter 250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wale 300. Includes.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H-PILE(21)에 배치된 제 2 브라켓을 제 2-1 브라켓(201)이라 하고, 상기 제 2 H-PILE(22)에 배치된 제 2 브라켓을 제 2-2 브라켓(202)이라 한다. If distinction is necessary, the second bracket placed on the first H-PILE (21) is referred to as the 2-1 bracket (201), and the second bracket placed on the second H-PILE (22)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bracket. -2 It is called bracket (202).

그리고 상기 제 1 H-PILE(21)에 배치된 빔서포터를 제 1 빔서포터라 하고, 상기 제 2 H-PILE(22)에 배치된 빔서포터를 제 2 빔서포터라 한다. And the beam supporter placed on the first H-PILE (21) is called a first beam supporter, and the beam supporter placed on the second H-PILE (22) is called a second beam supporter.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가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The second bracket body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이를 위해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가 원통형태의 일부이고, 탑뷰로 볼 때 호 형상이다.For this purpose, the second bracket body 210 is part of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arc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 2 CIP(20)의 반지름에 대응된다.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CIP(20)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체결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the second CIP (20). A second bracket fastening member (not shown) that penetrates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is fixed to the second CIP 20 may be further disposed.

상기 제 2 브라켓체결부재는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외주면을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CIP(20)의 중심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racket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may be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CIP (20).

상기 띠장(300) 및 제 2 브라켓바디(210)의 간격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제 2 간격부재(22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간격부재(220)가 상기 띠장(300)의 제 1 빔부(31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spacing member 220 is disposed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wale 30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the second spacing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eam portion ( 310) and is fixed in close contact.

상기 제 2 간격부재(220)는, 상기 띠장(300)의 제 1 빔부(310)에 밀착되는 제 2 밀착부(225)와, 상기 제 2 밀착부(225)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결합되는 제 2-1 결합부(221)과, 상기 제 2 밀착부(225)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결합되는 제 2-2 결합부(222)와, 상기 제 2 밀착부(225)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결합되는 제 2-3 결합부(223)을 포함한다. The second spacing member 220 is bent at one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225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225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eam portion 310 of the wale 300. A 2-1 coupling portion 221 coupled to the bracket body 210, and a 2-2 coupling portion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225 and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 222) and a 2-3 coupling part 223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part 225 and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상기 제 2 밀착부(225), 제 2-1 결합부(221), 제 2-2 결합부(222), 제 2-3 결합부(223)의 내측에 제 2 채움공간(227)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채움공간(227)에 채움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채움공간(227)은 상측으로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폐쇄된다. A second filling space 227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225, the 2-1 coupling portion 221, the 2-2 coupling portion 222, and the 2-3 coupling portion 223. And, a filling member 15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filling space 227. The filling space 227 is open on the upper side, and the remaining surface is closed.

상기 제 2 간격부재(220)를 통해 상기 제 2 CIP(20) 및 띠장(30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간격에 따라 상기 제 2-1 결합부(221) 및 제 2-2 결합부(2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 2 브라켓바디(210)에 설치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second CIP (20) and the strip 300 through the second spacing member 220. The length of the 2-1 coupling part 221 and the 2-2 coupling part 22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installed on the second bracket body 210.

상기 제 2 간격부재(220)의 제 2-1 결합부(221), 제 2-2 결합부(122) 및 제 2-3 결합부(223)가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용접될 수 있다.The 2-1 coupling portion 221, the 2-2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2-3 coupling portion 223 of the second spacing member 220 are weld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You can.

상기 띠장(300) 및 제 2 간격부재(220)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더 배치된다. A fastening member is further disposed to secure the strip 300 and the second spacer 2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빔부(310)가 상기 제 2 간격부재(220)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eam portion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pacer 220.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를 제 2 CIP(20)에 고정하기 위해, 제 2-1 바디체결부재(211) 및 제 2-2 바디체결부재(21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1 바디체결부재(211)가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CIP(20)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 2-2 바디체결부재(212)가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의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CIP(20)에 체결고정된다. In order to fix the second bracket body 210 to the second CIP 20, a 2-1 body fastening member 211 and a 2-2 body fastening member 212 are installed. The 2-1 body fastening member 211 penetrates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CIP 20, and the 2-2 body fastening member 212 is fastened to the second CIP 20. It penetrate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CIP (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서포터(250)는 후단이 상기 제 2 브라켓바디(210)에 고정되고, 전단이 자유단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서포터(250) 및 제 2 브라켓바디(210)는 용접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beam supporter 250 is fixed to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nd the front end is disposed as a free end. In this embodiment, the beam supporter 25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210 are wel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서포터(250)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eam supporter 250 is formed in an “L”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빔서포터(25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어퍼서포터(252)와, 상기 어퍼서포터(232)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사이드서포터(254)를 포함한다.The beam supporter 250 includes an upper supporter 252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ide supporter 254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er 232.

상기 어퍼서포터(252)의 상측면에 상기 제 2-3 결합부(223) 및 띠장(300)이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2-3 coupling portion 223 and the wale 30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er 252.

상기 어퍼서포터(252)가 상기 제 2-3 결합부(223) 및 제 2 브라켓바디(2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빔서포터(25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띠장(30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er 252 may be welded to the 2-3 coupling portion 223 and the second bracket body 210, thereby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eam supporter 250. Through this, the load of the wale 300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양생된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빔서포터(250)에 띠장(300)을 거치한 상태로 조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this way,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be assembled with the wale 300 mounted on the beam supporter 250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cured first CIP (10) and second CIP (20). there is.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천공단계(S10)와, 천공된 구멍에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을 시공하는 단계(S21)(22)와, 상기 S21 및 S22 단계 이후에 땅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이후에, 상기 시공공간에서 상기 제 1 CIP(10)에 제 1 브라켓(100)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CIP(20)에 제 2 브라켓(200)를 설치하는 단계(S41)(S42)와, 상기 S41 및 S42 단계 이후에 띠장(300)을 제 1 빔서포터 및 제 2 빔서포터에 걸치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브라켓(100)의 제 1 채움공간(1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의 제 2 채움공간(2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60) 상기 띠장(300) 및 빔서포터(250)를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drilling step (S10) and a step (S21) of constructing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in the drilled hole ( 22) and, after steps S21 and S22, excavating the ground to secure construction space (S30), and after step S30, attaching a first bracket 100 to the first CIP 10 in the construction space. Installing and installing the second bracket 200 on the second CIP 20 (S41) (S42), and after steps S41 and S42, the wale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beam supporter and the second beam. A step of placing it on a supporter (S50), and after step S50, a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first filling space 127 of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second filling space 127 of the second bracket 200. It includes the step of arranging the filling member 150 in the filling space 227 (S60) and the step of fixing the wale 300 and the beam supporter 250 (S80).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상기 제 1 브라켓(100) 및 제 2 브라켓(200)을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에 각각 체결결합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현장에서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astens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to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It has the feature of shortening construction time on site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띠장(300)의 고정을 위해 종래와 같이 제 2 CIP(20)을 단면을 깍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 2 CIP(20)의 단면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require cutting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CIP (20) as in the prior art to fix the wale 300, and thus can prevent loss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CIP (20). , which has the feature of securing structural rigidity.

특히, 상기 띠장(300)이 빔서포트(250)에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의 사용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wale 300 can be mounted on the beam support 250, the use time of the crane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띠장(300))의 고정을 위해 제 2 CIP(20) 내부의 H빔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CIP(10) 만으로도 흙막이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어서 재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n H beam inside the second CIP (20) for fixing the wale (300),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completed with only the first CIP (10). It has the feature of significantly reducing material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and equivalents.

10 : 제 1 CIP 20 : 제 2 CIP
100 : 제 1 브라켓 101 : 제 1-1 브라켓
102 : 제 1-2 브라켓 110 : 제 1 브라켓바디
120 : 제 1 간격부재 121 : 제 1-1 결합부
122 : 제 1-2 결합부 125 : 제 1 밀착부
150 : 채움부재
200 : 제 2 브라켓 201 : 제 2-1 브라켓
202 : 제 2-2 브라켓 210 : 제 2 브라켓바디
220 ; 제 2 간격부재 221 : 제 2-1 결합부
222 : 제 2-2 결합부 225 : 제 2 밀착부
250 : 빔서포터
251 : 제 1 빔서포터 252 : 제 2 빔서포터
300 : 띠장
10: 1st CIP 20: 2nd CIP
100: 1st bracket 101: 1-1 bracket
102: 1-2 bracket 110: 1st bracket body
120: first spacing member 121: first coupling part 1-1
122: 1-2 coupling portion 125: first close contact portion
150: Filling member
200: 2nd bracket 201: 2-1 bracket
202: 2-2 bracket 210: 2nd bracket body
220 ; Second spacing member 221: 2-1 coupling part
222: 2-2 coupling part 225: 2nd close contact part
250: Beam supporter
251: 1st beam supporter 252: 2nd beam supporter
300: strip

Claims (5)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CIP(10);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CIP(20);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CIP(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1 CIP(1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2 CIP(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CIP(2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CIP(12)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1 H-PILE(2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타측에 밀착되는 제 2 H-PILE(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100)은, 상기 제 1 CIP(11)에 배치된 제 1-1 브라켓(101); 상기 제 2 CIP(12)에 배치된 제 1-2 브라켓(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은, 상기 제 1 H-PILE(21)에 배치된 제 2-1 브라켓(201); 상기 제 2 H-PILE(22)에 배치된 제 2-2 브라켓(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브라켓(101) 및 제 1-2 브라켓(102) 각각은,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1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1 브라켓바디(110);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1 간격부재(120);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
In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 plurality of first CIPs 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second CIP (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It includes a wale 300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20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CIP (10) is,
A first CIP (1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CIP (12)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CIP (11),
The second CIP (20) is,
A first H-PILE (2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CIP (12); It includes a second H-PILE (22)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IP (11),
The first bracket 100 includes a 1-1 bracket 101 disposed on the first CIP 11; It includes a 1-2 bracket (102) disposed on the second CIP (12),
The second bracket 200 includes a 2-1 bracket 201 disposed on the first H-PILE 21; It includes a 2-2 bracket (202) disposed on the second H-PILE (22),
Each of the 1-1 bracket 101 and the 1-2 bracket 102,
A first bracket body (110)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a) of the cylindrical pile;
A first spacing member (120)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coupled to the wale (3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CIP(10);
상기 제 1 CIP(10)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CIP(20);
상기 제 1 CIP(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100);
상기 제 2 CIP(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200);
상기 제 1 브라켓(100) 또는 제 2 브라켓(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CIP(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1 CIP(1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2 CIP(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CIP(2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CIP(12)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 1 H-PILE(2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CIP(11)의 타측에 밀착되는 제 2 H-PILE(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100)은, 상기 제 1 CIP(11)에 배치된 제 1-1 브라켓(101); 상기 제 2 CIP(12)에 배치된 제 1-2 브라켓(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은, 상기 제 1 H-PILE(21)에 배치된 제 2-1 브라켓(201); 상기 제 2 H-PILE(22)에 배치된 제 2-2 브라켓(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브라켓(101) 및 제 1-2 브라켓(102) 각각은,
원기둥형태의 파일 외주면(10a)을 감싸게 배치되는 제 1 브라켓바디(110);
상기 제 1 브라켓바디(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장(300)과 결합되는 제 1 간격부재(120);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의 시공을 위해 지면을 구멍을 형성시키는 천공단계(S10);
천공된 구멍에 제 1 CIP(10) 및 제 2 CIP(20)을 시공하는 단계(S21)(22);
상기 S21 및 S22 단계 이후에 땅을 굴착하여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이후에, 상기 시공공간에서 상기 제 1 CIP(10)에 제 1 브라켓(100)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CIP(20)에 제 2 브라켓(200)를 설치하는 단계(S41)(S42);
상기 S41 및 S42 단계 이후에 띠장(300)을 상기 제 2 브라켓(200)의 빔서포터(250)에 걸치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브라켓(100)의 제 1 채움공간(1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브라켓(200)의 제 2 채움공간(227)에 채움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60);
상기 띠장(300) 및 빔서포터(250)를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공법.
A plurality of first CIPs 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second CIP (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Ps (10);
A first bracket (1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IP (10);
A second bracket (2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IP (20);
It includes a wale 300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00 or the second bracket 20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CIP (10) is,
A first CIP (1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CIP (12)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CIP (11),
The second CIP (20) is,
A first H-PILE (21)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CIP (12); It includes a second H-PILE (22)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IP (11),
The first bracket 100 includes a 1-1 bracket 101 disposed on the first CIP 11; It includes a 1-2 bracket (102) disposed on the second CIP (12),
The second bracket 200 includes a 2-1 bracket 201 disposed on the first H-PILE 21; It includes a 2-2 bracket (202) disposed on the second H-PILE (22),
Each of the 1-1 bracket 101 and the 1-2 bracket 102,
A first bracket body (110)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a) of the cylindrical pile;
In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pacing member (120)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is coupled to the wale (300),
A drilling step (S10) of forming holes in the ground for construction of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Steps of constructing the first CIP (10) and the second CIP (20) in the drilled hole (S21) (22);
A step of securing construction space by excavating the ground after steps S21 and S22 (S30);
After step S30, a step (S41) of installing the first bracket 100 on the first CIP 10 and installing the second bracket 200 on the second CIP 20 in the construction space (S41) S42);
After steps S41 and S42, a step (S50) of attaching the wale 300 to the beam supporter 250 of the second bracket 200;
After step S50, the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first filling space 127 of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filling member 150 is placed in the second filling space 227 of the second bracket 200. ) placing step (S60);
A construction method of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comprising a step (S80) of fixing the wale 300 and the beam supporter 250.
KR1020230068549A 2023-05-26 2023-05-26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KR102580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549A KR102580200B1 (en) 2023-05-26 2023-05-26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549A KR102580200B1 (en) 2023-05-26 2023-05-26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00B1 true KR102580200B1 (en) 2023-09-20

Family

ID=8819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549A KR102580200B1 (en) 2023-05-26 2023-05-26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0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468B1 (en) 2009-06-12 2010-08-26 박강호 Reinforced massive soil body making use of arching effect and method constructing by it
KR101463427B1 (en) 2014-03-25 2014-11-20 정택동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81264B1 (en) 2015-09-23 2017-09-22 주식회사 금원건설 Structure of self-stand retaining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922534B1 (en) 2018-06-07 2018-11-27 정택동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15632B1 (en) 2018-02-14 2019-01-07 이형훈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rear horizontal support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113291B1 (en) * 2018-12-21 2020-05-20 염상용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rof
KR20210024808A (en) * 2019-08-26 2021-03-08 (주)에스앤피이엔씨 Waling filler for C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d-pile using it
KR102320663B1 (en) 2021-04-05 2021-11-0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structure for building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468B1 (en) 2009-06-12 2010-08-26 박강호 Reinforced massive soil body making use of arching effect and method constructing by it
KR101463427B1 (en) 2014-03-25 2014-11-20 정택동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81264B1 (en) 2015-09-23 2017-09-22 주식회사 금원건설 Structure of self-stand retaining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915632B1 (en) 2018-02-14 2019-01-07 이형훈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rear horizontal support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922534B1 (en) 2018-06-07 2018-11-27 정택동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13291B1 (en) * 2018-12-21 2020-05-20 염상용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rof
KR20210024808A (en) * 2019-08-26 2021-03-08 (주)에스앤피이엔씨 Waling filler for C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d-pile using it
KR102320663B1 (en) 2021-04-05 2021-11-0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structure for building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6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ap Beam Combined Wale For Retaining Wall
KR101058520B1 (en)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70005991A (en)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87495B1 (en) Parti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KR20160088059A (en) CFT pil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horing Method using the same file
KR20180124795A (en) An Earth Retaining Wall with Underground Buttress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40013497A (en)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KR10118270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KR101734026B1 (en) Retaining Wal1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 Pile
KR100673475B1 (en) A pc girder member for frame of underground layer and assembling structure of frame of underground by using of it and the method therof
KR101181619B1 (en) Building method of high wall block for large scal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earth anchor represtressing
JP2015183366A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nking structure
KR102580200B1 (en)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for
KR101587062B1 (en) Steel composite undergroun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16846B1 (en) Precast concrete pile with sheath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282770B1 (en)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120122024A (en) Uni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wall with basement exterior Wall using Couplers and Bolts.
KR20040031451A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KR100984040B1 (e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KR101744378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318201B1 (en) Self-supported diaphragm wall and self-supprote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KR200308716Y1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KR20180112453A (en)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322623B1 (en) An accessory for concrete block attachment
KR102098141B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using an earth retaining wall and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