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90B1 -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90B1
KR102577790B1 KR1020190052743A KR20190052743A KR102577790B1 KR 102577790 B1 KR102577790 B1 KR 102577790B1 KR 1020190052743 A KR1020190052743 A KR 1020190052743A KR 20190052743 A KR20190052743 A KR 20190052743A KR 102577790 B1 KR102577790 B1 KR 10257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imulation
circuit
control circuit
sel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205A (ko
Inventor
변춘원
권오은
박찬우
이현구
최수경
강찬모
권병화
아칠성
조현수
이정익
조남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90B1/ko
Priority to US16/852,648 priority patent/US20200352460A1/en
Publication of KR2020012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 A61N2007/0026Stimulation of nerve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 블록, 자극 블록, 제 1 라인 제어 회로, 및 제 2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감지 블록은 생체 신호의 데이터를 제 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한다. 자극 블록은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자극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제 1 라인 제어 회로는, 감지 소자를 대상 감지 소자로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 신호, 및 자극 소자를 대상 자극 소자로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라인 제어 회로는, 수신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되는 생체 데이터 및 송신 신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Description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PIXEL CIRCUIT FOR ERADIATING STIMULATION SIGNAL AND RECEIVING BIOSIG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픽셀 회로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생체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 산업 분야에 정보 통신 산업의 분야가 응용되고 있다. 예로서, 더 정확한 진단과 더 정밀한 치료에 대한 의료 산업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 통신 장치 및 반도체 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체와 같은 생체는 다양한 유형의 생체 신호들을 방사한다. 예로서, 인간의 뇌는 전기적 신호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뇌파를 방사한다. 뇌파는 뇌의 활성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뇌 과학 연구에 있어서, 뇌파에 대한 정밀한 측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진단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인체를 자극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된다. 예로서, 다양한 유형의 물리 신호들(예컨대, 광, 전기, 및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는 경우, 뇌 신경계 질환이 완화될 수 있다.
KR20170099030A(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본 발명은 생체를 자극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픽셀 회로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회로는 감지 블록, 자극 블록, 제 1 라인 제어 회로, 및 제 2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블록은, 제 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자극 블록은,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자극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제 1 라인 제어 회로는, 감지 블록을 대상 감지 블록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 신호, 및 자극 블록을 대상 자극 블록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라인 제어 회로는, 생체 데이터 및 자극 신호와 관련되는 특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제 1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 회로는, 제 1 선택 신호의 제 1 논리 값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대상 픽셀에 의해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제 2 선택 신호의 제 2 논리 값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대상 픽셀에 의해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라인 제어 회로는, 제 1 선택 신호 및 제 2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제 1 라인 제어 회로가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위 픽셀 및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픽셀은,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준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 및 제 1 선택 신호의 제 1 논리 값에 응답하여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제 2 선택 신호의 제 2 논리 값에 응답하여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픽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제어 회로는, 단위 픽셀을 대상 픽셀로서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 신호 및 제 2 선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전압은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픽셀 회로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를 자극하기 위한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픽셀 회로 및 전자 장치가 높은 집적도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의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2의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블록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들 및 구조들과 같은 세부적인 사항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의 벗어남 없이 본문에 기재된 실시 예들의 변형들은 통상의 기술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하여 잘 알려진 기능들 및 구조들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특정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의 정의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사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회로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이외에 다른 것들과 연결될 수 있다. 회로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직접적 또는 비직접적일 수 있다. 회로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통신에 의한 연결이거나 또는 물리적인 접속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문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의 맥락적 의미와 동등한 의미를 갖도록 해석되며, 본문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갖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는 픽셀 회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1100)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1110) 및 생체 신호 감지 소자(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하나의 픽셀 회로(1100)만이 도시되었으나,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가 픽셀 회로(1100)를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회로 각각의 구성 및 동작들은 픽셀 회로(1100)의 구성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110)는 물체(10)를 향해 방사될 송신 신호(LB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110)는 송신 신호(LB1)를 물체(10)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 예로서, 물체(10)는 인체의 장기, 혈관, 및 피부 등과 같은 생체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예로서, 송신 신호(LB1)는 인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자극을 위해 방사되는 자극 신호일 수 있다. 예로서, 송신 신호(LB1)는 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극함으로써 인체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신호(LB1)는 가시 광선, 적외선, 자외선, 초음파, 및 전파 등의 다양한 유형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자극 소자(1110)는 다양한 유형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광원 및 초음파 생성 소자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 생성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물체(10)에 의해 생성되는 수신 신호(LB2)가 생체 신호 수신 소자(1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로서, 수신 신호(LB2)는 생체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생체 신호일 수 있다. 예로서, 수신 신호(LB2)는 인체의 뇌에 의해 생성되는 뇌파일 수 있다. 수신 신호(LB2)는 물체(10)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수신 신호(LB2)는 물체(10)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수신 신호(LB2)는 뇌의 활성 상태 등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는 불규칙한 모양을 갖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기 위해, 모양이 쉽게 변형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서 설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픽셀 회로(100)는 자극 블록(BL1) 및 감지 블록(BL2)을 포함할 수 있다. 자극 블록(BL1)은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 및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블록(BL2)은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 및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 각각은 다양한 유형의 트랜지스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 각각은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등의 다양한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은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 회로(100) 내에서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이 턴 온되는 경우,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을 통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이 턴 오프 되는 경우,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에 의해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예로서,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 각각은 논리 값 "1"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논리 값 "0"에 응답하여 턴 오프되는 n형 박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은 스위칭 동작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단은 선택 신호(SEL1[k])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1)는 신호(CONT[k])의 라인과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신호(CONT[k])의 라인으로부터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에 대한 제어와 관련되는 신호(CONT[K])를 수신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신호(CONT[K])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CS1)를 생성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신호(CS1)를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신호(CS1)에 기초하여 생체 등을 자극하기 위한 송신 신호(LB2)를 픽셀 회로(100)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송신 신호(LB2)를 방사하기 위한 수동 소자(예컨대,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단은 선택 신호(SEL2[k])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2)는 신호(SEN[k])의 라인과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픽셀 회로(100)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예컨대, 도 1의 수신 신호(LB2))에 기초하여 그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S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수신 신호(LB2)를 감지하여 신호(SS1)를 생성하기 위한 수동 소자(예컨대,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신호(SS1)를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로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신호(SS1)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SEN[K])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수신 신호(LB2)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SEN[K])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신호(SEN[k])의 라인으로 신호(SEN[K])를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픽셀 회로(100)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회로 중 임의의 로우 및 임의의 컬럼에 배치되는 "k"번째 픽셀 회로일 수 있다(단, k는 자연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과 같이, 선택 신호(SEL1[k])의 라인 및 선택 신호(SEL2[k])의 라인은 픽셀 회로(100)를 포함하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를 로우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로우 라인 제어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CONT[k])의 라인 및 신호(SEN[k])의 라인은 픽셀 회로(100)를 포함하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를 컬럼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컬럼 라인 제어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픽셀 회로(100)의 예시적인 동작들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픽셀 회로(100)에 의해 선택 신호(SEL1[k])에 응답하여 송신 신호(LB1)를 방사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이 설명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과 같이,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1000)는 픽셀 회로(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픽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픽셀 회로(100) 외부의 전자 장치에 의해 픽셀 회로(100)가 대상 픽셀 회로로서 선택될 수 있다. 로우 라인 제어 회로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픽셀 회로(100)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SEL1[k])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픽셀 회로(100)의 외부의 로우 라인 제어 회로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를 제어하기 위해, 논리 값 "1"을 갖는 신호를 선택 신호(SEL1[k])의 라인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단을 통해 선택 신호(SEL1[k])의 라인으로부터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SEL1[k])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단을 통해 수신되는 선택 신호(SEL1[k])의 논리 값 "1"에 응답하여 턴 온될 수 있다.
픽셀 회로(100) 외부의 컬럼 라인 제어 회로는 픽셀 회로(100)의 생체 신호 자극 소자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CONT[K])를 신호(CONT[k])의 라인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턴 온된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신호(CONT[k])의 라인으로부터 신호(CONT[K])를 수신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신호(CONT[K])에 응답하여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CS1)를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신호(CONT[K])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로부터 방사되는 송신 신호(LB1)의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C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광원으로서 구현되고 송신 신호(LB1)는 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CONT[K])는 송신 신호(LB1)의 주파수 및/또는 레벨 등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는 신호(CONT[K])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LB1)의 주파수 및/또는 레벨 등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CS1)를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로부터 신호(CS1)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신호(CS1)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성들(예컨대, 주파수 및/또는 레벨 등)을 갖는 송신 신호(LB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송신 신호(LB1)를 픽셀 회로(100)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는 송신 신호(LB1)를 뇌와 같은 인체의 일부에 방사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픽셀 회로(100)에 의해 수신 신호(LB2)를 수신하고, 선택 신호(SEL2[k])에 응답하여 수신 신호(LB2)에 의해 나타나는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4의 예에서, 픽셀 회로(100) 외부의 로우 라인 제어 회로는 픽셀 회로(100)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를 제어하기 위해,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SEL2[k])를 픽셀 회로(100)와 연결된 선택 신호(SEL2[k])의 라인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단을 통해 선택 신호(SEL2[k])의 라인으로부터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SEL2[k])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단을 통해 수신되는 선택 신호(SEL2[k])의 논리 값 "1"에 응답하여 턴 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감지 소자(LB2)는 픽셀 회로(100)의 외부로부터 수신 신호(LB2)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뇌파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전극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신호(LB2)는 물체(10)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신호(LB2)에 포함되는 물체(10)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S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는 신호(LB2)의 데이터(즉, 물체(10)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SEN[K])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SEN[K])는 뇌의 활성 상태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로부터 신호(SS1)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물체(10)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신호(SS1)에 대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신호(SS1)를 샘플링하여 신호(SEN[K])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는 턴 온된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신호(SEN[K])를 신호(SEN[k])의 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SEN[K])는 신호(SEN[k])의 라인을 통해 픽셀 회로(100) 외부의 컬럼 라인 제어 회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5의 픽셀 회로(200)를 도 2의 픽셀 회로(100)와 비교하면, 픽셀 회로(200)의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 생체 신호 자극 소자(220), 감지 소자 제어 회로(230), 생체 신호 감지 소자(240), 및 트랜지스터들(TR3 및 TR4)의 구성 및 동작들은 도 2의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 및 트랜지스터들(TR1 및 TR2)의 구성 및 동작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는 도 2의 신호(CS1)에 대응하는 신호(CS2)를 출력하고, 생체 신호 감지 소자(240)는 도 2의 신호(SS1)에 대응하는 신호(SS2)를 출력할 수 있다. 픽셀 회로(200)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는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및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의 동작들에 사용될 기준 전압들(Vref1 및 Vref2)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는 픽셀 회로(100)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전압 생성기 등)로부터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및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의 동작들에 사용될 기준 전압들(Vref1 및 Vref2)을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기준 전압들(Vref1 및 Vref2)은 높은 PVT 변화 특성(Process Voltage Temperature variation)을 가질 수 있다.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는 생성되는/수신되는 기준 전압(Vref1)을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로 제공하고, 생성되는/수신되는 기준 전압(Vref2)을 감지 소자 제어 회로(230)로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1)은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에 의해 생체 신호 자극 소자(220)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는 기준 전압(Vref1)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 자극 소자(220)로부터 방사될 송신 신호(LB1)의 특성 값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자극 소자 제어 회로(210)는 기준 전압(Vref1)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LB1)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2)은 감지 소자 제어 회로(230)에 의해 생체 신호 감지 소자(2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SS2)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감지 소자 제어 회로(230)는 기준 전압(Vref2)의 기준 레벨과 신호(SS2)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서, 획득되는 비교 결과는 추후 픽셀 회로(300) 외부의 프로세서 등으로 제공됨으로써 수신 신호(LB2)의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블록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픽셀 블록(300)는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 및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 각각은 도 2의 픽셀 회로(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 각각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은 도 2의 픽셀 회로(100)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는 도 5의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은 도 5의 기준 전압 전극 회로(150)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 및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는 3개의 컬럼들과 3개의 로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로우는 픽셀 회로들(310 내지 330)을 포함하고, 제 2 로우는 픽셀 회로들(340 및 350) 및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를 포함하고, 제 3 로우는 픽셀 회로들(360 내지 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컬럼은 픽셀 회로들(310, 340, 및 360)을 포함하고, 제 2 컬럼은 픽셀 회로들(320 및 370) 및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를 포함하고, 제 3 컬럼은 픽셀 회로들(330, 350, 및 380)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은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로부터 기준 전압들(예컨대, 도 5의 기준 전압들(Vref1 및 Vref2))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은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로부터 생성되는 기준 전압들을 공유할 수 있다. 도 5의 픽셀 회로(200)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250)를 포함하나, 도 6의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는 픽셀 회로들(310 내지 380)과는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3x3" 구성으로 배치된 픽셀 블록(300)이 설명되었으나, 빅셀 블록(300)의 구성은, 임의의 개수의 픽셀 회로들이 별도로 배치된 기준 전압 전극 회로(390)에서 생성되는 기준 전압을 공유하도록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0)은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2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는 복수의 단위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2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는 "mXn" 구성으로 배치되는 단위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의 n개의 로우들 각각은 m개의 단위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의 m개의 컬럼들 각각은 n개의 단위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픽셀들 각각은 도 2의 픽셀 회로(100), 도 5의 픽셀 회로(200), 및 도 6의 픽셀 블록(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단위 픽셀들은 선택 신호의 라인들(예컨대, 도 2의 선택 신호(SEL1[k])의 라인 및 선택 신호(SEL2[k])의 라인) 및 신호의 라인들(예컨대, 도 2의 신호(CONT[k])의 라인 및 신호(SEN[k])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컬럼 라인 제어 회로(2200)는 단위 픽셀들 각각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 및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자극 소자 제어 회로들로 출력할 수 있다.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 중 동작의 대상이 되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들을 선택 신호의 라인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중 동작이 대상이 되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들을 선택 신호 라인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2000) 외부의 프로세서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로직에 따라 로우 라인 제어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를 로우 단위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로서,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n개의 로우들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선택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도 2의 픽셀 회로(100)의 동작들, 도 5의 픽셀 회로(200)의 동작들, 및 도 6의 픽셀 블록(300)의 동작들이 n개의 로우들에 포함된 단위 픽셀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n개의 로우들로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i번째 로우에 포함되는 m개의 단위 픽셀들이 대상 픽셀들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예컨대, 도 2의 선택 신호(SEL1[k])와 같은 선택 신호)를 i번째 로우에 포함된 단위 픽셀들의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는 논리 값 "1"을 갖는 선택 신호(예컨대, 도 2의 선택 신호(SEL2[k])와 같은 선택 신호)를 i번째 로우에 포함된 단위 픽셀들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로 출력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 및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는 상이한 시간 구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예로서, 제 1 시간 구간 동안, 선택 신호가 대상 픽셀들의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로 출력되고, 제 1 시간 구간 이후의 제 2 시간 구간 동안 선택 신호가 대상 픽셀들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로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0)은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3200), 로우 라인 제어 회로(3300),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 통신 회로(3600), PMIC(3700), 및 인터페이스 회로(3800)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3200), 로우 라인 제어 회로(3300),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 통신 회로(3600), PMIC(3700), 및 인터페이스 회로(3800)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전자 장치(3000)의 구성요소들은 도 8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3000)는 도 8에 나타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도 8에 나타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비교하면, 도 8의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3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3300)의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은 도 7의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2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2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2300)의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예로서, 전자 장치(3000)은 사용자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0)이 무선으로 제어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0)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예컨대,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에 대한 실시간 제어를 위해),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및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가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3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3300)와 함께 집적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0)에 대한 무선의 제어를 위해, 통신 회로(3600), PMIC(3700), 및 인터페이스 회로(3800)가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3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3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3300)와 함께 집적될 수 있다.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감지 회로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자극 회로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예로서,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및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 8에서,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및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가 별도의 구성요소들로서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300)은,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및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개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감지 회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산들을 처리할 수 있다.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는 도 2의 픽셀 회로(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SEN[K])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물체(10)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서, 감지 제어 프로세서(2400)는 수신 신호(LB2)(예컨대, 뇌파)에 포함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SEN[K])에 기초하여 뇌의 활성 상태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는 단위 픽셀들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들을 처리할 수 있다.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는,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송신 신호(LB1)(예컨대, 초음파 및 광 등)의 적절한 특성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예로서,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는 생체에 대한 치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초음파의 적절한 주파수 및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통신 회로(3600)는 전자 장치(3000)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전자 장치/시스템 등과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 회로(3600)는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규약에 따라, 전자 장치(3000) 외부의 다른 반도체 칩/전자 장치/시스템 등과 교환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380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3000) 사이의 통신을 중재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회로(3800)를 통해 명령을 전자 장치(3000)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0)는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 및 자극 제어 프로세서(350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 회로(38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인터페이스 회로(3800)는 감지 제어 프로세서(340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예컨대, 뇌의 활성 상태와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회로(380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거나 병을 진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인체에 대한 치료를 목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취한 명령을 인터페이스 회로(38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PMIC(3700)는 전자 장치(3000)의 구성 요소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로서, PMIC(3700)는 배터리 및/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적절하게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전력을 전자 장치(3000)의 구성 요소들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0)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4100), 컬럼 라인 제어 회로(4200), 및 로우 라인 제어 회로(4300)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복함 어레이 회로(4100)는 m 개의 컬럼들(Col1 내지 Colm) 및 m 개의 컬럼 제어 블록들(4121 내지 4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자극 소자(4111)를 포함하는 도 9의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 각각은 도 2의 생체 신호 자극 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감지 소자(4112)를 포함하는 도 9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각각은 도 2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럼 제어 블록들(4121 및 4122)을 포함하는 도 9의 컬럼 제어 블록들 각각은 도 2의 자극 소자 제어 회로(110) 및 감지 소자 제어 회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컬럼 제어 블록(4121 내지 4122)에 의해 컬럼 단위로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컬럼(Col1)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컬럼 제어 블록(4121)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되고, 컬럼(Colm)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컬럼 제어 블록(4122)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컬럼 제어 블록들(4121 내지 4122)은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한 능동 소자들(예컨대,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과 같이, 수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컬럼들(Col1 내지 Colm)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과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컬럼 제어 블록들(4121 내지 4122)은 별도의 영역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0)는 부정형의 능동형 복합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5000)는 도 9의 전자 장치(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과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컬럼 제어 블록들은 별도의 영역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컬럼들(Col1 내지 Colm)의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컬럼 제어 블록들(4121 내지 4122)은 제 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 제어 블록들은 능동 소자들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예컨대, 동작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수동 소자들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의 구성들은 컬럼 제어 블록들의 구성들 보다 단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은 부정형의 영역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컬럼 제어 블록들은 부정형의 영역에 배치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9의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4100)와 같이 능동 소자들 및 수동 소자들이 별도의 영역들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컬럼들(Col1 내지 Colm)에 포함되는 생체 신호 감지 소자들 및 생체 신호 자극 소자들이 부정형의 영역(예컨대, 제 1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컬럼 제어 블록들이 다른 영역(예컨대, 제 2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설계자는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4100)의 배치에 따른 설계를 통해, 부정형의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5000)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픽셀 회로
200: 픽셀 회로
300: 픽셀 회로
1000: 능동형 복합 어레이 회로
2000: 전자 장치
3000: 전자 장치

Claims (14)

  1.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블록;
    자극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자극 블록;
    상기 감지 블록을 대상 감지 블록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 신호, 및 상기 자극 블록을 대상 자극 블록으로서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라인 제어 회로; 및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자극 신호와 관련되는 특성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블록은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 블록은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도록 구성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블록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극 신호의 특성 값과 관련되는 상기 특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픽셀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블록은,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성 값을 갖는 상기 자극 신호를 방사하도록 더 구성되는 픽셀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블록의 동작과 관련되는 제 1 기준 전압, 및 상기 감지 블록의 동작과 관련되는 제 2 기준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를 더 포함하는 픽셀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블록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성 값을 갖는 상기 자극 신호를 방사하도록 더 구성되는 픽셀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블록은 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되는 픽셀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블록, 상기 자극 블록, 상기 제 1 라인 제어 회로, 및 상기 제 2 라인 제어 회로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픽셀 회로.
  8. 제 1 선택 신호의 제 1 논리 값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대상 픽셀에 의해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제 2 선택 신호의 제 2 논리 값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상기 대상 픽셀에 의해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상기 제 1 선택 신호 및 상기 제 2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상기 제 1 라인 제어 회로가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픽셀 어레이 회로는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판은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인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 1 선택 신호가 상기 제 1 논리 값을 가지고, 제 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상기 제 2 논리 값을 갖도록 상기 제 1 라인 제어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상기 제 1 라인 제어 회로와 동일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 2 시간 구간은 중복되지 않는 전자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대상 픽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라인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신호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픽셀 어레이 회로 및 상기 제 1 라인 제어 회로와 동일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준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전압 전극 회로, 및 제 1 선택 신호의 제 1 논리 값에 응답하여 상기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제 2 선택 신호의 제 2 논리 값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픽셀 회로를 포함하는 단위 픽셀; 및
    상기 단위 픽셀을 대상 픽셀로서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1 선택 신호 및 상기 제 2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라인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전압은 상기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픽셀 회로에 의해 공유되고,
    상기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52743A 2019-05-07 2019-05-07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43A KR102577790B1 (ko) 2019-05-07 2019-05-07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852,648 US20200352460A1 (en) 2019-05-07 2020-04-20 Pixel circuit for radiating stimulation signal and receiving biosig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43A KR102577790B1 (ko) 2019-05-07 2019-05-07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05A KR20200129205A (ko) 2020-11-18
KR102577790B1 true KR102577790B1 (ko) 2023-09-14

Family

ID=7304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43A KR102577790B1 (ko) 2019-05-07 2019-05-07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352460A1 (ko)
KR (1) KR1025777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73B1 (ko) 2010-10-27 2016-08-04 이리듐 메디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시블 인조 망막 장치들
KR101648463B1 (ko) 2013-05-29 2016-08-16 주식회사 아이엠바이오 생체 이식 장치
US20160331994A1 (en) * 2014-01-16 2016-11-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Integrated high-resolution untethered flexible neur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701B2 (en) * 2007-06-07 2010-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for a configurable low power high fan-in multiplexer
CN102651194B (zh) * 2011-09-06 2014-0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驱动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102273650B1 (ko) 2016-02-22 2021-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US20180333587A1 (en) * 2016-04-22 2018-11-22 Newton Howard Brain-machine interface (bmi)
KR102050261B1 (ko) * 2017-09-19 2019-11-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기능적 전기 자극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73B1 (ko) 2010-10-27 2016-08-04 이리듐 메디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시블 인조 망막 장치들
KR101648463B1 (ko) 2013-05-29 2016-08-16 주식회사 아이엠바이오 생체 이식 장치
US20160331994A1 (en) * 2014-01-16 2016-11-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Integrated high-resolution untethered flexible neur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2460A1 (en) 2020-11-12
KR20200129205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766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Huang et al. A 1.9-mW SVM processor with on-chip active learning for epileptic seizure control
US20210288527A1 (en) Low-power device method
KR102273650B1 (ko)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US11324955B2 (en) Implantable hub and satellite system for neural recording and stimulation
US10342517B2 (en) Wireless intelligent ultrasound fetal imaging system
US8937284B2 (en) Control and sensing system for diffusion optical tomograph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1277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s with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for enabling nfc communications with a wearable biosensor
KR102577790B1 (ko) 자극 신호를 방사하고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039600B (zh) 一种无线控制的可穿戴式超声神经刺激装置
KR102638310B1 (ko) 분석 물질의 농도 추정 장치 및 방법
CN109908473B (zh) 医疗器械系统的控制装置和医疗器械系统
Enériz et al. Real-Time EEG Acquisition System for FPGA-based BCI
KR102655673B1 (ko)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05899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Chen et al. An energy harvesting wireless leadless multisite pacemaker prototype
US10799213B2 (en) Ultrasound probe, element circuit thereof, and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using same
KR20130131860A (ko)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US202202331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210056068A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뇌 자극 장치
US202203387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electrocardiogram in electronic device
Kim et al. Development of a tactile stimulator with simultaneous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using E-Prime software
US202200617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arget component
US202301220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operation method in electronic device
WO2022049808A1 (ja) 超音波システムおよび超音波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