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20B1 - Light irradiation module for detachable and this using a pet feed bowl - Google Patents
Light irradiation module for detachable and this using a pet feed bow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620B1 KR102573620B1 KR1020210005490A KR20210005490A KR102573620B1 KR 102573620 B1 KR102573620 B1 KR 102573620B1 KR 1020210005490 A KR1020210005490 A KR 1020210005490A KR 20210005490 A KR20210005490 A KR 20210005490A KR 102573620 B1 KR102573620 B1 KR 102573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irradiation module
- detachable
- light irradi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1 med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24 photoluminesc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349 indirect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035 D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1695 Dermanyssus gall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151 Stomatognath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5 animal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027 skele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그릇에 탈부착 가능한 광조사 모듈을 이용하여 질병감염 및 예방이 필요한 개체의 청결유지와 면역증진을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광에 노출시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탈부착 광조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탈부착 광조사 모듈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음식그릇을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음식그릇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광소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복수의 스위치와 화면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전자부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that can prevent diseases by naturally exposing to light while eating food to maintain cleanliness and improve immunity of an object requiring disease infection and prevention by using a light irradiation module that is detachable from a food bowl, and to prevent disease. It is about a used pet food bowl.
To this end,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includes a guide unit supporting the food bowl while inducing light and food intake direction to the individual,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guide unit along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bowl, and food intake.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object during the face, a sensor element installed behind the optical element to recognize or recognize the object, and a battery connected to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circuit board It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screen display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청결 및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는 광에 노출시켜 건강을 관리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that manages health by exposing pets to light capable of maintaining cleanliness and immunity continuously while eating food, and a food bowl for pets using the same.
각종 질병은 환경과 개체를 통해 전염 및 돌연변이의 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다.Various diseases spread worldwide in the form of contagion and mutation through the environment and individuals.
일반적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예방은 병원의 약용치료를 실시하고 동물개체의 경우 포획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하기 때문에 환경적 경제적 부담이 크다.In general,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is a great environmental and economic burden because medical treatment is performed in hospitals and animals are captured and treated in hospitals.
의사처방 없이 개체의 피하주사 및 약물치료는 보통 불법이기 때문에 청결과 자가면역체계를 정상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Since subcutaneous injection and drug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out a doctor's prescription is usually illegal, cleanliness and maintaining the autoimmune system within normal ranges contribute greatly to effective disease prevention.
세균과 바이러스 등 질병원인을 박멸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동물의 사육 장치, 브러시, 장난감 등에 광소자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특허 제10-2014-0166031호 “애완동물 구강 살균 장치”와 한국특허 제10-2017-0152035호 “반려견용 자외선 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는데 LED의 자외선을 이용한 치아와 피부 질환 관리이다. 한국특허 제10-2018-0030611호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 한국특허 제10-2015-0042423호 “육계 사육 원적외선 LED 조명 장치”와 한국특허 제10-2016-0076026호 “가축사육용 복합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은 피부 질병 관리를 위한 사육 장치에 관한 내용이다. In order to eradicate disease cause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and activate the immune system, optical devices are often included in animal breeding devices, brushes, and toys. Korean Patent No. 10-2014-0166031 "pet sterilization device" and Korean Patent No. 10-2017-0152035 "ultraviolet brush for dogs" are disclosed, which are dental and skin disease management using LED's ultraviolet rays. Korean Patent No. 10-2018-0030611 “Chicken mite control system by control”, Korean Patent No. 10-2015-0042423 “Far-infrared ray LED lighting device for breeding broilers” and Korean Patent No. 10-2016-0076026 “For livestock breeding Complex light lighting device and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is about a breeding device for skin disease management.
대부분의 살균 및 치료광 관련 기술특허들이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거나 원거리에서 개체를 향해 장시간 비효율적으로 광을 노출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Most of the technology patents related to sterilization and therapeutic light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y require additional time and effort or inefficiently expose light toward an object from a long distanc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음식그릇에 탈부착 가능한 광조사 모듈을 이용하여 질병감염 및 예방이 필요한 개체의 청결유지와 면역증진을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광에 노출시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탈부착 광조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by using a light irradiation module that is detachable from a food bowl, it is naturally exposed to light while eating food to maintain cleanliness and enhance immunity of objects requiring disease infection and preven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nd a food bowl for pets using the same to preven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음식그릇을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음식그릇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광소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복수의 스위치와 화면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art for supporting a food bowl while inducing a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an object,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bowl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detachably installed along the guide unit,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object during food intake, and an optical elemen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ptical element to recognize or recognize the object It may include a sensor element that supplies power to the circuit board, a battery charg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circuit board to charge the battery, and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screen display device.
상기 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전달방식에 따라 상기 음식그릇에 상기 광소자의 광이 직접식, 간접식, 및 직접식과 간접식이 혼합된 혼합식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ransmission method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device, the light of the optic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food bowl in one of direct, indirect, and mixed types.
상기 광소자의 간접식 전달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방출되는 광을 개체의 얼굴전체를 향해 굴절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ens unit may further include a lens unit that refracts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guide unit toward the entire face of the subject for indirect transmission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소자는 점광원 및 면광원 형태의 발광면을 나타내는 LED, OLED 및 QLED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use at least one of LEDs, OLEDs, and QLEDs that exhibit a light emitting surface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and a surface light source.
상기 광소자는 전계발광(EL; electroluminescence)과 전계발광의 광발광(photoluminescence)을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use electroluminescence (EL) and photoluminescence of electroluminescence.
상기 광소자의 배열은 400nm 내지 1300nm의 광파장 영역에서 발광하는 광소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may use at least one of optical elements emitting light in a light wavelength region of 400 nm to 1300 nm.
상기 광소자는 무기물 광발광물질, 유기물 광발광물질, 나노크기결정체, 및 양자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device may use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an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nano-sized crystals, and quantum dots.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전기전자부품을 동작하기 위한 전기회로에 가해지는 전원공급원은 전기회로 전원공급 직접식, 전기회로 전원공급 간접식, 배터리 기반 전원공급 직접식, 배터리 기반 전원공급 간접식 중 하나 이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source applied to the electric circuit for operating the optical device and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 is at least one of a direct electric circuit power supply type, an electric circuit power supply indirect type, a battery-based power supply direct type, and a battery-based power supply indirect type.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사용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소자를 포함시켜 스마트폰, 휴대용단말기, 컴퓨터, 서버, 기지국 중 하나 이상과 직접적/간접적(매개를 통해)으로 통신하여 사용제어, AI(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비전, 딥러닝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빈도, 개체분류, 사용시간, 사진/동영상, 개체상태 및 환경(계절과 날씨)에 맞는 광 종류 및 세기 조절, 위치기반 질병전염도 파악을 통해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lement and communicates directly/indirectly (via a mediator) with one or more of a smartphone, a portable terminal, a computer, a server, and a base station to control usage, AI (Artificial Intelligence),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of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can be used, frequency of use, object classification, usage time, photo/video, object condition and environment (season and weather), light type and intensity control, location-based disease Contagiousness identification can provide administrators and users with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그릇 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그릇 본체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가이드부와 간격을 두고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를 수직된 방향으로 연결하여 개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bowl for pets using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uide portion that supports the bowl body while inducing the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the individual, and is detachable from the guide portion along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wl body.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installed to allow light to be exposed to the face of the object during eating,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a sensor elemen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part to recognize or recognize the object, and the guide part Installed on the floor at intervals from,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n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having a control module, and the guide unit and the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vertically It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by connecting in a direction.
상기 그릇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owl body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guide part.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상기 광소자의 광의 산란 및 반사를 통해 광을 개체의 얼굴 전체를 향해 굴절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ens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unit to refract light toward the entire face of the subject through scattering and reflection of the light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될 수 있다.The battery charging unit may be assembled and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 및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t food bowl using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for inducing the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the individual, respectively, and faces the individual during food intake.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a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a base plate installed below the guide part, a bowl body detachably installed above the base plate, and the guide part installed on the top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A sensor element for recognizing may be included.
상기 가이드부는 개체가 진입하는 전방을 개방하여 ㄷ 자형을 이룰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form a U-shape by opening a front side into which an object ent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그릇 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직접식 OLED 광원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광의 반사 또는 산란으로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간접식 LED 광원부,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식 OLED 광원부와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t food bowl using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the guide part for supporting the bowl body while inducing light and food intake direction to the individual, and during food intake. A direct OLED light source unit for exposing light in the face direction of the object, an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installed outside the guide unit for exposing light in the face direction of the object by reflection or scattering of light installed outside the guide unit, and an object installed in front of the guide unit It may include a sensor element for recognizing or recognizing, a battery installed under the guide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direct OLED light source unit and 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and an electrical component storage unit having a control circuit board.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는 상부에 광반사 또는 산란 유도부 및 광변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체에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has a light reflection or scattering induction unit and a light conversion unit provided thereon to indirectly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to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및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패드형의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t food bowl using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for inducing the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the individual, respectively, and faces the individual during food intake. An electrical component storage unit having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a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to a circuit board, a battery installed below the guide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 battery charging unit charging the battery, and a control module. , A bowl bod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a sensor elemen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unit to recognize or recognize the objec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to determine the bioelectrical impedance of the object It may include a pad-typ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that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는 개체의 무게를 파악하는 타일화된 무게센서,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 및 개체가 밟고 올라가는 발디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may include a tiled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object, a bioelectrical imped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bioelectrical impedance of the object, and a stepping portion on which the object steps.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에 따르면, 탈부착 광조사 모듈이 개체를 인식/인지하여 음식의 섭취시간 동안 청결 및 면역력에 도움되는 광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킴으로써 질병의 예방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nd pet food bow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recognizes/recognizes an object and naturally exposes light helpful for cleanliness and immunity during food intake time, thereby preventing diseases. It has effective advantages.
또한, 음식그릇에 탈부착 가능한 광조사 모듈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질병전염의 취약한 개체의 얼굴, 입, 눈, 코 등 부위에 자연스럽고 집중적으로 광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청결 및 면역력이 향상되고 질병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to a food bowl, it is possible to naturally and intensively expose light to parts such as the face, mouth, eyes, nose, and the like of an individual vulnerable to disease transmission while eating food. This can improve cleanliness and immunity and help prevent dise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배터리 충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전방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에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과 각 기기와의 통신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guide portion of a pet food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attery charger of a pet food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pet food bowl of FIG. 5 is opened.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et food bowl of FIG. 7 .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is applied to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pet food bowl and each device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t food bowl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배터리 충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guide portion of a pet food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attery charger of a pet food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은 가이드부(20), 회로기판(30), 광소자(40), 센서소자(50), 배터리 충전부(62), 및 전기전자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은 애완동물의 음식그릇에 적용되어 개체(애완동물)가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치료광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은 광을 개체에 직접 전달하거나 간접 전달, 및 직접식과 간접식을 혼합하여 광을 개체에 전달할 수 있다.1 to 4, the detacha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의 가이드부(20)는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음식그릇을 지지하고, 상기 회로기판(30)은 음식그릇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광소자(40)는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30)에 배열되고, 상기 센서소자(50)는 광소자(40)의 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부(62)는 회로기판(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와 연결되어 배터리(61)를 충전하고, 상기 전기전자부품은 배터리 충전부(62), 복수의 스위치와 화면표시장치를 구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은 상기 광소자(40)에서 출력되는 광의 전달방식에 따라 음식그릇에 광소자(40)의 광이 직접식, 간접식, 및 직접식과 간접식이 혼합된 혼합식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상기 광소자(40)의 간접식 전달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20)를 통해 방출되는 광을 개체의 얼굴전체(눈, 코, 입, 턱, 귀 등)를 향해 효과적으로 굴절시키는 렌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A
또한, 상기 광소자(40)는 점광원 및 면광원 형태의 발광면을 나타내는 LED, OLED 및 QLED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광소자는 전계발광(EL; electroluminescence)과 전계발광의 광발광(photoluminescence)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광소자(40)의 배열은 400nm 내지 1300nm의 광파장 영역에서 발광하는 광소자(40)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광소자(40)는 무기물 광발광물질, 유기물 광발광물질, 나노크기결정체, 및 양자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또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은 광소자(4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반사시켜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광반사부, 및 상기 가이드부(20)를 음식그릇에 효과적으로 탈부착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의 음식그릇 사용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소자를 포함시켜 스마트폰, 휴대용단말기, 컴퓨터, 서버, 기지국 중 하나 이상과 직접적/간접적(매개를 통해)으로 통신하여 사용제어, AI(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비전, 딥러닝 등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빈도, 개체분류, 사용시간, 사진/동영상, 개체상태 및 환경(계절과 날씨)에 맞는 광 종류 및 세기 조절, 위치기반 질병전염도 파악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ood bowl usag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또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을 음식그릇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탈부착 고정장치와 빗물유입방지, 외부물팀유입방지, 방출광을 개체로 광반사를 위한 보호커버의 탈부착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detachable fixing device for effectively fixing the detachable
즉, 상기 음식그릇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탈부착 고정장치는 자석, 요철형기구, 벨크로, 벤딩 중 하나 이상을 기구로서 포함하고 빗물유입방지, 외부물튐유입방지, 방출광을 개체로 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보호커버의 탈부착 고정장치는 홈, 자석, 요철형기구, 벨크로, 벤딩 중 하나 이상을 기구로서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detachable fixing device for effectively fixing the food bowl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et, a concave-convex mechanism, Velcro, and bending as a mechanism, and prevents rainwater inflow, external water splash prevention, and protection for inducing reflection of emitted light into an object. The detachable fixing device of the cover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groove, a magnet, a concave-convex mechanism, Velcro, and a bending mechanism.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그릇 본체(1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그릇 본체(10)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30),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30)에 배열된 광소자(40), 상기 가이드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50), 상기 가이드부(20)와 간격을 두고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 상기 배터리(61)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62), 및 제어모듈(63)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60), 및 상기 가이드부(20)와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60)를 수직된 방향으로 연결하여 개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즉,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은 광소자(40)를 이용하여 개체의 얼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개체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개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70)를 이용하여 가이드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그릇 본체(10)는 가이드부(20)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광소자(40) 광의 산란 및 반사를 통해 광을 개체의 얼굴 전체를 향해 굴절시키는 렌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렌즈부(80)를 이용하여 광소자(40)에서 발생되는 광을 간접적으로 개체의 얼굴에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generated from the
또한, 상기 배터리 충전부(62)는 높이조절부(7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바, 상기 배터리 충전부(62)에 전원을 연결하여 배터리(61)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61)의 전원을 통해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의 광소자(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70) 또한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되어 음식그릇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전방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pet food bowl of FIG. 5 is opened.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A)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30)에 배열된 광소자(40),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6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4)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10), 및 상기 가이드부(20)는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50)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A)은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2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21)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21)의 온 동작으로 상기 광소자(40)에서 광이 발생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B)의 가이드부(20)는 개체가 진입하는 전방을 개방하여 ㄷ 자형을 이루는 것으로, 개체가 상기 가이드부(20)에 진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et food bowl of FIG. 7 .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C)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그릇 본체(1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직접식 OLED 광원부(90), 상기 가이드부(20)의 외측에 설치되어 광의 반사 또는 산란으로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간접식 LED 광원부(91), 상기 가이드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50),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식 OLED 광원부(90)와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9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 및 제어 회로기판(63a)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또한,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91)는 상부에 광반사 또는 산란 유도부 및 광변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91)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체에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rect LED
즉,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C)은 광소자(40)를 통해 발생하는 광을 개체에 직접식으로 조사하거나 간접식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40)의 광이 개체에 직접식과 간접식을 혼합한 혼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That is, the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에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is applied to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은 개체에게 광과 음식섭취의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30)에 배열된 광소자(40), 상기 가이드부(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 상기 배터리(61)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62), 및 제어모듈(100)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60),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60)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10), 상기 가이드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50), 및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패드형의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또한,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는 개체의 무게를 파악하는 타일화된 무게센서(2a),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2b), 및 개체가 밟고 올라가는 발디딤부(2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이 패드형의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닥에 깔린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 위에 상기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을 설치하고,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와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는 개체의 근육과 지방을 분석하여 체중, 골격근, 및 체지방량을 표시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과 각 기기와의 통신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pet food bowl and each device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음식그릇 사용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소자를 포함시켜 스마트폰(200), 휴대용단말기, 컴퓨터(300), 서버, 기지국 중 하나 이상과 직접적/간접적(매개를 통해)으로 통신하여 사용제어, AI(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비전, 딥러닝 등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빈도, 개체분류, 사용시간, 사진/동영상, 개체상태 및 환경(계절과 날씨)에 맞는 광 종류 및 세기 조절, 위치기반 질병전염도 파악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ood bowl usage information is performed directly/indirectly (via a mediator) with one or more of a
즉,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은 다양한 기기들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바, 상기 스마트폰(200)과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브러쉬(400),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2), 목걸이(500), 및 리드선(600)이 갖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탈부착 광조사 모듈(100)이 개체를 인식/인지하여 음식의 섭취시간 동안 청결 및 면역력에 도움되는 광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킴으로써 질병예방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detachable
또한, 음식그릇에 탈부착 가능한 광조사 모듈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질병전염의 취약한 개체의 얼굴, 입, 눈, 코 등 부위에 자연스럽고 집중적으로 광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청결 및 면역력이 향상되고 질병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to a food bowl, it is possible to naturally and intensively expose light to parts such as the face, mouth, eyes, nose, and the like of an individual vulnerable to disease transmission while eating food. This can improve cleanliness and immunity and help prevent disease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A,1B,1C: 애완동물용 음식그릇 2: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
2a: 무게센서 2b: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
2c: 발디딤부 10: 그릇 본체
20: 가이드부 21: 스위치
30: 회로기판 40: 광소자
50: 센서소자 60: 전기부품 보관부
61: 배터리 62: 배터리 충전부
63: 제어모듈 63a: 제어 회로기판
64: 베이스플레이트 70: 높이조절부
80: 렌즈부 90: 직접식 OLED 광원부
91: 간접식 LED 광원부 100: 탈부착 광조사 모듈
200: 스마트폰 300: 컴퓨터
400: 브러쉬 500: 목걸이
600: 리드선1, 1A, 1B, 1C: pet food bowl 2: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2a:
2c: foot step 10: bowl body
20: guide part 21: switch
30: circuit board 40: optical element
50: sensor element 60: electric parts storage unit
61: battery 62: battery charging unit
63:
64: base plate 70: height adjustment unit
80: lens unit 90: direct OLED light source unit
91: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100: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200: smartphone 300: computer
400: brush 500: necklace
600: lead wire
Claims (19)
상기 음식그릇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광소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전기전자부품; 을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 guide unit for supporting a food bowl while inducing a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an individual;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guide part along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bowl;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subject during eating;
a sensor element installed behind the optical element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a battery charger connected to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to charge the battery;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omprising a.
상기 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전달방식에 따라 상기 음식그릇에 상기 광소자의 광이 직접식, 간접식, 및 직접식과 간접식이 혼합된 혼합식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of the optical element is transmitted to the food bowl in one of direct, indirect, and mixed types of direct and indirec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소자의 간접식 전달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방출되는 광을 개체의 얼굴전체를 향해 굴절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2,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lens unit for refracting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guide unit toward the entire face of the subject for indirect transmission of the optical element.
상기 광소자는 점광원 및 면광원 형태의 발광면을 나타내는 LED, OLED 및 QLED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element is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t least one of LED, OLED and QLED representing a light emitting surface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and a surface light source.
상기 광소자는 전계발광과 전계발광의 광발광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4,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element uses electroluminescence and photoluminescence of electroluminescence.
상기 광소자의 배열은 400nm 내지 1300nm의 광파장 영역에서 발광하는 광소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5,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y of optical elements uses one or more of the optical elements that emit light in the light wavelength region of 400 nm to 1300 nm.
상기 광소자는 무기물 광발광물질, 유기물 광발광물질, 나노크기결정체, 및 양자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6,
Th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element uses at least one of in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s,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s, nano-sized crystals, and quantum dots.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전기전자부품을 동작하기 위한 전기회로에 가해지는 전원공급원은 전기회로 전원공급 직접식, 전기회로 전원공급 간접식, 배터리 기반 전원공급 직접식, 배터리 기반 전원공급 간접식 중 하나 이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source applied to the electric circuit for operating the optical device and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 is at least one of a direct electric circuit power supply type, an electric circuit power supply indirect type, a battery-based power supply direct type, and a battery-based power supply indirect type.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use.
상기 음식그릇 사용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소자를 포함시켜 스마트폰, 휴대용단말기, 컴퓨터, 서버, 기지국 중 하나 이상과 직접적/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사용제어, AI, 컴퓨터비전, 딥러닝의 API을 사용하고, 사용빈도, 개체분류, 사용시간, 사진/동영상, 개체상태 및 환경에 맞는 광 종류 및 세기 조절, 위치기반 질병전염도 파악을 통해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ood bowl usage information include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irectly/indirectly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of a smartphone, a portable terminal, a computer, a server, and a base station to control usage, AI, computer vision, and API of deep learning. detachable light that provides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to administrators and users through use frequency, object classification, use time, photos/videos, light type and intensity adjustment suitable for object condition and environment, and location-based disease transmission degree identification investigation module.
상기 그릇 본체에 닿는 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가이드부와 간격을 두고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를 수직된 방향으로 연결하여 개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 guide unit supporting the bowl body while inducing light and food intake directions to the individual;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guide unit along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wl body;
an optical element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subject during eating;
a sensor elemen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unit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an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installed on the floor at a distance from the guide unit and hav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 battery charging unit charging the battery, and a control module; and
A food bowl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unit that connects the guide unit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storag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상기 그릇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ccording to claim 10,
The bowl body is a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installed in the guide portion.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상기 광소자의 광의 산란 및 반사를 통해 광을 개체의 얼굴 전체를 향해 굴절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ccording to claim 10,
Pet food bowl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lens unit for refracting light toward the entire face of the object through scattering and reflection of the light of the optical elemen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unit.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ccording to claim 10,
The battery charging unit is a food bowl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and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 및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Guide unit for inducing the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the subject;
optical element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arranged on a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subject during eating;
a base plate installed under the guide part;
a bowl bod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and
A food bowl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omprising a; sensor element installed on top of the guide unit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상기 가이드부는 개체가 진입하는 전방을 개방하여 ㄷ 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guide portion is a food bowl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U-shape by opening the front where the object enters.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직접식 OLED 광원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광의 반사 또는 산란으로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한 간접식 LED 광원부;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식 OLED 광원부와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 guide unit supporting the bowl body while inducing light and food intake directions to the individual;
a direct OLED light source unit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and exposing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subject during eating;
an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installed outside the guide unit to expose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object by reflection or scattering of light;
a sensor element installed in front of the guide unit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including a battery installed below the guide unit and hav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direct OLED light source unit and 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and an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having a control circuit board. food bowl.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는 상부에 광반사 또는 산란 유도부 및 광변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접식 LED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개체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is provided with a light reflection or scattering induction unit and a light conversion unit on the upper portion to indirectly transmi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indirect LED light source unit to the object. .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음식섭취 동안 개체의 얼굴 방향으로 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회로기판에 배열된 광소자;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전기부품 보관부;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릇 본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체를 인식 또는 인지하는 센서소자; 및
상기 전기부품 보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패드형의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Guide unit for inducing the direction of light and food intake to the subject;
optical element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arranged on a circuit board to expose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subject during eating;
an electrical component storage unit installed under the guide unit and hav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 battery charging unit charging the battery, and a control module;
a bowl bod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lectrical component storage unit;
a sensor element installed on top of the guide unit to recognize or recognize an object; and
A food bowl for pets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comprising: a pad-typ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omponent storage unit to determine the bioelectrical impedance of the object.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는 개체의 무게를 파악하는 타일화된 무게센서, 개체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파악하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 및 개체가 밟고 올라가는 발디딤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광조사 모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음식그릇.According to claim 18,
Th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is for a pet using a detachable light irradiation module including a tiled weight sensor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n object, a bioelectrical impedance sensor for determining the bioelectrical impedance of the object, and a stepping portion on which the object steps and climbs. food bow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08110 WO2022154197A1 (en) | 2020-01-14 | 2021-06-28 | Attachable/detachable phototherapeutic module and pet feed bowl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4672 | 2020-01-14 | ||
KR20200004672 | 2020-01-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1676A KR20210091676A (en) | 2021-07-22 |
KR102573620B1 true KR102573620B1 (en) | 2023-09-01 |
Family
ID=7715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5490A KR102573620B1 (en) | 2020-01-14 | 2021-01-14 | Light irradiation module for detachable and this using a pet feed bow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620B1 (en) |
WO (1) | WO202215419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3856B1 (en) * | 2022-05-02 | 2022-10-12 | 황민규 | Pet Feeding apparatus that can provide body composition inform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28687A (en) | 2007-03-23 | 2008-10-0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ood container device for small animal |
KR102134883B1 (en) | 2018-12-28 | 2020-07-16 | (주)링크옵틱스 | Food distribution system for obtaining companion animal nose pattern in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9976A (en) * | 1981-04-24 | 1983-06-28 | Thaddeus Novak | Animal feeding apparatus |
KR20200033133A (en) * | 2018-09-19 | 2020-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
-
2021
- 2021-01-14 KR KR1020210005490A patent/KR10257362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06-28 WO PCT/KR2021/008110 patent/WO20221541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28687A (en) | 2007-03-23 | 2008-10-0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ood container device for small animal |
KR102134883B1 (en) | 2018-12-28 | 2020-07-16 | (주)링크옵틱스 | Food distribution system for obtaining companion animal nose pattern inform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54197A1 (en) | 2022-07-21 |
KR20210091676A (en) | 2021-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shimoto et al. | Programmable wireless light-emitting diode stimulator for chronic stimulation of optogenetic molecules in freely moving mice | |
CN101031320A (en) | Medical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 |
US20070208397A1 (en) | Device and method of phototherapy for jaundiced infants | |
CN105263575A (en) | Self-administrabl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 |
KR102465910B1 (en) |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 |
KR102573620B1 (en) | Light irradiation module for detachable and this using a pet feed bowl | |
US2021019697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melatonin synthesis in a horse | |
US10206378B2 (en) |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swine reproduction | |
US20120104277A1 (en) | Oled phototherapy device | |
CN104519955A (en) | LED-based phototherapy panel capable of fitting in an X-ray cassette tray of an incubator | |
CN2203870Y (en) | Training device for restoring one's vision | |
CN105706530A (en) | DC LED driverless lighting assembly | |
WO2017030436A1 (en) | Intelligent light therapy system | |
US20160346564A1 (en) | Photoarray system construction | |
US12121740B2 (en) |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 |
KR102042133B1 (en) | A Stone bed for infants and pets | |
CN112135516A (en) | Beneficial application of UVA1 light | |
TWM464192U (en) | Device of optical therapy | |
JP3215293U (en) | Pest control equipment | |
TWI564050B (en) | Phototherapy device | |
CN217487234U (en) | Pet cat back drying machine | |
KR20220126078A (en) | Light emitting lead line for companion animal | |
CN217160773U (en) | Flea killing device | |
TWI287462B (en) | Phototherapy treatment system | |
TWM545455U (en) | Portable mosquito repell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