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540B1 -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540B1
KR102573540B1 KR1020230024857A KR20230024857A KR102573540B1 KR 102573540 B1 KR102573540 B1 KR 102573540B1 KR 1020230024857 A KR1020230024857 A KR 1020230024857A KR 20230024857 A KR20230024857 A KR 20230024857A KR 102573540 B1 KR102573540 B1 KR 10257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head office
module
risk assessment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요훈
박찬진
Original Assignee
(주)클라우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우드랩 filed Critical (주)클라우드랩
Priority to KR102023002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위험성 평가시 현장 도면 연계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 시 현장 도면과 연계하여 위험 위치를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Smart Risk Assessment System}
본 발명은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위험성 평가시 현장 도면 연계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 시 현장 도면과 연계하여 위험 위치를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성평가란 유해 또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 또는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종래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규정에 보면,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ㆍ기구ㆍ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를 하여야 한다.
또한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평가 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장의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또한, 사업의 실시를 총괄 관리하는 사람은 위험성평가 실시를 총괄 관리 관리감독자는 유해 또는 위험요인의 파악, 위험성의 추정, 결정, 감소대책의 수립 또는 실행 사업장의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은 위험성평가의 실시를 관리하여야 한다.
스마트 안전장비 예시에 스마트위험성평가, 작업허가서, 작업지시, 안전점검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술한 위험성 평가 관련 작업지시, 위험성평가서, 안전점검일지, 안전작업허가서 등을 스마트폰과 PC로 수행하고 안전관리서류를 DB화(특히, 도면화)하여 위험분석 및 예방 대책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370775호 한국등록특허 제0815603호 한국등록특허 제22479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면을 활용한 위험 위치 시각화 기능을 갖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시 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위험을 도면과 결합하여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는 현장 구성원들에게 투입 전 표시되는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는 건설 원도급사의 수시 위험성 평가 접수, 작성, 및 승인에 따른 위험성 평가 회의 기록 및 상기 회의 기록에 따른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도면 정보 저장 프로세스와, 상기 위험성 평가 중 중점관리항목 등록 및 상기 도면 정보에 중점관리항목을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본사 서버(10); 건설 현장 내 대쉬 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본사 서버(10)로 전달 받은 내용을 표시하는 현장 단말기(20); 상기 본사 서버(10)와 현장 단말기(20)에서 전달되는 도면 정보를 표시하며, 협력업체 또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협력업체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사 서버(10)의 내부의 복수개의 모듈들은 수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을 지정하는 모듈을 구축하고, 건설 현장 도면과 연동하여 위험 위치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구성원들은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기 전에 이 위험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본사 서버(10)는 현장 도면을 기반으로 생성된 위험 지역을 기반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이를 기반으로 구성된 알람 기능을 통해 현장 구성원의 협력업체 단말기(30)에 경고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수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을 지정하는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장 도면 호출 후 위험 지역 또는 범위를 설정 및 수정을 허용하는 수정 모듈(17-1); 위험구역, 그리고 건설 현장의 다른 안전상 중요한 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구역 식별 모듈(17-2);을 포함하며, 상기 구역 식별 모듈(17-2)은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적 모듈과 쌍을 이루어 시스템이 현장의 작업자 및 장비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정의된 안전 구역과 비교한다.
본 발명은 중점관리항목별 위험지역을 도면으로 비주얼하게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13)을 통해 사용자는 건설 현장 계획에서 확인된 위험 영역을 표시하는 대시보드를 보고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그룹화한다.
본 발명은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건설 현장 계획에 위험 영역을 표시하고 공종명/위험요인/개선대책/작업인원/작업일정 등과 같은 세부 캡션을 제공하는 세부 캡션 모듈(17-3); 사용자는 이 정보를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을 표시하는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17-4)로 표시하도록 명령하여 볼 수 있으며,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이러한 위험 요소를 필터링할 수 있는 대화형 도면 모듈(17-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위험과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에서 제공하는 대화형 도면은 완료 예정일 및 담당자 또는 부서를 확인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고, 여러 위험 관리 항목을 지속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활용한 위험위치 시각화 기능으로 인하여 현장 구성원들이 위험 장소에 대한 공유와 인식의 효과를 높여 사고예방 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시 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위험을 도면과 결합하여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는 현장 구성원들에게 투입 전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고, 안전사고 예방의 극대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의 이미지 정보보다 웨어러블 기기의 오디오 정보(또는 도면 위에 표시된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정보 등)가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므로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고, 안전사고 예방의 극대화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는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요소 간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정보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 관한 설명의 경우 복수개의 도면이 모여 도면 정보가 되고, 도면 정보는 그 내부의 이미지/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는 건설 원도급사의 수시 위험성 평가 접수, 작성, 및 승인 프로세스와, 위험성 평가 회의 기록 및 상기 회의 기록의 도면 정보 저장 프로세스와, 상기 위험성 평가 중 중점관리항목 등록 및 상기 도면 정보에 중점관리항목을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본사 서버(10); 건설 현장 내 대쉬 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본사 서버(10)로 전달 받은 내용을 표시하는 현장 단말기(20); 상기 본사 서버(10)와 현장 단말기(20)에서 전달되는 도면 정보를 표시하며, 협력업체 또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협력업체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장 도면 호출 후 위험 지역 및 범위를 설정 및 수정하고, 중점관리항목별 위험지역을 도면으로 비주얼하게 디스플레이(B1, B2)하거나, 중점관리항목별로 실제 도면 위에 위험포인트 표기와 함께 공종명, 위험요인, 개선대책, 작업인원, 작업일정 등을 캡션 처리, 복수의 중점관리항목이 연속적으로 플레이되도록 설정(B3)도 가능하다(도 3, 4).
또한, 본 발명은 위험요인 도출시 위험위치 등록은 현장 도면 호출 후 위험지역 및 범위를 설정(B4)하고, 중점관리항목별 위험지역을 도면으로 비주얼하게 디스플레이(B5)하며, 선택한 중점관리항목을 실제 도면 위에 위험포인트 표기와 함께 공종명, 위험요인, 개선대책, 작업인원, 작업일정 등을 캡션 처리(B6)할 수 있다(도 5).
본사 서버(10)는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는 건설 원도급사의 수시 위험성 평가 접수, 작성, 및 승인에 따른 위험성 평가 회의 기록 및 상기 회의 기록에 따른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도면 정보 저장 프로세스와, 상기 위험성 평가 중 중점관리항목 등록 및 상기 도면 정보에 중점관리항목을 저장하고 대쉬 보드 등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상기 대쉬 보드는 도면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각종 도면 정보나 그래픽 등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을 활용하여 위험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위험위치를 빠르게 파악하여 안전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2D 도면을 3D 도면으로 변환하기 위해, 2D 이미지를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는 것을 학습시키고, 상기 고차원 표현을 이용하여 3D 도면을 생성하는 고차원 표현(High-dimensional representation) 모듈;
상기 2D 이미지를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여, 3D 도면을 재구성하는 고차원 재구성(High-dimensional reconstruction) 모듈; 및
상기 2D 이미지를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여, 3D 도면을 샘플링하는 고차원 샘플링(High-dimensional sampling) 모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차원 표현을 위한 고차원 표현 모듈은 도면 이미지 분석에서 이미지를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미지를 고차원 공간에 매핑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면 이미지의 정보를 더 잘 압축하고 도면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이미지를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며, 이미지를 입력으로 넣어주면, 고차원 표현을 출력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차원 표현은 이미지를 고차원 공간에 매핑하는데, 이를 통해 이미지를 더 잘 압축하고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다.
또한, 3D 도면을 샘플링(sampling) 한다는 것은 3D 도면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3D 도면을 샘플링 하는 과정에서는, 3D 도면을 고차원 표현으로 변환하여, 이를 이미지로 변환할 때는 일반적으로 3D 도면을 여러 각도로 촬영하여, 샘플링하며, 상기 샘플링한 이미지를 통해 3D 도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사 서버(10)의 내부의 복수개의 모듈들은 수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을 지정하는 모듈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모듈은 건설 현장 도면과 연동하여 위험 위치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각 현장의 구성원들은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기 전에 이 위험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도면을 기반으로 생성된 위험 지역을 기반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위험 지역을 서치(검색)하면, 도면 기반으로 구성된 알람 기능을 통해 현장 구성원에게 경고를 표시하며, 그들은 이를 통해 위험 지역에 대해 적절한 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수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을 지정하는 모듈을 구축할 수 있다.
각 모듈은 건설 현장 도면과 연동하여 위험 위치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들은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기 전에 이 위험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본사 서버(10)와 연결되며, 수시 위험성평가 등록을 할 때 위험위치를 입력을 위해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회의록 작성 시 도면과 연계하여 위치를 등록하고, 중점관리항목 등록 시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일일안전회의 또는 TBM 등록 시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중점위험의 위치를 도면과 연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대형 단말기(10'); 현장 단말기에 중점위험이 도면과 연계하여 조회되고, 중점위험이 도면과 연계하여 조회되는 협력업체 단말기(30); 중점위험이 도면과 연계하여 조회하는 근로자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상기 TBM은 Tool box meeting의 약자이다. 이때 작업 투입 전 금일위험 현황 및 안전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사 서버(10)는 수시 위험성 평가시 도면과 연계하여 위험 위치를 등록 기능을 갖는다.
일실시예로 상기 본사 서버(10)는 2D 도면 오브젝트를 3D 툴(ex: , Maya, Blender)로 임포트하고, 3D 툴에서 도면 오브젝트를 회전, 스케일, 또는 이동시켜 3D 건설 현장 공간에 맞게 변형하며, 3D 카메라를 추가하고 이동시켜 원하는 시점으로 설정하고, 라이트를 추가하고 조명 효과를 설정한 후,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과 연계된 정확한 위험 위치를 등록하여 유해 또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 또는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허용 불가능한 위험성을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한 후 도면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위험성 평가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로자 단말기(20) 또는 협력업체 단말기(30)에 표시된 도면을 통해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일시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건설 현장에서 위험성 평가를 하고, 위험성 평가를 도면(정보)에 등록을 하면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건설 운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안전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안전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본사 서버(10)는 최초위험성평가등록을 하면, 최초위험성평가 배분과 함께 협력업체 단말기에 최초 또는 정기 위험성평가를 정보화하여 전달한다.
그리고 현장 단말기(20)가 중점관리항목등록을 하고,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로부터 일일안전회의 또는 TBM 등록이 되면, 일일안전점검을 시행하고, 협력업체 단말기(30)는 현장 단말기에 최초 또는 정기 위험성평가 승인을 요청하고, 수시위험성평가를 현장 단말기에 접수한다.
만일,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에 상기 도면과 관련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전달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도면과 관련된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면과 관련된 추가위험 지시가 있으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30)를 통해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이 입력되고 상기 현장 단말기(20)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며, 다시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현장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도면과 관련된 일일안전점검표를 작성하고, 각종 성과측정 결과표를 본사 서버에 전송하고, 협력업체 단말기로부터 안전작업허가요청이 생성되면, 현장 단말기를 통해 안전작업허가승인이 이루어지고, 그 지역에 대해서 도면에 승인 내용 등이 표시된다.
일실시예로서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에 상기 도면과 관련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먼저, 부적합을 발견한 현장 관리자는 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도면과 관련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작성한다.
그리고, 해당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전달한다.
또한, 협력업체는 협력업체 단말기(30)로 전달받은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확인하고, 해당 조치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근로자 단말기(20)를 포함하는 현장 단말기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며, 이를 통해 협력업체가 전달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시 위험성 평가 등록 모듈(11)은 작업 중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현장 도면과 실제 현장을 비교하거나 주변 구성원과 상의하여 상황을 파악한다. 식별한 위험 요소들을 기반으로 위험 지역/범위를 설정한다.
일실시예로서 본사 서버(10)에 추가되는 수시 위험성 평가 등록 모듈(11)은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현장 도면과 실제 현장을 비교하거나 주변 구성원과 상의하여 상황을 파악하여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안전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도록 도면과 함께 표시한다.
도면과 함께 표시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일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에 상기 도면과 관련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전달하고, 해당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가 도면과 함께 입력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한다.
예를 들어 부적합 또는 추가 위험 사항을 감지하여 안전 관리자, 현장 인원, 안전 점검 등을 통해 근로자 단말기(20) 또는 협력업체 단말기(30)로 위험 사항을 문서화하고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기록에는 발견된 위험의 세부 사항, 위험을 일으킨 원인, 발견 시기 등을 기록하고, 현장에서 즉시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되며, 즉시 가능한 경우에는 바로 해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획을 수립하여, 추가 위험을 기록하고 도면에 최종 사항을 표시한다.
상기 본사 서버(10)에 추가되는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은 건설 현장에서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중점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를 수 있다.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을 통한 중점관리항목 식별의 경우, 건설 현장에서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위험 요소를 제외한 새로운 위험 요소나 일반적인 위험 요소가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을 식별해서 도면에 표시해야 한다.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을 통한 중점관리항목 선정의 경우, 식별한 중점관리항목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중점관리항목은 작업자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들로 선정된 후 도면에 표시된다.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을 통한 중점관리항목 등록의 경우, 중점관리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적절한 도면 위의 장소에 위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를 수 있다.
중점관리항목에서 위험 위치 식별의 경우, 일일 안전회의 또는 TBM 등록을 위해 작성할 내용도 정리하여, 건설 현장 도면과 연계하여 위험 위치를 제공한다.
중점관리항목에서 도면에 위험 위치 기록의 경우, 식별한 위험 위치를 적절한 도면(예: 일일 안전회의 기록지를 포함하는 도면 정보, TBM 등록 양식을 포함하는 도면 정보로)에 기록한다.
도면에 중점위험 등록의 경우, 중점위험을 기록할 수 있는 도면의 적절한 장소(예: 중점위험관리 장소)에 기록하고, 건설 현장 도면(BIM 도면 등)과 연계하여 위치를 등록할 수도 있다.
도면을 위한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도면 표시 모듈)(13)의 경우, 중점위험의 위치를 건설 현장 도면과 연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장치(예: 전자 도면, BIM, 안전 지도)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절차와 차이가 있다면, 중점위험을 식별할 때와 중점위험을 기록할 때는 일반적인 위험 요소를 제외한 새로운 위험 요소나 일반적인 위험 요소가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을 이미지(도면)으로 식별해야 한다는 점이 차이이다.
따라서 중점위험을 기록할 때에는 도면과 같이 기록하여, 종래의 중점관리항목과 달리 작업자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건설 현장 도면과 연계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도면 연계 모듈(15)을 제공한다.
먼저 도면 연계 모듈(15)은 입력 버튼을 누르면 우선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면을 호출한다.
그리고 이 도면을 기반으로 위험 지역/범위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시 위험성평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하여 위험 지역/범위가 어디인지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설정된 위험 지역/범위는 도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도면(정보)을 3D엔진 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도면 이미지를 삽입해야 한다.
그리고 3D엔진 프로그램에서 위험 지역/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험 지역/범위는 도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3D엔진 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3D엔진 프로그램에 도면 이미지를 삽입해야 한다.
그리고 3D엔진 프로그램에서 위험 지역/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이렇게 설정된 위험 지역/범위는 3D엔진 프로그램에서 그래픽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설정된 위험 지역/범위는 3D엔진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위험 지역/범위에 접근하려는 경우 알림이 제공되거나 접근이 제한된다.
상기 본사 서버(10)는 최초위험성평가항목 등록을 한 후, 상기 현장 단말기를 통해 수주 공종별 등록과 협력사 공종별 배분이 되면, 협력업체 단말기(32)를 통해 최초위험성평가의 배분된 내용을 참고하여 최초위험성평가 작성과 정기위험성평가 작성을 진행하여 최초위험성평가승인과 정기위험성평가 승인을 받는다.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수시위험성평가 제출이 가능하되, 최초위험성평가 가져오기, 정기위험성평가 가져오기, 타현장 정보 가져오기, 이전평가서 가져오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사 서버(10)를 통해 최초위험성평가항목 등록을 하면, 최초위험성평가 배분과 함께 협력업체 단말기에 최초 또는 정기 위험성평가 제출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는 현장 단말기에 최초 또는 정기 위험성평가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시위험성평가가 제출이 되면 현장 단말기를 통해 수시 위험성 평가가 접수되는 단계; 상기 현장 단말기를 통해 중점관리항목등록을 하고,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로부터 일일안전회의 또는 TBM 등록이 되면, 일일안전점검이 시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일안전점검 등에서 만일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에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전달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현장 단말기로부터 추가위험 지시가 있으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가 입력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는 단계;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현장 단말기를 통해 일일안전점검표를 작성하고, 각종 성과측정 결과표를 본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협력업체 단말기로부터 안전작업허가요청이 생성되면, 현장 단말기를 통해 안전작업허가승인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각 점검 등의 작업이 수행된 위치를 도면상에 표시하고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각 작업이 어떤 위치에서 수행되었는지 기록하고, 이후에도 참고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부적합이 발생한 위치가 있다면, 이 위치는 상기 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도면에 표시되고, 이 위치는 상기 패트롤 일지에도 기록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단말기에서는 현장 도면을 비주얼하게 디스플레이(도 4의 B2 참조)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도면과 연동하여 중점 관리 항목별로 실제 도면 위에 위험 포인트를 표시(예 : 건물 이름, 좌표, 위치 정보 등)하고, 공종명/위험 요인/개선 대책/작업 인원/작업 일정 등을 캡션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현장 구성원들이 실제 현장에서 어디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 위험 포인트를 상대적(직관적)으로 도면 상의 이미지 또는 오디오로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정보)을 활용한 수시 위험성 평가로 위험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거쳐 유해 또는 위험요인을 파악한다.
그리고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 또는 결정하여 도면 정보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허용 불가능한 위험성을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도면 연계 모듈(15)은 상기 도면 정보 연계된 정확한 위험 위치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현장 도면을 사용하여 위험 지역을 지정하고, 위험 위치를 정확하게 입력받아 등록한다.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은 등록된 위험 위치를 기반으로 유해 또는 위험요인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모듈이다.
또한, 상기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은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입력받아 각 가능성과 중대성에 가중치를 두어 앞으로의 부상 가능성에 대해 추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을 통해 위험 지역에 대한 공유와 인식의 효과를 높여 사고예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은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대책을 위해, 도면 정보와 연계된 정확한 위험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유해 또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도면 위에 표시된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정보 등; 도 6 참고)를 기록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은 도면 내에서 해당 유해 또는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 또는 결정하는 중대성 추정 및 결정 모듈에서 유해 또는 위험요인이 어떠한 부상을 야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부상의 중대성을 추정 또는 결정하여 도면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은 감소대책을 입력받아 상기 도면과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은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위험을 도면과 결합하여 해당 위치에서 근무하는 현장 구성원들에게 투입 전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고, 안전사고 예방의 극대화에 기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 건설 원도급사,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여 수시 위험성 평가 접수, 작성, 승인 프로세스, 회의 기록, 도면 정보 저장, 중점관리항목 등록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본사 서버, 건설 현장 내 대쉬보드를 포함하는 현장단말기, 협력업체나 근로자가 소지하는 협력업체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 건설 원도급사,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여 수시 위험성 평가를 접수, 작성,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회의 기록, 도면 정보 저장, 중점관리항목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본사 서버, 현장 단말기,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현장 구성원들이 위험 장소를 시각화하여 공유하고 인식하며, 이를 통해 사고 예방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 구성원들이 위험 장소를 시각화하여 공유하고 인식하며, 이를 통해 사고 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장 도면 호출 후 위험 지역 또는 범위를 설정 및 수정을 허용하는 수정 모듈(17-1);을 통해 구역을 수정하여 설정하면 사용자가 건설 현장 내의 특정 구역 또는 구역을 생성, 편집 및 삭제하고 특정 위험 또는 안전 문제와 관련시킬 수 있다.
즉, 위험 구역, 그리고 건설 현장의 다른 안전상 중요한 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구역 식별 모듈(17-2); 구역 식별 모듈을 통해 식별된 구역 사이트의 다른 작업자의 역할에 따라 다른 영역에 다른 수준의 액세스 또는 권한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자는 특정 영역에서만 허용되는 반면 다른 작업자는 모든 영역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특정 구역에 대한 무단 접근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역 식별 모듈(17-2)은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적 모듈과 쌍을 이루어 시스템이 현장의 작업자 및 장비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정의된 안전 구역과 비교할 수 있다.
무단 진입 또는 이동이 감지되면 알람 또는 알림이 트리거되어 해당 당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중점관리항목별 위험지역을 도면으로 비주얼하게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13)을 통해 사용자는 건설 현장 계획에서 확인된 위험 영역을 표시하는 대시보드를 보고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은 중장비 통행량이 많은 도면에서의 지역, 추락 위험이 높은 지역 또는 화재 위험이 높은 도면에서의 지역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고위험 영역을 도면이나 계획에 추가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관심 영역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의 전반적인 위험 수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위험 관리 노력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보고하고 추적할 수 있는 사고 보고 모듈과 연결되어 안전 성능에 대한 포괄적인 뷰를 제공할 수 있다.
중점관리항목별로 실제 도면 위에 위험포인트 표기와 함께 공종명/위험요인/개선대책/작업인원/작업일정 등을 캡션 처리, 복수의 중점관리항목이 연속적으로 플레이 되도록 설정도 가능하다.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건설 현장 계획에 위험 영역을 표시하고 공종명/위험요인/개선대책/작업인원/작업일정 등과 같은 세부 캡션을 제공하는 세부 캡션 모듈(17-3);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확인된 위험 영역이 표시된 건설 현장 계획을 볼 수 있으며, 특정 지점을 클릭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상세 정보가 포함된 캡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면 정보를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을 표시하는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17-4)로 표시하도록 명령하여 볼 수 있으며,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이러한 위험 요소를 필터링하여 도면에 표시할 수 있는 대화형 도면 모듈(17-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 정보를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로 볼 수 있으며,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이러한 위험 요소를 필터링한 후, 이에 대한 의견을 대화 형식으로 남겨 도면 정보에 종속 사항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위험과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대책을 취하는 데 필요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유해 또는 위험요인 파악 모듈(16)은 대화형 도면은 완료 예정일 및 담당자 또는 부서를 확인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위험 관리 항목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험과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대책을 취하는 데 필요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 대화형 도면은 좀 더 추가적으로는 완료 예정일 및 담당자 또는 부서를 확인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10 : 본사 서버
10' : 대형 단말기
20 : 현장 단말기, 근로자 단말기
30 : 협력업체 단말기

Claims (8)

  1. 감리 및 발주처를 포함하는 건설 원도급사의 수시 위험성 평가 접수, 작성, 및 승인에 따른 프로세스와, 위험성 평가 회의 기록 및 상기 회의 기록의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도면 정보 저장 프로세스와, 상기 위험성 평가 중 중점관리항목 등록 및 상기 도면 정보에 중점관리항목을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본사 서버(10);
    건설 현장 내 대쉬 보드를 포함하여 상기 본사 서버(10)로 전달 받은 내용을 표시하는 현장 단말기(20);
    상기 본사 서버(10)와 현장 단말기(20)에서 전달되는 도면 정보를 표시하며, 협력업체 또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협력업체 단말기(30);
    상기 본사 서버(10)에 설치되며, 현장 도면 호출 후 위험 지역 또는 범위의 설정 및 수정을 허용하는 수정 모듈(17-1);
    상기 본사 서버(10)에 설치되며, 위험 구역과 건설 현장의 안전상 중요한 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구역 식별 모듈(17-2);
    상기 본사 서버(10)에 설치되며,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건설 현장 계획에 위험 영역을 표시하고 공종명, 위험요인, 개선대책, 작업인원, 및 작업일정을 포함하는 세부 캡션을 제공하는 세부 캡션 모듈(17-3);
    상기 본사 서버(10)에 설치되며, 확인된 위험 영역이 표시된 건설 현장 계획을 볼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지점을 클릭하면 상세 정보가 포함된 캡션이 표시되도록 하고, 도면 정보를 팝업 또는 사이드 패널로 표시되도록 명령하는 팝업 또는 사이드패널 모듈(17-4); 및
    상기 본사 서버(10)에 설치되며, 특정 위험 관리 항목에 따라 위험 요소를 필터링하여 도면에 대화형으로 표시할 수 있는 대화형 도면 모듈(17-5);을 포함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에 추가되는 수시 위험성 평가 등록 모듈(11)은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작업자들과 주변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현장 도면과 실제 현장을 비교하거나 주변 구성원과 상의하여 상황을 파악하여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고, 안전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도록 도면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도면과 함께 표시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일 부적합이 발생하면,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에 상기 도면과 관련된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지시를 전달하고, 해당 협력업체 단말기를 통해 부적합 또는 추가위험 가 도면과 함께 입력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패트롤 일지를 작성하여, 부적합 또는 추가 위험 사항을 감지하여 안전 관리자, 현장 인원, 안전 점검 등을 통해 근로자 단말기(20) 또는 협력업체 단말기(30)로 위험 사항을 문서화하고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위험 사항에는 발견된 위험의 세부 사항, 위험을 일으킨 원인, 발견 시기 등을 기록하고, 현장에서 즉시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되며, 즉시 가능한 경우에는 바로 해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획을 수립하여, 추가 위험을 기록하고 도면에 최종 사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에 추가되는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은 건설 현장에서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중점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상기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을 통한 중점관리항목 식별의 경우, 건설 현장에서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를 식별하며,
    상기 중점관리항목 등록 모듈(12)을 통한 중점관리항목 선정의 경우, 식별한 중점관리항목을 선정하고,
    상기 중점관리항목은 작업자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우려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들로 선정된 후 도면에 표시되며,
    상기 중점관리항목 등록의 경우, 중점관리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해당 도면 위의 장소에 위험 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는 수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을 지정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사 서버(10)와 연결되며, 수시 위험성평가 등록을 할 때 위험위치를 입력을 위해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회의록 작성 시 도면과 연계하여 위치를 등록하고, 중점관리항목 등록 시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일일안전회의 또는 TBM 등록 시 도면과 연계하여 등록하고, 중점위험의 위치를 도면과 연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대형 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는 중점관리항목별 위험지역을 도면으로 비주얼하게 중점위험 디스플레이 모듈(13)을 통해 사용자는 건설 현장 계획에서 확인된 위험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는 중점위험이 도면과 연계하여 협력업체 단말기(30)를 통해 조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사 서버(10)는 2D 도면 오브젝트를 3D 툴로 임포트하고, 3D 툴에서 도면 오브젝트를 회전, 스케일, 또는 이동시켜 3D 건설 현장 공간에 맞게 변형하며, 3D 카메라를 추가하고 이동시켜 원하는 시점으로 설정하고, 라이트를 추가하고 조명 효과를 설정한 후,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KR1020230024857A 2023-02-24 2023-02-24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KR10257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857A KR102573540B1 (ko) 2023-02-24 2023-02-24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857A KR102573540B1 (ko) 2023-02-24 2023-02-24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540B1 true KR102573540B1 (ko) 2023-09-01

Family

ID=8797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857A KR102573540B1 (ko) 2023-02-24 2023-02-24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7198A (zh) * 2024-03-12 2024-04-12 成都蜀诚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施工现场的安全运维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3B1 (ko) 2007-07-04 2008-04-03 서울특별시(건설안전본부장)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KR101370775B1 (ko) 2013-09-25 2014-03-06 김영도 기업 맞춤식 안전관리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47941B1 (ko)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499920B1 (ko) * 2022-04-06 2023-02-16 김용희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3B1 (ko) 2007-07-04 2008-04-03 서울특별시(건설안전본부장)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KR101370775B1 (ko) 2013-09-25 2014-03-06 김영도 기업 맞춤식 안전관리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47941B1 (ko)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99920B1 (ko) * 2022-04-06 2023-02-16 김용희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7198A (zh) * 2024-03-12 2024-04-12 成都蜀诚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施工现场的安全运维系统
CN117877198B (zh) * 2024-03-12 2024-05-17 成都蜀诚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施工现场的安全运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Collaborative information integration for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CN111797139A (zh) 一种受限空间作业安全监管平台及监管方法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573540B1 (ko)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Guo et al. Improved safety checklist analysis approach using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ase study
CN109670771A (zh) 一种电力工程基建项目管理系统
CN113449959A (zh) 一种矿山人员行为治理系统及平台
CN115130807A (zh) 一种药业生产安全智慧监管方法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111126751A (zh) 基于移动互联的智能巡检和安全监测预警系统及方法
CN116859800A (zh) 基于复杂事件流的生产车间安全监测系统和方法
CN112184945A (zh) 一种移动终端巡检管理方法及系统
CN116068977A (zh) 一种基于火电厂数字孪生体的安全防范实现方法和系统
CN111882141A (zh) 一种应用于高能炸药制备系统的安全管控系统
CN117787885A (zh) 一种企业安全生产管理方法及系统
CN117495596A (zh) 安全生产管理系统、方法、处理器及存储介质
CN116880262A (zh) 基于智能装备的安全管控方法及系统
CN114494878A (zh) 基于数字孪生的安全隐患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4819878A (zh) 燃气工程的作业示险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介质
Fang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Safety APPs
CN113487146A (zh) 矿山安全作业管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869758A (zh) 智慧两票管理及作业现场风险预警系统
Collia et al. SafeOCS Industry Safety Data Program: An Industrywide Safety Data Management Framework
Ismail et al. BIM Capabilities towards Better Safety Climate in the Malaysian Construction Industry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