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592B1 -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 Google Patents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592B1
KR102578592B1 KR1020210145059A KR20210145059A KR102578592B1 KR 102578592 B1 KR102578592 B1 KR 102578592B1 KR 1020210145059 A KR1020210145059 A KR 1020210145059A KR 20210145059 A KR20210145059 A KR 20210145059A KR 102578592 B1 KR102578592 B1 KR 10257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
loading
partition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0391A (en
Inventor
노주현
김규태
최석재
김훈
이현택
황강현
성창민
윤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더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to KR102021014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6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to reserve st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크기에 따라 추가적인 부품 교체 없이 적재공간이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that facilitates loading of products by changing the loading space without replacing additional part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and to a kiosk-type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rieval system is a space-variable loading and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body and consists of at least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rear plate, defining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products; One or more partition plate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rear plat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load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load products on the upper surface; A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late to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is installed; An op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withdraw product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to withdraw products load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Description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variable loading and retrieva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space-variable loading and retrieval system in which the loading spac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making it easy to load products, and a kiosk-type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판기는 인력 동원 없이 상품을 자동으로 파는 장치를 말한다. 즉, 자판기는 동전, 지폐,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을 자동으로 배출하고 인출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ending machine refers to a device that automatically sells products without mobilizing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a vend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ispenses and allows you to withdraw the product when you pay with coins, bills, credit cards, transportation cards, etc. and select the product you want.

종래의 자판기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자판기’와 같이 적재트레이가 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자판기의 길이(lenght; 정면 시점에서 정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적재트레이에 적재될 수 있는 상품 개수가 정해진다.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has a structure where a loading tray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s in the 'mask vending machine' shown in Figure 1, and the length of the vending machine (lenght;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back from the front view) and the length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is, the number of products that can be loaded on the loading tray is determined.

이로 인해, 상품의 폭(width; 정면 시점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의 길이)과 높이(height; 정면 시점에서 하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가 적재트레이의 폭 또는 높이보다 클 경우에는 상품을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Because of this, if the width (length from left to right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height (distance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product are greater than the width or height of the loading tray, the product cannot be loaded. A problem arises.

또한, 종래의 자판기는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품을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해서 적재트레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혹은 부품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상품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프링 혹은 부품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the spring or part provided in the loading tray must be changed in order to easily withdraw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oduct, so a plurality of springs or parts of different lengths are additionally provid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roduct.

이로 인해, 적재되는 상품의 길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상품의 길이와 대응되는 부품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Because of this, when the length of the loaded product change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it with a part that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product.

한국등록특허 제10-2224412호 ‘마스크 자판기’Korean Patent No. 10-2224412 ‘Mask Vending Machine’ 한국등록특허 제10-2247342호 ‘스마트 키오스크’Korean Patent No. 10-2247342 ‘Smart Kiosk’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 적재가 가능한 내부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폭 및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부품 교체가 필요없는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in which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loading products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idth and length are variable, making it easy to loa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part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We would like to provide a kiosk-type vending machine using th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적재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최하측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는 걸림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body, which is composed of at least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back plate, and defines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products; One or more partition plate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rear plat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load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load products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is located at the lowest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so that only one product located at the lowest side among the products loaded on the loading plate is extracted. and a stopping plate whose en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positioned on the product; A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late to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is installed; An op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withdraw product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to withdraw products load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이 경우,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first partition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plate so that the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o form a unit space in which products can be loaded in the inner space.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And the operating unit independently withdraws the product for each unit spac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unit space included in the partitioned spa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아울러,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은 상기 제1구획홈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홈에 상기 구획판의 일단이 고정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wherein the second partition groove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partition groove, and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is located in the second partition groove. It is fixed.

또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걸림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econd direction to fit the locking plate to the partition plat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direction to fit the locking plate to the coupling portion. Thus, the stopping plate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구획판의 결합 위치 또는 결합개수에 따라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의 폭이 가변되고, 걸림판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공간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공간이 용이하게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하다.In the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pace in which products can be loaded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r number of partition plates, and the length of the spac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topping plate. As a result, the space can be easily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making it easy to load the product.

그리고 상품의 높이에 따라 걸림판이 결합되는 높이가 변경됨으로써 적재공간의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만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t which the locking plate is combined chang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roduct, so that only products loaded on the lowest side of the loading space can be easily removed.

아울러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후판의 후면이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상품 적재 시 상품의 후면이 후판의 전면과 면접촉되어 상품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In addition, products can be pulled out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and the back of the back plate is tilted toward the rear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floor, so that when loading the product, the back of the produ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back plate, making the product more stable. It can be loaded as .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트레이가 구비된 자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 인출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획판, 걸림판 및 적재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공간 및 적재공간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loading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kiosk capable of withdraw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plate, the stopping plate, and the load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ight side view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briefly showing unit space and load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 또는“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되거나 연결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구비” 또는“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simplified or omitted, and some components are “equipped” with other components. When it is described as “or “combined,”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provid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ovided” or “combined” between each component. .

그리고 제1방향은 정면 시점에서의 종방향, 제2방향은 정면 시점에서의 정면에서 후면으로의 방향, 제3방향은 정면 시점에서 횡방향을 의미한다.And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view, the secon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back from the front view, and the third direction refer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ront view.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 인출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도어 상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관통하여 상품을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Figure 2 shows a diagram showing a kiosk capable of withdraw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he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and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a touch screen-typ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door, and the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kiosk-type vending machine that includes a draw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withdraw products through the main door.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가 도시된다.3 and 4 show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좌측판(110), 우측판(120), 후판(130) 및 상판(140)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130)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200);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300); 상기 구획판(200),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300)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한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상품 전면에 배치되는 걸림판(400); 상기 적재판(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300)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500); 상기 후판(13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600); 및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is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main body and consists of a left plate 110, a right plate 120, a back plate 130, and a top plate 140, and is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products. A main body that defines; One or more partition plates 200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rear plate 130 to longitudinally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loading plate 30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product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coupled to the sides of the partition plate 200,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and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product so that only one product located on the lowest side among the products loaded on the loading plate 300 is extracted. A stopping plate (400); An operating unit 5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300 to withdraw product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A sensor unit 6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late 130 to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200 is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500 to withdraw products load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상기 후판(130)에는 구획판(200)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131)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된다.A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is formed in the rear plate 130 so that the partition plate 200 is inserted into it, and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grooves 13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products can be loaded in the internal space. A unit space is formed.

상세히, 제1구획홈(131)은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되되, 각 열에 형성되는 제1구획홈(131)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In detail,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131 are formed in one or more rows, and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131 formed in each row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상기 적재판(300)은 수직으로 후판(130)의 하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후판(130) 하측에서 좌측판(130) 및 우측판(120)과 결합된다. 상기 소정의 거리는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후술되는 블럭(150)의 높이보다 길고 적재되는 상품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의미한다.The loading plate 300 is vertically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30 and is coupled to the left plate 130 and the right plate 120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130. The predetermined distance means that it is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block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plate 130, and is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product being loaded.

상기 걸림판(400)은 상기 구획판(200),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되, 적재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이하 ‘L’)를 이격하여 설치된다. 상기 L은 적재된 상품의 높이(H)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L은 H ≤ L ≤ 2H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The stopping plate 40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plate 200,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and is position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are installe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H) of the loaded product, and the L can be set within the range of H ≤ L ≤ 2H.

즉,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의 높이가 H일 경우 적재판(300) 상면에서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되는 상품의 높이까지의 거리는 2H가 된다.That is, if the height of the product loaded on the lowest side is H,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to the height of the product loaded on the product is 2H.

따라서, 상기 걸림판(400)은 최하측에 적재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어,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부로 이동할 시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부로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end of the stopping plate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loaded on the lowest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loaded on the product, so that when the product loaded on the lowest side moves to the front, the product loaded on the product This can prevent them from moving together to the front.

상기 작동부(500)는 적재판(300)의 상면에 구비되되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되는 블럭(510)과 적재판(3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적재판(3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블럭(510)과 결합되는 이동부(520)를 포함한다.The operating unit 5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and is provided at a block 510 located on the rear of the rear plate 130 and at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plate 300, but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It includes a moving part 520 that is coupled to the block 510.

그리고 상기 작동부(500)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럭(510) 및 이동부(520)가 단위공간마다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the block 510 and the moving unit 520 for each unit space so that the product can be independently withdrawn from each unit space.

상기 센서부(600)는 후판(130)의 후면에 구비되어 후판(130)에 끼움 장착되는 구획판(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센서(610)와 상판(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300)에 적재된 상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서(62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6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ck plate 130 and includes one or more first sensors 610 that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200 fitted into the back plate 130 is installed and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140. It is provided in and includes a second sensor 620 that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product loaded on the loading plate 300.

상기 제1센서(610)는 광센서, 압력센서 또는 클릭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획홈(131)의 일측에 구비된다.The first sensor 610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 click switch,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상기 제2센서(620)는 적재된 상품 중 최상단에 위치한 상품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 또는 소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위공간마다 구비된다.The second sensor 620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or a sound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product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loaded products, and is provided in each unit space.

한편, 상기 상판(140)은 메인바디의 상면부에 설치되되,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후판(130)과 결합된다. 상기 제2센서(620)는 상면부에 위치되는 상판(140)의 하면에 구비됨으로써 적재판(300)의 상면과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Meanwhile, the upper plate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e side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coupled to the rear plate 130. The second sensor 62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measure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600)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unit space included in the partitioned spa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00 based on the information.

즉, 상기 제어부는 제1구획홈(131)마다 구비된 제1센서(610)의 위치를 바탕으로 후판(130)에 장착된 구획판(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200 mounted on the rear plate 13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610 provided in each first partition groove 131.

상기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를 의미한다.The information about the unit space mean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nit space includ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예를 들어, 상기 후판(130)에 5개의 제1구획홈(1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내부공간은 상기 제1구획홈(131)에 의해 6개의 단위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5개의 제1구획홈(131) 중 중간에 형성된 제1구획홈(131)에 구획판(200)이 끼움 장착될 경우,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내부공간이 2개로 구획되며 각각의 구획된 공간은 3개의 단위공간이 포함된다.For example, when five first compartment grooves 13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back plate 130, six unit spaces ar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by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131. And when the partition plate 200 is fitted into the first partition groove 131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ve first partition grooves 131, the internal space is divided into two by the partition plate 200, and each The partitioned space includes three unit spaces.

이때, 정면 시점(후판(120)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되는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를 ‘A’로 설정하고 우측에 위치되는 단위공간들의 식별번호를 차례대로 ‘B’ 내지 ‘F’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nit space located on the far left from the front view (when looking at the back plate 120 from the front) is set to 'A',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unit spaces located on the right are sequentially set to 'B' to 'B'. It can be set to 'F'.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200)과 걸림판(400)의 결합관계 및 구획판(200)과 적재판(3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판(200)에는 걸림판(400)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2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400)에는 결합부(210)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4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걸림판(400)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의 길이(lenght; 정면 시점에서 정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품의 높이에 따라 걸림판(400)의 하측 단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Figure 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plate 200 and the stopping plate 400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plate 200 and the loading plat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21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partition plate 200 so that the locking plate 400 is fitted. The locking plate 40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410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direction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10. As a result, the locking plate 400 is moved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space in which the product can be loaded (lenght;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back from the front view) changes, and the height of the product changes.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topping plate 400 may be changed.

그리고 상기 결합부(210)는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판(400)이 상기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에 결합될 수 있다.And the coupling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so that the locking plate 400 can be coupled to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상기 걸림판(400)은 결합홈(410)이 형성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품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부재로 구성된다.The locking plate 400 is composed of a side member on which a coupling groove 410 is formed and a front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side member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product.

그리고 상기 결합홈(410)이 측면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구획판(200) 양측면에 걸림판(40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는 걸림판(400)을 180도 회전함으로써 전면부재를 상품 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And the coupling grooves 41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members. When it is desired to attach the locking plate 400 to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late 200, the front member can be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product by rotating the locking plate 400, which is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 by 180 degrees.

상기 구획판(200)의 양측면 즉, 걸림판(400)과의 결합으로 인해 접촉하는 면에는 자석(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걸림판(400)의 측면에 상기 자석(220)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석(220)은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220)으로 인해, 구획판(200)과 걸림판(400) 간의 결합력과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과 걸린판(4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상품 인출에 의한 전진력에 의해 걸림판(4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agnets 2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late 200, that is, on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late 400. Alternatively, the magnet 2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pping plate 400. In addition, the magnet 2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Due to the magnet 220,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rtition plate 200 and the locking plate 400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and the hanging plate 400 ar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forward force by product withdraw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ing plate 400 from moving.

그리고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제1구획홈(131)에 끼움 장착되도록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끼움부(230)과 후술되는 제2구획홈(310)에 끼움 장착되도록 하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끼움부를 포함한다.And the partition plate 200 has a first fitting portion 230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to be fitted into the first partition groove 131 and a lower side so as to be fitted into a second partition groove 310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 second fit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한편, 상기 제1끼움부(230)는 제1구획홈(131)이 복수개의 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구획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first fitt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상기 적재판(300)의 하부에는 작동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작동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판(3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3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310)은 상기 제1구획홈(131)과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An oper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perating unit 5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3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compartment grooves 31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and the second compartment grooves 310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이로 인해, 상기 제1끼움부(230)가 제1구획홈(131)에 끼움 장착된 후 제2구획홈(310)에 제2끼움부(240)가 끼움 장착됨으로써, 구획판(200)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first fitting part 230 is fitted into the first compartment groove 131 and then the second fitting part 240 is fitted into the second compartment groove 310, thereby forming the partition plate 200. It can be fixed stably.

그리고 적재판(3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520)가 작동공간에서 상면을 관통하여 블럭(5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작동홈(3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operating grooves 32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so that the moving part 520 can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in the operating space and be coupled to the block 510.

상기 작동홈(320)은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블럭(510)을 이동부(520)를 통해 후판(130)의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operating groove 320 is formed lo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move the block 510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plate 130 to the front of the rear plate 130 through the moving unit 520.

이때, 상품은 상기 작동홈(320)이 형성되는 상면에 적재되되 후판(130)의 전면에 위치되므로,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되는 블럭(51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인출된다.At this time, the produc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operating groove 320 is formed a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back plate 130, so it is moved and pulled out by the block 510 located in the back of the back plate 130.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우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후판(130)은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과 결합된다.Figure 6 shows a right side view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rear plate 130 is coupled to the left plate 110 and the right plate 120 in a stat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rear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floor.

한편, 상기 적재판(300)은 후판(130)을 기준으로 후판(130)의 전면에 위치한 전면적재판과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후면적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면적재판의 길이가 전면적재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Meanwhile, the loading plate 300 is composed of a front plat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ack plate 130 and a rear plate located on the back of the back plate 130, and the length of the rear plate 130 is the front plate 130.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rial.

따라서, 상기 전면적재판의 길이가 상품의 길이보다 짧아 상품의 일부분이 전면적재판의 상면을 벗어나더라도 상품의 후면이 후판(130)의 전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상품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length of the full-scale plat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oduct and a part of the product exceeds the upper surface of the full-scale plate, the back of the produc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back plate 130, so the product can be stably loaded.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공간 및 적재공간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 도시된다.Figures 7 and 8 show schematic diagrams of unit space and load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작동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된다.9 and 10 show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an operational example of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가 제1센서(610)로부터 감지된 구획판(200)의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 method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00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tition plate 200 is mounted or no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610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후판(130)에 형성된 제1구획홈(131)의 개수를 바탕으로 내부공간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공간 식별번호를 설정한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control unit sets a plurality of unit space identification number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based on the number of first compartment grooves 131 formed in the rear plate 130.

예를 들어, 상기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A’내지‘F’로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nit space may be stored as ‘A’ to ‘F’ from the lef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제1센서(610)로부터 구획판(200)의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센서(610)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판(200)이 어느 제1구획홈(131)에 장착되었는지 판단한다.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200 is installed from one or more first sensors 610, and determines which first partition groove the partition plate 200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610. Determine whether it is installed at (131).

그리고 좌측판(110)과 상기 좌측판(11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우측판(120)과 상기 우측판(12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두 개의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을 적재공간으로 판단하고, 적재공간들의 식별번호를 설정한다.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left plate 110 and the partition plate 200 mount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left plate 110, the right plate 120 and the partition plate 200 mount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right plate 120.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200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wo partition plates 200 are determined as loading spaces, and identification numbers for the loading spaces are set.

예를 들어, 상기 적재공간이 2개일 경우, 적재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 ‘Ⅰ’및‘Ⅱ’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재공간이 6개일 경우 적재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 ‘Ⅰ’및‘Ⅵ’로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loading spaces,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loading spaces may be stored as ‘Ⅰ’ and ‘Ⅱ’ from the left. Alternatively, if there are six loading spaces,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loading spaces can be stored as ‘I’ and ‘VI’ from the lef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적재공간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적재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들의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해당 단위공간들에 구비되는 이동부(520)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unit spaces included in the loading space based on the loading space identification number,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moving unit 520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unit spaces. The product can be withdraw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2센서(620)로부터 측정된 적재판(300) 상면까지의 거리를 통해 상품의 적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제2센서(620)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된 이동부(52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loaded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sensor 6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3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is not loaded, the second sensor 620 The moving unit 520 provided in the space where is located is not operated.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상품의 높이와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적재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calculate the loading amount based on the height of the product and the measured distanc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리자에게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ransmit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110 : 좌측판 120 : 우측판
130 : 후판 131 : 제1구획홈
140 : 상판 200 : 구획판
210 : 결합부 220 : 자석
230 : 제1끼움부 240 : 제2끼움부
300 : 적재판 310 : 제2구획홈
320 : 작동홈 400 : 걸림판
410 : 결합홈 510 : 블럭
520 : 이동부 610 : 제1센서
620 : 제2센서
110: Left plate 120: Right plate
130: back plate 131: first compartment groove
140: top plate 200: partition plate
210: coupling part 220: magnet
230: first fitting part 240: second fitting part
300: loading plate 310: second compartment groove
320: Operating groove 400: Locking plate
410: Coupling groove 510: Block
520: moving part 610: first sensor
620: Second sensor

Claims (5)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A main body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body and consisting of at least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rear plate, defining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products;
One or more partition plate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rear plat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load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load products on the upper surface;
A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late to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is installed;
An op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withdraw product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to withdraw products load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A first compartment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plate so that the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into i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o form a unit space in which products can be loaded in the inner space,
The operating unit can independently withdraw products for each unit spa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unit space included in the partitioned spa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Withdrawa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은 상기 제1구획홈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홈에 상기 구획판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 plurality of second compartment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compartment grooves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is fixed to the second parti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적재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최하측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is located at the lowest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so that only one product located at the lowest side among the products loaded on the loading plate is extracted.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topping plate whose en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positioned on the produ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걸림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partition plate,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a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late is fitted,
In the hitch plat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a first direction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A space-variab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late can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도어 상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관통하여 상품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을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A main body with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and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door;
a withdrawal uni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withdraw products through the main door;
A main body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body and consisting of at least a left plate, a right plate, and a rear plate, defining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products;
One or more partition plate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main body and fitted into the rear plat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 load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load products on the upper surface;
A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late to detect whether the partition plate is installed;
An oper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withdraw product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to withdraw products load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A first compartment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plate so that the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into i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ompartment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o form a unit space in which products can be loaded in the inner space,
The operating unit can independently withdraw products for each unit spa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unit space included in the partitioned spa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Kiosk-type vending machine using a withdrawal system.
KR1020210145059A 2021-10-27 2021-10-27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KR102578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en) 2021-10-27 2021-10-27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en) 2021-10-27 2021-10-27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91A KR20230060391A (en) 2023-05-04
KR102578592B1 true KR102578592B1 (en) 2023-09-15

Family

ID=863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en) 2021-10-27 2021-10-27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13A (en) 2001-03-15 2002-09-27 Japan Tobacco Inc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2247342B1 (en) 2021-01-18 2021-05-03 (주)쿠프마케팅 Smart kios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958A (en) * 1997-05-08 1998-11-17 Japan Tobacco Inc Automatic vending machine
JP7209925B2 (en) * 2018-11-13 2023-01-23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Column automatic setting device for goods vending machine
KR102224412B1 (en) 2020-10-05 2021-03-08 이경훈 Mask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13A (en) 2001-03-15 2002-09-27 Japan Tobacco Inc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2247342B1 (en) 2021-01-18 2021-05-03 (주)쿠프마케팅 Smart kio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91A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50B1 (en) Bank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6419365B1 (en) Book rental return system
JP6882546B2 (en) Climbing gold storage device
JP4832913B2 (en) Bar storage and change replenishment management system
CN105900154B (en) Medium accumulation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US20040238614A1 (en) Connecting/holding machine of cash container and connecting/holding unit of cash container
KR102578592B1 (en) 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JP2008084087A (en) Rolled coin storage
EP0862153B1 (en) Drawer box
JP2009193348A (en) Change replenishment management system
US5520286A (en) Money case with partition plates
US8172068B2 (en) Coin slope
JP4577440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rack
JP5857720B2 (en) Sensor and monitoring device
KR101675065B1 (en) Tray device of room card-key vending machine
US10540836B2 (en)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coins from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JP4689864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JP2587645Y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shelf device
JPS5912691Y2 (en) Support device for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U647072B2 (en) Double CD storage means
JPH044304Y2 (en)
JP2795946B2 (en) Unit access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KR200334476Y1 (en) A shelf of coin receipt box
KR940002739A (en) Goods storage shelf of vending machine
JP6407094B2 (en) Cash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bar meta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