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197B1 -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197B1
KR102574197B1 KR1020210009965A KR20210009965A KR102574197B1 KR 102574197 B1 KR102574197 B1 KR 102574197B1 KR 1020210009965 A KR1020210009965 A KR 1020210009965A KR 20210009965 A KR20210009965 A KR 20210009965A KR 102574197 B1 KR102574197 B1 KR 10257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d tape
carbon nanotube
conductive double
flexibl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236A (ko
Inventor
황지영
박규순
박상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1000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1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non-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07Disposable laminated or multilayered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일면을 노출한 후,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을 기준 전극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한 후, Ag/AgCl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기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센서 레이아웃의 외부에 부착된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모두 제거하는 단계; 상대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상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작동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작동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을 부착한 후 고온 환경하에서 압착 베이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Flexible bio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센서 성능은 보장하면서 센서 제작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는 기질(substrate)을 감지할 수 있는 생체감지물질(bioreceptor)과 기질을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화시켜주는 신호변환기(transducer)로 구성되어 분석하고자 하는 타겟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장치이다.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바이오센서는 신호변환이 가장 간단하며, 다루기 편리하고, 값싼 가격으로 측정 가능한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체내혈당을 확인할 수 있는 혈당센서와 체내 마뇨산과 같은 독성물질을 검출하는 면역센서가 있다.
바이오센서 중 가장 대표적인 혈당센서에 관한 연구로, 현재에는 전자전달매개체(mediator)를 이용하는 2세대 바이오센서를 넘어, 전자전달매개체 없이 체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3세대 방법인 직접전자전달(direct electron transfer)방법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3세대 방법은 글루코오스(Glucose)를 산화시키는 효소인 Glucose Oxidase(GOx)의 전자전달을 돕기 위해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를 ITO 전극에 고정한 카본나노튜브는 높은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극의 표면적을 넓혀 신호를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카본나노튜브는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물에 분산되지 않으므로 실험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카본나노튜브에 생체적합성이 좋은 키토산을 접목시켜 물에 잘 분산되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가 제안 및 활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0969671호 등에서와 같이 종래의 바이오센서는 강성 재질의 실리콘 기판 또는 유리 기판과, 센싱 금속 전극을 통해 구현되는 데, 이러한 경우, 다음의 문제점을 추가적으로 가지게 된다,
첫째, 기판이 강성 재질의 실리콘 기판 또는 유리 기판으로 구현되므로, 접거나 휠 수 있는 형태 변형이 불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 낮은 단점을 가진다.
둘째, 실리콘 기판과 센싱 금속 전극(예를 들어, 금 재질로 구현된 전극)의 제작 단가가 매우 높고, 제작 과정이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셋째, 기존의 전기화학센서는 복잡한 제작 과정 때문에 한번 디자인된 센서의 모양,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렉서블 필름을 활용하여 스티커형으로 구현 가능한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센서 전극을 구현하고,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종이 형태로 사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이와 동시에 균일 품질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일면을 노출한 후,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을 기준 전극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한 후, Ag/AgCl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기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센서 레이아웃의 외부에 부착된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모두 제거하는 단계; 상대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상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작동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작동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을 부착한 후 고온 환경하에서 압착 베이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플렉서블 필름은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미드(PA),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라텍스 중 적어도 하나를 기판 소재로 활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필름 형태로 구현된 필름층, 상기 필름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도성 점착층, 상기 필름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도성 점착층, 상기 제1 전도성 점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제1 보호지, 및 상기 제2 전도성 점착층의 타면에 부착된 제2 보호지로 구현되며, 차후 컷팅 및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전기 전도성 금속,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는 종이 시트 형태로 구현되며, 카본나노튜브의 표면을 키토산 분자가 물리적으로 둘러싸면서 카본나노튜브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을 약하게 하여 복합재료가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기능화되고, 카본나노튜브를 둘러싼 키토산 분자가 서로 수소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응집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필름;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 기준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Ag/AgCl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는 기준 전극; 상대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 전극; 작동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작동 전극; 및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되는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필름을 이용하여 접거나 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가서는 스티커 또는 패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전 제작된 전도성 양면 테이프 및 종이 형태의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플렉서블 필름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모양, 크기 또는 형태를 손쉽게 변경 가능하며, 센서 제작을 위한 별도의 증착 및 건조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바이오센서 제작에 소용되는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향후,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는 소프트 스마트 수트에 적용하여 생물학적 유해물질 검출용 스마트 바이오센서로의 응용 또는 나노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여러 질환과 관련된 기전 및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U-헬스케어 바이오 의료기기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유연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형태의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바이오센서(100)는 플렉서블 필름(110),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된 후, 센서 레이아웃에 따라 컷팅 및 제거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 기준 전극 영역(RE)에 따라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 상에 Ag/AgCl 페이스트(paste)를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는 기준 전극(130), 상대 전극 영역(CE)에 따라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상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 전극(140), 및 작동 전극 영역(WE)에 따라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상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작동 전극(150), 및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전극 미 형성 영역에 부착된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렉서블 필름(110)은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기판으로 이용되며, 이는 유연한 소재인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미드(PA),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라텍스 중 적어도 하나를 기판 소재로 활용하여 구현된 필름으로, 접거나 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다.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신호라인으로 이용된다. 이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필름 형태로 구현된 필름층(121), 필름층(12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도성 점착층(122), 필름층(121)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도성 점착층(123), 제1 전도성 점착층(122)의 일면에 부착된 제1 보호지(124), 및 제2 전도성 점착층(123)의 타면에 부착된 제2 보호지(125)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실루엣(siluouette) 카메오'라는 프로그래밍 종이커팅기, 레이저 커팅기 등에 의해 손쉽게 컷팅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필름층(121)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전기 전도성 금속(Ni, Cu, Ag, Pt, Au 등), 카본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도성 점착층(122, 123)은 전기 전도성 금속,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와, 점착제와 용매를 혼합한 전도성 점착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를 컷팅 및 부착하는 단순 과정을 통해 센서의 각종 신호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센서 생성을 위한 별도의 증착 및 건조 과정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작동 전극 영역(WE)에 부착되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150)는 카본나노튜브의 표면을 키토산(Chitosan) 분자가 물리적으로 둘러싸면서 카본나노튜브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을 약하게 하여 복합재료가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기능화되고, 카본나노튜브를 둘러싼 키토산 분자가 서로 수소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응집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종이 형태로 사전 제작되도록 한다. 카본나노튜브를 둘러싼 키토산 복합 재료는 전자교환성 및 전자흐름성을 향상시켜서 센서의 작동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160)은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보호 및 절연을 위한 것으로, 이 또한 플렉서블 필름(110)과 유사하게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미드(PA),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라텍스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페이스트, 필름, 종이 형태로 기 제작된 전극 물질을 단순 컷팅 및 부착하는 과정만을 거쳐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3세대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센서가 플렉서블 필름 기반으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접거나 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컷팅의 용이성을 통해 스티커, 패치 등과 같은 센서 외관의 다양화을 손쉽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형태의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카본나노튜브(CNT)를 사용하기에 앞서, 5N 염산에 하루 동안 환류시켜 가능한 모든 불순물을 제거한다(S1).
그리고 150mg의 키토산을 빙초산 용액 50mL(pH < 2)에 24시간 동안 녹인다(S2).
그리고 150mg의 카본나노튜브를 키토산 용액에 넣고 고압 균질화기(Nano DeBEE 45-3, BEE International, South Easton MA)로 균질화한다(S3).
그리고 산성의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에 2N의 수산화나트륨을 가해 천천히 중화하였고(S4), 분자량 12000 내지 14000의 분절을 갖는 투석 멤브레인(Spectrum Laboratories, Savannah, GA) 및 증류수로 3일간 투석하여 1200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각종 무기 부산물들을 제거한다(S5).
그리고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건조 트레이에 넣은 후, 항온 건조기를 통해 건조한다(S6).
그리고 건조된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에 약간의 물을 스프레이로 도포하면서 프레스기로 눌려 평편한 종이 시트 형태의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제작 완료한다(S7).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플렉서블 필름(110)을 마련한다(S10).
그리고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에 일면에 부착된 제1 보호지(124)를 모두 제거하여 제1 전도성 점착층(122)을 노출한 후, 제1 전도성 점착층(122)을 통해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일면이 플렉서블 필름(110)의 상부면에 부착시킨다(S20).
그리고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타면에 부착된 제2 보호지(125)상에 기 설정된 센서 레이아웃을 드로잉하고 컷팅한다(S30).
그리고 기준 전극 영역(RE)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제2 보호지(125)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기준 전극 영역(RE)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제2 전도성 점착층(123)에 Ag/AgCl 페이스트(paste)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기준 전극(130)을 형성한다(S40).
그리고 센서 레이아웃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 모두를 제거한다(S50).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준 전극 형성 이후에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제거하도록 하는 데, 그러면 전도성 양면 테이프에 침범된 Ag/AgCl 페이스트(paste)가 전도성 양면 테이프와 함께 제거됨으로써 별도의 전극 패턴 정리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대 전극 영역(CE)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제2 전도성 점착층(123)에 니켈 시트(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상대 전극(140)을 형성한다(S60).
그리고 작동 전극 영역(WE)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제2 전도성 점착층(123)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작동 전극(150)을 형성한다(S70).
마지막으로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120)의 제2 전도성 점착층(123)와 플렉서블 필름(110) 모두에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160)을 부착함으로써,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제작 완료한다(S80).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작 완료된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라미네이팅 기기로 160도 이상의 고온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압착 베이킹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필름과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이 보다 완전히 합착됨으로써 센서 절연성이 향상되며, 또한 센서의 동작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바이오센서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전압-전류 곡선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는 센서으로의 전압 인가 패턴에 따라 전류가 유의미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플렉서블 바이오센서를 또한 종래의 바이오 센서와 동일한 센서 동작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일면을 노출한 후,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을 기준 전극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한 후, Ag/AgCl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기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센서 레이아웃의 외부에 부착된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를 모두 제거하는 단계;
    상대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상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작동 전극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하여 작동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을 부착한 후 고온 환경하에서 압착 베이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는
    카본나노튜브를 키토산 용액에 넣고 균질화 및 중화시켜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건조 트레이에 넣어 건조시킨 후, 물을 분사하면서 프레스기로 누르는 과정을 통해 평편한 종이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은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미드(PA),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라텍스 중 적어도 하나를 기판 소재로 활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필름 형태로 구현된 필름층, 상기 필름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도성 점착층, 상기 필름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도성 점착층, 상기 제1 전도성 점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제1 보호지, 및 상기 제2 전도성 점착층의 타면에 부착된 제2 보호지로 구현되며, 차후 컷팅 및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전기 전도성 금속,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는
    종이 시트 형태로 구현되며, 카본나노튜브의 표면을 키토산 분자가 물리적으로 둘러싸면서 카본나노튜브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을 약하게 하여 복합재료가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기능화되고, 카본나노튜브를 둘러싼 키토산 분자가 서로 수소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응집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제작 방법.
  6. 플렉서블 필름;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되는 전도성 양면 테이프;
    기준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Ag/AgCl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는 기준 전극;
    상대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니켈 시트 또는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 전극;
    작동 전극 영역에 따라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 상에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를 컷팅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작동 전극; 및
    전극 미 형성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전도성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에 부착되는 절연용 플렉서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 재료는
    카본나노튜브를 키토산 용액에 넣고 균질화 및 중화시켜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카본나노튜브-키토산 용액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건조 트레이에 넣어 건조시킨 후, 물을 분사하면서 프레스기로 누르는 과정을 통해 평편한 종이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KR1020210009965A 2021-01-25 2021-01-25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57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65A KR102574197B1 (ko) 2021-01-25 2021-01-25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65A KR102574197B1 (ko) 2021-01-25 2021-01-25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36A KR20220108236A (ko) 2022-08-03
KR102574197B1 true KR102574197B1 (ko) 2023-09-07

Family

ID=8284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965A KR102574197B1 (ko) 2021-01-25 2021-01-25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9924A (zh) * 2023-04-12 2023-07-07 澳门科技大学 光电化学工作电极及其制备方法,光电化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73B1 (ko) 2005-07-19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1042B1 (ko) 2007-07-20 2008-06-24 (주)메인일렉콤 부직포를 이용한 초박형 전도성 양면테이프의 제조방법 및그 제조방법에 의한 전도성 양면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73B1 (ko) 2005-07-19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카본나노튜브-키토산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1042B1 (ko) 2007-07-20 2008-06-24 (주)메인일렉콤 부직포를 이용한 초박형 전도성 양면테이프의 제조방법 및그 제조방법에 의한 전도성 양면테이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ederico Figueredo, Electroanalysis 2018, Vol. 30, pp. 497-508.*
Gabriela Carolina Mauruto de Oliveira et al., Journal of Solid State Electrochemistry, 2020, Vol. 24, pp. 2271-22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36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írez et al. Combining high sensitivity and dynamic range: wearable thin-film composite strain sensors of graphene, ultrathin palladium, and PEDOT: PSS
Zahed et al. Highly flexible and conductive poly (3, 4-ethylene dioxythiophene)-poly (styrene sulfonate) anchored 3-dimensional porous graphene network-based 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glucose and pH detection in human perspiration
Gao et al. All paper-based flexible and wearabl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Khatib et al. Self‐healing soft sensors: from material design to implementation
Tai et al. based sensors for gas, humidity, and strain detections: A review
Zhou et al. Conductive polymer protonated nanocellulose aerogels for tunable and linearly responsive strain sensors
Oh et al. Fabrication of high-sensitivity skin-attachable temperature sensors with bioinspired microstructured adhesive
Pavel et al. Flexible sensors based on conductive polymers
Afsarimanesh et al. A review on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wearable strain sensors
CN111562038A (zh) 一种柔性电容式压力传感器和柔性电容式压力阵列传感器
Santhiago et al. Flexible and foldable fully-printed carbon black conductive nanostructures on paper for high-performance electronic, electrochemical, and wearable devices
Gilshteyn et al. A one-step method of hydrogel modification b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highly stretchable and transparent electronics
Zhai et al. Soft and stretchable electrochemical biosensors
Park et al. Graphene-based conformal devices
Veeralingam et al. Bi2S3/PVDF/Ppy-based freestanding, wearable, transient nanomembrane for ultrasensitive pressure, strain, and temperature sensing
Ko et al. Self-healable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 with high transconductance, fast response, and long-term stability
Nambiar et al. Conductive polymer-based senso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Zhang et al. Human‐like sensing and reflexes of graphene‐based films
Turner et al. Wearable bioelectronics
Lin et al. Superior stretchable conductors by electroless plating of copper on knitted fabrics
Wang et al. Flexible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ensing
Du et al. Transparent and stretchable graphene electrode by intercalation doping for epidermal electrophysiology
Park et al. Stretchable conductive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s in wearable devices
Hsieh et al. Energetically autonomous, wearable, and multifunctional sensor
KR102574197B1 (ko) 플렉서블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