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15B1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515B1
KR102574515B1 KR1020170154160A KR20170154160A KR102574515B1 KR 102574515 B1 KR102574515 B1 KR 102574515B1 KR 1020170154160 A KR1020170154160 A KR 1020170154160A KR 20170154160 A KR20170154160 A KR 20170154160A KR 102574515 B1 KR102574515 B1 KR 10257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ing element
display module
vibration generat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830A (ko
Inventor
김선만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5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30A/ko
Priority to KR1020230114899A priority patent/KR102657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경량화와 슬림화가 가능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발생 소자, 및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증폭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출원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의 전자 기기는 화면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반면에 경량화 및 슬림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전자 기기는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의 음향 장치를 내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경량화 및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자 기기에 내장된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음향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아닌 전자 기기 본체의 후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또는 사용자) 쪽으로 진행하기 않기 때문에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경량화와 슬림화가 가능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발생 소자, 및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증폭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소자,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경량화와 슬림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진동 증폭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되는 진동 변위,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저주파수 또는 고주파수 음압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음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의 여러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진동 증폭 부재의 유무에 따른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하우징(300), 및 진동 발생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갖는 화소 어레이 기판, 화소 어레이를 봉지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복수의 화소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갖는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 또는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발광 소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 등을 보호하고, 수분이 발광 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봉지층은 화소 어레이를 둘러싸는 충진재를 매개로 하여 화소 어레이 기판에 부착되는 봉지 기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충진재는 투명 충진재로 형성할 경우 봉지 기판은 투명 봉지 기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터치 패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한다. 터치 전극층은 사용자 터치에 따른 터치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한다. 예를 들어, 터치 전극층은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에 따라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터치 패널(130)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50)은 필름 부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터치 패널(130)의 상면에 부착된다. 편광 필름은 화소 어레이 기판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화소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포함한다. 그리고, 편광 필름(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봉지층과 터치 패널(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봉지층과 터치 패널(130)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수분 등이 화소 어레이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봉지층 상면에 마련된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은 복수의 화소 각각과 중첩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화소 각각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측면 중 하나를 둘러싼다. 예를 들면,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300)은 하우징 바닥부(310), 및 하우징 측벽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닥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는다.
상기 하우징 측벽부(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둘러싼다. 하우징 측벽부(330)는 하우징 바닥부(310)의 각 외측벽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 측벽부(330)와 하우징 바닥부(310)의 각 외측벽 간의 단면은 그 단면 위치에 따라 "ㅓ"자 또는 "ㅏ"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측벽부(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둘러싼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 측벽부(330)는 하우징 바닥부(310)의 전면(前面) 상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하우징 바닥부(310)의 후면 상에 구동 회로부(600) 등의 회로 구성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주변 회로 등의 수납을 위한 회로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고 진동 구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 방향(Z)으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지렛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구동 회로부(600), 커버 윈도우(700), 및 후면 커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600)는 하우징(300)에 마련된 회로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진동 발생 장치(500)에 연결된다. 구동 회로부(600)는 패널 구동 회로 및 음향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회로 보드에 실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한다. 패널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 어레이 기판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고, 화소 구동 라인들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음향 처리 회로는 오디오 소스를 기반으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진동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0)를 진동시킨다.
상기 커버 윈도우(700)는 하우징(30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면서 하우징(300)의 하우징 측벽부(330)에 마련된 상부 단차부(360)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700)는 글라스(Glass)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7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접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700)는 광학 점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前面)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점착 부재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700)와 하우징(300)의 하우징 측벽(330)에 마련된 상부 단차부(360) 사이에는 완충 부재(20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200)는 양면 테이프 또는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00)는 커버 윈도우(7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하우징(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300)에 결합되어 하우징(300)의 후면을 덮는다. 예를 들면,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300)의 후면에 마련된 회로 수납 공간을 덮는다.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300)의 하우징 측벽부(330)에 마련된 하부 단차부(37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커버(800)는 커버 윈도우(7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커버 윈도우(700)와 다른 글라스(Gla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50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진동 증폭 부재(510), 및 진동 발생 소자(52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증폭 부재(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진동 증폭 부재(510)는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을 증폭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증폭 부재(510)는 시소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에 따른 시소 운동을 통해 진동 발생 소자(5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증폭 부재(510)는 진동 전달 부재(511), 지지대(512), 회전축(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 부재(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진동 전달 부재(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에 따라 다른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큰 경우 진동 전달 부재(511)는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크면 신축성이 낮아 진동 자유도가 확보되지 않는다. 진동 자유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 전달 부재(511)를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를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변위를 증가시키기 용이하고,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작은 경우 진동 전달 부재(511)는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작으면 신축성이 좋아 진동 자유도가 확보된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511)를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지 않아도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는 강성이 높을수록 진동 전달력이 좋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자유도가 확보된 상태에서는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지지대(512)는 진동 전달 부재(511) 및 진동 발생 소자(5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512)의 전면의 좌측 가장자리에 진동 전달 부재(511)가 배치되고, 지지대(512)의 후면의 우측 가장자리에 진동 발생 소자(5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512)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하고 있는 면으로 볼 수 있고, 후면은 전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볼 수 있다. 진동 발생 소자(520)에서 발생한 진동은 진동 발생 부재(5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기 때문에, 진동 발생 소자(5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격되도록 지지대(512)의 후면에 배치되고, 진동 전달 부재(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대(51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증폭 부재(510)는 시소 운동을 통하여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을 증폭할 수 있도록 지렛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512)의 좌측 가장자리에 진동 전달 부재(511)가 배치되고, 지지대(512)의 우측 가장자리에 진동 발생 소자(520)가 배치된다. 여기서 진동 전달 부재(511)와 진동 발생 소자(520)는 서로 양측 가장자리에서 반대되는 쪽에 위치하면 되므로, 진동 전달 부재(511)가 지지대(512)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 소자(520)가 지지대(512)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 및 진동 발생 소자(520)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지지대(51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자연 경화성 접착제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는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접착제의 경화 공정의 열에 의해 진동 발생 모듈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 또는 자연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회전축(5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지지대(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513)은 삼각형 또는 원뿔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회전축(513)의 일측 꼭지점은 지지대(512)와 결합되고, 회전축(513)의 일측 꼭지점과 반대되는 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513)은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513)은 금속 재질, 아크릴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3)은 진동 전달 부재(511)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3)은 피벗(pivot)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증폭 부재(510)는 회전축(513)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부재는 회전축(513)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직접 결합되지 않도록 그 사이에 마련된다. 댐핑 부재는 회전축(513)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축(513)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 증폭 부재(510)는 진동 전달 부재(5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하는 것으로, 회전축(513)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의 간섭이 일어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음향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513)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댐핑 부재를 추가로 마련하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소자(5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 지지대(512)와 결합되어 있다. 진동 발생 소자(520)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지지대(512)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소자(520)는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갖는 압전 물질층, 압전 물질층의 전면에 배치된 제 1 전극, 및 압전 물질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발생 소자(520)는 압전 물질층을 포함하므로, 압전 소자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 물질층은 전계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전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갖는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소자(520)는 고분자 재료의 압전 물질, 박막 재료의 압전 물질, 복합 재료의 압전 물질, 또는 단결정 세라믹 또는 다결정 세라믹의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고분자 재료의 압전 물질은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TrFe), 또는 P(VDFTeFE)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재료의 압전 물질은 ZnO, CdS, 또는 AlN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재료의 압전 물질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PVDF, PZT-Silicon Rubber, PZT-Epoxy, PZT-발포 폴리머, 또는 PZT-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결정 세라믹의 압전 물질은 α-AlPO4, α-SiO2, LiNbO3, Tb2(MoO4)3, Li2B4O7, 또는 ZnO을 포함할 수 있다. 다결정 세라믹의 압전 물질은 PZT계, PT계, PZT-Complex Perovskite계, 또는 BaTiO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압전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과 방열 특성이 우수한 불투명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도전성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지렛대 구조물로 이루어진 진동 증폭 부재(510)와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 소자(520)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진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또는 사용자)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라 전자 기기는 별도의 음향 장치 또는 스피커 없이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을 통해 음향을 시청자 쪽으로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 및/또는 슬림화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진동 증폭 부재(510)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는 진동 변위,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주파수 또는 고주파수 음압의 특성을 개선하고, 음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증폭 부재(510)는 지지대(512)로 진동 전달 부재(511)와 진동 발생 소자(520)를 지지하고, 회전축(513)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면서 진동 발생 소자(520)에서 발생한 진동을 증폭시켜 진동 전달 부재(5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회전축(513)의 형성 위치를 달리한 것으로 이하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513)은 지지대(512)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대(512)와 하우징 바닥부(310) 사시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513)은 삼각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513)의 일측 꼭지점은 지지대(512)와 결합되고, 회전축(513)의 일측 꼭지점과 반대되는 면은 하우징 바닥부(31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513)은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513)은 금속 재질, 아크릴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3)은 진동 전달 부재(511)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진동 발생 부재(511)를 통해서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회전축(513)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되면, 회전축(513)을 통해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어, 진동의 간섭이 일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회전축(513)은 지지대(512)와 하우징 바닥부(31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키지 않고 그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의 여러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진동 발생 장치(500)의 세부 구성의 형성 위치 및 형성 구조를 달리하여 다양한 주파수 및 음압을 가지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 각각을 비교하여 달라진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축(513)이 진동 발생 소자(520)보다 진동 전달 부재(5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축(513)이 진동 전달 부재(511)보다 진동 발생 소자(5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회전축(513)이 진동 전달 부재(511)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는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진동을 전달하고, 진동 전달 부재(511)의 진동 변위는 진동 전달 부재(511)와 회전축(51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511)와 회전축(513)이 인접하게 배치되면, 진동 변위가 작아지고 진동 속도는 커지게 된다. 이처럼 작은 진동 변위와 큰 진동 속도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기 유리하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낮아 고주파수 음압 발생에 좋지 않을 때, 도 4와 같이 회전축(513)과 진동 전달 부재(511)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회전축(513)이 진동 발생 소자(5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511)는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진동을 전달하고, 진동 전달 부재(511)의 진동 변위는 진동 전달 부재(511)와 회전축(513)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513)이 진동 발생 소자(520)와 인접하게 배치되면, 진동 변위가 커지고 진동 속도는 작아지게 된다. 이처럼 작은 진동 변위와 큰 진동 속도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고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이 높아 저주파수의 음압 발생에 좋지 않을 때, 도 5와 같이 회전축(513)과 진동 발생 소자(520)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 및 도7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 소자(520)의 세로폭(W2)은 진동 전달 부재(511)의 세로폭(W1)보다 크다. 여기서 도 6 및 도 7 각각은 도 4 및 도 5 각각에서 달라진 구성이고, 달라진 구성에 대한 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6 및 도 4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도 7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 소자(520)의 세로폭(W2)은 진동 전달 부재(511)의 세로폭(W1)보다 크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진동 발생 소자(520)는 도 4에 도시된 진동 발생 소자(520)에 비하여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소자(520)를 지지하는 영역에서의 지지대(512)의 면적은 진동 전달 부재(511)를 지지하는 영역에서의 지지대(51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지지대(512)는 예를 들어,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0)는 시소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소자(520)와 진동 전달 부재(511) 사이에 배치된 회전축(513)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대(512)의 시소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진동 발생 소자(520)의 세로폭(W2)은 진동 전달 부재(511)의 세로폭(W1)보다 크고, 진동 발생 소자(520)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지지대(512)의 면적은 진동 전달 부재(511)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지지대(512)의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진동 발생 소자(520)에서 발생한 진동은 큰 면적을 가지는 영역에서 작은 면적을 가지는 영역으로 전달됨에 따라 크게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면적을 가지는 진동 발생 소자(520)에서 발생한 진동은 작은 면적을 가지는 진동 전달 부재(5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진동 전달 부재(511)의 작은 면적에 진동 힘이 집중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음압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복합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음향 파워가 낮은 진동 발생 소자(520)의 문제를 개선하고, 음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진동 증폭 부재의 유무에 따른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그래프 A는 진동 증폭 부재를 갖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음향 특성을 나타내며, 그래프 B는 진동 증폭 부재를 갖지 않는 종래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음향 특성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프 A와 같은 전지 기기는 진동 증폭 부재를 통해 진동 발생 소자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함으로써, 그래프 B와 같은 전자 기기 대비 전체적으로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음압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이 특히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프에서 500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은, 1000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의 음압보다 더욱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것과 같이 진동 증폭 부재를 저주파수의 개선에 유리한 구조로 형성하여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증폭 부재를 고주파수 개선에 유리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는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진동 발생 소자(520)의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진동 증폭 부재(510)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는 진동 변위,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주파수 또는 고주파수 음압의 특성을 개선하고, 음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장치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표시장치,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할 경우, 리시버(receiver), 및 스피커(speaker)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발생 소자,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증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증폭 부재는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에 따른 시소 운동을 통해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증폭 부재는,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 진동 발생 소자와 진동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를 시소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회전축은 지지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진동 발생 소자보다 진동 전달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진동 전달 부재보다 진동 발생 소자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발생 소자의 세로폭은 진동 전달 부재의 세로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지지대는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소자,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발생 소자와 진동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회전축은 지지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진동 발생 소자보다 진동 전달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회전축은 진동 전달 부재보다 진동 발생 소자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진동 발생 소자의 세로폭은 진동 전달 부재의 세로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지지대는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완충 부재 300: 하우징
310: 하우징 바닥부 330: 하우징 측벽부
500: 진동 발생 장치 510: 진동 증폭 부재
511: 진동 전달 부재 512: 지지대
513: 회전축 520: 진동 발생 소자
600: 구동 회로부 700: 커버 윈도우
800: 후면 커버

Claims (18)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발생 소자; 및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증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증폭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
    상기 진동 발생 소자와 상기 진동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시소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전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 전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후면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진동 발생 소자가 배치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증폭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에 따른 상기 시소 운동을 통해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증폭하는, 전자 기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진동 발생 소자보다 상기 진동 전달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진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진동 발생 소자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세로폭은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세로폭보다 큰,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전자 기기.
  1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소자;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진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소 회로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갖는 화소 어레이 기판; 및
    상기 화소 어레이 기판 상에 있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소자와 상기 진동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진동 발생 소자보다 상기 진동 전달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진동 전달 부재보다 상기 진동 발생 소자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소자의 세로폭은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세로폭보다 큰, 전자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전자 기기.
KR1020170154160A 2017-11-17 2017-11-17 전자 기기 KR10257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60A KR102574515B1 (ko) 2017-11-17 2017-11-17 전자 기기
KR1020230114899A KR102657969B1 (ko) 2017-11-17 2023-08-30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60A KR102574515B1 (ko) 2017-11-17 2017-11-17 전자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899A Division KR102657969B1 (ko) 2017-11-17 2023-08-30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30A KR20190056830A (ko) 2019-05-27
KR102574515B1 true KR102574515B1 (ko) 2023-09-01

Family

ID=666790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60A KR102574515B1 (ko) 2017-11-17 2017-11-17 전자 기기
KR1020230114899A KR102657969B1 (ko) 2017-11-17 2023-08-30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899A KR102657969B1 (ko) 2017-11-17 2023-08-30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45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KR101333794B1 (ko) * 2011-08-16 2013-11-29 한국세라믹기술원 진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햅틱 장치
KR102393791B1 (ko) * 2015-03-17 2022-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 플레이트 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30A (ko) 2019-05-27
KR102657969B1 (ko) 2024-04-15
KR20230129351A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061B1 (ko) 표시장치
KR1024883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34276B1 (ko) 표시장치
KR1025740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09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256468B2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0971848A (zh) 显示装置和驱动该显示装置的方法
KR202000771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645744B1 (ko) 전자 기기
KR102449246B1 (ko) 전자 기기
KR102495570B1 (ko) 전자 기기
KR102617226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90160B1 (ko) 전자 기기
KR102458174B1 (ko) 전자 기기
KR102574515B1 (ko) 전자 기기
KR102386650B1 (ko) 전자 기기
KR102490349B1 (ko) 전자 기기
KR102567559B1 (ko) 전자 기기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535B1 (ko) 전자 기기
KR201900407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2962A (ko) 전자 기기
KR202200809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900418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