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703B1 -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703B1
KR102579703B1 KR1020210178753A KR20210178753A KR102579703B1 KR 102579703 B1 KR102579703 B1 KR 102579703B1 KR 1020210178753 A KR1020210178753 A KR 1020210178753A KR 20210178753 A KR20210178753 A KR 20210178753A KR 102579703 B1 KR102579703 B1 KR 10257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elevator
support frame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9950A (en
Inventor
남현준
Original Assignee
남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준 filed Critical 남현준
Priority to KR102021017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703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기존의 항공기 환승은 경유하는 공항에 내려서 또다른 항공기에 탑승하기까지 대기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저렴한 항공권의 겨우 10시간 이상 소요되고, 탑승객이 경유하는 공항에서 또다른 항공기를 탑승할 때 이동거리가 먼 경우가 많아 환승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탑승객이 소지한 수화물, 배송화물 또한 공항에 내린 후 이동하고 또다른 항공기에 옮겨 실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항공기와 공항을 연결하여 내릴 시와, 경유하는 항공기 환승할 시 두번에 걸쳐 탑승교를 항공기에 연결해야 하여 탑승교를 연결하는데 많은 소요시간이 발생하고, 탑승자가 환승할 때 우천시,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불거나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노출되어 우산을 쓰는 등 불편함이 있고, 항공기 환승시 공항 통로로 직결되어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으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어 항공길이 막혀 위험으로부터 탈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구성함으로써,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공기와 공항 탑승교를 연결하는 대신에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의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Existing aircraft transfers require a waiting time of at least 1 hour from disembarkation at a transit airport to boarding another aircraft to only 10 hours or more for a cheap airline ticket, and the distance traveled when passengers board another aircraft at a transit airport is Because it is often far away,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fer, and passengers' baggage and delivery cargo also have to go through procedures such as disembarking at the airport, moving it, and transferring it to another aircraft, which requires a large number of workers and connects the aircraft to the airport. When disembarking and transferring to a transit aircraft, the boarding bridge must be connected to the aircraft twice, which takes a lot of time to connect, and when passengers transfer,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boarding bridge in case of rain, strong winds such as a typhoon, or hail.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using an umbrella due to exposure to extern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falling teeth, and it is difficult to escape from danger due to natural disasters, wars between countries, or civil wars due to airport closures due to natural disasters, wars between countries, or civil wars,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port passageway.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situations where the aircraft is directly connected, a transfer elevator and an elevator electric car are configured to protect against extern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wind and rain such as a typhoon, or falling snow or hail when transferring at a transit airport. Instead of connecting the aircraft and the airport boarding bridge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transfer of aircraft is made by directly connecting two aircraft, so it is possible to transfer aircraft without using the airport boarding gate, and passengers ar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transfer elevators and elevator electric cars directly connected to aircraft that can safely transfer without exposure and shorten the transfer time to minimize the waiting time required for transfer.

Description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대형 항공기와 소형 항공기의 출입문을 서로 일치시키고, 각각의 출입문을 서로 연결하여 공항의 게이트를 통과하지 않고도 탑승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that matches the doors of large aircraft and small aircraft and connects each door to each other, allowing passengers to safely and quickly transfer aircraf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irport gate. .

항공기는 항공노선에 따라 정해진 노선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탑승객이 이용하는 공항에 도착하고자 하는 항공노선이 없을 경우 필수적으로 항공기 환승을 해야한다.Aircraft can only travel on designated routes depending on the air route, so if there is no air route for the passenger to arrive at the airport they are using, they must transfer aircraft.

하지만, 기존의 항공기 환승은 경유하는 공항에 내려서 또다른 항공기에 탑승하기까지 대기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저렴한 항공권의 겨우 10시간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xisting aircraft transfers had the problem that the waiting time from disembarking at a transit airport to boarding another aircraft ranged from at least 1 hour to only 10 hours or more for cheap airline tickets.

또한, 탑승객이 경유하는 공항에서 또다른 항공기를 탑승할 때 이동거리가 먼 경우가 많아 환승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탑승객이 소지한 수화물, 배송화물 또한 공항에 내린 후 이동하고 또다른 항공기에 옮겨 실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passenger boards another aircraft at a transit airport, the travel distance is often long,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fer, and the baggage and delivery cargo carried by the passenger is also transferred after disembarking at the airport and then transferred to another aircraft. There was a problem that many workers were required to go through the loading procedure.

또한, 항공기와 공항을 연결하여 내릴 시와, 경유하는 항공기 환승할 시 두번에 걸쳐 탑승교를 항공기에 연결해야 하여 탑승교를 연결하는데 많은 소요시간이 발생하고, 탑승자가 환승할 때 우천시,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불거나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노출되어 우산을 쓰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nd disembarking from an aircraft to an airport, and when transferring to a transit aircraft, the boarding bridge must be connected to the aircraft twice, resulting in a lot of time required to connect the boarding bridge, and when passengers are transferring, they are exposed to rain, typhoons, and other weather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ere was inconvenience in using an umbrella due to exposure to extern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strong wind or falling hail.

또한, 기존의 항공기는 환승시 공항 통로로 직결되어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으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어 항공길이 막혀 위험으로부터 탈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xisting aircraft were connected directly to the airport passageway when transferring,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irport was closed due to natural disasters, wars between countries, or civil wars, and the air route was blocked, making it difficult to escape from dang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9328호(2014.02.25.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69328 (registered on February 25, 2014)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공기와 공항 탑승교를 연결하는 대신에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의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에 따른 공항 폐쇄시 2대의 항공기를 직접 연결하여 경유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connecting the aircraft and the airport boarding bridge, regardless of the external weather environment such as rain, wind and rain such as a typhoon, or falling snow or hail when transferring at a transit airport, By connecting two aircraft directly to transfer aircraft, it is possible to transfer aircraft without using the airport boarding gate, passengers can transfer safely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ransfer time is shortened. The purpose is to minimize the waiting time required for transfer and to provide a transfer elevator device that directly connects two aircraft in the event of an airport closure due to a natural disaster, war between countries, or civil wa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In the shape of a large crane car, one aircraft fuselage is aligned at a certain angle and position, then raised and moved to place it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with another aircraft fuselage, and then the doors and elevators of each aircraft fuselage are connected to raise and lower the two aircraft fuselages. This is achieved by constructing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that connects boarding gates between aircraf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 내에서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항공기 경유에 따른 환승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에 따른 공항 폐쇄시 2대의 항공기를 직접 연결하여 경유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ferring at a transit airport, two aircraft are directly connected regardless of extern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wind and rain such as a typhoon, snow or hail, etc., so that the aircraft can be connected within the aircraft. By allowing transfers to take place at the airport, it is possible to transfer aircraft without using the airport's boarding gate, transfers are made safely without passengers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transfer time due to transit through the aircraft is dramatically shortened, eliminating the need for transfers. It has the good effect of minimizing waiting time and allowing direct connection of two aircraft in case of airport closure due to natural disaster, war between countries, or civil w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하단 항공기의 내부에 형성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에 상단 캐노피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상단에 하단 캐노피가 접현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에 상단 캐노피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상단에 하단 캐노피가 접현되며,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유압 실린더를 통해 상승하여 상단 항공기의 승강장애 도달한 상태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화살표로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 둘레를 따라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가 펼쳐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를 후방으로 눕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을 최하단으로 위치시키고, 상단 항공기를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 내측의 승강장을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하고 상승시켜 상단 항공기를 상승시키고, 하단 항공기를 상단 항공기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하단 항공기 내측의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를 투영하여 도시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되는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스마트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엘리베이터부가 결합되고, 엘리베이터부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좌측에 상단 탑승교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좌측에 하단 탑승교가 접현되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상단 탑승교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위치하여 정지된 형상을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좌측에 상단 탑승교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좌측에 하단 탑승교가 접현되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하단 탑승교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위치하여 정지된 형상을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화살표로 표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탑승교와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가 접현되고, 하단 탑승교와 하단 항공기가 접현되는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스마트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directly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directly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direct-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jection of 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formed inside the lower aircraft;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canopy dock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craft and the lower canopy docked at the top of the lower aircraft;
Figure 6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where the upper canopy is dock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aircraft, the lower canopy is docked at the top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elevator car of the lower aircraft elevator part is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A front view showing the proj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ircraft has reached the lift-off barrier by ascending through the cylinder,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rows indicate that the aircraft support frame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of the slide support frame par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aircraft and the lower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ocated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and the upper canopy and the lower canopy are sprea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or ca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ure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id backward, the slide support frame part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are positioned at the lowest level, and the upper aircraft is moved to the top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and the platform inside the upper aircraft is shown. A perspective view projected by
Figure 11 shows an embodiment of raising the upper aircraft by erecting and rais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ing the lower aircraft to the bottom of the upper aircraft, and shows a projection of the platform and elevator car inside the lower aircraft,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vator car is raised,
Figure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externally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external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external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with the elevator unit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nd showing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unit projected;
Figure 16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where the upper boarding bridge is dock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the lower boarding bridge is dock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elevator car of the elevator unit is at the height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 front view showing a projection of a stationary shape positioned to coincide with
Figure 17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where the upper boarding bridge is dock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the lower boarding bridge is dock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elevator car of the elevator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boarding bridge. A front view showing a projection of a stationary shape positioned to match the height,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rrows indicating that the aircraft support frame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of the slide support frame portion.
Figure 20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boarding bridge and the entrance of the upper aircraft are docked, and the lower boarding bridge and the lower aircraft are dock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n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로 구성된다.Figure 1 relates to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relates to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n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It relates to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n elevator electric ca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an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10) and an elevator electric car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1)에 관해 설명한다.The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1)는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1) is in the shape of a large crane car, aligns one aircraft fuselage at a certain angle and position, raises and moves it, and places it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with another aircraft fuselage, and then each aircraft fuselage It connects the entrance door and elevator to ascend and descend, and connects the boarding gates between the two aircraft.

이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is consists of an elevator electric car (10)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or an elevator electric car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에 관해 설명한다.First, the electric elevator car 10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하단 개폐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의 상단 개폐문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내측의 수직방향 상승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ircraft directly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10 vertically positions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and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throug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vertically rising elevator inside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It serves to transfer passengers.

이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n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100, a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200, an upper aircraft connecting unit 300, and an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ng unit 400.

상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은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 지지 몸체(110), 승하강 실린더부(120),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The aircraft elevation support frame 10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fuselage and vertically raise and lower it. It includes an elevation support body 110, an elevation cylinder portion 120, and a slide support frame portion ( 130) and an aircraft support frame (140).

상기 승강 지지 몸체(110)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된다.The lifting support body 110 is a 'ㄷ' shaped body coupled to the rear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ing uni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moving wheel is formed at the bottom.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지지 몸체(1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ifting support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lower part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s a whole.

이는 전방 중앙 일측이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이루어진다.This movement is achieved by combining one side of the front center with the rea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er.

상기 승하강 실린더부(120)는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ais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support body, and the upright cylinder structure is formed symmetrically to raise and low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aircraft support frame. .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1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변하고, 하단 끝단이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 상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좌·우측 하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lifting cylinder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hose length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of the lifting support body in a rotating shaft structure, and the upper end of which slides. It is formed by combining a rotating shaft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이는 승하강 실린더부(120)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최하단으로 하강하고,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한다.This means that when the cylinder is rotated backwards and laid horizontally based on the lower rotation axis of the elevating cylinder unit 120, the slide support frame unit 130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140 are lowered to the bottom, and the cylinder is lowered based on the lower rotation axis. When rotated to be vertical and made upright, the slide support frame portion 130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140 r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하여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상단 항공기 동체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올려진 상단 항공기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levating cylinder is rotated and laid down so that it is horizontal,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are lowered to the lowest level, allowing the upper aircraft fuselage to be raised or low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is rotated so that it is vertical. By making it stand upright and adjusting the height, the aircraft support frame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aircraft fuselag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여기서, 승하강 실린더부의 수직방향 실린더 길이조절을 통해 하단 항공기의 크기 및 출입구의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fixed height of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height of the entranc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ertical cylinder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동체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그 하단에 하단 항공기의 동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upper aircraft fuselage is raised vertically and the lower aircraft fuselage is position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aircraft and lower aircraft can be positioned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상기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는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130a)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lide support frame unit 130 has a square frame shap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nt into the shape of an upper wing, and the upper end of the raising and lowering cylinder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bent wings, and the front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t is a frame with a slide groove (130a)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top.

여기서, 슬라이드 홈(130a)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140a)가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Here, a slide protrusion 140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30a to allow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는 상단 캐노피(132), 하단 캐노피(133)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된 개폐도어 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In the slide support fram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nopy 132 and the lower canopy 133 ar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groove 13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support frame.

여기서, 상단 캐노피(132)는 상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된다.Here, the upper canopy 132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is fol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upper aircraft.

이는 엘리베이터 카(620)의 승하강시 이동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에서 상단 항공기까지의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차단한다.This completely block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aircraft support frame, which is moved when the elevator car 620 is raised and lowered, to the upper aircraft.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is prevents the elevator ca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하단 캐노피(133)는 하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된다.Here, the lower canopy 133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s fol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lower aircraft.

이는 엘리베이터 카(620)의 승하강시 이동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에서 하단 항공기까지의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차단한다.This completely block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aircraft support frame, which is moved when the elevator car 620 is raised and lowered, to the lower aircraft.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is prevents the elevator ca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140a)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craft support frame 140 is a frame in which slide protrusions 140a are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ing portion in a slide manner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It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fuselage on the top surface.

이때,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네트워크 연결된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운동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ircraft support frame 140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converting rotational kinetic energy into linear kinetic energy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nd network.

여기서, 슬라이드 돌기(140a)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30a)에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Here, the slide protrusion 140a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3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enable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move smooth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는 하단 항공기에 내장되는 엘리베이터 형상으로, 항공기 상단 일측에 상단 개폐도어(210)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승강장(220) 및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고, 유압 실린더(230)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200 has an elevator shape built into the lower aircraft, and has an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aircraft, and accommodates a platform 220 and an elevator car 230 inside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using the hydraulic cylinder 230 method.

여기서, 상단 개폐도어(210)는 하단 항공기의 상단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 형상으로, 도어의 수직 하단에 내장된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을 개폐시켜준다.Here, the top opening/closing door 210 is shaped like a slide doo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aircraft, and opens and closes the top of the platform and elevator car built into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door.

여기서, 승강장(220)은 상단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정면 및 후면에 승강 도어(221)가 형성된다.Here, the platform 220 is formed in a square structure inside the bottom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to accommodate the elevator car 230, and lifting doors 221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이때, 승강 도어(221)는 하단 항공기의 엘리베이터 카(220)가 상단 항공기 방향으로 상승시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승강장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 개폐시에만 개폐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oor 221 blocks the passengers on the lower aircraft from entering the platform when the elevator car 220 of the lower aircraft rises toward the upper aircraft, and opens and closes the car door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reaches the platform. It opens and closes only when

이를 통해 탑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is prevents passengers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elevator car and prevents accidents.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230)는 상단 개폐도어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직사각 카 형상으로, 내부에 탑승객을 수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상단 항공기의 하단방향 및 하단 항공기의 상단방향으로 도킹된다.Here, the elevator car 230 is a rectangular car shape located at the vertical bottom of the upper opening/closing door, accommodates passengers inside, go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docked toward the bottom of the upper aircraft and toward the top of the lower aircraft.

이는 수직방향 하단에 위치시 하단 항공기의 내측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정지되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상승하여 수직방향 상단에 위치시 상단 항공기의 내측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정지된다.When placed at the bottom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stops at a position that matche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latform of the lower aircraft. It rises through a hydraulic cylinder and stops at a position that matche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latform of the upper aircraft when placed at the top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stops.

이는 하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상단 항공기로 이동시키거나, 상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하단 항공기로 이동시키는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is allows transfer to occur by moving passengers and cargo located on the lower aircraft to the upper aircraft, or moving passengers and cargo located on the upper aircraft to the lower aircraft.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passengers boarding the upper and lower aircraft can transfer aircraft without using the airport boarding gate, transfers are made safely without passengers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transfer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 waiting time required for transfer is shortened. Time can be minimized.

여기서, 유압 실린더(240)는 엘리베이터 카(230)의 하단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hydraulic cylinder 240 is shaped like a cylind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230 and functions to move the elevator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ising and fa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는 승강장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감지하여 수직방향 실린더를 승·하강 및 정지시킨다.This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through a sensor located on the platform and raises, lowers, and stops the vertical cylinder.

이때, 실린더가 하단으로 하강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면과 하단 항공기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면 정지되고, 상단으로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면과 상단 항공기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면 정지된다.At this time, the cylinder descends to the bottom and stops when it matche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aircraft platform, and rises to the top and stops when it matche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ircraft platform.

상기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는 상단 항공기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 중공 도어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 일측에 하단 개폐도어(310)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상단 내측에 승강장(320)이 형성되며 하단 항공기의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수직방향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aircraft connecting portion 300 is shaped like a square hollow door fram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aircraft, with a lower opening/closing door 310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a platform 320 formed inside the upper opening/closing door, and a platform 320 form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ower aircraft. It serves to accommodate the elevator car that go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levator unit.

여기서, 하단 개폐도어(310)는 상단 항공기의 하단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 형상으로, 도어의 수직 상단에 내장된 승강장의 하단을 개폐시켜준다.Here, the lower opening/closing door 310 is in the shape of a slide door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aircraft, and opens and closes the lower end of the platform built into the vertical upper part of the door.

여기서, 승강장(320)은 하단 개폐도어 상단 내측에 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상승되는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정면 및 후면에 승강 도어(321)가 형성된다.Here, the platform 320 is formed in a square structure inside the top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to accommodate the elevator car 230 rising from 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and lifting doors 321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이때, 승강 도어(321)는 상단 항공기에 엘리베이터 카(220)가 상승하여 진입시 상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승강장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 개폐시에만 개폐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oor 321 blocks the passengers on the upper aircraft from entering the platform when the elevator car 220 rises and enters the upper aircraft, and opens and closes only when the elevator car reaches the platform and opens and closes the car door of the elevator car. do.

이를 통해 탑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is prevents passengers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elevator car and prevents accidents.

상기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ng unit 400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aircraft direct-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operates and moves the entire aircraft, and controls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and the upper aircraft connecting unit through an integrated system.

이는 항공기 승강 제어부(410),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 제어부(420), 상단 항공기 커넥팅 제어부(43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aircraft lifting control unit 410, a lower aircraft elevator control unit 420, and an upper aircraft connecting control unit 430.

여기서, 항공기 승강 제어부(4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410 overall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여기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 제어부(420)는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lower aircraft elevator control unit 420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여기서, 상단 항공기 커넥팅 제어부(430)는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upper aircraft connecting control unit 430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pper aircraft connecting uni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electric elevator car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에 수평으로 탑승교를 각각 접현시키고, 좌측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levator electric car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connects the boarding bridge horizontally to the left entrance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parallel structure and the left entrance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and transfers passengers throug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located on the left. It plays a role.

이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 엘리베이터부(600), 상단 탑승교(700), 하단 탑승교(800),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n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500, an elevator unit 600, an upper boarding bridge 700, a lower boarding bridge 800, and an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on unit 900.

상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은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 지지 몸체(510), 승하강 실린더부(520),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으로 구성된다.The aircraft elevation support frame 50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fuselage and vertically raise and lower it. It includes an elevation support body 510, an elevation cylinder portion 520, and a slide support frame portion ( 530) and an aircraft support frame (540).

상기 승강 지지 몸체(510)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된다.The lifting support body 510 is a 'ㄷ' shaped body coupled to the rear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ing uni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moving wheel is formed at the bottom.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지지 몸체(5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ifting support body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lower part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s a whole.

이는 전방 중앙 일측이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이루어진다.This movement is achieved by combining one side of the front center with the rea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er.

상기 승하강 실린더부(520)는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ais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s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support body, and the upright cylinder structure is formed symmetrically to raise and low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aircraft support frame. .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5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변하고, 하단 끝단이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 상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좌·우측 하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lifting cylinder uni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length that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the lower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of the lifting support body in a rotating shaft structure, and the upper end is a slide. It is formed by combining a rotating shaft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이는 승하강 실린더부(520)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이 최하단으로 하강하고,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한다.This means that when the cylinder is rotated backwards and laid horizontally based on the lower rotation axis of the elevating cylinder unit 520, the slide support frame unit 530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540 are lowered to the bottom, and the cylinder is lowered based on the lower rotation axis. When rotated to be vertical and made upright, the slide support frame portion 130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140 r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하여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상단 항공기 동체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올려진 상단 항공기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levating cylinder is rotated and laid down so that it is horizontal,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are lowered to the lowest level, allowing the upper aircraft fuselage to be raised or low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is rotated so that it is vertical. By making it stand upright and adjusting the height, the aircraft support frame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aircraft fuselag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여기서, 승하강 실린더부의 수직방향 실린더 길이조절을 통해 하단 항공기의 크기 및 출입구의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fixed height of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height of the entranc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ertical cylinder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동체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그 하단에 하단 항공기의 동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upper aircraft fuselage is raised vertically and the lower aircraft fuselage is position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aircraft and lower aircraft can be positioned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상기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는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530a)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lide support frame unit 530 has a square frame shap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nt into the shape of an upper wing, and the upper end of the raising and lowering cylinder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bent wings, and the front e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t is a frame with a slide groove (530a)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top.

여기서, 슬라이드 홈(530a)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540a)가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Here, a slide protrusion 540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530a to allow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craft support frame 540 is a frame with slide protrusion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ing portion in a slide manner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It serves to support the aircraft fuselage.

이때,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네트워크 연결된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운동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ircraft support frame 540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converting rotational kinetic energy into linear kinetic energy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nd network.

여기서, 슬라이드 돌기(540a)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530a)에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Here, the slide protrusion 540a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53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allow the aircraft support frame to move smooth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엘리베이터부(600)는 직립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형상으로, 승강장 내부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장(610), 엘리베이터 카(620), 균형추(630), 권상기(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or unit 600 is in the shape of an upright elevator platform, accommodates an elevator car inside the platform, and is formed on one left side of the elevator support frame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the platform 610. , it is composed of an elevator car 620, a counterweight 630, and a traction machine 640.

상기 승강장(610)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직립되어 엘리베이터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620)를 수용한다.The platform 610 stands upright on one left side of the elevator support frame, supports the entire elevator unit, and accommodates the elevator car 620.

상기 엘리베이터 카(620)는 승강장 내부에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탑승자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levator car 620 is formed inside the platform and serves to move passeng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scending and descending.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620)는 상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상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되거나, 하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하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시에만 개폐된다.The elevator car 6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upper boarding bridge, which is stopped by match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the boarding gate of the upper aircraft, or the lower boarding bridge is stopped by match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the boarding gate of the lower aircraft. It opens and closes only when the horizontal direction matches.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높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 탑승교 및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높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단 탑승교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직방향 높이가 일치되면 정지되고, 카 도어가 개폐된다.This stops when the vertical heights match the positions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which move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ntrance of the upper aircraft, and the lower boarding bridge, which move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ntrance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car door opens and closes. .

이는 하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상단 항공기로 이동시키거나, 상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하단 항공기로 이동시키는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is allows transfer to occur by moving passengers and cargo located on the lower aircraft to the upper aircraft, or moving passengers and cargo located on the upper aircraft to the lower aircraft.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passengers boarding the upper and lower aircraft can transfer aircraft without using the airport boarding gate, transfers are made safely without passengers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transfer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 waiting time required for transfer is shortened. Time can be minimized.

상기 균형추(630)는 엘리베이터 카의 자중 및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The counterweight 630 moves up and down in the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elevator car's own weight and load, and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상기 권상기(640)는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장 내부의 로프를 감거나 풀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oisting machine 64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nd serves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ope inside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상단 탑승교(700)는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에 올려져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 탑승 터널부(740), 캐노피(750)로 구성된다.The upper boarding bridge 7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ight side of the elevator unit, go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usts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ircraft fuselage placed on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which is the first aviation entranc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710, a first aviation entrance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720, a first boarding bridge elevation unit 730, a boarding tunnel unit 740, and a canopy 750.

상기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aircraft entrance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710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lift support frame and irradiates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to indicate the upper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craft lift support frame. It serves to indicate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moving direction.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이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This indicates that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upper aircraft entrance and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re aligned horizontally.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entrance of the upper aircraft can be easily aligned wit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llowing smooth access to the boarding bridge.

상기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aircraft entrance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72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lift support frame and irradiates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to indicate the upper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craft lift support frame. It serves to indicate the vertical stopping position of.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이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This indicates th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upper aircraft entrance and the vertical center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re aligned vertically.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vertical center of the entrance of the upper aircraft can be easily aligned with the vertical center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llowing smooth access to the boarding bridge.

상기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는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시킨다.The first boarding bridge raising and lowering unit 730 is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elevator unit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change the height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출입구 높이에 대응하여 상단 탑승교의 출입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entrance height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can be easi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upper aircraft entrance.

상기 탑승 터널부(740)는 제1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상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한다.The boarding tunnel section 74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oarding bridge elevation section, measur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aircraft spaced to the left and the left end,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ft to change the length and form a passage. .

상기 캐노피(750)는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된다.The canopy 75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eft end of the boarding tunnel and unfolds and fold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of the aircraft.

상기 하단 탑승교(800)는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 탑승 터널부(840), 캐노피(850)로 구성된다.The lower boarding bridge 8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ight side of the elevator unit, go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usts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ircraft fuselag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which is the second aviation entranc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810, a second aviation entrance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820, a second boarding bridge raising and lowering unit 830, a boarding tunnel unit 840, and a canopy 850.

상기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한다.The second aviation entrance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810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lift support frame and irradiates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to detect the lower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 support frame. Displays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moving direction.

이는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이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This indicates that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lower aircraft entrance and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re aligned horizontally.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entrance of the lower aircraft can be easily aligned with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llowing smooth access to the boarding bridge.

상기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한다.The second aviation entrance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82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lift support frame and irradiates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to detect the lower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 support frame. Displays the vertical stop position of .

이는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이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This indicates th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lower aircraft entrance and the vertical center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re aligned vertically.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vertical center of the entrance of the lower aircraft can be easily aligned with the vertical center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llowing smooth access to the boarding bridge.

상기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는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하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시킨다.The second boarding bridge raising and lowering unit 830 is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elevator unit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vary the height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 출입구 높이에 대응하여 하단 탑승교의 출입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entrance height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can be easi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lower aircraft entrance.

상기 탑승 터널부(840)는 제2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하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한다.The boarding tunnel section 84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oarding bridge elevating and lowering section, measur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aircraft spaced to the left and the left end,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ft to change the length and form a passage. .

상기 캐노피(850)는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된다.The canopy 85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eft end of the boarding tunnel and unfolds and fold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of the aircraft.

상기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엘리베이터부,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on unit 90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electric transfer elevator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operates and moves it as a whole, and controls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elevator unit, upper boarding bridge, and lower boarding bridge as an integrated system. do.

이는 항공기 승강 제어부(910), 엘리베이터 제어부(920), 상단 탑승교 제어부(930), 하단 탑승교 제어부(940)를 포함한다.This includes an aircraft lift/lower control unit 910, an elevator control unit 920, an upper boarding bridge control unit 930, and a lower boarding bridge control unit 940.

여기서, 항공기 승강 제어부(9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910 overall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부(920)는 엘리베이터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elevator control unit 9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vator unit.

여기서, 상단 탑승교 제어부(930)는 상단 탑승교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upper boarding bridge control unit 930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여기서, 하단 탑승교 제어부(940)는 하단 탑승교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Here, the lower boarding bridge control unit 940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operation process of the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첫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is explained.

먼저,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승하강 실린더부를 길이방향으로 최소화하고,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힌다.First, the lifting cylinder part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is minim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d backwards to be horizontal and laid down.

이때,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한다.At this time,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descend to the lowest level.

또한,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 받침판이 후방으로 회전되며 펼쳐져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pport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rotates rearward and unfolds to allow the upper aircraft to be stably moved to the top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다음으로,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안착되면 경사면 받침판을 상단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세우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시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킨다.Next, when the upper aircraf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the inclined plane support plate is rotated upward and erected,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 is erected and raised vertically.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를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와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를 수직방향으로 일치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되도록 한다.Next, move the lower aircraft to the rear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nd align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s of the upper aircraft and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s of the lower aircraf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aircraft are positioned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다음으로,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캐노피를 상승시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 둘레면에 접현시키고, 하단 캐노피를 하강시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 둘레면에 접현시키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슬라이드 개폐도어를 개방한다.Next, the upper canopy of the slide support frame is raised to land on the surrounding surface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upper aircraft, the lower canopy is lowered to land on the surrounding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lower aircraft,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is opened. do.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탑승객 및 화물을 환승시킨다.Next, the elevator car in the elevator section of the lower aircraft is raised and lowered to transfer passengers and cargo of the upper and lower aircraft.

마지막으로, 환승을 마치면 엘리베이터 카를 하단 항공기의 승강장에 위치시키고,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를 원위치 시키며, 토잉카를 통해 하단 항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단 항공기를 지면에 내려놓는다.Finally, after completing the transfer, place the elevator car on the platform of the lower aircraft,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of the upper aircraft and lower aircraft, return the upper canopy and lower canopy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move the lower aircraft backward or After moving the direct-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forward, the upper aircraft is placed on the ground.

둘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Seco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electric ca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is explained.

먼저,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승하강 실린더부를 길이방향으로 최소화하고,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힌다.First, the lifting cylinder part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is minim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d backwards to be horizontal and laid down.

이때,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한다.At this time, the slide support frame and the aircraft support frame descend to the lowest level.

또한,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 받침판이 후방으로 회전되며 펼쳐져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pport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rotates rearward and unfolds to allow the upper aircraft to be stably moved to the top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다음으로,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안착되면 경사면 받침판을 상단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세우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시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킨다.Next, when the upper aircraf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craft support frame, the inclined plane support plate is rotated upward and erected,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cylinder part is erected and raised vertically.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를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와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를 수직방향으로 일치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되도록 한다.Next, the lower aircraft is moved to the rear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nd the entrance of the upper aircraft and the entrance of the lower aircraft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ircraft and the lower aircraft are positioned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다음으로, 상단 탑승교의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를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중앙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탑승 터널부를 이동하여 접현시킨 후 출입구를 개방하여 상단 탑승교를 연결시킨다.Next, the first aviation entrance horizontal stop line indicator and the first aviation entrance vertical stop line indicator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re positioned to match the center of the upper aircraft entrance, the boarding tunnel part is moved and docked, and the entrance is opened to connect the upper boarding bridge. I order it.

다음으로, 하단 탑승교의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를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중앙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탑승 터널부를 이동하여 접현시킨 후 출입구를 개방하여 하단 탑승교를 연결시킨다.Next, the second aviation entrance horizontal stop line indicator and the second aviation entrance vertical stop line indicator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re positioned to match the center of the entrance of the lower aircraft, the boarding tunnel part is moved and docked, and the entrance is opened to connect the lower boarding bridge. I order it.

다음으로,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탑승객 및 화물을 환승시킨다.Next, the elevator car in the elevator section is raised and lowered to transfer passengers and cargo of the upper and lower aircraft.

마지막으로, 환승을 마치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원위치 시키며, 토잉카를 통해 하단 항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단 항공기를 지면에 내려놓는다.Finally, when the transfer is completed, the doors of the upper aircraft and lower aircraft are closed, the upper boarding bridge and lower boarding bridge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lower aircraft is moved rearward through a toy car or the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is moved forward. After doing so, place the upper aircraft on the ground.

1 :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장치
10 :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
100 :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200 :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300 :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 400 : 통합 스마트 제어부
20 :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
500 :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600 : 엘리베이터부
700 : 상단 탑승교 800 : 하단 탑승교
900 : 통합 스마트 제어부
1: Aircraft direct-connected elevator device
10: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aircraft
100: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200: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300: Upper aircraft connecting part 400: Integrated smart control part
20: Elevator electric ca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500: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600: Elevator unit
700: upper boarding bridge 800: lower boarding bridge
900: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Claims (11)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the shape of a large crane car, one aircraft fuselage is aligned at a certain angle and position, then raised and moved to place it in a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with another aircraft fuselage, and then the doors and elevators of each aircraft fuselage are connected to raise and lower the two aircraft fuselages.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boarding gates between aircraft.
제1항에 있어서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하단 개폐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의 상단 개폐문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내측의 수직방향 상승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와,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에 수평으로 탑승교를 각각 접현시키고, 좌측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is
An elevator electric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that vertically positions the bottom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and the top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and transfers passengers throug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vertically rising elevator inside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10) Wow,
Among the elevator electric cars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that connect the boarding bridge horizontally to the left entrance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rtically parallel structure and the left entrance door of the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and transfer passengers throug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located on the left side.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optionally comprising one configuration.
제2항에 있어서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과,
하단 항공기에 내장되는 엘리베이터 형상으로, 항공기 상단 일측에 상단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와,
상단 항공기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 중공 도어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 일측에 하단 개폐도어가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수직방향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는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와,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im 2, the elevator electric car (10)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is
An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100, which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upports the aircraft fuselage and vertically raises and lowers it,
A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200), which has an elevator shape built into the lower aircraft, has an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aircraft, accommodates an elevator car inside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raises and lowers the elevator car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 upper aircraft connecting portion 300 in the shape of a square hollow door fram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aircraft, with a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to accommodate the elevator car that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in the lower aircraft elevator unit,
It is formed in front of the aircraft directly connected elevator electric car, operates and moves it as a whole, an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on unit 400 that controls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the lower aircraft elevator part, and the upper aircraft connecting part in an integrated system.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제3항에 있어서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은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되는 승강 지지 몸체(110)와,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부(120)와,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use 3,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100 is
A 'ㄷ' shaped body coupled to the rear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ing uni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ifting support body 110 with a moving wheel formed at the bottom,
An elevation cylinder unit 120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on support body and has an upright cylinder structure formed symmetrically, raises and lowers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raises and lowers the aircraft support frame,
A frame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nt into the shape of an upper wing. The upper end of the raising and lowering cylinder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bent wings, and a slide groove i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 slide support frame portion 130 that supports the aircraft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top,
It is a frame with a slide protrusion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bottom side, and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ing part in a slide manner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and supports the aircraft fuselage on the upper side.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upport frame (140).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은
상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되는 상단 캐노피(132)와,
하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되는 하단 캐노피(133)가 형성되고,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된 개폐도어 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lide support frame portion 130 is
An upper canopy (132) that is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that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fol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upper aircraft,
A lower canopy (13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that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fol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lower aircraft,
A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anopy and the lower canopy ar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groove (13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support frame.
제2항에 있어서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과,
직립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형상으로, 승강장 내부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부(600)와,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에 올려져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상단 탑승교(700)와,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하단 탑승교(800)와,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엘리베이터부,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im 2, the elevator electric car (2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craft is
An aircraft elevation support frame 500, which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upports the aircraft fuselage and vertically raises and lowers it,
An elevator unit 600 that has the shape of an upright elevator platform, accommodates an elevator car inside the platform, and is formed on one left side of the elevator support frame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boarding bridge 70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ight side of the elevator unit, raises and low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usts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ircraft fuselage placed on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A lower boarding bridge 800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ight side of the elevator unit,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usts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ircraft fuselag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It consists of an integrated control car operation unit 900 that is formed in front of the electric transfer elevator car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craft, operates and moves it as a whole, and controls the aircraft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frame, elevator unit, upper boarding bridge, and lower boarding bridge in an integrated system. Characterized by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승강 지지 프레임(500)은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되는 승강 지지 몸체(510)와,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부(520)와,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im 6, the lifting support frame 500 is
A 'ㄷ' shaped body coupled to the rear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ar driving uni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ifting support body 510 with a moving wheel formed at the bottom,
An elevating cylinder unit 520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ng support body and has an upright cylinder structure formed symmetrically, elevating and lower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elevating and lowering the aircraft support frame,
A slide support frame portion 530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cylinder and has a slide groov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supports the aircraft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It is a frame with a slide protrusion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bottom side, and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ing part in a slide manner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and supports the aircraft fuselage on the upper side.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upport frame (540).
제6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부(6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직립되어 엘리베이터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승강장(610)과,
승강장 내부에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탑승자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620)와,
엘리베이터 카의 자중 및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보상하는 균형추(630)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장 내부의 로프를 감거나 풀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 시키는 권상기(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im 6, the elevator unit 600 is
A platform 610 that stands upright on the left side of the elevator support frame and supports the elevator unit as a whole,
An elevator car 620 formed inside the platform to move passengers vertically by ascending and descending,
A counterweight 630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self-weight and load of the elevator car and compensates for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ction machine 640 that is connected to an integrated smart control unit and raises and lowers the elevator car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ope inside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620)는
상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상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 또는 하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하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시에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vator car 620 of claim 8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ns and closes only wh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match the boarding gate of the upper aircraft and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topped upper boarding bridge, or wh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match the boarding gate of the lower aircraft and match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topped lower boarding bridge. A transfer elevator device that connects directly to aircraft.
제6항에 있어서 상단 탑승교(7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와,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하는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와,
제1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상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하는 탑승 터널부(740)와,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되는 캐노피(7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use 6, the upper boarding bridge (700) is
The first aviation entrance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support frame and displays the stop posi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by irradiating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A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710,
The first aviation entranc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support frame and displays the vertical stopping position of the upper aircraft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by irradiating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ircraft. A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720,
A first boarding bridg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730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elevator unit and raising and lower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varying the height of the upper boarding bridge,
A boarding tunnel section 74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oarding bridge elevating and lowering section, meas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aircraft spaced to the left and the left end, and forming a passage with a variable length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eft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anopy (750) formed on the left end circumference of the boarding tunnel section and unfolding and approaching the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of the aircraft.
제6항에 있어서 하단 탑승교(8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와,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하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하는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와,
제2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하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하는 탑승 터널부(840)와,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되는 캐노피(8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In clause 6, the lower boarding bridge (800) is
A second aviation entrance is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support frame and displays the stop posi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wer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ing support frame by irradiating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A horizontal stop line display unit 810,
A second aviation entranc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lift support frame and displays the vertical stopping position of the lower aircraf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ircraft lift support frame by irradiating a laser in the direction of the aircraft entran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craft. A vertical stop line display unit 820,
A second boarding bridge elevation unit 830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elevator unit that rises and descend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changes the height of the lower boarding bridge,
A boarding tunnel portion 84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oarding bridge elevating and lowering section, meas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aircraft spaced to the left and the left end, and forming a passage with a variable length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ft;
A transfer elevator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anopy (850) that is formed on the left end circumference of the boarding tunnel section and unfolds and approaches the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of the aircraft.
KR1020210178753A 2021-12-14 2021-12-14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KR102579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en) 2021-12-14 2021-12-14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en) 2021-12-14 2021-12-14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50A KR20230089950A (en) 2023-06-21
KR102579703B1 true KR102579703B1 (en) 2023-09-15

Family

ID=8699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en) 2021-12-14 2021-12-14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7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020A (en) 2002-07-16 2004-04-02 Katsuya Nagai Vehicle with elevator for deck and cabin
CN207957678U (en) 2018-02-01 2018-10-12 成宝强 Barrier free moving dynamic formula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28B1 (en) 2013-06-07 2014-03-06 에이지이(주) Height adjustable rotunda type boarding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020A (en) 2002-07-16 2004-04-02 Katsuya Nagai Vehicle with elevator for deck and cabin
CN207957678U (en) 2018-02-01 2018-10-12 成宝强 Barrier free moving dynamic formula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50A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8729A1 (en) System, method and station for landing of a drone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AU713377B2 (en) A cableway to an aerostatic buoyancy body
US4110859A (en) Passenger loading ramp
US10589754B2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US3561030A (en) Conveyance loader
US4852197A (en) Apparatus for trafficking people through airports or like transit terminals
KR102579703B1 (en) 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KR101511170B1 (en) Elevator system for heliport
KR101652799B1 (en) System of elevator for heliport
KR102485588B1 (en) Vertiport system for UAM or drone autonomous take-off and landing
US20040143916A1 (en) Airport bridge and lift
US1915297A (en) Airport
US2481343A (en) Helicopter station
CN107651530A (en) Lift
CN107697076B (en) Rescue evacuation device
KR102575265B1 (en) Lift of terminal and parking lot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of advanced air mobility
ES2275368B2 (en) "ADAPTABLE CABIN FLOOR COUPLING ASSEMBLY FOR SHORT-DISTANCE AND CONVENTIONAL PASSENGER REACTION AIRCRAFT".
JPH08177015A (en) Heliport
KR101863461B1 (en) Hydraulic low level passenger boarding bridge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CN220842505U (en) Emergency danger avoiding structure for stay cord platform door
CN221070605U (en) Construction elevator switch door
CN213707433U (en) Additional elevator system for existing building
KR200368582Y1 (en) a safety device for a subway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