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42B1 -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42B1
KR102577742B1 KR1020217011929A KR20217011929A KR102577742B1 KR 102577742 B1 KR102577742 B1 KR 102577742B1 KR 1020217011929 A KR1020217011929 A KR 1020217011929A KR 20217011929 A KR20217011929 A KR 20217011929A KR 102577742 B1 KR102577742 B1 KR 10257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iodic
tci
srs
dci
c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562A (ko
Inventor
에코 옹고사누시
엠디 사이퍼 라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703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616A/ko
Publication of KR2021005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을 넘어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pre-5G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업링크 다중 빔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트리거를 수신하고, 후속 시점에, 업링크(uplink, UL) 빔 표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디코딩하고 UL 빔 표시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UL 빔 표시로부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송신될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공간 필터를 결정하는 과정 및 해당 신호를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송신 공간 필터는 RS에 대응한다. UL 빔 표시는 RS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빔 동작을 위한 업링크 빔 표시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 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 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s, cloud RANs),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장치 대 장치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단 간섭제거(reception-end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하이브리드 주파수 편이 변조(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하이브리드 FSK) 및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FQAM) 및 개선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로서 슬라이딩 윈도우 중첩 코딩(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SWSC),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비직교 다중 액세스(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및 개선된 액세스 기술로서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업링크 다중 빔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제공된다. UE는 트랜시버 및 트랜시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트리거를 수신하고, 후속 시점에, 업링크(uplink, UL) 빔 표시를 수신하고;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디코딩하고; UL 빔 표시를 디코딩하고; UL 빔 표시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송신될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공간 필터를 결정하고;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공간 필터는 RS에 대응한다. UL 빔 표시는 RS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이 제공된다. BS는 트랜시버; 및 트랜시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주기적 RS 트리거 및 UL 빔 표시를 생성하고; UE에게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송신하고, 후속 시점에, UL 빔 표시를 송신하고; UE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UL 빔 표시는 RS에 대응하는 송신 공간 필터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수신하고, 후속 시점에, UL 빔 표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디코딩하고 UL 빔 표시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UL 빔 표시로부터,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송신될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공간 필터를 결정하는 과정 및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송신 공간 필터는 RS에 대응한다. UL 빔 표시는 RS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BS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비주기적 RS 트리거 및 UL 빔 표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UE에게,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송신하고, 후속 시점에, UL 빔 표시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UE로부터, PUSCH 또는 PUCCH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UL 빔 표시는 RS에 대응하는 송신 공간 필터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을 넘어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pre-5G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른 기술적 특징들은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청구 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업링크 다중 빔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 및 그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BS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나의 CSI-RS 포트가 다수의 아날로그 제어 안테나 요소에 매핑되는 송신기에 대한 예시적인 빔포밍 아키텍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R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R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L TC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L TC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에 대한 UL 빔 표시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에 대한 UL 빔 표시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UE가 UL 빔 표시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BS가 UL 빔 표시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특허 개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어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용어 "커플(couple)" 및 그 파생어는 두 개 이상의 요소 사이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나타내거나, 이들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용어 "송신(transmit)", "수신(receive)" 및 "통신(communicate)" 그리고 그 파생어는 직접 통신 및 간접 통신 모두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 그리고 그 파생어는 제한이 아닌 포함을 의미한다. 용어 "또는(or)"은 포괄적 용어로써, '및/또는'을 의미한다. 어구 "~와 연관되다(associated with)" 및 그 파생어는 ~을 포함한다(include), ~에 포함된다(be included within), ~와 결합하다(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다(contain), ~에 함유되어 있다(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한다(connect to or with), ~와 결합하다(couple to or with), ~ 전달한다(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다(cooperate with), ~를 끼우다(interleave), ~을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인접하다(be proximate to), 구속하다/구속되다(be bound to or with), 소유하다(have), 속성을 가지다(have a property of), ~와 관계를 가지다(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한다. 용어 "컨트롤러(controller)"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컨트롤러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식으로 처리(centralized)되거나 또는 분산식으로 처리(distributed)될 수 있다. 어구 "적어도 하나"는, 그것이 항목들의 나열과 함께 사용될 경우,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조합, 즉 A, B, C, A와 B, A와 C, B와 C, 그리고 A와 B와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각종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각각에 의해 구현 또는 지원될 수 있다. 용어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령 세트, 프로시저,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혹은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서의 구현용으로 구성된 그것의 일부를 지칭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의 종류를 포함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유선, 무선, 광학, 일시적인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달시키는 통신 링크를 제외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매체 그리고 재기록이 가능한 광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나중에 덮어 씌어지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어구에 대한 정의가 이 특허 개시 전반에 걸쳐 제공된다. 당업자는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정의는 종래에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의된 단어 및 어구의 향후 사용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12, 및 이 특허 개시에 있어서의 본 개시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종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원리들은 임의의 적절하게 구성된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약어 목록
ㆍ 2D: two-dimensional
ㆍ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ㆍ SU-MIMO: single-user MIMO
ㆍ MU-MIMO: multi-user MIMO
ㆍ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ㆍ LTE: long-term evolution
ㆍ UE: user equipment
ㆍ eNB: evolved Node B 또는 "eNB"
ㆍ BS: base station
ㆍ DL: downlink
ㆍ UL: uplink
ㆍ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ㆍ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ㆍ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s)
ㆍ UE-RS: UE-specific reference signal(s)
ㆍ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ㆍ SCID: scrambling identity
ㆍ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ㆍ RE: resource element
ㆍ 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ㆍ 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ㆍ RI: rank indicator
ㆍ MU-CQI: multi-user CQI
ㆍ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ㆍ CSI-IM: CSI interference measurement
ㆍ CoMP: coordinated multi-point
ㆍ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ㆍ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ㆍ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ㆍ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ㆍ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ㆍ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ㆍ PRB: physical resource block
ㆍ RRC: radio resource control
ㆍ AoA: angle of arrival
ㆍ AoD: angle of departure
다음의 문헌들 및 표준 설명들 즉, 3GPP Technical Specification(TS) 36.211 version 12.4.0,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F 1"); 3GPP TS 36.212 version 12.3.0, "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REF 2"); 3GPP TS 36.213 version 12.4.0,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REF 3"); 3GPP TS 36.321 version 12.4.0, "E-UTRA, Medium Access Control(MAC) Protocol Specification"("REF 4"); 3GPP TS 36.331 version 12.4.0, "E-UTRA,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REF 5"); 3GPP Technical Specification(TS) 38.211 version 15.0.0, "NR,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F 6"); 3GPP TS 38.212 version 15.0.0, "NR,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REF 7"); 3GPP TS 38.213 version 15.0.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Control"("REF 8"); 3GPP TS 38.214 version 15.0.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REF 9"); 3GPP TS 38.321 version 15.0.0, "NR, Medium Access Control(MAC) Protocol Specification"("REF 10"); 3GPP TS 38.331 version 15.0.0, "NR,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REF 11"); 및 3GPP TS 38.215 version 15.0.0, "NR, Physical Layer Measurements"("REF 12")"은 본 개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참조로서 본 개시에 통합된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장치 대 장치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개선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개선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 및 그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논의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이 5G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참조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가 5G 시스템 또는 그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임의의 주파수 대역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무선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BS(101), BS(102), 및 BS(103)를 포함한다. BS(101)는 BS(102) 및 BS(103)와 통신한다. BS(101)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130), 예를 들어서, 인터넷, 전용 IP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BS" 대신에, "eNB"(enhanced node B) 또는 "gNB"(general node B)와 같은 선택적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타입에 따라서, 예를 들어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용어들이 "gNB" 또는 "BS"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용어들 "gNB" 및 "BS"가 원격 단말들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컴포넌트들을 지칭하는데 본 특허 문헌에서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타입에 따라서, 예를 들어서, "이동국", "가입자국", "원격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용어들이 "사용자 단말" 또는 "UE"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용어들 "사용자 단말" 및 "UE"는, UE가 이동 장치(예컨대, 휴대 전화기 또는 스마트 폰)이든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고정 장치(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벤딩 머신)이든 간에, gNB에 무선으로 액세스하는 원격 무선 장비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특허 개시에서는 사용된다.
gNB(102)는 gNB(102)의 커버리지 영역(120) 내에 있는 제1 복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에게, 네트워크(130)에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1 복수의 UE들은 중소기업(small business, SB)에 위치할 수 있는 UE(111); 대기업(enterprise, E)에 위치할 수 있는 UE(112); 와이파이 핫 스팟(hotspot, HS)에 위치할 수 있는 UE(113); 제1 주거지역(R)에 위치할 수 있는 UE(114); 제2 주거지역(residence, R)에 위치할 수 있는 UE(115); 및 휴대 전화, 무선 랩탑, 무선 PDA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M)일 수 있는 UE(116)를 포함한다. gNB(103)은 gNB(103)의 커버리지 영역(125) 내에 있는 제2 복수의 UE들에게, 네트워크(130)에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2 복수의 UE들은 UE(115) 및 UE(116)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gNB들(101-103) 중 하나 이상의 gNB는 5G, LTE, LTE-A, WiMAX, WiFi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간에 및 UE들(111-116)과 통신할 수 있다.
점선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대략의 원형으로 나타낸 커버리지 영역들(120 및 125)의 대략적인 범위들을 나타낸다. gNB들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들,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들(120 및 125)은 gNB들의 구성, 및 자연 및 인공 장애물들과 관련된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불규칙한 형태들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들을 가질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gNB(101), gNB(102), gNB(103) 중 하나 이상은 UL 빔 표시 정보를 UE들(111-116)에 송신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DL RS를 측정하거나 UL을 송신하도록 UE들(111-116)을 구성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E들(111-116) 중 하나 이상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L 빔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도 1이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다양한 변화들이 도 1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임의의 개수의 gNB들 및 임의의 개수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NB(101)는 임의의 개수의 UE들과 직접 통신하여, 이 UE들에게 네트워크(130)로의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각 gNB(102-103)는 네트워크(130)와 직접 통신하여, UE들에게 네트워크(130)로의 직접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NB들(101, 102, 및/또는 103)은 외부 전화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른 또는 추가의 외부 네트워크들에게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송신 경로(200)는 gNB(예를 들어, gNB(102))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수신 경로(250)는 UE(예를 들어, UE(116))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경로(250)가 gNB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송신 경로(200)가 UE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 경로(200) 및 수신 경로(250)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양태의 일반적 설명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경로(200)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205), 직렬-병렬(serial-to-parallel, S-to-P) 블록(210), 사이즈 N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블록(215), 병렬-직렬(parallel-to-serial, P-to-S) 블록(220), '가산 사이클릭 프리픽스' 블록(225), 및 업-컨버터(up-converter, UC)(230)를 포함한다. 수신 경로(250)는 다운-컨버터(down-converter, DC)(255), '제거 사이클릭 프리픽스' 블록(260), 직렬-병렬(S-to-P) 블록(265), 사이즈 N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블록(270), 병렬-직렬(P-to-S) 블록(275), 및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280)을 포함한다.
송신 경로(200)에서,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205)은 정보 비트들의 세트를 수신하여, 코딩(예를 들면, 컨볼루션, 터보 또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low-density parity check, LDPC) 코딩)을 적용하고, 그 입력 비트들을 변조(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함으로써, 주파수-영역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직렬-병렬 블록(210)은 직렬 변조된 심볼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예를 들면, 역다중화)하여 N 병렬 심볼 스트림들을 생성하며, 여기서 N은 gNB(102) 및 UE(116)에서 사용되는 IFFT/FFT 크기이다. 사이즈 N IFFT 블록(215)은 N 병렬 심볼 스트림들 상에서 IFFT 동작을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 출력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렬-직렬 블록(220)은 사이즈 N IFFT 블록(215)으로부터의 병렬 시간 도메인 출력 심볼들을 변환(예를 들면, 다중화)하여, 직렬 시간 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가산 사이클릭 프리픽스' 블록(225)은 시간 도메인 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삽입한다. UC(230)는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해 '가산 사이클릭 프리픽스' 블록(225)의 출력을 RF 주파수로 변조(예를 들면, 상향 변환)한다. 또한, 이 신호는 RF 주파수로 변환하기 이전에, 기저대역에서 필터링될 수도 있다.
gNB(102)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한 이후에 UE(116)에 도달하며, gNB(102)에의 동작들에 대한 역 동작들이 UE(116)에서 수행된다. DC(2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며, '제거 사이클릭 프리픽스' 블록(260)은 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하여, 직렬 시간 도메인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직렬-병렬 블록(265)은 시간 도메인 기저대역 신호를 병렬 시간 도메인 신호들로 변환한다. 사이즈 N FFT 블록(270)은 FFT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N 병렬 주파수 도메인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렬-직렬 블록(275)은 병렬 주파수 도메인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볼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280)은 그 변조된 심볼들에 대한 복조를 행한 후에 디코딩함으로써,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신 경로(200) 또는 수신 경로(250)는 CSI 보고를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gNB들(101-103) 각각은 UE들(111-116)로의 다운링크 송신과 유사한 송신 경로(2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UE들(111-116)로부터의 업링크 수신과 유사한 수신 경로(25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UE들(111-116) 각각은 gNB들(101-103)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경로(2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gNB들(101-103)로부터의 다운링크 수신을 위한 수신 경로(250)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하드웨어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도 2a 및 도 2b에서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몇몇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한편, 다른 구성 요소들은 구성 가능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구성 가능한 하드웨어의 혼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FFT 블록(270) 및 사이즈 N IFFT 블록(215)은 구성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이즈 N의 값은 그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FFT 및 IFFT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함수들 및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함수와 같은 다른 타입의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DFT 및 IDFT 함수들의 경우, 변수 N의 값은 임의의 정수(예를 들어, 1, 2, 3, 4 등)가 될 수 있으며, FFT 및 IFFT 함수들의 경우, 변수 N의 값은 2의 제곱(예를 들면, 1, 2, 4, 8, 16 등)인 임의의 정수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가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의 예들을 도시하였지만, 다양한 변형들이 도 2a 및 도 2b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서의 각종 구성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더 세분화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고, 특정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의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의 타입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아키텍처들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UE(116)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UE(116)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도 1의 UE들(111-115)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들은 다양한 구성들로 나타나며, 도 3a는 UE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UE(116)는 안테나(305),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310), 송신(TX) 처리 회로(315), 마이크로폰(320) 및 수신(RX) 처리 회로(325)를 포함한다. UE(116)는 또한 스피커(330), 프로세서(340), 입/출력(I/O) 인터페이스(345), 입력부(350),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메모리(360)는 운영 체제(OS) 프로그램(361)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62)을 포함한다.
RF 트랜시버(310)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100)의 gNB에 의해 송신되는 내향(incoming) RF 신호를 안테나(305)로부터 수신한다. RF 트랜시버(310)는 내향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그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325)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325)는 그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330)(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또는 추가 처리(예를 들면, 웹 브라우징 데이터)를 위해 프로세서(340)로 송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마이크로폰(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프로세서(340)로부터 다른 외향(outgoing) 기저대역 데이터(예를 들어,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쌍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그 외향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한다. RF 트랜시버(310)는 TX 처리 회로(315)로부터 외향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수신하고, 그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안테나(305)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360)에 저장된 기본 OS 프로그램(361)을 실행함으로써 UE(11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RF 트랜시버(310), RX 처리 회로(325), 및 TX 처리 회로(3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들을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들 및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들에 대한 CSI-RS 수신 및 측정을 위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한 요구에 따라 메모리(360) 내로 또는 외부로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40)는 OS 프로그램(361)에 기반하여 또는 gNB들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362)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랩탑 컴퓨터들 및 휴대용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되는 능력을 UE(116)에게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345)에 커플링되어 있다. I/O 인터페이스(345)는 이 주변기기들과 프로세서(340) 간의 통신 경로이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입력부(350)(예를 들어, 키패드, 터치스크린, 버튼 등) 및 디스플레이(355)에 커플링된다. UE(116)의 오퍼레이터는 입력부(350)를 사용하여 UE(116)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웹 사이트로부터의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40)에 커플링된다. 메모리(36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116)는 CSI 보고를 위한 시그널링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가 UE(116)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도 3a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각종 구성 요소들은 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필요들에 따라 추가 구성 요소들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일 특정 예로서,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a가 휴대 전화기나 스마트폰과 같이 구성된 UE(116)를 도시하고 있지만, UE들은 다른 타입의 이동 또는 고정 디바이스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gNB(102)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gNB(102)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다른 gNB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gNB들은 각종의 다양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며, 도 3b는 gNB에 대한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gNB(101) 및 gNB(103)는 gNB(1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NB(102)는 복수의 안테나(370a-370n), 복수의 RF 트랜시버(372a-372n), 송신(TX) 처리 회로(374), 및 수신(RX) 처리 회로(376)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안테나들(370a-370n) 중 하나 이상은 2D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gNB(102)는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378), 메모리(380) 및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를 포함한다.
RF 트랜시버(372a-372n)는, 안테나(370a-370n)로부터, UE들 또는 다른 gNB들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과 같은 내향 RF 신호들을 수신한다. RF 트랜시버(372a-372n)는 내향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여,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은,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하고, 디코딩하고, 및/또는 디지털화하는 것에 의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376)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376)는 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추가의 처리를 위하여 컨트롤러/프로세서(378)로 송신한다.
TX 처리 회로(374)는, 컨트롤러/프로세서(378)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쌍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374)는, 외향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생성한다. RF 트랜시버(372a-372n)는 TX 처리 회로(374)로부터, 외향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안테나(370a-370n)을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들로 상향 변환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gNB(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RF 트랜시버(372a-372n), RX 처리 회로(376), 및 TX 처리 회로(374)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보다 개선된 무선 통신 기능들과 같은 추가 기능들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OS와 같이 메모리(38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D 안테나 어레이를 갖는 시스템들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웹 RTC와 같은 엔티티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한 요구에 따라 메모리(380) 내로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에 커플링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는, gNB(102)가 백홀 연결을 통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는 임의의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들)을 통한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가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또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NR, LTE 또는 LTE-A를 지원하는 것)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경우,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gNB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gNB(102)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현되는 경우,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더 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 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RF 트랜시버를 통한 통신들을 지원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380)는 컨트롤러/프로세서(378)에 연결된다. 메모리(380)는 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BIS 알고리즘과 같은 복수의 명령어들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실행될 때, 복수의 명령어들은 컨트롤러/프로세서(378)가 BIS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BIS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 신호를 빼낸 후에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gNB(102)의 송신 및 수신 경로들(RF 트랜시버(372a-372n), TX 처리 회로(374), 및/또는 RX 처리 회로(376)를 사용하여 구현됨)은 UL 빔 표시 정보를 UE에게 송신한다.
도 3b가 gNB(102)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변화들이 도 3b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는 도 3b에 나타낸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임의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특정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2)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프로세서(378)는 상이한 네트워크 주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라우팅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일 인스턴스의 TX 처리 회로(374) 및 단일 인스턴스의 RX 처리 회로(37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gNB(102)는 각각에 대한 복수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RF 트랜시버 당 하나).
Rel.13 LTE는 최대 16 개의 CSI-RS 안테나 포트를 지원하여 gNB에 많은 수의 안테나 요소(예를 들면, 64 또는 128)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CSI-RS 포트에 다수의 안테나 요소가 매핑된다. 또한, Rel.14 LTE에서는 최대 32 개의 CSI-RS 포트가 지원된다. 5G와 같은 차세대 셀룰러 시스템의 경우, 최대 CSI-RS 포트 수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mmWave 대역들의 경우, 안테나 요소들의 수가 주어진 폼 팩터에 대해 더 클 수 있지만, 도 4의 송신기(4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CSI-RS 포트의 수(디지털 프리코딩된 포트 수에 대응할 수 있음)는 하드웨어 제약 사항(예를 들면, mmWave 주파수에서 많은 수의 ADC/DAC를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이 송신기는 도 1의 gNB(102) 또는 UE(116)에 존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송신기(4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다른 송신기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CSI-RS 포트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 뱅크(4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에 매핑된다. 하나의 CSI-RS 포트는 아날로그 빔포밍(405)을 통해 좁은 아날로그 빔을 생성하는 하나의 서브 어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아날로그 빔은 심볼 또는 서브 프레임 또는 슬롯(여기서 서브 프레임 또는 슬롯은 심볼의 집합을 포함하고/하거나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할 수 있음)에 걸쳐 위상 시프터 뱅크를 변화시킴으로써 더 넓은 범위의 각도(420)에 걸쳐 스위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어레이의 수(RF 체인 수와 동일)는 CSI-RS 포트의 수 NCSI-PORT와 동일하다. 디지털 빔포밍 유닛(410)은 NCSI-PORT 아날로그 빔에 걸쳐 선형 조합을 수행하여 프리코딩 이득을 더욱 증가시킨다. 아날로그 빔들은 광대역(따라서 주파수 선택적이지 않음)이지만, 디지털 프리코딩은 주파수 하위 대역들 또는 리소스 블록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신기 동작은 유사하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시스템은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여러 개의 아날로그 빔을 사용하기 때문에(예를 들어, 수시로 수행되는 트레이닝 듀레이션 이후의 많은 빔들 중에서 하나 또는 적은 수의 아날로그 빔이 선택됨), 용어 "다중 빔 작동(multi-beam operation)"은 전체 시스템 측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설명의 목적으로, 할당된 DL 또는 UL 송신(TX) 빔을 표시하는 것("빔 표시"라고도 함), 빔 보고를 계산하고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것("빔 측정" 및 "빔 보고"라고도 함), 대응하는 수신(RX) 빔의 선택을 통해 DL 또는 UL 송신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Rel.15 NR에서, 다중 빔 동작은 주로 단일 송-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 및 단일 안테나 패널을 위해 설계되었다. 따라서, 그 사양은 TX 빔이 RS와 연관되는 하나의 TX 빔에 대한 빔 표시를 지원한다. DL 빔 표시 및 측정의 경우, RS는 NZP(non-zero power) CSI-RS 및/또는 SSB(1차 동기화 신호, 2차 동기화 신호 및 PBCH를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일 수 있다. 여기서, DL 빔 표시는 할당된 하나의(및 단 하나의) RS에 대한 인덱스를 포함하는 DL 관련 DCI의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필드를 통해 수행된다. UL 빔 표시 및 측정의 경우, RS는 NZP CSI-RS, SSB 및/또는 SRS일 수 있다. 여기서, UL 빔 표시는 하나의(및 단 하나의) RS에 링크된 UL 관련 DCI의 SRI(SRS resource indicator) 필드를 통해 수행된다. 이 링크는 SpatialRelationInfo RRC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다. 본질적으로, 하나의 TX 빔만이 UE에게 표시된다.
UE가 복수의 패널(각 패널이 하나의 아날로그 빔을 통해 송신할 수 있음)을 장착하는 UL 다중 빔 동작의 경우, 패널들에 대해 동일한 UL TX 빔(또는 UL 송신 공간 필터)을 사용하는 것은 적어도 두 가지 이유에 있어서 차선적인 것이다. 첫째, 다수의 패널들에 동일한 TX 빔을 사용하면 낮은 랭크(특히 랭크-1) 채널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껏해야 다이버시티 타입 송신만 지원할 수 있다. 둘째, mmWave 전파 채널(3GPP에서 FR2라고도 함)의 특성으로 인해 패널마다 다른 차단 프로파일이 허용된다. 차단으로 인해 전파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차단된" 패널로부터의 송신은 낭비이다. 따라서, 다중 TX 빔에 대한 UL 빔 표시는 다중 패널을 가진 UE에게 유용한 것이다.
또한, 다중 빔 동작에서 빈번한 RRC(L3) 재구성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중 빔 동작은 이동성과 같은 상위 계층(L3) 절차를 우회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레이턴시를 줄이고 오버헤드를 낮추는 절차가 유용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안테나 패널을 갖는 UE들로부터 잠재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는 UL 빔 표시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대한 레이턴시 및/또는 오버헤드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FDD 및 TDD 모두를 DL 및 UL 시그널링에 대한 이중 방식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하의 예시적인 설명 및 실시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을 가정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른 OFDM 기반 송신 파형 또는 필터링된 OFDM(filtered OFDM, F-OFDM)과 같은 다중 접속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활성화"라는 용어는 UE가 네트워크(또는 gNB)로부터 시간적 시작 포인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시작 포인트는 현재 또는 미래의 슬롯/서브 프레임 또는 심볼이 될 수 있다 - 정확한 위치는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표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다.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이에 따라 응답한다. 용어 "비활성화"는 UE가 시간적 중지 포인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네트워크(또는 gNB)로부터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중지 포인트는 현재 또는 미래의 슬롯/서브 프레임 또는 심볼이 될 수 있다 - 정확한 위치는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표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다.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이에 따라 응답한다.
TCI, TCI 상태, SpatialRelationInfo, 타겟 RS, RS 및 기타 용어와 같은 용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규준적인 것이 아니다.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UL TX 빔과 같은 용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따라서 규준적인 것이 아니다. 송신된 UL 신호에 대해 UE에 의해 적용되는 공간 필터링 동작을 나타내는 UL 송신 공간 필터와 같은 다른 용어도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RS"는 방향, 프리코딩/빔포밍, 포트 수 등과 같은 UL TX 빔(또는 UL 송신 공간 필터)의 특성 세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UE가 UL 그랜트에서 RS 인덱스/ID를 수신하면 UE는 그랜트된 UL 송신에 대해 기지의(known) RS 특성을 적용한다. RS는 빔 보고 계산에 사용되는 측정 결과와 함께 UE에 의해 수신되고 측정될 수 있다(이 경우, RS는 NZP CSI-RS 및/또는 SSB와 같은 다운링크 신호임). NW/gNB가 빔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NW는 특정 UL TX 빔을 UE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더 잘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RS는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이 경우, RS는 SRS 또는 DMRS와 같은 다운링크 신호임). NW/gNB가 RS를 수신하면, NW/gNB는 특정 UL TX 빔을 UE에 할당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측정하고 계산할 수 있다.
RS는 NW/gNB에 의해 동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고(예를 들면, 비주기적 RS의 경우 DCI를 통해), 특정 시간 도메인 동작으로 사전 구성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주기적 RS의 경우, 주기 및 오프셋) 또는 이러한 사전 구성 및 활성화/비활성화(반지속적 RS의 경우)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음의 두 실시예는 네트워크(network, NW)가 UE로부터 일부 송신을 수신한 후에 UL 빔 표시를 이용하는 UL 다중 빔 동작의 예들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주기적 CSI-RS가 NW에 의해 송신되고 UE에 의해 측정된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UL과 DL BPL(beam-pair-link) 간의 상호성이 유지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 조건을 "UL-DL 빔 대응성(UL-DL beam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주기적 SRS가 NW에 의해 트리거되고 UE에 의해 송신되어 NW(또는 gNB)가 UL 빔을 할당할 목적으로 UL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UL-DL 빔 대응성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예에서 비주기적 RS가 사용되고 있지만,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RS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중 빔 동작과 특히 관련이 있는 mmWave(또는 FR2) 또는 52.6GHz(또는 FR4) 이상의 대역의 경우, 송-수신 프로세스에는 수신기가 주어진 TX 빔에 대해 수신(RX) 빔을 선택하는 것이 포함된다. UL 다중 빔 동작의 경우, gNB는 모든 UL TX 빔(RS에 대응)에 대해 UL RX 빔을 선택한다. 따라서, UL RS(예를 들면, SRS 및/또는 DMRS)가 RS로서 사용될 때, NW/gNB는 UL RS(UL TX 빔의 선택과 연관됨)를 송신하도록 UE를 트리거하거나 구성한다. gNB는, UL RS의 수신 및 측정시에, UL RX 빔을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TX-RX 빔 쌍이 도출된다. NW/gNB는 구성된 RS들(RS 당 또는 "빔 스위핑")에 대해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고, UE에 구성된 RS들과 연관된 TX-RX 빔 쌍들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DL RS(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SSB)가 RS로서 사용되는 경우(DL-UL 빔 대응성 또는 상호성이 유지되는 경우에 해당), NW/gNB는 RS를 UE로 송신한다(UL을 위해 상호성에 따라, 이것은 UL RX 빔에 해당함). 이에 응답하여, UE는 RS를 측정하고(그리고 그 과정에서 UL TX 빔을 선택) RS의 품질과 연관된 빔 메트릭을 보고한다. 이 경우, UE는 구성된 모든(DL) RS에 대한 TX-RX 빔 쌍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 지식이 NW/gNB에서는 사용될 수 없지만, UE는 NW/gNB로부터 RS(따라서 UL RX 빔) 표시 수신시에, TX-RX 빔 쌍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UL TX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R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500)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gNB(102)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서 UE(116)와 같은 UE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5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5의 도면(500)에 도시된 예에서, UL 다중 빔 동작은 gNB/NW가 비주기적 CSI-RS(AP-CSI-RS) 트리거 또는 표시를 UE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과정 501). 이 트리거 또는 표시는 DCI(UL 관련 또는 DL 관련, 개별적으로 또는 비주기적 CSI 요청/트리거와 공동 시그널링됨)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한(제로 시간 오프셋) 또는 나중의 슬롯/서브-프레임(>0 시간 오프셋)에서 AP-CSI-RS의 전송을 나타낼 수 있다. gNB/NW에 의해 송신되는 AP-CSI-RS를 수신하면(과정 502), UE는 AP-CSI-RS를 측정하고, 결국, "빔 메트릭(beam metric)"(특정 TX 빔 가설의 품질을 나타냄)을 계산 및 보고한다(과정 503). 이러한 빔 보고의 예들은 관련 L1-RSRP/L1-RSRQ/L1-SINR/CQI와 커플링되는 CSI-RS 리소스 인디케이터(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또는 SSB 리소스 인디케이터(SSB resource indicator, SSB-RI)이다. UE로부터 빔 보고를 수신하면, NW는 빔 보고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UL TX 빔을 선택하고,(NR에서 DCI 포맷 0_1과 같은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UL 관련 DCI의 SRI 필드를 사용하여 UL TX 빔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과정 504). SRI는 SpatialRelationInfo 구성을 통해 RS(이 경우, AP-CSI-RS)에 링크되는 "타겟" SRS 리소스에 해당한다. SRI와 함께 UL 관련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SRI와 연관된 UL TX 빔으로 UL 송신(PUSCH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또는 PUSCH 또는 PUCCH를 통한 UCI 송신)을 수행한다(과정 505).
도 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R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600)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gNB(102)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서 UE(116)와 같은 UE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6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6의 도면(600)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UL 다중 빔 동작은 gNB/NW가 비주기적 SRS(AP-SRS) 트리거 또는 요청을 UE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과정 601). 이 트리거는 DCI(UL 관련 또는 DL 관련)에 포함될 수 있다. AP-SRS 트리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면(과정 602), UE는 AP-SRS를 gNB/NW로 송신하여(과정 603) NW(또는 gNB)가 UL 전파 채널을 측정하고 UE를 위한 UL TX 빔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gNB/NW는(NR에서 DCI 포맷 0_1과 같은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UL 관련 DCI의 SRI 필드를 사용하여 UL TX 빔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과정 604). SRI는 SpatialRelationInfo 구성을 통해 RS(이 경우, AP-SRS)에 링크되는 "타겟" SRS 리소스에 해당한다. SRI와 함께 UL 관련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SRI와 연관된 UL TX 빔으로 UL 송신(PUSCH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또는 PUSCH 또는 PUCCH를 통한 UCI 송신)을 수행한다(과정 605).
상기한 2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UL TX 빔만이 UE에게 표시된다. 본 개시에서는, 다중-패널 UE들을 위한 UL 다중 빔 동작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SRI는 Rel.15 NR에서 UL 송신이 수행되는 방향을 특정 SRS 리소스(SRS 리소스에 적용되는 프리코딩/빔포밍 측면에서)과 상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SRS 리소스(타겟 SRS라고 함)는 SRS 리소스 세트를 RS 세트와(일대일) 상관시키는 상위 계층 구성(SpatialRelationInfo)을 통해 RS와 링크된다. RS의 특성은 빔 측정 및 트레이닝을 통해(UE 및/또는 NW에 의해서) 학습된다. SRI 기반 방법이 실행 가능하지만, RS 세트를 직접 참조하면 레이턴시 감소 및 불필요한 리소스 사용(예를 들면, "타겟" SRS에 대한 SRS 리소스 사용) 측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UE에게 RS를 직접 시그널링하는 방법들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K 개 RS들의 세트가 상위 계층(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K 개 RS는 NZP CSI-RS, SSB, SRS, DMR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세트는 NZP CSI-RS 및 SSB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NZP CSI-RS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NZP CSI-RS 및 SRS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SRS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RS는 특정 타입의 RS의 리소스 ID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K TCI (≤ K) 개 UL 송신 구성 정보/인디케이터(UL-TCI) 상태들의 세트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MAC CE), 또는 L1 제어 시그널링(DCI)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어 "TCI" 또는 "UL-TCI"는 예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K TCI 개 UL-TCI 상태들의 세트는 구성된 K 개 RS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UL 관련 DCI의 UL-TCI 필드에 대한 상태들로서 사용된다.
본 개시는 함께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독립적 방식들로 동작할 수 있는 다음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구성 요소는 SRI를 사용하지 않는 UL TX 빔 표시 방법들을 포함한다. 제2 구성 요소는 다중 TX 패널이 장착된 UE에 대한 UL TX 빔 표시를 포함한다. 제3 구성 요소는 다중 안테나 패널이 장착된 UE들에 대한 UL TX 빔 표시를 구성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포함한다. 제4 구성 요소는 UL TX 빔 표시를 동적으로 시그널링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포함한다. 제3 및 제4 구성 요소들은 SRI 기반 및 UL-TCI 기반 UL 빔 표시 방식들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각 구성 요소들은 단독으로(다른 구성 요소없이)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각 구성 요소들은 복수의 하위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각 하위 구성 요소들은 단독으로(다른 하위 구성 요소없이)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하위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 구성 요소(즉, SRI를 사용하지 않는 UL TX 빔 표시)에 대한, SRI를 사용하지 않는 단일 또는 다중 UL TX 빔을 시그널링하는 선택적 방법이 설명된다. SRI는 Rel.15에서 UL 송신이 수행되는 방향을 특정 SRS 리소스(SRS 리소스에 적용되는 프리코딩/빔포밍의 측면에서)과 상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SRS 리소스(타겟 SRS라고 함)는 (타겟) SRS 리소스 세트를 RS 세트와 (일대일) 상관시키는 상위 계층 구성을 통해 RS와 링크된다. RS의 특성은 빔 측정 및 트레이닝을 통해 (UE 및/또는 NW에 의해서) 학습된다. SRI 기반 방법이 실행 가능하지만, RS 세트를 직접 참조하면 레이턴시 감소 및 불필요한 리소스 사용(예를 들면, "타겟" SRS에 대한 SRS 리소스 사용) 측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 실시예(I.1)에서, K 개 RS들의 세트가 상위 계층(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K 개 RS들은 NZP CSI-RS, SSB, SRS, DMR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세트는 NZP CSI-RS 및 SSB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NZP CSI-RS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NZP CSI-RS 및 SRS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SRS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RS는 특정 타입의 RS의 리소스 ID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가 RS 세트에 NZP CSI-RS 및 SRS를 포함하고 K=8인 표 1에 나와 있다.
이 구성에는 타겟 SRS 없이 RS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타겟 SRS를 RS와 링크시키는 SpatialRelationInfo가 사용되지 않으며, 필요하지도 않다. RS는 방향, 프리코딩/빔포밍, 포트 수 등과 같은 UL TX 빔의 특성 세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UE가 UL 그랜트에서 RS 인덱스/ID를 수신하면, UE는 그랜트된 UL 송신에 대해 기지의(known) RS 특성을 적용한다.
표 1. RS 세트의 예, K = 8
하나의 하위 실시예(I.1.1)에서, K TCI (≤ K) UL 송신 구성 정보/인디케이터(UL-TCI) 상태들의 세트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어 "TCI" 또는 "UL-TCI"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K TCI 개 UL-TCI 상태들의 세트가, 구성된 K 개 RS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UL 관련 DCI에서의 UL-TCI 필드 상태들로서 사용된다. 표 2A 및 표 2B는 UL-TCI 인덱스가 RS 인덱스와 동일하게 설정된 표 1에 주어진 RS 구성에 대한 UL-TCI 상태 구성의 두 가지 예를 보여준다. 표 2A에서는 K TCI = K = 8인 반면, 표 2B에서는 K TCI = 4이며, 여기서 K = 8 RS의 서브세트만이 UL-TCI에 사용된다.
표 2A. K TCI = K = 8의 예
표 2B. K TCI = 4의 예
이 하위 실시예의 경우, K TCI 개 UL-TCI 상태들의 세트가 구성되며, UL-TCI 필드가 UL 관련 DCI에서 사용되어 UL TX 빔 선택을 UE에게 표시할 수 있다. UL-TCI 필드에 대한 가설의 수는 K TCI 이며, 따라서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UL-TCI가 별도의 DCI 필드이다. 선택적으로, K TCI 개 UL-TCI 가설이 다른 DCI 필드에서 공동으로 시그널링 및/또는 인코딩될 수 있다.
하나의 하위 실시예(I.1.2)에서는, K TCI (≤ K) 개 UL 송신 구성 정보/인디케이터(UL-TCI) 상태들의 세트가 L2 제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 또는 L1 제어 시그널링(UL 관련 DCI 및/또는 DL 관련 DCI를 통해), 또는 L2 및 L1 제어 시그널링 간의 조합을 통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UL-DCI 상태 인덱스와 RS 인덱스(예를 들면, 표 2A 또는 2B) 간의 매핑은 상위 계층/RRC/L3 시그널링 대신에, L1 및/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다.
L1 제어 시그널링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RNTI를 사용하여 이 시그널링을 DL 할당 및 UL 그랜트와 구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매핑이 여러 UE에 걸쳐 공통될 수 있기 때문에, UE-그룹 DCI(UE-특정 DCI 대신)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이 하위 실시예가 무조건적으로 사용된다. 즉, UE는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K 개 RS들의 세트(예를 들면, 표 1)로 구성될 수 있으며, K TCI -서브세트 선택이 UL-DCI 상태 인덱스와 RS 인덱스 사이의 매핑(예를 들면, 표 2A 또는 표 2B)과 함께 L1 및/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된다.
다른 예에서는, 이 하위 실시예가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사용된다. 이러한 조건의 예는 K TCI 의 값이다. 예를 들어, K TCI = K인 경우, UL-DCI 상태 인덱스와 RS 인덱스 간의 매핑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다(하위 실시예 I.1.1에서와 같음). 그렇지 않은 경우(K TCI < K인 경우), UL-DCI 상태 인덱스와 RS 인덱스 간의 매핑은 MAC CE(또는 DCI)를 통해 구성된다.
앞서의 하위 실시예 I.1.1과 마찬가지로, K TCI 개 UL-TCI 상태들의 세트가 구성되며, UL-TCI 필드가 UL 관련 DCI에서 사용되어 UL TX 빔 선택을 UE에게 표시할 수 있다. UL-TCI 필드에 대한 가설의 수는 K TCI 이며, 따라서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UL-TCI가 별도의 DCI 필드이다. 선택적으로, K TCI 개 UL-TCI 가설이 다른 DCI 필드에서 공동으로 시그널링 및/또는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타겟 SRS 리소스들을 구성할 필요가 없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목적들을 위해 SRS 리소스들을 할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UL-TCI 기반의 빔 표시 방법들을 통해 SRS 리소스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L-TCI DCI 필드가 UL 관련 DCI에 포함될 수 있다. 5G NR에서, 이것은 DCI 포맷 0_0 및/또는 0_1, 및/또는 UL 송신들을 위한 임의의 다른 UL 관련 DCI 포맷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는, 적어도 두 가지 옵션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옵션에서는, UL-TCI 필드를 포함하는 UL 관련 DCI가 SRI 필드(UL 빔 표시가 아닌,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과 같은 UL 송신에 사용됨)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옵션에서는, UL-TCI 필드를 포함하는 UL 관련 DCI가 SRI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음 두 가지 하위 실시예는 UL-TCI 기반 UL 빔 표시를 이용하는 UL 다중 빔 동작들의 예들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주기적 CSI-RS가 NW에 의해 송신되고 UE에 의해 측정된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UL과 DL BPL(beam-pair-link) 간의 상호성(reciprocity)이 유지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 조건을 "UL-DL 빔 대응성(UL-DL beam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주기적 SRS가 NW에 의해 트리거되고 UE에 의해 송신되어 NW(또는 gNB)가 UL 빔을 할당할 목적으로 UL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UL-DL 빔 대응성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예에서는 비주기적 RS가 사용되지만,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RS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L TC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700)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gNB(102)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UE(116)와 같은 UE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7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7의 도면(700)에 도시된 하나의 예에서(하위 실시예 I.2.1), UL 다중 빔 동작은 gNB/NW가 비주기적 CSI-RS(AP-CSI-RS) 트리거 또는 표시를 UE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과정 701). 이 트리거 또는 표시는 DCI(UL 관련 또는 DL 관련, 개별적으로 또는 비주기적 CSI 요청/트리거와 공동 시그널링됨)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한(제로 시간 오프셋) 또는 나중의 슬롯/서브-프레임(>0 시간 오프셋)에서 AP-CSI-RS의 전송을 나타낼 수 있다. gNB/NW에 의해 송신되는 AP-CSI-RS를 수신하면(과정 702), UE는 AP-CSI-RS를 측정하고, 결국, "빔 메트릭"(특정 TX 빔 가설의 품질을 나타냄)을 계산 및 보고한다(과정 703). 이러한 빔 보고의 예들은 관련 L1-RSRP/L1-RSRQ/L1-SINR/CQI와 커플링되는 CSI-RS 리소스 인디케이터(CRI) 또는 SSB 리소스 인디케이터(SSB-RI)이다.
UE로부터 빔 보고를 수신하면, gNB/NW는 빔 보고를 사용하여 UE에 대한 UL TX 빔을 선택하고, (NR에서 DCI 포맷 0_1과 같은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UL 관련 DCI의 SRI 필드를 사용하여 UL TX 빔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동작 704). 이 경우에서는, UL-TCI가 (gNB/NW에 의해) 선택된 UL RX 빔을 나타내는 RS(이 경우, AP-CSI-RS)를 표시한다. UL-TCI를 사용하여 UL 관련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UL TX 빔을 선택하고 UL TX 빔과 관련된 UL TX 빔을 사용하여 기준 CSI-RS와 연관된 UL TX 빔으로 UL 송신(PUSCH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또는 PUSCH 또는 PUCCH를 통한 UCI 송신)을 수행한다(동작 805).
이 하위 실시예(I.2.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UE는 UL-T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RS 인덱스와 연관된 도출 DL RX 빔에 기반하여 UL TX 빔을 선택한다. 이 경우에서는, RS 리소스들로서 UE에 대해 구성된 CSI-RS 리소스들(또는 일반적으로, CSI-RS, SSB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포함하는 DL RS 리소스들)이 CRI/L1-RSRP 또는 L1-SINR와 같은 "빔 메트릭" 보고에 링크(연관)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L TCI를 사용한 UL 빔 표시에 대한 흐름도(800)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gNB(102)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UE(116)와 같은 UE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8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8의 도면(800)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하위 실시예 I.2.2), UL 다중 빔 동작은 gNB/NW가 비주기적 SRS(AP-SRS) 트리거 또는 요청을 UE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동작 801). 이 트리거는 DCI(UL 관련 또는 DL 관련)에 포함될 수 있다. AP-SRS 트리거를 수신 및 디코딩하면(동작 802), UE는 AP-SRS를 gNB/NW로 송신하여(동작 803), NW(또는 gNB)가 UL 전파 채널을 측정하고 UE를 위한 UL TX 빔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gNB/NW는 (NR에서 DCI 포맷 0_1과 같은 UL 그랜트를 전달하는) UL 관련 DCI에서 UL-TCI 필드를 사용하여 UL TX 빔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동작 804). 이 경우에서는, UL-TCI가 선택된 UL TX 빔을 나타내는 RS(이 경우, AP-SRS)를 표시한다. UL-TCI를 사용하여 UL 관련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UL-TCI에 의해 표시된 UL TX 빔으로 UL 송신(PUSCH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또는 PUSCH 또는 PUCCH를 통한 UCI 송신)을 수행한다(동작 805).
이 하위 실시예(I.2.2)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UE는 UL-T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RS(이 경우에서는 SRS) 인덱스로부터 UL TX 빔을 선택한다.
제2 구성 요소(즉, 다중 TX 패널에 대한 UL TX 빔 표시)의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 UE는 사운딩(따라서 gNB에서 UL CSI 획득, UL TX 빔 트레이닝을 포함할 수 있음) 목적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S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SRS 리소스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UL-TCI 상태 구성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단 하나의 SRS 리소스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SRI 필드가 필요하지 않다. 하나보다 많은 SRS 리소스가 사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패널 선택 또는 다중 패널을 통한 동시 송신을 사용하는 다중 패널 UE의 경우), SRI 필드(SRS 리소스의 선택을 나타냄)가 사용될 수 있다. 이 SRI 필드는 UL-TCI 필드와 별도로 또는 공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2 개의 SRS 리소스로 구성되는 경우, 그들의 목적을 위해 표 2A 및 표 2B는, SRS 리소스의 선택을 포함하도록 표 3A 및 표 3B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즉, UL-TCI 필드에 포함되거나 공동으로 정의되는 SRI 필드의 기능).
선택적으로, 2 개의 UL-TCI 필드 및/또는 2 개의 SRI 필드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2 개의 패널에 대한 UL-TCI 기반 UL 빔 표시가 개별적으로/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UE 패널 선택 지원을 수용하기 위해, 패널을 턴 오프하기 위한 코드-포인트(code-point)가 각 UL-TCI 필드에 포함된다.
표 3A. K TCI = K = 8인 예
표 3B. K TCI = 4인 예
선택적으로, UE는 N ≥ 1 개의 S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N 개의 SRS 리소스 각각이 RS 리소스들의 세트에 링크(연관)된다. 즉, n 번째 SRS 리소스는 n 번째 RS 리소스 세트(n = 0, 1, ??, N - 1)와 연관된다. 이것이 표 4A(아래에 제공됨)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각 RS 리소스 세트에는 N = 2인 K TCI = 4 RS 리소스가 포함된다. 여기서 이 두 개의 RS 리소스 세트는 서로 다르며 공통 요소(들)를 공유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 두 개의 세트가 동일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르다. 여기서 이 두 개의 RS 리소스 세트는 두 개의 UE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 표 4A의 UL-TCI 구성은, 2 개의 SRS 리소스와 함께 구성될 때, 소위 UE 패널 선택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각 UL-TCI 상태들에 대해 두 개의 SRS 리소스 중 하나만이 선택된다.
N 개의 구성된 SRS 리소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RS 인덱스들과 연관되는 경우, 앞서의 예들(표 3A 및 도 3b에서 설명됨)에서와 같은 SRS 리소스 선택(예를 들면, SRI 필드 사용)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표 4A는 UE 패널 선택에 추가하여 2 개의 패널을 통한 동시 송신이 또한 지원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표 4B에서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하나의 UL-TCI 필드가 패널 선택과 2 개의 패널을 통한 동시 송신 모두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는, 2 개의 개별 UL-TCI 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UL-TCI 필드는 하나의 패널과 연관될 수 있다. 이것이 표 4C(a) 및 표 4C(b)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2 개의 패널에 대한 UL-TCI 기반 UL 빔 표시가 개별적으로/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UE 패널 선택 지원을 수용하기 위해, 패널을 턴 오프하기 위한 코드-포인트가 각 UL-TCI 필드에 포함된다.
표 4A. K TCI = 4, N = 2, 패널 선택만인 예
표 4B. K TCI = 4, N = 2인 예
표 4C. K TCI = 4, N = 2인 예
(a)
(b)
구성 요소 2의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하위 실시예들의 경우, UL 빔 표시(즉, UL TX 빔과 연관된/QCL된 RS 인덱스) 및 패널 선택(또는 패널 서브세트 선택)이 모두 UL-TCI 상태 정의에 포함되며 따라서 UL 관련 DCI(예를 들면, 표 3A, 3B, 4A 또는 4B)에서 UL-TCI 필드를 통해 UE에게 공동으로 시그널링된다. 이것은 또한 2 개의 패널에 대해 2 개의 UL-TCI 필드가 사용될 때 묵시적으로 수행된다(예를 들면, 표 4C). 따라서, UL 빔 TX 표시와 패널 서브세트 선택이 동시에 수행되고, DCI 기반 시그널링을 통해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L TX 빔 표시 및 패널 서브세트 선택을 공동 정의 및/또는 동시에 시그널링/업데이트하는 대신에, 패널 서브세트 선택 및 UL TX 빔 표시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패널(서브세트) 선택과 UL TX 빔 표시 간의 커플링이 다수의 경우들에 있어서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패널(서브세트) 선택이 더 오랜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차단 또는 경로 손실과 같은 장기 채널 속성, 즉 거시적 채널 속성에 대응) 반면 UL TX 빔 표시(UL TX 빔에 적용되는 TX 공간 필터)가 더 빈번하게 업데이트될 수 있다(빠른 페이딩 채널 또는 미시적 채널 속성에 대응). 이 경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옵션이 있다.
제1 옵션에서는 UL 관련 DCI(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에 대한 두 개의 개별 DCI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를 위한 것이다. 이 두 개의 DCI 필드는 공존할 수 있으며(또는 동시에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UL 관련 DCI에서 UE에게 시그널링된다. 이 경우, 두 가지 모두가 시그널링되고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2 옵션에서는, UL 관련 DCI(Rel. 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에 대한 두 개의 개별 DCI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1 옵션과 달리, 이 두 개의 DCI 필드는 동일한 DCI에서 공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패널 서브세트 선택을 위한 DCI 필드는 UE-그룹 DCI에 포함될 수 있는 반면 UL TX 빔 표시를 위한 DCI 필드는 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에서 도출되거나 또는 유사한 UE-특정(전용) DCI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UL TX 빔 표시를 위한 DCI 필드는 UE-그룹 DCI에 포함될 수 있는 반면, 패널 서브세트 선택을 위한 DCI 필드는 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에서 도출되거나 또는 유사한 UE-특정(전용)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제3 옵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이 MAC CE(L2 제어)를 통해 UE에게 시그널링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는 UL 관련 DCI(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의 D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또는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가 MAC CE(L2 제어)를 통해 UE에 시그널링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은 UL 관련 DCI(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의 D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제4 옵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이 상위 계층(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시그널링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는 UL 관련 DCI(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의 D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또는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RS 인덱스/인디케이터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가 상위 계층(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시그널링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 또는 SRS(또는 SRS 리소스 그룹)에 대한 일부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인디케이터와 연관된 패널 서브세트 선택은 UL 관련 DCI(Rel.15/16 NR의 DCI 포맷 0_0 및/또는 0_1의 도출 또는 유사)의 DCI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적어도 제3 또는 제4 옵션의 경우, UL 관련 DCI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기능은 다른 기능의 할당을 변경하지 않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TX 빔 표시가 UL 관련 DCI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제3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선택된 패널 또는 패널 서브세트와 연관된 UL TX 빔 표시(즉, RS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패널 또는 패널 서브세트를 변경하지 않고도 업데이트될 수 있다.
패널(서브세트) 선택과 관련하여, 패널 수 및 연관된 인덱스에 대한 표시가 추가로 파티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UL-TCI 필드라는 용어가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동일한 기능(즉,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성된 UL TCI 상태를 지칭함)을 갖는 다른 용어 및/또는 다른 DCI 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개시에서 다루어진다. 예를 들어, UL-TCI 필드의 기능은 Rel.15 NR의 DCI 포맷 0_1의 기존 SRI 필드를 재사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SRI 필드는 Rel.15 NR에서 지정된 SpatialRelationInfo가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UL TCI 상태 정의(RS 리소스 ID 목록 포함)에 따라 해석된다. 이 SRI 필드는 하나의 구성된 SRS 리소스 또는 위에서 설명한 하나보다 많게 구성된 SRS 리소스를 사용하여, 더 많은 UL TCI 가설을 수용하도록 확장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SRI(구성된 SRS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시킴)가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RS 리소스 세트 인덱스/인디케이터는 특히 하나의 SRS 리소스가 하나의 포트만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면, Rel. 15/16 NR의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 방식의 경우)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약간 다른(그러나 유사한) 기능이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와 구별되는 인디케이터가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을 구성하는 것이 패널의 포트 세트일뿐만 아니라 패널 내의 포트들의 서브세트 또는 여러 패널에 있는 포트들인 경우, 그룹 또는 세트(또는 포트 그룹 또는 포트 세트) 인디케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그룹 또는 세트(SRS 포트들 또는 SRS 리소스들의)가 하나의 UL 송신 유닛과 연관된다 - 이것은 UL 전력 제어, UL 타이밍(제어 또는 전진) 및/또는 그룹/세트 내의 포트들/리소스들에 대한 일부 타입의 QCL과 같은 기능들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의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이 SRS 리소스 세트 또는 SRS 리소스와 연관될 수 있다. Rel.15/16 NR의 경우, 이것은 송신 방식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두 연관 모두 관련성이 있으며 수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패널 서브세트 선택, UL-TCI 정의 및/또는 RS와 "타겟" SRS 간의 링크(공간적 관계 또는 QCL)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UE가 코드북 기반 UL 송신으로 구성된 경우, 그룹/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SRS 리소스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고, UE가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룹/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SRS 리소스 세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표 3A 내지 4C에서, 하나의 SRS 리소스는 하나의 그룹에 대응한다(따라서 그룹 ID는 SRI를 포함한다).
다음의 제3 및 제4 구성 요소들에 적용 가능하며,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UE 측의 패널 수는 M으로 표시된다. M 개 패널의 서브세트가 사용되는 경우, 서브세트에 있는 패널 수는 N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NM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널이 아날로그 빔포머에 의해 구동되는 안테나 요소들의 어레이이며 따라서 가능한 다수의 방향을 생성할 수 있지만, 주어진 시간 유닛 또는 하위 시간 유닛(심볼의 하나 또는 일부, 슬롯의 하나 또는 일부)에서 UL 송신 및 DL 수신에 단 하나의 아날로그 빔(단일 편파 또는 이중 편파일 수 있음)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아날로그 빔으로 송신 또는 수신할 때, 하나의 패널은, 빔이 단일 편파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하나의 스트림/레이어만 수용할 수 있고, 빔이 이중 편파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2 개의 스트림/레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제3 구성 요소(즉, 다중 TX 패널에 대한 UL TX 빔 표시 구성)의 경우, UL 빔 표시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 요소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하나의 RS 리소스 세트가 하나의 RS 리소스 또는 둘 이상의 RS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는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 둘째, M 개의 구성된 RS 리소스 세트의 서브세트(N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요소. 셋째, 리소스 세트의 RS 리소스들과 DCI를 통해 UE에 (동적으로) 시그널링되는 정보 간의 링크 또는 대응성을 구성하기 위한 요소.
일 실시예(III.1)에서, 제1 요소와 관련하여, UE는 총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RS는 DL RS(예를 들면, NZP CSI-RS, DL DMRS, 또는 SSB) 또는 UL RS(예를 들면, SRS 또는 UL DMRS)일 수 있다. 다중-패널 UE에 대한 사용 측면에서, 하나의 RS 리소스 세트는 하나의 패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ZP CSI-RS가 RS인 경우, M 개의 CSI-RS 리소스 세트가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SRS가 RS인 경우, M 개의 SRS 리소스 세트가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위 계층(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각 리소스 세트 m(= 0, 1, ??, M - 1)은 R n = R RS 리소스로 구성된다.
리소스 세트를 사용하여, RS 리소스 선택이 다른 리소스 세트들(따라서 다른 패널들)에 걸쳐 파티션될 수 있다.
일 실시예(III.2)에서, 제2 요소와 관련하여, M 개의 구성된 RS 리소스 세트 중에서, 크기 N의 서브세트가 (예를 들어, PUSCH, PUCCH에서) UL 송신의 목적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각 리소스 세트에 대한 R 리소스 중에서 하나의 RS 리소스만 선택된다. 이 경우, M 개의 구성된 리소스 세트 중 N 개가 UL 송신 기준을 위해 추가로 선택되고 하나의 리소스 세트에서 1 개의 SRS 리소스만 선택될 수 있는 경우, 가설 수 = 주어진 값 N에 대해 이다. N 값들(1에서 M까지)에 대한 가설 수를 합산하면, 총 가설 수 = 이다.
이러한 서브세트 선택은 여러 선택적인 방식으로 UE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N과 해당 서브세트(리소스 세트(들)가 선택된)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부 옵션들이 표 5에 나와 있다. DCI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UE-그룹(UE들의 그룹이 동일한 셋업을 공유할 수 있는 경우 적용 가능) 또는 UE-특정 DCI일 수 있다. 또한, 크기-M 비트맵을 사용하거나(여기서 m 번째 리소스 세트는 m 번째 비트에 대응하고, m 번째 리소스 세트는 m 번째 비트가 1인 경우 선택되며 - 따라서 1의 수는 N의 값을 나타냄) 또는 인디케이터( 조합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관련됨)를 사용하여 N의 값과 크기-N 서브세트의 컨텐츠가 공동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표 5. RS 리소스 세트 선택 시그널링
이 실시예는 무조건적으로 또는 조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N-서브세트 선택의 조건적 사용의 예는 N의 값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 및/또는 N이 특정 값보다 작으면, N-서브세트 선택이 스킵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N-서브세트 선택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III.3)에서, 제3 요소와 관련하여, M 또는 N 개의 구성된 RS 리소스 세트가 구성된 "타겟" SRS 리소스 세트와 링크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이 실시예는 SRI 기반 UL TX 빔 표시가 사용되거나 구성될 때 관련된다. 이 링크는 SpatialRelationInfo와 같은 구성 파라미터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이 용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음). 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는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 또는 L1 제어 시그널링(DCI)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MAC CE)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SpatialRelationInfo의 컨텐츠 또는 정의 측면에서, 몇 가지 하위 실시예가 가능하다.
하나의 하위 실시예(III.3.1)에서, 패널마다(RS 리소스 세트마다) SpatialRelationInfo가 사용될 수 있다. 각 구성은 하나의 타겟 SRS를 ID로 표시되는 하나의 RS(CSI-RS, SSB 또는 SRS일 수 있음)에 링크시킨다. SpatialRelationInfo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달되는 경우, 총 M(구성된 RS 리소스 세트의 총 수) 개의 SpatialRelationInfo 구성이 사용된다. SpatialRelationInfo가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달되는 경우,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를 M 개의 타겟 SRS 리소스와 상관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에, N(선택된 RS 리소스 세트 수) 개의 SpatialRelationInfo 구성만이 사용된다. N 개의 SpatialRelationInfo 구성이 서브세트 선택과 함께 또는 공동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표 5 참조).
다른 하위 실시예(III.3.2)에서, 공동(RS 리소스 세트에 대한 것) SpatialRelationInfo가 사용될 수 있다. SpatialRelationInfo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송되는 경우, 이것은 RS 리소스 세트의 각 RS 리소스(ID로 표시됨)를 총 RS 리소스 세트 수가 M인 타겟 SRS 리소스와 링크시킨다. SpatialRelationInfo가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되면, 이것은 RS 리소스 세트의 각 RS 리소스를 총 RS 리소스 세트 수가 N인 타겟 SRS 리소스와 링크시킨다.
다른 실시예(III.4)에서, 제3 요소와 관련하여, M 또는 N 개의 구성된 RS 리소스 세트들이 RS 리소스 UE에게 시그널링하는 UL 관련 DCI 필드의 코드-포인트/가설 세트와 링크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UL-TCI 기반 UL TX 빔 표시가 사용되거나 구성될 때 관련된다. 따라서, 타겟 SRS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링크는 UL-TCI-State와 같은 구성 파라미터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이 용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음). UL-TCI-State 파라미터는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 또는 L1 제어 시그널링(DCI)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MAC CE)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UL-TCI-State의 컨텐츠 또는 정의 측면에서, 몇 가지 하위 실시예가 가능하다.
하나의 하위 실시예(III.4.1)에서, 패널마다(RS 리소스 세트마다) UL-TCI-State가 사용될 수 있다. 각 구성은 UL-TCI 필드의 하나의 코드-포인트를 ID로 표시되는 하나의 RS(CSI-RS, SSB 또는 SRS일 수 있음)에 링크시킨다. UL-TCI-State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달되는 경우, 총 M(구성된 RS 리소스 세트의 총 수) 개의 UL-TCI-State 구성이 사용된다. UL-TCI-State가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달되는 경우,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를 UL-TCI 필드의 M 개의 코드-포인트와 상관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에, N(선택된 RS 리소스 세트 수) 개의 UL-TCI-State 구성만이 사용된다. N 개의 UL-TCI-State 구성이 서브세트 선택과 함께 또는 공동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표 5 참조).
다른 하위 실시예(III.4.2)에서, 공동(RS 리소스 세트에 대한 것) UL-TCI-State가 사용될 수 있다. UL-TCI-State가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송되는 경우, 이것은 RS 리소스 세트의 각 RS 리소스(ID로 표시됨)를 총 RS 리소스 세트 수가 M인 UL-TCI의 코드-포인트와 링크시킨다. UL-TCI-State가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되면, 이것은 RS 리소스 세트의 각 RS 리소스를 총 RS 리소스 세트 수가 N인 UL-TCI 필드의 코드-포인트와 링크시킨다.
도 9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패널에 대한 UL 빔 표시 절차에 대한 흐름도(9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함께 이용하는 UE 동작에 대한 몇 가지 예가 도 9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 도면(900)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900)이 특정한 논리적 흐름을 보여 주지만, 이것은 결코 규준적인 것이 아니다.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구현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면(900)에서, UE는 M RS 리소스 세트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동작 901). 이 정보는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송된다. UE가 이 구성을 수신하면, UE는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N-서브세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동작 902). 이러한 N-서브세트 선택 정보는 SpatialRelationInfo(SRI 기반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UL-TCI-State(UL-TCI 기반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UE가 자신에게 어드레스된 UL 관련 DCI를 수신할 때, UE는 DCI에서, SRI 또는 TCI 필드로부터 UL TX 빔 표시를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동작 903).
상기 실시예들(III.1, III.2, III.3, III.4) 및 그 하위 실시예들에서, UE는 M RS 리소스 세트로 구성되며 여기서 M은 구현되는 UE 패널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은 특히 다중 레이어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둘 이상의 RS 리소스가 필요할 때에 관련된 것이다. Rel.15 NR에서, 이것은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의 경우이다. 그러나, 다중 레이어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RS 리소스만 필요로하는 송신 방식의 경우(예를 들면, 코드북 기반 UL 송신의 경우), 하나의 RS 리소스 세트를 하나의 UE 패널에 연관시키는 대신에, 패널이 하나의 RS 리소스와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M RS 리소스 세트로 UE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UE는 M 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Rel.15 NR을 사용하면, 코드북 기반 UL 송신을 위해, UE는 최대 1 개의 SRS 리소스 세트를 갖는 최대 2 개의 S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SRS 리소스는 최대 4 개의 포트에 대응할 수 있다(따라서 SRS 리소스 당 최대 4 레이어 송신을 지원함). 이 경우, L-레이어 UL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SRS 리소스만 필요하므로, 2 개의 SRS 리소스를 사용하여 2 개의 UE 패널을 지원할 수 있다(하나의 SRS 리소스는 하나의 UE 패널과 연관되며, 각 SRS 리소스는 다중-레이어 MIMO 송신을 지원할 수 있음). 다중 UE 패널을 지원하기 위해 다중 SRS 리소스 세트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의 경우, UE는 최대 1 개의 SRS 리소스 세트를 갖는 최대 4 개의 S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SRS 리소스는 하나의 포트에만 대응할 수 있다(따라서 SRS 리소스 당 1-레이어 송신을 지원함). 이 경우, L-레이어 UL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L) SRS 리소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2 개의 SRS 리소스 세트를 사용하여 2 개의 UE 패널을 지원할 수 있다(하나의 SRS 리소스 세트는 하나의 UE 패널과 연관되며, 각 SRS 리소스 세트는 다중-레이어 MIMO 송신을 지원할 수 있음). 여기서, 다중 UE 패널을 지원하기 위해 다중 SRS 리소스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III.1, III.2, III.3, III.4) 및 그 하위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변형들을 허용한다: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로 UE를 구성하는 대신에, UE가 M 개의 RS 리소스로 구성된다. 리소스 세트와 관련된 동작들이 N-서브세트 선택과 같은 리소스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SpatialRelationInfo(SRI 기반 UL 빔 표시를 위해) 및/또는 UL-TCI-State(UL-TCI 기반 UL 빔 표시를 위해)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패널에 대한 UL 빔 표시 절차에 대한 흐름도(10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함께 이용하는 UE 동작에 대한 몇 가지 예가 도 10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 도면(1000)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1000)이 특정한 논리적 흐름을 보여주지만, 이것은 결코 규준적인 것이 아니다.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구현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면(1000)에서, UE는 M RS 리소스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동작 1001). 이 정보는 상위 계층(RRC) 시그널링을 통해 신호 전송된다. UE가 이 구성을 수신하면, UE는 L1 또는 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N-서브세트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동작 1002). 이러한 N-서브세트 선택 정보는 SpatialRelationInfo(SRI 기반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UL-TCI-State(UL-TCI 기반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UE가 자신에게 어드레스된 UL 관련 DCI를 수신할 때, UE는 DCI에서, SRI 또는 TCI 필드로부터 UL TX 빔 표시를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동작 1003).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 UE는 또한 사운딩(따라서 gNB에서 UL CSI 획득, M 개의 패널 각각에 대한 UL TX 빔 트레이닝을 포함할 수 있음) 목적을 위한 적어도 M 개의 SRS 리소스들("타겟" SRS 리소스들과 유사함)로 구성될 수 있다. 이 SRS 리소스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UL-TCI 상태(또는 SpatialRelationInfo) 구성과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패널 선택 또는 다중 패널에 걸친 동시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SRI 필드(SRS 리소스의 선택을 나타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SRI 필드는 UL-TCI 필드 또는 기존 SRI 필드와 별도로 또는 공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M 개의 SRS 리소스 각각은 RS 리소스들 또는 리소스 세트들과 링크될 수도 있다.
제4 구성 요소(즉, UL TX 빔 표시의 동적 시그널링)에 대해, 이 동적 시그널링은 타겟 SRS 리소스 ID(SRI 기반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또는 L1 DL 제어 채널을 통한 RS 리소스 ID, 즉 UL 관련 DCIII로 표현되는 할당된 UL TX 빔을 UE에게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UL TX 빔 표시 용으로 지정된 DCI 필드가 사용된다 - SRI 또는 UL-TCIII. 다중-패널 UE들에서 다중 빔 작동을 지원하기 위해, 이 DCI 필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리소스 세트와 관련된 시그널링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SRI 기반 방법이 사용되는 일 실시예(IV.1)에서는, SRI가 타겟 SRS 리소스의 선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UL 관련 DCI의 SRI 필드(예를 들면, 5G NR의 DCI 0_1)가 다음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하위 실시예(IV.1.1)에서, M 개의 SRI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서브세트 선택이 SRIII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SRI 가설은 특정 SRS 리소스 세트의 "선택/송신/사용되지 않음"이다.
다른 하위 실시예(IV.1.2)에서는, N 개의 SRI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서브세트 선택은 이전 시점, 즉 UE가 UL 관련 DCIII을 수신하기 전에 시그널링되어야 한다. 이 경우, "선택/송신/사용되지 않음" 가설은 각 SRIII에 대해 선택 사항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은 상위 계층 구성(RCC를 통해)되거나, MAC CE를 통해 시그널링되거나, 또는 DCI 0_1이 (타겟 SRS에 대한) UL 그랜트 및 SRI를 전달하기 전에 DCI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른 하위 실시예(IV.1.3)에서는, 확장된 X-비트 SR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SRI는 M 또는 N SRS 리소스 세트를 포함하는 가능한 가설의 서브세트를 수용한다. 이것은 선택되거나 구성된 타겟 SRS 리소스 세트들에 대한 어그리게이트(aggregate) SRI로 인식될 수 있다.
UL-TCI 기반 방법이 사용되는 일 실시예(IV.2)에서는, UL-TCI가 RS 리소스의 선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UL 관련 DCI의 UL-TCI 필드(예를 들면, 5G NR의 DCI 0_1)는 다음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하위 실시예(IV.2.1)에서는, M 개의 UL-TCI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서브세트 선택이 UL-TCIII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UL-TCI 가설은 특정 RS 리소스 세트의 "선택/송신/사용되지 않음"이다.
다른 하위 실시예(IV.2.2)에서는, N 개의 UL-TCI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서브세트 선택이 이전 시점, 즉 UE가 UL 관련 DCIII을 수신하기 전에 시그널링되어야 한다. 이 경우 "선택/송신/사용되지 않음" 가설은 각 UL-TCIII에 대해 선택 사항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은 상위 계층 구성(RCC를 통해)되거나, MAC CE를 통해 시그널링되거나, 또는 DCI 0_1이 (기준 TRS 리소스에 대한) UL 그랜트 및 UL-TCI를 전달하기 전에 DCI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른 하위 실시예(IV.2.3)에서는, 확장된 X-비트 UL-TC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UL-TCI는 M 개 또는 N 개의 RS 리소스 세트를 포함하는 가능한 가설의 서브세트를 수용한다. 이것은 선택되거나 구성된 RS 리소스 세트에 대한 어그리게이트 UL-TCI로 인식될 수 있다.
구성 요소 4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들(IV.1 및 IV.2) 및 그 하위 실시예들에서, UE는 M RS 리소스 세트로 구성되며 여기서 M은 구현되는 UE 패널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은 특히 다중 레이어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둘 이상의 RS 리소스가 필요할 때에 관련된 것이다. Rel.15 NR에서, 이것은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의 경우이다. 그러나, 다중 레이어 MIMO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RS 리소스만 필요로하는 송신 방식의 경우(예를 들면, 코드북 기반 UL 송신의 경우), 하나의 RS 리소스 세트를 하나의 UE 패널에 연관시키는 대신에, 패널이 하나의 RS 리소스와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M RS 리소스 세트로 UE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UE는 M RS 리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IV.1 및 IV.2) 및 그 하위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변형들을 허용한다: M 개의 RS 리소스 세트로 UE를 구성하는 대신에, UE가 M 개의 RS 리소스로 구성된다. 리소스 세트와 관련된 동작들이 N-서브세트 선택과 같은 리소스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SpatialRelationInfo(SRI 기반 UL 빔 표시를 위해) 및/또는 UL-TCI-State(UL-TCI 기반 UL 빔 표시를 위해)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UL-TCI 필드라는 용어가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동일한 기능(즉,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성된 UL TCI 상태를 지칭함)을 갖는 다른 용어 및/또는 다른 DCI 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개시에서 다루어진다. 예를 들어, UL-TCI 필드의 기능은 Rel.15 NR의 DCI 포맷 0_1의 기존 SRI 필드를 재사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SRI 필드는 Rel.15 NR에서 지정된 SpatialRelationInfo가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UL TCI 상태 정의(RS 리소스 ID 목록 포함)에 따라 해석된다. 이 SRI 필드는 하나의 구성된 SRS 리소스 또는 위에서 설명한 하나보다 많게 구성된 SRS 리소스를 사용하여, 더 많은 UL TCI 가설을 수용하도록 확장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SRI(구성된 SRS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시킴)가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RS 리소스 세트 인덱스/인디케이터는 특히 하나의 SRS 리소스가 하나의 포트만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면, Rel. 15/16 NR의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 방식의 경우)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약간 다른(그러나 유사한) 기능이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 SRI 또는 SRS 리소스 세트 인디케이터와 구별되는 인디케이터가 UE 송신 패널에 대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을 구성하는 것이 패널의 포트 세트일뿐만 아니라 패널 내의 포트들의 서브세트 또는 여러 패널에 있는 포트들인 경우, 그룹 또는 세트(또는 포트 그룹 또는 포트 세트) 인디케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그룹 또는 세트(SRS 포트들 또는 SRS 리소스들의)가 하나의 UL 송신 유닛과 연관된다 - 이것은 UL 전력 제어, UL 타이밍(제어 또는 전진) 및/또는 그룹/세트 내의 포트들/리소스들에 대한 일부 타입의 QCL과 같은 기능들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들 또는 하위 실시예들의 임의의 것에 대해(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이 SRS 리소스 세트 또는 SRS 리소스와 연관될 수 있다. Rel.15/16 NR의 경우, 이것은 송신 방식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두 연관 모두 관련성이 있으며 수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패널 서브세트 선택, UL-TCI 정의 및/또는 RS와 "타겟" SRS 간의 링크(공간적 관계 또는 QCL)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UE가 코드북 기반 UL 송신으로 구성된 경우, 그룹/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SRS 리소스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고, UE가 비-코드북 기반 UL 송신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룹/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SRS 리소스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이 독립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변형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UE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UL 빔 표시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방법(1100)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방법(1100)은 UE(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11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방법(1100)은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트리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동작 1101). 후속 시점에서, UE는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uplink, UL) 빔 표시를 수신하고 디코딩한다(동작 1102). 이 절차 이후에 UE는 업링크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공간 필터를, UL 빔 표시로부터 결정한다(동작 1103). 송신 공간 필터는 RS에 대응하며, UL 빔 표시는 RS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RS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 RS(CSI-RS) 또는 사운딩 RS(SRS)이다. UL 빔 표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수신되는 UL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UL 관련 DCI의 UL TCI(transmit configuration information) 필드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업링크 송신 신호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동작 1104).
트리거되는 비주기적 RS는 CSI-RS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1101과 동작 1102 사이에서, UE는 트리거에 응답하여 비주기적 CSI-RS를 수신하고 (비주기적 CSI-RS를 측정한 후) 빔 메트릭 보고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되는 비주기적 RS는 SRS이다. 이 경우, 동작 1101과 동작 1102 사이에서, UE는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비주기적 SRS를 송신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BS가 UE(UE-k로 라벨링됨)에 대한 UL 빔 표시를 생성 및 송신하는 예시적인 방법(1200)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방법(1200)은 BS(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1200)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방법(1200)은 BS가 비주기적 RS 트리거를 생성하고 UE-k에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동작 1201). 후속 시점에서, BS는 UL 빔 표시를 생성하고 UE-k로 송신한다(동작 1202). UL 빔 표시는 RS의 송신 공간 필터와 연관된 송신 구성의 상태를 포함한다. RS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 RS(CSI-RS) 또는 사운딩 RS(SRS)이다. UL 빔 표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수신되는 UL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빔 표시는 UL 관련 DCI의 UL TCI(transmit configuration information) 필드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어서, BS는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UE-k로부터 UL 송신을 수신한다(동작 1203).
트리거되는 비주기적 RS는 CSI-RS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1201와 동작 1202 사이에서, BS가 비주기적 CSI-RS를 송신하고 빔 메트릭 보고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되는 비주기적 RS는 SRS이다. 이 경우, 동작 1201와 동작 1202 사이에서, BS가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UE-k가 송신한 비주기적 SRS를 수신한다.
도 11 및 도 12가 각각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UE를 구성하는 방법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11 및 도 12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동작으로 도시되었더라도, 각 도면의 다양한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중첩되거나, 병렬로 발생하거나, 다른 순서로 발생하거나, 여러 번 발생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 또는 당업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6)

  1.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설정(configuration)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준(reference) RS와 연관된 코드포인트(code-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및 UL(uplink)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UL TCI 및 상기 코드포인트에 기반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전송될 신호에 적용되는 전송 공간 필터(transmit spatial filter)를 결정하고, 및
    상기 PUSCH 또는 상기 PUCCH에서 상기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송 공간 필터는 상기 기준 RS에 대응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RS는 채널 상태 정보 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 CSI-RS) 또는 사운딩 RS(sounding RS, S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L TCI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수신하는 하향링크 관련 DCI에 포함되어 있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RS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RS(CSI-RS)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비주기적 CSI-RS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RS는 비주기적 사운딩 RS(SRS)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8.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설정(configuration)을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기준(reference) RS와 연관된 코드포인트(code-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및 UL(uplink)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고, 및
    상기 단말로부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USCH 및 상기 PUCCH에서 전송될 신호에 적용되는 전송 공간 필터(transmit spatial filter)는 상기 UL TCI 및 상기 코드포인트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및
    상기 전송 공간 필터는 상기 기준 RS와 대응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RS는 채널 상태 정보 RS(CSI-RS) 또는 사운딩 RS(S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L TCI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관련 DCI에 포함되어 있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RS는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RS(CSI-RS)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주기적 CSI-RS를 전송하고 빔 메트릭 보고(beam metric report)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RS 설정에 대응하는 설정된 비주기적 RS는 비주기적 사운딩 RS(SRS)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주기적 SRS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5. 단말(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설정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기준(reference) RS와 연관된 코드포인트(code-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및 UL(uplink)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L TCI 및 상기 코드포인트에 기반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전송될 신호에 적용되는 전송 공간 필터(transmit spatial filter)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USCH 또는 상기 PUCCH에서 상기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공간 필터는 상기 기준 RS에 대응하는 방법.
  16.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비주기적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설정(configuration)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기준(reference) RS와 연관된 코드포인트(code-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및 UL(uplink)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USCH 및 상기 PUCCH에서 전송될 신호에 적용되는 전송 공간 필터(transmit spatial filter)는 상기 UL TCI 및 상기 코드포인트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및
    상기 전송 공간 필터는 상기 기준 RS와 대응하는 방법.

KR1020217011929A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7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0628A KR20230134616A (ko)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4320P 2018-09-21 2018-09-21
US62/734,320 2018-09-21
US201862738002P 2018-09-28 2018-09-28
US62/738,002 2018-09-28
US201862752737P 2018-10-30 2018-10-30
US62/752,737 2018-10-30
US201862753221P 2018-10-31 2018-10-31
US62/753,221 2018-10-31
US201862770217P 2018-11-21 2018-11-21
US62/770,217 2018-11-21
US201962881676P 2019-08-01 2019-08-01
US201962881698P 2019-08-01 2019-08-01
US62/881,698 2019-08-01
US62/881,676 2019-08-01
US16/570,693 2019-09-13
US16/570,693 US10887884B2 (en) 2018-09-21 2019-09-13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in support of uplink multi-beam operation
PCT/KR2019/012258 WO2020060300A1 (en) 2018-09-21 2019-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28A Division KR20230134616A (ko)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562A KR20210052562A (ko) 2021-05-10
KR102577742B1 true KR102577742B1 (ko) 2023-09-12

Family

ID=698838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28A KR20230134616A (ko)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1929A KR102577742B1 (ko)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28A KR20230134616A (ko) 2018-09-21 2019-09-20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887884B2 (ko)
EP (1) EP3850779A4 (ko)
KR (2) KR20230134616A (ko)
WO (1) WO2020060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619B2 (ja) * 2010-12-10 2014-08-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TWI710227B (zh) * 2018-08-17 2020-11-11 美商Idac控股公司 多trp之波束管理
CN109315009B (zh) * 2018-09-20 2022-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终端、基站和存储介质
US11025457B2 (en) * 2018-09-27 2021-06-01 Mediatek Inc. Enhancements on QCL frameworks for multiple TRP operation
US10855345B2 (en) * 2018-09-28 2020-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neralized beam management framework
WO2020164115A1 (en) * 2019-02-15 2020-08-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of scell activation in new radio system
US11265818B2 (en) * 2019-03-29 2022-03-01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of closed-loop power control in multi-panel transmission and related device
US11601928B2 (en) * 2019-10-03 2023-03-07 Ofinno, Llc Beam management procedures in radio systems
US10868656B1 (en) * 2019-10-24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computation delay determination for layer 1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reporting
US11330668B2 (en) 2019-11-22 2022-05-10 Apple Inc. 5G NR FR2 beam management enhancements
US11678339B2 (en) * 2019-12-13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based multi-beam operation
US11930488B2 (en) * 2019-12-18 2024-03-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gnaling up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s
US20210195624A1 (en) * 2019-12-23 2021-06-24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uplink beam activation
CN113115445A (zh) * 2020-01-10 2021-07-13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15226192A (zh) * 2020-01-31 2022-10-2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11877299B2 (en) * 2020-03-05 2024-01-1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resources for group-feedback in multi-cast
WO2021203404A1 (en) * 2020-04-10 2021-10-1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and power control parameter update
US20230143852A1 (en) * 2020-04-10 2023-05-11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of performing non-codebook bas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and related device
WO2021210108A1 (ja) * 2020-04-15 2021-10-2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CN115516922A (zh) * 2020-04-29 2022-12-23 高通股份有限公司 配置用于mu-mimo的组公共dci的方法
EP4149146A4 (en) * 2020-05-08 2023-08-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UPLINK SENDING, AND STORAGE MEDIA
US11991113B2 (en) * 2020-05-21 2024-05-21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measurement reporting
US20210399783A1 (en) 2020-06-22 2021-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US20230284045A1 (en) * 2020-06-22 2023-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43963A1 (en) 2020-07-08 2022-01-26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beam configuration
US20220045823A1 (en) * 2020-08-07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ue) recommend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source index (sri)
US11917424B2 (en) 2020-09-16 2024-02-27 Apple Inc. Signaling a quasi-colocation update with aperiodic reference signals
EP4231755A1 (en) * 2020-10-19 2023-08-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usch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pusch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2087489A1 (en) * 2020-10-23 2022-04-28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based beam indication for new radio (nr)
EP4238339A4 (en) * 2020-12-24 2024-03-20 Huawei Tech Co Ltd BEAM INDICATION FRAMEWORK FOR DETECTION-ASSISTED MIMO
KR20240007117A (ko) * 2021-05-12 202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EP4351027A1 (en) * 2021-05-25 2024-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us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7378235A (zh) * 2021-05-26 2024-01-09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基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481A (zh) 2015-04-07 2018-02-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使用波束成形的无线通信系统中的切换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520B2 (en) * 2010-02-1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22046A (ko) * 2010-05-03 2011-11-09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US11229029B2 (en) 2017-01-05 2022-0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8282211B (zh) * 2017-01-06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KR102021225B1 (ko) * 2017-01-25 2019-09-17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상태 정보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148337B2 (en) 2017-02-01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management of downlink data channel and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5G next radio systems
US10433312B2 (en) 2017-02-05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368950B2 (en) * 2017-06-16 2022-06-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unlicensed spectru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068262A1 (en) * 2017-08-23 2019-02-28 Mediatek Inc. Method for Uplink Beam Training and Determ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JP7038201B2 (ja) * 2017-09-11 2022-03-1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統一されたulおよびdlのビーム指示
US20190103908A1 (en) * 2017-10-02 2019-04-04 Mediatek Inc. Method for Uplink Beam Ind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US10798589B2 (en) * 2018-02-22 2020-10-06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measurement reporting in beam operations
US10743321B2 (en) * 2018-02-23 2020-08-11 Mediatek Inc Default beam for uplink transmission after beam failure recovery
CA3038605A1 (en) * 2018-03-30 2019-09-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1284409B2 (en) * 2018-04-30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multiple beams in wireless transmissions
US11729782B2 (en) * 2018-06-11 2023-08-15 Apple Inc. Enhanced uplink beam management
US11324041B2 (en) * 2018-12-14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default and scheduled beam in cot
US11671954B2 (en) * 2019-10-04 2023-06-06 Intel Corporation UE configured for joint activation of TCI states and spatial relation info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481A (zh) 2015-04-07 2018-02-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使用波束成形的无线通信系统中的切换的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7625
R1-1802743
R1-1809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7884B2 (en) 2021-01-05
EP3850779A1 (en) 2021-07-21
US20200100232A1 (en) 2020-03-26
US20210235433A1 (en) 2021-07-29
US11632759B2 (en) 2023-04-18
US11291008B2 (en) 2022-03-29
KR20230134616A (ko) 2023-09-21
KR20210052562A (ko) 2021-05-10
US20220287022A1 (en) 2022-09-08
WO2020060300A1 (en) 2020-03-26
EP3850779A4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742B1 (ko)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956145B (zh) 信道和干扰测量和报告的方法和装置
US107712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cquisition with DL and UL reference signals
US11082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uplink MIMO
CN108702226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测量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KR202100996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497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beam management
US108686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for measurements
KR102587760B1 (ko) 업링크 mimo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10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ulti-beam reporting
US11206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latency beam selection
US20190296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capacity access
CN111903073B (zh) 无线通信系统中大容量接入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