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44B1 - Bow toys - Google Patents

Bow toy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44B1
KR102575744B1 KR1020200181577A KR20200181577A KR102575744B1 KR 102575744 B1 KR102575744 B1 KR 102575744B1 KR 1020200181577 A KR1020200181577 A KR 1020200181577A KR 20200181577 A KR20200181577 A KR 20200181577A KR 102575744 B1 KR102575744 B1 KR 102575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rim
bow
tension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0747A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20018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44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49Bow tensioning devices; Bow presses; Rigs for bow assembly 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84Bows with special adaptations or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하여 활시위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활 완구에 관한 것으로, 활대의 림의 끝부분에 스트링이 매듭지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트링걸이와 여러 개의 걸이홈으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절영역을 구비하여 스트링이 활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스트링을 장력조절영역의 걸이홈에 걸어서 간단하게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화살의 비거리와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타격능력을 제공함은 물론,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림을 활대의 그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림을 정방향으로 조립하거나 역방향으로 조립함에 따라서 스트링의 장력을 달리하면서 활의 형상을 가변하여 다양한 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 toy in which the tension of a bowstring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string, and a tension control area composed of a string hanger and several hanger grooves so that the string can be knot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rim of the bowstring Provides an accurate hitting ability by adjusting the flight distance and speed of the arrow by simply adjusting the tension by hooking the string into the hook groove of the tension control area while the string is mounted on the rod, as well as providing a curved rim B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grip of the bow stand with one touch, as the rim is assembl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tension of the string is changed and the shape of the bow is varied so that various bows can be experienced.

Description

활 완구{Bow toys}Bow toys

본 발명은 화살을 장전하고 발사하는 놀이에 사용되는 활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하여 활시위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활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 toy used for a game of loading and firing arrow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w toy in which the tension of a bow string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string.

활은 사냥이나 싸움의 무기로 사용하는 도구이지만, 활을 이용한 활쏘기는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민속놀이의 하나이기도 하다.A bow is a tool used for hunting or fighting, but archery using a bow is also one of the traditional folk games.

활 완구는 아이들이 활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화살촉 부분을 뭉툭하게 처리하거나 연질의 흡착판을 결합하는 등 화살촉을 안전하게 처리하여 완구로 사용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즐겁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Bow toys are designed for children to play archery. To help infants and children play safely, arrowheads are treated safely, such as blunt arrowheads or soft suction plat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en used as toys. It is designed to be fun while preventing it.

이러한 활 완구의 구조는 스트링을 활대의 양끝에 연결하여 화살을 스트링에 장전한 후 활시위를 당겨서 발사하는 구조로서, 완구로 사용되는 활은 스포츠용이나 사냥용 활과는 달리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활대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화살이 발사되는 것이 아니라 고무줄 등의 탄성력이 있는 스트링을 장착하여 스트링의 장전포인트(nock point)를 후방으로 당겨서 놓으면 스트링의 탄성에너지를 화살의 운동에너지로 바뀌어 화살이 발사된다.The structure of such a bow toy is a structure in which a str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a bow rod, an arrow is loaded into the string, and then the bow string is pulled to fire. Unlike bows for sports or hunting, most of the bows used as toys are made of plastic. The arrow is not fired by the elasticity of the rod itself, but by attaching a string with elastic force such as a rubber band and pulling the nock point of the string backward, the elastic energy of the string is converted into the kinetic energy of the arrow and the arrow is fired. .

그런데 활 완구는 탄성력이 있는 스트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력의 편차 및 변화가 매우 크고, 이에 따라 사용자인 유아나 어린이의 체형이나 힘에 맞추어 조절해 주어야만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because bow toys use elastic strings, the deviation and change of tension are very large, and accordingly, accurate hitting can be achieved only when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r strength of the user, infants or children.

즉, 스트링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탄성이 떨어지면 화살로 추진력을 부여하는 힘이 약해지고, 스트링의 떨림이 활대로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하므로 타격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스트링의 길이가 너무 짧거나 탄성이 높으면 유아나 어린이가 활시위를 당기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length of the string is too long or the elasticity is low, the force that imparts the propulsive force to the arrow is weakened, and the vibration of the string is transmitted to the rod and vibration occurs,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he strike is reduced. Conversely, if the length of the string is too short or If the elasticity is high,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because it is difficult for infants or children to pull the string.

그러나 종래의 활 완구는 사용연령에 따른 스트링 조절이 불가능하고, 임시 방편으로 스트링의 묶음 상태를 풀고 다시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아이들은 매듭을 쉽게 할 수 없을 뿐더러, 어른들도 탄성을 갖는 고무줄을 당겨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매듭지어 조절하기가 사실상 힘이 들고 사용이 매우 번거로우며, 미세한 조절을 하기 어려워 발사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운 것이다.However, in conventional bow toys,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string according to the age of use, and as a temporary measure, a method of untying and re-tying the string is used, but children cannot easily tie the knot, and adults can also use elastic rubber bands. It is actually difficult to adjust by pulling and knotting it exactly at the desired position, and it is very cumbersome to us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firing ability appropriate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ke fine adjustments.

따라서 최근에는 활대의 스트링을 당겨서 매듭을 짧게 하여 장력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활 구조 자체가 복잡해지고, 이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으므로 제조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recently,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tring of the bow is pulled and the knot is shortened so that the tension is pulled tigh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도 활 완구를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다보면 스트링이 늘어나면서 탄성복원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스트링을 교체하지 않는 이상 화살 발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case, when the bow toy is repeatedly used for a long time, the string is stretche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rapidly reduced. In this case, the arrow cannot be properly fired unless the string is replaced.

특히, 활을 이용하여 아이들이 놀이를 할 때는 일정한 거리에서 과녁을 향해 활을 쏘아 맞춘 결과로 승패를 겨루는 활쏘기의 특성상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발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활 완구는 이러한 것을 뒷받침할 수 없으므로 활쏘기 놀이의 재미와 흥미가 반감된다.In particular, when children play with a bow, it is very important to shoot accurately at the target point due to the nature of archery, which competes for victory or defeat as a result of shooting an arrow at a target from a certain distance. Conventional bow toys can support this. Because of this, the fun and interest of archery are halved.

한편, 이러한 활 완구는 화살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화살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한데, 화살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게 되면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연속 격발이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의 재미와 흥미를 반감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such a bow toy does not have a means for storing arrows, a separate means for storing arrows is required. If a separate means for storing arrows is provided,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carry, but also difficult to shoot continuously. Another factor that halves children's fun and intere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활시위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살의 비거리와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타격능력을 제공하고, 그 구조를 간소화하며,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bowstring to adjust the flight distance and speed of the arrow to provide accurate hitting ability, simplify the structure, and provide convenience of use. it was made to

또한, 활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트링의 장력이 보강되면서도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빠르게 연속 동작으로 격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od, the tension of the string can be finely adjusted while the tension of the string is reinforced, and it can be triggered quickly and continuous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그립의 양측에 림이 형성되는 활대가 구비되고, 활대의 상하부 림의 끝부분에 스트링의 양끝이 매달려 화살을 스트링에 걸어 발사할 수 있게 되는 활 완구에 있어서, 상기 활대는 림의 끝부분에 스트링이 매듭지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트링걸이를 구비하고, 그 스트링걸이에 인접하게 스트링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영역을 형성하며, 장력조절영역은 여러 개의 걸이홈을 림의 표면에 반복 형성하여 스트링을 걸이홈에 걸어서 스트링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ow rod in which rim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ip, and both ends of the string are hung a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ims of the bow rod to hang the arrow on the string and shoot it. In the toy, the rod is provided with a string hanger so that the string can be knotted and fixed at the end of the rim, and forms a tension control area for adjusting the string tension adjacent to the string hanger, and the tension control area has several The dog hook groove is repeat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im so that the tension of the string can be easily adjusted by hanging the string on the hook groove.

또한, 상기 림을 그립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만곡된 형상의 림을 조립하는 방향에 따라서 장력이 다르게 작용하도록 함은 물론, 다른 종류나 형태의 활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력을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를 더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im is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grip so that the tension act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ved rim is assembled, as well as being variable to a different type or form of bow, so that the tension can be more finely controlled Of course, it is to make the play more diversified.

또한, 활대에는 화살을 여러 개 보관할 수 있는 화살꽂이를 장착함으로써 화살의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장력조절이 이루어진 후 활쏘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by mounting an arrow holder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arrows on the bow, it is possible to store and carry arrows, as well as to continuously perform archery after adjusting the tension.

본 발명의 활 완구에 의하면, 스트링이 활대에 걸리는 위치를 설정하여 간편하게 걸어서 스트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아이들도 쉽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w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nsion of the string can be adjusted by simply walking by setting the position where the string is caught on the bow, the tension can be adjusted very easily, and children can also easily adjust the tension.

또한, 여러 단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미세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화살의 발사속도 및 정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연령이나 체격 등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can be adjusted in several steps, the tension can be finely adjusted, so that the firing speed and accuracy of the arrow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or physique.

또한,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활대를 성형하는 구조가 간소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활대를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활대 자체의 조립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스트링의 부족한 장력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스트링의 교체 주기를 더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tension is very simple, so the structure for forming the bow bar is simpl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the user can change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ow itself to reinforce the insufficient tension of the string, so more precise It can be adjusted properly,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string can be further extended.

또한, 활대가 가변되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활로도 일반 활 또는 리커브 활을 모두 체험할 수 있으며, 활의 구조의 차이에 따른 장단점을 사용자가 체험을 통해 쉽게습득할 수 있어서 교육효과가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bow is variabl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both a normal bow and a recurve bow with one bow, and the user can easily lear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ifference in structure of the bow through experience, improving the educational effect. there is.

또한, 빠르게 연속하여 화살을 발사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의 흥미와 재미가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rrows can be fired in rapid succession, there is an effect of doubling the interest and fun of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활 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림의 장력조절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링 장력조절구조도
도 4는 도 3의 장력조절을 한 상태의 화살 격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과 림의 탈착구조도
도 6은 도 5의 림 분리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림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립에 다양하게 림이 탈착되는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활 완구가 다른 형태로 가변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화살꽂이의 장착구조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화살꽂이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화살꽂이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설정 구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ow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ension control structure of the rim of Figure 1
Figure 3 is a string tension control structur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arrow shooting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is adjusted in Figure 3
Figure 5 is a detachable structure diagram of the grip and the ri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im separation structure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im assembly structure of Figure 5
8 is a structure diagram in which various rims are detached from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bow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into another form
10 is a mounting structure diagram of the arrow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use state diagrams of the arrowhead of FIG. 10
Figure 14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gle se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rrow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대(100)에 스트링(200)이 장착되어 화살(A)을 걸고 스트링의 장전포인트(nock point)를 잡고 활시위를 당겨서 화살을 발사하는 활 완구로서, 활대(100)는 그립(120)의 상단과 하단에 림(140)이 형성되고, 림(140)의 끝부분에는 스트링(200)의 양끝이 매달려 화살(A)을 스트링에 걸어 발사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활대(100)에는 스트링걸이(160)가 구비되고, 스트링걸이(160)의 안쪽, 즉 스트링걸이(160)로부터 그립(120) 방향쪽으로는 림에 스트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영역(180)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w toy in which a string 200 is mounted on a bow 100, hangs an arrow A, holds a nock point of the string, and pulls the bow string to fire an arrow. As a rod 100, the rim 140 is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grip 120, and both ends of the string 200 are hung at the end of the rim 140 to hang the arrow A on the string to fire. The bow 100 is provided with a string hanger 160, and the inside of the string hanger 160, that is, from the string hanger 160 toward the grip 12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tring on the rim A tension adjusting area 180 is formed for

활대(100)는 그립(120)에 만곡된 형상의 림(140)이 형성되어 스트링(200)을 당겨서 화살을 발사할 때 탄성을 부여하고, 림(140)은 그립(1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이 형성되어 스트링(200)의 양 끝을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rod 100 has a curved rim 140 formed on the grip 120 to give elasticity when shooting an arrow by pulling the string 200, and the rim 140 ha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ip 120 An upper rim (140a) and a lower rim (140b) are formed in each to be configured to fix both ends of the string (200).

그리고 림(140)의 끝부분, 즉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의 끝부분에는 스트링(200)을 매듭지어 고정할 수 있도록 스트링걸이(160)가 구비되고, 스트링걸이(160)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스트링의 끝부분을 매듭지어서 걸거나 또는 관통하게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스트링(200)의 끝부분을 관통홀(162)에 삽입한 후 매듭지어 고정할 수 있다.And the ends of the rim 140, that is, the ends of the upper rim 140a and the lower rim 140b, are provided with string hangers 160 so that the string 200 can be knotted and fixed, and the string hangers 160 Is made of a ring shape and hangs by knotting the end of the string or through-hole 162 is formed to pass through, so that the end of the string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62 and then knotted and fixed.

또한, 스트링걸이(160)의 안쪽, 즉 스트링걸이(160)가 형성된 부분에서 그립(120)을 향하는 부분에는 스트링(2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영역(18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tension adjusting area 18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tring 20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tring hanger 160, that is, a portion facing the grip 120 from the portion where the string hanger 160 is formed.

그리고 장력조절영역(180)에는 림의 표면에 여러 개의 걸이홈(182)이 형성되어 스트링(200)을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스트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스트링(200)을 걸어서 장력을 조절할 때 여러 개의 걸이홈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스트링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tension control area 180, several hook grooves 18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im so that the tension of the string can be adjusted by hanging and fixing the string 200, and is repeated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tring 200 When adjusting the tension by hanging, the tension of the string is adjusted by fixing it by hanging it at a desired position among several hanging grooves.

상기 림(140)은 스트링의 장력이 편심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으로 양분된 단부에 각각 장력조절영역(180)이 대칭되게 형성하여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에서 스트링(200)이 걸리는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스트링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스트링 전체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rim 140, the tension adjusting area 180 is formed symmetrically at the end divided into the upper rim 140a and the lower rim 140b so that the tension of the string is not eccentric and balanced, so that the upper rim 140a and It is possible to keep the string from tilting by making the same position where the string 200 is caught on the lower rim 140b, and to keep the tension of the entire string constant.

이때, 장력조절영역(180)에 형성되는 걸이홈(182)은 활대의 측변으로부터 내입된 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림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46)에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플랜지(148)를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고, 그 플랜지(148)의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걸이홈(182)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링(200)을 장력조절영역(180)의 걸이홈(182)에 걸어서 고정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성에 관계없이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groove 182 formed in the tension adjusting area 180 is made of a groove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rod, and the flange of the shape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frame 146 formed on the rim 148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48, and the hook groove 182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48, thereby fixing the string 200 by hanging it on the hook groove 182 of the tension adjusting area 180 It can be fixed by walking to the left or righ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또한, 이렇게 플랜지(148)의 양측에 반복되는 구조로 걸이홈(182)을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스트링(200)이 스트링걸이(160)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스트링(200)을 림에 감아서 걸이홈(182)에 고정하거나,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62)에 걸려있는 상태의 스트링을 당겨서 매듭만을 걸이홈(182)에 걸어 미세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hook grooves 182 in a structure repeat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48 in this way, the string 200 is caught on the string hook 160 and fixed by winding the string 200 around the rim to hang The tension can be finely adjusted by fixing to the groove 182 or by pulling a string hanging in the through hole 162 and hanging only the knot on the hook groove 182 as shown in FIGS. 3 and 4 .

이때, 관통홀(162)은 림(140)의 끝부분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스트링(200)이 이러한 중앙의 관통홀(162)을 경유한 상태에서 걸이홈(182)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트링(200)이 활대(1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서 활쏘기를 할 때 스트링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살을 장전한 후 발사할 때 센터를 유지한 상태로 정확하게 발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16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rim 140 vertically, and the string 200 is fixed to the hook groove 182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162 Since the string 200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rod 100, the string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to one side or eccentric during archery, and the center is maintained when firing after loading the arrow can be fired accurately.

또한, 상기와 같이 걸이홈(182)을 림(140)에 형성된 플랜지(148)의 양측으로 홈을 형성함으로써 좌우로 형개되도록 금형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ooking groove 182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48 formed on the rim 140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mold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mold opens left and right,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simply.

이때, 상기 걸이홈(182)의 폭은 스트링(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스트링(200)을 걸이홈(182)에 걸어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트링(200)을 당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직경이 작아져서 걸이홈(182)에 쉽게 삽입되고, 스트링(200)이 걸이홈(18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트링(200)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트링을 걸이홈(182)에 건 상태에서 활쏘기를 반복 수행하더라도 스트링(200)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hook groove 182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200, so that when the string 200 is to be hooked and fixed to the hook groove 182, the string 200 is pulled. Since the diameter is reduced, it is easily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182, and in a state where the string 200 is fixed to the hook groove 182, the string 200 is restored by elasticity, so the string is attached to the hook groove 182 Even if archery is repeatedly performed in the gun state, the string 200 does not easily come off.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140)은 그립(120)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이 그립(1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120)에는 소켓(122)이 형성되고, 림(140)에는 체결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 to 7, the rim 140 can be made detachable from the grip 120, and the upper rim 140a and the lower rim 140b are the grip 120 A socket 122 may be formed in the grip 120 and a fastener 142 may be formed in the rim 140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ip 12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소켓(122)과 체결구(142)가 맞물려 조립될 때 그립(120)에 대한 림(140)을 반대방향으로 뒤집어 끼우거나 다른 형태의 림(140)을 끼울 수 있으므로, 일반 활 또는 리커브 활로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ocket 122 and the fastener 142 are engaged and assembled, the rim 140 for the grip 120 can be rever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a different type of rim 140 can be inserted, so a general bow or It can be used by changing its shape with a recurve bow.

즉, 림(140)을 그립(120)에 정방향으로 끼우면 림의 만곡된 형상이 후방으로 휘어지는 형태가 되므로 (정정할 곳 두 곳) 일반 활의 형태로 활대가 구성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40)을 뒤집어서 그립(120)에 역방향으로 끼우거나 다른 형태의 림(140)을 교체하여 끼우면 림의 만곡된 형상이 전방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리커브 활로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im 140 is inserted into the grip 120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curved shape of the rim is bent backward (two places to be corrected), so the bow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bow, and in FIGS. 8 and 9 As shown, if the rim 140 is reversed and inserted into the grip 120 in the reverse direction or a different type of rim 140 is replaced and inserted, the curved shape of the rim is formed in a forward bending form, so the shape is transformed into a recurve bow can be used

이상과 같이 일반 활 또는 리커브 활 등 림의 장착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활로 변경 사용함으로써 활의 놀이 옵션이 늘어나고, 스트링(200)의 장력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장력을 보강하고, 더욱 미세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and using various types of bows according to the mounting form of the rim, such as a general bow or a recurve bow, the options for playing the bow increase, and when the tension of the string 200 is insufficient, the insufficient tension is reinforced, and the tension is finer.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소켓(122)과 체결구(142)에는 각각 강제 끼움과 버튼식 분리가 가능하도록 걸림홀(124)과 후크(144)가 형성되어 맞물림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cket 122 and the fastening hole 142 may be engaged and fixed by forming a holding hole 124 and a hook 144 to enable forced insertion and button-type separation, respectively.

즉, 후크(144)는 그립(120)에 림(140)을 끼울 때 조립방향을 뒤집어 끼울 수 있도록 대칭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경사면을 따라서 탄성 작용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되, 림의 조립 방향이 특정되지 않도록 대칭된 형상으로 두 개의 후크(144)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홀(124)은 소켓(122)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림이 조립된 상태에서 후크(144)가 걸림홀(124)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림을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원터치로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활의 형태를 매우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hook 144 is made symmetrical so that the assembly direction can be reversed when the rim 140 is inserted into the grip 120, and the assembly is performed while elastically act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but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rim is not specified Two hooks 144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so that the hook 144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socket 122, and the hook 144 passes through the locking hole 124 in a state in which the rim is assembled. Since the user can fasten and separate the rim with one touch when assembling or separating the rim by exposing it, the shape of the bow can be changed very easily.

한편, 상기 활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320)이 형성된 화살꽂이(300)를 장착하여 여러 개의 화살을 보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rod 100 may store several arrows by mounting an arrow holder 30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20 therein.

즉, 활대(100)의 그립 또는 림에 거치홀(190)을 형성하고, 화살꽂이(300)에는 그 거치홀(190)에 삽입되게 돌출 형성된 끼움구(390)를 형성함으로써 끼움구(390)를 거치홀(190)에 끼워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화살꽂이(300)를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mounting hole 190 in the grip or rim of the rod 100, and forming a fitting 390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90 in the arrow holder 300, the fitting 390 The arrow holder 300 can be easily detached by inserting it into the mounting hole 190.

그리고 이 거치홀(190)은 활대(100)의 그립(120)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하고, 좌우로 관통되도록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활대(100)의 방향이 바뀌거나 상기와 같이 림의 조립방향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화살꽂이(300)의 조립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가 모두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hole 190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rip 120 of the rod 100 and formed symmetrically so as to penetrate left and righ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od 100 is changed or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rim is changed, sinc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arrow holder 300 can be freely set, both right-handers and left-handers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it and use it.

또한, 상기 화살꽂이(300)를 거치홀(190)에 끼워 조립할 때 화살꽂이(300)의 조립 각도를 다각도로 설정하고, 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살을 쉽게 거치하고 쉽게 뽑을 수 있는 각도로 화살꽂이(30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거치홀(190)의 내주연에는 화살꽂이의 장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설정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row holder 300 is assembled by inserting it into the mounting hole 190, the assembly angle of the arrow holder 300 is set at various angles, and the arrow is easily mounted and easily pulled out by preventing it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the angle is set. The arrow holder 300 can be mounted at an acceptable angle, and for this purpose, an angle setting unit 192 for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arrow hold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190.

각도설정부(192)는 거치홀(190)의 내주연을 따라서 요철의 형태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화살꽂이(300)의 끼움구(390)가 그 요철에 대응하게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끼움 조립은 가능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화살꽂이(30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gle setting unit 192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n the form of concavo-convex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190, and the fitting 390 of the arrow holder 300 is fitted corresponding to the concavo-convex and slides left and right While assembly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row holder 300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in the assembled state.

이때, 상기 끼움구(390)에는 상기 각도설정부(192)의 형상에 대응하여 화살꽂이(30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도설정부(192)와 맞물리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92)를 형성하거나 다각형으로 형성하거나 맞물리는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tting 390 is engaged with the angle setting unit 192 to prevent the arrow holder 300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angle setting unit 192, as shown in FIG. The portion 392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or an interlocking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formed.

따라서 활대(100)에 여러 개의 화살을 꽂아 보관한 상태에서 화살을 쉽게 뽑아서 사용함으로써 활쏘기를 빠르게 연속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화살꽂이(300)가 활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층 멋스럽고 편리하며, 이동할 때 화살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refore, by easily pulling out and using arrows while storing several arrows in the bow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rchery in a quick and continuous motion, and since the arrow holder 30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w, it is more stylish and convenient And you can easily carry arrows when moving.

그리고 상기 거치홀(190)을 림(14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면, 림(140)을 그립(120)에 조립할 때 끼우는 위치에 대한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고, 림(140)을 그립(120)으로부터 분리할 때 더 쉽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And, if the mounting hole 19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rim 140, the rim 140 can be used as a guide for the insertion position when assembling the grip 120, and the rim 140 can be used as a grip 120 ), it can be more easily gripped when separated from it, so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more easily.

100: 활대
120: 그립 122: 소켓 124: 걸림홈
140: 림 140a: 상부림 140b: 하부림
142: 체결구 144: 후크 146: 지지프레임
148: 플랜지
160: 스트링걸이 162: 관통홀
180: 장력조절영역 182: 걸이홈
190: 거치홀 192: 각도설정부
200: 스트링
300: 화살꽂이
320: 홀
390: 끼움구 392: 걸림부
100: bow
120: grip 122: socket 124: locking groove
140: rim 140a: upper rim 140b: lower rim
142: fastener 144: hook 146: support frame
148: flange
160: string hanger 162: through hole
180: tension control area 182: hook home
190: mounting hole 192: angle setting unit
200: string
300: arrow holder
320: Hall
390: fitting 392: hanging part

Claims (5)

그립(120)의 양측에 림(140)이 결합된 활대(100)가 구비되고, 활대(100)의 상하부 림(140)의 끝부분에 스트링(200)의 양끝이 결합되어 화살(A)을 스트링에 걸어 발사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활대(100)는 림(140)의 끝부분에 스트링(200)이 매듭지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트링걸이(160)가 구비되되, 스트링걸이(160)로부터 그립(120) 방향으로는 스트링(200)이 스트링걸이(1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트링(200)을 당겨 걸어서 스트링(2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영역(180)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영역(180)에는 여러 개의 걸이홈(182)이 림(140)의 표면에 반복 형성되어 스트링(200)을 여러 개의 걸이홈(182)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걸어서 고정하여 스트링(20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활 완구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걸이(160)는 스트링(200)이 관통한 상태에서 끝부분을 매듭지어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162)로 형성되고,
상기 림(140)은 스트링(200)의 장력이 편심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으로 양분된 단부에 각각 장력조절영역(180)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력조절영역(180)에는 활대의 측변으로부터 내입된 홈으로 이루어지되, 홈은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에 관계없이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걸이홈(1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완구.
The rod 100 to which the rim 140 is couple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ip 120, and both ends of the string 200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ims 140 of the rod 100 to shoot an arrow A It can be hung on a string and fired,
The rod 100 is provided with a string hanger 160 so that the string 200 can be knotted and fixed at the end of the rim 140, and the string 200 in the direction from the string hanger 160 to the grip 120 ) A tension adjustment area 180 is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tring 200 by pulling and walking the string 200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the string hanger 160,
In the tension control area 180, a plurality of hook grooves 182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im 140, and the string 200 is hooked and fixed to a desired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hook grooves 182. In the bow toy to adjust the tension,
The string hanger 16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62 so that the string 200 can be fixed by knotting the end in a state where it passes through,
In the rim 140, the tension adjusting area 180 is formed symmetrically at the end divided into the upper rim 140a and the lower rim 140b so that the tension of the string 200 is balanced without being eccentric,
The tension adjusting area 180 is made of groove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limb, and the groov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hook groove 182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ixed by walking to the left or righ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A bow toy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100)는 상부림(140a)과 하부림(140b)이 그립(12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120)에는 소켓(122)이 형성되고, 림(140)에는 체결구(142)가 형성되어, 소켓(122)과 체결구(142)는 림(140)을 반대방향으로 뒤집어 끼우거나 다른 종류로 교체하여 조립할 수 있어서, 일반 활 또는 리커브 활로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rod 100 has a socket 122 formed on the grip 120 so that the upper rim 140a and the lower rim 140b can be detached from the grip 120, and the fastener 142 on the rim 140 ) is formed, the socket 122 and the fastener 142 can be assembled by flipping the rim 140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replacing it with a different type, so that it can be used by transforming the shape into a general bow or a recurve bow A bow toy,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22)과 체결구(142)에는 각각 강제로 끼우고 버튼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걸림홀(124)과 후크(144)가 형성되어 맞물림 고정되고,
상기 후크(144)는 경사면을 따라서 탄성 작용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되, 림(140)의 조립 방향이 특정되지 않도록 대칭된 형상으로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홀(124)은 소켓(122)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림(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후크(144)가 걸림홀(124)을 통하여 노출되어 원터치로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완구.
According to claim 2,
An engaging hole 124 and a hook 144 are formed in the socket 122 and the fastener 142 so that they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separated with a button, respectively, and are engaged and fixed.
The hook 144 is assembled while elastically act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two hooks 144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so that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rim 140 is not specified, and the hooking hole 124 penetrates the socket 122 A bow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144 is exposed through the locking hole 124 in a state where the rim 140 is assembled so that it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with one tou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100)에는 그립(120) 또는 림(140)에 화살꽂이(300)의 끼움구(39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거치홀(190)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홀(190)의 내주연에는 화살꽂이(300)의 장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요철부(19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완구.
According to claim 3,
The rod 100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190 so that the fitting 390 of the arrow holder 300 can be mounted on the grip 120 or the rim 14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190 A bow toy,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convex portion 192 is formed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arrow holder 300.
삭제delete
KR1020200181577A 2020-12-23 2020-12-23 Bow toys KR102575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77A KR102575744B1 (en) 2020-12-23 2020-12-23 Bow to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77A KR102575744B1 (en) 2020-12-23 2020-12-23 Bow to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47A KR20220090747A (en) 2022-06-30
KR102575744B1 true KR102575744B1 (en) 2023-09-06

Family

ID=8221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77A KR102575744B1 (en) 2020-12-23 2020-12-23 Bow toy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5981A1 (en) * 2012-12-14 2014-06-19 Chin-Hsiung Lien Lien's b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5981A1 (en) * 2012-12-14 2014-06-19 Chin-Hsiung Lien Lien's b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47A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773B2 (en) Toy projectile launcher
US20080096699A1 (en) Kango game
US9630076B2 (en) Projectile and throwing apparatus and game for projectile throwing
US10195518B2 (en) Launchable projectiles and launchers for the same
US1006509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n object toss game
US8505524B2 (en) Bow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rchery golf
US20120060807A1 (en) Toy Bow and Arrow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ation
US3731927A (en) Glove and ball tethered thereto
US5398928A (en) Football with tail appendage
US9476666B1 (en) Quick-loading bow and arrow toy
US4111422A (en) Lawn game device with swung launching stick
KR102575744B1 (en) Bow toys
US5588647A (en) Method of playing a football game
CA2821758C (en) Toy projectile launcher
WO2015176022A2 (en) Improved projectile launching device
US20160317937A1 (en) Aerial toy
US20220280865A1 (en) Toy with bistable spring attachment component and skill game using same
US20210069606A1 (en) Devices that are thrown or launched
KR200336779Y1 (en) 3 rubber band gun
JP3192981U (en) Rubber band gun
KR100451032B1 (en) The amphibious multi-functional buffer arrow-shooting device of making use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elastic force
NZ615750B2 (en) Toy projectile launcher
KR20180106685A (en) String keeping device for archery
KR20100001601U (en) Boomerang slingshot for playing
HU188416B (en) Ring thrower suitable both for sport and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