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571B1 -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571B1
KR102575571B1 KR1020200166913A KR20200166913A KR102575571B1 KR 102575571 B1 KR102575571 B1 KR 102575571B1 KR 1020200166913 A KR1020200166913 A KR 1020200166913A KR 20200166913 A KR20200166913 A KR 20200166913A KR 102575571 B1 KR102575571 B1 KR 10257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terminal
access
access point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713A (ko
Inventor
송지헌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16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5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상기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가 거부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패 알림에 응답하여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액세스가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CONTROLLING METHOD USING MULTI CHANNELS, AND HOME NETWORK SYSTEM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다중 채널로서 여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가 상호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통신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기기를 포함한 많은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IoT 장치로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TV, 냉장고, 밥솥 등의 가전 기기들이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환경(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는 추세다.
가정 내 IoT 장치들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서버에 접근함으로써 홈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가전 기기들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은 후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야 액세스 포인트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근이 거부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 다시 접속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지연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전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를 실패할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유지함으로써 액세스 재시도까지의 지연 시간을 감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가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상기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가 거부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패 알림에 응답하여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액세스가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서버와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모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로의 액세스 실패시 액세스 재시도까지의 지연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전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간의 연결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제1~", "제2~" 와 같은 서수적인 표현은 "제1~"이 "제2~"보다 앞선 것임을 한정하지 않으며, 유사한 구성을 달리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10)은 홈 네트워크(50), 서버(또는 클라우드)(300),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400)이 홈 네트워크(50) 외부에 도시되었으나, 사용자 단말(400)이 가정 외부에 있음을 전제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단말(400)은 가정 내부 또는 외부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홈 네트워크(50)는 가정 내에 구비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0), 적어도 하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또는 클라우드; 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즉, 네트워크)과 사용자를 중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유선 통신망을 무선 통신망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유선 통신망으로부터 이미 확장된 무선 통신망을 재차 확장시키는 라우터로 기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에 접속함으로써 서버(300)에 접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 장치(200),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가정 내에 구비된 다양한 가전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적어도 하나 장치(200)로서 액세스 포인트(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통신이 설명되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적어도 하나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적어도 하나 장치(200)와 액세스 포인트(100) 간의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s; Local Area Networks), 원거리 통신망(WANs; Wide Area Networks), 광역 통신망(M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종합 정보 통신망(ISD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ANs),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원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직비(ZigBee),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는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IoT(Internet of Things) 망,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제1 장치(201), 제2 장치(202) 내지 제N 장치(203)(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201) 내지 제N 장치(203) 각각은 상기 언급된 가전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201) 내지 제N 장치(203) 각각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장치(201) 내지 제N 장치(203)는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장치(201) 내지 제N 장치(203)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경로를 중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허브(hub),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등과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버(300)는 각종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을 액세스 포인트(100), 적어도 하나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 기기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음성 신호, 터치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400)은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Ram), SRAM(Static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장치(200)(예를 들어, 가전 기기)은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서버에 접근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400)(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장치(200)를 제어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적어도 하나 장치(200)가 동시에 하나의 네트워크만 유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통신 후 사용자 단말(400)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야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Access, 접근)할 수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통신 후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야 사용자 단말(400)과 다시 통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400)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 액세스 포인트(100)와 액세스를 시도하는 중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시 사용자 단말(400)과 접속하기 위해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장치(200)가 액세스 포인트(100)로 액세스를 실패하더라도 액세스 재시도까지의 지연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전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간의 연결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관하여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60)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이 함께 참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60)는 액세스 포인트(100) 및 복수의 장치들(도 1의 2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구축된다. 홈 네트워크(60)의 제어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조명, 안마기, 웨어러블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은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장치(200)는 냉장고, 오븐, 전자레인지, 전기레인지, 밥솥, 커피 머신, 로봇쿠커, 식기 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주방 가전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0)와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및/또는 냉장고(203)는 각각 개별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및/또는 냉장고(203)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직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3세대 내지 5세대 이동 통신망(3G~5G)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직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3세대 내지 5세대 이동 통신망(3G~5G)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100)와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400)과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기레인지(201), 밥솥(202), 냉장고(203)를 예시하여 홈 네트워크(60)의 구성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된 가전 기기 또는 주방 가전 기기 중 어떤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5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의 홈 네트워크(50)는 도 1의 홈 네트워크(50)의 예시적 실시예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50)에는 액세스 포인트(100), 복수의 장치들 중 제1 장치(201), 및 사용자 단말(400)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의 액세스 포인트(100), 제1 장치(201), 사용자 단말(400)은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0), 적어도 하나 장치(200), 사용자 단말(4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410)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410)은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예를 들어,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 PSK(Pre Shared Key)/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등 암호화 프로토콜) 등을 네트워크 정보로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SSID가 존재하는 경우 각 SSID들의 수신 감도에 따라 복수의 SSID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장치(201)는 제1 통신 모듈(210) 및 제2 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210)은 복수의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20)은 복수의 통신 시스템 중 제1 통신 모듈(220)이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과 다른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직비(ZigBee),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LTE-M, LoRA(Long Range),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 복수의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기능부일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220)은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들 중 제1 통신 모듈(210)이 지원하는 어느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기능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 모듈(210) 및/또는 제2 통신 모듈(220)은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같은 처리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변조 및 복조 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같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모듈(210) 및 제2 통신 모듈(220) 각각은 각기 상이한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통신 모듈(210) 및 제2 통신 모듈(220)은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되나 각각 상이한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치(201)가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들을 구비함에 따라, 제1 장치(201)는 제1 네트워크(NET1) 및 제2 네트워크(NET2)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201)는 제1 네트워크(NET1) 및 제2 네트워크(NET2)와의 연결을 모두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입력된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 등)를 제1 네트워크(NET1)를 통해 제1 장치(201)에 제공할 수 있고, 제1 장치(201)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NET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장치(201)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통신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NET1)를 유지하며,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NET)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장치(201)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400)과의 데이터 통신을 마친 후에도 제1 네트워크(NET1)를 해제하지 않고 제2 네트워크(NET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치(201)가 액세스 포인트(100)로 액세스를 실패(액세스 거부)하더라도, 실패 알림을 사용자 단말(400)에 즉각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다시 수신하고,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는 제1 장치(201)에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제1 장치(201)는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0)에 다시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는데, 액세스 거부로부터 액세스 재시도까지의 지연 시간은 감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이 함께 참조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단계 S110에서, 사용자 단말(도 3, 400)이 제1 네트워크(도 3, NET1)를 통해 제1 장치(201)에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SSID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제1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으로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직비,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서 3세대 이동 통신망 내지 5세대 이동 통신망(3G~5G)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네트워크(NET1)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된 다양한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제1 장치(201)가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해 제2 네트워크(NET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NET2)는 전술된 다양한 네트워크 중 제1 네트워크(NET1)가 이용하는 통신망이 아닌 다른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현재 구축된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가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일치 여부에 따라 액세스를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액세스가 거부됨에 따라 제1 장치(201)는 제2 네트워크(NET2)를 유지하며 제1 네트워크(NET1)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실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실패 알림은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사용자는 액세스 실패를 확인하고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어플리케이션(401)에 기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1 장치(201) 에 제공할 수 있고, 제1 장치(201)는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를 다시 시도함으로써 액세스가 승인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이 함께 참조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S21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도 3, 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410)에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SSID의 선택 등)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은 입력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1 네트워크(도 3, NET1)를 통해 제1 장치(도 3, 20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1 장치(201)가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해 제2 네트워크(도 3, NET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도 3, 100)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네트워크를 해제한 후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해야 했으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치(201)는 제1 네트워크(NET1)와 제2 네트워크(NET2)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현재 구축된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와,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하고, 동일 여부에 따라 액세스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현재 구축된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와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가 다름에 따라, 제1 장치(201)는 제2 네트워크(NET2)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의 액세스 거부를 지연 없이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네트워크(NET1)가 해제 상태였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액세스가 거부되었는지를 즉시 확인할 수 없었다.
단계 S250에서, 제1 장치(201)는 제1 네트워크(NET1)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실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NET1)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장치(201)는 사용자 단말(400)에 실패 알림을 지연 없이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실패 알림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에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1 장치(20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70에서, 제1 장치(201)는 수정된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재시도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00)가 액세스를 승인함으로써 액세스는 성공할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단계 S230의 액세스 승인, 또는 단계 S270의 액세스 재시도에 성공에 따라, 제1 장치(201)의 장치 정보는 서버(도 1, 300)에 등록될 수 있다. 제1 장치(201)가 서버(300)에 등록됨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410)은 제1 장치(201)를 서버(3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290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에 등록 완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410)을 조적함으로써 제1 장치(20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가 함께 참조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이 각각의 장치 관점에서 설명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6은 액세스가 한번에 승인됨을 설명한다.
단계 S30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액세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과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액세스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액세스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S31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도 3, 410)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예를 들어,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SSID의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고,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5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시도는 제2 네트워크(도 3, NET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가 액세스를 시도하며 전송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고, 동일하다고 판단한 결과 액세스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액세스 성공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이 성공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 S34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고, 기기 등록이 완료된 후 기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을 액세스 포인트(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5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알릴 수 있고, 단계 S36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기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기기 등록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가 함께 참조된다.
도 7을 참조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이 각각의 장치 관점에서 설명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7은 액세스가 1회 거부된 후 승인됨을 설명한다.
단계 S40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액세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과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액세스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액세스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S41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도 3, 410)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예를 들어,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SSID의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고,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25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시도는 제2 네트워크(도 3, NET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가 액세스를 시도하며 전송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고, 서로 다르다고 판단한 결과 액세스를 거부할 수 있다.
단계 S43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액세스 실패를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이 실패했음을 알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네트워크(NET1) 및 제2 네트워크(NET2)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액세스 실패는 사용자 단말(400)에 지연 없이 알려질 수 있다.
단계 S445에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도 3, 410)을 통해 서버로의 접속 실패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정보를 수정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400)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0)은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는, 현재 구축된 홈 네트워크의 SSID,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SSID의 선택과 일치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55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에 액세스를 제2 네트워크(NET2)를 통해 재시도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액세스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S46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액세스 성공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액세스 포인트(100)로의 접속이 성공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 S47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고, 기기 등록이 완료된 후 기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을 액세스 포인트(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85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의 기기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에 알릴 수 있고, 단계 S49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기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해 기기 등록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가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상기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가 거부됨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패 알림에 응답하여 수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액세스가 승인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기기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거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거부를 알리는 상기 실패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 수신 감도에 따른 상기 SSID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서 Wi-Fi(Wireless Fidelity) 및 블루투스(Bluetooth), 및 이동 통신망으로서 3세대 이동 통신망(3G), 4세대 이동 통신망(4G) 및 5세대 이동 통신망 중 서로 다른 두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 완료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8.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서버와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모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를 시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액세스가 승인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기기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00166913A 2020-12-02 2020-12-02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57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913A KR102575571B1 (ko) 2020-12-02 2020-12-02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913A KR102575571B1 (ko) 2020-12-02 2020-12-02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13A KR20220077713A (ko) 2022-06-09
KR102575571B1 true KR102575571B1 (ko) 2023-09-07

Family

ID=8198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913A KR102575571B1 (ko) 2020-12-02 2020-12-02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5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13B1 (ko) * 2011-02-21 2012-11-07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헬스 체크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76861B1 (ko) *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25432B1 (ko) * 2016-03-29 2018-03-22 주식회사 경동원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KR102514692B1 (ko) * 2018-06-04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37422B1 (ko) * 2018-11-08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13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67685B (zh) 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EP3080963B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ynamic network access administration
JP6901009B2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のためのプライバシー考慮
CN112566050B (zh) 附件无线设备的蜂窝服务账户转移
US111398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link sharing
KR101743195B1 (ko) 정보 제공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60242033A1 (en)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671527B2 (ja) 端末デバイスが別の端末デバイスを発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5183759A1 (en)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JP7484970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端末、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の方法
CN105323824A (zh) 辅助wifi设备入网的电子设备、wifi设备及方法
JP2022523421A (ja) 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セッションの確立
WO2023173703A1 (zh) 无线网络的连接方法、控制中心及设备
TWI717088B (zh) 載入在無線網路中的設備配置協定的優化
US90889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nonymous paired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2575571B1 (ko)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230224703A1 (en) Practical easyconnect onboarding of extenders
US20230132077A1 (en) Practical easyconnect onboarding of extenders
US11943361B2 (en) Method for seamlessly recovering a single sign-on password in Wi-Fi multi-access point device network
US20210250384A1 (en) IMS Support for Non-Voice Services
EP3556127A1 (en) Controlling access and accessing a traffic network in a high density environment
CN113507708A (zh) 一种投屏方法以及投屏系统
KR102655264B1 (ko) 무작위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US201302525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setup using electric field
WO2024017124A1 (zh) 设备认证、凭证、标识分配方法、中继设备和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