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880B1 -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880B1
KR102578880B1 KR1020210112732A KR20210112732A KR102578880B1 KR 102578880 B1 KR102578880 B1 KR 102578880B1 KR 1020210112732 A KR1020210112732 A KR 1020210112732A KR 20210112732 A KR20210112732 A KR 20210112732A KR 102578880 B1 KR102578880 B1 KR 10257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hoisting
assembly
display memb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0722A (en
Inventor
이서혜
Original Assignee
이서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혜 filed Critical 이서혜
Priority to KR102021011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880B1/en
Publication of KR2023003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8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는, 국기를 표시하는 국기표시부재와, 상기 국기표시부재를 고정하는 게양봉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국기 게양유닛 및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수평면에 대한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바디유닛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lag hoisting unit including a flag display member for displaying the national flag, a hoisting stick assembly for fixing the flag display member, and a lower end of the hoisting stick assembly, and the flag display member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lane. It includes a body unit including an angle variable assembly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Description

자동 국기 게양장치{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국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국기 게양 상황을 만족시킬 경우, 또는 외부 제어가 이루어질 경우에 국기를 자동으로 게양하거나 게양된 국기를 회수하도록 구동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lag-hois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automatic flag-hoisting device that is driven to automatically hoist the national flag or retrieve the hoisted flag when a preset flag-hoisting situation is satisfied or when external control is performed. It's about.

일반적으로 국기(國旗)란, 한 국가를 상징하는 기(旗)를 말하며, 국가의 국경일 등에는 각 가정, 건축물 등에 국기를 게양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In general, a national flag refers to a flag that symbolizes a country,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national flag be hoisted on homes, buildings, etc. on national holidays.

그리고 국기를 게양하기 위한 도구로서, 국기가 인쇄되거나 수놓아져 있는 천과, 이를 고정시킨 상태로 일정한 높이에 거치할 수 있는 게양봉이 서로 결합된 형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And as a tool for hoisting the national flag, the most widely used form is a combination of a cloth with the national flag printed or embroidered on it and a hoisting pole that can be mounted at a certain height with the flag fixed.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국기 게양 수단은 수동으로 벽체 등에 고정된 브라켓에 꽂아 게양하거나 분리하여 회수하여야 하므로, 갑작스럽게 기상이 변화하여 비가 내리거나 풍속이 강해지는 상황 등에서는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such conventional means of raising the flag must be manually raised by inserting it into a bracket fixed to a wall, etc., or separated and collected, it i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to situations such as sudden weather changes such as rain or strong wind speed. There is.

즉 어디까지나 수동으로 운용되고 있는 국기 게양 수단의 특성 상, 국기를 회수하여야 할 상황에서 사용자가 부재 중일 경우에는 국기를 회수하지 못하므로 국기가 훼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국기를 비교적 신속하게 회수한다고 하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국기가 젖거나 찢어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due to the nature of the flag-hoisting means, which are operated manually, the flag cannot be retrieved in the absence of the user in a situation where the flag must be retrieved, so the flag is often damaged, and even if the flag is retrieved relatively quickly. There was a problem where the flag often got wet or tor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08149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99-000814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정된 상황에서 국기를 편리하게 자동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상 변화 등과 같은 돌발 상황에서 국기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국기를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allows the national flag to be conveniently and automatically hoisted in designated situations, and also allows the national flag to be automatically retrieved in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weather changes,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that allows convenient oper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국기 게양장치는, 국기를 표시하는 국기표시부재와, 상기 국기표시부재를 고정하는 게양봉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국기 게양유닛 및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수평면에 대한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바디유닛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 flag hoisting unit including a flag display member for displaying the national flag, a hoisting stick assembly for fixing the flag display member, and a lower end of the hoisting stick assembly. It includes a body unit including an angle variable assembly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이때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는, 상기 국기표시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봉 및 상기 고정봉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봉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isting rod assembly may include a fixing rod to which one end of the flag display member is fixed and a cover rod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또한 상기 커버봉의 적어도 일부 길이에는, 상기 국기표시부재가 상기 고정봉으로부터 상기 커버봉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개구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ening slit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cover rod so that the flag display member can be extended and unfolded from the fixing ro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rod.

그리고 상기 각도 가변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모터,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angle variabl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drive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fixing member that fixes the rotational axis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and a gear module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to the rotational shaft. .

더불어 상기 바디유닛은,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를,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assembly that rotates the hoisting pole assembly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또한 상기 로테이팅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otating assembly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he hoisting pole assembly.

그리고 상기 바디유닛은, 내부에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일부와 상기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 가변에 따른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바디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body unit has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and the angle variable assembly, and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frame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이때 상기 바디유닛은, 빗물의 낙하를 감지하는 빗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ainwate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falling rainwater.

또한 상기 바디유닛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d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sunligh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국기 게양장치는, 바디유닛에 구비되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통해 국기를 표시하는 국기표시부재를 고정하는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정된 상황에서 국기를 편리하게 자동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상 변화 등과 같은 돌발 상황에서 국기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국기를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llows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that fixes the flag display member that displays the flag to be varied through an angle variable assembly provided in the body unit, thereby allowing the speci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conveniently operating the flag by allowing the flag to be hoisted automatically and conveniently in certain situations, and also to automatically retrieve the flag in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weather chang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에 있어서, 게양봉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를 외부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를 통해 국기를 게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에 있어서, 국기 게양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external control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hoisting a national flag using an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flag hoisting unit 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미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ior of the automatic flag-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atic flag-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에 있어서,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는 국기 게양유닛(100)과, 바디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g hoisting unit 100 and a body unit 200.

이 중 국기 게양유닛(100)은 국기를 표시하는 국기표시부재(120)와, 국기표시부재(120)를 고정하는 게양봉 어셈블리(110)를 포함한다.Among these, the flag hoisting unit 100 includes a flag display member 120 that displays the national flag, and a hoisting pole assembly 110 that fixes the flag display member 120.

그리고 바디유닛(200)은 이와 같은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수평면에 대한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와, 게양봉 어셈블리(110)를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를 포함한다.And the body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and includes an angle variable assembly 230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t includes a rotating assembly 240 that rotates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국기표시부재(120)는 패브릭,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국기의 문양이 인쇄되거나 수놓아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국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lag display member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or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to display the flag in various ways, such as printing or embroidering a specific flag pattern.

그리고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이와 같은 국기표시부재(120)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국기표시부재(12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봉(110b)과, 고정봉(110b)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봉(110a)을 포함하여, 이중 결합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nd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s a means for fixing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ncludes a fixing pole 110b to which one end of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fixed, and the fixing pole 110b. It is formed to have a double bond structure, including a cover rod (110a)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바디유닛(200)은 이와 같은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수평면에 대한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와, 게양봉 어셈블리(110)를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를 포함한다.The body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and includes an angle variable assembly 230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t includes a rotating assembly 240 that rotates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beekeeping assembly 110.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바디유닛(200)은 내부에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일부와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며,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각도 가변에 따른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이동 궤적을 따라 수용공간(21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212)이 형성된 바디프레임(21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ody unit 200 has a receiving space 211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and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and the angle variable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s formed. It further includes a body frame 210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21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211 and the outside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즉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에 의해 연통홀(2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바디프레임(210)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게양봉 어셈블리(110)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 및 로테이팅 어셈블리(240)가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That is,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can be moved along the communication hole 212 by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and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210 has a variable angle for controlling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t has a form provided with an assembly 230 and a rotating assembly 240.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모터(231)와,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3)와, 제1구동모터(231)의 회전 구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모듈(232)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includes a first drive motor 23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fixing member 233 that fixes the rotation axis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and a first drive motor. It includes a gear module 232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1 to the rotation shaft.

이에 따라 제1구동모터(231)가 구동될 경우 기어모듈(232)을 통해 구동력이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회전축에 전달되며,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rive motor 231 is drive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through the gear module 232, and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can be varied. .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모터(242), 그리고 제2구동모터(242)와 게양봉 어셈블리(110)를 연결하는 연결바(241)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assembly 240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242 that generates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connecting bar 241 that connects the second drive motor 242 and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t can be included.

이때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기표시부재(12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봉(110b)과, 고정봉(110b)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봉(110a)을 포함하며,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는 이 중 고정봉(110b)과 연결되어 고정봉(110b)을 로테이팅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ncludes a fixed rod 110b to which one end of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fixed, as described above, and a cover rod 110a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xed rod 110b. , the rotating assembly 240 is connected to the fixed rod 110b and is provided to rotate and rotate the fixed rod 110b.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봉(110a)의 적어도 일부 길이에는, 국기표시부재(120)가 고정봉(110b)으로부터 커버봉(110a)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개구된 슬릿(111)이 형성되며, 따라서 로테이팅 어셈블리(240)가 고정봉(110b)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국기표시부재(120)는 슬릿(111)을 통과하여 고정봉(110b)둘레에 감기게 되며, 반대로 로테이팅 어셈블리(240)가 고정봉(110b)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국기표시부재(120)는 고정봉(110b)에서 풀려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cover rod (110a) has a flag display member (120) extending from the fixing rod (110b) to the outside of the cover rod (110a) so that it can be unfolded. An open slit 111 is formed, and therefore, when the rotating assembly 240 rotates the fixing rod 110b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lag display member 120 passes through the slit 111 and is around the fixing rod 110b. Conversely, when the rotating assembly 240 rotates the fixing rod 110b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released from the fixing rod 110b and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increases.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바디프레임(210)의 내부에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 및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250)과, 바디유닛(200)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력공급부(260)는 배터리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외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력케이블 등의 전력공급수단이 연결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inside the body frame 210, there is a circuit board 25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and the rotating assembly 240, and a circuit board 25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body unit 200. A power supply unit 26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be in the form of a battery, or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orm in which a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power cable that allows external power to be supplied is connect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바디프레임(210)의 하부에는 건물의 벽체 등에 설치된 고정용 브라켓에 본 발명을 꽂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220)와, 바디프레임(2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각부에 공급하거나 전력공급부(260)에 전달하여 축전되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213)과, 빗물의 낙하를 감지하는 빗물감지센서(2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220 that allows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unted on a fixing bracket installed on the wall of a building, and on one side of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210. A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213 that receives light to generate power and supplies the generated power to each part or transmits it to the power supply unit 260 to store electricity, and a rainwater detection sensor 214 that detects rainwater falling. More may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를 외부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external control of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5)를 통해 외부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회로기판(250)은 모바일 단말기(5)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rnally controlled through a mobile terminal 5 such as a smartphone owned by the user, and for this purpose, a circuit is required. The board 25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to receive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

이에 따라 사용자는 IoT(Internet of Thing) 환경에서 모바일 단말기(5)에 연동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날짜, 시간 등을 세팅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250)은 이와 같은 세팅에 따라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 및 로테이팅 어셈블리(24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t the date, time, etc. by installing software linked to the mobile terminal 5 in an IoT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and the circuit board 250 is configured as an angle variable assembly 230 according to this setting. and the rotating assembly 24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국기 게양일이나 시간을 잊더라도 가동으로 국기를 게양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nd convenient because it allows the user to hoist the national flag movably even if he or she forgets the date or time of hoisting the national flag.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빗물감지센서(21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므로, 우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소프트웨어 설정에 따라 국기를 게양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rainwater detection sensor 214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if it is determined that a rainy situation has occurred, the national flag can be hoisted or retrieved according to the user's software settings.

즉 본 발명은 지정된 상황에서 국기를 편리하게 자동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상 변화 등과 같은 돌발 상황에서 국기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국기를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lag to be conveniently and automatically hoisted in designated situations, and also allows the flag to be automatically retrieved in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weather changes, so that the flag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를 통해 국기를 게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5 to 8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hoisting a national flag using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는 초기 상태에서 국기표시부재(120)가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고정봉(110b)에 감겨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구비되며, 또한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바디유닛(200)으로부터 상부로 기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수평면에 대해 직각을 이룬 형태를 가진다.First, as shown in FIG. 5, 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wound around the fixing rod 110b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n the initial state. It is provided in a state that is not exposed, and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s provided in an upright state from the body unit 200 and has a shap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horizontal plane.

그리고 국기를 게양하게 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양봉 어셈블리(110)가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에 의해 수평면과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하부로 회전되고,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팅 어셈블리(240)에 의해 고정봉(110b)이 커버봉(110a) 내측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국기표시부재(120)가 고정봉(110b)으로부터 풀려 외부로 노출된다.And when the national flag is to be hoisted, as shown in FIG. 6,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s rotated downward by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to be level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then as shown in FIG. 7. The fixing rod 110b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side the cover rod 110a by the rotating assembly 240, so that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released from the fixing rod 110b and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국기표시부재(120)가 완전히 펼쳐져 외부에 노출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양봉 어셈블리(110)가 각도 가변 어셈블리(230)에 의해 상부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국기표시부재(120)를 적절한 각도로 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약 6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In addition, after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completely unfol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8,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is rotat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angle variable assembly 230, and the flag display member ( 120)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about 60°, but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ereto.

더불어 국기를 회수해야 할 경우에는, 전술한 국기 게양 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하여 회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national flag needs to be recovered, the above-mentioned flag hois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to proceed with the recovery process.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게양봉 어셈블리(11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바디유닛(200)은 이와 같은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길이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may have a telescopic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and the body unit 200 is a devic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110 to be automatically varied. It may further include 3 drive motors (not shown).

특히 게양봉 어셈블리(110)의 고정봉(110b)이 길이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고정봉(110b)의 일부를 국기표시부재(120)보다 높이 연장하여 조기(弔旗)의 형태로 게양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ixed rod 110b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110 is formed to have a variable length, a part of the fixed rod 110b is extended higher than the national flag display member 120 to form a flag. You can also have it rais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국기 게양장치(10)에 있어서, 국기 게양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flag hoisting unit 100 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국기표시부재(120)의 상단부에 탄성와이어(121)가 내설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9, the elastic wire 121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lag display member 120.

이와 같은 탄성와이어(121)는 국기표시부재(120)가 고정봉(110b)에 감기게 될 경우 형상이 국기표시부재(120)와 함께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Such an elastic wire 121 is formed so that its shape can be deformed together with the flag display member 120 when the flag display member 120 is wound around the fixing rod 110b, but is formed to have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It can be.

이에 따라 탄성와이어(121)는 유연성을 가지는 국기표시부재(120)가 고정봉(110b)에 감기거나 고정봉(110b)으로부터 펼쳐지는 과정에서 국기표시부재(120)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또한 국기표시부재(120)가 외부로 인출된 상황에서 그 형태를 올바르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wire 121 facilitates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flexible flag display member 120 in the process of being wound around the fixing rod 110b or unfolding from the fixing rod 110b. It can assist as much as possible, and can also ensure that the flag display member 120 maintains its shape correctly when it is pulled o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자동 국기 게양장치
100: 국기 계양유닛
110: 게양봉 어셈블리
110a: 커버봉
110b: 고정봉
111: 슬릿
120: 국기표시부재
121: 탄성와이어
200: 바디유닛
210: 바디프레임
211: 수용공간
212: 연통홀
213: 태양광 발전모듈
214: 빗물감지센서
220: 거치부
230: 각도 가변 어셈블리
231: 제1구동모터
232: 기어모듈
233: 고정부재
240: 로테이팅 어셈블리
241: 연결바
242: 제2구동모터
250: 회로기판
260: 전력공급부
10: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100: Flag hoisting unit
110: Hoisting pole assembly
110a: Cover rod
110b: fixed rod
111: slit
120: Absence of flag display
121: Elastic wire
200: body unit
210: Body frame
211: Accommodation space
212: Communication hole
213: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214: Rainwater detection sensor
220: Holder
230: Angle variable assembly
231: First drive motor
232: Gear module
233: Fixing member
240: rotating assembly
241: connecting bar
242: Second drive motor
250: circuit board
260: Power supply unit

Claims (9)

국기를 표시하는 국기표시부재와, 상기 국기표시부재를 고정하는 게양봉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국기 게양유닛; 및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수평면에 대한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유닛은,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를,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는,
상기 국기표시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 길이에는 상기 국기표시부재가 상기 고정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개구된 슬릿이 형성된 커버봉; 및
상기 고정봉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3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상기 국기표시부재를 조기의 형태로 게양하여야 할 경우, 상기 제3구동모터를 통해 상기 고정봉의 일부를 상기 국기표시부재보다 높이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국기표시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로테이팅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국기표시부재가 상기 고정봉에 감기게 될 경우 상기 국기표시부재와 함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국기표시부재가 상기 고정봉에 감기거나 상기 고정봉으로부터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국기표시부재의 인입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고, 상기 국기표시부재가 외부로 인출된 상황에서 기 설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와이어가 내설된,
자동 국기 게양장치.
A flag hoisting unit including a flag display member for displaying a national flag, and a hoisting rod assembly for fixing the flag display member; and
A body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and including an angle variable assembly that changes the angle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cludes,
The body unit is,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assembly that rotates the hoisting rod assembly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The hoisting pole assembly,
a fixing rod on which one end of the flag display member is fixed and which is formed to have a telescopic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a cover rod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xing rod, and having an opening slit formed at least in part of its length so that the flag display member can extend and unfold outward from the fixing rod; and
a third drive motor provided to vary the length of the fixing rod;
Including, when the flag display member is to be hoisted in the form of a flag, a part of the fixing rod is formed to extend higher than the flag display member through the third drive motor,
The upper part of the flag display member is formed so that its shape can be deformed together with the flag display member when the flag display member is wound around the fixing rod by the rotating assembly, but is formed to have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 Assists in smoothly drawing in and out of the flag display member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flag display member around the fixing rod or unfolding from the fixing rod, and having a preset shape in a situation where the flag display member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An elastic wire is built in to maintain th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가변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모터;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모듈;
을 포함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ngle variable assembly,
A first drive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driving forc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otation axis of the hoisting pole assembly; and
a gear module transmitt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 motor to the rotation shaft;
Including,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팅 어셈블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tating assembly,
a second drive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second drive motor and the hoisting pole assembly;
Including,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내부에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일부와 상기 각도 가변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각도 가변에 따른 상기 게양봉 어셈블리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바디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unit is,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and the angle variable assembly,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outside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of the hoisting rod assembly. Further comprising this formed body frame,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빗물의 낙하를 감지하는 빗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rainwate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falling rainwater,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 국기 게양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sunlight,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KR1020210112732A 2021-08-26 2021-08-26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KR102578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32A KR102578880B1 (en) 2021-08-26 2021-08-26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32A KR102578880B1 (en) 2021-08-26 2021-08-26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22A KR20230030722A (en) 2023-03-07
KR102578880B1 true KR102578880B1 (en) 2023-09-13

Family

ID=8551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32A KR102578880B1 (en) 2021-08-26 2021-08-26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880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49U (en) 1998-11-23 1999-02-25 박정태 Mounted flag rack with variable height
KR101281142B1 (en) * 2011-10-26 2013-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lag rai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27911A (en) * 2015-09-02 2017-03-13 주식회사 협성엠티 Bracket assembly for flag hoisting
KR20170054658A (en) * 2015-11-10 2017-05-18 이승수 Flag hoisting devices
KR101782427B1 (en) * 2015-12-08 2017-09-27 한솔에코(주) Method for hoisting f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22A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8182B (en) Control device for a lighting element to be mounted on a roller-type covering installation
US11261659B2 (en) Cordless blind device
KR102578880B1 (en) Automatic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KR101736164B1 (en) Automatic ventilator for vinyl house
CN110459999A (en) A kind of removing ice of power transmission line mechanism
CN200983069Y (en) Elevating projection screen with portable electromotive base
CN214249423U (en) Lighting system for municipal construction
JP5927041B2 (en) Awning device and opening structure to which the awning device is attached
KR101436750B1 (en) Apparatus for hoist flag
KR101643323B1 (en) Electrically-Powered Blind with Solar Power
CN218454519U (en) Electric awning with intelligent control box
KR100839500B1 (en) Electron automatic umbrella
KR2019008264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oldable awning
CN206581862U (en) A kind of rain-proof curtain with remote control switch function
CN217269119U (en) Tourist attraction is with hiding rain equipment
KR200415738Y1 (en) An automatic control of propeller the wind force generator
CN214828617U (en) Power winch with changeable connection position
CN217758024U (en) Vertical single-rod clothes airing device
KR200167765Y1 (en) Flag inout device having auto winding means
CN219138310U (en) Hanging basket with sun-proof function
CN217109761U (en) Installation componen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same
CN212222184U (en) Curtain wall dismantling device
CN215836180U (en) Liftable breeding canopy
CN217353136U (en) Wireless lamp integration band with grille
CN218276604U (en) Special fastening device for photovoltaic module press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