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71B1 -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71B1
KR102577771B1 KR1020220158559A KR20220158559A KR102577771B1 KR 102577771 B1 KR102577771 B1 KR 102577771B1 KR 1020220158559 A KR1020220158559 A KR 1020220158559A KR 20220158559 A KR20220158559 A KR 20220158559A KR 102577771 B1 KR102577771 B1 KR 10257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data
collaborative
collaborative project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규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에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에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에꼴
Priority to KR102022015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참여한 참여자의 협업 능력을 평가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서비스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평가 리포트 생성부;및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평가 리포트를 기업으로 제공하는 평가 리포트 제공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T 인재를 대상으로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그 이력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DID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없이 정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A platform to train workforce to be more competitive and collaborative based on DID}
본 발명은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CT 인재를 대상으로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그 이력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는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코로나 팬더믹과 ICT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 기술 개발과 시장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산업 현장에 접목하기 어려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채용방식은 서류, 인터뷰, 시험 방식을 통해 ICT 인재를 채용하고 있지만 인재능력 검증에 한계가 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ICT 인재의 역량검증을 위해 프로젝트 기반의 평가방식이 적용되는 추세이다.
또한, 기술-업종전문 지식의 결합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젝트 협업 프로세스 및 콘텐츠 요구가 시장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 내부뿐 아니라 기업 외부와 연계를 통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협업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인재 수요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으나, 협업 역량 이력에 대한 신뢰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재(구직자, 기업직원 등) 입장에서는 채용 또는 평가와 관련하여 공정성, 개인정보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협업 이력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와 협업 이력 정보를 가명화해 안전하게 관리할 방안이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5161호
본 발명은 ICT 인재를 대상으로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그 이력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및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은,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참여한 참여자의 협업 능력을 평가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서비스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평가 리포트 생성부;및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평가 리포트를 기업으로 제공하는 평가 리포트 제공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는,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평가를 점수화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평가는, 협업 프로젝트에서 협업능력에 대해 본인을 평가한 자기평가;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서 협업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한 상대방을 평가한 동료평가;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문제화한 강사 또는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강의를 담당하는 강사에 의한 평가인 강사평가; 및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제3자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상기 협업 프로젝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멘토(제3자)에 의한 평가인 멘토평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포트는, 자기평가 데이터, 동료평가 데이터, 강사평가 데이터 및 멘토평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동료평가 데이터는 협업 프로젝트 팀원 중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상대방의 평가 데이터를 평균하여 반올림한 동료평가 데이터(평균);및 동료평가 데이터 중 최댓값 및 최솟값을 제외하고 평균한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평가 리포트는 상기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 에서 상기 자기평가 데이터를 빼는 것으로 계산하여 생성되는 편차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평가 리포트를 데이터 가명화하여 가명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인증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평가 리포트 제공부는, 기업의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 모듈;및 기업 및 개인에게 알람을 전송하는 알람 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요청 수신 모듈에서 제공요청을 수신하면 요청승인 알람을 개인에게 전송하고, 상기 개인은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을 승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 접속시,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개인이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서 요청승인을 완료하면 요청승인 알람을 상기 기업에게 전송하고, 상기 기업은 상기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평가 리포트를 제공받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T 인재를 대상으로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그 이력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DID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없이 정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리포트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리포트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1000)은 기업 내에서 평가를 위해 사원과 관리자가 사용하거나 구직시장에서 인재를 구인구직하기 위해 기업과 구직자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1000)은 프로젝트 테스트 기반의 과제를 생성하고 다수의 사용자(이하 '개인'으로 표시하며, 그 의미는 구직자, 기업 내 사원 및 그 유사의미로 사용된다.)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협업하여 완성하고, 완성된 프로젝트를 서로 평가함으로써 각 개인의 협업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된 협업 능력을 리포트화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기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1000)은 서비스제공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모바일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개인(10) 및 기업(20)은 PC, 모바일, 테블릿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용 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는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참여한 참여자의 협업 능력을 평가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는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110),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120), 평가 리포트 생성부(130) 및 평가 리포트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110)는 2명 이상의 개인(10)이 참가할 수 있는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협업 프로젝트는 2명의 개인(10)이 참가하는 페어 프로젝트, 2명 이상의 개인(10)이 참가하는 팀 프로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 프로젝트는 개인(10) 2명이 참가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서로 짝이 되어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미션을 수행한다.
상기 팀 프로젝트는 2명 이상의 개인(10)이 참가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1일 이상의 일정기간 동안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미션을 수행한다. 상황에 따라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단계로 세분화하여 하나 이상의 미션이 주어질 수도 있다.
페어 프로젝트, 팀 프로젝트와 같은 협업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개인(10)은 원하는 협업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참가자가 될 수 있다.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120)는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120)는 평가모듈(121) 및 데이터 저장 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가모듈(121)은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하여 협업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기평가는 협업 프로젝트에서 협업능력에 대한 자기(본인) 평가이고, 동료평가는 협업 프로젝트를 같이한 상대방(동료)에 대한 협업능력 평가이다.
상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는 질문과 평가답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평가답안은 5점 척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강사평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평가는 협업 프로젝트를 문제화한 강사 또는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강의를 담당하는 강사가 될 수 있다. 강사평가는 5점 척도 형태의 평가답안에 한정되지 않고 글로 기술하는 주관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멘토평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멘토평가는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제3자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상기 협업 프로젝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멘토(제3자)를 투입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멘토는 협업 프로젝트 강사 및 참가자 외 타인이다. 멘토평가는 5점 척도 형태의 평가답안에 한정되지 않고 글로 기술하는 주관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기평가에 대하여 1번 질문이 '미션 난이도는 적절했습니까?' 라고 할 때, 1번 질문에 대한 평가답안으로 '1.아주 어려웠다 2. 어려웠다 3.보통이다 4.쉬웠다 5.아주 쉬었다'의 5지선다가 제공되고, 상기 5지선다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평가답안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평가답안은 점수화하여 데이터 저장 모듈(125)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답안에서 '1.아주 어려웠다'가 선택된 경우, 1번 질문에 대한 평가답안은 1점으로 판단되어 점수 1점이 데이터화어 저장된다.
표 1은 페어 프로젝트에서 자기평가 질문과 평가답안 예시이다.
질문 평가답안
미션의 난이도는 적절했습니까? 1.아주 어려웠다 2.어려웠다 3.보통이다 4.쉬웠다 5.아주 쉬웠다
미션 완수에 자신은 얼마나 기여했다고 생각하십니까? 1.전혀 기여하지 못했다 2.대부분 기여하지 못했다 3.보통 4.적극적으로 기여했다 5.혼자서 완수한 것과 다름없다
본인은 상대방에게 분명하고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했습니까? 1.전혀 전달하지 못했다 2.대부분 전달하지 못했다 3.보통 4.잘 전달했다 5.아주 잘 전달했다
수행 준비를 잘 하였습니까? 1.아주 잘하지 못했다 2.잘하지 못했다 3.보통 4.잘했다 5.아주 잘했다
표 2는 페어 프로젝트에서 동료평가 질문과 평가답안 예시이다.
질문 평가답안
미션 완수에서 상대방은 얼마나 기여했다고 생각하십니까? 1.전혀 기여하지 못했다 2.대부분 기여하지 못했다 3.보통 4.적극적으로 기여했다 5.혼자서 완수한 것과 다름없다
상대방은 본인에게 분명하고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했습니까? 1.전혀 전달하지 못했다 2.대부분 전달하지 못했다 3.보통 4.잘 전달했다 5.아주 잘 전달했다
수행 준비를 잘 하였습니까? 1.아주 잘하지 못했다 2.잘하지 못했다 3.보통 4.잘했다 5.아주 잘했다
평가에서 질문은 평가항목(평가목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본인은 상대방에게 분명하고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했습니까?'와 '상대방은 본인에게 분명하고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했습니까?'는 의사소통이 평가목적으로 정해진 질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 및 표2에서 '수행 준비를 잘 하였습니까?'는 준비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목적으로 정해진 질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질문은 평가항목(평가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 3은 팀 프로젝트에서 평가항목에 따른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질문의 예시이다.
평가항목 자기평가 질문 동료평가 질문
헌신 프로젝트 수행에서 본인은 충분히 기여했다고 생각하십니까? 프로젝트 수행에서 상대방은 충분히 기여하였습니까?
의사소통 본인은 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전달 하였습니까? 상대방은 본인에게 그의 생각을 명료하게 전달하였습니까?
의견존중 본인은 팀 상대방의 의견을 잘 경청하고 반영하였습니까? 상대방은 본인의 의견을 잘 경청하고 반영 하였습니까?
준비성 본인은 프로젝트 수행 준비를 잘 하였습니까? 상대방은 프로젝트 수행 준비를 잘 하였습니까?
표 3에서와 같이 평가항목 헌신, 의사소통, 의견존중, 준비성에따라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질문이 정해질 수 있다. 팀 프로젝트에서 동료평가의 경우 상대방이 2명 이상인 경우 상대방 각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협업 프로젝트 미션 수행 완료 후 진행될 수 도 있고, 협업 프로젝트가 하나 이상의 미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미션 완료시점에 각각 한번씩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미션이 진행되는 프로젝트라도 기간이 긴 경우, 일정 기간에 한번씩 평가가 진행될 수도 있다. 즉, 평가는 하나의 협업 프로젝트에서 한번 이상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125)은 상기 평가모듈(121)에서 평가를 점수화하고 점수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모듈(121)은 각 참가자에 대하여 각 평가항목에 대한 질문마다 평가를 점수화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125)은 상기 점수화하여 데이터화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강사평가 및 멘토평가로 구분되고, 자기평가, 동료평가, 강사평가 및 멘토평가에 대하여 각각 평가가 진행되므로 상기 평가모듈(121)에서 수행되는 자기평가에 대한 자기평가데이터, 동료평가에 대한 동료평가 데이터, 강사평가에 대한 강사평가 데이터 및 멘토평가에 대한 멘토평가 데이터는 각각 점수화하여 데이터 저장 모듈(12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130)는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120)에서 평가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130)는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1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125)에 저장된 자기평가 데이터, 동료평가 데이터, 강사평가 데이터 및 멘토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에는 자기평가 데이터, 동료평가 데이터, 강사평가 데이터 및 멘토평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평가 리포트는 자기평가 데이터 및 동료평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에 표시된 자기평가 데이터와 동료평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본인의 시각과 타인의 시각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동료평가 데이터는 팀원 중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상대방의 평가 데이터를 평균하여 반올림한 동료평가 데이터(평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동료평가 데이터는 동료평가 데이터 중 최댓값 및 최솟값을 제외하고 평균한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정인에 대하여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거나 지나치게 낮게 평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평가 리포트에서 동료평가 데이터는 동료평가 데이터(평균) 및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는 편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차 데이터는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에서 자기평가 데이터를 빼는 것으로 계산하여 생성된다. 상기 편차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모듈(125)에 저장될 수 있다.
편차 데이터 값이 높을수록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시각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차 데이터가 양수인 경우 자기평가가 혹독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음수인 경우 관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협업 프로젝트 중 팀 프로젝트를 개인 A, B, C, D 네명이 참가하여 진행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팀 프로젝트는 '영화 리뷰 구축 프로젝트'이고 2022년 10월 1일 부터 2022넌 11월 30일까지 2달동안 진행한다. 또한, 상기 팀 프로젝트는 기획&분석, 설계, 구현, 검증 4단계 미션으로 진행되고, 각 미션에 대한 평가(1차 ~ 4차)를 진행한다. 또한, 평가항목은 표 3과 같이 헌신, 의사소통, 의견존중, 준비성으로 정하였다.
상기 A, B, C, D 네명의 자기평가 데이터를 표시한 자기평가 데이터는 표 4와 같다.
피평가자 평가항목 1차 2차 3차 4차
A 헌신 4 4 3 3
의사소통 4 4 3 3
의견존중 3 3 3 3
준비성 4 4 4 3
B 헌신 5 5 5 5
의사소통 5 5 5 5
의견존중 5 5 5 5
준비성 5 5 5 5
C 헌신 4 4 3 3
의사소통 3 3 3 3
의견존중 4 3 3 3
준비성 1 3 3 3
D 헌신 4 4 4 4
의사소통 3 3 3 3
의견존중 3 3 3 4
준비성 3 3 3 4
표 4를 보면, B의 경우 자기평가를 매우 높게 평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5는 상기 A, B, C, D 네명의 동료평가 데이터(평균)이다.
피평가자 평가항목 1차 2차 3차 4차
A 헌신 4 4 4 4
의사소통 4 3 4 4
의견존중 4 3 4 4
준비성 4 4 4 4
B 헌신 3 3 3 3
의사소통 2 2 2 2
의견존중 2 2 2 2
준비성 3 3 3 3
C 헌신 3 4 4 5
의사소통 4 4 4 4
의견존중 4 4 4 5
준비성 3 3 4 5
D 헌신 4 4 5 5
의사소통 4 4 4 4
의견존중 4 4 4 4
준비성 4 4 4 4
표 6은 상기 A, B, C, D 네명의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이다.
피평가자 평가항목 1차 2차 3차 4차
A 헌신 4 4.5 4 4
의사소통 4 4 4 4
의견존중 3.5 3.5 4 4
준비성 4 4.5 4.5 4
B 헌신 3.5 3.5 3 3
의사소통 2.5 2.5 2.5 2.5
의견존중 2.5 2.5 2.5 2.5
준비성 3 3 3 3
C 헌신 3.5 4 4 5
의사소통 3.5 3.5 3.5 4
의견존중 4 3.5 4 4.5
준비성 2.5 3 4 4.5
D 헌신 4 4 4.5 4.5
의사소통 3.5 3.5 4.5 3.5
의견존중 3 3.5 4 4.5
준비성 3.5 3.5 3.5 4.5
표 7은 표 6의 데이터에서 표 4의 데이터를 뺀 것으로 편차 데이터이다.
피평가자 평가항목 1차 2차 3차 4차
A 헌신 0 0.5 1 1
의사소통 0 0 1 1
의견존중 0.5 0.5 1 1
준비성 0 0.5 0.5 1
B 헌신 -1.5 -1.5 -2 -2
의사소통 -2.5 -2.5 -2.5 -2.5
의견존중 -2.5 -2.5 -2.5 -2.5
준비성 -2 -2 -2 -2
C 헌신 -0.5 0 1 2
의사소통 0.5 0.5 0.5 1
의견존중 0 0.5 1 1.5
준비성 1.5 0 1 1.5
D 헌신 0 0 0.5 0.5
의사소통 0.5 0.5 0.5 0.5
의견존중 0 0.5 1 0.5
준비성 0.5 0.5 0.5 0.5
표 7을 보면 B는 전반적으로 동료평가에 비해 자기평가를 관대하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은 A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평균), 동료평가(최대/최소 제외), 편차 데이터이다.
항목 평가항목 1차 2차 3차 4차
자기평가 데이터 헌신 4 4 3 3
의사소통 4 4 3 3
의견존중 3 3 3 3
준비성 4 4 4 3
동료평가(평균) 데이터 헌신 4 4 4 4
의사소통 4 3 4 4
의견존중 4 3 4 4
준비성 4 4 4 4
동료평가(최대/최소 제외) 데이터 헌신 4 4.5 4 4
의사소통 4 4 4 4
의견존중 3.5 3.5 4 4
준비성 4 4.5 4.5 4
편차 데이터 헌신 0 0.5 1 1
의사소통 0 0 1 1
의견존중 0.5 0.5 1 1
준비성 0 0.5 0.5 1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130)는 표 8과 같은 데이터를 표시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에는 표 8에는 표시되지 않는 강사평가와 멘토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평가 리포트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같이 봄으로써 다른 시각에서 평가를 어떻게 하는지 데이터화된 값을 봄으로써 협업 능력에 대한 평가를 가시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 4 내지 표 8과 같이 평가를 점수화하여 데이터화함으로써 협업능력에 대한 평가를 가시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1000)은 블록체인 서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서버(200)는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평가리포트를 데이터 가명화하여 가명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 제공부(140)는 개인(10)의 평가 리포트를 기업(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리포트 제공부(140)는 요청 수신 모듈(141) 및 알람 모듈(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청 수신 모듈(141)은 기업(20)에서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 시 상기 제공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알람 모듈(143)은 상기 요청 수신 모듈(141)에서 제공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알람 모듈(143)은 요청승인 알람을 개인(10)에게 전송한다. 상기 개인(10)에게 전송하는 요청승인 알람은 메일, 문자, 앱푸쉬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나열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개인(10)은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서비스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이 때, 개인(10)은 서비스제공 서버(100)에 접속 시, 인증 서버(300)를 통해 접속해야만 한다.
상기 인증 서버(300)는 개인(10)의 사용자 인증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서버(300)는 DID 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DID 앱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기술을 이용한다. DID란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해 개인 정보 인증 시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제출하도록 해주는 전자신원증명 기술이다. DID 앱을 통해 개인정보를 관리함으로써 회원정보, 로그인, 개인이력과 같은 개인정보의 관리주체가 관리기관에서 개인으로 변경된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인(10)이 인증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에서 요청승인 완료 하면, 상기 알람 모듈(143)은 요청승인 알람을 기업(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업(20)에게 전송하는 알람은 메일, 문자, 앱푸쉬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나열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업(10)이 상기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기업(20)은 서비스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평가 리포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제공받는 평가 리포트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200)에 저장된 가명화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업(20)에서 개인(10)의 평가 리포트 요청 시, 상기 개인(10)은 인증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여 기업(20)의 요청을 승인하고, 승인받은 기업(20)은 요청한 개인(10)의 평가 리포트를 블록체인 서버(200)에서 가명화된 데이터로 제공받음으로써 개인정보를 보다 신뢰성 있게 다룰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100), 블록체인 서버(200) 및 인증서버(300)는 상호 연동된다. 여기서, 상호 연동은 각 서버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유선 혹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개인 20 기업
100 서비스제공 서버 110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
120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 121 평가모듈
125 데이터 저장 모듈 130 평가 리포트 생성부
140 평가 리포트 제공부 141 요청 수신 모듈
143 알람 모듈

Claims (10)

  1.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참여한 참여자의 협업 능력을 평가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서비스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협업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평가 리포트 생성부;및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평가 리포트를 기업으로 제공하는 평가 리포트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 평가부는,
    상기 협업 프로젝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진행 또는 완료된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평가를 점수화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되고,
    상기 평가는,
    협업 프로젝트에서 협업능력에 대해 본인을 평가한 자기평가;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서 협업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한 상대방을 평가한 동료평가;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문제화한 강사 또는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강의를 담당하는 강사에 의한 평가인 강사평가; 및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제3자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상기 협업 프로젝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멘토(제3자)에 의한 평가인 멘토평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는 질문과 평가답안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가답안은 5점 척도 형태고 구성되고,
    상기 질문은 평가항목에 따라 하나 이상이 정해지고, 상기 평가항목은 헌신, 의사소통, 의견존중, 준비성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포트는,
    자기평가 데이터, 동료평가 데이터, 강사평가 데이터 및 멘토평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동료평가 데이터는,
    협업 프로젝트 팀원 중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상대방의 평가 데이터를 평균하여 반올림한 동료평가 데이터(평균);및
    동료평가 데이터 중 최댓값 및 최솟값을 제외하고 평균한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리포트는,
    상기 동료평가 데이터(최대/최소 제외)에서 자기평가 데이터를 빼는 것으로 계산하여 생성되는 편차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인증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평가 리포트 제공부는,
    기업의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 모듈;및
    기업 및 개인에게 알람을 전송하는 알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요청 수신 모듈에서 제공요청을 수신하면 요청승인 알람을 개인에게 전송하고,
    상기 개인은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평가 리포트 제공 요청을 승인시, 상기 개인은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서만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인증서버는 DID 앱이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개인이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서 요청승인을 완료하면 요청승인 알람을 상기 기업에게 전송하고,
    상기 기업은 상기 요청승인 알람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평가 리포트를 제공받는,
    DID 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 서버는 블록체인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평가 리포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평가 리포트를 데이터 가명화하여 가명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DID 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58559A 2022-11-23 2022-11-23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KR10257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559A KR102577771B1 (ko) 2022-11-23 2022-11-23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559A KR102577771B1 (ko) 2022-11-23 2022-11-23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771B1 true KR102577771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559A KR102577771B1 (ko) 2022-11-23 2022-11-23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65A (ko) * 2017-07-22 2019-01-30 황유상 모니터링 및 협업 툴을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5802A (ko) * 2019-08-28 2021-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 프로젝트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5161A (ko) 2020-04-08 2021-10-18 이인규 블록체인을 이용한 학습자 이력정보 관리 및 평가주체 검증 시스템
KR20220007141A (ko) * 2019-11-02 2022-01-18 가마니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코., 엘티디 휴대용 이력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7885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신시웨이 업무 수행에 따른 성과 지표 산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65A (ko) * 2017-07-22 2019-01-30 황유상 모니터링 및 협업 툴을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5802A (ko) * 2019-08-28 2021-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 프로젝트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7141A (ko) * 2019-11-02 2022-01-18 가마니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코., 엘티디 휴대용 이력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5161A (ko) 2020-04-08 2021-10-18 이인규 블록체인을 이용한 학습자 이력정보 관리 및 평가주체 검증 시스템
KR20220067885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신시웨이 업무 수행에 따른 성과 지표 산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rez et al. Going global: Developing management students' cultural intelligence and global identity in culturally diverse virtual teams
Skulmoski et al. Information systems project manager soft competencies: A project‐phase investigation
Morris et al. Schmooze or lose: Social friction and lubrication in e-mail negotiations.
Yuan et al. Innovative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performance and image outcome expectations
Russell Person characteristic versus role congruency explanations for assessment center ratings
Aalsburg Wiessner et al. New learning: Constructing knowledge in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Neill Building buy-in: The need for internal relationships and informal coalitions
Conine Jr et al.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s through the 360 assessment
KR102577771B1 (ko) Did기반 협업 인재 양성 플랫폼 시스템
LaForge Campus governance in US universities and colleges
Hassan The competencies for community college leaders: Community college presidents' and trustee board chairpersons' perspectives
Neill Public relations ethics: Responsibilities and necessary skills
Astuti et al. The dynamic of performing social relations amongst managers and supervisors: A thematic analysis
Hoag et al. Using case method and experts in inter-university electronic learning teams
Beck et al. Board evaluations-we're doing them, so why do we still have non-effective directors?
Sias et al. Socialization
Tung Knowledge Hiding: Its Antecedents and Its Impacts on an Organization's Knowledge Use
Guo et al. Which collaboration technologies best support student teamwork? An empirical investigation
Shen et al. An Evaluation Framework for Selecting Collaboration Systems for Student Teamwork
Palmer-Roberts Utilization of onboarding activities by leaders on employee engagement, performance, and retention: A qualitative delphi study
Pavlović et al. Integration of leadership styles of school director
Zeng How do They Help Each Other?
Dunn et al. Board 47: An Analysis of the Existence of Metrics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lszewski et al. Rethinking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Shadow of COVID-19
Hamada The Impact of Faculty Interactions on Online Student Sense of Belonging: An Evaluati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