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93B1 -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93B1
KR102577793B1 KR1020220090779A KR20220090779A KR102577793B1 KR 102577793 B1 KR102577793 B1 KR 102577793B1 KR 1020220090779 A KR1020220090779 A KR 1020220090779A KR 20220090779 A KR20220090779 A KR 20220090779A KR 102577793 B1 KR102577793 B1 KR 10257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howcase
manufactur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플
Priority to KR102022009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은, 제조사 단말;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설계 파일을 전달받고, 상기 설계 파일의 설계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공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부품별 색상과 질감을 생성 및 수정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 및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렌더링 또는 영상처리된 3D 제품 쇼케이스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상기 설계 파일을 FBX 파일 및 DAE 파일로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하여 XML 파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입력 처리부와, 상기 제조사 단말측의 고객 정보 및 업로드되고 처리되는 파일들이 저장 및 관리되는 관리 DB와, 상기 입력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 및 제품 부품별 색상과 질감표현을 영상처리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품에 대한 렌더링 또는 영상처리된 3D 제품 쇼케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3D product showcase}
본 발명은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금형 등의 실제 제품에 대한 도면 파일을 이용 및 가공하여 다양한 기기 및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품의 3D 모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쇼케이스 제작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또는 금형 등의 제품 용기를 가공하려고 하는 경우, 제품 용기의 실제 샘플들을 직접 보도록 제공하였다.
하지만, 해외에서 실재 샘플들을 보여주기 위해서 많은 실재 샘플들을 운반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발명가들이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또한, 제품 홍보를 위하여 실제 제품(예를 들면, 샘플 제품)을 제작할 필요없이 실제 제품에 매우 가깝거나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징을 하여 제품 홍보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는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1-0121451 A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플라스틱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가공하기 위한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3D 제품 온라인 쇼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렉티브 요청에 대한 응답 처리가 서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모델의 저작권 보호는 물론이고, 낮은 성능의 단말기에서도 3D 렌더링된 모델이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은, 제조사 단말;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설계 파일을 전달받고, 상기 설계 파일의 설계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공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부품별 색상과 질감을 생성 및 수정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 및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렌더링 또는 영상처리된 3D 제품 쇼케이스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상기 설계 파일을 FBX 파일 및 DAE 파일로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하여 XML 파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입력 처리부와, 상기 제조사 단말측의 고객 정보 및 업로드되고 처리되는 파일들이 저장 및 관리되는 관리 DB와, 상기 입력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 및 제품 부품별 색상과 질감표현을 영상처리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품에 대한 렌더링 또는 영상처리된 3D 제품 쇼케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설계 파일을 파싱하여 제품의 재질, 색상 등에 관한 메뉴와, 구성 부품에 대한 분류 및 수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조사측에 제공하고, 수정 완료된 제품에 대해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URL등을 이용하여 쉽게 쇼케이스 내에서 해당 제품을 실제에 가깝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플랫폼에서 렌더링 또는 영상 처리된 3D 제품에 대한 쇼케이스를 보게 되므로, 단말기의 성능에 관계없이 브라우저를 통해서 쉽게 확인하고, 보여지는 제품에 대한 재질이나 색상, 구성 부품들을 다양하게 조절해가면서 실제 제품을 마치 확인하는 것처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조사는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소비자인 사용자들에게 광고/홍보를 진행할 수 있고, 실제 제품 제조시에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보다 상품성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소비자인 사용자는 실제 제품에 가깝게 용이한 방법으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온라인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조사 단말측이 업로드한 설계 파일로부터 추출한 스크립트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조사 단말측이 업로드한 설계 파일로부터 추출한 3D 모델 파일의 지오메트리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추출된 3D 모델 파일의 변환 스크립트의 시스템 내 사용 JSON 출력의 예시이다.
도 5와 도 6은 추출된 스크립트의 지오메트리 정보 중 네임값에 기초하여 모델 파트 정보를 구성하는 메뉴의 예와, 구성 요소의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티브 UI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에 대한 텍스쳐 설정값을 지정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에 대한 텍스쳐 설정값을 지정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제품 시뮬레이션 화면의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입력된 파일에 대한 제품 가공과 사용자 인터렉티브를 통한 수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제조사 단말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관리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조사측에서 설계 파일 업로드 또는 제품 의뢰등록을 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보여질 제품 쇼케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요약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온라인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을 통해 제품을 홍보 또는 광고하고자 하는 제조사측의 제조사 단말(10)과, 상기 제조사 단말(10)로부터 제공되는 3D 모델 파일을 이용하여 실시간 렌더링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렉티브 요청에 대해 응답 및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과,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에서 렌더링된 3D 제품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표시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사 단말(10)은 시제품을 만들기 전 3D 도면 파일을 이용해 실제 제품에 가까운 형상, 색채 및 질감을 갖는 3D 제품을 생성하여 자신의 제품을 홍보 또는 광고하기 위한 제조사측이 사용하는 기기로서, 컴퓨팅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거나 카메라와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태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이 될 수 있다.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은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제조사측에서 업로드하는 3D 모델 파일을 FBX 파일 및 DAE 파일로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하여 XML 파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입력 처리부(110)와,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에서 처리되는 고객측인 제조사 정보 및 업로드되고 처리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관리 DB(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에서 처리된 사용자 인터렉티브 화면을 전달받아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이 추출된 3D 모델의 Geometry의 파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3D 모델을 변경하거나 파트별(부품별) 외코팅, 내코팅, 증착 정보 등을 구성하는 등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되는 3D 모델 변경 요청 사항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고 다시 렌더링된 인터렉티브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의 입력 처리부(110)는, 설계 정보 관리부(111), 가공 정보 생성부(112), 및 제품 제조 관리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설계 정보 관리부(111)는 가공하려는 제품, 즉, 제조사 단말(10)로부터 업로드되는 3D 모델 에 대한 설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설계 정보 관리부(111)는, 제조사 단말(10)로부터 관리하는 설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설계 정보 중 제품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마킹(marking)하되, 수신한 설계 정보는 제품의 3D 정보이다. 즉, 수신한 설계 정보는 적어도 점, 선, 면 등과 관련된 정보, 좌표 정보, 길이 정보,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계 정보 관리부(111)는, 가공하려는 제품(설계 파일)에 대한 설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설계 파일은 3차원 형태 또는 FBX 형식의 파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계 정보 관리부(111)는 제조사가 업로드한 stp파일을 분석하여 fbx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등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설계 정보는 제품의 설계 파일과 함께, 해당 제품에 대한 관련 회사 또는 관련 설계자에 대한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 코드 정보는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 등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은 사용자 정보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아이디와 같은 사용자의 식별 코드 정보, 사용자 이름, 사용자 회사명, 사용자 회사의 식별 코드 정보, 사용자 연락처,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공하려는 제품에 대한 설계 정보의 관련 회사 또는 관련 설계자에 대한 식별 코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코드 정보 또는 사용자 회사의 식별 코드 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도 있다. 식별 코드 정보는 사용자에게 설계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부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식별 코드 별로 설계 정보에 대해 다른 접근 권한이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회사의 설계 정보만 볼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와 관련된 회사들의 설계 정보만 볼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제조사 단말이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100)에 접속 또는 로그인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조사 단말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상기 설계 파일과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의 3D 모델링을 수행하고, 특히, 추출된 스크립트의 지오메트리 정보에서 노드 중 name 속성값으로 모델 파트별(부품별)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인터렉티브 UI를 위한 3D 모델 부품별 구성 요소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FBX 분석기(Analyzer) 등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설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가공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가공 정보는 가공하려는 제품 용기 또는 제품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디자인 정보로서 설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정보는 제품의 색상, 질감, 재질, 각종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생성되는 가공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성된 가공 정보를 제조사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생성된 가공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조사 단말(10)로 파일 형태로 전송하고, 생성된 가공 정보는 제조사 단말(10)의 디스플레이 또는 제조사 단말(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상기 설계 정보 관리부(111)에 의하여 생성된 가공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사에서 시스템에 업로드 한 3D 모델 파일들을 FBX 파일 , DAE 파일로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하여 이를 관리 DB(120)에 저장한다. 이때, COLLADA(COLLAborative Design Activity) XML 스키마를 기반하여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제조사가 업로드한 설계 파일로부터 추출한 스크립트 정보의 예가 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제조사가 업로드한 설계 파일로부터 추출한 3D 모델 파일의 지오메트리 정보가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추출된 3D 모델 파일의 변환 스크립트의 시스템 내 사용 JSON 출력의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노드 탐색부, 속성 정보 분석부, 구조화 가공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탐색부는 업로드된 설계 파일에서 지오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를 탐색할 수 있으며, FBX 파일 내에서 모델의 구성요소인 파트별 오브젝트로서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속성 정보 분석부는 노드의 속성 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파트별 오브젝트인 노드의 속성(Property) 정보인 속성값 분석을 수행한다.
구조화 가공 정보 생성부는 분석한 속성 정보를 기초로 구조화된 데이터의 가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분석한 속성 정보인 추출된 값을 시스템에 맞게 구조화 또는 정형화함으로써 구조화된 데이터의 가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조화 또는 정형화된 데이터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가공 정보의 애니메이션(animation)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가공 정보의 애니메이션을 제조사 단말(10)에서 재생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제품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동영상 형태를 포함하며, 자동화에 의한 신규 상품이 노출되도록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제조사 단말(10)로부터 가공 정보에 대한 수정을 요청받을 경우, 생성된 가공 정보에 요청된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가공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결과의 가공 정보를 제조사 단말(10)로 전송하여 제조사측에서도 설계 도면 파일에 대해서 서버에서 가공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요청받은 수정은 제품 용기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 명도, 채도, 텍스처, 코팅 색상, 코팅 재질 등을 변경 또는 추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수정 사항이 없을 경우, 투명 또는 원래의 설계 설정이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애니메이션은 제품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불투명할 경우, 내부에 있는 제품 등을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는 동영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제조사에서 업로드한 3D 모델 파일로부터 3D 모델의 스크립트 정보, 지오메트리 정보 및 애니메이션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관리 DB에 저장한다.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변환된 스크립트에서 칼럼명 "id", "name", "value", "attr"를 갖는 노드를 중심으로 관리 DB에 저장하며, "attribute" 값에 해당하는 노드를 중심으로 저장한다.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추출된 스크립트의 지오메트리 정보 중에서 노드의 네임(name) 속성 값을 이용하여 모델 파트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3D 모델 파트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변경/수정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렉티브 UI가 사용자측에 제공되도록 한다.
도 5와 도 6에는 추출된 스크립트의 지오메트리 정보 중 네임값에 기초하여 모델 파트 정보를 구성하는 메뉴의 예와, 구성 요소의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티브 UI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지정이 가능하고, 외코팅의 종류(예를 들면, 플라스틱 유광, 플라스틱 무광, 메탈 유광, 메탈 무광 등)와 같은 후가공 옵션을 지정할 수 있는 관리자 설정 화면이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의 플랫폼에 접속한 제조사 단말(10)측에서 설계 정보 관리부(111)에 의하여 분류되는 점, 선, 면 등의 정보와 부품 정보에 기초하여 후가공 옵션, 예를 들면, 부품별 코팅 유무 및 코팅 종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선택과, 해당 선택된 부품에 대한 후가공 정보를 입력/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추출된 3D 모델의 지오메트리의 파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변경이 가능한 인터렉티브 메뉴/요소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 처리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측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출력 처리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재질, 색감 등의 모델 변경사항에 대한 정보나, 구성 요소의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사항에 기초하여 3D 모델의 지오메트리 파트 정보를 변경한 뒤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자체 성능에 의존할 필요없이 서버에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해당 상품 모델의 저작권 보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이나 브라우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에 대한 텍스쳐 설정값을 지정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에 대한 텍스쳐 설정값을 지정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품별 후가공 옵션을 3D파일 제공자인 제조사 단말(10)측으로 제공하는데, 이와 함께 해당 제품에 대한 텍스쳐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는 메뉴와, 제품 후가공에 필요한 텍스쳐의 속성 설정값을 추가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재질에 관하여 플라스틱 유광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 금속성의 정도, 광택의 정보, 투명도의 정도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해당 제품의 구현을 볼 수 있도록, 그림자 효과, 조명 환경, 조명 색온도, 조명 거리, 조명 밝기, 조명 각도, 조명 범위 등을 조절/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에 관하여, 각 부품별로 재질, 색감 등을 지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재질에 관하여 재질 선택과, 선택된 재질에 관한 세부 정보의 설정과, 제품이 놓여지는 장소에서의 조명 특성을 종합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플랫폼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소비자들(사용자들)은 해당 제품이 특정 장소에서 특정한 조명 아래 3D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실체에 가깝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사측에서는 실제 제품의 생산에 앞서 제품의 재질이나 색감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품 제조 관리부(113)는,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추출된 가공 정보를 기초로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제조사 단말(10)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사 단말(10)은 상기 제품 제조 관리부(113)가 제공하는 추출된 가공 정보, 인터렉티브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 또는 수정 사항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제품 시뮬레이션 화면의 예이다. 가공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품의 부품별 색상과 질감은, 출력 처리부(130)에 의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변환되고, 상기 플랫폼(100)에 접속한 사용자는 별도의 3D 파일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도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품 확인과, 설정된 질감의 정도 및 조명값에 따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입력된 파일에 대한 제품 가공과 사용자 인터렉티브를 통한 수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품 가공 방법의 각 단계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업로드된 설계 파일들을 분류 및 저장 관리하고(S201), 설계 파일을 파싱하여 분석함으로써 가공 정보를 생성한다(S202).
플랫폼은 설계 정보에서 지오메트리 정보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노드 정보, 예를 들면, 네임 속성값을 이용하여 모델 파트별 정보를 구성한다.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노드의 속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분석한 속성 정보를 기초로 구조화된 데이터의 가공 정보를 생성하고, 속성 데이터(Property Data)를 파싱하여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로서 구조화된 데이터의 가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조화 또는 정형화된 데이터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 또는 제조사 단말의 시스템(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가공 정보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S203), 플랫폼의 출력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델에 대한 요청, 예를 들면, 색상, 재질 등의 제품 스펙 변경에 대한 사항이나, 제품 구성 요소의 수정/변경 등에 관한 사항을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도록 인터렉티브 메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204).
이러한 사용자 커스텀 요청을 상기 출력 처리부(130)가 수신하면,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의 가공 정보 생성부(112)는 변환 또는 추출된 3D 모델의 스크립트 정보, 지오메트리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 등을 이용하여 3D 모델의 변경 사항을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달(S205)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에서는 수정된 결과의 3D 모델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력 처리부(130)는 상기 플랫폼을 통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3D 모델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커스텀 할 수 있는 서버 주소를 포함하는 URL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제조사 단말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생성된 설계 정보(가공 정보)를 제조사 단말로 제공하여 제조사 단말에서 생성된 설계 정보를 확인하고, 제조사 단말에서는 설계 정보에 대한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각 구성 부품들에 대한 분류와, 각 부품들의 질감, 색상 등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즉,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제조사 단말로 수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의 설계 정보 관리부(111)는 생성된 설계 정보의 크기 또는 개수 등의 기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현재 생성된 설계 정보에 기반한 3D 제품 쇼케이스에 대한 비용을 제조사 단말에서 확인하도록 비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제품 용기의 종류를 제조사 단말에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제품 용기의 생성된 가공 정보에 대한 수정을 초기화하거나 회전을 초기화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뉴의 예로서, 도 13은 제품 부품 파트별로 버튼 클릭시 해당 부품의 애니메이션 동작되고, 해당 부품의 후가공에 대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의 예이고, 도 14는 해당 부품의 후가공 옵션 중에서 제품 색상값을 선택하는 때의 화면으로, 제조사측은 이러한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제품의 부품별 질감 표현과 함께 색상 변경도 선택할 수 있다.
도 15에는 제품의 결합되는 부품을 변경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제품의 후가공 코팅 방식을 설정하는 메뉴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는 제조사측(고객사)이 최종 설정한 시뮬레이션 값을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재생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설정된 옵션값의 색상값을 지정하는 메뉴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9와 도 20에는 설정된 옵션값의 색상값 지정 후 반영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관리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제조사 단말로부터 관리하는 설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설계 정보 중 제품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마킹할 수 있다.
제품의 구성 요소는 내용기, 상단, 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구성 요소는 내용기 상단, 내용기 하단, 거울, 명판 아랫판, 명판 윗판, 상케이스, 버튼, 중케이스, 하케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품의 구성 요소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의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제품의 구성 요소에 따라 다른 애니메이션이 생성될 수도 있다. 마킹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설정에 따라 마킹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3D 파일 정보내에 포함된 점, 선, 면 등의 정보와, 제품의 각 구성파트(부품)별로 관리되고, 각 부품별로 쇼케이스를 통해 표시될 색상과 질감 표현을 선택/저장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은 본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조사측에서 설계 파일 업로드 또는 제품 의뢰등록을 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보여질 제품 쇼케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요약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사 단말에서는 실제 제품을 생산하기 이전에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을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을 실제에 가까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stp나 cad, obj 파일과 같은 설계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제품등록 의뢰서를 제출할 수 있다.
그러면, 본 실시예의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설계 파일을 파싱하여 제품의 재질, 색상 등에 관한 메뉴와, 구성 부품에 대한 분류 및 수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조사측에 제공하고, 수정 완료된 제품에 대해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URL등을 이용하여 쉽게 쇼케이스 내에서 해당 제품을 실제에 가깝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 단말은 플랫폼에서 렌더링 또는 영상 처리된 3D 제품에 대한 쇼케이스를 보게 되므로, 단말기의 성능에 관계없이 브라우저를 통해서 쉽게 확인하고, 보여지는 제품에 대한 재질이나 색상, 구성 부품들을 다양하게 조절해가면서 실제 제품을 마치 확인하는 것처럼 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제조사 단말;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설계 파일을 전달받고, 상기 설계 파일의 설계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공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부품별 색상과 질감을 생성 및 수정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 및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렌더링 또는 영상처리된 3D 제품 쇼케이스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상기 설계 파일을 FBX 파일 및 DAE 파일로 스크립트 변환 및 추출하여 XML 파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입력 처리부와, 상기 제조사 단말측의 고객 정보 및 업로드되고 처리되는 파일들이 저장 및 관리되는 관리 DB와, 상기 입력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 및 제품 부품별 색상과 질감표현을 영상처리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처리부는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설계 파일에 대한 설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마킹하는 설계 정보 관리부와, 상기 설계 파일과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3D 모델링을 수행하고 추출된 스크립트의 지오메트리 정보에서 노드 중 name 속성값으로 상기 제품의 부품별 정보를 구성하는 가공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정보는 점, 선, 면에 관한 정보와, 좌표 정보, 길이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제품의 색상과 질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설계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품별 색상과 질감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메뉴화면과, 상기 제품의 각 부품별 재질 설정에 관한 메뉴화면과, 각 부품별 색상 설정에 관한 메뉴화면을 상기 제조사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각 부품별 재질 설정에 관한 메뉴화면은 외코팅 종류와, 금속성의 정도, 광택의 정도 및 투명도의 정도를 설정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는 상기 각 부품별 재질 및 색상 설정에 관한 메뉴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3D 제품 쇼케이스에서의 조명 정보로서, 그림자 효과, 조명 색온도, 조명 거리, 조명 밝기, 조명 각도 및 조명 범위를 설정하는 항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플랫폼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에 의해 설정된 각 부품별 색상과 질감값을 영상처리하여 변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3D 파일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도 제품 확인과, 설정된 질감의 정도 및 조명 정보에 따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제품을 사용자가 커스텀 요청할 수 있는 서버 주소를 포함하는 URL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 처리부가 상기의 커스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가공 정보 생성부는 변환 또는 추출된 3D 모델의 스크립트 정보, 지오메트리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의 변경 사항을 처리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수정된 결과의 3D 모델이 해당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90779A 2022-07-22 2022-07-22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KR10257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779A KR102577793B1 (ko) 2022-07-22 2022-07-22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779A KR102577793B1 (ko) 2022-07-22 2022-07-22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793B1 true KR102577793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779A KR102577793B1 (ko) 2022-07-22 2022-07-22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451A (ko) * 2010-04-30 2011-11-07 김구동 3차원 캐드 데이터를 이용한 금형 자동 설계 시스템과 제어방법
KR101653353B1 (ko) * 2015-03-26 2016-09-0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스마트폰 가상 3d 디스플레이 앱 기반 가상 3d 표현 방법
KR20210063828A (ko) * 2019-11-25 2021-06-02 (주) 한국인프라 3차원 모델링 파일 변환 시스템
KR20220032454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트리플 3d 모델링 fbx 자동화 변환 기술 적용에 따른 제품 가공 프로세스 적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451A (ko) * 2010-04-30 2011-11-07 김구동 3차원 캐드 데이터를 이용한 금형 자동 설계 시스템과 제어방법
KR101653353B1 (ko) * 2015-03-26 2016-09-0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스마트폰 가상 3d 디스플레이 앱 기반 가상 3d 표현 방법
KR20210063828A (ko) * 2019-11-25 2021-06-02 (주) 한국인프라 3차원 모델링 파일 변환 시스템
KR20220032454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트리플 3d 모델링 fbx 자동화 변환 기술 적용에 따른 제품 가공 프로세스 적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728B2 (en) System integrat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 creation, ed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a website design system
US20130326333A1 (en) Mobile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80225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odeling and analysis of 3-d digital assemblies
US11194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EP4189576A1 (en)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photorealistic, virtual 3d package and product models from 3d and two-dimensional (2d) imaging assets
CN107679141A (zh) 数据入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88752A (zh) 资源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41211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3-d printing product customization
CN105468345A (zh) 一种在快消系统中实现远程改变手机端拜访作业的方法
CA316629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KR102577793B1 (ko) 3d 제품 쇼케이스 생성 시스템
CN112214202A (zh) 一种无须写代码的手机程序开发平台
Song et al. Development of a lightweight CAE middleware for CAE data exchange
KR102671664B1 (ko) 제품 카탈로그 생성 시스템
CN114817812A (zh) 面向电商的无代码网页构建方法和装置
US20130321445A1 (en) Colorizing user interfaces
US9349139B1 (en) Fine art samples
US20210042384A1 (en) Generating Edit Suggestions for Transforming Digital Documents
US2014021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layered property definition in traditional and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CN117093386B (zh) 页面截图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241442B (zh) 一种用于电气产品的宣传系统及宣传方法
KR102336676B1 (ko) 웹 페이지 작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3164217A (zh) 用于后端系统的独立数据实体
EP38595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CN115756453A (zh) 智能用户界面服务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