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924B1 -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924B1
KR102575924B1 KR1020207027381A KR20207027381A KR102575924B1 KR 102575924 B1 KR102575924 B1 KR 102575924B1 KR 1020207027381 A KR1020207027381 A KR 1020207027381A KR 20207027381 A KR20207027381 A KR 20207027381A KR 102575924 B1 KR102575924 B1 KR 10257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transmitted
carri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885A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인터넷(V2X)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인터넷(V2X)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 차량 대 차량(Long Term Evaluation Vehicle to Vehicle, LTE V2V)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드 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로서,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방식과 다르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하므로,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 낮은 전송 시간 지연을 갖는다.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버전 14(Rel-14)에서 차량 대 기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기술에 대해 표준화하여, 모드3과 모드4인 2종의 전송 모드를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드3에서, 차량 탑재 단말의 전송 리소스는 기지국에 의해 배분된다. 차량 탑재 단말은 기지국이 배분한 리소스를 통해 사이드 링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1회 전송하는 리소스를 배분할 수 있고, 단말을 위해 반정적으로 전송하는 리소스를 배분할 수도 있다. 모드4에서, 차량 탑재 단말은 센싱(sensing) 플러스 예약(reservation)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탑재 단말은 리소스 풀에서 센싱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 집합을 획득하고, 단말은 해당 집합으로부터 랜덤으로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멀티 반송파 전송을 지원한다. 즉, 단말기는 동시에 복수의 반송파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파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에 있어서, 어떻게 단말기가 반송파를 선택하도록 트리거할지는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여, 단말기의 반송파 선택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참조 정보로 할 수 있으므로,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키기에 유리하며,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리소스 설정 유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특정 서비스 유형이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이미 전송된 서비스(즉, 전송될 서비스 이전에 이미 전송된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이미 전송된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특정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가 특정 신뢰성 임계값(예를 들어, 90%)보다 크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신뢰성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가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예를 들어, 10ms)보다 작으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의 버전이 특정 버전일 때,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버전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서로 다르면,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동일하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없으면,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이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서브 채널(subchannel) 수량,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수량, 재전송 횟수 및 최대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CBR,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의 대응관계인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술한 측면에 따라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어느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제4.5(4.5th generation, 4.5G) 세대 네트워크, 제5세대(5th generation, 5G) 네트워크,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차량 대 기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 시스템, 예를 들어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단말 대 단말(device to device, D2D)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Terminal),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해당 단말기는 차량 탑재 단말(vehicle user equipment, VUE), 예를 들어, 차량 또는 자율 주행(self driving) 중의 무선 단말 등일 수 있다. 또는, 해당 단말기는 보행자 휴대 단말(pedestrian user equipment, PUE), 예를 들어, 핸드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단말기를 위해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접속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의 명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라고 불리우고, 제3세대(3rd Generation, 3G) 네트워크에서, 노드B(Node B)라고 불리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인터넷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110)일 수 있고, 단말기는 차량 탑재 단말, 예를 들어, 차량(121)과 차량(122)일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은 차량 인터넷 시스템 중의 단말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차량 탑재 단말(121) 또는 차량 탑재 단말(1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210).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참조 정보로 할 수 있으므로,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키기에 유리하며,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리소스 설정 유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수신되었으며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가장 최근의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었으며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특정 서비스 유형이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이미 전송된 서비스(즉, 전송될 서비스 이전에 이미 전송된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이미 전송된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 등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트리거 조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특정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해당 특정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가 특정 신뢰성 임계값(예를 들어 90%)보다 크면,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신뢰성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가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예를 들어 10ms)보다 작으면,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이 특정 버전일 때,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버전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술한 정보 중 둘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고려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특정 서비스 유형일 때,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특정 우선순위보다 높을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및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전송 리소스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 예를 들어, 신뢰성 수요 또는 시간 지연 수요 등을 만족시킬 수 없으면,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기는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반송파를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표 반송파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전송 리소스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해당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조건은 단지 예시일 뿐,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트리거 조건은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 네트워크 상황, 단말기의 능력 정보 등의 정보를 기초로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은 단지 예시일 뿐,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의 기타 속성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수행하는 반송파 선택은 리소스 선택 과정에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단독으로 수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단말기의 반정적 리소스가 만기(또는, 실효)된 후, 단말기는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여야 하며, 리소스 선택 과정에서 동시에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 1을 결합하여, 단말기가 어떻게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당 실시예 1에서, 단계(S2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해당 실시예 1에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전송될 정보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일 대 일, 일 대 복수, 또는 복수 대 일, 또는 복수 대 복수와 같은 대응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비스 유형이 하나의 반송파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서비스 유형이 복수의 반송파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서비스 유형이 하나의 반송파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서비스 유형이 복수의 반송파에 대응되는 것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제1 대응관계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사용할 수 있는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결정된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기초로,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서로 다르면, 이러한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또는,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는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기는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파를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표 반송파로서 선택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는,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동일하면,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추가적으로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reserved) 리소스 또는 승인(grant) 리소스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나아가 판단 결과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있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있는 반송파를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표 반송파로서 선택할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동일하다 함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동일한 것(경우 1이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는 반송파 2이고,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는 반송파 1과 반송파 2이면, 이러한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대응되게,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서로 다르다 함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상기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완전히 다른 것(경우 2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는 반송파 3이고, 상기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 가능한 반송파는 반송파 1과 반송파 2이면, 이러한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실시예 1을 설명하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반송파 1이고, 제1 대응관계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이되, 서비스 유형1은 반송파 1과 반송파 2에 대응되고, 서비스 유형2는 반송파 3과 반송파 4에 대응되며, 만약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비스 유형1이면, 단말기는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경우 1에 대응). 나아가, 해당 단말기는 해당 반송파 1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있으면, 해당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고 계속하여 반송파 1 상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만약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없으면, 해당 단말기는 반송파 1 및/또는 반송파 2 상에서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반송파 1이고, 제1 대응관계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이되, 서비스 유형1은 반송파 1과 반송파 2에 대응되고, 서비스 유형2는 반송파 3과 반송파 4에 대응되며, 만약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비스 유형2이면, 단말기는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가 다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경우 2에 대응), 해당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단말기는 반송파 3 및/또는 반송파 4 상에서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 2를 결합하여, 단말기가 어떻게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는,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사용 가능한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서브 채널(subchannel) 수량, 재전송 횟수, 최대 송신 전력(maxTxPow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 채널은 복수의 연속적인 PR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해당 단말기의 기타 속성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의 능력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네트워크 상황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변경 여부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변경될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전송 파라미터의 변화량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클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아니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변경된 전송 파라미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고,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으면,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나아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키는 반송파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고,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채널 혼잡율(Channel Busy Ratio, CBR)은 네트워크의 혼잡 정도를 지시할 수 있으며, 동기 리소스 유형은 글로벌 위성 네비게이션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eNB 및 UE을 포함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는 제2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해당 제2 대응관계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단말기 상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일 대 일, 일 대 복수, 또는 복수 대 일, 또는 복수 대 복수와 같은 대응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종의 동기 리소스 유형이 일 세트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유형의 동기 리소스 유형이 일 세트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것, 또는, 하나의 속도 범위와 일종의 동기 리소스 유형이 일 세트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것 등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해당 제2 대응관계는 표1에 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속도 범위 ≤120km/h >120km/h
동기 리소스 유형 GNSS MCS [0,28] [0,10]
PRB수량 [1,50] [1,16]
재전송 횟수 {0,1} 1
최대 송신 전력 23dBm(데시벨 밀리와트) 23dBm
eNB MCS [0,21] [0,6]
PRB수량 [1,30] [1,8]
재전송 횟수 {0,1} 1
최대 송신 전력 23dBm 23dBm
UE MCS [0,9] [0,4]
PRB수량 [1,10] [1,4]
재전송 횟수 {0,1} 1
최대 송신 전력 23dBm 23dBm
예를 들어, 만약 현재의 동기 리소스 유형이 GNSS이고, 단말기의 속도가 120km/h 미만으로부터 120km/h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화할 때, 단말기는 표 1에 표시된 대응관계를 기초로, 단말기의 사용 가능 PRB 수량 범위가 [1,50]로부터 [1,16]로 변경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전송될 데이터에 필요한 PRB 수량이 16보다 크면,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변경된 후의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거나, 또는,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소스 선택 과정에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제1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해당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및/또는 속성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3: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한다.
해당 실시예 3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시간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 시간보다 이르다.
즉, 상기 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서비스(즉,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기존 서비스(즉,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는 해당 제1 데이터 이전에 수신된, 아직 전송되지 않은 서비스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를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를 때,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정보, 시간 지연 정보 등을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다른 일 실시예로서,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예를 들어, 우선순위정보, 시간 지연 정보 등)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특정 서비스 유형일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서비스 유형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을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1 데이터가 수신될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적으로 해당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전송 리소스를 선택한다. 또는,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낮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였을 때,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및 상술한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선택되는 목표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은 협력 감지 메시지(Cooperate Awareness Message, CAM)이고,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은 분포형 환경 통지 메시지(Decentralized Environmental Notification Message, DENM)이면, 상기 제1 데이터가 도달하였을 때, 단말기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다른 것으로 결정하고, 나아가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경우 1 :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른 반송파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대응관계에서, CAM는 반송파 1과 반송파 2에 대응되고, DENM은 반송파 3과 반송파 4에 대응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3 또는 반송파 4 상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경우 2 :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과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은 동일한 반송파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대응관계에서, CAM은 반송파 1과 반송파 2에 대응되고, DENM도 반송파 1과 반송파 2에 대응된다. 만약 단말기가 현재 사용 중인 전송 리소스가 반송파 2 상에 있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1 또는 반송파 2 상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4 :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우선순위 정보이고, 상기 단말기는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특정 우선순위보다 높을 때,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특정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시간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 시간보다 이르다.
해당 실시예 4에서,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은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경우 1 :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동일하면, 데이터의 인접 서비스의 서비스 패킷 당 우선급(ProSe Per-Packet Priority, PPPP)을 기초로 해당 제1 데이터와 해당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모두 CAM이고, 상기 제1 데이터의 PPPP는 1이며, 상기 제2 데이터의 PPPP는 4이면,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우 2 :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서로 다르면, 이에 대응되는 PPPP를 기초로 제1 데이터와 해당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상대적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서비스 유형 CAM 중 PPPP=4가 DENM 중 PPPP=6에 해당되면, 만약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CAM이고, PPPP=3이며, 제2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이 DENM이고, PPPP=3이면,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 4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을 때, 상기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와 상술한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선택되는 목표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낮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단말기의 송신 능력 또는 기타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제1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사용 가능한 반송파에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선택하고, 제2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반송파 선택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신뢰성 수요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가 특정 신뢰성 임계값(예를 들어, 90%)보다 클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신뢰성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시간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 시간보다 이르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예를 들어, 90%)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예를 들어, 80%)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보다 낮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 또는 기타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반송파 선택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였을 때, 상기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1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와 상술한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선택되는 목표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6 :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시간 지연 정보이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가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예를 들어, 10ms)보다 작을 때,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시간 지연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시간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 시간보다 이르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예를 들어, 5ms)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예를 들어, 10ms)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만약 상기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보다 크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 또는 기타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반송파 선택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였을 때, 상기 단말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해당 제1 데이터의 시간 지연 수요와 상술한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선택되는 목표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7 : 상기 제1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이고, 상기 단말기는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이 특정 버전일 때,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특정 버전은 기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와 제2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 시간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 시간보다 이르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이 상기 제2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보다 낮으면,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이 제2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보다 낮을 때, 상기 단말기은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와 상술한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위해 선택되는 목표 반송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약 상기 제1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이 상기 제2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보다 낮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단말기의 송신 능력 또는 기타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반송파 선택 방식은 기타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송신 능력이 제한받으면, 상기 단말기는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을 결합하여, 어떻게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및/또는 속성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위에서는 도 2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며, 유사한 설명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300)는,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듈(310)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서로 다르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은 또한,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가 동일하고, 현재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없으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모듈(310)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은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으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제1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로 변경되며, 제2 사용 가능 파라미터 범위 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반송파 선택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부분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모듈(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현재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의 대응관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기(300) 중 각각의 유닛의 상술한 및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방법(200) 중 단말기의 상응한 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4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도 3에 따른 단말기(300)일 수 있으며, 도 2 중 방법(200)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0)는 입력 인터페이스(410), 출력 인터페이스(420), 프로세서(430) 및 메모리(4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 출력 인터페이스(420), 프로세서(430)와 메모리(4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430)는 상기 메모리(4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410)가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출력 인터페이스(420)가 신호를 발송하도록 제어하며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조작을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43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43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40)는 판독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440) 중 일부분은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40)는 기기 유형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각의 내용은 프로세서(43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내용을 결합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완성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440)에 배치되고, 프로세서(430)는 메모리(440) 내의 정보를 읽어내어,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3에 따른 단말기(300)에 포함되는 결정모듈(310)은 도 4의 프로세서(43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명령이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식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때, 해당 휴대식 전자 기기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형태로 수행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수행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라면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의 편의와 간결성을 위하여 상술한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획분은 단지 일종 논리적 기능의 획분으로서, 실제 구현 시 기타 획분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되거나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되거나 논의되는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닌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도 있는 바,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바, 몇몇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가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대체 또한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0)

  1. 단말기가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대 단말(D2D) 통신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가 서로 다르면,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가 동일하며,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없으면, 상기 단말기가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사용 중인 반송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기 위한 결정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와 제1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고,
    상기 결정모듈은,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가 서로 다르면,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사용 가능한 반송파와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가 동일하며, 상기 사용 중인 반송파 상의 예약 리소스 또는 승인 리소스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베어링할 수 없으면,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성 수요 정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시간 지연 정보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지원하는 단말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 가능한 반송파의 대응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를 기초로,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파라미터 범위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으면,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범위 내에 있고,상기 파라미터 범위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반송파 선택을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채널 혼잡율(CBR),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CBR,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이동 속도, 동기 리소스 유형, CBR, 데이터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와 전송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범위의 대응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27381A 2018-03-15 2018-03-15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KR10257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9205 WO2019174017A1 (zh) 2018-03-15 2018-03-15 车联网中载波选择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885A KR20200132885A (ko) 2020-11-25
KR102575924B1 true KR102575924B1 (ko) 2023-09-07

Family

ID=6790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381A KR102575924B1 (ko) 2018-03-15 2018-03-15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044703B2 (ko)
EP (2) EP3761728B1 (ko)
JP (2) JP7260560B2 (ko)
KR (1) KR102575924B1 (ko)
CN (2) CN110731108B (ko)
AU (1) AU2018412968B2 (ko)
BR (1) BR112020018683A2 (ko)
CA (1) CA3093965C (ko)
ES (1) ES2930113T3 (ko)
HU (1) HUE060021T2 (ko)
MX (1) MX2020009630A (ko)
WO (1) WO2019174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924B1 (ko) 2018-03-15 2023-09-07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CN114189938A (zh) * 2021-12-14 2022-03-1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载波确定方法、通信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121A1 (en) 2007-02-20 2008-08-21 Takeshi Yamamoto Vehicle-to-roadside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913B2 (en) 2004-03-29 2009-04-07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hange of an operating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57860B1 (ko) 2006-12-08 2008-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간 통신에 있어 진행 방향에 따른 채널할당 장치 및방법
KR101637589B1 (ko) * 2009-06-12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813728A (zh) 2013-05-07 2015-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选择方法和相关装置
KR101534969B1 (ko) 2013-12-18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메시지 전송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EP3120486B1 (en) * 2014-03-21 2018-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s for user equipment
EP3146776B1 (en) * 2014-05-23 2017-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s and methods for d2d transmission
CN106376082B (zh) * 2015-07-20 2021-12-2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以及无线通信方法
CN106413096B (zh) 2015-07-31 2020-07-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载波选择方法、网络侧网元及用户设备
CA2995288A1 (en) 2015-08-12 2017-02-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equipment, network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6488560A (zh) * 2015-09-01 2017-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选择方法及装置
US10383147B2 (en) 2015-12-28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collision avoidance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EP3403446B1 (en) * 2016-01-12 2021-02-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US20190075548A1 (en) 2016-03-04 2019-03-07 Lg Electronics Inc. V2x transmission resource selecting method implement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WO2017171529A1 (ko) 2016-04-0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전송 자원 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05916182B (zh) * 2016-04-25 2020-03-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载波频率切换方法及系统
US10779308B2 (en) 2016-08-11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resource selection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448295B2 (en) 2016-08-12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equipment autonomous resource reselection based on coun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44947B2 (ja) 2016-09-30 2020-02-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優先順位に基づいて端末自体的にリソースを再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275288B1 (ko) * 2017-01-03 2021-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inter-carrier 방법
WO2018128372A1 (ko) 2017-01-03 2018-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45067A1 (en) 2017-02-06 2018-08-09 Intel Corporation Partial sensing and congestion control for long term evolution (lte) vehicular communication
WO2019054783A1 (ko) * 2017-09-14 2019-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수행하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08834B2 (en) * 2017-11-30 2020-07-07 Google Llc Carrier switching
KR102575924B1 (ko) 2018-03-15 2023-09-07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차량 인터넷에서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121A1 (en) 2007-02-20 2008-08-21 Takeshi Yamamoto Vehicle-to-roadside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PPO, R2-1712178, Carrier selection in CA-based eV2x, 3GPP TSG RAN WG2 #100, 3GPP 서버공개일(2017.11.1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0086A (ja) 2021-08-12
ES2930113T3 (es) 2022-12-07
CA3093965C (en) 2023-05-23
WO2019174017A1 (zh) 2019-09-19
BR112020018683A2 (pt) 2020-12-29
CN110731108B (zh) 2021-08-31
HUE060021T2 (hu) 2023-01-28
EP3761728A4 (en) 2021-01-20
JP7260560B2 (ja) 2023-04-18
EP3761728A1 (en) 2021-01-06
JP2023082193A (ja) 2023-06-13
AU2018412968B2 (en) 2024-02-29
AU2018412968A1 (en) 2020-10-15
MX2020009630A (es) 2020-10-08
US20210289478A1 (en) 2021-09-16
CN110731108A (zh) 2020-01-24
US20200413376A1 (en) 2020-12-31
EP3761728B1 (en) 2022-09-07
US11889474B2 (en) 2024-01-30
EP4102903A1 (en) 2022-12-14
CN113613203A (zh) 2021-11-05
CA3093965A1 (en) 2019-09-19
KR20200132885A (ko) 2020-11-25
US11044703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547B2 (en)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D2D device
JP6900501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KR102307719B1 (ko)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장치
WO2019051782A1 (zh) 用于资源选择的方法和设备
JP2022525587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KR20190102002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JP2023082193A (ja) 自動車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キャリア選択方法及び端末機器
US1156424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3747537A (zh) 优先级确定方法和设备
KR20220098726A (ko) 사이드링크의 정보 리포팅 방법, 장치, 단말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320713B1 (ko) 업링크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EP354113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4052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early data transmission
KR20210062047A (ko) 피드백 정보의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CN117580196A (zh) 多跳中继的方法、装置和系统
CN117157927A (zh) Csi处理方式的切换方法、装置、介质、产品及芯片
CN115669192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