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12B1 -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12B1
KR102579912B1 KR1020210049113A KR20210049113A KR102579912B1 KR 102579912 B1 KR102579912 B1 KR 102579912B1 KR 1020210049113 A KR1020210049113 A KR 1020210049113A KR 20210049113 A KR20210049113 A KR 20210049113A KR 102579912 B1 KR102579912 B1 KR 10257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teel wire
ground
thumb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2722A (en
Inventor
권창인
정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21004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1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은, 제1 지면 및 상기 제1 지면보다 높은 위치의 제2 지면의 경계 부분에 복수 개의 엄지 말뚝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기 엄지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배치하는 단계, 제1 가이드홀이 정의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띠장을 상기 제1 지면에 대해 설계 각도로 기울여 상기 엄지 말뚝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면에서 상기 제2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천공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면 아래에 상기 제1 지면에 대해상기 설계 각도로 기울여진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천공홀에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상기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anchor-type earth retain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lacing a plurality of thumb piles spaced apart at a boundary between a first ground level and a second grou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ground level, and placing a plurality of thumb piles at a distance between the thumb piles. A step of arranging an earthen plate, tilting a strip including a main body with a first guide hole defined and wings extending on both sides from the main body at a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and connecting it to the thumb piles, Inserting a drilling device into the first guide hole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o form a perforation hole below the second surfac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It includes placing a steel wire in the perforated hole through a first guide hol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on the first guide hole.

Figure R1020210049113
Figure R1020210049113

Description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Construction method of anchor-type earth retaining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본 발명은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의 굴착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축물 등의 기초 공사 시,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s a structure installed on the excavated surface of the groun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excavated surface during foundation construction for a building, etc.

일반적으로 흙막이 구조물은 굴착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흙막이벽과 흙막이벽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띠장을 포함한다.In general, earth retaining structures include earth retaining walls arranged parallel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strip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earth retaining walls.

띠장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을 분산시킨다. 구체적으로, 띠장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압력을 굴착면 내측에 배치된 강선 부재(예컨대, 어스 앵커)에 전달하여 흙막이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strip disperses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Specifically, the wale can stably maintain the retaining wall by transmitt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to a steel wire member (eg, earth anchor) disposed inside the excavation surface.

종래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띠장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된 홀에 강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강선을 배치하였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was to place a steel wire by drilling a hole in a preset position of a strip and inserting a steel wire into the perforated hol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시공 방법은 별도의 띠장 천공 작업을 요구하여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엄지 말뚝의 정렬 오차에 따른 천공 위치의 오류를 야기한다.However, this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not only requires a separate wale drilling operation, which not only takes a lot of process time, but also causes errors in the drilling location due to alignment errors of the thumb pil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 오차를 줄이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ies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errors and improve construction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은, 제1 지면 및 상기 제1 지면보다 높은 위치의 제2 지면의 경계 부분에 복수 개의 엄지 말뚝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기 엄지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배치하는 단계, 제1 가이드홀이 정의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띠장을 상기 제1 지면에 대해 설계 각도로 기울여 상기 엄지 말뚝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면에서 상기 제2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천공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면 아래에 상기 제1 지면에 대해상기 설계 각도로 기울여진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천공홀에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상기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anchor-type earth retain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lacing a plurality of thumb piles spaced apart at a boundary between a first ground level and a second grou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ground level, and placing a plurality of thumb piles at a distance between the thumb piles. A step of arranging an earthen plate, tilting a strip including a main body with a first guide hole defined and wings extending on both sides from the main body at a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and connecting it to the thumb piles, Inserting a drilling device into the first guide hole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o form a perforation hole below the second surfac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It includes placing a steel wire in the perforated hole through a first guide hol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on the first guid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가이드홀이 정의된 제1 강선조절판을 이동시켜 상기 강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이드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가이드홀이 정의된 제2 강선조절판을 이동시켜 상기 강선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includes, when looking at the first guide hole, the first steel wire defined with a second guide hol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irst guide hole. A step of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teel wire by moving an adjustment plate, and a step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teel wire by moving a second steel wire adjustment plate in which a third guide ho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on the second guide hole. It can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띠장을 상기 엄지 말뚝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면에 대해 상기 설계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고정프레임을 상기 엄지 말뚝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면과 수직한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고정 프레임을 상기 제1 면 및 상기 엄지말뚝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띠장의 날개부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안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necting the wale to the thumb peg includes fixing a first fixed frame including a first surfac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to the thumb peg. A step of disposing a second fixed frame including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thumb peg, and attaching the wings of the strip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t may include a settling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천공 작업 전에 배치된 띠장의 제1 가이드홀을 이용해 천공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천공 위치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lling hole is formed using the first guide hole of the wale placed before the drilling operation, errors in the drilling position may not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띠장에 제1 가이드홀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띠장 천공 작업을 요구하지 않아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 hole is formed in advance in the wale, so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shorten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wale drill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띠장 어셈블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엄지 말뚝, 띠장 어셈블리, 및 고정 어셈블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은 도 5에 기재된 각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le assembl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humb peg, wale assembly, and fixing assembl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9 are drawings for explaining each step shown in Figure 5.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placed/on th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y can be connected/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proportion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And/or” includes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configuration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below,” “on the lower side,” “above,” and “on the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expla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in the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unless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are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흙막이 구조물retain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띠장 어셈블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띠장 어셈블리들(200)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le assembl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FIG. 2 shows one of the plurality of wale assemblies 200 shown in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흙막이 구조물(10)은 지반의 굴착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축물 등의 기초 공사 시,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이다.Referring to FIG. 1, the retaining structure 10 is a structure installed on the excavated surface of the ground and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excavated surface during foundation construction for a building, etc.

예컨대, 흙막이 구조물(10)은 제1 지반(1)과 제2 지반(2)의 경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반(1)과 제2 지반(2) 각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taining structure 10 may be plac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ground 1 and the second ground 2. Each of the first ground 1 and the second ground 2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수평 방향을 지시하며, 서로 직교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ndicate horizontal directions and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2 지반(2)은 제1 지반(1)보다 제3 방향(DR3)으로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지시하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지시한다.The second ground 2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ground 1 in the third direction DR3.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rd direction DR3 indicat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indicates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흙막이 구조물(10)은 제2 지반(2)의 토사가 제1 지반(1)을 향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흙막이 구조물(10)은 흙막이벽(100), 띠장 어셈블리(200), 및 고정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structure 10 can prevent the soil of the second ground 2 from collapsing toward the first ground 1. To this end, the retain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n retaining wall 100, a wale assembly 200, and a fixing assembly 3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흙막이벽(100)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흙막이벽(100)은 엄지 말뚝(110)과 토류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엄지 말뚝(110)과 토류판(120)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10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The retaining wall 100 may include a thumb pile 110 and an earth plate 120. Each of the thumb pile 110 and the earth plate 12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엄지 말뚝(110)은 흙막이벽(100)의 주부재로서, 토압에 저항할수 있다. 엄지 말뚝(11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thumb pile 110 is a main member of the retaining wall 100 and can resist earth pressure. The thumb peg 110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복수 개의 엄지 말뚝들(110)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4 개의 엄지 말뚝들(1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엄지 말뚝의 개수는 굴착면의 길이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umb stakes 1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DR1. Although four thumb piles 110 are shown in FIG. 1,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thumb pile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excavation surface.

엄지 말뚝(110)은 높은 강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엄지 말뚝(110)은 H 빔 철강재일 수 있다. 다만, 엄지 말뚝(110)의 종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umb peg 110 may include a material with high rigidity. For example, the thumb peg 110 may be made of H-beam steel. However, the type of thumb peg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토류판(120)은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작용하는 토압을 엄지 말뚝(1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arth plate 120 can prevent the outflow of soil and transmit the earth pressure to the thumb pile 110.

복수 개의 토류판들(120)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엄지 말뚝들(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류판(120)은 나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토류판(12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earth plates 120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thumb piles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earth plate 120 may include a wooden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of the earth plate 120 is not limited to thi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띠장 어셈블리(200)는 흙막이벽(100)에 작용하는 토압을 후술하는 강선에 전달하는 부재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wale assembly 200 may be a member that transmits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100 to a steel wire to be described later.

실제로 띠장 어셈블리(200)는 제1 지면(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제1 지면(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reality, the wale assembly 200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surface 1,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shown in FIG. 2 as being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ground surface 1.

띠장 어셈블리(2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띠장 어셈블리들(20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띠장 어셈블리들(20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엄지 말뚝(110)에 대해 수직하여 제1 방향(DR1)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le assemblies 20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wale assemblies 20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wale assemblies 200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perpendicular to the thumb peg 110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띠장 어셈블리(200)는 띠장(210), 강선조절부(220), 및 강선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선조절부(230)와 강선고정부(230)는 띠장(2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wale assembly 200 may include a wale 210, a steel wire adjusting unit 220, and a steel wire fixing unit 230. The steel wire adjusting unit 230 and the steel wire fixing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wale 2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띠장(210)은 본체부(211)와 날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띠장(210)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띠장(210)은 철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e 210 may include a main body 211 and a wing 212. The wale 21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For example, the strip 210 may include steel.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본체부(211)는 대략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체부(2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main body 211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gon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211 is not limited to this.

본체부(211)에는 제1 가이드홀(211A)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211A)은 본체부(211)의 중심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211A)은 본체부(211)를 두께 방향(즉, 제2 방향(DR2))으로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A first guide hole 211A may be defined in the main body 211.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be defin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be defined by penetrating the main body 211 in the thickness direction (ie, the second direction DR2).

예컨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제1 가이드홀(211A)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제1 가이드홀(211A)의 너비는 가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홀(211A)의 너비는 제2 지면(2)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be variabl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gradually become wider as it approaches the second ground surface 2.

날개부(212)는 본체부(211)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12)는 본체부(211)의 양측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wing portion 212 may extend from the main body portion 211. Specifically, the wings 212 may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1 in the first direction DR1.

날개부(212)는 H 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날개부(212)의 형상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ng portion 212 may have an H-beam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wing portion 21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강선조절부(220)는 본체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선조절부(220)는 후술하는 강선의 위치를 제1 가이드홀(211A) 상에서 조절할 수 있다.The steel wire adjustment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11. The steel wire adjusting unit 220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first guide hole 211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선조절부(220)는 제1 강선조절판(221) 및 제2 강선조절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control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steel wire control plate 221 and a second steel wire control plate 222.

제1 강선조절판(221)은 본체부(211)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즉,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1 and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e., in the first direction DR1).

제1 강선조절판(221)에는 제2 가이드홀(221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제2 가이드홀(221A)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second guide hole 221A may be defined in the first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1. 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second guide hole 221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2 가이드홀(221A)의 폭은 제1 가이드홀(211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2 가이드홀(221A)의 폭은 제1 가이드홀(211A)의 폭과 같을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hole 221A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hole 211A.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hole 221A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hole 211A.

결과적으로, 제2 가이드홀(221A)은 제1 가이드홀(211A)에 중첩한 상태에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guide hole 221A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while overlapping with the first guide hole 211A.

제2 강선조절판(222)은 제1 강선조절판(221)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즉,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steel wire regulating plate 222 is coupled to the first steel wire regulating plate 221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third direction DR3).

제2 강선조절판(222)에는 제3 가이드홀(222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제3 가이드홀(222A)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third guide hole 222A may be defined in the second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2.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third guide hole 222A may have a circular shape.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3 가이드홀(222A)의 폭은 제2 가이드홀(221A)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3 가이드홀(222A)의 폭은 제2 가이드홀(221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width of the third guide hole 222A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hole 221A.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the width of the third guide hole 222A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hole 221A.

결과적으로, 제3 가이드홀(222A)은 제2 가이드홀(221A)에 중첩한 상태에서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hird guide hole 222A can move in the third direction DR3 while overlapping with the second guide hole 221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이드홀(211A)에 삽입된 강선들의 위치는 강선조절부(220)의 제2 및 제3 가이드홀(221A, 222A)에 의해 수평 방향(즉, 제1 방향(DR1)) 또는 수직 방향(즉, 제3 방향(DR3))으로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steel wire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211A ar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second and third guide holes 221A and 222A of the steel wire adjusting unit 220). It can be adjust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vertical direction (i.e., the third direction (DR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선고정부(230)는 강선조절부(220)에 결합되어 강선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fix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steel wire adjusting part 2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예컨대, 강선고정부(23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강선고정부(230)의 일측은 제3 가이드홀(222A)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el wire fixing part 2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ne side of the steel wire fixing part 23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guide hole 222A.

강선고정부(230)에는 복수 개의 강선고정홀들(230A)이 정의될 수 있다. 강선고정홀들(230A) 각각은 강선고정부(23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강선고정홀들(230A) 각각에는 강선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teel wire fixing holes 230A may be defined in the steel wire fixing unit 230. Each of the steel wire fixing holes 230A may penetrate the steel wire fixing part 2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teel wire may be placed in each of the steel wire fixing holes 230A.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엄지 말뚝, 띠장 어셈블리, 및 고정 어셈블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humb peg, wale assembly, and fixing assembly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어셈블리(300)는 흙막이벽(100)에 띠장 어셈블리(20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어셈블리(3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어셈블리들(300) 각각은 대응하는 엄지 말뚝(110) 마다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fixing assembly 300 may fix the wale assembly 200 to the retaining wall 100 . The fixing assembly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Each of the plurality of fixing assemblies 300 may be arranged for each corresponding thumb peg 110.

고정 어셈블리(300)는 제1 고정 프레임(310), 제2 고정 프레임(320), 및 고정 클램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assembly 300 may include a first fixing frame 310, a second fixing frame 320, and a fixing clamper 330.

제1 고정 프레임(310)은 흙막이벽(100)의 엄지 말뚝(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고정 프레임(310)은 볼트 체결에 의해 엄지 말뚝(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be fixed to the thumb pile 110 of the retaining wall 100.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be fixed to the thumb peg 110 by fastening bolt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고정 프레임(310)은 경사 프레임(311)과 지지 프레임(31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ed frame 310 may include an inclined frame 311 and a support frame 312.

경사 프레임(311)은 제1 지면(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경사 프레임(311)의 제1 면(311A)은 제1 지면(1)에 대해 상부 방향을 향하여 설계 각도(α1)로 기울어질 수 있다(도 4 참조).The inclined frame 311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surface 1.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311A of the inclined frame 311 may be inclined upward at the design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1 (see FIG. 4).

지지 프레임(312)은 경사 프레임(311)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312)의 일측은 엄지 말뚝(110)에 연결되고, 반대측은 경사 프레임(311)에 연결되어 경사 프레임(311)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312 may support the inclined frame 311.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12 may be connected to the thumb peg 110, and the opposit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inclined frame 311 to support the inclined frame 311.

제1 고정 프레임(310)의 경사 프레임(311)과 지지 프레임(312)은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경사 프레임(311)과 지지 프레임(312)은 철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frame 311 and the support frame 312 of 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have sufficient rigidity. For example, the inclined frame 311 and the support frame 312 may include stee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고정 프레임(320)은 하부 프레임(321), 상부 프레임(322), 중간 프레임(323), 및 보조판(324)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xed frame 320 may include a lower frame 321, an upper frame 322, an intermediate frame 323, and an auxiliary plate 324.

하부 프레임(321)은 경사 프레임(311)의 제1 면(31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321)은 제1 지면(1)에 대해 설계 각도(α1)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하부 프레임(321)의 일 측면은 엄지 말뚝(110)과 마주볼 수 있다.The lower frame 32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ide 311A of the inclined frame 311. Accordingly, the lower frame 321 may b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1.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21 may face the thumb peg 110.

상부 프레임(322)은 하부 프레임(32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22)은 하부 프레임(32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322)은 제1 지면(1)에 대해 설계 각도(α1)로 기울어질 수 있다.The upper frame 322 may be placed on the lower frame 321. The upper frame 322 may be parallel to the lower frame 321. That is, the upper frame 322 may b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1.

상부 프레임(322)의 일 측면은 엄지 말뚝(110)과 마주볼 수 있다. 상부 프레임(322)은 하부 프레임(32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upper frame 322 may face the thumb peg 110. The upper frame 322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frame 321.

중간 프레임(323)은 하부 프레임(321)과 상부 프레임(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323)의 일 측면은 엄지 말뚝(110)과 마주볼 수 있다.The middle frame 3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frame 321 and the upper frame 322. One side of the middle frame 323 may face the thumb peg 110.

보조판(324)은 하부 프레임(321), 상부 프레임(322), 및 중간 프레임(323)의 반대측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판(324)은 제1 면(321A)과 수직한 제2 면(324A)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324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ower frame 321, the upper frame 322, and the middle frame 323. The auxiliary plate 324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324A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21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보조판(324)의 폭은 하부 프레임(321), 상부 프레임(322), 및 중간 프레임(323)들의 폭들보다 각각 클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width of the auxiliary plate 324 may b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lower frame 321, the upper frame 322, and the middle frame 323, respectively. there is.

고정 클램퍼(330)는 제2 고정 프레임(320)에 띠장(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클램퍼(330)는 제2 고정 프레임(320)의 보조판(324)과 띠장(210)의 날개부(212)를 집을 수 있다.The fixing clamper 330 can fix the wale 210 to the second fixing frame 320. Specifically, the fixed clamper 330 can clamp the auxiliary plate 324 of the second fixed frame 320 and the wing portion 212 of the wale 210.

결과적으로, 띠장 어셈블리(200)는 고정 어셈블리(300)에 의해 흙막이벽(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wale assembly 2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100 by the fixing assembly 300.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기재된 각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9 are drawings for explaining each step shown in Figure 5.

도 5 및 도 6(a)을 참조하면, 단계(S1)는 엄지 말뚝(110)과 토류판(120)을 배치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a), step S1 arranges the thumb pile 110 and the earth plate 120.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엄지 말뚝들(110)을 제1 지면(1)과 제2 지면(2)의 경계 부분에 배치한다. 엄지 말뚝들(110)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thumb stakes 110 are plac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urface 1 and the second surface 2. The thumb peg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복수 개의 토류판들(120)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엄지 말뚝들(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착면에는 엄지 말뚝(110)과 토류판(120)을 포함하는 흙막이벽(100)이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earth plates 120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thumb piles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ccordingly, an earth retaining wall 100 including a thumb pile 110 and an earth plate 120 may be installed on the excavation surface.

도 5 및 도 6(b)을 참조하면, 단계(S2)는 엄지 말뚝(110)에 고정 어셈블리(300)를 배치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b), step S2 places the fixing assembly 300 on the thumb peg 110.

구체적으로, 제1 고정 프레임(310)을 엄지 말뚝(110)에 고정시킨다. 예컨대, 제1 고정 프레임(310)은 볼트 체결(미도시함)을 통해 엄지 말뚝(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10)의 경사 프레임(311)은 제1 지면(1)에 대해 설계 각도(α1)로 기울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frame 310 is fixed to the thumb peg 110.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be fixed to the thumb peg 110 through bolt fastening (not shown). The inclined frame 311 of the first fixed frame 310 may be inclined at a design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1.

이어서, 제2 고정 프레임(320)을 제1 고정 프레임(310) 상에 배치한다. 제2 고정 프레임(320)은 경사 프레임(311)의 제1 면(311A)과 엄지 말뚝(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20)의 제2 면(324A)은 제1 면(311A)과 수직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fixing frame 320 is placed on the first fixing frame 310. The second fixed frame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rface 311A of the inclined frame 311 and the thumb peg 110. The second surface 324A of the second fixed frame 32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11A.

도 5 및 도 7(a)를 참조하면, 단계(S3)는 띠장(210)을 엄지 말뚝(110)에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7(a), step S3 connects the wale 210 to the thumb peg 110.

띠장(210)의 날개부(212)는 제1 고정 프레임(310)의 제1 면(311A)과 제2 고정 프레임(320)의 제2 면(314A)에 배치될 수 있다.The wings 212 of the wale 2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311A of the first fixed frame 310 and the second surface 314A of the second fixed frame 320.

띠장(210)의 날개부(212)는 고정 클램퍼(330)에 의해 제2 고정 프레임(320)의 보조판(3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wing portion 212 of the wale 210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324 of the second fixed frame 320 by the fixed clamper 330.

결과적으로, 띠장(210)은 제2 고정 프레임(320)에 고정된 상태로, 제1 지면(1)에 대해 설계 각도(α1)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wale 210 can be arranged fixed to the second fixed frame 320 and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1.

도 7(b)를 참조하면, 띠장(210)의 본체부(211)는 토류판(120)과 마주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b), the main body portion 211 of the wale 210 may face the earth plate 120.

본체부(211)의 제1 가이드홀(211A)은 제1 지면(1)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홀(211A)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X)은 제1 지면(1)과 설계 각도(α1)를 이룰 수 있다.The first guide hole 211A of the main body 211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surface 1. Specifically, the center line (X)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form a design angle (α1) with the first ground surface (1).

도 5 및 도 8(a)를 참조하면, 단계(S4)는 제1 가이드홀(211A)을 이용해 제2 지면(2) 아래에 천공홀(DH)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8(a), step S4 forms a drill hole DH under the second ground surface 2 using the first guide hole 211A.

구체적으로, 천공 장치(DD)를 제1 가이드홀(211A)에 삽입한다. 천공 장치(DD)는 회전하면서 제1 지면(1)에서 제2 지면(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lling device DD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211A. The drilling device DD may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by rotat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1 to the second surface 2.

이와 동시에, 천공 장치(DD)는 천공홀(DH) 내부의 토사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천공 장치(DD)는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천공홀(DH) 내부에 토사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drilling device DD can remove soil inside the drilling hole DH. For example, the drilling device (DD) can discharge the soil inside the drilling hole (DH) to the outside using air or water.

결과적으로, 제2 지면(2) 아래에는 토류판(120)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천공홀(DH)이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a drilling hole DH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earth plate 120 may be formed under the second ground surface 2.

도 5 및 도 8(b)를 참조하면, 단계(S5)는 천공홀(DH)에 강선(SW)을 배치한다. 강선(SW)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8(b), in step S5, the steel wire (SW) is placed in the drilling hole (DH). The steel wire (SW)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강선들(SW)은 제1 가이드홀(211A)을 통해 천공홀(DH)에 삽입될 수 있다. 강선들(SW)의 일부는 제1 가이드홀(211A)로부터 제1 지면(1)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steel wires (SW) may be inserted into the drilling hole (DH)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211A). Some of the steel wires (SW) may protrude from the first guide hole (211A) toward the first ground (1).

경화제(CE)는 강선들(SW)이 배치된 천공홀(DH)의 나머지 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예컨대, 경화제(CE)는 시멘트 밀크(Cement Milk)일 수 있다.The hardener (CE) may be injected into the remaining space of the drilling hole (DH) where the steel wires (SW) are disposed. For example, the curing agent (CE) may be cement milk.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6)는 강선들(SW)의 위치를 조절한다. 도 9는 경사 방향에서 제1 가이드홀(211A)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S. 5 and 9, step S6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steel wires SW.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guide hole 211A viewed from an oblique direction.

강선들(SW)의 위치는 강선조절부(220, 도 2 참조)를 이용해 조절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steel wires (SW) can be adjusted using the steel wire adjustment unit 220 (see FIG. 2).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홀(211A) 상에 배치된 강선들(SW)은 설계 영역(A)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설계 영역(A)은 사전 설계된 영역으로서, 강선들(SW)의 배치되어야 하는 가상의 영역으로 정의된다.As shown in FIG. 9(a), the steel wires SW disposed on the first guide hole 211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esign area A. The design area (A) is a pre-designed area and is defined as a virtual area where the steel wires (SW) should be placed.

흙막이 구조물은, 강선들(SW)이 설계 영역(A)에 배치될 경우, 최적의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have optimal durability when the steel wires (SW) are placed in the design area (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선조절판(221)은 본체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선들(SW)은 제1 강선조절판(221)의 제2 가이드홀(221A)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강선조절판(22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강선들(SW)의 좌우 방향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b), the first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11. The steel wires (SW) may pass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221A) of the first steel wire regulating plate (221). As the first steel wire adjusting plate 221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ositions of the steel wires S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adjusted.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강선조절판(222)은 제1 강선조절판(221)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선들(SW)은 제2 강선조절판(222)의 제3 가이드홀(222A)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강선조절판(2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강선들(SW)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c), the second steel wire control plate 2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teel wire control plate 221. The steel wires (SW) may pass through the third guide hole (222A) of the second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2). As the second steel wire adjustment plate 22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s of the steel wires SW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adjus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강선조절판(221)과 제2 강선조절판(222)을 이동시켜, 강선들(SW)을 설계 영역(A) 내에 배치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el wire control plate 221 and the second steel wire control plate 222 can be moved to place the steel wires SW within the design area A.

다음으로, 제2 강선조절판(222)에 강선고정부(230)를 결합하여 설계 영역(A)에 배치된 강선들(SW)을 고정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이어서, 강선들(SW)에 긴장력을 가할 수 있다.Next, the steel wires (SW) arranged in the design area (A) can be fixed by coupling the steel wire fixing part 230 to the second steel wire adjusting plate 222 (see FIG. 2). Tension can then be applied to the steel wires SW.

단계(S5)에서 주입한 경화제(CE)가 경화제가 경화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As the curing agent (CE) injected in step S5 hardens,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can be comple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천공 작업 전에 배치된 띠장(210)의 제1 가이드홀(211A)을 이용해 천공홀(DH)을 형성하기 때문에, 천공 위치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lling hole DH is formed using the first guide hole 211A of the wale 210 placed before the drilling operation, errors in the drilling position may not occu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띠장(210)에 제1 가이드홀(211A)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띠장 천공 작업을 요구하지 않아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 hole 211A is formed in advance in the wale 210, so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shorten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wale drill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띠장(210)이 고정 클램퍼(300)에 의해 고정 어셈블리(300)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용접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le 210 is fixed to the fixing assembly 300 by the fixing clamper 300, separate welding work is not required, mak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retaining structure easier. You c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흙막이 구조물
100: 흙막이벽
110: 엄지 말뚝
120: 토류판
200: 띠장 어셈블리
210: 띠장
220: 강선조절부
230: 강선고정부
300: 고정 어셈블리
310: 제1 고정 프레임
320: 제2 고정 프레임
330: 고정 클램퍼
10: Earth retaining structure
100: Earth retaining wall
110: Thumb peg
120: earth plate
200: wale assembly
210: Strip
220: Steel wire control unit
230: Steel wire fixing unit
300: Fixed assembly
310: first fixed frame
320: second fixed frame
330: fixed clamper

Claims (4)

제1 지면 및 상기 제1 지면보다 높은 위치의 제2 지면의 경계 부분에 복수 개의 엄지 말뚝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기 엄지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면에 대해 사전 설정된 설계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을 포함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고정 프레임을 상기 엄지 말뚝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면과 수직한 제2 면을 포함하는 보조판을 포함하는 제2 고정 프레임을 상기 제1 면 및 상기 엄지 말뚝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제1 가이드홀이 정의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띠장을 상기 제1 지면에 대해 설계 각도로 기울여 상기 날개부를 상기 제1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 상에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토류판에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조판과, 상기 보조판의 상기 제2 면과 마주하는 상기 날개부를 고정 클램퍼를 통해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면에서 상기 제2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천공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면 아래에 상기 제1 지면에 대해상기 설계 각도로 기울여진 천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 장치를 통해 상기 천공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천공홀에 복수 개의 강선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강선조절부를 통해 상기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강선이 배치된 상기 천공홀에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강선조절부에 강선고정부를 결합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강선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제의 경화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강선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Arranging a plurality of thumb piles spaced apart at a boundary between a first ground and a second ground higher than the first ground, and placing an earthen plate between the thumb piles;
fixing a first fixing frame including an inclined frame including a first surface inclined at a preset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to the thumb peg;
disposing a second fixing frame including an auxiliary plate including a second sid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thumb peg;
A wale including a main body in which a first guide hole is defined and wings extending on both sides from the main body is tilted at a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und, and the wings are placed on the first fixed frame and the second fixed frame. arranging the main body so that it overlaps the earth plate;
coupling the auxiliary plate and the wing portion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through a fixed clamper;
A drill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o form a perforation hole inclined at the desig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below the second surface, and the perforation removing soil inside the drill hole by injecting air or water into the drill hole through a device;
Inser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into the perforation hole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on the first guide hole through a steel wire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Injecting a hardener into the perforation hole where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disposed;
Fix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by coupling a steel wire fixing part to the steel wire adjusting par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comprising: fixing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through curing of the harde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가이드홀이 정의된 제1 강선조절판을 이동시켜 상기 강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이드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가이드홀이 정의된 제2 강선조절판을 이동시켜 상기 강선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앵커식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eel wire is,
When looking at the first guide hole,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teel wire by moving a first steel wire adjustment plate on which a second guide hol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defined on the first guide hole; and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teel wire by moving a second steel wire adjustment plate on which a third guide ho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on the second guide hole;
Construction method of anchor-type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incl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49113A 2021-04-15 2021-04-15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KR102579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13A KR102579912B1 (en) 2021-04-15 2021-04-15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13A KR102579912B1 (en) 2021-04-15 2021-04-15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22A KR20220142722A (en) 2022-10-24
KR102579912B1 true KR102579912B1 (en) 2023-09-18

Family

ID=8380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13A KR102579912B1 (en) 2021-04-15 2021-04-15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594B1 (en) 2023-09-15 2024-04-08 보천토건(주) Safety temparary facilities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22B1 (en) * 2019-04-26 2020-02-13 주식회사 이산 Single wale which can correct construction errors of perforation angle and perforation hole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048A (en) * 2010-12-07 2012-06-15 박강호 Board protecting landslide support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22B1 (en) * 2019-04-26 2020-02-13 주식회사 이산 Single wale which can correct construction errors of perforation angle and perforation hole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22A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102B1 (en) Device of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for Improving Workability
KR10063379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633795B1 (en) Fixing structure of assembling type wale
KR10124156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ap Beam Combined Wale For Retaining Wall
KR101844743B1 (en) Retaining mechanism corresponding to stress and retaining method
KR10257991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earth anchor
KR10168251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to secure safety using PC panel and permanent anchor
KR20190132771A (en) Prestress beam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emporary soil sheat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7252B1 (en) Structur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using guide bracket and method for constucting the same
KR101974183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approaching dual tunnel
JPH0460022A (en) Sheathing method and sheathing pile therefor
JP3692805B2 (en)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KR20080025219A (en)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eck-plate and deck-plat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outer wall
KR200247053Y1 (en) wale for construction method for defending earth using prestress
KR102476068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multidirectional anchor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160419A (en)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20096596A (en) construction method for defending earth using prestressed wale used therefor
KR101340220B1 (en) Structure of earth retaining wall
KR101952669B1 (en) Temporary facility circular retaining wall method using arched steel plate and guide structure
KR200308716Y1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KR100989023B1 (en) Supporting apparatus having in between two belt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652376B1 (en) Method for forming retaining wall using impermeable wall and earth anchor with improved support strength
KR100858712B1 (en) Corner connecting apparatus of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412162B1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excavating the ground by using trusstype support structures
KR20040051182A (en) Temporary soil sheathing using prestress and pi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