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74B1 -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 Google Patents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574B1
KR102574574B1 KR1020220167011A KR20220167011A KR102574574B1 KR 102574574 B1 KR102574574 B1 KR 102574574B1 KR 1020220167011 A KR1020220167011 A KR 1020220167011A KR 20220167011 A KR20220167011 A KR 20220167011A KR 102574574 B1 KR102574574 B1 KR 10257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necting member
support
clamp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호
신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6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5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장치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손잡이 홈에 내장되는 체결 해제장치가 구비된 지지대; 및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캡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삽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가 구비되는 피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체결부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피스톤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체결영역에 삽입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pl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bined with a hood is detachable from a support plate supporting a patient's back and a detachabl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ch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of th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and a support provided with a fastening release device built into a handle groove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hood equipped with a piston to which a cap is detachable for compressing the chest of the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acting or expanding the piston, wherein the support plate includes 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and a clamp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device to be fastened is provided,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and a fa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acing the pist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fasten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whe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egion of the fastening unit.

Description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본 발명은 후드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n which a hood support plate and support are detachable, and more particularly, a support plate coupled with a ho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detachable from a support plate supporting a patient's back. It is about a possible CPR device.

종래 기술에는 다양한 종류의 심폐소생술(CPR)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 중 하나가 압축 공기 또는 호흡 기체(스웨덴, 룬드, Jolife AB; LucasTM)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심폐소생장치의 독특한 이점으로, 중량이 적어 운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압축 공기의 탄성적 성질인데, 이에 의해, 기체 구동식 심폐소생장치가 강성 압박 수단이 구비된 장치보다 환자의 흉부에 손상을 덜 야기시킨다. 공지된 장치는 구명 상황에서 응급용 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장치에는, 환자가 입원할 때 심폐소생술의 무중단 타격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병원용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구동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devic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re known in the prior art. One such device is powered by compressed air or breathing gas (Jolife AB, Lund, Sweden; LucasTM). As a unique advantage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due to its low weight. Another advantage is the elastic nature of compressed air, whereby gas-powered CPR devices cause less damage to the patient's chest than devices equipped with rigid compression means. The known device can be used as an emergency facility in a life-saving situation. In addition, the known device may be supplied with drive gas from a hospital air supply line, which may be desirable for uninterrupted blows of CPR when a patient is hospitalized.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할지라도 심정지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의 생소함과 갈비뼈 손상에 대한 부담감 및 환자마다 흉부높이가 일정하지 못하므로, 압박깊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general public, even if they have been trained in CP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epth of compression due to the unfamiliarity of CPR and the burden of rib damage and the inconsistent chest height for each patient in the event of cardiac arrest.

또한, 종래 심폐소생장치는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였으며, 받침판로부터 흉부압박 컴포넌트 및 기도확보 컴포넌트의 탈부착이 불가능함에 따라, 받침판가 배치(또는 설치)된 장소에서만 심폐 소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must have a support plate formed so that the patient can lie down, resulting in spatial restrictions in CPR, and as it is im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chest compression component and airway securing component from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is placed (or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ld be performed only in the designated place.

한편, 상기 선행문헌과 다른 심폐소생술용 장치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9,107,800호(발명의 명칭: 심폐소생술용 지지구조용 전면부)과 미국 등록특허 제10,292,901호(발명의 명칭: 심폐 기능 소생을 관리하기 위한 지지 구조)가 공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vic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ifferent from the prior literature, US Patent No. 9,107,800 (title of invention: front part for support structure for CPR) and US Patent No. 10,292,901 (name of invention: manag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upport structure) has been published.

상기 선행문헌들은 지지대의 체결부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제공하는 사용자도 모르게 닫혀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체결부의 닫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체결부와 백플레이트의 체결을 시도하는 경우 체결에 실패하여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rior litera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stening part of the support is closed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user who provides CPR to the patient, and in this way, when the user tries to fast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back plate without recognizing the closed state of the fastening part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a time delay in an emergency situation due to a failure in fastening.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은 클로(claw) 형태로 쉐프트를 받아들이고, 쉐프트를 쉽게 받아들이기 위해서 쉐프트 직경(두께)보다 넓은 여유공간을 갖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체결은 되지만, 클로와 쉐프트 사이의 여유공간으로인해서 흉부압박과 이완시 지지대와 받침판이 상하로 진동하고 노이즈(소음)이 발생되어 응급현장에서 의료진의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발생시키며, 진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체결부위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ocuments accept the shaft in the form of a claw and have a form with a free space wider than the diameter (thickness) of the shaft in order to easily accept the shaft. Due to the free space between the chest compression and release, the support and support plate vibrate up and down and noise (noise) is generated, causing a phenomenon that interferes with the communication of medical staff at the emergency site.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 and the like occurred.

그리고 상기 선행문헌들은 사용자가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장치를 동작시켰으나, 환자에 적용된 심폐소생장치의 주변의 물품 또는 몸집이 큰 환자의 몸통과 팔 사이에 놓인 심페소생장치의 지지대가 놓인 상황에서 지지대와 받침판의 분리됨을 의료진에게 명확히 인식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literature, the user operated the fastening devi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ase plate, but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ort of the CPR device placed between the torso and arm of a large patient or an item around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pplied to the patient was placed, the suppor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epara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was not clearly recognized by the medical staff, which caused a time delay in an emergency.

미국 등록특허 제9,107,800호(2015.08.18 등록)US Patent No. 9,107,800 (registered on August 18, 2015) 미국 등록특허 제10,292,901호(2019.05.21 등록)US Patent Registration No. 10,292,901 (registered on May 21, 201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심폐소생 수행이 가능한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to which the hood for CPR is coupled from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spatial restrictions and the support is detacha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suscit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과 지지대가 체결되는 경우, 지지대의 체결장치에 구비된 체결부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구비된 클램프와 체결 가능한 상태로 항상 유지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are fastened, the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fastening state with the clamp provided in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is detach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동작없이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단순히 삽입되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member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can be fastened to the target device by simply insert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member into the device to be fastened of the support plate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에 구비된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by sliding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provided in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ing plate has a purpose to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대의 체결장치와 받침판의 피체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대에 구비된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 것을 통해 체결장치를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시킬 수 있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and the device to be fastened of the support plate are fastened, the fastening device is detachable from the fastening device and the support by pressing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provided on the suppor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com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손잡이 홈에 내장되는 체결 해제장치가 구비된 지지대; 및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캡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삽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가 구비되는 피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체결부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피스톤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체결영역에 삽입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patient's back;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and a support provided with a fastening release device built into a handle groove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hood equipped with a piston to which a cap is detachable for compressing the chest of the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acting or expanding the piston, wherein the support plate includes 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and a clamp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device to be fastened is provided,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and a fa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acing the pist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fasten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whe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egion of the fastening uni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후드가 결합된 지지대를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받침판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는 공간적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폐소생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ttach and detach the support to which the hood for CPR is coupled from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tien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CPR of the patient using the CPR device without spatial restrictions.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 및 체결해제가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 및 체결해제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fasten and release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user can clearly check whether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are fastened and released, thereby preventing time delay in an emergency.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이 가능하여, 응급상황에서 지지대와 받침판의 체결에 의한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even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not pressed, thereby preventing time delay due to the fastening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in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피체결장치와 받침판의 체결장치가 체결될 때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며, 사용자가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지 여부를 즉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응급상황에서 시간지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noise caused by vibration when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and the fastening device of the base plate are fastened, an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fastening device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device, so that time is saved in an emergency. Delays can be prevented.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 구비된 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저장 유닛 및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적인(symmetric)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알림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와 피체결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캡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A-A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B-B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nit provided in a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torage unit and stored information provided in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symmetric pro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nsor provided in the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device of a pedestal.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with a device to be fastened.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a fastened device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11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edestal and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be fastened with a device to be fastened.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device to be fastened through slidin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inserted into a device to be fastened through slidin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astening is completed between a fastening device and a device to be fast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engaged and separated from a fastened device.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sto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3 .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26;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심폐소생술장치의 구성Composition of CP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PR device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흉부 압박을 위한 받침판(100), 지지대(200), 후드(300)가 구비된다.1 and 2, the CP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00, a support 200, and a hood 300 for chest compression of a patient.

상기 받침판(100)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100 is formed in a form for supporting the back of a patient requiring CPR.

상기 지지대(200)는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후드(300)를 지지하기 위한 형태가 아치형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200 may have an arcuate shape for supporting the hood 300 while allowing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to move to a position that compresses the patient's che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지지대(200)는 받침판(1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받침판(100)으로부터 탈부착될 때 후드(300)와 함께 별도의 심폐소생술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support 200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late 100, and can be used as a separat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together with the hood 300 when detached from the support plate 100.

상기 후드(300)는 지지대(20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치형인 지지대(200)의 중심부(Arch Crown)에 결합되고,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과, 상기 피스톤(310)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320)이 구비된다.The hood 3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200, more specifically, to the center (Arch Crown) of the arch-shaped support 200, a piston 310 for compressing the patient's chest, and the piston 310 )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20 for contracting or expanding.

이러한 상기 후드(300)는 제어 유닛(320)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hood 300, the control unit 3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installed inside.

상기 피스톤(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환자의 흉부와 이격된 상태이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 후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흉부를 이완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The piston 310 is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atient's chest before compressing the patient's chest, and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20 to compress the patient's chest and then is spaced apart to relax the patient's chest. can do.

상기 피스톤(310)은 제어 유닛(320)을 통해 설정되는 흉부 압박 모드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연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30번의 환자 흉부 압박 후 2번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되어 환자에게 흉부 압박 기반의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mode set by the control unit 320, the piston 310 continuously compresses the patient's chest or performs artificial respiration twice after 30 chest compressions of the patient. It is operated based on the compression 30:2 mode in parallel with breathing, so it can provide emergency treatment based on chest compression to the patient.

상기 제어 유닛(320)은 피스톤(310)의 동작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PR device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and a plurality of buttons for this may be provided.

상기 복수의 버튼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구체적인 일 예로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피스톤(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CPR)을 실행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모드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depth)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깊이 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속도(횟수)를 설정하는 압박속도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s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s a specific example,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CPR device, a stop butt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and the piston 310 A compression mode setting button for executing chest compression (CPR) of the patient or setting a chest compression mode of the piston 310, and a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chest compression depth of the piston 310 , A compression rat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chest compression rate (number of times) of the piston 310.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설정 초기화 및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self test)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심폐소생술장치가 온 상태일 때 다시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초기화 및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20, when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power button and the power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s turned on, initializes settings and performs a self-test to determine whether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When the CPR device is in an on state, when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power button again, the settings are initialized and the power of the CPR device is turned off.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연속모드이면,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이 반복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와 달리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 30:2 모드이면 환자의 흉부가 30회 압박된 후에 2회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f the chest compression mode set through the compression mode setting button is the continuous compression mode,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to repeat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If the chest compression mode set through is the compression 30:2 mode,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can be controlled so that two artificial respirations are performed after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30 times.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의 깊이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 cm, 그 후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5 cm, 다시 신호가 입력된 환자의 흉부가 4 cm,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4.5 cm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so that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to a depth of at least one of 4 cm, 4.5 cm, 5 cm, and 5.5 cm. Furthermore, when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in the initialization state, the patient's chest is 5 cm, when the signal is input thereafter, the patient's chest is 5.5 cm, and the patient's chest is 4 cm, when the signal is input again,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by 4.5 cm.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분당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횟수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자의 흉부가 분당 110회,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분당 120회,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분당 100회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compression rate setting button, 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so that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at least one of 100, 110, and 120 times per minute. Furthermore, if an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compression speed setting button in the initialization state, the patient's chest is 110 times per minute, if the signal is input again, the patient's chest is 120 times per minute, and if the signal is input again, the patient's chest is 100 times per minut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so as to be pressed as many times a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 구비된 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nit provided in a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300)는 심전도 측정 유닛(330),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 전기충격 유닛(350) 및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구성요소는 외부에 노출되거나 상기 후드(3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hood 300 further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nit 330, a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an electric shock unit 350, and a chest impedance measurement unit 360. Component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installed inside the hood 300 .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 및 제어 유닛(32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증폭시키고,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에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에 송신한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and the control unit 320, and when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20, detects and amplifies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from the patient, After removing noise from the amplified ECG signal, the EC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심전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가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330 includes an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n analog form when it is detected, a filter that removes noise from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removed by the filte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 A/D converter that converts to may be provided.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은 환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후드(300)의 일측에 구비되되, 환자에게 부착 가능한 전극 또는 패드로 이루어짐으로써, 받침판(100)에 등을 지지하는 환자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nit 3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300 to detect an electrocardiogram signal in analog form from the patient, and is composed of electrodes or pads attachable to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supporting the back on the support plate 100 Detect ECG signals from

여기서, 전극 또는 패드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은 통상적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Here, since a process of detect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of a patient through electrodes or pads is comm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은 상기 후드(300)에 내장되고, 심전도 측정 유닛(330)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함께 동작되도록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과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심전도 측정 유닛(3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is embedded in the hood 300 and is connected to the ECG measurement unit 330 so as to operate together when the ECG measurement unit 33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20. Through this, a digit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330.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은 심전도 측정 유닛(3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면, 디지털 신호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여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shockable rhythm) 또는 충격불필요리듬(nonshockable rhythm)인지 판단하고,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충격 신호를 생성하며, 전기충격 유닛(350)이 동작될 때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에 전기충격 신호를 송신한다.When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receiv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nit 330, the patient's heart rhythm is analyzed by the digita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s heart rhythm is a shockable rhythm or non-shockable rhythm.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nonshockable rhythm,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s heart rhythm is a shock-requiring rhythm, an electric shock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electric shock unit 350 is operated, an electric shock signal is sent to the electric shock unit 350. transmit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은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과 연결되고,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로부터 환자의 심장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될 때 상기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340)로부터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한다.The electric shock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and when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40 determines that the patient's heart rhythm is a shock-requiring rhythm, the control unit 320 ) receives an electric shock signal from the rhythm determination/shock signal generating unit 340.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전기충격 신호를 수신하면 한 쌍의 제1 전극(351)과 한 쌍의 제2 전극(352)에서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하여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한다.Although the electric shock unit 35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upon receiving an electric shock signal, a pair of first electrodes 351 and a pair of second electrodes 352 emit high voltage energy to give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let it happen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도록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 예로는 한 쌍의 제1 전극(351)은 환자의 오른쪽 빗장뼈 아래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전극(352)은 환자의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51 and 352 are preferably attached to the patient's chest so that an electric shock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 It is attached under the bone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and a pair of second electrodes 352 are attached to the armpit next to the patient's left nipple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51 and 3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shock unit 350 through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electric shock unit 350 to emit high voltage energy.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드(300)의 구성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판(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기충격 유닛(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51 and 352 are described as components of the hood 3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00 As an elemen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shock unit 350 to emit high voltage energy.

상기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은 환자의 흉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며, 흉부 임피던스의 측정 방식을 한정하지 아니하나 구체적인 일 예에서는 고전압 에너지의 방출 뿐만 아니라, 전류의 출력이 가능한 전류 출력용 전극인 한 쌍의 제1 전극(351)과 전압 검출이 가능한 전압 검출용 전극인 한 쌍의 제2 전극(352)을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을 연속 측정할 수 있다.The chest impedance measuring unit 360 measures the patient's chest impedance, and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chest impedance is not limited. Using the first electrode 351 and a pair of second electrodes 352 that are voltage detecting electrodes capable of detecting voltage, the patient's chest impedance value can b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chest compression and relaxation.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에서 측정된 환자의 흉부 임피던스 범위 내에서 한 쌍의 제1, 2 전극(351, 352)이 환자에게 적합하게 부착됐는지 여부를 계산하며, 환자의 흉부 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환자의 흉부 이완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b)을 이용하여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계산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20 calculates whether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51 and 352 are properly attached to the patient within the patient's chest impedance range measured by the chest impedance measuring unit 360, and , The profile of the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can be calculated using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a when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and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b when the patient's chest is rela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 유닛(400)은 제1 저장 유닛(410)과 제2 저장 유닛(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저장 유닛(410, 420)에 저장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400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patient's emergency treatment process, and the storage unit 400 is a first storage unit 410 and It may consist of two storage units 42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each storage unit 410, 420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저장 유닛 및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storage unit and stored information provided in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저장 유닛(41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정보(411),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정보(412),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을 완료한 후에 복귀하게 될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정보(413)가 기저장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storage unit 410 includes start time information 411 for starting heart rhythm analysis of the patient, end time information 412 for ending heart rhythm analysis of the patient, and a piston 310 . Information 413 of a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to be returned after completion of chest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 is stored in advance.

상기 제2 저장 유닛(420)은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이 측정한 환자의 흉부 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그 평균값, 환자의 흉부 이완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b)과 그 평균값,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는 압박 시간정보(422),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이완시키는 이완 시간정보(423)가 저장된다.The second storage unit 420 stores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a measured by the chest impedance measurement unit 360 and its average value when the patient's chest is compressed,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b and the average value when the patient's chest relaxes, and the piston In 310, compression time information 422 for compressing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and relaxation time information 423 for relaxing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are stored.

상기 저장 유닛(400)은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장 유닛(410)과 제 저장 유닛(420)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저장 유닛(410)과 제2 저장 유닛(420)은 하나의 저장 유닛으로 마련되어 각 정보가 저장 또는 기저장될 수 있다.Although the storage unit 4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a first storage unit 410 and a second storage unit 420 in on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torage unit 41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420 ) is provided as one storage unit, and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stored or pre-stored.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압박 시간정보와 이완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며, 각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기반으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2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chest impedance according to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using the compression time information and the relaxation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of each chest impedanc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timal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during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을 통해 연속 측정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각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과 상기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 중 일정 개수의 흉부 임피던스 값의 각 평균값과 차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stores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the chest impedance measuring unit 360 when a change occurs in the chest impedance values 421a and 421b according to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A certain number of chest impedance values among the chest impedance values 421a and 421b according to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continuously measured through and the chest impedance values 421a and 421b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You can calculate the absolute value of each average value of and the difference.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계산한 흉부 임피던스의 평균값과 차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절대값 이상의 값인 경우,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되었던 변동이 발생하기 전의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제외하고, 상기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의 제외 후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360)을 통해 측정되는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으로 대체하고, 상기 흉부 임피던스 값(421a, 421b)을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chest impedanc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3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absolute value, the control unit 320 excludes the average value of the chest impedanc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before the fluctuation occurs, After excluding the average chest impedance value, it is replaced with the chest impedance values 421a and 421b according to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measured by the chest impedance measurement unit 360, and the chest impedance values 421a and 421b a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optimal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according to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and relaxation.

즉,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흉부압박시 흉부 임피던스 값(421a)과 흉부이완시 흉부임피던스 값(421b)을 각각 구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각각의 흉부 임피던스 평균값을 이용하여, 만약 전기 충격을 가하는 시점에 흉부 압박이 이루어지면, 흉부 압박시 임피던스 평균값에 해당하는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만약 전기 충격을 가하는 시점에 흉부 이완이 이루어지면, 흉부 이완시 임피던스 평균값에 해당하는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전기충격파형 프로파일이 생성되도록 한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a during chest compression and the chest impedance value 421b during chest relaxation are obtained, and each average value is calculated, and each calculated average value of chest impedance is used. , If chest compression is performed at the time of applying the electric shock, the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impedance value during chest compression is generated, and if chest relaxation is performed at the time of applying the electric shock, the profile of the electric shock waveform corresponds to the average impedance value during chest relaxation. A corresponding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is generated so that an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optimal for the patient is generated.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320)에 성생하는 최적의 바이페이직 전기충격 파형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도 5와 이하의 [표 1]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 the profile of the optimal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able 1 below.

임피던스impedance 첫번째
위상구간
(ms)
first
phase interval
(ms)
두번째
위상구간
(ms)
second
phase interval
(ms)
피크전류(A)Peak current (A) 방전에너지(J)Discharge energy (J) 에너지정확성(J)Energy Accuracy (J)
2525 2.42.4 2.42.4 70.570.5 201201 200(±15%)200 (±15%) 5050 4.44.4 4.44.4 35.635.6 200.7200.7 200(±15%)200 (±15%) 7575 6.56.5 6.56.5 2525 203203 200(±15%)200 (±15%) 100100 8.88.8 8.88.8 18.918.9 204204 200(±15%)200 (±15%) 125125 10.710.7 10.710.7 15.0915.09 202.6202.6 200(±15%)200 (±15%) 150150 12.712.7 12.712.7 12.8112.81 203.8203.8 200(±15%)200 (±15%) 175175 14.814.8 14.814.8 11.1511.15 204.7204.7 200(±15%)200 (±15%) 2525 2.42.4 2.42.4 64.564.5 147.8147.8 150(±15%)150 (±15%) 5050 4.44.4 4.44.4 32.732.7 149.7149.7 150(±15%)150 (±15%) 7575 6.36.3 6.36.3 22.522.5 151.5151.5 150(±15%)150 (±15%) 100100 8.88.8 8.88.8 15.915.9 148.1148.1 150(±15%)150 (±15%) 125125 10.710.7 10.710.7 13.013.0 149149 150(±15%)150 (±15%) 150150 12.712.7 12.712.7 11.011.0 148.2148.2 150(±15%)150 (±15%) 175175 15.015.0 15.015.0 9.59.5 148.8148.8 150(±15%)150 (±15%)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은 양의 파형과 음의 파형을 포함하며,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때, 가해지는 전류 값과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는 환자의 흉부 이완 또는 수축시 측정된 임피던스 평균 값에 따라서 제공되는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피크전류(A) 및 이들을 통해 산출되는 방전에너지(J)을 나타내고 있다.상기 [표 1]에서 방전에너지(J)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전에너지로서 바람직하게는 200J을 성인 환자에게, 150J을 소아 환자에게 가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 the profile of the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includes a positive waveform and a negative waveform, and indicates the applied current value and duration when electric shock is applied to the patient. In addition, in [Table 1], the duration (ms) of the first phase section, the duration (ms) of the second phase section, peak current (A) and The discharge energy (J) calculated through these is shown. In [Table 1], the discharge energy (J) is the discharge energy for adult patients, and preferably 200J can be applied to adult patients and 150J to pediatric patien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의 프로파일은 x축을 지속시간(ms), y축을 전류(A)로 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적인(symmetric)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대칭적인(asymmetric)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the profile of the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has duration (ms) on the x-axis and current (A) on the y-axis, and FIG. It represents a profi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an asymmetric profile.

본 발명을 실제 실시할 때, 상기 [표 1]에 나타난 각각의 임피던스 값에 따른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시간의 지속시간(ms), 피크 전류(A)값은 상기 제어 유닛(320)에 미리 지정된 값으로 흉부의 압박 및 이완시 측정된 임피던스 평균 값에 대응되는 첫 번째 위상구간의 지속시간(ms), 두 번째 위상시간의 지속시간(ms), 피크 전류(A)값으로 바이페이직 전기충격파형 프로파일에 따라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게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practiced, the duration (ms) of the first phase period, the duration (ms) of the second phase time, and the peak current (A) value according to each impedance value shown in [Table 1] The duration (ms) of the first phase period, the duration (ms) of the second phase time, and the peak current ( As value A), an electric shock is applied to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biphasic electric shock waveform profile.

도 5에서 a는 첫 번째 위상구간 이전의 전류 값, b는 첫 번째 위상구간과 두 번째 위상구간 사이의 전류값, c는 두 번째 위상구간 이후의 전류값으로 a와 b와 c값은 모두 같을 수 있다. 또한, α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 전류가 낮아지는 동안 줄어들게된 감소량이고, 마찬가지로 β는 두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전류가 낮아져 줄어들게 된 감소량이며, α와 β값은 서로 같은 값일 수 있다. 또한, A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의 지속시간, B는 두 번째 위상구간에서의 지속시간으로 A와 B값은 같을 수 있다. 또한, ①은 첫 번째 위상구간이 끝나기 직전 전류 값과 두 번째 위상구간이 시작하기 직전 전류값의 차이 값이며, ②는 첫 번째 위상구간에서 피크 전류의 절대값이며, ①과 α의 합은 ②일 수 있다.5, a is the current value before the first phase section, b is the current value between the first phase section and the second phase section, c is the current value after the second phase section, and the values of a, b, and c are all the same. can In addition, α is the reduction amount reduced while the peak current is lowered in the first phase section, and similarly, β is the reduced amount reduced as the peak current is lowered in the second phase section, and the values of α and β may be the same. In addition, A is the duration in the first phase section and B is the duration in the second phase section, and values of A and B may be the same. In addition, ①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value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first phase section and the current value immediately before the start of the second phase section, ②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peak current in the first phase section, and the sum of ① and α is ②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 과정에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5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500)는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500 for detecting information during a patient's emergency treatment process, and the sensor 500 includes a first detection sensor 520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500. It may be made of a sensor 5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ensor provided in the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500)는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를 통해 피스톤(310)의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현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 유닛(320)에 송신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500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iston 310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sensor 520 and the second sensor 530 to generat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iston (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3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20 in real time.

한편,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전에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530 before analyzing the patient's heart rhythm. An example of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310 us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is as follows.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이 분석되기 전에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피스톤(310)의 하단을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며, 피스톤(310)의 하단이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 이동되면 실시간으로 수신한 피스톤(310)의 현위치 정보와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피스톤(310)의 하단이 상기 흉부압박 시작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기 전의 대기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20 moves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to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before the patient's heart rhythm is analyzed, and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When moving to thi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iston 310 received in real time matches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is dispos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By doing so, the piston 310 is in a standby state before compressing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은 환자의 심장 리듬 분석 후에 흉부압박 시작 위치로부터 복수의 버튼에 의한 흉부 압박 모드,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의 설정에 맞게 환자의 흉부가 압박 및 이완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after analyzing the patient's heart rhythm, controls the piston ( 310) can be controlled.

그리고 상기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 및 이완하기 전에,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깊이만큼 피스톤(310)이 하강될 때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310)의 하단과 환자의 흉부 간의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예: 0~2 cm)을 고려한다. 즉,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는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 압박을 위해 배치되어야 할 피스톤(310)의 위치를 의미한다.And before the piston 310 compresses and relaxes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the control unit 320 compresses the patient's chest when the piston 310 descends as much as the chest compression depth set through the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In order to do s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and the patient's chest considers a predetermined distance (eg, 0 to 2 cm). That is,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means the position of the piston 310 to be placed for chest compression of the patient during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또한, 상기 제어 유닛(320)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최적화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서 일정 주기(예: 흉부 압박 모드,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 설정 완료 후 2분 30초)마다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일정 주기마다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하는 것은 환자의 흉부 압박과 이완을 통해 흉부가 함몰되거나 환자가 받침판(100)에 등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움직여져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optimizes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n one embodiment at regular intervals (eg, 2 minutes and 30 seconds after completing the chest compression mode, chest compression depth, and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It can be achieved by updating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n this way, updating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at regular intervals is when the chest is depressed through chest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 or when the patient supports the back on the support plate 100. This is because the patient is moved during the process, so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may not be optimized.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피스톤(3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로부터 사용되는 전기적 정보(예: 전력)와 현재 피스톤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의 변화가 감지될 때,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정보, 모터의 회전수 및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는 제1 감지센서(520) 및 제2 감지센서(530)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320 receives electrical information (eg, power) used from a motor for driving the piston 310 an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iston, so that when a change in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s detected, the patient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can be updated. At this time, the sensors that detect the electrical informati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and the piston moving distance information may be 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530 .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로부터 사용되는 전기적 정보를 감지하며, 전기적 정보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한다.Referring back to FIG. 6 , the first sensor 520 detects electrical information used by the motor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20 .

이러한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의 구동 회로에 구비되어 피스톤(310) 하단의 위치를 파악한 후 실시간으로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may be provided in the driving circuit of the moto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20 in real time.

이때,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제1 감지센서(520)로부터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 위치값을 수신하여 피스톤(310)의 현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에 캡(700)을 결합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제어유닛(320)이 환자의 흉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하우징(710)의 사전 입력된 폭의 값을 고려하여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20 ma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iston 310 by receiving the lower end position value of the piston 310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p 7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to compress the chest of the patient, the control unit 320 is positioned between the chest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housing 710. A lower end position value of the piston 310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put width value.

상기 제1 감지센서(520)가 피스톤 하단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모터의 회전을 통하여 피스톤(310)이 하강할 때에, 허공을 내려오는 중에는 모터의 전력 소모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허공을 내려오는 중 모터의 전력 소모량이 일정하다가 피스톤 하단이 환자의 흉부 표면에 닿는 순간부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모량을 감지하여, 전력 소모량이 증가되는 순간을 환자의 흉부 표면으로 인식하고, 이 때 피스톤 하단의 위치값을 파악하여 상기 제어 유닛(320)에 송신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iston by the first sensor 520, when the piston 310 descend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tor remains constant while descending in the air. While descending into the ai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tor is constant, but from the moment the bottom of the piston touches the chest surface of the patien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motor increases. 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detect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motor, recognizes the moment 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s the surface of the chest of the patient, and at this time, grasps the position value of the lower end of the piston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20. can be sent to

그리고 상기 제1 감지센서(520)는 일정주기마다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 표면과 접촉될 때 전기적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 여부를 감지하고,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 여부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520 detects whether or not the shape of the patient's chest has changed by using a difference in electrical informa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chest surface of the patient at regular intervals, and changes the shape of the chest of the patient. Whether or no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20 .

상기 제2 감지센서(530)는 모터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수와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감지한 후 피스톤(310)의 이동거리 정보를 생성하며,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를 제어 유닛(320)으로 송신한다.The second detection sensor 530 is provided in the motor to detec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iston, and then generat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f the piston 310 and transfer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f the piston to the control unit 320. transmit

상기 센서(500)는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가 구비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센서(520)와 제2 감지센서(530)는 하나의 감지센서로 마련되어 전기적 정보, 모터의 회전수 및 피스톤 이동거리 정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500 is provided with a first detection sensor 520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530 in one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52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530 are Provided as one sensor, it can detect changes in electrical information, motor rotation speed, and piston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환자의 응급처치의 진행을 위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알림 유닛(6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알림 유닛(600)은 제1 알림 유닛(610) 및 제2 알림 유닛(6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600 to notify a user of a voice message for the progress of emergency treatment of a patient, and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include a first notification unit ( 610) and a second notification unit 62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알림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a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될 때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메시지와 갱신되기 전의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을 알리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s updated,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displays a first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has been updated and the patient's previou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before being updated. A second message for notifyi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updated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of the patient is output.

또한,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이 특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제3 메시지를 출력하는데, 상기 제3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기준인 특정된 임계값은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cm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outputs a third messag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and the updated patient's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threshold value. A specific threshold value, which is a criterion for output, is not limited, but may be set to 1 c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일 실시예에서 기존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와 갱신된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 간의 차이값이 1 cm 이상인 경우에 제3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환자의 흉부압박 시작 위치가 갱신될 때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예: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 및 흉부 압박 횟수(예: 분당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위한 제4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may output a third messag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of the existing patient and the updated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of the patient is 1 cm or more. The chest compression depth of the piston 310 (eg, at least one of 4 cm, 4.5 cm, 5 cm, and 5.5 cm) and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eg, 100, 110, and 120 per minute) when the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of A fourth message for requesting the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sessions) may be output.

이때, 환자를 응급처치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용자는 제4 메시지를 제공받은 후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유닛(320)의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압박횟수 설정 버튼에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과 압박횟수 설정 버튼을 통해 흉부 압박 깊이와 흉부 압박 횟수가 선택될 때 흉부 압박 깊이 및 흉부 압박 횟수를 갱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receiving the fourth message, the user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performing emergency treatment uses the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and the number of compressions of the control unit 320 to select the chest compression depth and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of the piston 310. A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tting button to select the depth of chest compression and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of the piston 310, and the control unit 320 may set the depth of chest compression and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through the compression depth setting button and compression number setting button. You can update chest compression depth and chest compression count when count is selected.

그리고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은 제1 감지센서(520)로부터 환자의 흉부 형상 변경이 감지될 경우, 환자의 흉부 형상이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5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Also, when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patient's chest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520,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may output a fifth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 shape of the patient's chest ha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는 청각적 표시장치인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2, 3, 4, 5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음성으로 출력될 때 LED 전광판 또는 LED 점멸등으로 구현되는 LED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시각적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알림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C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messages output from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which is an audible display device, is output as a voice, the LED The same message as the message output from the first notification unit 610 may be visually output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visu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LED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isplay board or a LED flashing light and a display.

상기 제2 알림 유닛(620)은 제어 유닛(320)이 제2 저장 유닛(420)에 저장된 환자의 흉부 압박시와 이완시에 따른 각 흉부 임피던스 평균 값을 이용하여 현재시점에 계산된 흉부 임피던스 값과 차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절대값 이상의 값인 경우에 음성과 시각적 표현을 포함한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second notification unit 620 is the chest impedance value calculated at the present time us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chest impedance according to compression and relaxation of the patient's chest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20 by the control unit 320.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bsolute value, a message including voice and visual expression may be output to notif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심폐소생술장치는 후드(300)와 결합된 지지대(200)가 탈부착을 통해 받침판(100)으로부터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대(200)에 결합된 후드(300)에 구비되는 피스톤(310)의 수축 및 확장을 통해 공간의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PR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00 coupled with the hood 300 is fastened or released from the support plate 100 through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he support 200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100 Through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piston 310 provided in the hood 300 coupled to, CPR is possible without space limitations.

상기 후드(300)는 지지대(200)가 받침판(100)으로부터 체결해제된 후에도 피스톤(3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환자의 심폐소생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가 내장된다.The hood 300 has a built-in battery so tha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the patient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ston 310 even after the support 200 is disengaged from the base plate 100 .

상기 제어 유닛(320)은 상기 후드(300)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판(100)에도 상기 후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지지대(200)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는 상기 후드(300)가 상기 받침판(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자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받침판(100)으로부터 지지대(200)가 분리되면 상기 후드(300)가 내장된 배터리의 전자기 에너지를 통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battery for operating the hood is built in not only the hood 300 but also the support plate 100,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hood ( 300) is controlled to operate through the electromagnetic energy of the battery built into the base plate 100, but when the support 200 is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100, the hood 300 is operated through the electromagnetic energy of the built-in battery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심폐소생술장치가 공간의 제약없이 심폐소생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100) 및 지지대(200)의 일례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As such, an example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the support 200 for allowing the CPR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ceed with CPR without space limitations is as shown in FIGS. 8 to 11 .

제1 실시예Example 1

이하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받침판(100)과 지지대(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following first embodiment, one embodiment of the base plate 100 and the suppor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position to be fastened with the device to be fastened to the pedestal,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판(100)은 지지대(200)와 체결 및 체결해제되기 위한 피체결장치(130)가 구비되며, 상기 피체결장치(130)는 프레임(131), 클램프(132), 체결 해제부재(133) 및 제1 탄성부재(134)가 구비된다.8 and 10, the support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device to be fastened 130 to be fastened and released from the support 200, and the device to be fastened 130 is a frame 131, a clamp 132, a fastening releasing member 133 and a first elastic member 134 are provided.

상기 프레임(131)은 체결장치(230)의 본체(230a)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본체(230a)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131 has an insertion hole having an inner space so that the main body 230a of the fastening device 230 is inserted therein, and the insertion hole preferably has an upper side open so that the main body 230a can be inserted. .

또한, 상기 프레임(131)은 삽입구에 삽입된 본체(230a)가 좌우방향(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ame 131 preferably has a sidewall protruding upward in order to prevent the body 230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rom mov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클램프(132)는 프레임(131)의 일측벽으로부터 삽입구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다.The clamp 132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wall of the frame 131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hole, and has a protrusion for fastening the fastening device 230 to the fastening device 130.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에 삽입될 때, 피체결장치(130)와 상기 체결장치(230)의 체결이 완료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9 ,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allows the fastening device 130 to be fastened with the fastening device 230 whe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a of the fastening part 231. .

상기 체결 해제부재(133)는 프레임(131)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때 본체(230a)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지되,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장치(230)가 상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한다.The fastening release member 13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31, and when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130, it is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0a, and the clamp 132 )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area 231a of the fastening part 231 by pus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0a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30 is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상기 체결 해제부재(133)는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34)가 내장된다.The fastening release member 133 has a built-in first elastic member 134 having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0a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30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device 130.

상기 제1 탄성부재(134)는 본체(230a)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질 때 압축되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부(231)의 체결영역(231a)로부터 이탈될 때 압축 상태로부터 확장되어 체결 해제부재(133)를 누르는 본체(230a)의 하부면을 밀어낼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134 is compressed when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0a, and expands from the compressed stat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231a of the fastening part 231. It is possible to pus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0a) pressing the fastening release member (133).

상기 지지대(20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 및 체결해제되기 위한 체결장치(23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장치(230)가 상기 피체결장치(130)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해제장치(210)가 구비된다.The support 20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device 230 for fastening and releasing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and a fastening release devic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device 230 to the fastened device 130. 210 is provided.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지지대(200)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손잡이 홈(215)에 내장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홈(215)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를 수 있다.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built into a handle groove 215 formed as a pai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200, and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handle groove 215 to release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can be pressed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누르게 되는 체결 해제장치(210)의 손잡이 부분의 상측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체결해제 잠금장치(211)가 눌러져 제3 탄성부재(213)의 탄성력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손잡이 부분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by the coupling release locking device 211 for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handle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which is actually pr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213. When moving upward, the handle portion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may move upward.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상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가 시작될 때부터 체결해제가 완료될 때 까지 눌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from when the fastening device 230 starts to be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until the fastening is completed.

한편,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질 때만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된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것을 통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지 않을 때에도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device 230 is not limited to being fastened to the fastened device 130 only when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210 is pressed, and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shown in FIG. 11 contracts and relaxes. Through this,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can be engaged with the fastened device 130 even when it is not pressed.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본체(230a)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체결부(231), 연결부재(232), 회전축(233) 및 제2 탄성부재(234)가 구비된다.8 and 11, the fastening device 230 has an outer shape of a main body 230a,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231, a connecting member 232, a rotating shaft 233,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34. is provided

상기 본체(230a)는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때를 기준으로, 피스톤(310)을 향하게 되는 내측부에 체결부(231)가 구비되며, 연결부재(232), 회전축(233) 및 제2 탄성부재(234)가 내부공간에 배치된다.The main body 230a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231 on the inner side facing the piston 310, based on when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130, the connecting member 232, The rotating shaft 233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체결부(231)는 원위치일 때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개구 형태의 체결영역(231a)이 형성된다.The fastening part 23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30a when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has an opening shape into which a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serted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30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ed device 130. A fastening area 231a of is formed.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전에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는 경우, 연결부재(232)가 윈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됨과 함께 상부가 결합된 회전축(233)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before the main body 230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131, the fastening part 231 moves upward from the win position and the upper part is engaged.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rotation shaft 233, the lower portion faces the out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본 발명에서, 본체(230a)의 내측부는 심폐소생술장치에서 심폐소생을 받는 환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부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tient receiving CPR is located in the CPR device, and the outer portion refers to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상기 체결부(231)는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이 완료된 후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해제되면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됨과 함께 상기 회전축(233)을 통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released after the main body 230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131, the connecting member 232 moved upward is moved downward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231. As it is returned, i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e rotation shaft 233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30a,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to the device to be fastened 130.

이러한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도 체결장치(230)가 피체결장치(130)에 체결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31 enables the fastening device 23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ed device 130 even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and for this purpose, the fastening device 230 slides along the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t can be.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체결부(231)는 사용자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누르지 않는동안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경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됨과 함께 회전축(233)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부재(232)가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게 되고,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a)에 삽입되어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됨과 함께 회전축(233)을 통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됨을 통해 체결장치(230)를 피체결장치(130)에 체결시킬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main body 230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131 while the user does not press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the fastening part 231 slides along the protrusion of the clamp 132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rotating shaft 233 and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30a, the lower part faces the out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n the process of sliding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a, and the upwardly moved connecting member 232 is moved downwar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e rotating shaft 233. The fastening device 230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130 through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30a.

상기 연결부재(232)는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며, 일단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하측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부(212)와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부(231)의 하부와 결합된다.The connecting member 232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30a,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limiting part 212 for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cking releasing device 2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231 ) is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상기 연결부재(232)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질 때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가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하도록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며,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해제되면 상측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231)가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해지도록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moved upward from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31 faces the out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and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When this is released, the fastening part 231 may be moved downward to be parallel with the inner part of the main body 230a in a state of upward movement, and the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연결부재(232)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지 않아도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며,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a)에 삽입될 때 상측이동된 상태에서 하측이동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는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32 is moved upward from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ing part 231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even if the locking release device 210 is not press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moves upward in the fastening area. When inserted into (231a), a part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contracted and relaxed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a downward movement in a state of upward movement.

상기 연결부재(232)의 일부는 수축 및 이완을 위해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형태(예: 산과 골이 반복되는 사인파형)로 구비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and is provided in a form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eg, a sinusoidal shape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repeated) as shown in FIG. 11 (a). It can be.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232)의 일부는 연결부재(232)가 원위치일 때 수축된 상태이며, 상측 이동될 때 이완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in a contracted state when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can be relaxed when moved upward.

상기 체결장치(230)는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The fastening device 230 is provided with a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art 2320 for limiting a range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contracts and relaxes, as shown in FIG. 11(b).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는 제1 유동공간(2321a)와 제2 유동공간(2321b)이 형성된 수축 및 확장제한 플레이트(2321)가 구비된다.Referring to (b) of FIG. 11 ,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art 2320 includes a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late 2321 in which a first flow space 2321a and a second flow space 2321b are formed.

상기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는 수축 및 확장제한 플레이트(2321)의 제1 유동공간(2321a)을 관통하면서 연결부재(232)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1 걸림돌기(2322)와, 제2 유동공간(2321b)을 관통하면서 연결부재(232)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2 걸림돌기(2323)가 구비된다.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art 232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322 inserted into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while penetrating the first flow space 2321a of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late 2321, and a second A second protrusion 2323 inserted into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while penetrating the flow space 2321b is provided.

상기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는 제1 걸림돌기(2322)가 제1 유동공간(2321a) 내에서만 유동되며, 제2 걸림돌기(2323)가 제2 유동공간(2321b) 내에서만 유동되는 것을 통해 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art 2320 is configured to ensure that the first protrusion 2322 flows only within the first flow space 2321a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3 only flows within the second flow space 2321b.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imit a range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2 contracts and relaxes.

상기 회전축(233)은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체결부(231)의 상부와 결합되고, 연결부재(232)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2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체결부(23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rotating shaft 233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30a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231, and rotates the fastening part 231 in one direc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rotates the fastening part 231 in the other direction when the upwardly moved connecting member 232 moves down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본체(230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와 결합되고, 연결부재(232)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어 체결부(231)의 하부가 외측부를 향하게 될 때 압축되며, 상측이동된 연결부재(232)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체결부(231)가 본체(230a)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이완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30a a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231, and the connecting member 232 is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lower the fastening part 231. is compressed when it faces the outer portion, and is relax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232 moved upward moves down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23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체결부(231)가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allows the fastening part 231 to slide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through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통해 상기 체결부(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astening part 231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is fastened through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b. Part 231 can be rotated.

이러한 상기 제2 탄성부재(234)는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체결 해제장치(210)를 이용하여 체결장치(230)를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의 체결 해제 상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minimizes noise generation due to vib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230 and the fastened device 130 are fastened, and uses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210 to prevent the fastening device 230 from occurring. )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it is preferable to have sufficient elasticity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fastening release state of the fastening device 230 and the fastened device 130.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특징은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으며,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받침판(100)과 지지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following second embodiment, descriptions of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and the base plate 100 and the support 200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nother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는 회전축(233)의 구성이 생략되며, 연결부재(233)는 제1 연결부재(232a)와 제2 연결부재(232b)로 구분된다.12 to 14,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astening device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shaft 233 is omitted, and the connecting member 23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t is divided into a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일단이 이동제한부(212)와 연결되며, 타단이 연결축(2325)을 통해 제2 연결부재(232b)와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ovement limiting unit 21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through a connecting shaft 2325.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32a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restriction part 232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1 연결부재(232a)는 수축 및 확장제한부(2320)가 구비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s not limited to the form provided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ortion 2320, and as a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S. 13 and 14, a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may be formed. can

상기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을 관통하는 연결축(2325)을 통해 제1 연결부재(232a)와 연결되며, 타단이 체결부(231)와 연결된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32b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32a through a connection shaft 2325 penetra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231 .

상기 체결부(23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체결영역(231a)과 다른 형태의 체결영역(231b)이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31 may have a fastening area 231b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e fastening area 231a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은 제1 연결부재(232a)의 타단에 구비되며, 관통하는 연결축(2325)이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형성한다.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and forms a moving space in which the penetrating connecting shaft 2325 moves.

상기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눌러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과정 중 체결 해제장치(210)을 눌러 체결해제 되는 과정은 도20 내지 도 22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체결 해제장치(210)을 눌러 체결되는 과정은 도 20 내지 도 22의 역순으로, 즉 도 22 내지 도 20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shaft 2325 is engaged or disengaged by pressing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The process of pressing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to release the coupl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FIGS. 20 to 22, and the coupling release device ( 21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FIGS. 20 to 22, that is, in the order of FIGS. 22 to 20.

또한, 상기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를 눌러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과정 중에는 상기 연결충(2325)이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위치하는 초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engaged or disengaged by pressing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2325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may be maintained. .

한편, 상기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생략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대향되는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when fasten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omitted. It can be.

체결장치의 체결 방법Fastening method of fastening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실시예의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간의 체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fastening device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astening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rder of the drawings.

또한, 이하에서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herein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will be described as be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of the form shown in FIG. 13 is formed.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피체결장치와 지지대의 체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체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슬라이딩을 통해 피체결장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와 피체결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edestal and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upport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device to be fastened through sliding, and FIG. 1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is completely inserted into a device to be fastened through sliding, and FIG.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받침판(100)의 피체결장치(130)와 지지대(200)의 체결장치(230)가 분리될 때, 상기 체결장치(230)의 체결영역(231b)에는 상기 피체결장치(130)에 구비된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미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15 (a) and (b), when the fastening device 130 of the base plate 100 and the fastening device 230 of the support 200 are separated, the fastening area of the fastening device 230 (231b)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provided in the device to be fastened 130 is not inserted.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체결장치(230)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해 본체(230a)가 사용자에 의해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16, the fastening device 230 is a main body 230a that is attached to the frame 131 by a user so that the fastening part 231 slides along the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t can be placed in a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체결장치(230)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되기 전에, 체결 해제장치(210)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누름이 생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 before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to the fastened device 130 ,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may be pressed by the user or may be omitted.

이와 같이,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생략되는 경우, 연결축(2325)은 도 15의 (b) 및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상태에서, 체결이 진행되는 과정 중(도 17)에 이동홈의 타측으로 배치(도 18)되었다가, 체결이 완료됨에 따라 다시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도 19) 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제한부(212)는 체결 과정 중에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omitted,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as shown in FIGS. 15(b) and 16(b) In the state in which it is arranged, it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groove (Fig. 18) during the process of fastening (Fig. 17), and then again placed on one side of the moving groove 2324 (Fig. 19) as the fastening is completed. can At this time, the fastening process may proce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limiting unit 212 does not move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또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는 경우, 제1 연결부재(232a)는 상측이동되면서 타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상측이동 및 회전되며, 제2 연결부재(232b)는 연결축(225)이 관통된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s moved upward and rotated so that the other end approach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30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One end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shaft 225 passes may be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생략된 경우를 기준으로 체결장치(230)와 피체결장치(130)간의 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fastening device 230 and the fastened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omitted.

도 1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위해, 체결부(231)의 하부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와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17, the fastening device 230 has a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231 of the clamp 132 so that the main body 230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131.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umbling block.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231)의 하부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경우,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art 2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clamp 132,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as shown in FIG. 17(b). As shown, it can be moved to a posi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232b)는 연결축(2325)이 관통된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may be rotated so that one end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haft 2325 passes approaches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도 18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기 전까지, 체결부(231)가 제2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18, the fastening device 230 maintains the fastening part 231 until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b. It can slide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기 전 상태인 경우,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 a stat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b,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As shown in (b) of 18, it can be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이때, 일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이 보다 더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having one end rotated toward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may be rotated so that one end more closely approaches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도 1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부(231)가 클램프(132)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도록 제2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될 때 피체결장치(130)와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19 (a) and (b), in the fastening device 230, after the fastening part 231 slides along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lamp 132,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lamp 13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area ( When 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is rotated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34 to be inserted into 231b), the fastening with the fastened device 130 may be completed.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b,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as shown in FIG. 19(b). As shown, it can be mov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이때,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제2 연결부재(232b)는 일단이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와 대향되는 외측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rotated toward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may be rotated toward an outer portion opposite to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0a.

한편, 제1 연결부재(232a)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4의 제1 연결부재(232a)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내지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생략되어 체결될 때, 도 12의 제1 연결부재(232a)의 경우 체결과정 중 제1 연결부재(232a)가 수축 및 확장과정을 거치고, 도 14의 제1 연결부재(232a)의 경우 체결과정 중 연결축(2325)이 이동홈(232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후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13의 제1 연결부재(232a)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이동제한부(212)는 체결 과정 중에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of the form shown in FIG. 13 is formed, but als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of FIGS. 12 and 14 ( 232a), similarly or when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omitted and fastened, in the cas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of FIG. 12,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contracts and expands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process,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of FIG. 14,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the connecting shaft 2325 moves from one side of the moving groove 2324 to the other side, and then moves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again so that it is fastened. can At this tim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of FIG. 13 , the fastening process may proce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limiting unit 212 does not move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체결장치의 체결해제 방법How to unfasten the fastening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실시예의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장치(230)의 체결해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fastening release method of the fastening device 230 from the fastening device 130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rder of the drawings.

또한, 이하에서 제1 연결부재(232a)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축 이동홈(2324)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32a)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herein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will be described as be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32a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of the form shown in FIG. 13 is formed.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가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and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and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도 2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피체결장치(130)와 체결된 후,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제1 연결부재(232a)가 윈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면서 타단이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제2 연결부재(232b)의 일단이 상기 본체(230a)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20 , after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with the fastened device 130, when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210 is pressed by the user, the first connection As the member 232a is moved upward from the win position, the other end is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30a,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can be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30a. there is.

이때, 상기 체결부(231)는 제2 연결부재(232b)의 회전에 따라 체결영역(231b)에 삽입된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231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231 can be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231b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231b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또한,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by the user, the connecting shaft 2325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도 2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체결 해제장치(210)가 눌러지는동안 클램프(132)의 걸림돌기가 체결영역(231b)으로부터 이탈된 후, 피체결장치(130)가 체결 해제부재(133)에 내장된 제1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으로 체결부(231)를 밀어내는 것을 통해 본체(230a)가 프레임(131)의 삽입구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피체결장치(130)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21, the fastening device 230 is fastened afte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132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231b while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pressed. When the device 130 pushes the fastening part 231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4 embedded in the fastening release member 133, the main body 230a is withdrawn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131, It can be disengaged and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

이때, 상기 체결 해제장치(21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분리가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연결축(2325)은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user until separation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is completed, and accordingly, the connecting shaft 23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 I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disposed on one side of.

도 2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30)는 피체결장치(130)로부터 분리된 후에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상측이동된 제1 연결부재(232a)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본체(2320a)의 내측부에 배치된 타단이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본체(2320a)의 내측부에 배치된 제2 연결부재(232b)가 상기 본체(230a)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22 , when the fastening device 230 is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130 and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210 is released, the first connection is moved upward. As the member 232a moves down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2320a is rotated to approach the outside of the body 230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2320a (232b) can be rotated to approach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230a).

이때, 상기 체결부(231)는 제2 연결부재(232b)의 회전에 따라 본체(230a)의 내측부와 접촉되도록 회전된 후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231 may be rota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art of the main body 230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32b and then returned to an initial state.

또한, 상기 연결축(2325)은 체결 해제장치(210)의 누름이 해제되어도 연결축 이동홈(2324)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shaft 2325 may remai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4 even when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210 is released.

캡의 구성Composition of the cap

한편,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에 부착될 캡(700)은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단단한 재질의 상기 피스톤(310)과 경도가 다른 부재로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p 700 to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and is made of a member having a hard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iston 310 made of a hard material to exert pressure on the patient's chest. It can continuously provide a buffering action that alleviates and distributes

이하에서는, 상기 캡(7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ap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캡의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A-A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B-B 단면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sto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23, and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26 .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부재(710) 및 제2 부재(72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23 to 27 , a first member 710 and a second member 720 are included.

상기 제1 부재(710)는 피스톤(310)과 캡(700)이 끼움결합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를 향해 확장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When the piston 310 expands toward the patient's chest after the piston 310 and the cap 700 are fitted, the first member 710 directly contacts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and thus compresses the patient's chest. can be pressured

또한, 상기 제1 부재(710)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와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환자의 흉부 모양에 순응하는 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ember 710 is made of ethylene-vinyl acetate, polyethylene, 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d, polystyrene, neoprene, chloroprene ( It is made of at least one of chloroprene, polyurethane, and biocompatible silicone,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s, it can be implemented as a foam tha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patient's chest.

그리고 상기 제1 부재(710) 중 생체 적합성 실리콘은 10 내지 30 Shore A 경도, 그 외 소재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ker C 경도는 정해진 형태의 압침을 스프링의 힘으로 시료의 표면에 난입 변형을 주고 시료의 저항력과 스프링의 힘이 벨런스한 상태로의 압침의 시료에 압입된 깊이를 바탕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Asker 경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작은 다이아몬드를 끝 부분에 고정시킨 낙하 물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반발하여 올라온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다.Among the first member 710, biocompatible silicone may have a hardness of 10 to 30 Shore A, and other materials may have a hardness of 10 to 20 Asker C. It can be measured through an Asker hardness tester that gives an intrusive deformation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with the force of the spring and measures the hardness based on the depth of the indentation in the sample in which the resistance force of the sample and the force of the spring are balanced, Shore Shore hardness is the measure of the height raised by repulsion when a falling object with a small diamond fixed on the tip is dropped from a certain height.

또한, 상기 제1 부재(71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711)을 통해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우징(711)에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와 안착부(7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member 710 is formed through the first housing 711, and the first housing 711 includes a plurality of air flow ports 712 and a seating portion 713. ) may be provided.

상기 제1 하우징(711)은 일체 형성된 내부 하우징(711a) 및 외부 하우징(71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하게 된다.The first housing 711 is composed of an integrally formed inner housing 711a and an outer housing 711b, and its lower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하부면에 압력이 전달되면, 사이 공간(A)의 공기 유동을 통해 부피 변화가 발생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가 형성된다.The inner housing 711a has a plurality of air flow ports 712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when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patient's chest to the lower surface during compression of the patient's chest, volume change occurs through air flow in the interspace (A). ) is formed.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의 상측과 바닥부(723)의 사이 공간(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확장되는 피스톤(310)에 의해 공기유동구(712)를 따라 공기가 외부로 유동될 때 부피가 줄어들 수 있고, 이와 달리 환자의 흉부 압박이 종료된 후 환자의 흉부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공기유동구(7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따라 부피가 늘어날 수 있다.The space (A)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bottom portion 723 of the inner housing 711a has volume when air flows outward along the air flow port 712 by the piston 310 that expands during chest compressions of the patient. In contrast, when the patient's chest is separated from the patient's chest after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is finished, the volume may increase according to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flow port 712.

이러한 상기 내부 하우징(711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며 피스톤(310)의 확장에 따라 사이 공간(A)으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중심부에 구비된 안착부(713)가 바닥부(723)의 하부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되고,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711a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during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rocess, and as the piston 310 expands, air flows from the interspace (A) to the outside so that the interspace (A) While the volume is reduced, when the seating portion 713 provided in the cen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723,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A), and after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A) When the piston 310 is contracted,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may drag the patient's chest and move upward.

상기 제1 하우징(711)은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의 경계 부분에 후술될 돌출부재(7230)의 끼움결합이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구(7110)가 형성된다.In the first housing 711, a protruding member insertion opening 7110 capable of fitting a protruding member 72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inner housing 711a and the outer housing 711b.

상기 돌출부재 삽입구(7110)는 돌출부재(7230)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원의 형태로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의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insertion hole 7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a boundary between the inner housing 711a and the outer housing 711b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7230 can be fitted.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은 돌출부재 삽입구(7110)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 부재(710)과 제2 부재(72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내부 하우징(711a)과 바닥부(723)의 사이에 사이 공간(A)이 생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711a and the outer housing 711b have side walls forming the protruding member insertion hole 7110 protruding upward, so that the first member 710 and the second member 720 are fitted together. A space (A) is created between the (711a) and the bottom portion (723).

상기 제1 하우징(711)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때 환자의 흉부에 순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되는 내부 하우징(711a)의 하부면은 적용 가능한 소재 중 환자의 흉부에 순응이 용이한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응급치료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711 needs to adapt to the patient's chest when compressing the patient's chest, and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711a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compression point is one of the applicable materials for the patient's chest. It is preferably made of biocompatible silicone that is easily adaptable to the chest, and through this, it continuously provides a buffering action that relieves and distributes the pressure acting on the patient's chest, thereby preventing rib fractures and hemothorax during emergency treatment. can do.

또한, 상기 제1 하우징(711)은 복수개의 공기유동구(712)로부터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어 안착부(713)가 제2 부재(720)의 바닥부(723)의 하부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사이 공간(A)이 음압 상태가 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housing 711, the air in the space A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flow ports 712 flows to the outside, and the volume of the space A between the first housing 711 is reduced, so that the seating portion 713 is installed in the second member ( 720),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723, the space between them (A) is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711)은 공기 유동에 따른 사이 공간(A)의 부피 변화가 가능하도록 내부 하우징(711a)과 외부 하우징(711b)이 자바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first housing 711, the inner housing 711a and the outer housing 711b may be implemented in a bellows shape so that the volume of the interspace 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ir flow.

상기 제2 부재(720)는 피스톤(310)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1 부재(7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member 7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as the piston 310 is fitted, and may be fitted into the first member 710 .

이러한 상기 제2 부재(72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하나와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부재(710)와 소재가 상이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econd member 72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ember 710 by being made of one of polyurethane and polypropylene and biocompatible silicone.

또한, 상기 제2 부재(720)는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의 경우 40 내지 60 Shore A 경도를, 그 외 소재의 경우 25 내지 30 Asker C 경도를 가짐으로써, 제1 부재(710)와 경도가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mber 720 has a hardness of 40 to 60 Shore A in the case of biocompatible silicone and a hardness of 25 to 30 Asker C in the case of other materials, so that the first member 710 and the hardness may be different.

그리고 상기 제2 부재(72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721), 피스톤 끼움부(722) 및 바닥부(723)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 the second member 72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721, a piston fitting portion 722, and a bottom portion 723 integrally formed.

상기 제2 하우징(721)은 제2 부재(720)의 외형을 이루며, 피스톤 끼움부(722) 및 바닥부(723)와 일체 형성된다.The second housing 72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member 72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ston fitting part 722 and the bottom part 723 .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제2 하우징(721)과 일체 형성되며, 피스톤(310)이 상기 제2 부재(720)의 상부상에서 끼움결합되도록 피스톤 끼움구(7220)를 형성한다.The piston fitting part 7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housing 721, and forms a piston fitting hole 7220 so that the piston 310 is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ember 720.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피스톤(310)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인입 가능한 피스톤 끼움구(722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721)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상태로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제1 피스톤 끼움부(722a), 제2 피스톤 끼움부(722b), 제3 피스톤 끼움부(722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22d)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ston fitting part 722 is a part provided in a bent state from the second housing 721 to form a piston fitting hole 7220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of the piston 310 can be inserted. A first piston fitting part 722a, a second piston fitting part 722b, a third piston fitting part 722c, and a fourth piston fitting part 722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제1 피스톤 끼움부(722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22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22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22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724a, 724b)에는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22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ston fitting part 722 is between the first piston fitting part 722a and the second piston fitting part 722b and between the third piston fitting part 722c and the fourth piston fitting part 722d. A pair of grooves 724a and 724b are formed in the grooves 724a and 724b, which ar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310 when the piston 310 is fitted into the piston fitting 7220. A fastening member may be retracted.

즉, 상기 피스톤(310)은 바닥부(723)에 하단부가 접촉되면서 체결부재가 한 쌍의 홈(724a, 724b)에 인입되는 것을 통해 캡(700)과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piston 310 may be fastened to the cap 700 by be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grooves 724a and 724b while the lower end of the piston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723 .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22)는 피스톤(310)의 체결부재와 홈(724a, 724b)의 결합 및 결합 해제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310)의 체결부재가 한 쌍의 홈(724a, 724b)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부가 제2 하우징(721)의 외측으로 확장(또는 유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하우징(721)과의 사이 공간에는 확장공간(722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iston fitting part 722, the fastening member of the piston 310 is inserted from the pair of grooves 724a and 724b in the process of coupling and releas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 grooves 724a and 724b of the piston 310. Alternatively, the lower part may be extended (or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721 so as to be drawn out. To this end, an expansion space 7221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housing 721 and the second housing 721 .

상기 바닥부(723)는 제2 부재(720)의 하부면으로서 제2 하우징(721)과 일체 형성되며,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220)에 끼움결합될 때 상부면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된다.The bottom part 723 is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72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housing 721, and when the piston 310 is fitted into the piston fitting 7220, the upper surface is the piston (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또한, 상기 바닥부(723)는 돌출부재(7230)이 하부면에 마련되어 돌출부재 삽입구(7110)에 끼움결합되며, 이를 통해 제1 부재(710)와 제2 부재(720)의 끼움결합이 구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mber 72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723 and fitted into the protruding member insertion hole 7110, through which the first member 710 and the second member 720 are fitted. Let it be.

상기 돌출부재(7230)는 돌출부재 삽입구(7110)에 끼움결합되도록 바닥부(723)의 하부면으로부터 원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7230 may protrude in a circular shap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723 so as to be fitted into the protruding member insertion hole 7110 .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of combining with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0: 받침판, 130: 피체결장치,
131: 프레임, 132: 클램프,
133: 체결 해제부재, 134: 제1 탄성부재,
200: 지지대, 210: 체결 해제장치,
211: 체결해제 잠금장치, 212: 이동제한부,
213: 스프링, 215: 손잡이 홈,
230: 체결장치, 230a: 본체,
231: 체결부, 231a, 231b: 체결영역,
232: 연결부재, 232a: 제1 연결부재,
232b: 제2 연결부재, 233: 회전축,
234: 제2 탄성부재, 235: 슬라이딩부재,
2320: 수축 및 확장제한부, 2321: 수축 및 확장제한 플레이트,
2321a: 제1 유동공간, 2321b: 제2 유동공간,
2322: 제1 걸림돌기, 2323: 제2 걸림돌기,
2324: 연결축 이동홈, 2325: 연결축,
300: 후드, 310: 피스톤,
320: 제어 유닛, 330: 심전도 측정 유닛,
340: 리듬 판단/충격신호 생성 유닛, 350: 전기충격 유닛,
351: 한 쌍의 제1 전극, 352: 한 쌍의 제2 전극,
360: 흉부 임피던스 측정 유닛, 400: 저장 유닛,
410: 제1 저장 유닛, 411: 시작 시간정보,
412: 종료 시간정보, 413: 흉부압박 시작 위치 정보,
420: 제2 저장 유닛, 421: 흉부 임피던스 값,
422: 압박 시간정보, 423: 이완 시간정보,
500: 센서, 520: 제1 감지센서,
530: 제2 감지센서, 600: 알림 유닛,
610: 제1 알림 유닛, 620: 제2 알림 유닛,
700: 캡, 710: 제1 부재,
711: 제1 하우징, 711a: 내부 하우징,
711b: 외부 하우징, 712: 공기유동구,
713: 안착부, 720: 제2 부재,
721: 제2 하우징, 722: 피스톤 끼움부,
722a: 제1 피스톤 끼움부, 722b: 제2 피스톤 끼움부,
722b: 제3 피스톤 끼움부, 722d: 제4 피스톤 끼움부,
723: 바닥부, 724a, 724b: 홈,
7110: 돌출부재 삽입구, 7220: 피스톤 끼움구,
7221: 확장공간, 7230: 돌출부재,
A: 사이 공간.
100: support plate, 130: device to be fastened,
131: frame, 132: clamp,
133: fastening release member, 134: first elastic member,
200: support, 210: fastening release device,
211: fastening release locking device, 212: movement limiting unit,
213: spring, 215: handle groove,
230: fastening device, 230a: main body,
231: fastening part, 231a, 231b: fastening area,
232: connecting member, 232a: first connecting member,
232b: second connecting member, 233: rotating shaft,
234: second elastic member, 235: sliding member,
2320: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unit, 2321: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plate,
2321a: first flow space, 2321b: second flow space,
2322: first stumbling block, 2323: second stumbling block,
2324: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2325: connecting shaft,
300: hood, 310: piston,
320: control unit, 330: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nit,
340: rhythm judgment/shock signal generation unit, 350: electric shock unit,
351: a pair of first electrodes, 352: a pair of second electrodes,
360: chest impedance measurement unit, 400: storage unit,
410: first storage unit, 411: start time information,
412: End time information, 413: Chest compression start position information,
420: second storage unit; 421: chest impedance value;
422: compression time information, 423: relaxation time information,
500: sensor, 520: first detection sensor,
530: second detection sensor, 600: notification unit,
610: first notification unit, 620: second notification unit,
700: cap, 710: first member,
711: first housing; 711a: inner housing;
711b: external housing, 712: air flow port,
713: seating part, 720: second member,
721: second housing, 722: piston fitting part,
722a: first piston fitting part, 722b: second piston fitting part,
722b: third piston fitting part, 722d: fourth piston fitting part,
723: bottom, 724a, 724b: groove,
7110: protruding member insertion hole, 7220: piston fitting hole,
7221: expansion space, 7230: protrusion member,
A: Space in between.

Claims (22)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 손잡이 홈에 내장되는 체결 해제장치가 구비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캡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구비된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삽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램프가 구비되는 피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체결부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본체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체결영역에 삽입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동안 또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되고,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질 때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며,
상기 피체결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될 때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의해 눌러지되,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가 내장된 체결 해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체결부가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거나,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탄성력을 통해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치 체결장치가 상기 피체결장치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and a support provided with a fastening release device built into a handle groove formed in a pai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t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and includes a piston equipped with a cap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o compress the patient's chest, and a hood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acting or expanding the piston,
The base plate,
Including; a device to be fastened provided with a frame having an insertion hole and a clamp having a locking protrusion,
the support,
A fastening part that slides along the protrusion of the clamp;
A fastening device formed of a main body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of the fastening unit,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fastening device is released, it is engaged with the fastened device while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pressed or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released,
When fastened with the fastened device,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pressed, the fastened device is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The fastening device,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is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fastening device is fastened to the device to be fastened, and pushe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A fastening release member having a built-in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is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The fastening device,
A second elastic member for allowing the locking part to slide along the hooking protrusion of the clamp through an elastic force or for inserti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nto the fastening area through an elastic force after the lock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and
The fastening part,
By sliding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even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not pressed, the upper fastening devic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PR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하측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device,
A support plate comprising a;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one end connected to a movement limiting unit for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devic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unit.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that can attach and detach the suppo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동안 또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지 않아도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체결부의 하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외측부를 향하도록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며,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되거나,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평행해지도록 상측이동된 상태에서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member is
When the fasten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while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pressed or even when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not pressed,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faces the outer part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inner part of the main body. is moved upward from
When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released o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the fastening part is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to be parallel to the inner part of the main body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base plate and suppo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연결부재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의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측이동된 상기 연결부재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체결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he fastening par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faces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upwardly moved connecting member is moved downward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fastening part is moved upward. Remov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late an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portion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부가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소재로 구성되며,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산과 골이 반복되는 사인파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member is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are detachabl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made of a material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and the crest and bone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peated sine wa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축 및 확장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astening device,
A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unit for limiting the range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ontracts and relaxes; CPR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및 확장제한부는,
제1 유동공간과 제2 유동공간이 형성된 수축 및 확장제한 플레이트;
상기 제1 유동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유동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에 삽입되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제1 유동공간 내에서만 유동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2 유동공간 내에서만 유동되는 것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부가 수축 및 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limiting unit,
a contraction and expansion restriction plate in which a first flow space and a second flow space are formed;
a first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while penetrating the first flow space; and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while penetrating the second flow spac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moves only in the first flow space,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moves only in the second flow space to limit a range in which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contracts and relaxes.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that can attach and detach the support.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일단이 상기 이동제한부와 연결되며 타단에 연결축 이동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와, 일단 및 상기 연결축 이동홈을 관통하는 연결축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astening device,
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vement limiting unit and having a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through a connecting shaft passing through one end and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and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생략되거나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초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necting shaft is
When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is omitted or the pressing of the coupling release device is released, an initial st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pressed,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Cardiopulmonary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a posi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when the fasten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resuscitation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측이동되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necting member is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press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moved upwar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o approac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pproach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so as to.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해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체결부의 하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에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의 하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fastening device is released, the main body is placed in a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so that the fasten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n a state in which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omitted,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When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clamp, the connecting shaft moves to a posi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e CPR device with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기 전까지,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기 전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타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보다 더 상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astening device,
The lock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until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in a stat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the connecting shaft moves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while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ed towards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PR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도록 회전될 때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이 완료되고,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외측부를 향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fastening device,
After the fastening part slides along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rotat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the fastening with the device to be fastened is complete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the connecting shaft moves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ed toward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is rotated toward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체결영역에 삽입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면,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원위치로부터 상측이동되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영역으로부터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이탈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fastened to the fastened devic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egion of the fastening part, when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press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moved upward from the original position. It is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The fastening part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shaf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는동안 상기 클램프의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영역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삽입구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astening device,
Afte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lamp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area while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pressed, when the main body is withdrawn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released from the fastened device and separated Remov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상측이동된 상기 제1 연결부재가 하측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배치된 타단이 상기 본체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접근하도록 회전된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releas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ed devi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at has been moved upward moves down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aces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t is rotated to approach,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is rotated to approach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Detach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fter being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장치와 피체결장치가 체결될 때, 연결부재가 수축하였다가,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연결부재가 다시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member is
When the fastening device and the fastened device ar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not pressed, the connecting member contracts, and after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connecting member is released again.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CPR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누름이 생략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체결과정 중에 수축하였다가,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연결부재가 다시 이완되어 유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movement limiting unit,
When fasten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omit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ontracts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and after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elaxed again and does not flow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that can attach and detach the suppo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피체결장치와 체결해제된 경우, 상기 체결 해제장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체결될 때, 제1 연결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회전 및 상측이동하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축 이동홈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접근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부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되며, 체결완료를 위해 상기 체결 해제장치의 눌림이 해제된 후, 피체결장치와 체결이 완료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및 체결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체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과 지지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심폐소생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astening device,
In the case of disengagement from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fastening release device is engaged in a pressed stat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rotates and moves upward to the inside of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moving groov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o approach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fastening part is rotated to approach the out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fter the pressing of the fastening releasing device is released to complete fastening, the fastening with the fastened device is completed,
Detach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art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fastening state is maintained.
KR1020220167011A 2022-12-02 2022-12-02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KR102574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011A KR102574574B1 (en) 2022-12-02 2022-12-02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011A KR102574574B1 (en) 2022-12-02 2022-12-02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574B1 true KR102574574B1 (en) 2023-09-06

Family

ID=8797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011A KR102574574B1 (en) 2022-12-02 2022-12-02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57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01B1 (en) 1997-02-20 2001-06-15 가네꼬 히사시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CN212395375U (en) * 2020-06-22 2021-01-26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01B1 (en) 1997-02-20 2001-06-15 가네꼬 히사시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CN212395375U (en) * 2020-06-22 2021-01-26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4889A1 (en) Measurement of a compression parameter for cpr on a surface
US11554074B2 (en) Defibrillator display including CPR depth information
EP23084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PR
US9421389B2 (en) CPR assistance and effectiveness display
TW200816956A (en) Electronic blood pressure gauge capable of suitably adjusting internal pressure of cuff,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0780020B2 (en) Maintaining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device adherence
WO2002091905A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with electronic stethoscope
KR101641531B1 (en) Portable type auto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KR102466440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automatic defibrillator fusion system using chest impedance
JP2008136853A (en) Resuscitation system
KR102574574B1 (en)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support leg
EP1517635B1 (en) Method for monitoring intubation
CN211326791U (en) Intelligent control's electron acupuncture device
KR102586908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including release device and locking device
US20060200028A1 (en) Sensor-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KR102455019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automatic defibrillator fu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59284B1 (en) Medical system in whic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automatic defibrillator are fus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1458A (en) Portable type auto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KR20210024874A (en) Monitoring device inserted into human bod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28620A1 (en) A portable automated life-saving system with dynamic adaptation
KR102489017B1 (en) Emergency treatment device for patient chest compression and defibrillation and patient chest compression depth disappearance correction method
WO2018132646A1 (en) Treating sleep apnea with negative pressure and obtaining, with a sleep-apnea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sleep-apnea events and sleep-apnea treatment, and correlating sleep apnea events and sleep-apnea treatment with subject lifestyle and wellbeing
CN206482831U (en) A kind of portable cardiac monitors abdom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N215022059U (en) Transfer single frame with automatic continuous extracardiac pressing function
KR102455020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automatic defibrillator fusion system and its control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