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702B1 - Hybrid heating pipes - Google Patents

Hybrid heating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02B1
KR102573702B1 KR1020220179086A KR20220179086A KR102573702B1 KR 102573702 B1 KR102573702 B1 KR 102573702B1 KR 1020220179086 A KR1020220179086 A KR 1020220179086A KR 20220179086 A KR20220179086 A KR 20220179086A KR 102573702 B1 KR102573702 B1 KR 10257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ing
heat medium
me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22017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내구성과 고른 열전도율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성 면에서 유리한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heating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heating pipe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efficiency, stable durability, and even thermal conductivity,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easy manufacturing, and an advantageous economical asp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Hybrid heating pipes}Hybrid heating pipes {Hybrid heating pipe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내구성과 고른 열전도율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성 면에서 유리한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heating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heating pipe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efficiency, stable durability, and even thermal conductivity,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easy manufacturing, and an advantageous economical asp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금속관 또는 금속판은 산업적으로 다양한 용도로서 이용되는데 특히, 금속관 또는 금속판은 전열관 또는 전열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전열관(heat-pipe)이란, 열을 효율적으로 전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본체(本體)의 재료는 구리, 스테인리스강, 세라믹스, 텅스텐 등이 사용되고, 안벽의 재료로는 다공질의 파이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부의 휘발성 물질로는 메탄올, 아세톤, 물, 수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tal tube or metal plate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dustrially, and in particular, the metal tube or metal plate can be used as a heat transfer tube or a heat transfer plate. A heat-pipe is a pipe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heat. Copper, stainless steel, ceramics, tungsten, etc. are used for the main body, and porous fibers, etc. can be used for the quay wall. Methanol, acetone, water, mercury, etc. may be used as the volatile material of

이와 같은 전열관은 폐열 회수장치, 공기조화 및 냉동 시스템, 전자부품 및 장치의 냉각, 태양열 집열기, 전동기의 냉각, 국부적인 난방 및 열제어, 제빙 및 제설, 원자로의 냉각 계통, 인공위성 및 비행체의 열제어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를 통해, 전열관은 고밀도의 열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운전 소요 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장치의 중량과 부피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Such heat transfer tubes are used for waste heat recovery devices,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cool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devices, solar collectors, cooling of electric motors, local heating and heat control, ice making and snow removal, cooling systems of nuclear reactors, and heat control of satellites and aircraft. Through this example, the heat transfer pipe can effectively transfer high-density heat while reducing driving power and greatly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device.

한편 최근 들어 에너지 절약, 대체에너지의 개발 및 활용, 그리고 전자제품과 전기장치의 냉각 및 소형화 등과 관련하여 전열관에 대한 국내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신뢰도가 높은 전열관을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전열관 즉, 발열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 등으로 인해 그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omestic demand for heat pipes has been further increased in relation to energy saving,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lternative energy, and cooling and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products and electric devic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transfer pipe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high reliability at a lower cost. However, the use of the heat transfer pipe, that is, the heating pipe, reported so far is limited due to the following problems.

첫번째, 종래 일반적인 발열파이프는 열 공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 또는 고분자 물질 등의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넓은 응용이 가능하지만, 열 전달 효율이 낮아서 열 발생 기구 등에서 생성된 열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 등으로 인한 효율적인 이송이 어렵고, 파이프 전체에 고른 열 분산 문제,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 저하로 인한 안정성 문제 및 이와 같은 열 전달 효율과 소재 기술, 그리고 설계 공학이 접목된 연구개발의 난이도로 인하여 열 전달 효율과 우수한 안정성으로 인한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킨 연구는 보고된 바 전혀 없다.First, conventional general heating pipes can be widely applied including heating elements such as metal materials or polymer materials commonly used in heat supply systems, but heat transfer efficiency is low, which is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of heat generated by heat generating devices. Efficient transfer is difficult due to heat loss, etc., problems of even heat distribution throughout the pipe, stability problems due to deterioration in durability against external shocks, and difficulti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combine heat transfer efficiency, material technology, and design engineering No research has been reported that simultaneously satisfies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reliability due to excellent stability.

두번째, 상술한 종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파이프 등의 금속 부재 표면을 다른 금속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여 열 전달 효율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 발열파이프에 대한 연구가 소개된 바 있지만, 이 경우 또한 표면에 코팅된 다른 물질이 발열파이프의 외부 작동 과정에서 오히려 이물질로 작용하여 열 전달을 방해하여 목적하는 만큼의 열 전달 효율을 나타내기 어렵거나 부피, 무게 등의 증가로 인한 응용의 제한과 파이프 내부에 고른 열 분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고, 나아가 다른 금속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로 코팅에 따른 추가적인 공정과 비용문제로 인해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research on heating pipes to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reliability by coating the surface of metal members such as pipes with other metal materials or polymer materials has been introduced, but in this case also Other materials coated on the surface rather act as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external operation of the heating pipe and hinder heat transfer,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heat transfer efficiency or limiting applications due to increase in volume, weight, etc., and inside the pipe The problem of even heat dissipation has not been solved, and furthermore, disadvantageous problem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have been reported due to additional processes and cost problems caused by coating with other metal materials or polymer materials.

세번째, 최근 상기 파이프에 다른 금속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탄소섬유 또는 그래핀을 이용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탄소섬유 또는 그래핀을 파이프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탄소 섬유의 편직을 완료한 후, 스트립 형상의 탄소 섬유를 나선형으로 감는 가공 공정이 일반적이나, 상기 가공 공정에 의하면, 탄소 섬유 자체의 경도가 높지 않고, 그 성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고, 섬유 직경에 따른 비표면적 향상의 한계와 네트워크 구조 형성의 제한으로 인한 발열 효율 면에서의 한계, 그리고 탄소섬유의 파단으로 인한 발열 기능 저하 등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 또한 현재 상용화에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Third, a study using carbon fiber or graphene has recently been reported as part of a study on coating the pipe with another metal or polymer material. As a method of coating carbon fibers or graphene on the surface of a pipe, a common processing step is to spirally wind strip-shaped carbon fibers after knitting the carbon fibers, but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ing process, the hardness of the carbon fibers themselves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mability is low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not high, and the limitation in terms of heat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fiber diameter and the limitation of the network structure form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heat generation function due to the fracture of the carbon fiber. There is no way to solve the phosphorus problem, so this also has not reached commercialization.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신뢰도가 높은 발열파이프를 상대적으로 단순한 공정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탄소나노튜브(CNT)를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으로 표면에 직조하여 발열파이프로서의 고온 유지력과 외부에 대한 안정성 등 신뢰도를 크게 제조하고, 파이프 내부에 열매체를 인입시킴으로써 고른 열 분산과 열 전달 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파이프에 대한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recognizes the need fo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g pipe with excellent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high reliability in a relatively simple process and at low cost, and weaves carbon nanotubes (CNT) on the surface with a hybrid braiding method to produce a heating pipe The invention of a heating pipe capable of remarkably improving even heat dissipation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was completed by manufacturing high reliability such as high temperature holding power and stability to the outside, and introducing a heat medium into the pipe.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발열파이프와 달리 열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화재 및 전자파 발생 등의 위험성이 전혀 없고 상대적으로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성 면에서 큰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was devised based on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conventional heating pipes, there is no risk of fire and electromagnetic wave generation due to not using a heating wire, and manufacturing is possible with a relatively simpl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ting pipe that ha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economy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 온수보일러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매체를 파이프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영하의 외부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빠르고 높은 효율로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발열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pipe that does not generate noise like a conventional hot water boiler and can transfer heat evenly with high efficiency without freezing even at sub-zero external temperatures by introducing a heating medium into the pipe. .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목적과 동시에 잠열 또는 축열물질을 이용하여 열 발생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열을 유도할 수 있어서 종래 열 손실에 따른 경제성을 담보하여 다양한 산업군의 활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는 발열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heat while minimizing heat loss transferred from a heat generating source using latent heat or heat storage material at the same time as the above object, thereby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conventional heat loss and thus various industrial groups It is to provide a heating pip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utilization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탄성 금속 파이프 및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외부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heating pipe including a high modulus metal pipe and carbon fibers bra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는 내부에 열매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elasticity metal pipe may further include a heat medium therein.

또한,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CN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fiber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arbon nanotube (CNT).

또한,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는 격자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may be lattice-woven.

또한,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비표면적은 탄소섬유로 브레이딩 되기 전과 비교하여 1.5 ~ 4배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may be improved by 1.5 to 4 times compared to before being braided with carbon fiber.

또한, 상기 열매체는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열 손실을 방지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mproved by using latent heat to prevent heat loss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또한, 상기 열매체는 잠열물질로 테트라데칸, 노나데칸, 헥사데칸 및 옥타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dium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decane, nonadecane, hexadecane, and octadecane as a latent material.

또한, 상기 열매체는 잠열물질이 0.1 ~ 10 중량%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ent material is mixed with 0.1 to 10%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은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탄소섬유를 브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brid heating pipe comprising the step of braiding carbon fibers on the surface of a highly elastic metal pi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매체를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cluding a heating medium inside the high-elasticity metal pipe.

또한, 상기 열매체를 캡슐 형태로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인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introducing the heat medium into the high elasticity metal pipe in the form of a capsule.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은 열매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매체 조성물을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도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ybrid heating pipe may include a first step of preparing a heat medium composition and a second step of apply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to the insid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통전을 위한 전기선 및 페이스트 및 안전을 위한 라미네이팅를 포함하는 발열 및 온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and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hybrid heating pipe, electric wire and paste for current, and laminating for safety.

본 발명은 종래 발열파이프와 달리 열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화재 및 전자파 발생 등의 위험성이 전혀 없고 상대적으로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성 면에서 큰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온수보일러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매체 조성물을 파이프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영하의 외부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빠르고 높은 효율로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잠열 또는 축열물질을 이용하여 열 발생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열을 유도할 수 있어서 종래 열 손실에 따른 경제성을 담보하여 다양한 산업군의 활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다.Unlike conventional heating pipes,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risk of fire or electromagnetic waves due to not using a heating wire, and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process, so it ha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economy, and furthermore, it has durability against external shock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it does not generate noise like a conventional hot water boiler, and by introduc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into the pipe, it is possible to transfer heat quickly and evenly with high efficiency without freezing even at sub-zero external temperatures. Since heat can be induced while minimizing heat loss,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utilization in various industrial groups by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conventional heat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hybrid he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 발열파이프는 최근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하는 열 전달 효율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conventional heating pipes do not satisfy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required by various industries, research on this is urgently need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탄성 금속 파이프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 및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포함된 열매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hybrid heating pipe including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and a heat medium included in the high modulus metal pipe.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내구성과 고른 열전도율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공정 단순화 및 경제성 면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발열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heating pipe that has excellent heat transfer efficiency, stable durability and even thermal conductivity, an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process simplific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hybrid heating pipe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10)는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100)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200)를 포함한다.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한 공지의 통상적인 고탄성력을 가지는 금속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외경 등 기계적/재료적 특성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The hybrid heating pi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rbon fibers 200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100 . Since the high-elasticity metal pipe can be used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mechanical/mate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of the pip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일반적으로 생활온수, 산업용온수, 온천수 및 집중난방에 널리 사용되는 발열파이프 또는 집중 냉난방용 발열파이프는 열전도율이 낮아 내관의 열손실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발열파이프 내외부에 코팅된 고분자 물질 등은 금속관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더욱 낮아서 내구성 향상과 비표면적 향상을 효과는 별론으로, 열손실 면에서 여전히 불리하다. 이와 같은 신뢰성 저하는 최근 다양한 산업군에서 요구하는 영하의 외부 기온에서 열공급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집중된 냉난방 파이프로 사용할 수도 없는 제한이 된다. Conventionally, heating pipes widely used for domestic hot water, industrial hot water, hot spring water, and centralized heating or centralized heating and cooling pipes have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cannot effectively respond to heat loss in the inner pipe. To compensate for this, polymers coat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eating pipe Materials, etc. have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metal tube materials, so apart from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and specific surface area, they are still disadvantageous in terms of heat loss. This decrease in reliability not only cannot satisfy the demand for heat supply in sub-zero external temperatures required by various industrial groups, but also limits the ability to use it as a concentrated cooling and heating pipe.

즉 종래 탄소섬유 또는 그래핀을 파이프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탄소 섬유의 편직을 완료한 후, 스트립 형상의 탄소 섬유를 나선형으로 감는 가공 공정이 일반적이나, 상기 가공 공정에 의하면, 탄소 섬유 자체의 경도가 높지 않고, 그 성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고, 어떠한 경화 처리를 거치지 않고 탄소 섬유의 일부가 파이프 내벽에 맞닿게 되며, 장시간 사용 후 파이프 내벽에 접촉하는 탄소 섬유는 파이프 내벽에 손상을 일으키게 되어, 발열파이프로의 사용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섬유 직경에 따른 비표면적 향상의 한계와 네트워크 구조 형성의 제한으로 인한 발열 효율 면에서의 한계, 그리고 탄소섬유의 파단으로 인한 발열 기능 저하 등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 또한 현재 상용화에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That is, as a conventional method of coating carbon fibers or graphene on the surface of a pipe, a processing process of winding strip-shaped carbon fibers in a spiral after completing knitting of the carbon fibers is common, bu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cess, the carbon fiber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rdness is not high and the moldability is low, and a part of the carbon fi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 without undergoing any hardening treatment, and the carbon fiber that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pipe after a long time of use causes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As a result, the service life of the heating pipe may be reduced. Furthermore, there is no way to solve chronic problems such as the limitation of improv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ccording to the fiber diameter, the limitation in terms of heating efficiency due to the limitation of network structure form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heating function due to the fracture of carbon fiber. It has not reached commercialization.

이에 본 발명은 고탄성 파이프 표면에 하이브리드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using hybrid braided carbon fibers on the surface of a highly elastic pipe.

이때 상기 탄소섬유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공지의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며, 유기물질의 열분해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탄소만으로 구성된 장섬유(long fibers)나 단섬유(chopped strand), 매트(mat), 또는 직물 (fabrics) 형태의 탄소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는 탄소재료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탄소나노튜브(CNT)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rbon fiber may be a known carbon fiber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referably, long fiber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ist only of carbon produc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s. Carbon fibers in the form of chopped strands, mats, or fabrics may be used, and most preferably, the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are generated by discharging the carbon material. It may be a carbon nanotube (C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탄소섬유가 탄소나노튜브일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에 의하여 고탄성 파이프 표면에 격자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나노튜브는, 자체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발열파이프 자체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이 격자 직조됨으로써 비표면적이 현격히 향상되며 이로 인한 극대화된 열전도율로 인해 발열파이프의 열전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전체에 고른 열분산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격자 직조로 인한 내구성과 외부에 대한 안정성 또한 큰 폭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bon fibers are carbon nanotubes, the carbon nanotubes may be lattice-woven on the surface of a highly elastic pipe by a hybrid braiding method. Such carbon nanotubes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pipe itself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in particular,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remarkably improved by lattice weavin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pipe is greatly improved due to the maximized thermal conductivity. can improve In addition, not only can uniform heat distribution be induced throughout the pipe, but also durability and stability to the outside can be greatly improved due to the lattice weaving of carbon nanotubes.

즉,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로 인하여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비표면적은 탄소섬유로 브레이딩 되기 전과 비교하여 1.5 ~ 4배 향상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섬유가 탄소나노튜브일 경우 이와 같은 비표면적 향상이 더욱 극대화되어 3 ~ 10배까지 비표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로 인하여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비표면적이 1.5배 미만으로 향상되는 경우 목적하는 만큼의 발열 효율 면에서의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내구성이 약하여 파단으로 인한 발열 기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로 인하여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비표면적이 10배를 초과하여 향상되는 경우, 너무 큰 비표면적으로 인해 고른 열 전도면에서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carbon fiber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can be improved by 1.5 to 4 times compared to before braiding with the carbon fiber,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fiber When the fibers are carbon nanotubes, such specific surface area improvement is further maximized,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can be improved by 3 to 10 times. At this time, if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is improved to less than 1.5 times due to the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elasticity metal pipe, there may be a limit in terms of the desired heat generation efficiency, and the durability is weak, resulting in breakage. Decreased fever function may be induced. In addition, if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is increased by more than 10 times due to the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it may be rather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ven heat conduction due to the excessivel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하는 공법은 공지의 통상적인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평직으로 직조하는 경우 상기한 비표면적의 현격한 향상과 내구도의 증가는 기대할 수 없는 바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으로 격자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hybrid braiding the carbon nanotub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ecause a known conventional hybrid braiding method can b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weaving in plain weave, it is preferable to weave a grid by a hybrid braiding method because the above-mention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cific surface area and increase in durability cannot be expected.

한편, 종래 사용되는 발열파이프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본체(本體)의 재료는 구리, 스테인리스강, 세라믹스, 텅스텐 등을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열선 등을 사용하여 외부 영하의 온도에도 온열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다공질의 파이버나 내부의 휘발성 물질로는 메탄올, 아세톤, 물, 수은 등이 사용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켰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used heating pipes use copper, stainless steel, ceramics, tungsten, etc. as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to efficiently transfer heat, and additionally use a heating wire to maintain the heating function even at an external sub-zero temperatur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was improved by using porous fibers or internal volatile substances such as methanol, acetone, water, and mercury.

그러나 이와 같은 발열파이프는 폐열 회수장치, 공기조화 및 냉동 시스템, 전자부품 및 장치의 냉각, 태양열 집열기, 전동기의 냉각, 국부적인 난방 및 열제어, 제빙 및 제설, 원자로의 냉각 계통, 인공위성 및 비행체의 열제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되기에는 각각의 사용환경 및 용도에 따라 고밀도의 열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운전 소요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장치의 중량과 부피를 큰 폭으로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나아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자파 발생 등의 문제로 그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However, such heating pipes are used in waste heat recovery devices,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cool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devices, solar collectors, cooling of electric motors, local heating and heat control, ice making and snow removal, cooling systems of nuclear reactors, satellites and aircraft. In order to be us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thermal control, there is a limit to greatly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device while effectively transporting high-density heat according to each use environment and purpose while reducing the driving power. Due to this, there are restrictions on its use due to problems such as fire or electromagnetic wave generation.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변화 물질은 특정한 온도에서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고체, 액체에서 기체, 기체에서 액체로 상(狀)이 변하면서 많은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잠열재, 축열재 또는 열조절 기능을 하는 물질을 통칭한다. 다만 고체상태의 광물분말만의 포함하는 경우 원적외선 방사 효과는 뛰어날지는 몰라도 축열 기능 저하 및 파이프 내부에서 열 전달이 불균일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또한 만일 액체 상태의 축열물질만을 사용함에 따른 축열액을 완전 밀봉하기 위한 고가의 밀봉구조, 축열액의 침투에 의한 불량 및 침식 발생, 축열매체의 동파 및 과잉가열에 의하여 발열파이프가 녹는 경우에 난방작용의 중단 및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o overcome this, the phase change material commonly used is a latent heat material that can absorb or release a lot of heat while changing phase from solid to liquid, liquid to solid, liquid to gas, or gas to liquid at a specific temperature. A heat storage material or a material that functions as a heat regulator. However, if only solid-state mineral powder is included, the far-infrared radiation effect may be excellent, but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heat storage function and uneven heat transfer inside the pipe. Also, if only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is used, heat storage Problems such as interruption of heating operation and accidents may occur in the case of expensive sealing structure to completely seal the liquid, defects and erosion caused by the penetration of the heat storage liquid, and melting of the heating pipe due to freezing and bursting of the heat storage medium and excessive heating. .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인입된 열매체(300)로 고체 및 액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는 열매체가 가지고 있는 잠열을 이용하여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열 손실을 방지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including solid and liquid phase change materials as the heat medium 300 introduced into the high modulus metal pipe. That is, the heat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by preventing heat loss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by using latent heat possessed by the heat medium.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매체는 특정한 온도에서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고체, 액체에서 기체, 기체에서 액체로 상(狀)이 변하면서 많은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잠열재, 축열재 또는 열조절 기능을 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자체적으로 주위의 열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방출하는 온도 조절 기능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변화 물질이 이용하는 상변화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흡수 또는 방출하는 잠열 또는 고체와 액체 간의 상변화와 관련된 열을 용융열은 에너지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 현열에 비해 상변화 온도에서 수십 배에서 수백배의 에너지 저장 능력과 방출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 현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절약 소재들보다 현격히 우수한 발열 및 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tent heat material, heat storage material, or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or releasing a lot of heat while changing phase from solid to liquid, from liquid to solid, from liquid to gas, or from gas to liquid at a specific temperature. It refers to a material that has a thermal control function, and may be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material that stores heat around itself and releases it when necessary. During the phase chang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nt heat absorbed or releas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or the heat related to the phase change between solid and liqui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storage,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storage. Since it has tens to hundreds of times more energy storage and emission capabilities 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than conventional materials, it can perform significantly better heat and heat functions than energy-saving materials that use sensible hea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열매체로 잠열 물질인 데칸 화합물 및 열 전도도가 우수한 탄소나노물질, 그리고 부동액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cane compound, which is a latent heat material, a carbon nano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an antifreeze as the heat medium.

상기 데칸 화합물은 상변화 물질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파이프의 발열 및 온열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한 공지의 통상적인 데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데칸, 노나데칸, 헥사데칸 또는 옥타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decane compound is a phase change material and performs a key function of heat generation and heating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conventional decane compound may be used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preferably tetradecane.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adecane, hexadecane, and octadecane may be used.

또한, 열매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잠열물질은 0.1 ~ 10 중량%로 혼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잠열물질의 중량이 열매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잠열물질은 0.1 중량%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온열 및 발열 성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만일 열매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잠열물질의 중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열매체 조성물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아서 열의 고른 분산 및 열 전도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ent material may be mix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ting medium composition. At this time, if the weight of the latent heat material is less than 0.1%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heating medium composition,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desired thermal and exothermic performance cannot be obtained. If this amount exceeds 10% by weight, the heat medium composition is not uniformly formed,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ven heat distribution and heat conduction.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파이프의 고른 열 분산과 열 전도 향상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한 공지의 통상적인 탄소나노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공 흑연(porous 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은 망상공구조(reticular pass structure) 및 높은 비표면적, 표면활성, 비극성이 있어 나노 안정 상변화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carbon nanomaterial plays a role in uniform heat dissipation and heat conduction improvement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conventional carbon nano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porous graphite ( Porous graphite and expanded graphite have a reticular pass structure, high specific surface area, surface activity, and non-polarity, so nano-stable phase change materials can be manufactured.

상기 부동액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파이프의 열 전달 속도와 열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한 공지의 통상적인 부동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옥살산, Borax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freeze serves to reduce the heat transfer rate and heat loss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conventional antifreeze may be used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thylene glycol, polyvinyl alcohol,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alic acid, Borax,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액체유와 고체의 축열물질들 각각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액체와 고체 혼합한 열매체를 발열파이프 내부에 인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온열 및 발열기능과 열 전도성이 매우 높고, 열매체가 삽입됨으로 인해 파이프 내부의 온도 전달이 고르게 분산되어 경제성과 열 전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unlike the conventional liquid oil and solid thermal storage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quid and solid mixed heat medium by introducing it into the heating pipe, so the heat and heat func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very high, and the heat medium is insert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transfer inside the pipe is evenly distributed, which greatly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한편, 이와 같은 열매체에 포함되는 물질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친환경적인 방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열매체의 변질을 억제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등 공지의 통상적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included in such a heating medium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known conventional material such as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the heating medium and inhibiting bacterial propagation by further inclu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eservative. can be, so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상기 열매체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파이프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후술할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열매체 조성물을 파이프 내부에 주입하거나 코팅할 수 있고, 보호캡을 이용하여 인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데칸 화합물을 캡슐 코어로, 상기 탄소나노물질, 부동액 기타 단량체 혼합물을 캡슐 쉘로 제조하여 캡슐형태로 발열파이프 내부에 인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캡슐형태는 다른 단량체 혼합물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내열 온도와 기계적 강도가 비교적 높으며 큰 비표면적을 갖고 있어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a method of including the heat medium in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medium composition can be injected or coated inside the pipe a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pipe to be described later, and a method of introducing it using a protective cap The decane compound is used as a capsule core, and the carbon nanomaterial, antifreeze and other monomer mixtures are prepared as a capsule shell,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ipe in the form of a capsule. In this case, the capsule type is prepared by including other monomer mixtures, so it has a relatively high heat resistance temperature and mechanical strength, and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so it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toring and releasing heat.

이때,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상기 열매체 중합체로 제조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입자가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매체의 발열파이프 내부 함유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잠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nomer mixture may include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an epoxy acrylate monomer, and a multifunctional acrylate monomer. That is, spherical particles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a smooth surface can be produced by preparing the heat medium polymer including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an epoxy acrylate monomer, and a multifunctional acrylate monom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ternal content of the heat medium in the heating pipe, so that latent heat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비스페놀 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노볼락-에폭시아크릴레이트, 크레졸-노볼락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및 비페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혼합됨에 따라 쉘의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epoxy acrylate-based monomer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bisphenol A epoxy acrylate, bisphenol F epoxy acrylate, novolak-epoxy acrylate, cresol-novolac epoxy acrylate, and biphenol epoxy acrylate. As the epoxy acrylate-based monomer is mixed with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 and the multi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spherical microcapsules having a smooth surface of the shell can be formed, which is preferable.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2개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능기는 불포화결합인 이중결합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may be an acrylate-based mon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Preferably, the functional group may be a double bond that is an unsaturated bond. The multi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imethylolpropane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ipenta It may b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erythritol penta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glycerol diacrylate, and ethylene diacrylate.

이때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75 내지 85중량%,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 내지 10중량%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nomer mixture may consist of 75 to 85% by weight of a methyl methacrylate monomer, 1 to 10% by weight of an epoxy acrylate-based monomer, and 10 to 20% by weight of a multi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발열파이프와 달리 열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화재 및 전자파 발생 등의 위험성이 전혀 없고 상대적으로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성 면에서 큰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온수보일러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매체 조성물을 파이프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영하의 외부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빠르고 높은 효율로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잠열 또는 축열물질을 이용하여 열 발생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온열을 유도할 수 있어서 종래 열 손실에 따른 경제성을 담보하여 다양한 산업군의 활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conventional heating pipes, there is no risk of fire and electromagnetic waves due to not using a heating wire, and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process, which ha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economy, and furthermore, external impact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it does not generate noise like a conventional hot water boiler, and by introduc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into the pipe, it is possible to transfer heat quickly and evenly with high efficiency without freezing even at sub-zero external temperatures. Since heat can be induced while minimizing heat loss,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utilization in various industrial groups by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conventional heat los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와 통전을 위한 전기선 및 페이스트 및 안전을 위한 라미네이팅를 포함하는 발열 및 온열 시스템 또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heating and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hybrid heating pipe, an electric wire and paste for current, and laminating for safety.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ybrid heating pipe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brid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descriptions of par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oncept as the hybrid heating pipe described above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은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탄소섬유를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하는 단계 및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열매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hybrid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erforming hybrid braiding of carbon fibers on the surface of a highly elastic metal pipe and including a heating medium inside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되는 상기 탄소섬유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공지의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며, 유기물질의 열분해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탄소만으로 구성된 장섬유(long fibers)나 단섬유(chopped strand), 매트(mat), 또는 직물 (fabrics) 형태의 탄소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는 탄소재료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탄소나노튜브(CNT)일 수 있다.Known carbon fiber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the carbon fiber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more preferabl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de only of carbon produc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s. Carbon fibers in the form of long fibers, chopped strands, mats, or fabrics may be used, and most preferably, the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are carbon fibers. It may be a carbon nanotube (CNT) generated by discharging the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탄소섬유가 탄소나노튜브일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에 의하여 고탄성 파이프 표면에 격자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나노튜브는, 자체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발열파이프 자체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이 격자 직조됨으로써 비표면적이 현격히 향상되며 이로 인한 극대화된 열전도율로 인해 발열파이프의 열전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전체에 고른 열분산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격자 직조로 인한 내구성과 외부에 대한 안정성 또한 큰 폭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bon fibers are carbon nanotubes, the carbon nanotubes may be lattice-woven on the surface of a highly elastic pipe by a hybrid braiding method. Such carbon nanotubes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pipe itself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in particular,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remarkably improved by lattice weavin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ing pipe is greatly improved due to the maximized thermal conductivity. can improve In addition, not only can uniform heat distribution be induced throughout the pipe, but also durability and stability to the outside can be greatly improved due to the lattice weaving of carbon nanotubes.

이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하는 공법은 공지의 통상적인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으로는 주로, 고성능 고분자 복합재료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로 혼합(hybrid)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을 응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축 브레이드 (triaxial braid) 직조기계를 이용하여 종축섬유로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또는 공지의 통상적인 보강섬유를, 브레이딩 섬유로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며 적어도 세 방향의 섬유가 서로 교차되어 직조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다만 평직으로 직조하는 경우 상기한 비표면적의 현격한 향상과 내구도의 증가는 기대할 수 없는 바 하이브리드 브레이딩 공법으로 격자 직조하여 비표면적은 탄소섬유로 브레이딩 되기 전과 비교하여 1.5 ~ 4배 향상되도록 브레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a known conventional hybrid braiding method can be used for the hybrid braiding method of the carbon nanotubes,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as a hybrid braid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brid fiber as a technology applicable to high-performance polymer composite materials can be mainly applied. For example, a three-axis braid ( Using a triaxial braid weaving machine, the carbon nanotubes or known conventional reinforcing fibers are used as longitudinal fibers and the carbon nanotubes are used as braiding fibers, and fibers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can be woven by crossing each other. there is. However, in the case of weaving with plain weave, the above-mention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cific surface area and increase in durability cannot be expected, so the hybrid braiding method is used to weave the grid so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improved by 1.5 to 4 times compared to before braiding with carbon fiber. It is desirable to ding.

다음,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열매체를 포함시키는 단계는 열매체를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포함시키는 단계이거나, 상기 열매체를 캡슐 형태로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인입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열매체를 포함시키는 단계는 열매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매체 조성물을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도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tep of including the heat medium in the high modulus metal pipe may be a step of including the heat medium in the high modulus metal pipe or a step of introducing the heat medium into the high modulus metal pipe in the form of a capsul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tep of including the heat medium in the high modulus metal pipe may include a first step of preparing a heat medium composition and a second step of apply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to the insid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는 축열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킨 분산상을 만드는 단계, 상기 분산상을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연속상에 투입하여 분산시켜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멀젼을 현탁중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중합물을 건조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a thermal storage material is added to form a dispersed phase, the dispersed phase is added to a continuous phase containing a polymeric surfactant and dispersed to form an emulsion, and the emulsion i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drying the suspension polymer to prepare a capsule.

이때 분산온도를 10 내지 60℃에서 수행하여 균일하게 융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분산 개시제로 과황산 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과산화물;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3,5,5-트리 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보니트릴, 아조비스이소낙산(부틸산)메틸 등의 질소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dispersion temperature may be carried out at 10 to 60 ° C. to uniformly melt or disper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organic peroxides such as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as dispersion initiators; t-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p-mentane 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cumyl peroxide, acetyl peroxide, isobut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dibenzoyl organic peroxides such as peroxide, 3,5,5-trimethylhexanol peroxide, t-butyl peroxyisobutyrate, and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It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nitrogen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zobiscyclohexane carbonitrile, and methyl azobisisobutyrate (butyrate).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는 0.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일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pyrrolidone may be included as the polymeric surfactant. At this time, the polymeric surfactant may be a surfactant solution of 0.05 to 20%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상기 현탁 중합 반응 온도는 40 내지 80 ℃일 수 있고, 중합 반응 시간은 1 내지 12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로 현탁중합 시 급격한 중합반응에 따른 불안정한 계형성을 방지하여 균일한 캡슐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may be 40 to 80 °C,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ime may be 1 to 12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uniform capsules by preventing unstable system formation due to rapid polymerization during suspension polymerization.

상기 현탁 중합물은 건조 시 통상적인 건조방법으로 실시하는데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무 건조 시 다른 건조방식에 비하여 용해성, 유동성이 우수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캡슐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uspension polymer is not limited to being dried by a conventional drying method, and spray drying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excellent solubility and fluidity compared to other drying methods, so that spherical capsules with a smooth surface can be prepar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uld be interpre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LG-MMA)19g,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KPX) 3.6g 및 에폭시아 크릴레이트(Miramer PE210, Miwon specialty Chemical) 1.2g에 개시제 Vazo52G (Dupont) 0.36g을 첨가한 후, 완전히 용해하였다. 용해된 혼합물에 이후 잠열물질로 n옥타데칸(RT28HC, RUBITHERM)을 하기 표 1 같은 중량%로 포함시키고, 옥타데칸올(stearyl alcohol, Aecochem) 2.8g에 첨가한 후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이어 40℃로 유지시킨 폴리비닐알코올(PVA217, KURARAY POVAL) 10중량% 수용액 79.64ml를 연속상으로 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2,500rpm하에서 상기의 분산상을 2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고 10분간 유화시켜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 후, 교반속도를 300rpm으로 맞추고, 1중량% 인산 수용액으로 pH 4로 조정한 후, 60℃에서 4시간 현탁중합반응을 진행하여 현탁중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중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현 탁중합물을 분무 건조기(FSD-1.5R)를 이용하여 Feeding rate 100ml/min, Atomizer speed 13,000rpm, In let temp. 180℃, Out let temp. 80℃의 조건하에서 분무건조를 실행하여 코어쉘 형태의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캡슐을 가루로 Heatpipe Circle 6120 6mm-120mm 구리 파이프 내부에 메쉬형태의 발열망 형태에 도포하고 충분히 건조하였다.0.36 g of initiator Vazo52G (Dupont) was added to 19 g of methyl methacrylate (LG-MMA), 3.6 g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KPX), and 1.2 g of epoxy acrylate (Miramer PE210, Miwon Specialty Chemical). After that, it was completely dissolved. In the dissolved mixture, n-octadecane (RT28HC, RUBITHERM) was included as a latent heat material in an amount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n added to 2.8 g of octadecanol (stearyl alcohol, Aecochem) to prepare a dispersed phase. Subsequently, 79.64 ml of a 10% by weight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 (PVA217, KURARAY POVAL) maintained at 40 ° C was used as a continuous phase, and the dispersed phase was gradually added over 2 minutes at 2,500 rpm using a homomixer and emulsified for 10 minutes to obtain a stable An emulsion was prepared. Thereafter, the stirring speed was adjusted to 300 rpm, the pH was adjusted to 4 with 1% by weight aqueous phosphoric acid solu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at 60° C. for 4 hours to prepare a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duct. After cooling the suspension polymer to room temperature, the suspension polymer was dried using a spray dryer (FSD-1.5R) at a feeding rate of 100 ml/min, an atomizer speed of 13,000 rpm, and In let temp. 180℃, Out let temp. Spray dry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80° C. to prepare core-shell capsules. Thereafter, the capsule was applied as a powder to a mesh type "heating net" inside a Heatpipe Circle 6120 6mm-120mm copper pipe and sufficiently dried.

실시예 2 내지 4 Examples 2 to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잠열물질로 n옥타데칸 대신에 하기 표 1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열매체를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a heat medium was prepared using the materials shown in Table 1 below instead of n-octadecane as a latent heat material.

실시예 5 내지 8 Examples 5 to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n옥타데칸 중량%를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하여 열매체를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a heat medium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weight % of n-octadecane as shown in Table 1 below.

이후 시차주사열량계(DSC, TA사 Q1000)로 잠열을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reafter, the latent heat was measured with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A Co. Q1000) and is shown in Table 1 below.

  잠열물질latent material 잠열 △H (J/g)Latent Heat △H (J/g) 비고note 종류type 열매체 조성물
전체에 대한 중량%
Heat medium composition
% by weight of the total
실시예 1Example 1 옥타데칸octadecane 44 207.1207.1   실시예 2Example 2 헥사데칸Hexadecane 4.34.3 201.5201.5   실시예 3Example 3 노나데칸nonadecane 4.84.8 176.8176.8   실시예 4Example 4 테트라데칸tetradecane 3.23.2 198198   실시예 5Example 5 옥타데칸octadecane 0.80.8 77.577.5   실시예 6Example 6 옥타데칸octadecane 1.31.3 122.3122.3   실시예 7Example 7 옥타데칸octadecane 7.17.1 164.5164.5  단, 열의 균일분산 안됨However, heat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실시예 8Example 8 옥타데칸octadecane 1313 __ 캡슐형성안됨No capsule formation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Those working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it belongs will readily understand.

10 :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100 : 고탄성 금속 파이프 200 : 브레이딩된 탄소섬유
300 : 열매체
10: hybrid heating pipe
100: high modulus metal pipe 200: braided carbon fiber
300: heat medium

Claims (5)

고탄성 금속 파이프; 및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외부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 를 포함하되,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는 내부에,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의 열 손실을 방지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열매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매체 조성물은 1 ~ 5 중량%로 잠열물질이 혼합되고,
상기 잠열물질은 데칸 화합물이며,
상기 열매체는 캡슐형태로 발열파이프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열매체의 캡슐 코어는 데칸 화합물이며,
상기 열매체의 캡슐 쉘은 단량체 혼합물과 탄소나노물질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highly elastic metal pipes; and
carbon fibers bra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 modulus metal pipe; Including,
The high-elasticity metal pipe further includes a heat medium to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by preventing heat loss of the high-elasticity metal pipe using latent heat,
The heat medium composition is mixed with a latent material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The latent material is a decane compound,
The heat medium is drawn into the heating pipe in the form of a capsule,
The capsule core of the heating medium is a decane compound,
The capsule shell of the heat medium is a mixture of monomers and carbon nanomaterials,
Hybrid heating pi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외부 표면에 브레이딩된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C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
According to claim 1,
The hybrid heat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iber bra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is a carbon nanotube (CNT).
고탄성 금속 파이프 표면에 탄소섬유를 하이브리드 브레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열매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매체 조성물을 상기 고탄성 금속 파이프 내부에 도포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열매체 조성물은 1 ~ 5 중량%로 잠열물질이 혼합되고,
상기 잠열물질은 데칸 화합물이며,
상기 열매체는 캡슐형태로 발열파이프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열매체의 캡슐 코어는 데칸 화합물이며,
상기 열매체의 캡슐 쉘은 단량체 혼합물과 탄소나노물질인,
하이브리드 발열파이프의 제조방법.


Including hybrid braiding carbon fibers on the surfac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A first step of preparing a heat medium composition; and a second step of apply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to the inside of the highly elastic metal pipe. including,
The heat medium composition is mixed with a latent material in an amount of 1 to 5% by weight,
The latent material is a decane compound,
The heat medium is drawn into the heating pipe in the form of a capsule,
The capsule core of the heating medium is a decane compound,
The capsule shell of the heat medium is a mixture of monomers and carbon nanomaterials,
Manufacturing method of hybrid heating pipe.


삭제delete
KR1020220179086A 2022-12-20 2022-12-20 Hybrid heating pipes KR102573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086A KR102573702B1 (en) 2022-12-20 2022-12-20 Hybrid heating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086A KR102573702B1 (en) 2022-12-20 2022-12-20 Hybrid heating pi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702B1 true KR102573702B1 (en) 2023-08-31

Family

ID=8784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86A KR102573702B1 (en) 2022-12-20 2022-12-20 Hybrid heating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70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943A (en) * 2013-06-14 2015-01-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Paraffin-based latent heat storing material composition and use as latent heat storing material of paraffin-based composition
KR20170084803A (en) * 2016-01-13 2017-07-21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Heating pipe have carbon fiber-heating element
KR20190117990A (en)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케이에스엠테크 Fiber .
CN213880297U (en) * 2020-12-31 2021-08-03 东莞市源热电业有限公司 Heating structure of liquid pipe
KR20210117735A (en) * 2020-03-20 2021-09-29 (주)벡터에스 Heating pipe using plate heating el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943A (en) * 2013-06-14 2015-01-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Paraffin-based latent heat storing material composition and use as latent heat storing material of paraffin-based composition
KR20170084803A (en) * 2016-01-13 2017-07-21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Heating pipe have carbon fiber-heating element
KR20190117990A (en)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케이에스엠테크 Fiber .
KR20210117735A (en) * 2020-03-20 2021-09-29 (주)벡터에스 Heating pipe using plate heating element
CN213880297U (en) * 2020-12-31 2021-08-03 东莞市源热电业有限公司 Heating structure of liquid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 et al. Alkylated nanofibrillated cellulose/carbon nanotubes aerogels supported form-stable phase change composites with improved n-alkanes loading capacity and thermal conductivity
Umair et al. Novel strategies and supporting materials applied to shape-stabilize organic phase change materials for thermal energy storage–A review
Zhou et al. Recent advances in organic/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s for energy storage
Atinafu et al. Thermal properties of composite organic phase change materials (PCMs): A critical review on their engineering chemistry
Cheng et al. Different dimensional nanoadditives for thermal conductivity enhancement of phase change material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Alehosseini et al. Nanoencapsulation of phase change materials (PCMs) and their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for energy storage and management
Kashyap et al. Graphene aerogel-based phase changing composites fo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Chen et al. Carbon‐based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s for thermal energy storage, transfer, and conversion
Sundararajan et al. Versatility of polyethylene glycol (PEG) in designing solid–solid phase change materials (PCMs) for thermal management and their application to innovative technologies
Chen et al. Phase change materials for electro-thermal conversion and storage: from fundamental understanding to engineering design
Zhang et al. Encapsulation of inorganic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materials and its effect on thermophysical properties: a review
Hu et al. Stabilized multifunctional phase change materials based on carbonized Cu‐coated melamine foam/reduced graphene oxide framework for multiple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JP3943123B2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 reinforced carbon composite material suitable for heat sink for semiconductor
Li et al. Emerging surface strategies for porous materials-based phase change composites
CN107759427B (en) Alternating micro-layering heat-conducting PBX (polymer bonded explosive) mixed explos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iu et al. A review on thermal properties improvement of phase change materials and its combination with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Yang et al. Review on organic phase change materials for sustainable energy storage
CN105543545A (en) Short carbon fiber composite graphene reinforced copper base wear resistant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573702B1 (en) Hybrid heating pipes
CN113717695A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fused salt-based composite phase-change heat storage large capsule
Nguyen et al. Glutaric acid/expanded graphite composites as highly efficient shape-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s at medium-temperature
JPH0490499A (en) Heat accumulation device
kumar Dubey et al. Emerging phase change materials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for a clean and sustainable environment: an approach towards net zero
Wu et al. Polyethylene Glycol–Calcium Chloride Phase Change Material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Shape Stability by Introducing Three-Dimensional Carbon/Carbon Fiber Felt
CN109585756A (en) A kind of lithium battery diaphragm and its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