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99B1 - 자립형 도마 - Google Patents

자립형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99B1
KR102579999B1 KR1020230064753A KR20230064753A KR102579999B1 KR 102579999 B1 KR102579999 B1 KR 102579999B1 KR 1020230064753 A KR1020230064753 A KR 1020230064753A KR 20230064753 A KR20230064753 A KR 20230064753A KR 102579999 B1 KR102579999 B1 KR 10257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receiving groove
pedestal
cutting boar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모
Original Assignee
이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모 filed Critical 이승모
Priority to KR102023006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자립이 가능하여 건조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 극대화될 수 있는 자립형 도마를 개시한다.
자립형 도마는 바닥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받침 수용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조리판 및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받침대는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판의 한 변과 함께 바닥에 지지되어 조리판을 자립시킨다.

Description

자립형 도마{Chopping board that can stand alone}
본 발명은 자립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목재나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중, 목재로 제작되는 원목 도마는 소재 자체가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목재 본연의 나이테 문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관이 수려하여 인기가 높다.
이와 같은 원목 도마는 목재 특성상 사용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게 되므로 건조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원목 도마는 합성수지재 도마에 비하여 건조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수분의 배출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보관 시 세워서 보관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도마는 자립이 불가능하여 사용 후 건조를 위해서는 벽이나, 건조대 등에 기대어 세워 놓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마를 타 물체에 기대어 세워 놓을 경우,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하여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게 됨은 물론, 물체에 기대어진 쪽에 응달이 형성되어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 및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09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립이 가능하여 건조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 극대화될 수 있는 자립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도마는 바닥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받침 수용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조리판; 및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판의 한 변과 함께 상기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판을 자립시킨다.
상기 받침 수용홈은, 제1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장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받침 수용홈; 및 상기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단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받침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1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2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판은, 상기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바 수납홈;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상기 바 수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도마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팅 바; 상기 커넥팅 바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바가 상기 다른 도마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다른 도마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탄성 걸림구; 및 상기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다른 도마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다른 도마의 일부분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걸림구는, 상기 커넥팅 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팅 바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팅 바의 외부로 출몰 가능한 걸림구들; 및 상기 커넥팅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구들을 상기 커넥팅 바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걸림구 지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 수용홈이 형성된 변과 동일한 변에 형성된 프레임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상기 프레임 수납홈의 외부로 전개되면서 상기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변을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절첩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판은 상기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변과 상기 바닥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판은, 상기 받침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조리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단부에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어 그 길이가 단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간극보상부; 및 상기 조리판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간극보상부가 단축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어 상기 간극보상부가 단축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간극보상부가 신장되면서 돌출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ㅗ'형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조절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극보상부는, 타원형 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간극보상부가 상기 제1 구간 또는 상기 제2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조절판에 걸려 지지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수용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형 기둥 구조의 지지부재; 상기 캠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캠부재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캡; 상기 캠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캠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가압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캡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조리판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슬라이드 캡의 이동 시 상기 조리판의 내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지지부재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캠부재의 외형에 대응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판은,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간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판의 변에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가 배치되므로, 조리판을 자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조 및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 편의성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도마가 바닥에 세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에 복수의 받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이 다른 도마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걸림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이 절첩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극보상부가 조리판의 변과 바닥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극보상부의 간극 보상 시 캠부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도마가 바닥에 세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도마(1000)(이하 '자립형 도마(1000)'라 함)는 바닥(S)에 세워 거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S)은 본 자립형 도마(1000)를 세워 거치할 수 있는 대상물의 표면일 수 있다.
본 자립형 도마(1000)는 조리판(1) 및 받침대(2)를 포함한다.
조리판(1)은 네 개의 변(E)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리판(1)은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1)은 받침 수용홈(11)을 포함한다.
받침 수용홈(11)은 조리판(1)에 형성된 네 개의 변(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때, 받침 수용홈(11)은 조리판(1)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변(E)과 모서리에 연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2)는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 수용홈(11)에 수용되거나, 받침 수용홈(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조리판(1)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받침대(2)는 받침 수용홈(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조리판(1)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판(1)의 한 변(E)과 함께 바닥(S)에 지지되어 조리판(1)을 자립시킨다. 여기서, 조리판(1)의 한 변(E)은 받침 수용홈(11)이 형성된 변(E)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리판(1)을 건조 또는 보관해야 할 경우에는 받침대(2)를 받침 수용홈(11)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로 조리판(1)의 한 변(E)과 함께 받침대(2)를 바닥(S)에 지지하여 조리판(1)을 자립시키고, 조리판(1)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받침대(2)를 받침 수용홈(11)에 수용할 수 있다.
받침대(2)는 조리판(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조리판(1)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2)는 목재 재질 혹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2)는 조리판(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받침 수용홈(11)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받침대(2)가 받침 수용홈(11)에 수납될 경우 이질감 없이 조리판(1)과 일체화된 평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자립형 도마(1000)는 조리판(1)에 결합되어 받침대(2)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받침대(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조리판(1)에 체결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녹이 발생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에 복수의 받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2)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조리판(1)을 다양한 방향으로 세워 거치할 수 있다.
받침대(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받침대(21)와, 제2 받침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리판(1)에는 제1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장변(E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제1 받침대(21)가 수용되는 제1 받침 수용홈(111)과,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단변(E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제2 받침대(22)가 수용되는 제2 받침 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받침 수용홈(111)과 제2 받침 수용홈(11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받침대(21)는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받침 수용홈(111)에 수용되거나 제1 받침 수용홈(1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받침대(22)는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받침 수용홈(112)에 수용되거나 제2 받침 수용홈(1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이 다른 도마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리판(1)은 다른 도마(2000)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리판(1)에 다른 도마(2000)를 연결하여 조리판(1)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도마(2000)는 본 자립형 도마(1000)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진 도마일 수 있다.
조리판(1)은 바 수납홈(12), 커넥팅 바(13), 탄성 걸림구(14) 및 바 삽입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 수납홈(12)은 네 개의 변(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바 수납홈(12)은 제1 받침 수용홈(111)과 제2 받침 수용홈(112)이 형성되지 않은 조리판(1)의 장변(E1) 및 단변(E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바(13)는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 수납홈(12)에 수납되거나, 바 수납홈(12)의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도마(20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팅 바(13)의 일부분은 핀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 걸림구(14)는 커넥팅 바(13)에 설치되고, 커넥팅 바(13)가 다른 도마(2000)의 내부로 삽입되면 다른 도마(2000)의 내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탄성 걸림구(14)는 외력이 가해지면 커넥팅 바(13)의 내부에 수납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커넥팅 바(1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걸림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삽입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탄성 걸림구(14)는 걸림구들(141) 및 걸림구 지지 탄성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구들(141)은 커넥팅 바(13)의 내부에 수용되고, 커넥팅 바(13)의 두께 방향을 따라 커넥팅 바(13)의 외부로 출몰될 수 있다.
걸림구 지지 탄성부재(142)는 커넥팅 바(13)의 내부에 수용되어 걸림구들(141)을 커넥팅 바(13)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바 삽입홈(15)은 네 개의 변(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다른 도마(20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바 삽입홈(15)의 내부에는 다른 도마(2000)의 일부분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이 절첩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자립형 도마(1000)는 절첩 지지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첩 지지대(3)는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E)에 형성된 프레임 수납홈(16)에 수납되거나, 프레임 수납홈(16)의 외부로 전개되어 바닥(S)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 수납홈(16)이 형성된 변(E)은 절첩 지지대(3)에 의해 바닥(S)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E)이 바닥(S)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조리판(1)의 건조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수납홈(16)은 받침 수용홈(11)이 형성된 변(E)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극보상부가 조리판의 변과 바닥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리판(1)은 받침대(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변(E)과 바닥(S)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판(1)은 수용공간(17), 간극보상부(18) 및 조절판(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17)은 받침 수용홈(11)과 연통되어 조리판(1)의 내부에 형성되고, 간극보상부(18)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간극보상부(18)는 단부에 받침대(2)가 결합되고, 수용공간(17)에 수용될 수 있다.
간극보상부(18)는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어 그 길이가 단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극보상부의 간극 보상 시 캠부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절판(19)은 조리판(1)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7)의 개구부, 즉, 수용공간(17)의 개구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판(19)의 내부에는 간극보상부(18)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ㅗ'형상의 가이드 홀(19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191)은 간극보상부(18)가 단축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구간(191A), 제1 구간(191A)과 연결되어 간극보상부(18)가 단축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구간(191B) 및 제2 구간(191B)과 연결되고 간극보상부(18)가 신장되면서 돌출되는 제3 구간(191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구간(191C)에 배치된 간극보상부(18)는 조리판(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변(E)과 바닥(S)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여 받침대(2)를 바닥(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절첩 지지대(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조리판(1)의 변(E)이 바닥(S)에 닿아 있을 경우, 사용자는 간극보상부(18)를 가이드 홀(191)의 제1 구간(191A)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절첩 지지대(3)를 사용할 경우, 즉, 조리판(1)의 변(E)이 바닥(S)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간극보상부(18)를 가이드 홀(191)의 제3 구간(191C)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간극보상부(18)는 캠부재(181), 지지부재(182), 슬라이드 캡(183), 탄성 가압 부재(184) 및 가이드 볼(185)을 포함할 수 있다.
캠부재(181)는 타원형 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간극보상부(18)가 제1 구간(191A) 또는 제2 구간(191B)에 위치하면 조절판(19)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82)는 캠부재(18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받침대(2)가 결합되고, 제1 구간(191A) 및 제2 구간(191B)에 수용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형 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캡(183)은 캠부재(181)의 내부에 수용되고, 캠부재(181)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탄성 가압 부재(184)는 캠부재(181)와 슬라이드 캡(183)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캠부재(181)와 슬라이드 캡(18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볼(185)은 슬라이드 캡(18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공간(17)을 형성하는 조리판(1)의 내면에 접하며, 슬라이드 캡(183)의 이동 시 조리판(1)의 내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191A) 및 제2 구간(191B)은 지지부재(182)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제3 구간(191C)은 캠부재(181)의 외형에 대응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받침대(2)가 조리판(1)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간극보상부(18)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 구간(191A)에 위치한 간극보상부(18)를 제3 구간(191C)으로 이동시키면 간극보상부(18)가 조리판(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받침대(2)가 조리판(1)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간극보상부(18)를 회전시키면 평면상에서 캠부재(181)와 제3 구간(191C)의 형상이 매칭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구간(191B)을 이용하여 제1 구간(191A)에 위치한 간극보상부(18)를 제3 구간(191C)으로 이동시키면, 캠부재(181)에 가해지던 조절판(19)의 외력이 해제되고, 이를 통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 가압 부재(184)가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캠부재(181)를 가압하여 간극보상부(18)가 조리판(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판(19)은 이탈 방지 돌기(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192)는 제1 구간(191A) 및 제2 구간(191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구간(191A)에 수용된 지지부재(18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판(1)의 변(E)에 조리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2)가 배치되므로, 조리판(1)을 자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조 및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 편의성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자립형 도마
1. 조리판
11. 받침 수용홈
111. 제1 받침 수용홈
112. 제2 받침 수용홈
12. 바 수납홈
13. 커넥팅 바
14. 탄성 걸림구
141. 걸림구
142. 걸림구 지지 탄성부재
15. 바 삽입홈
151. 걸림홈
16. 프레임 수납홈
17. 수용공간
18. 간극보상부
181. 캠부재
182. 지지부재
183. 슬라이드 캡
184. 탄성 가압 부재
185. 가이드 볼
19. 조절판
191. 가이드 홀
191A. 제1 구간
191B. 제2 구간
191C. 제3 구간
192. 이탈 방지 돌기
2. 받침대
21. 제1 받침대
22. 제2 받침대
3. 절첩 지지대
S. 바닥
2000. 다른 도마

Claims (3)

  1. 바닥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자립형 도마로서,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받침 수용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조리판; 및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조리판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판의 한 변과 함께 상기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판을 자립시키며,
    상기 받침 수용홈은,
    제1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장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받침 수용홈; 및
    상기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단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받침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1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받침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2 받침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판은,
    상기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바 수납홈;
    상기 조리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상기 바 수납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도마의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팅 바;
    상기 커넥팅 바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바가 상기 다른 도마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다른 도마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탄성 걸림구; 및
    상기 네 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다른 도마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다른 도마의 일부분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걸림구는,
    상기 커넥팅 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팅 바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팅 바의 외부로 출몰 가능한 걸림구들; 및
    상기 커넥팅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구들을 상기 커넥팅 바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걸림구 지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립형 도마.
  2. 삭제
  3. 삭제
KR1020230064753A 2023-05-19 2023-05-19 자립형 도마 KR10257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753A KR102579999B1 (ko) 2023-05-19 2023-05-19 자립형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753A KR102579999B1 (ko) 2023-05-19 2023-05-19 자립형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99B1 true KR102579999B1 (ko) 2023-09-19

Family

ID=8819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753A KR102579999B1 (ko) 2023-05-19 2023-05-19 자립형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10A (ko) 2007-05-15 2008-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마
KR20120000530U (ko) * 2010-07-13 2012-01-19 박정호 세움대가 부설된 위생도마
JP3240026U (ja) * 2022-10-03 2022-12-02 啓太郎 近藤 自立可能なまな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10A (ko) 2007-05-15 2008-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마
KR20120000530U (ko) * 2010-07-13 2012-01-19 박정호 세움대가 부설된 위생도마
JP3240026U (ja) * 2022-10-03 2022-12-02 啓太郎 近藤 自立可能なまな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9878A (en) Case for storing articles
US20120055893A1 (en) Coat rack
US20120138557A1 (en) Hanger with a stable stepwise folding function
US20170035194A1 (en) Folding
KR102579999B1 (ko) 자립형 도마
KR101679807B1 (ko) 댐퍼기능을 가지는 관람의자 절첩장치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US11452381B2 (en) Storage table/stool
KR101884041B1 (ko) 스탠드
KR101090842B1 (ko) 접힘구조를 갖는 테이블
US3897876A (en) Display and storage rack
US20110114586A1 (en) Collapsible rack device
CN205671902U (zh) 轮子可隐藏的音乐衣架
KR20120003865U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CN212661565U (zh) 一种可拆装的榫卯结构衣帽架
CN218951778U (zh) 一种晾衣机构
KR101387783B1 (ko) 접철식 행거
CN209128774U (zh) 一种便携翻转的熨烫板组件及挂烫机
KR200461598Y1 (ko) 절첩식 테이블
KR101004917B1 (ko) 탁자용 접철식 프레임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CN201854906U (zh) 折叠式组合家具
US6042179A (en) Folding table and bench assembly
KR20230166687A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