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203B1 - 공정안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공정안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03B1
KR102577203B1 KR1020230063291A KR20230063291A KR102577203B1 KR 102577203 B1 KR102577203 B1 KR 102577203B1 KR 1020230063291 A KR1020230063291 A KR 1020230063291A KR 20230063291 A KR20230063291 A KR 20230063291A KR 102577203 B1 KR102577203 B1 KR 10257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nagement
equipment
faci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Priority to KR102023006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으로, 설비나 시설물 등 산업 시설의 안전성과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비에 대한 위험 평가, 운영 절차 작성, 교육 및 훈련, 감시 및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PSM을 진행할 수 있는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의 포털사이트를 해당 사업장에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제공단계; 제공된 상기 포털사이트를 통해 상기 설비에 대한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설비유지관리 단계; 및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제반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작업위험성과 연계된 작업허가서를 신청 및 관리하는 작업허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정안전관리 방법{PROCESS SAFET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공정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으로, 설비나 시설물 등 산업 시설의 안전성과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는 산업안전관리 분야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PSM은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기술 분야로 인정되어 있으며, 미국의 화학물질안전 및 위험물질관리기준(OSHA)에 따라 PSM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산업재해 예방법 등의 법적 규제와 함께,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PSM 체계의 도입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계들은 대개 설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검사나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응책을 수립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기존에는 안전관리가 각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종이문서나 전자문서 등으로 관리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정보의 불일치, 업무 프로세스의 불명확성, 이해관계자 간 정보 공유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이며, 관련자들의 접근과 사용이 용이한 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881호(2022.03.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비나 시설물 등의 안전성과 안전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공정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웹기반 포털사이트를 활용하여, 각 담당자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작업위험성 평가와 작업허가서 관리를 연계 및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공정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위험성평가 및 작업허가서를 연동시킴으로써, 실제 사업장에서 작업위험성평가 내용과 이를 기반으로 작업허가서를 발행하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정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정안전관리 방법은, 설비에 대한 위험 평가, 운영 절차 작성, 교육 및 훈련, 감시 및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PSM을 진행할 수 있는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의 포털사이트를 해당 사업장에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제공단계; 제공된 상기 포털사이트를 통해 상기 설비에 대한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설비유지관리 단계; 및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제반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작업위험성과 연계된 작업허가서를 신청 및 관리하는 작업허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는, 설비등록관리, 작업의뢰서 신청 및 접수관리, 기기 이력서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허가관리 단계는, 작업위험성평가, 작업허가서 종류 결정, 작업허가서 발급, 작업허가서 승인, 작업안정정보 내용 교육, 작업완료 후 가동전 점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평가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해위험설비, 유해위험물질, 비상시 행동요령, 응급조치 요령, 폭발·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시 대처방법, 노출방지 및 보호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를 등록하는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새로운 설비의 설치, 공정·설비의 변경, 공정·설비의 정비·보수 후 공정·설비의 건전성 검토, 정상운전을 위한 공정안전자료, 안전운전절차와 같은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의뢰서를 통해 발행된 요구사항이 단순교체가 아닌 변경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변경 과정에서 추적관리 되어야 할 문서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변경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계에서 생성 및 저장되는 정보는 QR 코드를 통해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례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운영적 측면에서 보면, 각 사업장에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로 제공해 주고, 프로그램 제공사에서는 각 사업장에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고 그 안에 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사용자 관리는 각 사업장 관리자를 통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유해위험기계기구를 관리하는데 있어 설비의 이력을 QR-code 기반으로 관리하고, 관리 인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일환으로 교육평가 시스템을 모바일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비의 점검, 정비시에 필요한 위험성평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부여해 주고, 그 위험성평가는 각 사업장의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장에서 작성된 위험성평가 내용을 검색하여 고도화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에서의 전문인력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예컨대, 작성하고 있는 위험성평가는 대부분 형식적이며 그 내용을 검증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고도의 위험성평가 내용에 대해 외부전문가로부터 모니터링을 받을 수 있어 높은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운영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PSM 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주요 단계별 내용을 나타낸 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유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허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평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
도 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공정 안전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과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SM 방법은 화학 물질을 다루는 공정에서 사용하여 폭발, 화재, 독성 물질 누출 등의 위험을 감지하고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석유 및 가스 공정에서 사용하여 기계 고장, 불안전한 작업 방식, 누출 등의 위험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약 공정에서 사용하여 화학 물질 처리, 배출, 저장 등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품 및 음료 공정에서 사용하여 규정 준수, 안전한 작업 방식, 공정 변경 등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섬유 및 섬유 제품 공정에서 사용하여 화학 물질 처리, 기계 고장 등의 위험을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가공 및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여 화학 물질 처리, 고온 작업, 에너지 공급 등의 위험을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PSM 방법을 통해 공정 안전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구성과 같이 구축될 수 있다.
1) 서버 환경
서버 환경은 Microsoft Windows Server 2016을 사용할 수 있다. Microsoft Windows Server 2016은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서버 운영 체제이다. 이 운영 체제는 많은 비즈니스에 사용되며,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정안전관리(PSM) 프로그램을 운영하기에 적합하다.
2) Server-side: ASP.NET Core 5.0
ASP.NET Core 5.0은 Microsoft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웹 프레임워크다. 이 프레임워크는 높은 성능과 안정성, 확장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하다. ASP.NET Core 5.0은 서버 측 코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공정안전관리(PSM) 프로그램에서 서버 측 로직을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
3) Client-side: ReactJS, TypeScript
ReactJS는 Facebook에서 개발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다. 이 라이브러리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가상 DOM을 사용하여 빠른 렌더링을 제공한다. TypeScript는 JavaScript에 정적 타입 시스템을 추가한 언어로, 이러한 클라이언트 측 기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 데 적합하다.
4) Tool: Microsoft Visual Studio 2019
Microsoft Visual Studio 2019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통합 개발 환경(IDE)이다. 이 IDE는 .NET 언어를 지원하며, ASP.NET Core 5.0과 ReactJS, TypeScript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
5) 보안: 보안서버 SSL 인증서
보안서버 SSL 인증서는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통신을 암호화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며, 중간자 공격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공정안전관리(PSM) 프로그램에서 보안서버 SSL 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보안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운영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PSM 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주요 단계별 내용을 나타낸 표이다.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웹 기반 시스템 구조는 도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털사이트 제공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시스템 구축에서 필수적인 서버와 시스템 관리는 공용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도메인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표준화한 관련 규정을 일괄적으로 제공하여 관리적, 기술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는 PSM 웹 기반 시스템 구조에서 서버나 기타 시스템 자원을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서버 및 기타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구축 및 관리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다른 서버에서 운영되고 있을 때,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공용의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 자원 등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여러 개의 서버를 운영하더라도, 중복되는 자원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축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의 각 단계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설비 등록 및 유지관리'는 설비유지관리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작업허가서 관리'는 작업허가관리 단계로 이해할 있다. 또한 '교육훈련평가 관리'는 교육평가관리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급업체 정보공유 관리'는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전 점검 관리'는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변경관리 설계'는 변경관리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정안전관리 방법은, 설비에 대한 위험 평가, 운영 절차 작성, 교육 및 훈련, 감시 및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털사이트 제공단계, 설비유지관리 단계 및 작업허가관리 단계를 포함하며, 교육평가관리 단계,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 및 변경관리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털사이트 제공단계는 상기 설비에 대한 PSM을 진행할 수 있는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의 포털사이트를 해당 사업장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전술한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각각의 단계는 포털사이트에서 제공되는 PSM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각각의 단계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유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설비유지관리 단계는 제공된 상기 포털사이트를 통해 상기 설비에 대한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단계이다. 즉 설비유지관리 프로세스를 각기 다른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고용노동부 고시[2]에서 규정한 항목을 단순화, 표준화한 프로그램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주요 구조는 설비등록관리, 작업의뢰서 신청·접수 관리 및 기기 이력서 관리로 운영될 수 있게 진행될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설비제원 등록시에는 설비 제원, 설비 등급, 사진 및 도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검사, 점검·정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등록된 설비는 효율적인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QR 코드(code) 기반 태그(Tag)번호를 생성하고 현장에 부착할 수 있다. 현장에 부착된 태그는 웹 기반 모바일 기기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 설비정보 검색과 작업의뢰서 신청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정보공유 및 업무의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다.
설비이상 발견시, QR 코드 기반의 작업의뢰서를 신청할 수 있다.
작업의뢰서 신청 시 현장의 주요 부적합 사항에 대한 메모와 함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점검·정비·고장 유형 및 담당 요청부서 등을 올릴 수 있다. 실행부서에서 업무 종결 시 고장 구분, 수리시간, 수리 비용 등의 입력을 통해 설비의 고장률과 수명을 관리할 수 있다.
MOC(Management of Change)는 PSM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변경 사항을 관리하고, 이에 따른 위험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PSM에서는 위험 분석을 통해 시설 내 위험한 작업을 식별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일정한 절차와 프로세스를 따르고 있다. MOC는 이러한 위험 분석을 통해 발견된 위험을 제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MOC는 시설, 장비, 공정 및 프로시저(procedure) 등에 대한 변경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위험 평가를 통해 분석되고, 적절한 검토, 승인 및 구현 절차 등을 거쳐 시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MOC 검토 후 변경시에는 변경관리절차를 수행하고, 교체시에는 작업허가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변경관리절차 및 작업허가절차 제반 사항은 기기 이력으로 저장될 수 있다. 기기 이력은 설비등급 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허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작업허가관리 단계는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제반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작업위험성과 연계된 작업허가서를 신청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작업허가관리 시스템은 설비의 점검·정비를 시작하기 전 준비단계에서 고용노동부 고시[2]에서 규정한 항목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작업과 관련된 이해당사자는 작업위험성평가에 참여하여 크게 3가지 항목을 분석하고, 결정하며, 확인해야 한다. 첫 번째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통해 물리 화학적 특성, 독성에 관한 정보 및 부식성 유무 등 유해·위험성을 분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작업내용 정보를 통해 방사선 작업, 용접, 용단 및 그라인더 작업, 정전 및 활선작업, 도장작업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작업장소 정보를 통해 밀폐장소나 고소작업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물질안전보건자료를 분석하고 작업내용을 결정 및 작업장소 확인을 통해 작업허가서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위험성평가와 안전정보 내용을 교육하고, 작업허가서 발급, 승인 및 작업완료 후 가동전 점검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작업이 종료되면 관련 자료를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내용은 설비이력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 기기 이력서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PSM 설비유지관리 방법(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작업위험성평가 및 작업허가서 문서를 연동할 수 있다.
실제 사업장에서는 작업위험성평가 내용과 이를 기반으로 작업허가서를 발행하는 과정 중에 휴먼 에러로서 작업위험성평가의 내용과는 다르게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작업위험성평가시 '화재, 폭발'위험, 작업허가서는 '화기작업허가' 가 아닌 '일반작업허가서'로 오발행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위험성평가서 작성시 작업허가서의 종류와 안전조치 사항을 연계함으로써 전술한 오발행 등 휴먼에러를 최소화하고, 작업위험성평가를 제3자 검증(외부전문가)을 통해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웹프로그램에 등록된 작업위험성평가를 타사업장(웹프로그램 운영사업장)에서 검색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른 사업장에서 이미 수행한 위험성평가 결과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설비가 있는 사업장 A에서 이미 해당 설비의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가 이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다면, 같은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다른 사업장 B에서도 해당 결과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같은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여러 사업장에서 중복된 위험성평가 작업을 수행하는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고, 더욱 높은 품질의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위험성평가 내용은 외부전문가에 의해 검증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도화된 위험성평가를 수행하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외부 전문가로부터 모니터링을 받는 것은 위험성평가 내용에 대한 독립적인 검증과 심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업장 내부에서 위험성평가를 수행하면, 내부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문가의 독립적인 평가를 받으면, 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허가서에는 일반작업허가서, 화기작업허가서, 밀폐작업허가서, 정전작업허가서, 고소작업허가서, 방사선작업허가서, 굴착작업허가서 및 중장비 작업허가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평가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평가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러한 성과측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교육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과정, 평가 문항지, 평가 대상자, 평가 기간, 강사 설정 및 재응시 횟수별 차감 설정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교육과목에 적합한 문제와 답을 등록한 후, QR 코드를 출력하여 각 부서원에게 전달, 예컨대 이메일이나 회람지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근로자는 QR 코드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할 수 있다. 관리자는 평가확인을 통해 참여가 완료된 경우 평가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보고서는 문항지의 오답률 분석, 전체 근로자, 부서별, 개인별 평점을 분석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생성된 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 다음연도 교육계획에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안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 다음 연도 교육계획에 반영하여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QR 코드를 이용한 설비 이력 관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도 있다.
각 설비에 고유한 QR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 QR 코드는 해당 설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 이력을 기록할 때마다 해당 설비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의 점검, 정비, 수리, 유지보수 등의 이력을 기록할 때마다 QR 코드를 스캔하여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렇게 관리된 설비 이력은 웹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각 사업장에서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설비의 유지보수 이력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시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를 이용한 설비 이력 관리는 종이나 수기로 이루어지는 기록 방식에 비해 정확도와 효율성이 높으며,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를 이용한 설비 이력 관리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 기반 교육평가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도 있다.
각 사업장에서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고, 모바일 기반 교육평가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교육 대상자는 해당 교육과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교육 대상자는 다운로드받은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다. 이때,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육 자료(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와 퀴즈 형식의 문제로 구성될 수 있다.
수강 후, 교육 대상자는 모바일 기반 교육평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교육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 대상자의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교육 대상자의 교육평가 결과는 웹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 대상자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반 교육평가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 대상자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는 유해위험설비, 유해위험물질, 비상시 행동요령, 응급조치 요령, 폭발·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시 대처방법, 노출방지 및 보호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는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와 화학물질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전에 위험성을 인지하도록 안내하고, 누출·화재·폭발 시 행동요령, 비상연락체계 등을 제공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도급업체 정보제공 자료로서 유해위험설비, 유해위험물질, 비상시 행동요령, 응급조치 요령, 폭발, 화재 시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노출방지 및 보호구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문서는 PSM을 진행할 수 있는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의 포털사이트를 통해 해당 사업장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 제반 정보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업장 내 작업자들의 눈에 잘보이는 출입구 등에 게시할 수 있다. 사업장 방문자는 QR 코드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여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를 체계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는 새로운 설비의 설치, 공정·설비의 변경, 공정·설비의 정비·보수 후 공정·걸비의 건전성 검토, 정상운전을 위한 공정안전자료, 안전운전절차와 같은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로서, 도 7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가동전 점검은 상기 작업허가서 등록 시 연계되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점검 항목도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 작업허가서와 연계하여 등록된 점검 정보는 해당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의 점검 작업은 사고 및 재해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작업허가서를 등록 시 가동전 점검표를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설비에 대한 가동전 점검표를 작성할 수 있다. 가동전 점검표를 통해 'PUNCH LIST'를 작성할 수 있다.
'PUNCH LIST'는 설비의 건설 또는 리뉴얼 과정에서 검수나 검사를 위해 관리자가 작성한 결함 목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리뉴얼 과정에서 새로 설치되거나 수정된 부분에 대한 검사 후, 미완료 항목 또는 결함이 있는 항목들을 목록으로 작성할 수 있다. 'PUNCH LIST'에는 설비의 완료 요건, 검사 항목 및 표준 등을 준수하지 않는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목록은 특정 기간 내에 모든 결함을 수정하도록 각 담당자에게 지시하여 결함을 수정하고 설비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PUNCH LIST'를 사용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제거하고, 시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며,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PUNCH LIST' 작성을 통해 가동전 점검을 완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변경관리 단계는 상기 작업의뢰서를 통해 발행된 요구사항이 단순교체가 아닌 변경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변경 과정에서 추적관리 되어야 할 문서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발의자가 웹 화면상에서 변경 요청서를 작성하고, 정상변경, 임시변경, 비상변경 등 변경을 구분할 수 있으며, 변경관리 상태를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에 대한 검토 및 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변경 사유와 범위, 변경의 영향을 평가하고, 변경 사유에 따라 필요한 문서들을 추가하거나 새로 작성할 수 있다. 변경 사유와 범위, 변경 내용, 변경을 승인한 담당자 등은 모두 변경 요청서와 함께 체계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변경에 관한 이력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점검/정비 의뢰서 작성시 해당 내용이 변경관리의 후속조치 사항인지 여부를 "변경여부", "변경No" 조회를 통해 이력조회가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사항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이력 목록관리에서 변경 연계성을 추적 관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로써, 본 발명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공정안전관리 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안전관리 운영시스템 대시보드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포털사이트를 통해 웹 기반 PSM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초기 접속화면은 유해·위험한 설비의 검사, 점검·정비에 관한 요청받은 현황, 변경항목에 대한 진행, 지연, 완료, 반려 등의 과정 현황, 작업허가서 발급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면에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가 위치할 수 있다.
대시보드에서는 유해·위험한 설비의 검사, 점검·정비 요청 현황, 변경 항목 진행 현황, 작업허가서 발급 현황 등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메뉴에서는 필요한 작업을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종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작업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신뢰도 관리 설정 화명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결함 설정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설비유지관리 접속화면을 통해 설비 제원 등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전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관리자 설정 메뉴 하위 카테고리 '통계 관련 범례 내용'에서 대분류를 고정기계, 회전 기계, 전기 및 계전 설비 등으로, 세분류에서는 고장분류를 설정할 수 있다.
각 설비별로 발생한 고장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분류 및 세분류 설정이 필요하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대분류는 고정 기계, 회전 기계, 전기 및 계전 설비 등과 같이 유형별로 구분되며, 세분류에서는 해당 유형 내에서의 고장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범례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로 설비에서 발생한 고장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비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발생 가능한 결함에 대한 대비책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원 등록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점검, 정비 이력관리를 통해 설비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설비 이력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설비정보 1은 설비 위치, 설비책임자, 설비분류, 설비번호, 설비명, 구매금액, 설비등급을 기본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중요도 등급으로 결정된 설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신뢰성 확인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신뢰성 확보를 위한 세부 옵션으로 회전 기계 등은 제작사 등에서 정한 설비-가동수명(hr)을 입력하고 추적관리할 수 있다. 설비정보 2는 관계 법령과 방폭 등급, 공정 조건 검·교정 주기 등록을 통해 유지보수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도 12에서 제공하는 설비 정보는 다음과 같다.
설비정보 1: 설비 위치, 설비책임자, 설비분류, 설비번호, 설비명, 구매금액, 설비등급을 기본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중요도 등급으로 결정된 설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신뢰성 확인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회전 기계 등과 같은 설비의 경우, 제작사 등에서 정한 설비-가동수명(hr)을 입력하고 추적 관리할 수도 있다.
설비정보 2: 관계 법령 및 방폭 등급, 공정 조건 검교정 주기 등록을 통해 유지보수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설비 제원 정보는 이후에 설비 유지보수 및 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원 관리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설비정보 1과 2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점검·정비 이력 기록서와 연계되어 관리할 수 있다. 설비 제원 관리 화면에서 보이는 Word 저장, PDF 저장, 작업의뢰서 작성, QR Code 생성, 기기 이력 수동입력 등 아이콘은 'Word 저장', 'PDF 저장'은 설비제원관리 서식을 출력할 수 있다. '작업의뢰서 작성'은 해당 설비에서 주요 문제점 도출 시 이해관계부서 간 정해진 업무요청 절차를 말한다. 'QR Code 생성'은 해당 설비에 부착하여 설비 제원, 고장 점검 이력 등의 정보를 휴대전화 단말기를 통해 검색하거나 작업의뢰서를 요청하는 경우 접근을 지원할 수 있다. 작업의뢰서 작성은 설비에서 발견된 문제를 다른 부서에 알리고 업무 요청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관리자는 설비 제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점검·정비 이력 등록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설비 제원 관리는 도 14에 도시된 같이, 기기의 점검·정비내용, 소요 시간과 소요 비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별 점검·정비 이력은 설비의 중요도 등급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해당 화면에서는 설비 점검·정비의 대상이 되는 설비를 선택하고, 점검·정비 일자, 내용, 소요 시간, 소요 비용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이후에 설비 이력카드와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설비의 점검·정비 이력을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설비의 중요도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4의 이력 정보에 포함된 소요 시간, 구분 내용(기타, 점검, 예방, 예측, 고장)에 기초하여 입력된 소요 비용의 색깔 등이 다르게 표시되어 적절한 비용이 소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설비 및 내용에 대해 일정 시간(ex 2시간)이하로 소요된 경우, 소요 금액 역시 일정 금액(ex 200,000원)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소요 금액이 일정 금액(ex 20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소요 금액이 적절한지 여부의 추가 판단을 위해 상기 소요 금액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ex 빨간색)될 수 있다. 다만, 구분 내용(ex 고장, 예측)이 시간 대비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작업인 경우, 상기 소요 금액이 일정 금액(ex 200,000원)을 초과하더라도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소요 금액 입력을 수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분 내용, 소요 시간 등이 입력됨과 동시에 소요 금액이 자동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당 금액이 50,000원인 제1 특정 구분 내용(ex 예방)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요 시간이 2시간이 입력된 경우, 소요 금액이 100,000원으로 자동 입력될 수 있고, 시간당 금액이 100,000원인 제2 특정 구분 내용(ex 고장)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요 시간이 2시간이 입력된 경우, 소요 금액이 200,000원으로 자동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자동 입력된 소요 금액을 변경 가능하며, 변경되었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소요 금액이 일정 금액(ex 200,000원)을 초과한 경우, 해당 소요 금액의 색깔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QR code scan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뢰서 입력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작업의뢰서 신청시 예정된 설비점검·정비 일정이 지연되거나 누락되는 경우와 점검 중 이상 발생 시 유선 또는 종이 문서를 통한 관리로 정해진 방법과 절차가 무시되거나 생략되는 등 추적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의 이상 발생 시 모바일 기기 등에서 QR code를 스캔하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작업의뢰서 입력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의뢰서 화면은 요청부서에서 사전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청(고장)내용 담당 부서 선정, 등록 요청(고장)내용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조직은 장비 유지 관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작업 주문을 적절하게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로 코드를 스캔하여 장비에 대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작업 지시 요청 입력 화면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작업 요청을 적극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작업 주문 관리를 강화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점검·정비 목록 화면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설비의 점검·정비시 PSM 12개 항목에서 요구하는 작업허가서, 작업위험성평가, 작업자 교육, 가동전 점검 내역 등이 목록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PSM은 프로세스 안전 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의 약자로, 공정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시스템과 절차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PSM 항목은 12가지가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점검 및 정비가 필요하다.
도 17에서는 이러한 PSM 항목들이 목록화되어 설비의 점검·정비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은 공정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PSM 항목들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점검·정비 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점검·정비시 단계별 서식 관리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작업허가 관리는 자체, 외부작업을 구분하여 등록하고 위험성평가, 작업자 교육, 작업허가서 및 가동전 점검까지 단계별 절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단계별 서식 관리화면은 설비 점검·정비 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작업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이 화면을 통해 점검·정비 작업의 추적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이력관리 등록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설비의 점검·정비가 종료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M 절차에서 정한 내용과 소요시간, 비용, 개선 후 사진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내용은 PSM 12개 항목에서 요구하는 작업허가서, 작업위험성평가, 작업자 교육, 가동전 점검 내역 등과 같은 정보들이다. 또한, 작업 수행에 소요된 시간과 비용도 등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비 개선 작업을 수행한 후의 사진 등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등록화면을 사용하여 조직은 설비의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추후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과정 목록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근로자 교육평가 시스템은 관리자가 평가 문항을 웹 서버에 등록하고 근로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QR code에서 모바일 기기로 접속하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근로자 교육평가 시 교육과정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로 나눌 수 있으며 평가 대상부서, 강사목록, 평가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교육과정은 3단계까지 분류하고, 평가 횟수와 재평가 시 평균 점수에 차등을 둘 수 있게 함으로써 내실화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항목의 주요 내용은 강사 등록 화면, 교육평가 과목 분류, 교육 재평가 횟수에 따른 차등 설정, 교육평가 QR Code 생성, 평가 문항 오답률 확인, 교육평가 최종보고서 출력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평가 접속 QR 코드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교육평가 참여대상 근로자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QR Code에 표시된 경로에 로그인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교육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평가 모바일 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제시된 문제와 답안지를 모바일 화면에 보여주고, 정해진 시간에 등록하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모바일 기기에서 교육평가에 참여하는 근로자는 문제와 답안지를 모바일 화면에 보여주고, 정해진 시간 내에 답안을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위해 모바일 화면은 문제와 답안지를 보기 쉽게 구성하고, 시간 제한을 표시하며, 답안을 등록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쉽게 교육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평가 Summary Report 구성관리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23에는 교육평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제시된 문제의 오답률을 분석할 수 있고 개인 및 부서별 평가점수를 통해 이해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평가 정보를 통해 향후 교육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Summary Report는 교육평가 결과값을 정리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된 문제의 오답률을 파악하고 개인 또는 부서별 평가 점수를 확인하여 이해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계획을 수립하거나 개인적인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Summary Report를 통해 교육평가 시스템의 성능과 효과를 분석하여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PSM 자료관리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안전정보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급업체 정보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M 자료를 최신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QR code를 기반으로 정보공유 방법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등록된 자료는 모두 QR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PSM은 프로세스 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을 의미하며, 이는 산업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자료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자료들을 최신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공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code를 생성하여 사업장 내 회의, 공사를 위한 방문자에게 비상 대피장소, 폭발위험장소, 비상시 행동요령 등의 정보를 모바일을 통해 소지할 수 있도록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방문자들의 안전을 위한 정보 제공으로서, 사업장 내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요청서 등록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이력 목록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이력관리 및 작업의뢰서 조회 화면 구성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변경이력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요청자는 정상변경, 임시변경, 비상변경을 구분하고 변경내용과 변경등급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변경관리위원회에서 이해 관계자로부터 검토된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변경 요청서는 변경관리위원회에서 검토된 후에 변경 이력으로 등록될 수 있으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이력을 목록화하여 조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제 어떤 변경 요청이 있었는지 등 변경 이력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28은 작업의뢰서 화면에서 변경이력 조회를 통해 작업의뢰서 내용과 변경관리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 의뢰서 내용과 변경관리 관계를 연계하여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변경 관리와 작업 의뢰 발생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변경에 대한 추적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웹기반 포털사이트를 통해 안전관리를 체계화함으로써, 기존의 불명확하고 비효율적인 안전관리 방식을 개선하고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위험성 평가 및 작업허가서 관리 등을 통해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비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공정의 안정성과 가동률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험성평가에 대한 전문가의 검증절차 도입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설비에 대한 위험 평가, 운영 절차 작성, 교육 및 훈련, 감시 및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서버에 의한 공정안전관리(PSM)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대한 PSM을 진행할 수 있는 웹기반 홈페이지 형태의 포털사이트를 해당 사업장에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제공단계;
    제공된 상기 포털사이트를 통해 상기 설비에 대한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설비유지관리 단계; 및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제반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작업위험성과 연계된 작업허가서를 신청 및 관리하는 작업허가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교육평가관리 단계,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 및 변경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는, i-1) 설비점검주기 설정, 설비등급 관리, 설비사진등록, 설비도면등록, 기기이력서 관리를 포함하는 설비 제원 등록 과정을 포함하고, i-2) 등록된 설비에는 QR 코드 기반의 태그 번호가 생성되어 부착되며, i-3) 설비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부적합 내역 메모, 현장 사진, 요청부서 지정, 고장통계 분류, MOC 검토가 포함된 상기 QR 코드 기반 작업의뢰서가 신청되고, i-4) 시설, 장비, 공정에 대한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MOC 검토 결과, 변경시에는 변경관리절차가 수행되고, 교체시에는 작업허가절차가 수행되면서 상기 기기이력서 관리에 저장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허가관리 단계는, ii-1) 물질안전보건자료를 통해 위험성을 분석하는 제1 분석, 작업내용을 검토하는 제2 분석, 작업장소를 검토하는 제3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작업허가서의 종류를 결정하고, ii-2) 상기 결정된 작업허가서의 종류에 기초하는 작업허가서를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작업위험성 평가 결과가 웹 프로그램에 등록된 상태에서,
    특정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특정 설비가 있는 제1 사업장에서 상기 특정 설비의 작업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에 따른 특정 결과가 상기 웹 프로그램에 등록된 경우, 상기 특정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제2 사업장에서도 상기 특정 결과를 검색하여 활용하도록 하며,
    상기 기기이력서 관리에 대응하는 기기점검정비 이력기록서에는 기기의 점검, 구분 내용, 소요 시간 및 소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소정 기기 및 소정 구분 내용에 대해 소정 소요시간 동안 진행되어 소정 소요 금액이 설정되면서, 상기 기기점검정비 이력기록서에 제1 색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 소요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로 소요되나 상기 소정 소요 금액은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정 소요 금액의 색깔을 제2 색으로 다르게 표시하고,
    상기 소정 기기에 대한 상기 소정 구분 내용이 시간 대비 비용이 요구되는 작업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 소요 금액이 상기 일정 금액을 초과하더라도 상기 소정 소요 금액의 색깔을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유지관리 단계는,
    설비등록관리, 작업의뢰서 신청 및 접수관리, 기기 이력서 관리를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허가관리 단계는,
    작업위험성평가, 작업허가서 종류 결정, 작업허가서 발급, 작업허가서 승인, 작업안정정보 내용 교육, 작업완료 후 가동전 점검을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허가관리 단계 이후에,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평가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평가관리 단계 이후에,
    유해위험설비, 유해위험물질, 비상시 행동요령, 응급조치 요령, 폭발·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시 대처방법, 노출방지 및 보호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를 등록하는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급업체 정보제공 관리 단계 이후에,
    새로운 설비의 설치, 공정·설비의 변경, 공정·설비의 정비·보수 후 공정·설비의 건전성 검토, 정상운전을 위한 공정안전자료, 안전운전절차와 같은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 점검 관리 단계 이후에,
    상기 작업의뢰서를 통해 발행된 요구사항이 단순교체가 아닌 변경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 변경 과정에서 추적관리 되어야 할 문서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변경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계에서 생성 및 저장되는 정보는 QR 코드를 통해 접근 가능한 공정안전관리 방법.
KR1020230063291A 2023-05-16 2023-05-16 공정안전관리 방법 KR10257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291A KR102577203B1 (ko) 2023-05-16 2023-05-16 공정안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291A KR102577203B1 (ko) 2023-05-16 2023-05-16 공정안전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203B1 true KR102577203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291A KR102577203B1 (ko) 2023-05-16 2023-05-16 공정안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2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491A (ko) * 2020-05-07 2021-11-17 김영도 산업체 맞춤식 안전환경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29881A (ko)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102421978B1 (ko) * 2021-10-18 2022-07-18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742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안전 관리비 통합 관리부를 포함하는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491A (ko) * 2020-05-07 2021-11-17 김영도 산업체 맞춤식 안전환경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29881A (ko) 2020-09-02 2022-03-10 대성산업 주식회사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20220135742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안전 관리비 통합 관리부를 포함하는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978B1 (ko) * 2021-10-18 2022-07-18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060A (en) Computer-aid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organizational process or system
Reniers et al. Developing an external domino accident prevention framework: Hazwim
US7693738B2 (en) Computer-aid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organizational process or system
Feng et al. Developing resilient safety culture for construction projects
AU3473299A (en) Computer-aid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 organizational process or system
Deighton Facility integrity management: effective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the oil, gas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Motarjemi et al.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Yin Kwok et al. A quality control and improvement system based on the total control methodology (TCM)
Ratliff The laboratory quality assurance system: a manual of quality procedures and forms
Neuman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supplier quality surveillance practices in EPC projects
KR102577203B1 (ko) 공정안전관리 방법
Dentch The ISO 45001: 2018 implementation handbook
Knox et al. Mort User's Manual: For use with the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 analytical logic diagram
Murumba et al. ERP software inspections and audits
Rowe Simplifying Cause Analysis: A Structured Approach
Wagner et al. Design failure cost as a measure of a process measurement system (a method for building the system and evaluating the measure)
Halford et al. Quality Assurance Program Description
Hoff et al. Quality Assurance Program
Hadjicostas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et al. American National Standar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Friend et al. Safety Management Framework
McDaniel et al. Quality Assurance Program
de Claire et al. Considerations for Computerized System Validation in the 21st Century Life Sciences Sector
Volkman Quality Assurance Program Plan Waste Management Federal Services of Hanford, Inc
De-conversion Appendix A Quality Assuranc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