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17B1 -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17B1
KR102575217B1 KR1020210052195A KR20210052195A KR102575217B1 KR 102575217 B1 KR102575217 B1 KR 102575217B1 KR 1020210052195 A KR1020210052195 A KR 1020210052195A KR 20210052195 A KR20210052195 A KR 20210052195A KR 102575217 B1 KR102575217 B1 KR 10257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brary
scan
model
sc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1904A (en
Inventor
최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PCT/KR2021/0050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15840A1/en
Publication of KR2021013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904A/en
Priority to US17/970,689 priority patent/US202300435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데이터를 후처리(post proce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에 추가되어 상기 스캔 데이터와 함께 후처리된다. 이에 따라, 왜곡 또는 데이터 공백이 발생한 스캔데이터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에 의해 보완되어 사용자는 신뢰도 높은 3차원 모델을 획득한다.A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ning step of acquiring scan data of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a step of selecting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and a post-processing of the scan data. processing), wherein the library model data is added to the post-processing step and post-processed together with the scan data. Accordingly, the scan data in which distortion or data void occurs is complemented by the library model data, and the user obtains a highly reliable 3D model.

Description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캔 데이터를 후처리할 때 후처리 과정에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추가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in which library data is added to a post-processing process when scan data is post-processed.

현재 3차원 스캐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스캐닝 기술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계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어 장래에도 지속적으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Currently, 3D scanning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and since the accuracy and speed of scanning technology are continuously improved, it is attracting attention that it will be continuous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future.

한편,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스캔을 수행하는 사람(사용자)이 충분한 시간 또는 양으로 피사체를 스캔하지 못한 경우, 피사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관한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지 못하고 공백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특히, 금속제의 광 반사가 심한 재료로 만들어진 부품은, 광 조사에 따른 스캔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한 후 불충분한 데이터가 최소화되도록 사용자가 피사체를 면밀하게 스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캔 한계에 따라 스캔 데이터가 불충분하게 얻어지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로도 상승 및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performing 3D scanning, if the person (user) performing the scanning fails to scan the subject for a sufficient time or amount, scan data for a part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ubject is not generated and remains blank. there will be Particularly,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data through a scan according to light irradiation for a part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strong light reflection. After performing 3D scanning, it is important for the user to scan the subject closely so that insufficient data is minimized, but there may be cases where scan data is insufficiently obtained depending on the scan limit, and user fatigue may increase and cause discomfort. .

이러한 데이터 획득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3차원 설계된 데이터(예를 들어, 3차원 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캔으로 획득한 데이터의 미비한 부분을 채우거나 또는 오류 부분을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completeness of such data acquisition, a method for filling incomplete parts of data obtained by scanning or correcting errors using 3D designed data (eg, 3D drawing data) is required.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3360호 (2015.09.1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3360 (published on September 10, 2015)

본 발명은 스캔 단계에서 획득한 스캔 데이터에 대하여, 기 탑재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통해 보완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m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which can supplement scan data acquired in the scan step through preloaded library model data.

또한,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스캔 데이터를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통해 보완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capable of supplementing scan data through library model data by a system in which a method of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is perform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데이터를 후처리(post proce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에 추가되어 상기 스캔 데이터와 함께 후처리된다.A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ning step of acquiring scan data of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a step of selecting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and a post-processing of the scan data. processing), and the library model data is added to the post-processing step and post-processed together with the scan data.

또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에 추가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얼라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brary model data added in the post-processing step may be align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can data.

또한,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기준으로 얼라인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can data may be aligned based on the library model data.

또한, 상기 구조물의 3차원 모델은 상기 스캔 단계에서 스캔되지 않은 상기 구조물의 데이터 공백이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로 보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 of the structure, a data gap of the structure not scanned in the scanning step may be supplemented with the library model data.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 및 상기 스캔 데이터와,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함께 얼라인하여 상기 피사체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얼라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 step of obtaining scan data of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and the scan data and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together. An aligning step of generating a 3D model of the subject by aligning the objec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상기 구강의 네거티브(negative) 모델, 상기 구강의 포지티브(positive) 모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jec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 negative model of the oral cavity, and a positive model of the oral cavity.

또한, 상기 구조물은 상기 피사체에 식립된 스캔바디, 어버트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보철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may be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prosthesis consisting of a scan body, an abutment, and the like implanted in the subject.

또한, 상기 얼라인 단계는, 상기 스캔 단계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얼라인하는 로컬 얼라인 단계, 및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 종료 후 입력된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얼라인하는 글로벌 얼라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igning step may include a local aligning step of sequentially aligning the scan data input according to the scan step,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can data input after the end of the local align step and the library model data It may include a global alignment step of aligning as a whole.

또한,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생성되고, 상기 글로벌 얼라인 단계에 따라 상기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재구성될 수 있다.Also, a real-time 3D model of the subjec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local aligning step, and the real-time 3D model may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global aligning step.

또한, 상기 얼라인 단계 전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Also, the library model data may be selected before the aligning step.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단계 전 또는 후에 선택될 수 있다.Also, the library model data may be selected before or after the scanning step.

또한, 상기 글로벌 얼라인 단계 전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brary model data may be selected before the global alignment step.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단계 전 또는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 후에 선택될 수 있다.Also, the library model data may be selected before the scan step or after the local align step.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brary model data may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수동으로 선택되는 경우,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brary model data is manually selected, 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n the library interfa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및 획득한 상기 스캔 데이터와,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함께 얼라인(align)하여 상기 피사체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 unit that acquires scan data of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and aligns the acquired scan data with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3D model of the subject by aligning the objec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에 내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스캔부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inside the scan unit, or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can unit.

또한, 상기 스캔부는 핸드헬드 스캐너 또는 테이블 스캐너일 수 있다.Also, the scanning unit may be a handheld scanner or a table scanner.

또한, 상기 스캔부는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사체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a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an imaging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to obtain a 2D image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3차원 변환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정렬하는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3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2D image of the subject into 3D data, and an align unit for arranging the 3D data.

또한, 상기 얼라인부는 서로 연속적인 상기 3차원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인 얼라인을 수행하는 로컬 얼라인부, 및 상기 로컬 얼라인부에 의해 수행된 순차적인 얼라인에 이어 상기 3차원 데이터 및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정렬하는 글로벌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igning unit sequentially aligns the 3D data sequentially with each other, and the 3D data and the library model data following the sequential aligning performed by the local aligning unit. It may include a global alignment unit that aligns the who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는 라이브러리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라이브러리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스캔 데이터를 보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brary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library model data, so that the library model data selected from the library selection unit supplements the scan data obtained from the scann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및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불충분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더라도 기 탑재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를 보완하여 보철 치료물 제작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using the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nsufficient scan data is obtained, data can be supplemented through preloaded library model data to provide highly reliable data when manufacturing prosthetic treatment product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어 보완되기 이전에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도이다.
도 3은 스캔 데이터로 획득된 보철 치료물의 치수 측정 결과가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도이다.
도 4는 스캔 데이터가 획득되어 보완되기 이전에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에서, 스캔 데이터 상에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배치되어 데이터 공백 또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을 보완하는 과정이 디스플레이된 도이다.
도 6은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하기 전의 스캔 데이터와,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보완한 보완 데이터 간의 편차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의 보완 시스템의 구성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displayed on the scan interface before scan data is acquired and supplemented;
3 is a diagram in which dimensions measurement results of a prosthetic treatment obtained as scan data are displayed together on a scan interface.
4 is a diagram displayed on the scan interface before scan data is obtained and supplemented;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pensating for a data gap or low data density by arranging library model data on the scan data in the method of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ation between scan data before using library data and supplemental data obtained by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model data.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m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은 스캐너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1)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는 치아(20)와 치은(10), 및 턱뼈와 같은 스캔 데이터가 필요한 본 발명의 목적상, 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일 수 있다. 다만, 피사체는 반드시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구조물을 식립하기 이전에 식립깊이 및 식립각도를 시험하기 위한 구강 모형(석고 모형)일 수도 있다. 구강 모형은 알지네이트 등을 이용하여 인상채득을 실시하여 획득한 인상체인 네거티브(negative) 모델일 수도 있고, 네거티브 모델에 석고 등의 재료를 채워 획득한 포지티브(positive) 모델일 수 있다. 따라서 스캔 데이터(1)는 환자의 구강 내부 실물 또는 구강 내부를 본뜬 네거티브 또는 포지티브 모델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한편, 구조물은 임플란트 또는 크라운 치료를 위하여 피사체에 식립되는 지대주(abutment) 또는 치은(10)에 삽입되는 픽스쳐(fixture)의 삽입깊이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스캔바디(scanbod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ethod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canning step (S10) of obtaining scan data 1 by scanning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by a scanner. At this time, the subject may be the inside of the patient's actual mouth to be treat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quires scan data such as the teeth 20, the gingiva 10, and the jawbone. However, the subjec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patient's actual oral cavity, and the subject may be an oral model (plaster model) for testing an implantation depth and an implantation angle before implanting a structur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The oral model may be a negative model, which is an impression obtained by taking an impression using alginate or the like, or may be a positive model obtained by filling the negative model with a material such as gypsum. Accordingly, the scan data 1 may be digital data for a negative or positive model imitat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or the inside of the mouth.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may be at least one of an abutment placed in a subject for implant or crown treatment or a scanbody capable of checking the insertion depth and direction of a fixture inserted into the gingiva 10. .

스캔 단계(S10)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캐너를 통해 수행되는데, 이 때 스캐너는 피사체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다른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사체가 인상채득된 구강 모형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캐너는 그 내부에 피사체을 거치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피사체를 기울이거나 또는 회전시키면서 스캐너 내부에 형성된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테이블 스캐너일 수 있다. 피사체가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캐너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에 직접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와의 스캔 거리와 스캔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핸드헬드(handheld) 방식의 구강스캐너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캐너가 핸드헬드 방식의 구강스캐너인 경우, 피사체는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 네거티브 모델, 및 포지티브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scanning step (S10) is performed through a scanner driven by the user. At this time, different types of scanner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subject. Exemplarily, when the subject is an oral model in which an impression is taken, the scanner driven by the user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ubject can be placed and photographs the subject with a camera formed inside the scanner while tilting or rotating the subject. It may be a table scanner that acquires scan data. When the subject is inside the patient's actual oral cavity, the scanner driven by the user allows the user to directly enter and withdraw the patient's oral cavity by hand gripping, thereby actively adjusting the scanning distance and scanning angle to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may be a handheld intraoral scanner that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when the scanner driven by the user is a handheld intraoral scanner, the subject may be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actual oral cavity, a negative model, and a positive model.

스캔 단계(S10)는 스캐너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카메라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된 이미징 센서를 통해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는 구강 내부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팁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케이스 내부로 들어온 광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는 1개의 싱글 카메라일 수도 있고, 2 이상의 멀티 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 내부로 광이 수용되면, 카메라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된 이미징 센서에 의하여 광이 전자적 이미지 정보(데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징 센서는 종래의 필름을 대신하며, 예시적으로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징 센서는 반드시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미징 센서는 컬러 이미징 센서일 수도 있다. 이미지 획득 단계(S11)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평면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으며, 스캐너가 스캔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The scanning step ( S10 ) may include an image acquiring step ( S11 ) of acquiring a 2D image through at least one camera formed inside the scanner and an imaging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The scanner may include a case having a tip formed at one end so as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oral cavity, and at least one camera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to receive light entering the case. In this case, the camera may be one single camera or two or more multi-cameras. When light is received into the camera, the light may be formed into electronic image information (data) by an imaging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The imaging sensor replaces a conventional film, and may exemplarily be a CCD sensor or a CMOS sensor. However, the imaging senso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CD sensor or a CMOS sensor, and the imaging sensor may be a color imaging sensor as needed. The image data acquired in the image acquiring step ( S11 ) may be planar two-dimensional image data, and the image data is obtain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subject while the scanner performs scanning.

또한, 스캔 단계(S10)는 이미지 획득 단계(S11)에서 획득한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부피를 가지는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3차원 변환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샷(shot)이 사용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필요한 깊이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하여, 스캐너 내부에 형성된 광 프로젝터와 같은 광 조사 장치에서 특정 패턴을 가지는 구조광을 피사체 상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광 조사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다양한 파장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내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획득할 수 있는 파장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 조사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가시광선 영역의 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3차원 데이터는 이후 최종적으로 피사체를 표현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nning step (S10) may further include a 3D conversion step (S12) of converting the 2D image data obtained in the image acquisition step (S11) into 3D data having a volume. In order to convert 2D image data into 3D data, a plurality of shots of 2D image data may be used. In order to obtain depth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verting 2D image data into 3D data, structured light having a specific pattern may be radiated onto a subject from a light irradiation device such as a light projector formed inside a scanner.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may have various wavelength ranges,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capable of acquiring a clear image of the subject without damag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may be used. Illustrative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may be light in the visible ray region. The 3D data obtained in this way may then be used to finally create a 3D model representing the subjec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 전체에 대해 부분적인 형상 정보를 표현하는 복수의 3차원 데이터들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정렬되어 피사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얼라인(align)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얼라인 단계(S20)는 하나 이상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캔 단계(S10)로부터 입력되어 획득한 스캔 데이터(2차원 이미지 데이터 또는 3차원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서로 쌍을 이루어 정렬됨으로써 실시간 3차원 모델을 형성하는 로컬 얼라인(local align)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로컬 얼라인이 수행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점 자료 정렬(Point cloud alignment) 중 하나인 ICP(Iterative Closest Point)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로컬 얼라인 단계(S21)를 통해 피사체를 표현하는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lign step (S20) of generating a 3D model of the subject by aligning overlapp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3D data representing partial shape information of the entire subject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align step (S20) may be performed in one or more steps. Illustratively, a local align step of forming a real-time 3D model by sequentially pairing and aligning scan data (2D image data or 3D data) input and acquired from the scan step (S10). (S21)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local alignment may be performed using an Iterative Closest Point (ICP) method, which is one of point cloud alignment. A real-time 3D model representing the subject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local alignment step ( S21 ).

로컬 얼라인 단계(S21)를 통해 피사체를 표현하는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생성되면, 피사체에 식립된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라이브러리 선택 단계, S30). ‘라이브러리’란 본 발명에 따른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기성의 내장된 모델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때,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 또는 구강 모형의 일부분(보다 상세하게는, 치은)에 식립될 수 있는 스캔바디(scanbody) 모델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치아(20)에 식립되는 구조물이 스캔바디인 경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스캔바디에 대한 표면의 굴곡정보, 표면의 색상정보, 축정보 등과 같은 3차원 형상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CAD(Computer Aided Design) 설계 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a real-time 3D model representing the subject is generated through the local alignment step (S21),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implanted in the subject may be selected (library selection step, S30). The 'library' may be data embedded in a program or application in which the scan data compl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nd the library model data LD refers to ready-made embedded model data. At this time, the library model data LD may include various objects. Illustratively, the library model data LD may be scanbody model data that can be implanted in the patient's actual oral cavity or a part (more specifically, the gingiva) of the oral cavity model. Exemplarily, when the structure to be placed on the tooth 20 is a scan body, the library model data LD includes 3D shape information such as curvature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and axis in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scan body. can be implemented as a model. Such library model data LD may be formed using a CAD (Computer Aided Design) design to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으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프로그램의 작업영역(워크스페이스)에 해당하는 스캔 인터페이스와는 이격되어 형성된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언제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스캔 단계(S10)에서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스캔하여 획득한 스캔 데이터(1)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스캔 단계(S10)에서 스캔을 수행할 때, 스캔 단계(S10)를 수행하는 스캐너는 치은 또는 치아와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구조물을 인식할 수 있다. 스캔 단계(S10)에서 인식된 구조물의 재질, 형상 등을 기초로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에서 상응하는 정보를 가지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brary model data LD may be manually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from a library interface formed apart from a sc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work area (workspace) of a program. However, the library model data (LD) may not always be man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the library model data (LD) is scan data (1) obtained by scanning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in the scan step (S10). )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When scanning is performed in the scanning step ( S10 ), the scanner performing the scanning step ( S10 ) may recognize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shape or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the gingiva or teeth. Library model data LD hav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in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based on the material, shape, etc. of the structure recognized in the scanning step S10.

전술한 바에 의하면,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는 로컬 얼라인 단계(S21)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에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를 선택하는 과정은 스캔 단계(S10)의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스캔 단계(S10)와 얼라인 단계(S20) 사이에(즉, 스캔 단계(S10) 이후 얼라인 단계(S2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에서는,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는 전술한 로컬 얼라인 단계(S21) 이후와 후술할 후처리(post processing) 단계(예시적으로,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 이전에, 즉 로컬 얼라인 단계(S21)와 후처리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성상, 후처리 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가 수행되어, 후처리 단계 수행 시에 스캔 데이터(1)와 함께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정렬되도록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선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after the local alignment step (S2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ibrary model data (LD) in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can step (S10), or between the scan step (S10) and the align step (S20). (That is, after the scan step (S10) and before the align step (S20)) may be performed. In another example,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is performed after the above-described local alignment step (S21) and before a post processing step (eg, a global alignment step (S22))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ocal alignment step (S22). It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in-step (S21) and the post-processing step.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is performed before the post-processing step is performed, so that the library model data (LD) is aligned with the scan data (1) during the post-processing step. (LD) can be selected.

한편, 라이브러리 데이터 선택 단계(S30)에서 선택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각각의 라이브러리 모델이 식립되는 치아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형상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의 굴곡정보, 표면의 색상정보, 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구조물이 스캔바디(scanbody)인 경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가지는 중심축, 높이, 또는 방향과 같은 정보들이 형상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기성 구조물의 치수와 방향정보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스캔 단계(S10)에서 불충분한 스캔으로 인하여 획득한 스캔 데이터(1)의 치수보다 더욱 실물에 근접할 수 있다. 특히, 기성 구조물의 치수는 피사체에 신규한 구조물을 식립하였을 경우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구조물의 치수 및 형상 등의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brary model data LD selected in the library data selection step (S30) may have sha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osition on which each library model is placed. At this time, the shape information may include surface curvature information, surface color information, axis information,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the structure is a scan body, information such as a central axis, height, or direction of library model data may be included in the shape in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library model data (LD) has dimens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it can be closer to the real thing than the dimension of the scan data (1) obtained due to insufficient scan in the scan step (S10). there is.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existing structure can act as a criterion for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ucture, since little wear occurs when the new structure is implanted in the subject.

도 2는 스캔 데이터(1)가 획득되어 보완되기 이전에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도이고, 도 3은 스캔 데이터(1)로 획득된 스캔바디의 치수 측정 결과가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도이다. 또한, 도 4는 스캔 데이터(1)가 획득되어 보완되기 이전에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에서, 스캔 데이터(1) 상에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배치되어 데이터 공백(B) 또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을 보완하는 과정이 디스플레이된 도이다.FIG. 2 is a diagram displayed on the scan interface before scan data 1 is acquired and supplemented,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dimensions of the scan body obtained with scan data 1 displayed together on the scan interface. am. 4 is a diagram displayed on the scan interface before scan data 1 is obtained and supplemented, and FIG. 5 is a view of scan data 1 in the scan data complement method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displaying a process in which the library model data (LD) is arranged to compensate for a data gap (B) or a part with low data density.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재질로 형성된 스캔바디의 빛 반사 등으로 인하여, 스캔 데이터의 획득 부족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에 대하여 로컬 얼라인 단계(S21)에서 중첩되는 부분이 충분히 정렬되지 않아 스캔 데이터(1)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데이터(1)의 왜곡 등은 부족한 형상 표현(데이터 공백) 뿐만 아니라 축 방향 오류를 유발하고, 여기에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의 매칭을 시도하는 경우 부족한 형상 표현으로 인하여 매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기울어진 축 방향을 기준으로 매칭되는 등, 잘못된 매칭 결과를 기초로 크라운 등의 보철물 제작시 어버트먼트, 주변 치아 등과의 마진(margin) 오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왜곡된 스캔 데이터(1)의 적어도 일부를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의 형상정보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이 때,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스캔 데이터(1)를 보완하는 것은 3차원 변환 단계(S12)와 로컬 얼라인 단계(S21)를 통해 획득한 스캔 데이터(1)의 실시간 3차원 모델 데이터에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를 함께 정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캔바디와 같은 보철 치료물이 식립된 부분의 데이터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필요한 경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치수 면에서 더욱 정확도가 높으므로, 스캔바디 등의 구조물에 대해 낮은 데이터 밀도를 가지는 스캔 데이터(1)를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가 채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 due to light reflection of a scan body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 overlapping portion in the local alignment step (S21) for a portion of low data density, which occurs due to lack of acquisition of scan data, is formed. Distortion of the scan data 1 may occur due to insufficient alignment. Such distortion of the scan data (1) causes not only insufficient shape representation (data blank) but also axial error, and when attempting to match the library model data (LD), the matching is smooth due to the insufficient shape representation. When a prosthetic appliance such as a crown is manufactured based on an erroneous matching result, such as matching based on an unsupported or tilted axis direction, a margin error with an abutment or surrounding teeth inevitably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distorted scan data 1 may be supplemented through shape information of the library model data LD. At this time, the library model data (LD) complements the scan data (1) to the real-time 3D model data of the scan data (1) acquired through the 3D conversion step (S12) and the local alignment step (S21). It may mean aligning the library model data (LD) together. This is to further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of the part where prosthetic treatment such as scan body is implanted. If necessary, since the library model data LD is more accurate in terms of dimensions, the scan data 1 having a low data density for a structure such as a scan body can be filled with the library model data LD.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스캔 데이터(1)가 면밀히 표현되지 않고 있으며, 치은(10)에 식립되는 구조물(21)은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스캔 데이터(1)가 완전하게 획득되지 않아 데이터 공백(B) 또한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21)의 내부 홀(D)의 반경(radius, 경우에 따라서는 직경을 측정할 수도 있다)을 측정하였을 때, 부정확하게 스캔된 내부 홀(D')에 의해 각각의 구조물(21)의 반경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정확하게 스캔된 내부 홀(D')은 도 3의 제1 구조물(21a), 제2 구조물(21b), 제3 구조물(21c), 및 제4 구조물(21d) 중 적어도 하나에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잘못 스캔된 부분 또는 스캔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교정, 삭제 또는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다.2 and 3, the scan data 1 is not expressed in detail, and the structure 21 implanted on the gingiva 10 does not completely acquire the scan data 1 on at least a part of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tespace (B) also allows you to see what state is occurring. In addition, when the radius (diameter may be measured in some cases) of the inner hole D of the structure 21 is measured, each structure 21 is incorrectly scanned by the inner hole D'. ), it can be seen that the radii are different. Illustratively, the incorrectly scanned internal hole D′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ucture 21a, the second structure 21b, the third structure 21c, and the fourth structure 21d of FIG. 3 . can appear In this case, correction, deletion, or supplementation may be performed on an erroneously scanned or unscanned portion due to the user's negligence or the like.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캔 데이터(1)만 스캔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났을 경우 부정확 스캔된 내부 홀(D')과 데이터 공백(B)이 발견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스캔 데이터(1)와 함께 얼라인되고,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에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스캔 데이터(1)와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only the scan data 1 appears on the scan interface, an incorrectly scanned inner hole D' and data blank B are foun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library model data (LD) is aligned with the scan data (1), and the library model data (LD) has a different color from the scan data (1) in a part where the data density is low. can be displayed.

전술한 로컬 얼라인 단계(S21)를 통해 연속적인 3차원 데이터 간에 순차적으로 쌍을 이루어 정렬(얼라인)을 수행하여 실시간 3차원 모델이 형성된 후, 실시간 3차원 모델의 부정확한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스캔 데이터(1)를 전체적으로 정렬하여 최종적인 3차원 모델로 재구성되도록 후처리(post processing)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후처리 단계는 로컬 얼라인된 실시간 3차원 모델을 전체적으로 정렬하여 3차원 모델로 재구성하는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일 수 있다.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는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실시간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하도록 마지막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는 피사체 스캔을 완료한 후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형성된 complete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데이터(1)가 보완되어 피사체의 최종적인 3차원 모델로 형성됨으로써 피사체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에게 정밀한 보철 치료물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supplement inaccurate data of the real-time 3D model after the real-time 3D model is formed by performing alignment (alignment) by sequentially forming pairs through the above-described local aligning step (S21) A post-processing step may be performed to finally align the scan data 1 as a whole and reconstruct it into a final 3D model. Illustratively, the post-processing step may be a global alignment step ( S22 ) of reconstructing the 3D model by aligning the local aligned real-time 3D model as a whole. The global alignment step (S22) may be performed as a last step to reconstruct the real-time 3D model to finally generate the 3D model. Illustratively, the global alignment step ( S22 ) may proceed by selecting a complete button formed on the user interface after completing the object scan. Accordingly, the scan data 1 is supplemented and formed into a final 3D model of the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3D model representing the subject, and manufacturing and providing a precise prosthetic treatment product to the patient.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optimal treatment to the patient.

한편,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를 수행할 때,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로부터 선택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스캔 데이터(이 때의 스캔 데이터(1)는 3차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에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는 전체적으로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할 때 데이터 공백(B) 또는 노이즈 발생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로컬 얼라인 단계(S21)에서 3차원 데이터 간의 중첩되는 참조점(reference point)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스캔 데이터의 왜곡 또는 데이터 공백(B)이 발생한다. 이 때,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S30)에서 선택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를 3차원 데이터들 사이에 추가하여 글로벌 얼라인 단계(S22)를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3차원 데이터가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와 중첩될 수 있는 참조점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로컬 얼라인 단계(S21)에서 실시간 3차원 모델이 피사체와 달리 왜곡되어 형성되었더라도, 후처리 과정인 글로벌 얼라인 과정을 수행할 때 왜곡(수축)된 스캔 데이터 또는 데이터 공백은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LD)를 기초로 다시 정렬 및/또는 보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global alignment step (S22), the library model data (LD) selected from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is scan data (scan data (1) at this time may mean three-dimensional data) Can be us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at is, in the global alignment step (S22), the library model data (LD) can compensate for the data blank (B) or noise generating part when reconstructing the 3D model as a whole. Exemplarily, when overlapping reference points between 3D data are not sufficient in the above-described local alignment step ( S21 ), distortion of scan data or data blank (B) occurs. At this time, when the global alignment step (S22) is performed by adding the library model data (LD) selected in the library selection step (S30)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ata, each three-dimensional data is matched with the library model data (LD). The number of reference points that can be overlapped increases. Accordingly, even if the real-time 3D model is distorted and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ubject in the local alignment step (S21), the distorted (shrinked) scan data or data blank when performing the global alignment process, which is a post-processing process, is the library model data It can be rearranged and/or supplemented based on (LD), and as a result, a highly reliable 3D model can be obtained.

도 6은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하기 전의 스캔 데이터와,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보완한 보완 데이터 간의 편차를 나타낸 도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ation between scan data before using library data and supplemental data obtained by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따른 스캔 데이터만의 정보와, 도 5에 따른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를 보완하여 생성된 보완 데이터 간 정보의 편차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작게는 6 마이크로미터에서 크게는 2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편차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편차값이 큰 부분은 부정확한 스캔에 의하여 스캔 데이터가 불충분하거나 잘못 획득된 부분이므로, 더욱 정밀한 3차원 모델을 획득하기 위하여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보완할 실익이 있다는 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re is a difference in information between information of scan data only according to FIG. 4 and supplementary data generated by supplementing scan data with library model data according to FIG. 5 . Accordingly, a deviation of as little as 6 micrometers and as large as 200 micrometers or more appears. In this way, since the part with a large deviation value is a part in which scan data is insufficient or incorrectly obtained due to inaccurate scanning,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is a practical benefit to supplementing the scan data using library model data in order to obtain a more precise 3D model. can be easily ver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의 보완 시스템의 구성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m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의 보완 시스템(100)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110)와, 획득한 스캔 데이터와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함께 얼라인(align)하여 피사체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120), 그리고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스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ystem 100 for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 unit 110 that acquires scan data of a subject including a structure, and the acquired scan data a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20 that generates a 3D model of a subject by aligning library model data to be used together, and an output unit 130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outputs scan data. .

스캔부(110)는 피사체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때, 피사체는 지대주(abutment) 또는 스캔바디(scanbody)와 같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는 구조물이 식립된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이거나,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인상채득을 실시하여 획득한 인상체 또는 석고 모형일 수 있다. 스캔부(110)는 이러한 피사체를 스캔하기 위한 3차원 스캐너일 수 있는데, 입체 스캐너는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을 형성하기 위한 테이블 스캐너 또는 핸드헬드 형식의 구강 스캐너일 수 있다.The scan unit 110 may obtain scan data by scanning an object, and in this case, the object may include a structure such as an abutment or a scan body. Also, the subject may be an actual oral cavity of a patient in which a structure is placed, or an impression body or a plaster model obtained by taking an impression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e scanning unit 110 may be a 3D scanner for scanning such a subject. The 3D scanner may be a table scanner or a handheld intraoral scanner for finally forming a 3D model based on the acquired image.

또한, 스캔부(110)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카메라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카메라 렌즈로부터 수용하여 망막 또는 필름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이미징 센서에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징 센서는 광을 분석하여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2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21)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and an imaging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The camera may receive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through a camera lens and focus the light onto an imaging sensor that functions like a retina or a film. The imaging sensor may generate 2D image data by analyzing light. The generated 2D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21 .

한편, 스캔부(110)의 스캔 과정에 의해 획득한 2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3차원 모델로 형성되기 위해 제어부(120) 내부의 3차원 변환부(122)에 의해 3차원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가 3차원 데이터로 변환되기 위해, 스캔부(110)는 특정 패턴을 가지는 구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 3차원 변환부(122)는 패턴을 가지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한 2차원 이미지 데이터들을 부피를 가지는 3차원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2D image data acquired by the scanning process of the scanning unit 110 may be converted into 3D data by the 3D conversion unit 122 inside the control unit 120 to form a 3D model. In order to convert 2D image data into 3D data, the scan unit 110 may radiate structured light having a specific pattern to the subject. The 3D conversion unit 122 may convert the 2D image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2D image data having a pattern into 3D data having a volume.

전술한 스캔부(110)는 피사체를 부분적으로 연속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핸드헬드(handheld) 형식의 스캐너일 수 있다. 특히, 핸드헬드(handheld) 형식의 스캐너는 치과 치료목적 상 사용되는 구강스캐너(intraoral scanner)일 수 있다. 다만, 스캔부(110)의 구성이 구강스캐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환자의 구강에 대하여 인상채득을 수행하여 획득한 구강 모형을 내부에 형성된 트레이에 거치시킨 후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테이블 스캐너일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canning unit 110 may be a handheld type scanner that partially continuously scans a subject to obtain data. In particular, the handheld type scanner may be an intraoral scanner used for dental treatment purposes.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canning unit 110 is not limited to the intraoral scanner, and in some cases, an oral model obtained by taking an impression of the patient's oral cavity is placed on a tray formed therein, and then scanned as a whole to obtain data. It could also be a table scanner that does

제어부(120)는 3차원 변환부(122)에 의해 변환된 3차원 데이터를 정렬하는 얼라인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부(123)는 3차원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중첩되는 데이터 간의 정렬을 통해 3차원 데이터들을 나열하고 머징(merging)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얼라인부(123)에 의해 적어도 2 이상의 얼라인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얼라인부(123)는 3차원 변환부(122)에 의해 획득한 서로 연속적인 3차원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부분적 얼라인(로컬 얼라인)을 수행하는 로컬 얼라인부(123a)와, 로컬 얼라인이 수행된 후 모든 3차원 데이터에 대하여 전체적인 정렬을 수행하는 글로벌 얼라인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얼라인부(123b)의 글로벌 얼라인 수행에 따라 3차원 데이터는 최종적인 3차원 모델로 형성(재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n align unit 123 that aligns the 3D data converted by the 3D conversion unit 122 . The aligner 123 may arrange and merge 3D data by aligning partially or wholly overlapping 3D data. Preferably, at least two or more alignments are performed by the aligning unit 123 . For example, the aligning unit 123 includes a local aligning unit 123a that sequentially performs partial alignment (local alignment) on successive 3D data obtained by the 3D conversion unit 122; After local alignment is performed, a global alignment unit 123b that performs global alignment on all 3D data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the global alignment performed by the global align unit 123b, 3D data may be formed (reconstructed) into a final 3D model, and reliability of the data may be improved.

한편, 글로벌 얼라인부(123b)에 의한 최종적인 3차원 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라이브러리 선택부(124)가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3차원 모델을 보완하는 과정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최종적인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선택부(124)는 데이터베이스부(121)의 라이브러리에 내장된 구조물의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어버트먼트 또는 스캔바디와 같은 보철 치료물을 의미한다)에 대한 3차원 설계도면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동 선택 또는 스캔부(110)의 스캔 과정에서 구조물을 포함한 피사체의 스캔으로부터 획득한 구조물의 정보를 통한 자동 선택에 의하여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로컬 얼라인부(123a)에 의해 로컬 얼라인 과정이 완료된 3차원 데이터와 함께 글로벌 얼라인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데이터(스캔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의 불충분한 스캔을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로 보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orm the final 3D model by the global align unit 123b, the library selection unit 124 allows the library model data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3D model to obtain a more precise final 3D model. can be obtained The library selection unit 124 may select library model data of structures stored in the library of the database unit 121 . In this case, the library model data may refer to 3D design drawing data for a structure (meaning a prosthetic treatment product such as an abutment or a scan body) as described above. Library model data may be selected by manual selection by a user or by automatic selection through struc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canning of a subject including structures in a scanning process of the scanning unit 110 . The selected library model data may preferably be subjected to a global alignment process together with 3D data for which the local alignment process has been completed by the local align unit 123a. Accordingly, insufficient scan of scan data (data acquired from scan) can be supplemented with library model data.

제어부(120)는 스캔부(110)에 탑재되는 형식으로, 즉 스캔부(110)의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스캔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캔부(110)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스캔부(110)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스캔부(110)와 제어부(120)가 이격 형성되는 경우, 스캔부(110)로부터 획득한 스캔 데이터는 스캔부(110)와 유무선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20)에 전송되어 3차원 데이터 생성, 얼라인, 라이브러리 선택 및 데이터 보완 등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be formed to be mounted on the scan unit 110, that is, to be built into the case of the scan unit 11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20 may not be formed inside the scan unit 110 but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can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scan unit 110 through electrical communication. At this time, when the scann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are formed separately, the scan data obtained from the scanning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connected to the scanning unit 110 by wire or wirelessly, thereby providing 3D data. It can be used for creation, alignment, library selection and data supplement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3차원 변환부(122)의 3차원 데이터 생성 과정 및 얼라인부(123)의 얼라인 과정 등은 제어부(120)의 제어신호 인가에 따라 출력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3차원 변환 또는 얼라인 과정을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한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과정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30)를 통해 스캔 데이터 및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스캔이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하여 추가 스캔을 수행하거나, 스캔 데이터 보완에 필요한 적합한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3D data generation process of the 3D conversion unit 122 and the aligning process of the align unit 123 may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by the control unit 120. . The output unit 130 may be any means capable of outputting the 3D transformation or aligning process to the user, but may preferably be a monitor device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ser can check the scan data and library model data through the output unit 130, and if additional scan is required, additional scan can be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part or library model data suitable for supplementing the scan data can be selected.

또한, 통신부(140)는 제어부로부터 수행된 3차원 변환, 얼라인,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 선택과 같은 정보를 다른 시스템 등에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통신부(140)를 통해 스캔 및 본 발명에 따른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의 보완된 데이터 또는 관련정보를 다른 시스템에 공유할 수 있으며,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공유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such as 3D transformation, alignment, and library model data selec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to other systems or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scan and supplemented data or related information of the scan data compl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 other systems, and necessary information may be shared from other system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스캔 단계 S11: 이미지 획득 단계
S12: 3차원 변환 단계 S20: 얼라인 단계
S21: 로컬 얼라인 단계 S22: 글로벌 얼라인 단계
S30: 라이브러리 데이터 선택 단계
1: 스캔 데이터
10: 치은
20: 치아
21, 21a, 21b, 21c, 21d: 구조물(또는 라이브러리 모델)
D: 내부 홀 D': 부정확하게 스캔된 내부 홀
B: 데이터 공백 LD: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
100: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110: 스캔부 120: 제어부
121: 데이터베이스부 122: 3차원 변환부
123: 얼라인부 123a: 로컬 얼라인부
123b: 글로벌 얼라인부 124: 라이브러리 선택부
130: 출력부 140: 통신부
S10: Scan step S11: Image acquisition step
S12: 3D Transformation Step S20: Alignment Step
S21: Local Alignment Step S22: Global Alignment Step
S30: library data selection step
1: scan data
10: gingiva
20: tooth
21, 21a, 21b, 21c, 21d: structures (or library models)
D: Inner hole D': Incorrectly scanned inner hole
B: data blank LD: library model data
100: scan data complement system
110: scan unit 120: control unit
121: database unit 122: 3-dimensional conversion unit
123: align part 123a: local align part
123b: global alignment unit 124: library selection unit
130: output unit 140: communication unit

Claims (22)

구조물이 식립된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데이터를 후처리(post proce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및 상기 구강의 구강 모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 이전의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피사체와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구조물에 의해 데이터 공백 또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을 가지며,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캔 데이터에 추가되어 상기 스캔 데이터와 함께 후처리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A scanning step of obtaining scan data of a subject in which a structure is implanted;
selecting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and
Including; post-processing the scan data;
The subject is at least one of a patient's oral cavity and an oral model of the oral cavity, and the scan data before the post-processing has a data gap or a low data density portion due to a structure hav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bject,
The library model data is added to the scan data in the post-processing step and post-processed together with the scan data,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에 추가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얼라인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ibrary model data added in the post-processing step is align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can data,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기준으로 얼라인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a portion of the scan data is aligned based on the library model data,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삭제delete 구조물이 식립된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 단계; 및
상기 스캔 데이터와,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함께 얼라인하여 상기 피사체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얼라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및 상기 구강의 구강 모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피사체와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구조물에 의해 데이터 공백 또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을 가지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A scanning step of obtaining scan data of a subject in which a structure is implanted; and
An align step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subject by aligning the scan data and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together;
The subject is at least one of a patient's oral cavity and an oral model of the oral cavity, and the scan data has a data gap or a low data density part due to a structure hav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ubject,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상기 구강의 네거티브(negative) 모델, 상기 구강의 포지티브(positive) 모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bjec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tient's oral cavity, a negative model of the oral cavity, and a positive model of the oral cavit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피사체에 식립된 스캔바디, 어버트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보철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can data com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wherein the structure is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prostheses composed of a scan body, an abutment, etc. implanted in the subjec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단계는, 상기 스캔 단계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얼라인하는 로컬 얼라인 단계; 및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 종료 후 입력된 상기 스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얼라인하는 글로벌 얼라인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ligning step may include: a local aligning step of sequentially aligning the scan data input according to the scanning step; and
and a global aligning step of alig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put scan data and the library model data as a whole after the local aligning step is finish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생성되고, 상기 글로벌 얼라인 단계에 따라 상기 실시간 3차원 모델이 재구성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of supplementing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wherein a real-time 3D model of the subjec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local alignment step and the real-time 3D model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global alignment step.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단계 전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wherein the library model data is selected before the aligning step.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단계 전 또는 후에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brary model data is selected before or after the scanning step,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얼라인 단계 전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wherein the library model data is selected before the global alignment step.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 단계 전 또는 상기 로컬 얼라인 단계 후에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library model data is selected before the scan step or after the local align step,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library model data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가 수동으로 선택되는 경우,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library model data is manually selected, scan data supplementation method using library data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n a library interface.
구조물이 식립된 피사체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 및
획득한 상기 스캔 데이터와, 상기 구조물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함께 얼라인(align)하여 상기 피사체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는 환자의 구강 및 상기 구강의 구강 모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스캔 데이터는 상기 피사체와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구조물에 의해 데이터 공백 또는 데이터 밀도가 낮은 부분을 가지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a scanning unit that obtains scan data of a subject in which a structure is implante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the subject by aligning the obtained scan data with the library model data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The subject is at least one of a patient's oral cavity and an oral model of the oral cavity, and the scan data has a data gap or a low data density part due to a structure hav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bject, a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에 내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스캔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is built into the scan unit or formed apart from the scan unit, a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핸드헬드 스캐너 또는 테이블 스캐너인,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scan unit is a handheld scanner or a table scanner, a scan data complement system using library data.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사체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scann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an imaging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to obtain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subject, a scan data supplementation system using library data.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3차원 변환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정렬하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unit includes a 3-dimensio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2-dimensional image of the subject into 3-dimensional data, and an align unit for aligning the 3-dimensional data.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는 서로 연속적인 상기 3차원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인 얼라인을 수행하는 로컬 얼라인부, 및 상기 로컬 얼라인부에 의해 수행된 순차적인 얼라인에 이어 상기 3차원 데이터 및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정렬하는 글로벌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0,
The aligning unit sequentially aligns the 3D data sequentially with each other, and the 3D data and the library model data as a whole following the sequential aligning performed by the local aligning unit. A scan data complement system using library data including a global alignment unit for aligning.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를 선택하는 라이브러리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라이브러리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라이브러리 모델 데이터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스캔 데이터를 보완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사용한 스캔 데이터 보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library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library model data, wherein the library model data selected from the library selection unit complements the scan data obtained from the scan unit.
KR1020210052195A 2020-04-24 2021-04-22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 KR102575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5082 WO2021215840A1 (en) 2020-04-24 2021-04-22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by using library data
US17/970,689 US20230043519A1 (en) 2020-04-24 2022-10-21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by using library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61 2020-04-24
KR20200050161 2020-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04A KR20210131904A (en) 2021-11-03
KR102575217B1 true KR102575217B1 (en) 2023-09-06

Family

ID=7850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195A KR102575217B1 (en) 2020-04-24 2021-04-22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573A (en) 2010-03-24 2012-01-26 Advance Co Ltd System for measuring and processing dental prosthesis
KR101632377B1 (en)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and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abutment libra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881A (en) * 2012-07-12 2014-01-22 김도현 Method of making customized implant abutment
NZ708797A (en) 2013-01-02 2018-07-27 Geniova Tech S L Removable lingual-vestibular dental alignment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60011322A (en) * 2014-07-21 2016-02-0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implant using intra oral scanning and computer aided design libra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573A (en) 2010-03-24 2012-01-26 Advance Co Ltd System for measuring and processing dental prosthesis
KR101632377B1 (en)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and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abutment libr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04A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998B2 (en) Dental preparation guide
KR102442720B1 (en) Method for processing 3D scanned data to manufacture dental prosthesis
CN112294467B (en) Dental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1707347B2 (en) Detecting tooth shade
CN104125814B (en) Virtual design customizes gingival former
KR20220099561A (en) Digital 3D model of dental arch with accurate arch width
EP3939498A1 (en) Digital scan body alignment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US201001199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JP6801117B2 (en) Mobile interlocking implant diagnostic system
KR101812484B1 (en) Image Generation System for implant Diagnosis and the same
US10925699B2 (en) Image generation system for implant diagnosis and generation method thereof
US20210401549A1 (en) Digital scan body alignment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7029670A1 (en) Intra-oral mapping of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mouth cavities
KR101663622B1 (en) System for forming 3 dimensional object and its method
KR102575217B1 (en) Method for supplement scan data using library data and system thereof
KR102082917B1 (en) Dental implant procedure guide device, dental implant procedure guide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e the same
KR20180109412A (en) System For Rendering 3D Data
US20210401550A1 (en) 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scan data for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is
US202300435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ementing scan data by using library data
KR102061644B1 (en) Image Generation System for implant Diagnosis and image Generation methode the same
KR20170097929A (en) System For Rendering 3D Data
KR102370018B1 (en) Data integration method of 3-dimensional scann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230414186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521770B1 (en) External light interference removal method
KR20220087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imposition of medical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