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014B1 -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 Google Patents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014B1
KR102577014B1 KR1020220020873A KR20220020873A KR102577014B1 KR 102577014 B1 KR102577014 B1 KR 102577014B1 KR 1020220020873 A KR1020220020873 A KR 1020220020873A KR 20220020873 A KR20220020873 A KR 20220020873A KR 102577014 B1 KR102577014 B1 KR 10257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rame
virtual volume
yoke
recei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3734A (en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2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014B1/en
Publication of KR202301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Abstract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풍을 위한 백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상측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에어갭에 하단 일부가 위치되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관로; 및 상기 관로와 별도로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상기 리시버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가상 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리시버의 전고 보다 더 돌출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a frame in which a backhole for ventilation is formed, a yoke coupled to the frame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 magnet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yoke, and a lower part in the air gap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A receiver including a voice coil that is positioned and vibrates up and down by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as current is applied, and a diaphragm seated on the fram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oice coil; A pipe communicating with the backhole of the receiv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virtual volume that communicates with the backhaul of the receiver separately from the pipe and amplifies the sound of the receiver, wherein the virtual volume provide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that protrudes furth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receiver.

Description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Pipeline integrated receiver module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실시예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 관로의 내부 가상 볼륨을 조절하여 음향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and in particular, to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capable of adjusting sound balance by adjusting the internal virtual volume of the rear pipe.

이어폰은 음향 변환 장치를 내장한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으로 나누어진다. 밀폐형(closed air type)은 하우징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것을 말하며 개방형(opened air type)은 하우징의 뒤쪽 가장자리에 작은 구멍(백홀(back hole)이라 함)을 설치하여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한 것을 말한다.Earphones are divided into closed and open ty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using containing the sound conversion device. The closed air type means that the housing is sealed from the outside, and the open air type means that a small hole (called a back hole) is installed at the rear edge of the hous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t says what happened.

밀폐형의 경우에 있어서 이어폰의 삽입 상태에 따라 귀 내부의 음압이 달라지기 때문에 청취시의 음질이 이어폰의 삽입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개방형 이어폰의 경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저역으로부터 고역까지에 걸쳐 귀 내부의 음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에 설치된 백홀들에 우레탄 발포체 등을 이용한 통기 저항체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혼입되는 것을 막는다.In the case of closed-type earphones,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ear varies depending on the insertion state of the earphone, so the sound quality when listen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ertion state of the earphone. Meanwhile, in the case of open earphones,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ear can be kept constant from low to high frequencies. Meanwhile, in open earphones, ventilation resistors using urethane foam, etc. are installed in the backhole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revent external sounds from being mixed in.

한편,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백홀의 크기에 따라 음향 신호의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되고, 이 공진에 의해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음압의 피크가 발생하여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은 미국 공개특허US 4,742,887호에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in open earphones, resonance occurs between the midrange and high range of the sound signal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ckhaul, and this resonance causes a peak in sound pressure between the midrange and high range, causing a problem that deteriorat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earphone, To solve this problem, open earphones equipped with a duct were developed. An open earphone equipped with such a duct is discl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US 4,742,887.

그러나 덕트를 형성하는 경우, 이어폰의 하우징이 귀 속에 삽입되는 이어 버드 부분 외에 길게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 상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공간을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어폰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a duct, there is a design disadvantage because the housing of the earphone must have a long extending part in addition to the earbud portion inserted into the ear, and the overall size of the earphone increases because the duct space must be included. There is a downside.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어폰의 후방 공간에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이 이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has been proposed by the applicant to form a pipe in the rear space of the earphone.

한국등록특허 제2227138호(2019.11.19.출원)에는 자기회로, 자기회로를 감싸는 프레임, 보이스 코일 및 진동판을 구비하며, 프레임에 통풍을 위한 백홀이 형성된 리시버; 리시버의 백홀 및 외부와 연통하며, 공명을 통해 음향을 증폭하는 가상 볼륨; 및 가상 볼륨 내에 형성되며, 가상 볼륨과 별도로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가상 볼륨은 리시버의 외주에 별개의 바디로 배치되어 진동판 반대쪽의 리시버 후면 공간이 PCB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이 개시된다.Korean Patent No. 2227138 (filed on November 19, 2019) includes a receiver including a magnetic circuit, a frame surrounding the magnetic circuit, a voice coil, and a diaphragm, and a backhole for ventilation formed in the frame; A virtual volume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ceiver's backhaul and the outside and amplifies sound through resonance; and a pipe formed within the virtual volume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separately from the virtual volume; wherein the virtual volume is disposed as a separate bod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er, so that the space behind the receiver opposite the diaphragm contains a PCB. A pipeline-integrated receiver module is disclosed,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as an installation space for hardware.

이어폰, 헤스셋 기기의 경우, 음향 밸런스 조절에 의한 음향 최적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리시버 유닛의 내부 체적, 외부 체적, 내/외부 통기부 단면적 조절 등을 통하여 적절한 통기량을 조절함으로서, 고품질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arphones and Hesset devices, sound optimization by adjusting sound balance is essential. Therefore, high-quality soun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ventilation through adjustment of the internal volume, external volum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nal/external ventilation portion of the receiver unit.

상기와 같은 리시버 모듈의 내부 볼륨(다이어프램 하부에서 백홀까지의 공간)은 기구적인 한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관로 내부의 숨겨진 볼륨(이하, 가상 볼륨)을 같이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Since the internal volume (space from the bottom of the diaphragm to the backhaul) of the receiver module as described above has mechanical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idden volu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rtual volume) inside the pipe to improve this.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s aim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후방 관로의 내부 가상 볼륨을 조절하여 음향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that can adjust the sound balance by adjusting the internal virtual volume of the rear pip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풍을 위한 백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상측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에어갭에 하단 일부가 위치되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관로; 및 상기 관로와 별도로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상기 리시버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가상 볼륨;을 포함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a frame in which a backhole for ventilation is formed, a yoke coupled to the frame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 magnet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yoke, and a lower part in the air gap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A receiver including a voice coil that is positioned and vibrates up and down by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as current is applied, and a diaphragm seated on the fram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oice coil; A pipe communicating with the backhole of the receiv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virtual volume that communicates with the backhaul of the receiver separately from the pipe and amplifies the sound of the receiver.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리시버의 전고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may be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total height of the receiver.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요크의 후방까지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yok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홈은 상기 백홀과 상기 가상 볼륨 및 상기 관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frame includes a groov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and the groove of the frame may communicate the backhaul, the virtual volume, and the conduit.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내주 및 외주와 상기 요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가상 볼륨과 상기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 모듈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air module body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and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and forms the virtual volume and the conduit between the frame and the air module body.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로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conduit may be formed in some sections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로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적어도 반 이상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conduit may be formed in at least half of the sec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나머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sec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상기 관로 보다 더 짧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may be formed in a section shorter than the conduit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요크의 하면을 적어도 일부 덮어주도록 확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may be expanded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홀과 상기 연통홀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에어 모듈 바디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back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etween the frame and the air module body.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홀과 상기 연통홀은, 각각 통기성 메시(mesh)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back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may each be equipped with a breathable mesh member.

실시예에 의하면, 관로와 가상 볼륨을 리시버 후방에 별도로 구성하고, 관로와 가상 볼륨의 체적과 단면적을 개별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리시버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리시버의 내부 볼륨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관로와 가상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저/중/고음역에서 음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밸런스의 최적화 및 고품질 음향 성능 구현이 가능하고, 청음자의 요구에 맞추어 자유로운 튜닝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duit and the virtual volume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at the rear of the receiver, and the volum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and the virtual volume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in a wide range. Therefore, even if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er cannot be secured,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ceiver can be increased, enabling high-quality sound performance, and the sound can be adjusted in the low/mid/high range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pipe and virtual volume. It is possible to optimize sound balance and realize high-quality sound performance, and provide free tuning according to the listener's needs.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의 통기 상태가 일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관로 일체형 리시버에 적용된 관로의 체적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9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에 적용된 가상 볼륨의 체적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4 is a diagram partially showing the ventilation state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een from below.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6.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pipe applied to the pipe-integrated receiver.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virtual volume applied to the pipe-integrated receiver.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의 통기 상태가 일부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s 2 and 3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and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This diagram partially shows the ventilation state of a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an example.

제1실시예의 관로 일체형 리시버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리시버(100)와, 리시버(100)에 결합되어 음향 튜닝을 위한 관로(A)와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가상 볼륨(B)을 형성하는 에어 모듈 바디(20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ipe-integrated receiver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er 100 that generates sound, and an air module body that is coupled to the receiver 100 to form a pipe (A) for sound tuning and a virtual volume (B) to amplify the sound. It may be composed of (200).

리시버(100)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요크(120)와, 요크(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130)와, 마그네트의 상측에 부착되는 플레이트(140)와, 요크(120)와 마그네트(130) 사이의 에어갭에 하부가 위치하는 보이스코일(150)과, 보이스코일(150)을 지지하는 서스펜션(160)과, 보이스코일(150)의 상단에 결합된 진동판(170)을 포함한다. 리시버(10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서, 프레임(110), 요크(120), 마그네트(130), 플레이트(140), 진동판(170) 등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er 100 has a general form, including a frame 110, a yoke 12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0, a magnet 13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yoke 120, and a magnet 130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gnet. plate 140, a voice coil 150 whose lower part is located in the air gap between the yoke 120 and the magnet 130, a suspension 160 supporting the voice coil 150, and a voice coil 150 ) includes a vibration plate 170 coupled to the top of the. Sinc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ceiver 1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rame 110, yoke 120, magnet 130, plate 140, diaphragm 170, etc.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프레임(110)은 외측벽을 구비하는 링 형태로서, 요크(120)가 프레임(110)의 하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에어 모듈 바디(200)가 프레임(11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진동판(170)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110 has a ring shape with an outer wall, and the yok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110, the air module body 200 is coupl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110, and the diaphragm 170 )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10.

프레임(110)은 외부와 통풍을 위한 백홀(Back hole, 111)이 형성되고, 내측 메시(inner mesh, 112)가 백홀(111)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하면 원주 방향을 따라 홈(113)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홈(113)은 백홀(112)을 관로(A)와 가상 볼륨(B)과 연통시킬 수 있다. 프레임의 홈(113)은 관로(A)와 가상 볼륨(B)과 함께 음향 밸런스 조절을 위한 전체 백 볼륨(C)에 포함될 수 있다. The frame 110 is formed with a back hole 111 for ventilation to the outside, and an inner mesh 112 may be installed in the back hole 111. A groove 11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10, and the groove 113 of the frame can communicate the backhaul 112 with the conduit A and the virtual volume B. The groove 113 of the frame may be included in the overall back volume (C) for adjusting sound balance along with the conduit (A) and virtual volume (B).

요크(120)와 마그네트(130)와 플레이트(140)는 일종의 자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요크(120)는 원판형 하면(121)과 하면(121)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링형 측벽(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130)와 플레이트(140)와 보이스코일(150)의 하부가 요크(12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30)는 원판 형상으로서, 요크(120)의 측벽(122)과 사이에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140)는 마그네트(130)의 상면을 덮어주도록 설치되는데, 원하는 방향으로 자로를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e yoke 120, magnet 130, and plate 140 may form a type of magnetic circuit. The yoke 120 may be composed of a disk-shaped lower surface 121 and a ring-shaped side wall 122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21. The magnet 130, the plate 140, and the lower part of the voice coil 1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yoke 120. The magnet 130 has a disk shape and can form an air gap between it and the side wall 122 of the yoke 120. The plate 14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130, and can be guided to form a magnetic path in a desired direction.

보이스코일(150)은 코일이 원통 형상으로 권선된 권선체로서, 보이스코일(150)의 하부가 요크(120)와 마그네트(130) 사이의 에어갭에 설치될 수 있다. 보이스코일(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150)과 자기 회로 사이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보이스코일(15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The voice coil 150 is a winding body in which a coil is woun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part of the voice coil 150 may be installed in the air gap between the yoke 120 and the magnet 130.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150, the voice coil 150 may vibr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due to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voice coil 150 and the magnetic circuit.

서스펜션(160)은 보이스코일(150)의 상단을 프레임(110)의 상단에 완충 지지하는데,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들(T)과 서스펜션(160)이 연결되고, 서스펜션(160)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The suspension 160 cushions and supports the top of the voice coil 150 on the top of the frame 110, and terminals (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are connected to the suspension 160, and is connected to the suspension 160 through the suspension 160. Power can be supplied.

진동판(170)의 중심부가 보이스코일(150)의 상단에 결합되고, 진동판(170)의 외주부가 프레임(110)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판(170)은 보이스코일(150)과 함께 진동됨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diaphragm 170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voice coil 15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aphragm 17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110. The diaphragm 170 may generate sound as it vibrates together with the voice coil 150.

에어 모듈 바디(200)은 리시버(100) 하측 즉, 프레임(110)과 요크(120) 하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프레임(110)과 요크(120) 및 에어 모듈 바디(200) 사이에 관로(A)와 가상 볼륨(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module body 200 is coupled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receiver 100,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0 and the yoke 120, and a conduit ( A) and a virtual volume (B) can be formed.

관로(A)는 주파수 튜닝 역할을 하는데,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을 증폭시켜 전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을 평탄화시켜줄 수 있다. 관로(A)를 통한 주파수의 튜닝은 원주 방향의 구간 길이를 변경함으로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The pipe (A) plays a role in frequency tuning, and can flatten the sound pressure in the entire frequency range by amplifying the sound pressure in the low-frequency band. Tuning the frequency through the pipe (A) can be easily adjust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가상 볼륨(B)은 중주파수 대역의 공진점을 이동시켜줄 수 있는데, 리시버(100)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 과도한 볼륨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리시버(100) 외부에서 증가되는 공간에 가상 볼륨(B)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virtual volume (B) can move the resonance point of the mid-frequency band. Even if excessive volume is not secured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receiver 100, the virtual volume (B) can be formed in the increased space outside the receiver 100. You can.

에어 모듈 바디(200)는 요크(120)의 전고보다 높게 설치됨에 따라 관로(A)와 가상 볼륨(B)의 체적 즉, 백 볼륨(C)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고, 백 볼륨(C)을 최대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음향 밸런스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As the air module body 200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yoke 120, it can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conduit (A) and the virtual volume (B), that is, the bag volume (C), and the back volume (C )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within the maximum range to optimize sound balance.

에어 모듈 바디(200)는 프레임(110)의 하측 원주 방향을 따라 링 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주부(210)와, 원주부(210)의 일부 구간에 요크(1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주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module body 200 has a peripheral portion 210 that forms a ring-shaped space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110, and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yoke 120 in a partial sec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210. It may be composed of a cover part 220 that forms a predetermined space.

원주부(210)는 내측벽과 외측벽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하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관로(A)와 메인 가상 볼륨(B1)이 원주부(210)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관로(A)가 원주부(210)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반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메인 가상 볼륨(B1)이 원주부(210)의 원주 방향으로 나머지 구간에 걸쳐 관로(A) 보다 짧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210) 내측 공간이 관로(A)와 메인 가상 볼륨(B1)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획될 수 있고, 관로(A)와 메인 가상 볼륨(B1)의 체적과 그 단면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201)이 원주부(210)의 하면에 프레임 측 백홀(111)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외측 메쉬 부재(202)가 연통홀(20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may be composed of an inner wall, an outer wall, and a lower surface connecting them, and the conduit A and the main virtual volume B1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The conduit (A) is formed over at least half of a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and the main virtual volume (B1) is formed over the remaining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a section shorter than the conduit (A). can be formed in The space insid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may be partitioned to form the conduit (A) and the main virtual volume (B1), and the volum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A) and the main virtual volume (B1)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 is. A communication hole 201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21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rame side backhole 111, and an outer mesh member 202 may b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01.

커버부(220)는 요크(120)의 하면 보다 작은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작은 보조 가상 볼륨(B2)이 커버부(220)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20)는 원주부(210)와 연결 부분을 제외하고 원주부(210)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고, 원주부(210)의 하면과 커버부(220)는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볼륨(B)은 원주부(210)의 일부 구간에 형성된 메인 가상 볼륨(B1)과 커버부(220)에 의해 형성된 보조 가상 볼륨(B2)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220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small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120, and a small auxiliary virtual volume B2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art 220. The cover portion 22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ripheral portion 210, excluding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peripheral portion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ortion 210 and the cover portion 220 are on the same plane. It can be configured to achieve. The virtual volume B may be composed of a main virtual volume B1 formed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210 and an auxiliary virtual volume B2 formed by the cover part 220.

제1실시예의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된 보조 가상 볼륨(B2)은 요크(120)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부(220)의 내측 공간을 전부 활용하지 않고, 커버부(220)의 내측 공간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virtual volume B2 applied to the microspeaker of the first embodiment does not utilize all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art 220, which covers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yoke 120, but only uses a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art 220. can be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마이크로스피커는 리시버(100) 외측에 관로(A)와 가상 볼륨(B)을 요크(120)의 전고 보다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리시버(100)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리시버(100) 외부에서 내부 볼륨을 확장시킬 수 있다.The microspeaker configured in this way forms the conduit (A) and the virtual volume (B) on the outside of the receiver 100 to protrude beyond the total height of the yoke 120, without securing a separate space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receiver 100. Even so, the internal volume can be expanded from outside the receiver 100.

또한, 에어 모듈 바디(200) 내에서 관로(A)와 가상 볼륨(B)의 체적 및 그 단면적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음향 밸런스를 최적화시킬 뿐 아니라 고품질 음향 성능을 구현할수 있고, 나아가 청음자의 요구에 맞추어 자유로운 튜닝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volum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A) and the virtual volume (B) within the air module body 200, not only can the acoustic balance be effectively optimized, but also high-quality acoustic performance can be realized, and furthermore, the listener's Free tuning can be provided to suit your needs.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제2실시예의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된 보조 가상 볼륨(B2')은 요크(120)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부(220)의 내측 공간을 전부 활용한 것으로서, 제1실시에에 비해 가상 볼륨(B) 및 백 볼륨(C)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uxiliary virtual volume (B2') applied to the microspeaker of the second embodiment utilizes all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ortion 220 that covers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yoke 120, and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B ) and bag volume (C) can be increased.

제2실시예의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된 다른 구성 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other components applied to the microspeaker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관로 일체형 리시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6.

제3실시예의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된 가상 볼륨(B)은 보조 가상 볼륨을 포함하지 않고, 프레임(110)의 하면 원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메인 가상 볼륨(B1)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 비해 가상 볼륨(B) 및 백 볼륨(C)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virtual volume (B) applied to the microspeaker of the third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n auxiliary virtual volume and consists only of the main virtual volume (B1) formed only in a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10. Compared to the example, the virtual volume (B) and back volume (C) can be reduced.

그러나, 메인 가상 볼륨(B1)은 요크(120)의 전고 보다 요크(120)의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서, 기존에 가상 볼륨이 요크의 전고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 보다 제3실시예에서 메인 가상 볼륨(B1)은 요크(120)의 전고 보다 돌출된 높이(h)만큼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가상 볼륨(B) 및 백 볼륨(C)을 증가시킬 수 있다. However, the main virtual volume B1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ward the rear of the yoke 120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yoke 120, so tha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virtual volume B1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otal height of the yoke. The main virtual volume (B1) can secure a space larg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yoke 120 by the protruding height (h), and the virtual volume (B) and back volume (C)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제3실시예의 마이크로스피커에 적용된 다른 구성 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other components applied to the microspeaker of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관로 일체형 리시버에 적용된 관로의 체적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볼륨 증감이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9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에 적용된 가상 볼륨의 체적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볼륨 증감이 도시된 그래프이다.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increase/decrease in volum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pipe applied to the pipe-integrated receiver, and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increase/decrease in volum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virtual volume applied to the pipe-integrated receiver. .

제1실시예의 관로 일체형 리시버에 적용된 관로와 가상 볼륨은 프레임의 하측과 요크의 후방 일부까지 확장된다. 리시버 외측에 관로와 가상 볼륨을 형성할 때, 관로의 체적을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가상 볼륨의 체적 역시 요크의 후방까지 돌출되게 형성하여 개별절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conduit and virtual volume applied to the conduit-integrated receiver of the first embodiment extend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yoke. When forming a pipe and a virtual volume outside the receiver, the volume of the pipe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volume of the virtual volume can also be adjusted individually by forming it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yok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관로를 긴 구간에 형성하여 관로의 체적을 증가시키면, 100Hz ~ 1kHz 중음역 대에서 음압을 높게 구성할 수 있는 반면, 제1실시예의 관로를 짧은 구간에 형성하여 관로의 체적을 감소시키면, 100Hz ~ 1kHz 중음역 대에서 음압을 낮게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8, if the volume of the pipe is increased by forming the pipe of the first embodiment in a long section, the sound pressure can be configured to be high in the midrange of 100Hz to 1kHz, while the pip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formed in a short section.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pipe, the sound pressure can be set to be low in the mid-range of 100Hz to 1kHz.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비해 가상 볼륨을 증가시키면(제2실시예), 1kHz ~ 4kHz 음역 대에서 공진점을 낮은 주파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반면, 제1실시예에 비해 가상 볼륨을 감소시키면(제3실시예), 1kHz ~ 4kHz 음역 대에서 공진점을 높은 주파수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if the virtual volum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the resonance point can be moved to a lower frequency in the 1 kHz to 4 kHz sound range, while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virtual volume can be moved to a lower frequency. By reducing the volume (third embodiment), the resonance point can be moved to a higher frequency in the 1kHz to 4kHz sound rang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음역 대에서 음향 높낮이를 조절하여 저/고역의 음향 손실없이 음향 밸런스를 최적화시킬 수 있고, 리시버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음향 공진점을 변동시킬 수 있어 리시버의 내부 볼륨 조절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ound balance can be optimized without loss of sound in the low/high range by adjusting the sound height in the mid-range, and the sound resonance point can be changed even if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er is not secured, so the sound resonance point of the receiver can be changed.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internal volume contro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리시버 110 : 프레임
120 : 요크 130 : 마그네트
140 : 플레이트 150 : 보이스코일
160 : 서스펜션 170 : 진동판
200 : 에어 모듈 바디 210 : 원주부
220 : 커버부 A : 관로
B : 가상 볼륨 C : 백 볼륨
100: Receiver 110: Frame
120: York 130: Magnet
140: plate 150: voice coil
160: Suspension 170: Vibration plate
200: Air module body 210: Circumferential part
220: Cover part A: Pipeline
B: Virtual volume C: Back volume

Claims (12)

통풍을 위한 백홀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상측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에어갭에 하단 일부가 위치되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관로;
상기 관로와 별도로 상기 리시버의 백홀과 연통되고, 상기 리시버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가상 볼륨; 및
상기 프레임의 내주 및 외주와 상기 요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가상 볼륨과 상기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 모듈 바디;를 포함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 frame with a backhole for ventilation, a yoke coupled to the frame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 magne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yoke, and a lower part positioned in the air gap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as electric current is applied. a receiver including a voice coil that vibrates up and down by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and a diaphragm seated on the fram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oice coil;
A pipe communicating with the backhole of the receiv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virtual volume that communicates with the backhaul of the receiver separately from the pipe and amplifies the sound of the receiver; and
An air module body coupled to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ram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and forming the virtual volume and the duct between the frame and th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리시버의 전고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irtual volum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overall height of the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요크의 후방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irtual volum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yok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홈은 상기 백홀과 상기 가상 볼륨 및 상기 관로를 연통시키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rame is,
It includes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in which the groove of the frame communicates the backhaul, the virtual volume, and th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ip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in a por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적어도 반 이상의 구간에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pip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in at least half of the sec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나머지 구간에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virtual volum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in the remaining sec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 원주를 따라 상기 관로 보다 더 짧은 구간에 형성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In clause 7,
The virtual volum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formed in a section shorter than the pipe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볼륨은,
상기 요크의 하면을 적어도 일부 덮어주도록 확장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In clause 7,
The virtual volume is,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that extends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과 상기 연통홀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에어 모듈 바디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ckhaul and the communication hole are,
A pipe-integrated receiver module provided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frame and the air module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과 상기 연통홀은,
각각 통기성 메시(mesh) 부재가 장착되는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According to clause 10,
The backhaul and the communication hole are,
A pipeline-integrated receiver module each equipped with a breathable mesh member.
삭제delete
KR1020220020873A 2022-02-17 2022-02-17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KR102577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873A KR102577014B1 (en) 2022-02-17 2022-02-17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873A KR102577014B1 (en) 2022-02-17 2022-02-17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34A KR20230123734A (en) 2023-08-24
KR102577014B1 true KR102577014B1 (en) 2023-09-12

Family

ID=8784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873A KR102577014B1 (en) 2022-02-17 2022-02-17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0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138B1 (en) *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KR102287937B1 (en)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138B1 (en) *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KR102287937B1 (en)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34A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6016B2 (en) earphone
US10469951B2 (en) Loudspeaker magnet and earphone assembly
JP5879563B2 (en) Speaker, hearing aid,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6380504B2 (en) headphone
US9613614B2 (en) Noise-reducing headphone
JPH0783515B2 (en) Headphone
JPH1032892A (en) Open-type headphone
CN112788459B (en)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pipe
EP1410682B1 (en) Low profile speaker and system
JP2011087048A (en) Headphone
EP3157267A1 (en) Loudspeaker
EP3652962B1 (en) Audio device
GB2454605A (en) Noise-cancelling ear-worn speaker-carrying devices with vents to bypass seals and cancel sound leakage
KR101451687B1 (en) two way speaker having coaxial effect
KR101634236B1 (en) Acoustic Hybrid Earphone With Acoustic Filter
US10419845B2 (en) Headphones and speaker unit
US20070121991A1 (en) Loudspeaker
EP4122215A1 (en) Loudspeaker
KR102577014B1 (en)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a duct
JP6407673B2 (en) Speaker
JP6583226B2 (en) headphone
KR102577012B1 (en) Receiver and earphone with it
JP4126870B2 (en) Speaker
US20230007385A1 (en) Headphone
CN111970611B (en) Headset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