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919B1 - 화재대피용 세트 - Google Patents

화재대피용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919B1
KR102575919B1 KR1020230057251A KR20230057251A KR102575919B1 KR 102575919 B1 KR102575919 B1 KR 102575919B1 KR 1020230057251 A KR1020230057251 A KR 1020230057251A KR 20230057251 A KR20230057251 A KR 20230057251A KR 102575919 B1 KR102575919 B1 KR 10257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ire
retardant fabric
ca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지하공간 등에서 비치하여, 화재, 폭발 등의 재난재해 발생시 대피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착용하여 화재열기, 유해가스로부터 신체 및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대피용 세트{Fire through set for fire escape}
본 발명은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지하공간 등에서 비치하여, 화재, 폭발 등의 재난재해 발생시 대피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착용하여 화재열기, 유해가스로부터 신체 및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 화재, 가스유출 등의 다양한 재난상황 발생 시, 화기 및 유해가스로 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방독면, 산소호흡기 등의 다양한 보호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지진, 폭우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도시화가 진행되어 고층건물과 지하철,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등의 지하공간이 많이 개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따라서 건물, 지하공간에서 화재 등의 사고 발생 시 대피하는 과정에서 화재 매연 및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 또는 화염 열기로 인한 탈출 불가, 정전 또는 연기에 의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재난 안전 망토"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재난 등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재난 안전 망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고 탈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나, 호흡기가 노출되어 재난상황에서 발생하는 화재, 열기 및 유해가스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 및 정전 등에 의해 주변 시야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속한 대피가 어려우며, 구조에 많은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45947호(2019.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장소, 건물, 지하공간 등 다양한 장소에 비치하여, 재난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하여 화재 및 유해가스로 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습윤처리를 통해 습식형태로 이루어져, 화재 및 화기로부터 강한 방염성, 내열성 및 내구성을 통해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습윤처리된 상태로 보관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부식, 노화 등을 방지하여 장기간 비치가 가능하며, 사용시 화재열기, 불꽃 및 화기 등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사고 발생시 화염, 열기, 매연 및 유독가스 등에 의한 주요 사망원인을 하나의 구성을 통해 해소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시 조명이 자동으로 켜져 시야확보를 통해 안전하게 대피가 가능하며, 구조대원이 빛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하여 구조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흡 시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하며, 위급상황 시 코로 호흡하여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열성, 방염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에 천연 추출물을 습윤시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천연추출물에 의한 냉각, 진정성분을 통해 화상을 방지하여 피부보호가 가능하며, 위급상황 시 사용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유지시켜 혼란을 방지하고 진정상태에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을 감싸 보호하며, 표면에 혼합용액을 습윤처리된 습식부가 형성된 방염포와, 상기 방염포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머리를 끼워 착용하여 보호하는 후드부와, 상기 방염포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손을 넣어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후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염포의 내부에 형성되며, 목과 입을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며,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한 호흡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염포는, 비스코스, 아크릴섬유, 카본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합성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용액은, 냉각, 진정, 수분 유지성분이 함유된 피부친화적인 추출물과 멸균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1 : 10 내지30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염포를 포장하여 보관하는 포장부재와, 상기 포장부재의 외부면 및 사용자의 눈 주위에 접착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접착제가 도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매연 및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렌즈가 결합된 눈보호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보호대에 형성되어 사용시 빛을 점멸하는 조명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눈보호대(70)의 외부에 형성된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내부에 일측 삽입되어 전력을 차단하며, 타측이 상기 포장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눈보호대를 상기 포장부재에서 떼어내면, 상기 조명등에서 이탈되는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흡통은, 상기 보호부재의 외측에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동되어 내부로 돌출된 제1연결관과 내부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보호부재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관과 결합되는 제2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호흡관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호흡관에 각각 체결되며,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코막이로 사용할 수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세트에 따르면, 공공장소, 건물, 지하공간 등 다양한 장소에 비치하여, 재난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하여 화재 및 유해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염포를 습윤처리한 습식부를 통해 화재 열기, 불꽃 및 화기로부터 강한 방염성,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를 감싸 화재 열기, 불꽃 및 화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눈보호대의 착용시 조명등이 자동으로 켜져 어두운 통로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구조대원이 빛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부 및 손잡이부를 통해 편리하게 착용하며, 활동이 편리하여 위급상황시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며, 노출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화통을 통해 화재 등에 의한 매연, 유해가스를 여과하여 흡입을 방지하고, 마개를 통해 코를 막아 위급상황시 코 호흡을 통한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부재에 진공, 질소포장으로 밀봉 보관하여 외부 노출되지 않아 노후, 부식 등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부재에 부착된 눈보호대를 통해 화재, 유해가스로 부터 눈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용액에 진정성분이 함유된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위급상황 시 사용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유지시켜 혼란을 방지하고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세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포의 불꽃반응을 나타낸 측정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염포의 두께변화를 측정한 측정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에 따른 방염포의 변화를 나타낸 측정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세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포의 불꽃반응을 나타낸 측정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염포의 두께변화를 측정한 측정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에 따른 방염포의 변화를 나타낸 측정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지하공간 등에서 비치하여, 화재, 폭발 등의 재난재해 발생시 대피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착용하여 화재열기, 유해가스로부터 신체 및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하공간 및 건물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착용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방염포(10), 후드부(20), 손잡이부(30), 보호부재(40) 및 호흡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염포(10)는 사용자의 몸을 감싸 보호하며, 표면에 혼합용액을 습윤처리된 습식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후드부(20)는 상기 방염포(10)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머리를 끼워 착용하여 보호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방염포(1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손을 넣어 파지한다.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후드부(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염포(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목과 입을 보호한다.
상기 호흡통(50)은 상기 보호부재(40)의 중앙에 형성되며,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건물 또는 지하공간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 등의 재난재해 발생 시, 사용자는 상기 후드부(20)와 상기 손잡이부(30)로 머리와 손을 보호하며, 상기 방염포(10)로 몸을 감싸 화재 및 화기로부터 사용자의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0)를 통해 목과 입 부분을 감싸 화기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보호부재(40)에 구비된 상기 호흡통(50)을 통해 유해가스 등이 여과한 후 호흡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방염포(10)는 사용자를 감싸 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용액(12)을 통해 습윤처리된 상기 습식부(11)를 통해 화기를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방염포(10)는 비스코스 레이온류의 아크릴 섬유를 소성탄화시키거나, 카본섬유, 유리섬유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한 섬유로 이루어져 다양한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상기 방염포(10)는 화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섭씨 400° 내지 1200°도 정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두께 및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용액(12)은 냉각, 진정, 수분 유지성분이 함유된 피부친화적인 추출물과 멸균증류수 또는 정제수는 1 : 10 내지 30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진다.
즉, 멸균증류수 또는 정제수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용액의 향이 너무 강한 문제가 발생하고, 1:30을 초과하는 경우, 냉각 및 진정효과가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부친화적인 추출물은, 알로에베라 추출물, 알로에베라겔, 천년초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원추리 추출물, 오이추출물, 티트리 추출물, 트레할로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혼합용액(12)에는 대피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진정효과를 가지는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등의 천연 추출물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액상에 추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혼합용액(12)은 화염 및 열기를 차단하며,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여 위급상황 시 혼란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용액(12)에 사용되는 피부친화적 추출물의 비율에 따른 일예로, 멸균증류수 100%에 알로에베라 젤 8% 알로에베라 추출물 1.4% 티트리 추출물 0.4%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피부친화적 추출물은 피부를 보호하고, 화기 효과를 발생시키는 천연추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정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의 비율에 따른 일예로, 상기 혼합용액(12) 100%에 라벤더 추출물 0.1%, 로즈마리 추출물 0.1%의 비율로 추가하여 혼합이 가능하다.
여기저 진정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상기 혼합용액(12)에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사용용도, 환경 등에 맞춰 비율로 조절하여 혼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혼합용액(12)을 통해 상기 방염포(10)의 화재에 따른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건식 방염포와 습식 방염포의 각각의 시편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건식 방염포 시편은, 면적 150*100mm, 두께 1.17T 카본섬유로 이루어지며, 습식 방염포 시편은 면적 150*100mm, 두께 1.17T 카본섬유에 상기 혼합용액을 습윤처리하여 각각 준비하였다.
여기서 상기 혼합용액은 멸균증류수 90%, 알로에베라 젤 8% 알로에베라 추출물 1.4% 티트리 추출물 0.4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시험환경은 실내 상온 10℃(±5) 실내 상대습도 50~60%이며, 시험방법은 1200℃온도가 상승하는 토치를 사용하여 20mm 불꽃 길이로 원단과 10mm거리에서 가열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건식시편은 2분, 습식시편은 6분을 가열한 후, 각 시편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시편의 외관변화를 살펴보면, 건식시편은 2분간 가열시 표면이 하얗게 탄화흔적이 발생하고 습식시편은 6분을 가열하였음에도 가열전과 시편과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습식시편은 상기 혼합용액이 수증기화 되어 표면에 작은 물방울이 맺힘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습식시편은 건식시편 보다 약 3배에 달하는 시간동안 가열하였음에도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화기에 우수한 성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시 불꽃반응을 살펴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시편은 가열시 불꽃이 탄화표면적이 붉은색의 큰원형을 보이는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시편은 건식시편보다 약 10%에 작은 불꽃반응을 확인하였다.
즉, 직접적인 불꽃이 시편에 가해져도, 상대적으로 작은 불꽃반응을 통해 화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식시편과 습식시편의 수축변화를 살펴보면, 도 6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전 두께 1.71T의 각 시편으로 진행하였으며, 건식시편은 2분 가열 후 1.21T로 수축하였고, 습식시편은 6분 가열 후, 1.56T로 수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습식시편은 건식시편보다 약 3배에 달하는 시간동안 가열하였음에도, 수축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염포(10)는 건식시편과 습식시편의 가열시험을 통해 방염성능, 불꽃반응 및 수축변화의 비교를 통해 상기 혼합용액을 첨가 시 향상된 성능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염포(10)는 상기 습식부(11)가 습윤처리되어 재난상황시 발생된 화재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드부(20)는 상기 방염포(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끼워 착용하여 보호 및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부(20)는 상기 방염포(10)와 동일한 섬유 및 상기 습식부(11)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드부(20)는 상기 방염포(10)의 내면에 이중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후드부(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하여 대피 중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방염포(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넣어 보호 및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방염포(10)와 동일한 섬유 및 상기 습식부(11)로 이루어져, 상기 방염포(10)의 양측 끝단 내면에 이중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면이 개방되어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내면에는 파지가 가능한 고리 등이 형성되거나 손 모양을 가지는 장갑 형태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30) 사용자의 손을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하며, 내부에 열전도가 되지 않는 재질을 이용한 고리 등이 형성되어 파지시 화상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30)는 사용자의 손을 덮어 화기로부터 보호하며,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대피 중 임의로 이탈을 방지하고 대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후드부(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염포(10)의 내면에 결합되어 목과 입을 보호할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방염포(10)와 동일한 섬유 및 상기 습식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후드부(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방염포(10)와 결합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후드부(20)와 상기 방염포(10)와 연결되며, 중앙에 얼굴을 노출할 수 있는 노출홈이 형성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40)는 목과 입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부(20)의 하부에서 상기 방염포(10) 및 상기 후드부(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40)는 상기 방염포(10)의 내면에서 양측단이 상기 방염포(10)와 결합되어 중앙이 개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부재(40)는 사용자의 머리를 삽입하여 착용 시, 노출된 목과 입 부분에 위치하여 화염 및 열기로부터 목과 입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40) 및 상기 방염포(10)의 뒷면 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하여 식별할 수 있는 반사시트(8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반사시트(80)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재(40) 및 상기 방염포(10)의 뒷면에 다양한 형태로 접착, 봉제 등의 방식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반사시트(80)는 상기 방염포(10)를 착용시 이 빛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방염포(10)를 착용한 사람을 식별하여 구조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호흡통(50)은 상기 보호부재(4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호흡시 매연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51), 제2케이스(52), 결합부재(53) 및 마개(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51)는 상기 보호부재(40)의 외측에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1a)와, 상기 유입구(51a)와 연동되어 내부로 돌출된 제1연결관(51b)과 내부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5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케이스(5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면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51a)는 상기 제1케이스(5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관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51b)과 상기 유입구(51a)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동홈(51c)과 제2유동홈(51d)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유동홈(51C)는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입구(51a)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동홈(51c)은 상기 유입구(51a)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연결관(51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유동홈(51d)은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제1연결관(51b)을 상호 연결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유동홈(51c)은 상기 유입구(51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유동홈(51d)은 상기 제1연결관(51b)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55)는 상기 제1케이스(51)에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에 혼합된 유해가스를 정화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55)는 MB필터, 활성탄필터, 촉매필터, 전후필터가 구성되되, 활성탄필터, 촉매필터는 부직포, 직물형태 또는 비드, 플레이크, 과립의 응집체 등임의 사용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촉매필터는 홉칼라이트(CuO-MnO2), 알루미나, 금속 산화물 등 흡착제를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혼합 적용하여 일산화탄소, 이산화항,질소산화물, 암모니아등의 유해가스를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55)에는 제올라이트 등의 제습제를 추가하여 활성탄필터부, 촉매필터부가 습도에 의해 활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습기 조절하며 암모니아 가스 및VOC(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52)는 상기 보호부재(40)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51)와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관(51b)과 결합되는 제2연결관(52b)과, 상기 제2연결관(52b)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호흡관(5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케이스(52)는 상기 보호부재(40)의 내부에서,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51)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5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일면에 상기 제1연결관(51b)과 결합되는 제2연결관(5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관(52a)은 상기 제2케이스(52)의 외측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연결관(52b)과 연동된다.
이러한 상기 호흡관(52a)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어 호흡할 수 있도록 실리콘, ABS, PC, PU, PE, PVC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흡관(52a)은 상기 보호부재(40)의 내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호흡관(52a)을 물어 호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연결관(52b)은 상기 호흡관(52a)보다 좁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호흡관(52a)은 상기 제2케이스(52)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3유동홈(52c)과 상기 제2연결관(52b)으로 날숨을 배출할 수 있는 제4유동홈(52d)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3유동홈(52c)은 상기 제1유동홈(51c)과, 제4유동홈(52d)은 제2유동홈(51d)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호흡통(50)은 들숨과 날숨 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재(53)는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2)를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53)는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2) 사이에 상기 방염포(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부재(53)는 홈 및 돌기를 통한 끼움결합 또는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한 체결결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과 같이 다양한 결합 구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54)는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호흡관(52a)에 각각 체결되며,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코막이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54)는 상기 보호부재(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호흡관(52a)을 막아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호흡관(52a)에서 이탈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개(54)는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호흡관(52a)에서 이탈되면 사용자의 코에 착용하여 코로 호흡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54) 상기 호흡통(50)을 막아 습기 및 공기가 유입되어 보관시 상기 필터부재(55)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긴급상황시 사용자의 코를 막아 유해가스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2)는 상기 보호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기 결합부재(53)를 통해 결합된다.
이를 따라 상기 호흡통(50)을 통해 화재 시 발생하는 CO, CO2 등의 유해가스을 여과한 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호흡관(52a)을 물은 상태에서 들숨 및 날숨 호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들숨 호흡 시, 상기 유입구(5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유동홈(51c)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필터부재(55)를 거쳐, 상기 제3유동홈(52c)을 통과한 후, 상기 호흡관(52a)을 이용하여 호흡이 이루어진다.
즉, 들숨 호흡시 상기 필터부재(55)를 통해 공기 중에 혼합된 유해가스을 여과한 후 호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날숨 호흡 시, 상기 호흡관(52a)을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4유동홈(52d)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51b, 52b)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2유동홈(51d)을 통해 상기 유입구(51a)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호흡통(50)은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맞춰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긴급 상황 시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51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필터부재(55)를 통해 유해가스을 여과한 후, 상기 호흡관(52a)을 통해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뱉은 공기는 상기 호흡관(52a)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51b, 52b)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51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52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혼합된 유해가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55)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연결관(51b) 외측에 위치한 제2유동홈(51d)에 밸브가 장착되어 외부의 유해가스가 들숨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날숨시 배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염포(10)를 포장하여 보관하는 포장부재(60)와, 상기 포장부재(60)의 외부면 및 사용자의 눈 주위에 접착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접착제가 도포된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의 내부에 형성되어 매연 및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렌즈(72)가 결합된 눈보호대(7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71)을 상기 포장부재(60)에 부착하는 접착제 및 박리제 코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포장부재(60)는 상기 방염포(10)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PE, PV, PP, PET, PVC 등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봉투 또는 용기 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포장부재(60) 내부에는 상기 방염포(10)를 접어 내부에 보관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부재(60)는 상기 방염포(10)를 보관하며 용이하게 운반 및 비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염포(10)는 상기 혼합용액(12)과 함께 외부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고 습윤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포장용기에 보관한 상태에서 포장부재(60)를 통해 포장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눈보호대(70)는 상기 프레임(71)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포장부재(60)의 외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눈보호대(70)는 상기 프레임(71)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포장부재(60)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장기 보관시 눈보호대(70)의 렌즈(72)를 보호하기 위해 눈보호대(70)는 포장부재(60) 또는 포장용기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염포(10)의 착용시 상기 눈보호대(70)는 상기 포장부재(60)에 떼어내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하여 상기 렌즈(72)를 통해 눈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72)는 매연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며, 눈을 보호할 수 있는 PET, PC, 실리콘, 유리 및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눈보호대(20)에 형성되어 사용시 빛을 점멸하는 조명부(73)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조명부(73)는 상기 눈보호대(70)를 상기 포장부재에서 떼어내어 착용시 빛을 발산하여 외부에서 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명등(74)과 절연필름(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등(74)은 상기 눈보호대(2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등(74)은 빛을 발산하는 LED 등으로 이루어져 이동 시 시야를 확보하여, 외부에서 쉽게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74)은 상기 눈보호대(72)의 상기 케이스(71) 중앙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필름(75)은 상기 조명등(74)의 내부에 일측 삽입되어 전력을 차단하며, 타측이 상기 포장부재(60)에 고정되어 상기 눈보호대(70)를 상기 포장부재(60)에서 떼어내면, 상기 조명등(74)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눈보호대(73)를 상기 포장부재(60)에서 떼어내면, 상기 절연필름은 상기 조명등(74)에서 이탈되어 상기 조명등(74)의 전력이 공급되어 점멸된다.
이를 통해 상기 눈보호대(73)를 착용하기 위해 상기 포장부재(60)에서 떼어내면 상기 절연필름(75)이 상기 조명부(73)에서 이탈되어 상기 조명부(73)는 빛을 발산하여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구조자가 쉽게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후드부(20), 상기 손잡이부(30), 상기 보호부재(40) 및 상기 호흡통(50)이 상기 방염포(10)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부재(60)에 보관된다.
이러한 상기 포장부재(60)는 지하공간, 건물의 재난사고 발생시 대피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장소에 비치된 상태에서 재난사고 발생시 대피자들은 상기 포장부재(60) 내부에 보관된 상기 방염포(10)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대피가 가능하다.
즉, 상기 방염포(10)는 상기 습식부(11)를 통해 화재로부터 발생된 화기를 차단하고 화재에 직접적인 접촉시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염포(10)는 상기 후드부(20)를 사용자 머리에 착용한 후, 양손은 상기 손잡이부(30)를 파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40)는 사용자의 목과 입에 배치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호흡통(50)에 결합된 상기 마개(54)를 탈거한 후, 상기 호흡관(52a)을 물어 호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개(54)는 사용자의 코를 막아 코 호흡을 차단하여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후드부(20)를 통해 몸과 얼굴을 보호하여 화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상기 호흡통(50)을 통해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발생한 유해가스로부터 용이하게 호흡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방염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속하게 대피하여, 화재 및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부재(60)에 접착된 상기 눈보호대(70)를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매연 및 유해가스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73)는 상기 눈보호대(70)의 착용시 상기 절연필름(75)이 상기 조명부(73)에서 이탈되어 조명을 발산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73)가 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통로 및 공간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73) 및 상기 반사시트(80)를 통해 빛을 발산하여, 구조대원이 상기 방염포(10) 및 상기 눈보호대(70)를 착용한 사용자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방염포 11: 습식부 12: 혼합용액
20: 후드부
30: 손잡이부
40: 보호부재
50: 호흡통 51: 제1케이스 51a: 유입구
51b: 제1연결관 51c: 제1유동홈
51d: 제2유동홈 52: 제2케이스
52a: 호흡관 52b: 제2연결관
52c: 제3유동홈 52d: 제4유동홈
53: 결합부재 54: 마개
55: 필터부재
60: 포장부재
70: 눈보호대 71: 프레임 72: 렌즈
73: 조명부 74:조명등
75: 절연필름
80: 반사시트

Claims (6)

  1. 사용자의 몸을 감싸 보호하며, 표면에 혼합용액(12)이 습윤처리된 습식부(11)가 형성된 방염포(10)와,
    상기 방염포(10)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어 머리를 끼워 착용하여 보호하는 후드부(20)와,
    상기 방염포(1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손을 넣어 파지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후드부(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염포(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목과 입을 보호하는 보호부재(40)와,
    상기 보호부재(40)의 중앙에 형성되며,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한 호흡통(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호흡통(50)은,
    상기 보호부재(40)의 외측에 삽입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1a)와, 상기 유입구(51a)와 연동되어 내부로 돌출된 제1연결관(51b)과 내부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재(55)가 형성된 제1케이스(51)와,
    상기 보호부재(40)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51)와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관(51b)과 결합되는 제2연결관(52b)과, 상기 제2연결관(52b)과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호흡관(52a)이 형성된 제2케이스(52)와,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53)와,
    상기 유입구(51a)와 상기 호흡관(52a)에 각각 체결되며,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코막이로 사용할 수 있는 마개(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포(10)는,
    비스코스, 아크릴섬유, 카본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합성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12)은,
    냉각, 진정, 수분 유지성분이 함유된 피부친화적인 추출물과 멸균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1 : 10 내지30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포(10)를 포장하여 보관하는 포장부재(60)와,
    상기 포장부재(60)의 외부면 및 사용자의 눈 주위에 접착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접착제가 도포된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의 내부에 형성되어 매연 및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렌즈(72)가 결합된 눈보호대(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눈보호대(70)에 형성되어 사용시 빛을 점멸하는 조명부(73)가 더 포함되되,
    상기 조명부(73)는,
    상기 눈보호대(70)의 외부에 형성된 조명등(74)과,
    상기 조명등(74)의 내부에 일측 삽입되어 전력을 차단하며, 타측이 상기 포장부재(60)에 고정되어 상기 눈보호대(70)를 상기 포장부재(60)에서 떼어내면, 상기 조명등(74)에서 이탈되는 절연필름(7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세트.

  6. 삭제
KR1020230057251A 2023-05-02 2023-05-02 화재대피용 세트 KR10257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251A KR102575919B1 (ko) 2023-05-02 2023-05-02 화재대피용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251A KR102575919B1 (ko) 2023-05-02 2023-05-02 화재대피용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919B1 true KR102575919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251A KR102575919B1 (ko) 2023-05-02 2023-05-02 화재대피용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723A (ko) * 2016-11-08 2018-05-1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차열 소방복
KR102045947B1 (ko) 2018-08-24 2019-11-18 이주현 재난 안전 망토
KR20200126795A (ko) * 2019-04-30 2020-11-09 강형우 탈부착 후드형 마스크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KR102516047B1 (ko) * 2022-08-26 2023-03-30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건,습식 복합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723A (ko) * 2016-11-08 2018-05-1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차열 소방복
KR102045947B1 (ko) 2018-08-24 2019-11-18 이주현 재난 안전 망토
KR20200126795A (ko) * 2019-04-30 2020-11-09 강형우 탈부착 후드형 마스크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KR102516047B1 (ko) * 2022-08-26 2023-03-30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건,습식 복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414B1 (ko)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US6681765B2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respirator mask
US4614186A (en) Air survival unit
CA2775755C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US20030075174A1 (en) Respiratory hoods
JPS63192463A (ja) 緊急用保護フード
KR102088938B1 (ko) 긴급 재난용 필터 마스크
CN102671318B (zh) 一种常温相变材料制冷的化学制氧呼吸器
KR20180057056A (ko) 비상약을 구비한 마스크
KR102298590B1 (ko)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
CN102987604A (zh) 溶合润湿型火灾疏散防毒防烟口罩
US20060289004A1 (en) Air purifying escape hood
CN204502181U (zh) 一种矿井火灾逃生呼吸过滤装置
KR102575919B1 (ko) 화재대피용 세트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RU24630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BR102015030779B1 (pt) Máscara umedecida para proteção facial
RU196244U1 (ru) Защитная накидка лесного пожарного
KR102122494B1 (ko) 골든타임 확보용 마스크
RU2153386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сорбционно-фильтрующий защитный материал и защитный капюшон на его основе
US642057A (en) Fireman's respirator.
CN206295514U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RU2252049C2 (ru) Защитный шлем
KR102040762B1 (ko) 방독면 수용의 구급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